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6-17)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2017-06-17 기출문제)

목록

1. 회전 중에 임의로 힘의 전달을 끊을 수 없는 기계요소는?

  1. 맞물림 클러치(jaw clutch)
  2. 마찰차(friction wheel)
  3. 마찰 클러치(friction clutch)
  4. 커플링(coupling)
(정답률: 88%)
  • 커플링은 회전 중인 두 축을 연결하는 기계요소로, 끊을 수 없는 힘의 전달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커플링이 내부적으로 회전하는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커플링은 회전 중에도 안전하게 힘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반면, 맞물림 클러치와 마찰 클러치는 외부적인 조작에 의해 힘의 전달을 끊을 수 있기 때문에, 회전 중에는 안전하지 않습니다. 마찰차는 회전 중에도 힘의 전달을 끊을 수 있지만, 커플링과 달리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무단 변속장치에 이용되는 마찰차가 아닌 것은?

  1. 원판 마찰차
  2. 원뿔 마찰차
  3. 원통 마찰차
  4. 구면 마찰차
(정답률: 62%)
  • 무단 변속장치는 원통 마찰차를 이용하여 동작합니다. 원판, 원뿔, 구면 마찰차는 모두 원통 마찰차와는 다른 형태의 마찰차이며, 무단 변속장치에 이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통 마찰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형주조에서 사용되는 주물사의 조건이 아닌 것은?

  1. 성형성이 있어야 한다.
  2. 통기성이 있어야 한다.
  3. 수축성이 없어야 한다.
  4. 열전도도가 낮아야 한다.
(정답률: 65%)
  • 사형주조에서 사용되는 주물사는 높은 내구성과 내식성, 그리고 우수한 열전도도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들은 주물사가 고온에서 오랜 시간 동안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축성이 없어야 한다."는 올바른 조건이 아닙니다. 주물사는 고온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수축성이 없으면 냉각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펌프에서 수격현상의 방지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출관 내의 유속이 빠르도록 관의 지름을 선정한다.
  2. 펌프에 플라이휠을 설치한다.
  3. 송출 관로에 공기실을 설치한다.
  4. 펌프의 급정지를 피한다.
(정답률: 87%)
  • "송출관 내의 유속이 빠르도록 관의 지름을 선정한다."는 옳은 대책입니다. 이는 송출관 내의 유속을 높여서 수격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유속이 높을수록 액체가 움직이는 속도가 빨라져서 공기가 혼입되는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관의 지름을 적절히 조절하여 유속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인 대책입니다.

    반면에 "펌프에 플라이휠을 설치한다.", "송출 관로에 공기실을 설치한다.", "펌프의 급정지를 피한다."는 모두 수격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올바른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반적인 금속재료의 온도를 증가시킬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성 및 연성이 증가한다.
  2. 강도에 대한 변형률속도의 영향이 감소한다.
  3. 인장강도가 감소한다.
  4. 탄성계수 및 항복응력이 감소한다.
(정답률: 71%)
  • 강도에 대한 변형률속도의 영향이 감소하는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금속재료의 온도가 증가하면 인성 및 연성이 증가하고, 탄성계수 및 항복응력이 감소합니다. 그러나 강도에 대한 변형률속도의 영향은 온도와는 무관하게 일정합니다. 즉, 금속재료의 온도가 증가하더라도 강도에 대한 변형률속도의 영향은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재료의 피로 수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편의 파손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반복 응력 사이클 수를 피로 수명이라 한다.
  2. 재료 표면에 숏피닝(shot peening) 공정을 통해 피로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반복 응력의 평균값이 클수록 피로 수명이 감소한다.
  4. 재료 표면에 존재하는 노치(notch)를 제거하면 피로 수명이 감소한다.
(정답률: 77%)
  • "재료 표면에 존재하는 노치(notch)를 제거하면 피로 수명이 감소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오히려 노치를 제거하면 피로 수명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노치는 응력 집중이 발생하는 지점으로, 노치가 있는 부분이 더 빨리 파손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치를 제거하면 응력이 골고루 분산되어 파손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디젤기관의 디젤노크 저감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화성이 좋은 연료를 사용한다.
  2. 연소실 벽의 온도를 낮춘다.
  3. 발화까지의 연료 분사량을 감소시킨다.
  4. 가솔린 기관과 노크 저감 방법이 정반대이다.
(정답률: 65%)
  • 정답: "가솔린 기관과 노크 저감 방법이 정반대이다."

    디젤노크는 연소실 내부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엔진 내부에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며 엔진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젤노크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연소실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는데, 발화성이 좋은 연료를 사용하거나 발화까지의 연료 분사량을 감소시키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그러나 가솔린 기관에서는 노크를 방지하기 위해 연소실 내부의 온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가솔린 기관과 디젤 기관에서 노크 저감 방법은 정반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플라스틱 가공 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출 공정은 고분자 재료에 압축력을 가하여 다이 오리피스를 통과시키는 공정이다.
  2. 사출성형된 제품은 냉각 수축이 거의 없다.
  3. 사출성형은 고분자 재료를 용융시켜 금형 공동에 고압으로 주입하고 고화시키는 공정이다.
  4. 압출된 제품의 단면적은 다이 구멍의 면적보다 크다.
(정답률: 61%)
  • "사출성형된 제품은 냉각 수축이 거의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사출성형에서 제품이 금형에서 분리되기 전에 충분한 냉각 시간이 주어지지 않으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입니다. 냉각 수축이 없다는 것은 제품이 금형에서 분리되기 전에 이미 충분한 냉각 시간이 주어졌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한줄 겹치기 리벳이음의 일반적인 파괴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리벳의 지름이 작아지면 리벳이 전단에 의해 파괴될 수 있다.
  2. 리벳 구멍과 판 끝 사이의 여유가 작아지면 판 끝이 갈라지는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3. 판재가 얇아지면 압축응력에 의해 리벳 구멍 부분에서 판재의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4. 피치가 커지면 리벳 구멍 사이에서 판이 절단될 수 있다.
(정답률: 64%)
  • 피치가 커지면 리벳 구멍 사이에서 판이 절단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피치는 리벳 구멍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이 거리가 넓어지면 오히려 리벳의 강도가 떨어져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피치가 커지면 리벳 구멍 사이에서는 절단 파괴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풀리(원판) 주위에 감겨 있는 줄에 질량 m의 블록이 연결되어 있다. 블록이 아래쪽으로 운동할 때 풀리의 각가속도 α는? (단, 줄은 늘어나지 않으며 줄의 질량은 무시한다. 점 O에 대한 풀리의 회전 관성모멘트는 I, 반지름은 r, 중력가속도는 g로 가정한다)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공압 발생 장치에서 공기의 온도를 이슬점 이하로 낮추어 압축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공기 건조 방식은?

  1. 냉각식(냉동식) 건조
  2. 흡수식 건조
  3. 흡착식 건조
  4. 애프터 쿨러(after cooler)
(정답률: 85%)
  • 공압 발생 장치에서 생성된 압축 공기는 높은 온도와 습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기를 냉각식(냉동식) 건조 방식으로 건조하면, 공기의 온도를 이슬점 이하로 낮추어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효과적이며, 대부분의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냉각식(냉동식) 건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백래시(backlash)가 적어 정밀 이송장치에 많이 쓰이는 운동용 나사는?

  1. 사각 나사
  2. 톱니 나사
  3. 볼 나사
  4. 사다리꼴 나사
(정답률: 78%)
  • 백래시란, 나사를 돌렸을 때 움직이는 방향과 반대로 움직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밀 이송장치에는 백래시가 적은 나사가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볼 나사는, 나사와 너트 사이에 구형의 볼을 넣어서 움직임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백래시가 거의 없는 나사입니다. 따라서 정밀 이송장치에 많이 사용됩니다.

    사각 나사나 톱니 나사는 백래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사용되지 않고, 사다리꼴 나사는 백래시가 적긴 하지만 볼 나사보다는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이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설명에 가장 적합한 소재는?

  1. 압전재료
  2. 수소저장합금
  3. 파인세라믹
  4. 형상기억합금
(정답률: 91%)
  • 이 소재는 기억력이 있는 합금으로, 변형된 형태에서도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갈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형상기억합금은 자동차, 항공기,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필라멘트(filament) 형태의 소재를 사용하는 쾌속조형법(rapid prototyping)은?

  1. 융해융착모델(FDM:fused deposition modeling)
  2. 스테레오리소그래피(STL:stereolithography)
  3. 폴리젯(polyjet)
  4.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selective laser sintering)
(정답률: 67%)
  • 쾌속조형법 중 융해융착모델(FDM)은 필라멘트 소재를 열화시켜 녹인 후, 층층이 적층하여 모델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의 모델을 만들기에 적합하며, 3D 프린터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소성가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삭가공에 비하여 생산율이 낮다.
  2. 절삭가공 제품에 비하여 강도가 크다.
  3. 취성인 재료는 소성가공에 적합하지 않다.
  4. 절삭가공과 비교하여 칩(chip)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재료의 이용률이 높다.
(정답률: 75%)
  • "절삭가공에 비하여 생산율이 낮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소성가공은 절삭가공과 달리 칩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재료의 이용률이 높아 생산량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율이 절삭가공에 비하여 높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딥 드로잉 공정에서 나타나는 결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랜지가 컵 속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수직 벽에서 융기된 현상을 이어링(earing)이라고 한다.
  2. 플랜지부에 방사상으로 융기된 형상을 플랜지부 주름(wrinkling)이라고 한다.
  3. 펀치와 다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윤활이 불충분하면 제품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한다.
  4. 컵 바닥 부근의 인장력에 의해 수직 벽에 생기는 균열을 파열(tearing)이라고 한다.
(정답률: 59%)
  • 정답은 "플랜지가 컵 속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수직 벽에서 융기된 현상을 이어링(earing)이라고 한다."가 아닙니다.

    이어링(earing)은 딥 드로잉 공정에서 생기는 결함 중 하나로, 플랜지가 컵 속으로 빨려들어가면서 생기는 수직 벽에서 융기된 현상이 아니라, 플랜지 주변에서 재료가 밀려나면서 생기는 원형의 주름 모양 결함을 말합니다.

    딥 드로잉 공정에서 생기는 결함 중 플랜지가 컵 속으로 빨려들어가면서 수직 벽에서 융기된 현상은 파열(tearing)이 아니라 인장력에 의해 생기는 균열을 말합니다. 또한, 플랜지부에 방사상으로 융기된 형상을 플랜지부 주름(wrinkling)이라고 하며, 펀치와 다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윤활이 불충분하면 제품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드릴링 머신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드릴 가공은 드릴링 머신의 주된 작업이다.
  2. 카운터 싱킹은 드릴로 뚫은 구멍의 내면을 다듬어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작업이다.
  3. 스폿 페이싱은 볼트 머리나 너트 등이 닿는 부분을 평탄하게 가공하는 작업이다.
  4. 카운터 보링은 작은 나사나 볼트의 머리가 공작물에 묻히도록 턱이 있는 구멍을 뚫는 작업이다.
(정답률: 85%)
  • 정답은 "카운터 싱킹은 드릴로 뚫은 구멍의 내면을 다듬어 치수정밀도를 향상시키는 작업이다."이다. 이유는 카운터 싱킹은 구멍의 내면을 다듬는 작업이 아니라, 구멍의 입구 부분에 턱을 만들어 나사나 볼트의 머리가 묻히도록 하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Fe-Fe3C 상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스테나이트는 공석변태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존재한다.
  2. 0.5%의 탄소를 포함하는 탄소강은 아공석강이다.
  3. 시멘타이트는 사방정계의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어 높은 경도를 나타낸다.
  4. 공석강은 공정반응을 보이는 탄소 성분을 가진다.
(정답률: 70%)
  • 공석강은 공정반응을 보이는 탄소 성분을 가지지 않습니다. 공석강은 탄소 함량이 0.008% 이하인 강종으로, 탄소 성분이 매우 적습니다. 따라서 공석강은 탄소 성분이 적어 공정반응을 보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알루미늄 합금인 두랄루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u, Mg, Mn을 성분으로 가진다.
  2. 비중이 연강의 약 1/3 정도로 경량재료에 해당된다.
  3. 주물용 알루미늄 합금이다.
  4. 고온에서 용체화 처리 후 급랭하여 상온에 방치하면 시효경화 한다.
(정답률: 74%)
  • 두랄루민은 주물용 알루미늄 합금이 아니라 압연용 알루미늄 합금입니다. 주물용 알루미늄 합금은 주로 Si, Cu, Mg 등의 성분을 함유하며, 주로 주조 공정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초소성 성형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높은 변형률속도로 성형이 가능하다.
  2. 성형 제품에 잔류응력이 거의 없다.
  3. 복잡한 제품을 일체형으로 성형할 수 있어 2차 가공이 거의 필요 없다.
  4. 다른 소성가공 공구들보다 낮은 강도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어 공구 비용이 절감된다.
(정답률: 42%)
  • 초소성 성형은 높은 변형률속도로 성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소성가공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성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생산성을 높이는 데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높은 변형률속도로 성형이 가능하다."가 해당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