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12-16)

9급 지방직 공무원 임업경영
(2017-12-16 기출문제)

목록

1. 입목의 재적측정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형수법
  2. 망고법
  3. Schneider 공식법
  4. Denzin 공식법
(정답률: 74%)
  • Schneider 공식법은 입목의 재적측정 방법이 아니라, 눈의 조절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소나무림 1ha를 관리하는데 매년 말 50,000원씩 영구히 지출될 때, 이 임지의 관리자본은? (단, 이율은 5%이다)

  1. 50만 원
  2. 100만 원
  3. 150만 원
  4. 200만 원
(정답률: 89%)
  • 이 문제는 영구히 유지되는 일정한 현금흐름이 있을 때, 그 현금흐름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 자본금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매년 말 50,000원씩 지출되므로, 이것은 영구히 유지되는 일정한 현금흐름입니다. 이 때, 이율은 5%이므로, 이 현금흐름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초기 자본금은 50,000 / 0.05 = 1,000,000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만 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산림경영의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손익분기점의 분석을 위한 고정비는 생산량의 증감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2. 손익분기점은 총수익과 총비용이 서로 같아 이익이 0이 되는 점을 뜻한다.
  3. 손익분기점 분석에서 총비용은 고정비와 변동비의 합으로 산정한다.
  4. 총수익은 조업도에 따라 비선형적 관계를 가진다.
(정답률: 88%)
  • "총수익은 조업도에 따라 비선형적 관계를 가진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총수익이 증가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증가폭이 감소하거나 멈추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생산량과 수요의 관계, 생산 기술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산림경영에서도 생산량과 총수익의 관계를 고려하여 손익분기점을 분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하학적으로 총생장량곡선상 원점 이외의 두 점을 이은 직선의 기울기에 해당하는 것은?

  1. 총생장량
  2. 총평균생장량
  3. 연년생장량
  4. 정기평균생장량
(정답률: 76%)
  • 총생장량은 해당 나무가 자란 총 길이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총평균생장량은 해당 나무가 일정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자란 길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연년생장량은 연도별로 자란 길이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정기평균생장량은 일정 기간마다 나무가 평균적으로 자란 길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총생장량과는 달리, 정기평균생장량은 일정 기간마다 나무의 성장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나무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정기평균생장량"입니다.

    또한, 총생장량곡선상 원점 이외의 두 점을 이은 직선의 기울기는 해당 구간에서의 평균 생장량을 나타내므로, 정기평균생장량과 유사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몬트리올 프로세스의 기준과 지표를 기반으로 작성한 우리나라의 2014년 SFM 국가보고서상,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평가하는 7개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산림의 사회ㆍ경제적 편익의 유지 강화
  2. 산림생태계의 생산력 유지
  3. 자연친화적이며 효율적인 산지 이용
  4. 생물다양성 보전
(정답률: 67%)
  • 자연친화적이며 효율적인 산지 이용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평가하는 7개 기준 중 하나이며, 이는 산림자원을 보전하면서도 산림의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 산림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가 필요하며, 이는 산림의 생산성을 유지하고 산림생태계를 보전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빠져있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매년 말에 r원씩 n년 동안 발생하는 수입의 후가합계식은? (단, K=n년 후 후가합계, r=수입액, P=백분율 표시 이율)

  1. K=r×1.0Pn
(정답률: 94%)
  • 후가합계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K = r(1+P/100)^n-1 + r(1+P/100)^n-2 + ... + r(1+P/100)^0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K = r[(1+P/100)^n - 1]/(1+P/100 - 1)

    분모를 정리하면,

    K = r[(1+P/100)^n - 1]/(P/100)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수명이 4년이고 잔존가치가 0원인 파쇄기를 8,000만 원에 구입하여 우드칩 생산을 통해 4년 동안 매년 2,000만 원의 수익을 얻을 때, 투자이익률(%)은? (단, 감가상각비는 정액법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1. 40
  2. 50
  3. 60
  4. 70
(정답률: 63%)
  • 투자이익률은 투자한 자본에 대한 수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 문제에서는 8,000만 원을 투자하여 4년 동안 매년 2,000만 원의 수익을 얻는다고 했으므로, 총 수익은 8,000 + 2,000 x 4 = 16,000만 원이 된다.

    감가상각비는 정액법을 사용하여 계산하므로, 파쇄기의 가치는 8,000만 원에서 0원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감가상각비는 8,000만 원 / 4년 = 2,000만 원이 된다.

    이제 순이익을 계산해보면, 총 수익인 16,000만 원에서 감가상각비인 2,000만 원을 빼면 14,000만 원이 된다. 따라서 투자한 자본인 8,000만 원에 대한 순이익은 14,000만 원 - 8,000만 원 = 6,000만 원이 된다.

    투자이익률은 순이익을 투자한 자본으로 나눈 값이므로, 6,000만 원 / 8,000만 원 x 100% = 75%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70"이 되어야 하지만, 문제에서 감가상각비를 계산할 때 정액법을 사용하도록 명시했으므로, 실제로는 감가상각비가 과소평가되어 순이익이 과대평가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감가상각비를 가변비용으로 계산하는 가변비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정리기(regulation peri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개벌작업을 하는 산림에 적용되는 기간개념이며, 임상개량을 완료할 때까지 요하는 예상적 기간이다.
  2. 정리의 목적이 이루어질 때까지 임시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서 개량기라고도 한다.
  3. 정리기간 중 표준연벌면적은 으로 구한다.
  4. 노령임분이 많은 작업급에서는 윤벌기보다 짧은 기간으로 설정된다.
(정답률: 69%)
  • 정리기간 중 표준연벌면적은 으로 구한다. 이 설명은 옳다. 이는 정리기간 동안 산림을 얼마나 개벨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정리기간이 끝나기 전에 이 지표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림조사를 위한 위성영상자료 처리와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의 자전효과ㆍ탑재체의 자세변화ㆍ지구의 곡률에 의해 발생하는 위성영상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지상기준점(GCP)을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투영법이 되도록 픽셀을 재배치하는 과정은 지상보정에 해당한다.
  2. 중심투영에 의한 기복변위와 카메라의 자세에 의하여 발생한 변위를 보정하여 위성영상 내의 모든 픽셀이 수직방향으로 위에서 본 것과 같은 특성을 갖도록 변환하는 과정을 정사보정이라 한다.
  3. 위성영상의 감독분류는 사용자가 분류항목의 지역적 위치, 분광특성을 알 때 사용하며 트레이닝 데이터 추출이 중요하다.
  4. Kappa 분석은 영상분류 후의 분류정확도 평가 방법 중 하나이다.
(정답률: 71%)
  • "지구의 자전효과ㆍ탑재체의 자세변화ㆍ지구의 곡률에 의해 발생하는 위성영상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지상기준점(GCP)을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의 투영법이 되도록 픽셀을 재배치하는 과정은 지상보정에 해당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임목매매가의 시장가역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목, 목탄 등 제품의 시장가격에서 역산하여 간접적으로 임목매매가를 사정하는 방법이다.
  2. 임목평가액은 벌출비가 적을수록 커진다.
  3. 의 식으로 구한다.
  4. 이용률은 평가대상 임목의 총재적으로 이용재적을 나눈 값이다.
(정답률: 83%)
  • "의 식으로 구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 식은 임목평가액을 구하기 위한 공식으로, 임목평가액 = (시장가격 - 제품가격) / 이용률로 계산된다. 이용률은 평가대상 임목의 총재적으로 이용재적을 나눈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국유림경영계획을 위한 산림조사의 임황조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소밀도
  2. 영급
  3. 혼효율
  4. 지위
(정답률: 78%)
  • 정답: 지위

    설명: 국유림경영계획을 위한 산림조사에서는 소밀도, 영급, 혼효율 등의 항목이 중요하게 고려되지만, 지위는 산림조사와는 관련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임황조사 항목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선형계획모형의 전제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의사결정변수는 어떠한 경우에도 음(-)의 값을 나타내서는 안 된다.
  2. 의사결정변수는 정수는 물론 소수의 값도 가질 수 있다.
  3. 목적함수와 모든 제약조건들은 1차 함수로 표시되어야 한다.
  4. 모형을 구성하는 활동의 수와 생산방법은 제한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80%)
  • "모형을 구성하는 활동의 수와 생산방법은 제한이 없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모형의 제약조건 중 하나인 "자원의 제한"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선형계획모형에서는 자원의 제한을 고려하여 최적의 해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모형을 구성하는 활동의 수와 생산방법은 자원의 제한을 고려하여 제한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교토의정서에서 온실가스를 효과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협약국의 의무이행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교토메커니즘(Kyoto Mechanism)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동이행제도(JI:Joint implementation)
  2. 청정개발체제(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3. 배출권거래제도(ET:Emissions trading)
  4. 산림경영인증제(FMC:Forest management certification)
(정답률: 90%)
  • 산림경영인증제(FMC:Forest management certification)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교토메커니즘의 일부가 아니며, 산림 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보호를 위한 인증제도이다. 따라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유연성을 부여하는 교토메커니즘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우리나라 산림 및 임업통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2016년 임업통계연보를 기준으로 한다)

  1. 2015년 기준 우리나라 공유림 면적은 전체 산림면적 대비 1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 2015년 기준 임산물 생산액 규모가 가장 큰 품목은 토석으로서 약 2조 7천억 원이다.
  3. 2015년 기준 Ⅲ영급과 Ⅳ영급의 산림면적은 전체 산림면적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4. 2006년에서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전체 산림면적은 감소한 반면 총임목축적은 증가하였다.
(정답률: 77%)
  • "2015년 기준 우리나라 공유림 면적은 전체 산림면적 대비 1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2016년 임업통계연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5년 기준 우리나라 공유림 면적은 전체 산림면적 대비 13.9%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체 산림면적 대비 15%보다 적은 비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레슬러(Pressler) 생장률식을 유도하는데 사용된 생장량으로 옳은 것은?

  1. 정기평균생장량
  2. 총평균생장량
  3. 벌기생장량
  4. 총생장량
(정답률: 79%)
  • 프레슬러 생장률식에서는 정기평균생장량을 사용하여 생장률을 계산합니다. 이는 일정 기간 동안 나무가 성장한 평균 생장량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총 생장량이나 벌기 생장량 등을 나타내는데, 이들은 일정 기간 동안의 총 생장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장률을 계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기평균생장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법정림의 법정축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급분배와 생장상태가 법정일 때 보유할 작업급 전체의 축적을 의미한다.
  2. 법정축적은 일반적으로 벌채 전의 추계축적을 기준으로 한다.
  3. 주림목과 부림목에 걸쳐 고려되지만 일반적으로 주림목이 법정축적의 대상이다.
  4. 법정축적 계산은 일반적으로 수확표, 벌기수확 또는 벌기평균생장량을 이용한다.
(정답률: 95%)
  • "법정축적은 일반적으로 벌채 전의 추계축적을 기준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법정축적은 일반적으로 벌채 후의 추계축적을 기준으로 한다. 이는 벌채 후에 남은 나무들의 생장량을 계산하여 작업급 전체의 축적을 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조건을 갖는 소나무 임분 100ha의 표준연벌채량(m3)을 오스트리안(Austrian) 공식법으로 계산한 값은?

  1. 100
  2. 150
  3. 200
  4. 250
(정답률: 7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리나라 산림계획 작성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소유하고 있는 공유림별로 산림경영계획을 10년 단위로 수립하고, 그 계획에 따라 산림을 경영하여야 한다.
  2. 사유림 산림경영계획서는 5년 단위로 산림기술사만 작성할 수 있고,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인가해야만 한다.
  3. 산림기본계획은 우리나라 전체 산림에 대한 최상위 국가 단위계획으로 산림청장이 10년 단위로 수립하고 계획기간 동안 변경이 불가능하다.
  4. 공ㆍ사유림의 지역산림계획은 지역의 산림에 대한 최상위 계획으로 5년 단위로 특별시장ㆍ광역시장ㆍ특별자치시장ㆍ도지사ㆍ특별자치도지사가 수립한다.
(정답률: 62%)
  •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소유하고 있는 공유림별로 산림경영계획을 10년 단위로 수립하고, 그 계획에 따라 산림을 경영하여야 한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하고 있는 공유림에 대한 산림경영계획 작성 체계를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수간석해(stem analysi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간석해의 목적은 단목의 성장과정을 정밀하게 사정하여 이것으로 임분의 성장상태를 알고자 하는 데 있다.
  2.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흉고를 1.2m로 두며, 표준목의 벌채점을 지상 0.2m로 한다.
  3. 총재적은 근주재적과 결정간재적의 합산치에 초단부재적을 제외한 값으로 한다.
  4. 수간석해 임목의 1.2m 단면고에서 연륜수가 32개이고 임령이 37년이라면, 이 나무가 1.2m 단면고까지 생장하는데 소요된 연수는 5년이다.
(정답률: 89%)
  • "수간석해 임목의 1.2m 단면고에서 연륜수가 32개이고 임령이 37년이라면, 이 나무가 1.2m 단면고까지 생장하는데 소요된 연수는 5년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수간석해에서는 연륜수를 측정하여 임령과 생장량을 추정하지만, 생장에 소요된 연수를 정확히 산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총재적은 근주재적과 결정간재적의 합산치에 초단부재적을 제외한 값으로 한다는 이유는, 수간석해에서는 나무의 생장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근주부터 꼭대기까지의 재적을 측정한다. 하지만 초단부재적은 생장 초기에 형성되는 얇은 가지와 가지뼈 등으로, 생장량 추정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제외한다. 따라서 총재적은 근주재적과 결정간재적의 합산치에서 초단부재적을 제외한 값으로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국유림 경영계획도상 숲가꾸기의 기호 중 다음 기호가 의미하는 것은? (단, 색채는 연두색이다) 문제 오류로 그림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그림을 아시는 분 께서는 관리자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1. 풀베기
  2. 가지치기
  3. 천연림보육
  4. 무육솎아베기
(정답률: 79%)
  • 2번 기호는 "가지치기"를 의미한다. 가지치기는 나무의 가지를 자르는 것으로, 나무의 성장을 조절하고 건강한 나무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이다. 다른 보기들은 "풀베기"는 잡초를 제거하는 것, "천연림보육"은 자연적인 방식으로 숲을 관리하는 것, "무육솎아베기"는 무성한 나무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