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13)

9급 지방직 공무원 자료조직개론
(2020-06-13 기출문제)

목록

1. RDA에서는 자료의 물리적 측면을 매체유형과 수록매체유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매체유형으로 옳은 것으로만 묶은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정답률: 50%)
  • RDA에서 매체유형은 물리적 측면을 나타내며, 수록매체유형은 그 자료가 수록된 매체의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ㄱ, ㄷ"는 매체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 "ㄱ"은 인쇄체, "ㄷ"은 전자자료이기 때문이다. "ㄴ"은 손글씨나 판서 등을 포함하는 수기체이고, "ㄹ"은 음성이나 영상 등을 포함하는 다양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FRBR 제1집단에 해당하는 개체로만 묶은 것은?

  1.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
  2. 개인, 단체
  3. 저작, 개인, 대상
  4. 개념, 대상, 사건, 장소
(정답률: 60%)
  • FRBR 모델에서 제1집단은 작품 자체를 의미하며, 이 작품은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로 구성됩니다. 저작은 작품의 창작자가 만든 원작을 의미하고, 표현형은 이 원작을 언어나 형식 등으로 구체화한 것을 의미합니다. 구현형은 표현형을 실제로 출판하거나 제작한 것을 의미하며, 개별자료는 이러한 구현형 중에서도 개별적으로 식별 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네 가지 요소로만 묶은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ISBD(M)을 적용하여 표목과는 무관하게 기술(description)만으로 독립된 저록을 완성할 수 있는 목록규칙은?

  1. 파니찌 목록규칙
  2. AACR2
  3. KCR3
  4. RDA
(정답률: 52%)
  • ISBD(M)은 기술적인 정보를 표준화하여 표기하는 규칙이므로, 독립된 저록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더 상세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술(description)만으로 독립된 저록을 완성할 수 있는 목록규칙은 없다.

    정답이 "KCR3"인 이유는 KCR3은 AACR2와 RDA의 후속 버전으로, AACR2와 RDA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한 규칙이기 때문이다. KCR3은 기술(description)뿐만 아니라 제목(title)과 주제(subject) 등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목록을 작성하는 규칙이다. 따라서, KCR3은 ISBD(M)을 적용하여 독립된 저록을 완성할 수 있는 목록규칙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에 해당하는 Dublin Core의 기본요소는?

  1. Coverage
  2. Publisher
  3. Contributor
  4. Identifier
(정답률: 55%)
  • 이미지의 출판자 정보를 나타내는 요소는 "Publisher"이다. 이 요소는 해당 자원을 발행한 단체나 개인의 이름을 나타내며, 출판사, 제작자, 저작권자 등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KCR 제4판과 KORMARC 형식(통합서지용, 2014 개정판)을 적용하여 서지레코드를 작성한 사례이다. ㉠, ㉡에 들어갈 표시기호는? (단, 지시기호와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음) (순서대로 ㉠, ㉡)

  1. 270, 600
  2. 270, 650
  3. 300, 600
  4. 300, 650
(정답률: 57%)
  • ㉠: [KGM]
    ㉡: [서울]:[한길사]

    ㉠은 KGM(Korean Graphic Medicine)을 나타내는 지시기호이고, ㉡은 출판지와 출판사를 나타내는 지시기호이다.

    정답이 "300, 600"인 이유는 KORMARC 형식에서 서지기술의 첫 번째 숫자는 총 페이지 수를, 두 번째 숫자는 색인 페이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책의 총 페이지 수는 300쪽이고, 색인 페이지는 600쪽이라는 뜻이다. 다른 보기들은 총 페이지 수는 같지만 색인 페이지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KCR 제4판을 적용하여 KORMARC(통합서지용, 2014 개정판) 형식으로 자료를 기술할 때,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단, 지시기호,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음)

  1. ㄱ, ㄹ
  2. ㄴ, ㄷ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60%)
  • - ㄱ: 저자가 3명 이상인 경우, 첫 번째 저자만 기술하면서 나머지는 et al.로 대신함.
    - ㄴ: 출판사명이 3단어 이상인 경우, 첫 번째 단어만 기술하면서 나머지는 ...[등]으로 대신함.
    - ㄷ: 시리즈명이 있는 경우, 시리즈명 다음에 시리즈 번호를 괄호 안에 기술함.
    - ㄹ: 출판년도가 없는 경우, [n.d.]로 대신함.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목록규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커터(Charles A. Cutter)는 사전체목록규칙을 통하여 목록의 기능을 제시하였다.
  2. AA Code는 국제목록규칙으로 영국과 미국의 협동목록규칙이다.
  3. ISBD 통합판은 국제목록원칙규범을 토대로 접근점과 기술부를 규정하고 있다.
  4. RDA 본문에는 구분기호 등 요소 표시에 관한 규칙이나 배열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다.
(정답률: 42%)
  • 정답은 "RDA 본문에는 구분기호 등 요소 표시에 관한 규칙이나 배열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다."이다.

    ISBD 통합판은 국제목록원칙규범을 토대로 접근점과 기술부를 규정하고 있으며, 커터는 사전체목록규칙을 통해 목록의 기능을 제시하였고, AA Code는 국제목록규칙으로 영국과 미국의 협동목록규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MARC21(서지데이터용)의 245 필드를 적용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지시기호와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음)

  1. 245 $aHamlet ;$aRomeo and Juliette
  2. 245 $aFocus on grammar :$bbasic level
  3. 245 $aThe plays of Oscar Wilde /$cAlan Bird
  4. 245 $aAnimalsk production =$banimal production
(정답률: 57%)
  • 정답: "245 $aHamlet ;$aRomeo and Juliette"

    이유: MARC21의 245 필드는 제목 정보를 담는 필드로, $a는 주제목, $b는 부제목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 중복된 주제목은 올바르지 않은 형식이다. MARC21에서는 주제목과 부제목을 구분하여 나타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MODS의 <abstract> 요소와 연관되는 DC의 요소명은?

  1. Coverage
  2. Description
  3. Source
  4. Subject
(정답률: 60%)
  • MODS의 <abstract> 요소는 자원의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요소이다. 이와 연관된 DC의 요소명은 자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담고 있는 <Description>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KCR 제4판과 KORMARC 형식(통합서지용, 2014 개정판)을 적용하여 다음의 연속간행물에 대한 서지레코드를 작성할 때, 옳은 것은?

  1. 본표제가 변경되었으므로 별도의 서지레코드를 작성한다.
  2. 기술의 정보원은 『도서관학』의 첫 호(창간호)를 기준으로 한다.
  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간행빈도는 ‘반연간’에서 ‘계간’으로 변경되었으나, 동일 본표제이므로 310(간행빈도) 필드를 반복하여 기술한다.
  4. 「한국문헌정보학회지」는 「도서관학」의 후속 자료이므로 「도서관학」에 관한 정보를 785(후속저록) 필드에 기술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본표제가 변경되었으므로 별도의 서지레코드를 작성한다."이다. 이유는 연속간행물의 본표제가 변경되었을 경우, 이전과 이후의 본표제가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서지레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이전의 서지레코드에는 이전의 본표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본표제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서지레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열거식 저자기호법에 해당하는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정답률: 35%)
  • 이미지에서 보이는 저자기호가 "ㄱ"과 "ㄴ"에 해당하는 것들만을 고르면 되기 때문에 정답은 "ㄱ, ㄴ"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ㄷ"이나 "ㄹ"에 해당하는 저자기호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콜론분류법(CC)에서 각 패싯을 나타내는 5개의 기본범주(fundamental categories)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Personality
  2. Form
  3. Space
  4. Time
(정답률: 58%)
  • 콜론분류법(CC)에서 "Form"은 각 패싯을 나타내는 5개의 기본범주(fundamental categories)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Form"은 콜론분류법(CC)에서는 다른 범주들과 중복되는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Space" 범주는 물체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다루는 반면, "Form" 범주는 물체의 모양과 관련된 정보를 다룹니다. 그러나 "Space" 범주에서도 물체의 모양과 크기를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Form" 범주는 중복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Form"은 콜론분류법(CC)에서 기본범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분류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개분류법(EC)은 총 다섯 가지 분류표를 만들어 장서 규모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분류법이다.
  2. 서지분류법(BC)은 영국의 도서관을 위한 분류법으로 동일 주제는 동일 장소에 집결시키는 원칙을 가지고 있다.
  3. 미의회분류법(LCC)은 비십진분류법으로 주류의 배열은 전개분류법 체계를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4. 주제분류법(SC)은 십진분류법으로 주류의 배열은 총류, 철학, 역사, 사회과학 순으로 구성하였다.
(정답률: 62%)
  • 미의회분류법(LCC)은 비십진분류법으로, 주류의 배열은 전개분류법 체계를 참고하여 구성된다. 이는 즉, 주제별로 세분화된 분류 체계를 사용하여 도서를 분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역사 주제의 도서라면 역사의 세부 분야에 따라서 분류가 되며, 철학 주제의 도서라면 철학의 세부 분야에 따라서 분류가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류를 하면 도서를 더욱 세부적으로 분류할 수 있어서 검색이나 정리가 용이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DDC 제23판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한 「한국어 속담(Korean proverbs)」의 분류기호는?

  1. 398.9057
  2. 398.90957
  3. 398.957
  4. 398.9957
(정답률: 58%)
  • DDC 제23판에서 "398.9 Folk literature of Korea"는 한국의 민속문학을 다루는 범주이다. 그 중에서도 "398.95 Proverbs"는 속담을 다루는 범주이다. 따라서 "한국어 속담(Korean proverbs)"은 "398.95 Proverbs" 범주에 속하게 된다. 그러나 DDC 제23판에서는 "398.9957 Korean proverbs"라는 세부 범주도 존재한다. 이는 한국어 속담을 더욱 구체적으로 다루는 범주이므로, "한국어 속담(Korean proverbs)"은 "398.9957 Korean proverbs" 범주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398.995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KDC 제6판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한 (가) 「해산물검사」와 (나) 「중국의 전염병」의 분류기호는? (순서대로 (가), (나))

  1. 517.58029, 517.6212
  2. 517.58129, 517.622
  3. 517.5829, 517.6212
  4. 517.58229, 517.622
(정답률: 71%)
  • 주어진 표에서 (가) 해산물검사는 "해산물"과 관련된 분야이므로 "500-599" 범주에 속한다. 또한, "검사"와 관련된 분야이므로 "610-619" 범주에도 속한다. 따라서, (가)의 분류기호는 "517.5829"이 된다.

    (나) 중국의 전염병은 "전염병"과 관련된 분야이므로 "600-699" 범주에 속한다. 또한, "중국"과 관련된 분야이므로 "951-959" 범주에도 속한다. 따라서, (나)의 분류기호는 "517.6212"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17.5829, 517.6212"이다.

    보기에서 "517.58029"와 "517.58129"는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므로 올바른 분류기호가 아니다. "517.58229"는 "517.5829"와 같은 값이므로 (가)의 분류기호가 될 수 있지만, (나)의 분류기호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KDC 제6판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한 「지방 간호직 시험문제집」의 분류 기호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359.0357005128 512.87
  2. 359.035705128 512.877
  3. 359.0357128 512.807
  4. 359.03575128 512.8077
(정답률: 66%)
  • 주어진 일부 내용에서 "간호관리"는 "35.9"로 분류되고, "간호직"은 "512.8"로 분류된다. 따라서 옳은 분류 기호는 "359.03575128 512.8077"이다. 이유는 "간호관리"와 "간호직"의 분류 기호를 결합하여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359.03575128"은 "간호관리"의 분류 기호이고, "512.8077"은 "간호직"의 분류 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UD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ㄴ, ㄷ, ㄹ
(정답률: 46%)
  • - UDC는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의 약자이다.
    - 문서나 자료를 분류하기 위한 체계로, 숫자와 기호를 이용하여 분류한다.
    - 분류 체계가 굉장히 상세하고 체계적이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UDC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어서 다른 나라에서도 사용된다.
    - 따라서, "ㄱ"은 UDC가 문서나 자료를 분류하기 위한 체계라는 점에서 옳은 설명이다.
    - "ㄴ"은 UDC가 상세하고 체계적인 분류 체계라는 점에서 옳은 설명이다.
    - "ㄷ"는 UDC가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어서 다른 나라에서도 사용된다는 점에서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KDC 제6판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한 분류기호로 옳지 않은 것은?

  1. 18세기의 낭만주의문학-809.05
  2. 한국문학사-810.9
  3. 소설사-809.1
  4. 중국소설사-823.09
(정답률: 62%)
  • 일부를 발췌한 KDC 제6판에서는 "소설사"를 809.1로 분류하고 있다. 따라서 "소설사-809.1"이 옳지 않은 분류기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해당 분야의 주요 주제를 나타내는 분류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KDC 제6판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한 「제주도 방언」의 분류기호는?

  1. 710.81199
  2. 718.1199
  3. 718.199
  4. 718.99
(정답률: 40%)
  • 문제에서 언급된 KDC 제6판은 도서관 도서 분류 체계인데, 이 체계에서 "언어학" 분야의 분류기호는 7이고, "한국어"는 71로 시작한다. 그리고 "방언"은 718로 분류된다. 따라서 정답은 "718.99"이다. 다른 보기들은 "방언" 분류 이후의 세부 분류를 나타내는데, "718.99"는 가장 상위 분류인 "방언"에 해당하는 분류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DDC 제23판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 ㉡에 들어갈 Tables(보조표)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 ㉡)

  1. Table 2, Table 5
  2. Table 2, Table 4
  3. Table 5, Table 4
  4. Table 5, Table 2
(정답률: 50%)
  • ㉠: Table 2 - Areas, Table 5 - Languages
    ㉡: Table 4 - Subdivisions of Individual Languages, Table 5 - Languages
    정답: Table 2, Table 5
    이유: DDC 제23판에서는 지역, 언어, 개별 언어의 하위 분류 등을 다루는데, Table 2는 지역을, Table 5는 언어를 다룬다. 따라서, 이 두 보조표를 이용하여 해당 분류를 찾을 수 있다. Table 4는 개별 언어의 하위 분류를 다루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