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9-13)

리눅스마스터 1급
(2014-09-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운영체제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ulti-user : 단일 시스템에서 여러 사용자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형태
  2. Multi-tasking :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스템
  3. Single-tasking : 컴퓨터가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하는 형태
  4. 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 되나 백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하는 형태
(정답률: 77%)
  • Multi-switching은 백그라운드 프로그램만 동작하는 형태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Multi-switching은 여러 개의 작업이 동시에 실행되지만, 각 작업은 짧은 시간 동안 실행되고 다른 작업으로 전환됩니다. 이는 시분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만 실행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리눅스 운영체제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1. 오직 인텔계열의 프로세서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
  2. TCP/IP 뿐만 아니라 IPX/SPX, Appletalk, SLIP, PPP, Bluetooth 등의 여러 가지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3. 유닉스의 소스코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개발 되었기 때문에, POSIX 표준과는 호환되지 않는다.
  4. 콘솔은 물리적인 모니터를 가진 1개의 화면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더 이상의 콘솔화면은 지원되지 않는다.
(정답률: 74%)
  • 리눅스 운영체제는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기 때문에 TCP/IP 뿐만 아니라 IPX/SPX, Appletalk, SLIP, PPP, Bluetooth 등의 여러 가지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리눅스 배포판으로 틀린 것은?

  1. Redhat
  2. Caldera
  3. GNOME
  4. Mandrake
(정답률: 74%)
  • GNOME은 리눅스 배포판이 아니라, 리눅스 데스크톱 환경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GNOM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GNU/FSF(자유소프트웨어재단)에서 규정한 자유소프트웨어의 조건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Microsoft Office
  2. Apache HTTPD Server
  3. Emacs
  4. GIMP
(정답률: 79%)
  • 정답은 "Microsoft Office"입니다. GNU/FSF에서 규정한 자유소프트웨어의 조건은 소스코드의 공개, 수정 및 배포의 자유, 파생작품의 자유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Microsoft Office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지 않으며, 수정 및 배포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GNU/FSF에서 규정한 자유소프트웨어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운영체제의 기능 중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작업을 처리함을 의미하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다중교환(Multi-switching)
  2. 다중처리(Multi-Processing)
  3. 다중작업(Multi-tasking)
  4. 병렬계산(Parallel-Processing)
(정답률: 68%)
  • 정답: 다중작업(Multi-tasking)

    설명: 다중작업은 한 사용자가 동시에 여러 개의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에서 문서를 작성하면서 동시에 인터넷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들은 운영체제가 자원을 적절히 할당하여 동시에 처리됩니다. 다중작업은 사용자의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이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명령어는 현재 파일시스템 사용량을 현재 날짜와 시간의 이름으로 저장하는 내용이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현재시간은 2014년 12월 31일 12시 정각이다)

  1. "date +$YY$m$d$H$M"
  2. `date +$YY$m$d$H$M`
  3. "date +%Y%m%d%H%M"
  4. `date +%Y%m%d%H%M`
(정답률: 55%)
  • 빈칸에 들어갈 내용: `df -h > /home/user/$(date +%Y%m%d%H%M).log`

    정답 이유:
    - `df -h`: 현재 파일시스템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
    - `>`: 리다이렉션 연산자로, 왼쪽 명령어의 결과를 오른쪽 파일에 저장하는 역할을 함
    - `/home/user/`: 저장할 파일의 경로
    - `$(date +%Y%m%d%H%M)`: 현재 날짜와 시간을 나타내는 명령어. `%Y`는 연도, `%m`은 월, `%d`는 일, `%H`는 시간, `%M`은 분을 나타냄. 따라서 `date +%Y%m%d%H%M`은 "2014년 12월 31일 12시 정각"을 나타내는 "201412311200"과 같은 형식의 문자열을 반환함. 이 문자열이 파일 이름에 사용됨.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레벨 중 내결함성(Fault-Tolerant)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면서 가장 높은 용량을 제공하는 형태로 알맞은 것은?

  1. RAID 0
  2. RAID 1
  3. RAID 0+1
  4. RAID 1+0
(정답률: 66%)
  • 정답: RAID 0

    RAID 0은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쓸 수 있어 성능이 우수하지만,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나면 모든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에 내결함성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RAID 0는 내결함성을 보장하지 않으면서 가장 높은 용량을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리눅스의 부팅과정에서 가장 나중에 실행 되는 스크립트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rc.d/rc.local
  2. /etc/rc.d/rc1.d 디렉토리 안의 S로 시작하는 스크립트 파일
  3. /etc/rc.d/rc6.d 디렉토리 안의 S로 시작하는 스크립트 파일
  4. /etc/rc.d/rc.sysinit
(정답률: 69%)
  • 정답: "/etc/rc.d/rc.local"

    이유: "/etc/rc.d/rc.local"은 부팅과정에서 가장 나중에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로, 시스템 부팅 후에 사용자가 추가로 실행하고 싶은 명령어나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실행할 수 있는 파일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부팅 후에 필요한 추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 파일을 이용합니다. "/etc/rc.d/rc1.d 디렉토리 안의 S로 시작하는 스크립트 파일"과 "/etc/rc.d/rc6.d 디렉토리 안의 S로 시작하는 스크립트 파일"은 각각 시스템의 단일 사용자 모드와 재부팅 모드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입니다. "/etc/rc.d/rc.sysinit"은 시스템 부팅 초기에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로, 시스템 초기화 및 하드웨어 설정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리눅스 파일시스템에서 ext4를 설명하는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기존 ext2 파일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저널링(Journaling) 기술이 포함되어있다.
  2. 기존 ext3 파일시스템을 ext4 파일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 할 수 있다.
  3. ext4 파일시스템의 최대크기는 16TiB(테비바이트) 이며, 최대파일크기는 2TiB를 지원한다.
  4. ext4 파일시스템의 서브디렉토리 생성가능 개수는 ext3의 3200개에서 늘어난 65536개까지 생성이 가능하다.
(정답률: 53%)
  • ext4 파일시스템의 서브디렉토리 생성가능 개수는 ext3의 3200개에서 늘어난 65536개까지 생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ext4 파일시스템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ext4 파일시스템은 기존 ext2, ext3 파일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고, 저널링 기술을 포함하며, 최대크기는 16TiB이며, 최대파일크기는 2TiB를 지원합니다. 또한 기존 ext3 파일시스템을 ext4 파일시스템으로 마이그레이션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여 싱글 유저모드로 부팅하고자 할 때 grub 부트로더에서 작업해야할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률: 60%)
  • 정답은 "ⓒ - ⓑ - ⓐ - ⓓ"입니다.

    1. 우선적으로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grub 부트로더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
    2. grub 부트로더에서 e 키를 눌러 부트 설정을 변경합니다. (ⓑ)
    3. 변경된 설정 중 kernel 라인에서 마지막에 위치한 "ro"를 "rw"로 변경합니다. (ⓐ)
    4. 변경된 설정을 저장하고 부팅을 진행합니다. (ⓓ)

    이 순서대로 작업해야 싱글 유저모드로 부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리눅스 환경에서 httpd 프로세스의 리스트를 검색한 결과 다음과 같이 11671 프로세스를 부모로 가지는 자식 프로세스가 다수 검출되었다. 이를 설명하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process clone
  2. zombie process
  3. process fork
  4. multi process
(정답률: 65%)
  • 11671 프로세스를 부모로 가지는 자식 프로세스는 "process fork"이다. 이는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의 복사본이 된다. 따라서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며, 각각의 프로세스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리눅스 시스템에서 GRUB이 손상되어 부팅이 되지 않아 CD-ROM으로 부팅하여 복구모드를 수행하였다. 다음 중 GRUB을 복구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단, 하드디스크는 Serial-Attached-SCSI 방식 이며 1개의 디스크만 설치되어 있다.)

  1. grub-install /dev/hda
  2. grub-install /dev/sda
  3. grub-recover /dev/hda
  4. grub-recover /dev/sda
(정답률: 48%)
  • 정답은 "grub-install /dev/sda"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grub-install" 명령어는 GRUB 부트로더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 "/dev/sda"는 첫 번째 Serial-Attached-SCSI 디스크를 나타내는 장치 파일입니다.
    - 따라서 "grub-install /dev/sda" 명령어는 첫 번째 Serial-Attached-SCSI 디스크에 GRUB 부트로더를 설치하라는 의미입니다.
    - 이렇게 설치된 GRUB 부트로더는 시스템이 부팅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어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리눅스시스템이 현재 CLI(Command-Line-Interface) 만을 지원하고 있다. 다음 부팅시 자동으로 그래픽 환경을 사용하고자할 때 편집하여야 할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initmode
  2. /etc/initgui
  3. /etc/initboot
  4. /etc/inittab
(정답률: 69%)
  • 정답은 "/etc/inittab"입니다. 이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의 초기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파일로, 부팅시 시스템이 어떤 모드로 시작될지를 결정합니다. 이 파일을 수정하여 그래픽 환경을 자동으로 시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존재하지 않는 파일이거나, 부팅과는 관련이 없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명령어의 결과 Run Level이 다른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init 6
  2. halt
  3. reboot
  4. shutdown -r
(정답률: 71%)
  • 정답: "halt"

    이유: "halt" 명령어는 시스템을 종료하고 전원을 끄는 명령어이므로 Run Level이 다른 명령어들과는 다르다. "init 6"은 시스템을 재부팅하고 Run Level 6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어이며, "reboot"는 시스템을 재부팅하는 명령어이다. "shutdown -r"은 시스템을 종료하고 재부팅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디렉토리 중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며 여러 물리장치들의 상태정보와 커널파라미터 등을 표시하는 파일들이 위치한 곳으로 알맞은 것은?

  1. /proc
  2. /dev
  3. /var
  4. /etc
(정답률: 56%)
  • "/proc" 디렉토리는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시스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들이 위치한 곳입니다. 이 디렉토리는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며, 커널이 런타임 중에 생성하고 유지합니다. 따라서 "/proc" 디렉토리는 여러 물리장치들의 상태정보와 커널파라미터 등을 표시하는 파일들이 위치한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TCP/IP 모델에서 Client와 Server간의 회선 흐름도 이다.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a-b-c-d 순)

  1. FIN-WAIT-2 - ACK - FIN - CLOSED
  2. FIN-WAIT-2 - FIN - ACK - CLOSED
  3. FIN-CLOSED - ACK - FIN - UNESTABLISHED
  4. FIN-CLOSED - FIN - ACK - UNESTABLISHED
(정답률: 56%)
  • Client가 먼저 연결을 종료하고자 FIN 패킷을 보내면 Server는 ACK 패킷을 보내고 FIN-WAIT-2 상태가 된다. 이후 Server도 연결을 종료하고자 FIN 패킷을 보내면 Client는 ACK 패킷을 보내고 CLOSED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FIN-WAIT-2 - FIN - ACK - CLOSE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리눅스 환경에서 httpd 프로세스가 LISTENING 중인 TCP 포트번호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명령어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netstat -ano | grep httpd
  2. netstat -ant | grep httpd
  3. netstat -anl | grep httpd
  4. netstat -anp | grep httpd
(정답률: 41%)
  • 정답은 "netstat -anp | grep httpd"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netstat: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 -anp: 모든 TCP 및 UDP 포트와 프로세스 정보를 보여주는 옵션입니다.
    - |: 파이프라인 기호로, 앞의 명령어의 결과를 뒤의 명령어로 전달합니다.
    - grep httpd: httpd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결과만 보여줍니다.

    따라서, "netstat -anp | grep httpd" 명령어를 실행하면 httpd 프로세스가 LISTENING 중인 TCP 포트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설명이 가리키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IP Address
  2. MAC Address
  3. Port Number
  4. TCP/UDP Application Number
(정답률: 69%)
  • 이 그림은 TCP/I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포트 번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Port Number"입니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주소이고, MAC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주소입니다. TCP/UDP 애플리케이션 번호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IP 주소에 대한 별칭을 설정하는 파일과 도메인 질의를 위해 DNS 서버를 등록하는 파일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etc/hosts, /etc/resolv.conf
  2. /etc/hosts, /etc/host.conf
  3. /etc/resolv.conf, /etc/host.conf
  4. /etc/host.conf, /etc/services
(정답률: 66%)
  • 정답은 "/etc/hosts, /etc/resolv.conf"입니다.

    - /etc/hosts 파일은 IP 주소에 대한 별칭을 설정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로컬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IP 주소와 호스트 이름을 매핑하여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127.0.0.1 localhost"는 로컬 시스템의 IP 주소를 localhost라는 호스트 이름으로 매핑합니다.

    - /etc/resolv.conf 파일은 DNS 서버를 등록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DNS 질의를 수행할 때 사용되며, DNS 서버의 IP 주소를 등록하여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nameserver 8.8.8.8"은 Google의 DNS 서버를 등록합니다.

    따라서, IP 주소에 대한 별칭을 설정하는 /etc/hosts 파일과 DNS 서버를 등록하는 /etc/resolv.conf 파일을 조합하여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ifconfig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ifconfig 명령으로 설정한 정보는 자동으로 파일에 저장되어 재부팅 시에도 적용된다.
  2. IP주소, Default Gateway 주소, DNS서버 주소의 설정을 모두 할 수 있다.
  3. -a 옵션을 사용하면 설치는 되어있으나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정보도 볼 수 있다.
  4. MAC Address의 정보는 보여주지 않는다.
(정답률: 57%)
  • ifconfig 명령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정보를 확인하고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a 옵션을 사용하면 현재 설정되어 있지 않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정보도 볼 수 있다. 이는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 중 root 사용자의 UID값으로 알맞은 것은?

  1. 0
  2. 1
  3. 500
  4. 1000
(정답률: 71%)
  • root 사용자는 시스템에서 가장 높은 권한을 가진 사용자이며, 따라서 UID값도 가장 작아야 한다. 따라서 root 사용자의 UID값은 "0"이다. 이는 시스템에서 가장 먼저 할당되는 UID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etc/passwd에서 UID를 나타내는 필드로 알맞은 것은?

  1. 첫 번째 필드
  2. 두 번째 필드
  3. 세 번째 필드
  4. 네 번째 필드
(정답률: 65%)
  • UID는 사용자 식별자를 나타내는데, 이는 /etc/passwd 파일의 세 번째 필드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필드는 사용자 이름, 두 번째 필드는 사용자 비밀번호, 세 번째 필드는 UID, 네 번째 필드는 그룹 식별자(GID)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UID를 나타내는 필드는 세 번째 필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과 같이 useradd 명령을 특별한 옵션없이 실행했을 경우에 참고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passwd
  2. /etc/skel
  3. /etc/default/useradd
  4. /etc/fstab
(정답률: 52%)
  • useradd 명령을 특별한 옵션 없이 실행하면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때 기본값으로 설정되는 정보들을 참고하기 위해 /etc/default/useradd 파일을 참고합니다. 이 파일에는 새로운 사용자 계정 생성 시 기본값으로 설정되는 UID, GID, 홈 디렉토리 경로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파일을 참고하여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때 기본값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이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한 후 사용하기 까지의 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나) - (가) - (라) - (다)
  2. (라) - (다) - (나) - (가)
  3. (다) - (나) - (가) - (라)
  4. (가) - (나) - (다) - (라)
(정답률: 71%)
  • (가) - (나) - (다) - (라) 순서가 가장 알맞다.

    (가)에서는 새로운 디스크를 서버에 물리적으로 연결하고, (나)에서는 디스크를 인식하고 파티션을 생성한다. 그 후 (다)에서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고 마운트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라)에서는 새로운 디스크가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지 확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사용자 관련 명령어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passwd : 사용자 전환할 때 사용한다.
  2. chage : 암호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
  3. userdel : 사용자를 삭제할 때 사용한다.
  4. su : 파일의 퍼미션을 변경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72%)
  • userdel 명령어는 사용자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해당 사용자의 계정과 홈 디렉토리, 그리고 그와 관련된 파일들이 모두 삭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사용자가 회사 내 부서 이동으로 인해 소속 그룹(Primary Group)의 변경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chgrp
  2. usermod
  3. groupmod
  4. chage
(정답률: 54%)
  • 정답: usermod

    사용자의 소속 그룹(Primary Group)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usermo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chgrp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groupmod는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chage는 사용자의 계정 유효기간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소속 그룹을 변경하려면 usermod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명령의 결과가 아래와 같다. 다음 중 관련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yuloje가 /project 디렉토리에 파일을 생성하면 그룹소유권은 admin이다.
  2. posein이 /project 디렉토리에 파일을 생성하면 그룹소유권은 posein이다.
  3. /project 디렉토리는 admin 그룹에 속한 사용자 이외에는 접근이 불가하다.
  4. yuloje는 posein이 만든 파일을 삭제할 수 없다.
(정답률: 40%)
  • "/project 디렉토리는 admin 그룹에 속한 사용자 이외에는 접근이 불가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해당 명령어에서는 /project 디렉토리에 대한 접근 권한이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dmin 그룹에 속한 사용자 이외에도 접근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스왑(Swap) 파일 생성 절차로 알맞은 것은?

  1. mkfs -> mkswap -> swapon
  2. mkfs -> swapon -> mkswap
  3. dd -> mkswap -> swapon
  4. dd -> swapon -> mkswap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etc/fstab 파일의 첫 번째 필드에 설정 가능한 값으로 틀린 것은?

  1. 장치파일명
  2. UUID
  3. 마운트포인트
  4. 라벨명
(정답률: 60%)
  • 정답은 "마운트포인트"입니다. /etc/fstab 파일의 첫 번째 필드에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디바이스의 경로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 경로는 "장치파일명", "UUID", "라벨명"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마운트포인트"는 두 번째 필드에 설정하는 값으로,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될 디렉토리 경로를 설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조건에 맞게 수행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조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chown, chgrp
  2. lsattr, chattr
  3. chgrp, chmod
  4. getfacl, setfacl
(정답률: 42%)
  • 이 그림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ACL(Access Control List)을 설정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ACL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더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를 위해 getfacl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ACL을 확인하고, setfacl 명령어를 사용하여 ACL을 설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getfacl, setfac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은 프로세스 전환 절차이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Ctrl]+[c] (ㄴ): fg
  2. (ㄱ): [Ctrl]+[z] (ㄴ): fg
  3. (ㄱ): [Ctrl]+[c] (ㄴ): bg
  4. (ㄱ): [Ctrl]+[z] (ㄴ): bg
(정답률: 56%)
  • (ㄱ): [Ctrl]+[z] (ㄴ): bg
    - [Ctrl]+[z]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일시 중지시키는 시그널이다.
    - 일시 중지된 프로세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bg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시 실행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nice 명령을 이용하여 우선 순위를 변경하려고 한다. 다음 중 설정 가능한 NI값의 범위로 알맞은 것은?

  1. 20 ∼ -19
  2. -20 ∼ 19
  3. -19 ∼ 20
  4. 19 ∼ - 20
(정답률: 61%)
  • nice 명령을 이용하여 우선 순위를 변경할 때 설정 가능한 NI값의 범위는 -20부터 19까지이다. 이는 우선 순위가 높을수록 작은 값을 가지며, -20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나타내고 19는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나타낸다. 따라서 NI값이 -20에서 19까지의 범위에 있어야만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명령을 실행중인 터미널이 중단되더라도 계속적으로 해당 프로세스가 실행되도록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bg
  2. jobs
  3. nohup
  4. fg
(정답률: 64%)
  • 정답은 "nohup"입니다.

    "nohup"은 "no hang up"의 약자로, 명령어 뒤에 실행할 프로세스를 지정하여 해당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터미널이 종료되어도 계속해서 실행되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백그라운드에서 프로세스를 실행하거나, 원격 서버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23417
  2. 23417 23419 23420 23421
  3. 23864
  4. httpd
(정답률: 67%)
  • 주어진 그림은 웹 서버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httpd"는 웹 서버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http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rpm 명령어를 이용하여 ftp 서버의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단,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1. rpm -ftp ftp://192.168.10.1/pub/vsftpd-2.0.5-28.el5.i386.rpm
  2. rpm -a ftp://192.168.10.1/pub/vsftpd-2.0.5-28.el5.i386.rpm
  3. rpm -f ftp://192.168.10.1/pub/vsftpd-2.0.5-28.el5.i386.rpm
  4. rpm -i ftp://192.168.10.1/pub/vsftpd-2.0.5-28.el5.i386.rpm
(정답률: 64%)
  • 정답은 "rpm -i ftp://192.168.10.1/pub/vsftpd-2.0.5-28.el5.i386.rpm" 입니다.

    이유는 rpm 명령어에서 -i 옵션은 패키지를 설치하는 옵션입니다. ftp://192.168.10.1/pub/ 경로에 있는 vsftpd-2.0.5-28.el5.i386.rpm 파일을 설치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여 ftp 서버에서 해당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은 시스템에 설치된 rpm 패키지 중에 mail 이라는 문자열이 들어있는 패키지만 검색하려고 한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ql
  2. -qi
  3. -qa
  4. -qe
(정답률: 56%)
  • "-qa"는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검색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mail 이라는 문자열이 들어있는 패키지만 검색하려면 "-qa" 옵션을 사용하여 모든 패키지를 검색한 후, grep 명령어를 사용하여 mail 이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패키지만 필터링해야 한다.

    "-ql"은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옵션, "-qi"는 패키지 정보를 출력하는 옵션, "-qe"는 패키지를 제거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qc
  2. -qv
  3. -q
  4. -V
(정답률: 48%)
  • "-V"는 verbose 모드로, 더 자세한 출력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각 파일의 크기와 함께 파일명을 출력해주는 것을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yum을 사용하여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 목록만을 확인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yum list install
  2. yum list installed
  3. yum list available
  4. yum available list
(정답률: 59%)
  • 정답: yum list installed

    설명: yum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패키지를 설치, 업데이트, 삭제하는 패키지 관리자이다. yum list installed 명령은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명령을 사용하면 현재 시스템에 어떤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qcc
  2. automake
  3. cmake
  4. pacemaker
(정답률: 63%)
  • 이 그림은 C++ 프로그램을 빌드하기 위한 빌드 시스템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cmake을 사용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cmak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은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Zxvf
  2. zxvf
  3. jxvf
  4. Jxvf
(정답률: 53%)
  • 이미지에서 보이는 문자열은 모두 소문자와 대문자로 이루어져 있고, "Jxvf"만 첫 글자가 대문자이므로 대문자로 시작하는 문자열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리눅스시스템에서 LVM(Logical Volume Manager)로 구성된 /home 디렉토리의 용량이 부족하여 추가로 디스크를 구성하여 용량을 늘리고자 한다. 이 작업에 해당되는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률: 48%)
  • ⓐ - 새로운 디스크를 시스템에 추가한다.
    ⓑ - 새로운 디스크를 파티션으로 나눈다.
    ⓒ - LVM으로 파티션을 묶어서 논리 볼륨을 생성한다.
    ⓓ - 생성한 논리 볼륨을 /home 디렉토리에 마운트한다.

    위 순서대로 진행해야 새로운 디스크를 시스템에 추가하고, 파티션을 나누어 LVM으로 묶어서 논리 볼륨을 생성하고, 마지막으로 /home 디렉토리에 마운트할 수 있기 때문에 "ⓐ - ⓓ - ⓒ -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커널 컴파일을 위한 다음 과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 : make xconfig 명령어로 대체하면 X-window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다.
  2. ⓒ : 커널이미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커널 이미지는 이후 e 과정에서 압축처리된다.
  3. ⓑ ~ ⓔ 까지의 과정을 make all 명령어로 한꺼번에 수행할 수도 있다.
  4. ⓖ : 커널파일을 /boot 디렉토리로 복사한다.
(정답률: 37%)
  • 정답은 "ⓒ : 커널이미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커널 이미지는 이후 e 과정에서 압축처리된다." 이다.

    커널 컴파일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1. make menuconfig (또는 make xconfig, make gconfig) 명령어를 통해 커널 설정을 변경한다.
    2. make 명령어를 통해 커널을 컴파일한다.
    3. 생성된 커널 이미지를 압축한다.
    4. 압축된 커널 이미지를 /boot 디렉토리로 복사한다.

    따라서 "ⓒ : 커널이미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커널 이미지는 이후 e 과정에서 압축처리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2개로 이중화 구성을 하기 위하여 bond0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였다. 이후 /etc/modprobe.conf 파일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하였다. bond0 인터페이스를 실제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단, 명령어를 실행하는 작업 디렉토리에는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

  1. insmod bond0
  2. insmod bonding
  3. modprobe -r bonding
  4. modprobe .l bonding
(정답률: 38%)
  • 앞서 /etc/modprobe.conf 파일에 bonding 모듈을 로드하도록 설정하였기 때문에, bond0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bonding 모듈을 로드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modprobe bonding"이다.

    보기에서 "modprobe -r bonding"은 bonding 모듈을 언로드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선택하는 이유는 bonding 모듈을 다시 로드할 때 이전 설정이 초기화되기 때문에, bonding 모듈을 재설정하기 위해 이전 설정을 초기화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하드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리눅스는 최신버전의 커널이 설치되어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1. Sun SPARC, IBM Power-PC 등의 인텔계열이 아닌 프로세서도 지원된다.
  2. 64bit 운영체제의 경우 4GB 이상의 메모리도 지원할 수 있다.
  3. DVD-ROM 광학드라이브는 IDE/SCSI방식은 지원되지만 USB와 같은 포터블 인터페이스 방식으로는 지원되지 않는다.
  4. 하드웨어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Plug -and - Play를 지원한다.
(정답률: 63%)
  • "DVD-ROM 광학드라이브는 IDE/SCSI방식은 지원되지만 USB와 같은 포터블 인터페이스 방식으로는 지원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이다. 이는 최신 버전의 리눅스에서도 USB 포터블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된 DVD-ROM 광학드라이브를 지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리눅스시스템에서 VGA 그래픽 콘솔 등이 사용 불가한 상태에서 RS-232C 인터페이스로 물리 콘솔을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장치파일로 알맞은 것은?

  1. /dev/sdb
  2. /dev/rs232c
  3. /dev/rmt0
  4. /dev/ttyS0
(정답률: 42%)
  • 정답은 "/dev/ttyS0"입니다.

    이는 리눅스에서 시리얼 포트를 나타내는 장치 파일로, RS-232C 인터페이스를 통해 물리 콘솔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디스크나 테이프 드라이브 등 다른 장치들을 나타내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리눅스시스템에서 하드디스크를 추가하여 사용 하고자 한다. 사용목적에 맞는 명령어와 그 옵션으로 짝지은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디스크 포맷 - fdisk , Command 프롬프트에서 f
  2. 디스크파티션생성- fdisk , Command 프롬프트에서 p
  3. /dev/sda2 파티션을 swap 장치로 지정 - swapon /dev/sda2
  4. /dev/sda1 파티션을 강제로 마운트 - mount -f /dev/sda1
(정답률: 37%)
  • 정답은 "/dev/sda2 파티션을 swap 장치로 지정 - swapon /dev/sda2" 입니다.

    리눅스에서는 하드디스크를 파티션으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디스크 포맷 명령어인 fdisk를 사용하여 파티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생성된 파티션 중에서 swap 파티션은 메모리 부족 시 사용되는 가상 메모리 공간입니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파티션을 swap 장치로 지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swapon 명령어를 사용하며, 옵션으로는 지정할 파티션의 경로를 입력합니다. 따라서 "/dev/sda2 파티션을 swap 장치로 지정 - swapon /dev/sda2"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메모리에 적재된 모듈의 리스트에 변경을 가할 수 없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lsmod
  2. insmod
  3. rmmod
  4. modprobe
(정답률: 54%)
  • 정답은 "lsmod"입니다. "lsmod"는 현재 메모리에 적재된 모듈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변경을 가할 수 없습니다. "insmod"는 새로운 모듈을 메모리에 적재하는 명령어이고, "rmmod"는 메모리에서 모듈을 제거하는 명령어입니다. "modprobe"는 모듈을 자동으로 로드하거나 언로드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리눅스시스템에 사운드카드가 설치되어있지 않아, 커널컴파일을 수행할 때 사운드카드 관련 모듈을 제외하고자 한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틀린 것은?

  1. make config
  2. make menuconfig
  3. make xconfig
  4. make modules_install
(정답률: 48%)
  • 정답은 "make modules_install"이다.

    "make config", "make menuconfig", "make xconfig"은 커널 컴파일 시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들이다. 이 중에서 "make menuconfig"와 "make xconfig"는 GUI 환경에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make config"는 CLI 환경에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반면에 "make modules_install"은 컴파일된 모듈을 시스템에 설치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운드카드 관련 모듈을 제외하고 커널을 설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리눅스 시스템에서 하드디스크를 추가하여 파티션을 생성한 후 swap 장치로 사용하고자 한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fdisk 명령어의 옵션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fdisk - n - t - w
  2. fdisk - t - n - w
  3. fdisk - n - t - q
  4. fdisk - t - n - q
(정답률: 49%)
  • 정답: "fdisk - n - t - w"

    - fdisk: 파티션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명령어
    - -n: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하는 옵션
    - -t: 파티션의 타입을 설정하는 옵션
    - -w: 파티션 테이블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옵션

    따라서, fdisk - n - t - w 옵션을 사용하여 새로운 파티션을 생성하고 타입을 설정한 후, 파티션 테이블을 저장하고 종료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 디렉토리 구조에 해당 되는 영역으로 알맞은 것은?

  1. /var 하위 디렉토리
  2. /sys 하위 디렉토리
  3. /dev 하위 디렉토리
  4. /home 하위 디렉토리
(정답률: 62%)
  • "/var" 디렉토리는 시스템에서 변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 로그 파일, 캐시 파일, 데이터베이스 파일 등이 저장되는 곳입니다. 따라서 "/var" 하위 디렉토리는 이러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곳이므로 리눅스 시스템 디렉토리 구조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SSH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근한 기록을 확인하려고 한다. 다음 중 해당 정보가 기록된 로그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var/log/messages
  2. /var/log/dmesg
  3. /var/log/secure
  4. /var/log/boot.log
(정답률: 63%)
  • 정답은 "/var/log/secure"이다.

    SSH는 보안을 위해 암호화된 통신을 사용하므로, SSH를 통해 서버에 접근한 기록은 보안 로그 파일에 기록된다. "/var/log/secure" 파일은 시스템 보안 로그 파일로, SSH를 비롯한 다양한 보안 이벤트가 기록된다. 따라서 SSH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근한 기록을 확인하기에 가장 적합한 로그 파일이다.

    다른 로그 파일들은 시스템 이벤트나 부팅과 관련된 로그 파일이므로, SSH 접근 기록을 확인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텔넷이나 SSH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근한 기록 중 접속에 실패할 기록을 확인하려고 한다. 다음 중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last
  2. lastb
  3. logname
  4. nologin
(정답률: 61%)
  • 정답: lastb

    - lastb는 "bad login attempts"의 약자로, 실패한 로그인 시도 기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 텔넷이나 SSH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근할 때, 로그인에 실패한 경우 해당 정보는 lastb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last 명령어는 성공한 로그인 기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 logname은 현재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며, nologin은 로그인을 차단하는 파일의 이름이다. 이 둘은 이 문제와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조건에 맞게 cron 설정을 하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

  1. 4 5 * * 1,3,5 /etc/log.sh
  2. 5 4 * * 1,3,5 /etc/log.sh
  3. 4 5 * * 0,2,4 /etc/log.sh
  4. 5 4 * * 0,2,4 /etc/log.sh
(정답률: 63%)
  • 해당 cron 설정은 "매주 월, 수, 금요일 4시 5분에 /etc/log.sh 스크립트를 실행하라"는 의미이다.

    설정된 분이 5이고 시간이 4이므로 매일 4시 5분에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요일 설정이 있어서 월, 수, 금요일에만 실행된다.

    따라서 "5 4 * * 1,3,5 /etc/log.sh"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rsyslog
  2. ksyslog
  3. msyslog
  4. nsyslog
(정답률: 60%)
  • 이 그림은 로그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데, "rsyslog"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로그 수집 도구 중 하나이며,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안정적이며 확장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상황에 사용해야할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PAM
  2. SELinux
  3. 쉐도우 패스워드
  4. sudo
(정답률: 55%)
  • 이 상황에서는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을 사용해야 합니다. PAM은 다양한 인증 방식을 지원하며, 시스템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상황에서는 다양한 인증 방식을 지원하고 보안성을 높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PAM을 사용해야 합니다. SELinux은 보안 정책을 강화하는 데 사용되며, 쉐도우 패스워드는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sudo는 특정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상황에서는 이러한 기능들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PAM이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상황에 필요한 보안도구로 알맞은 것은?

  1. PAM
  2. COPS
  3. Tripwire
  4. sudo
(정답률: 53%)
  • 이 상황에서 필요한 보안도구는 "sudo"입니다. 그 이유는 이미지에서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면서 "sudo"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일부 권한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AM"은 인증 관리 도구, "COPS"는 보안 감사 도구, "Tripwire"는 파일 시스템 감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기존의 사용하던 명령어를 SSH 기반으로 대체하려고 할 때 틀린 것은?

  1. 원격 복사 작업 시 rcp대신에 scp를 사용한다.
  2. 파일 전송 시 ftp대신에 sftp를 사용한다.
  3. 원격 서버 접속 시 telnet대신에 ssh를 사용한다.
  4. 원격의 X 서버에 접속 시에 xauth 대신에 ssh-keygen을 사용한다.
(정답률: 53%)
  • 원격의 X 서버에 접속 시에 xauth 대신에 ssh-keygen을 사용하는 것은 틀린 것이다. xauth는 X11 전송 시 인증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ssh-keygen은 SSH 키 생성 및 관리를 위한 명령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xauth와 ssh-keygen은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대체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백업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백업 데이터는 동일한 시스템 내에 보관한다.
  2. 자료의 가치에 따라 다른 백업 전략을 세운다.
  3. 오랫동안보관하기 위해서는백업테이프를 사용한다.
  4. 중요한 백업 자료는 암호화한다.
(정답률: 66%)
  • "백업 데이터는 동일한 시스템 내에 보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백업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와 분리된 저장장치에 보관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시스템 장애나 데이터 손상 등의 문제로 백업 데이터도 함께 손실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dump로 백업한 내용을 복원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rdump
  2. rdist
  3. restore
  4. rsync
(정답률: 59%)
  • dump로 백업한 내용을 복원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restore입니다. dump는 파일 시스템을 백업하는 명령어이고, restore는 백업된 파일 시스템을 복원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dump로 백업한 내용을 복원할 때는 restore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은 cpio를 이용하여 백업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 (ㄴ) -icv (ㄷ) >
  2. (ㄱ) > (ㄴ) -icv (ㄷ) |
  3. (ㄱ) | (ㄴ) -ocv (ㄷ) >
  4. (ㄱ) > (ㄴ) -ocv (ㄷ) |
(정답률: 45%)
  • cpio는 파일을 복사하거나 백업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위의 명령어는 "(ㄱ)"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들을 "(ㄴ)" 파일로 백업하고, 백업할 때는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고(verbose) 파일의 소유자, 권한 등의 정보도 함께 저장하며(create), 압축하지 않고(output) 진행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ㄱ) | (ㄴ) -ocv (ㄷ)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TML
  2. CGI
  3. NCSA
  4. URI
(정답률: 50%)
  • 이미지에서 보이는 화면은 웹 서버에서 CGI(Common Gateway Interface)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CGI"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telnet 명령어를 이용하여 운영중인 웹 서버의 정보를 얻는 과정이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HTTP 요청 메소드(Method)로 알맞은 것은?

  1. GET
  2. POST
  3. HEAD
  4. PUT
(정답률: 49%)
  • telnet 명령어를 이용하여 웹 서버에 접속한 후 HTTP 요청을 보내기 위해서는 HTTP 요청 메소드를 지정해야 한다. HTTP 요청 메소드 중에서 GET은 서버로부터 정보를 요청하는 메소드이다. 따라서, 운영중인 웹 서버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GET 메소드를 사용해야 한다. POST는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메소드, HEAD는 서버로부터 헤더 정보만을 요청하는 메소드, PUT은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하는 메소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그림의 상황에 해당하는 HTTP 응답 오류코드 번호로 알맞은 것은?

  1. 401
  2. 402
  3. 403
  4. 404
(정답률: 51%)
  • 정답은 "403"입니다.

    이유는 그림에서 "Forbidden"이라는 메시지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서버는 403 Forbidden 오류 코드를 반환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이를 알려줍니다.

    401 Unauthorized 오류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았을 때 반환됩니다. 402 Payment Required 오류 코드는 아직 구현되지 않았습니다. 404 Not Found 오류 코드는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을 때 반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아파치 2.x 버전을 소스 컴파일을 통한 설치시 아파치 프로세스를 스레드(Thread)방식으로 동작 되도록 설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환경설정 (configure)시에 지정하는 --with-mpm의 값으로 알맞은 것은?

  1. winnt
  2. thread
  3. prefork
  4. worker
(정답률: 45%)
  • 정답: worker

    이유: --with-mpm 옵션은 아파치의 멀티 프로세싱 모듈(Multi-Processing Module)을 선택하는 옵션이다. worker 모듈은 스레드(Thread) 방식으로 동작하는 모듈로, 프로세스당 여러 개의 스레드를 생성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 생성 및 종료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이고, 더 많은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스레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worker 모듈이 가장 효율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PHP 5 버전을 소스 설치했을 때 생성 되는 모듈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

  1. mod_php5.so
  2. mod_libphp5.so
  3. libphp5.so
  4. libphp5_mod.so
(정답률: 37%)
  • 정답: libphp5.so

    이유: PHP 5 버전을 소스 설치할 때, Apache 모듈로 사용하기 위한 파일명은 "libphp5.so" 이다. 이 파일은 PHP 코드를 Apache 웹 서버와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듈 파일이다. 다른 보기들은 PHP 모듈 파일명이 아니거나, 혼동될 수 있는 파일명이므로 정답은 "libphp5.so"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ypbind - (ㄴ) ypserv
  2. (ㄱ) ypbind - (ㄴ) ypxfrd
  3. (ㄱ) ypserv - (ㄴ) yppasswd
  4. (ㄱ) ypserv - (ㄴ) ypbind
(정답률: 56%)
  • (ㄴ) ypbind은 NIS 서비스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가 NIS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데몬이다. (ㄱ) ypserv는 NIS 서버의 중심적인 데몬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NIS 맵을 제공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가 NIS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먼저 ypbind가 실행되어야 하고, ypbind는 다시 ypserv에 접속하여 NIS 맵을 요청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액티브 디렉토리(Active Directory)와 가장 관계가 깊은 서비스로 알맞은 것은?

  1. NIS
  2. NFS
  3. LDAP
  4. SAMBA
(정답률: 44%)
  • 정답: LDAP

    설명: 액티브 디렉토리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디렉토리 서비스로, 사용자, 컴퓨터, 그룹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이 때,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는 액티브 디렉토리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디렉토리 정보를 검색하고 수정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LDAP는 액티브 디렉토리와 가장 관계가 깊은 서비스이다. NIS는 네트워크 정보 서비스, NFS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SAMBA는 윈도우와 리눅스 간의 파일 공유를 위한 서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NIS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에 생성되는 파일로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passwd.byid
  2. passwd.byname
  3. passwd.id
  4. passwd.name
(정답률: 45%)
  • 정답은 "passwd.byname"입니다.

    NIS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 갱신 시에 생성되는 파일 중 "passwd.byname"은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사용자 이름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사용자 이름, 암호화된 비밀번호, 사용자 ID, 그룹 ID, 사용자 정보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NIS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인증을 할 때 "passwd.byname" 파일을 참조하여 사용자 정보를 확인합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passwd" 파일과 관련된 파일이지만, "byname"이나 "id"와 같은 특정한 기준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거나, 사용자 정보를 담고 있지 않은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NIS 클라이언트에서 NIS 서버의 이름과 관련된 맵 파일을 찾으려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ypserv
  2. ypcat
  3. ypwhich
  4. ypbind
(정답률: 46%)
  • 정답은 "ypwhich"입니다.

    "ypwhich"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이 사용하는 NIS 서버의 이름을 출력합니다. 이를 통해 어떤 NIS 서버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ypserv"는 NIS 서버를 시작하는 명령어이고, "ypcat"은 NIS 맵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ypbind"는 NIS 클라이언트가 NIS 서버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은 LDAP 클라이언트에서 ldap을 사용가능 하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

  1. /etc/host.conf
  2. /etc/nsswitch.conf
  3. /etc/openldap/slapd.conf
  4. /etc/openldap/ldap.conf
(정답률: 25%)
  • "/etc/nsswitch.conf" 파일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이름 해결 방법을 설정하는 파일이다. 이 파일에서 "hosts" 항목이 "ldap"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LDAP 클라이언트가 사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LDAP 클라이언트를 사용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etc/nsswitch.conf" 파일에서 "hosts" 항목에 "ldap"을 추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삼바(Samba)의 환경설정 파일인 smb.conf 파일을 점검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mbrun
  2. smbstatus
  3. nmblookup
  4. testparm
(정답률: 47%)
  • 정답: testparm

    설명: testparm은 smb.conf 파일의 구문 오류를 검사하고 적절한 설정이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입니다. 이를 통해 smb.conf 파일을 점검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smb.conf 파일을 점검하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삼바 서버에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대역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smb.conf의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

  1. allow hosts
  2. hosts allow
  3. access hosts
  4. hosts access
(정답률: 39%)
  • 정답: hosts allow

    이유: smb.conf 파일은 Samba 서버의 구성 파일로, 클라이언트의 접근을 제어하는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이 중에서 hosts allow 항목은 Samba 서버에 접속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대역을 지정하는 항목이다. 이 항목을 사용하여 특정 IP 대역이나 호스트 이름을 지정하여 해당 대역이나 호스트에서만 Samba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osts allow = 192.168.0.0/24"와 같이 설정하면 192.168.0.0/24 대역의 IP 주소를 가진 클라이언트만 Samba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NFS 서버에 공유된 디렉토리에 접근 가능한 클라이언트가 192.168.12.0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제한되어 있다. 다음 ( 괄호 ) 안에 설정된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192.168.12
  2. 192.168.12.
  3. 192.168.12.0
  4. 192.168.12.0/24
(정답률: 48%)
  • 정답은 "192.168.12.0/24"입니다. 이유는 NFS 서버에 공유된 디렉토리에 접근 가능한 클라이언트가 192.168.12.0 네트워크 대역을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나타내기 위해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대역을 표시하는데, "192.168.12.0/24"는 IP 주소가 192.168.12.0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0인 네트워크 대역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대역에 속하는 모든 IP 주소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NFS 서버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은 NFS 서버에서 공유가 설정된 디렉토리 및 클라이언트를 확인하는 명령이다. ( 괄호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showmount
  2. nfsstat
  3. exportfs
  4. rpcinfo
(정답률: 36%)
  • "showmount" 명령은 NFS 서버에서 공유가 설정된 디렉토리와 클라이언트를 확인하는 명령이다. 이 명령은 NFS 서버에서 실행되며, 서버에 연결된 모든 클라이언트와 공유 디렉토리를 보여준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showmount"가 정답이다. "nfsstat"은 NFS 서버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이고, "exportfs"는 NFS 서버에서 공유 디렉토리를 설정하는 명령이다. "rpcinfo"는 RPC(Remote Procedure Call)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서비스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vsftpd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수를 제한하려고 할 때 설정하는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

  1. maxclients
  2. max_clients
  3. MaxClients
  4. MaxInstances
(정답률: 44%)
  • 정답: "max_clients"

    설명: vsftpd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수를 제한하려면 "max_clients" 항목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 항목은 vsftpd.conf 파일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최대 동시 접속 수를 지정합니다. 이 값을 설정하면 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수가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메일 서버와 메일 서버 간에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SMTP
  2. IMAP
  3. POP3
  4. https
(정답률: 56%)
  • 정답: SMTP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이메일을 보내는 서버와 받는 서버 간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메일을 보내는 클라이언트는 SMTP 서버를 통해 이메일을 보내고, 이메일을 받는 클라이언트는 POP3 또는 IMAP 프로토콜을 통해 이메일을 받습니다. HTTPS는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발신자가 spammer@aol.com인 메일의 수신을 거부하는 설정을 /etc/mail/access에 등록하려고 한다. 다음 설정 중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Connect:spammer@aol.com REJECT
  2. From:spammer@aol.com REJECT
  3. Connect:spammer@aol.com RELAY
  4. From:spammer@aol.com RELAY
(정답률: 53%)
  • 정답은 "From:spammer@aol.com REJECT"입니다.

    이유는 "From:spammer@aol.com REJECT" 설정은 발신자가 spammer@aol.com인 모든 메일을 거부하도록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Connect:spammer@aol.com REJECT" 설정은 spammer@aol.com과의 연결을 거부하도록 설정하므로 이메일을 보내는 것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Connect:spammer@aol.com RELAY" 설정은 spammer@aol.com과의 연결을 허용하고 메일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From:spammer@aol.com RELAY" 설정은 spammer@aol.com에서 보낸 메일을 허용하고 전달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etc/mail/access 파일 변경후에 실행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makemap hash
  2. mailq
  3. newaliases
  4. aliases
(정답률: 35%)
  • 정답: makemap hash

    이유: /etc/mail/access 파일은 sendmail 서비스에서 메일을 수신/발신할 때 접근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파일이다. 이 파일을 변경한 후에는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makemap 명령을 사용해야 한다. makemap 명령은 /etc/mail/access.db 파일을 생성하는데, 이 파일은 sendmail이 access 파일의 내용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때, hash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access.db 파일을 생성하기 때문에 makemap hash 명령을 사용한다. 따라서, /etc/mail/access 파일을 변경한 후에는 makemap hash 명령을 실행하여 변경된 내용을 적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설명과 가장 관계가 깊은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mail/access
  2. /etc/mail/localhost-host-names
  3. /etc/mail/virtusertable
  4. /etc/aliases
(정답률: 42%)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메일 서버의 설정 파일 중 하나인 "/etc/mail/sendmail.cf"이다. 이 파일은 sendmail 프로그램의 설정을 담당한다. 그러나 이 설정 파일에서는 메일 주소나 도메인 등을 직접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etc/aliases" 파일에 정의된 별칭(alias)을 사용한다. 따라서 "/etc/aliases" 파일이 이 이미지와 가장 관계가 깊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메일 관련 설정파일과 관련 명령어 조합으로 틀린 것은?

  1. /etc/mail/sendmail.mc - m4
  2. /etc/mail/virtusertable . makemap hash
  3. /etc/mail/local-host-names . makehap hash
  4. /etc/aliases . newaliases
(정답률: 38%)
  • "/etc/mail/local-host-names . makehap hash"가 틀린 조합이다.

    - "/etc/mail/sendmail.mc - m4": sendmail.mc 파일을 m4 매크로 프로세서로 처리하여 sendmail.cf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 "/etc/mail/virtusertable . makemap hash": virtusertable 파일을 makemap hash 명령어로 해시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 명령어이다.
    - "/etc/aliases . newaliases": aliases 파일을 수정한 후 newaliases 명령어로 변경 내용을 적용하는 명령어이다.

    하지만 "/etc/mail/local-host-names . makehap hash"는 makehap이라는 명령어가 없기 때문에 틀린 조합이다. 올바른 명령어는 makehash이다. 따라서 "/etc/mail/local-host-names . makehash"가 올바른 조합이다.

    - "/etc/mail/local-host-names . makehash": local-host-names 파일을 makehash 명령어로 해시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다음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Primary Name Server
  2. Secondry Name Server
  3. Caching Name Server
  4. Master Name Server
(정답률: 56%)
  • 이 그림은 DNS 시스템에서 Caching Name Server의 역할을 보여줍니다. Caching Name Server는 DNS 쿼리를 받아서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찾아서 캐싱하고, 이후 같은 도메인에 대한 쿼리가 들어오면 캐시된 IP 주소를 반환합니다. 이를 통해 DNS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정답은 "Caching Name Serv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은 DNS 서버의 /etc/named.conf 파일의 일부이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master
  2. slave
  3. caching
  4. hint
(정답률: 42%)
  • ( hint )는 DNS 서버가 다른 DNS 서버로부터 정보를 얻지 못할 경우에 사용하는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DNS 서버가 다른 DNS 서버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도 적어도 일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master"는 주 DNS 서버, "slave"는 보조 DNS 서버, "caching"은 캐시 DNS 서버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DNS 서버의 zone 파일의 일부이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A
  2. PTR
  3. CNAME
  4. AAAA
(정답률: 52%)
  • zone 파일에서 "CNAME"은 다른 호스트의 별칭(alias)을 나타내는 레코드 유형이다. 즉, "www" 호스트는 "example.com" 호스트의 별칭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A"는 호스트의 IPv4 주소를 나타내는 레코드 유형이고, "PTR"은 IP 주소의 호스트 이름을 나타내는 레코드 유형이다. "AAAA"는 호스트의 IPv6 주소를 나타내는 레코드 유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은 새롭게 설정한 DNS 서버의 리졸빙(resolving)기능을 점검하기 위해 네임 서버의 설정을 변경하는 단계이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server
  2. type=server
  3. set type=server
  4. nameserver
(정답률: 36%)
  • 정답은 "nameserver"입니다.

    DNS 서버의 리졸빙 기능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네임 서버의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이때, 네임 서버의 주소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정은 "nameserver"입니다. "server"이나 "type=server", "set type=server"은 DNS 서버의 유형을 설정하는 것으로, 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DNS 서버의 환경설정파일을 검증하는 명령어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named-checkconf
  2. named-checkzone
  3. dig
  4. rndc
(정답률: 49%)
  • 정답: named-checkconf

    named-checkconf는 DNS 서버의 환경설정 파일을 검증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설정 파일에 문제가 있는지 미리 확인할 수 있어서 DNS 서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named-checkzone은 DNS 존 파일을 검증하는 명령어이며, dig는 DNS 질의를 수행하는 명령어입니다. rndc는 BIND DNS 서버를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은 네임서버 존 파일의 정의 항목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efresh : 주네임서버와 보조네임서버간의 정보 동기화를 위한 시간을 지정
  2. Serial : zone 파일이 작성된 시간을 표시하는 정보 영역
  3. Expire : 주네임 서버에서 다른 네임 서버로 데이터가 전달되었을 때 데이터를 상대편 서버에 정보가 보관되는 시간
  4. Retry : 주네임서버와 정보 동기화를 실패 하였을 때 다음 시도를 위해 대기하는 시간
(정답률: 45%)
  • 정답은 "Expire : 주네임 서버에서 다른 네임 서버로 데이터가 전달되었을 때 데이터를 상대편 서버에 정보가 보관되는 시간" 이 아닙니다.

    Expire는 보조 네임 서버가 주 네임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받은 후, 해당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유효 기간을 의미합니다. 이 기간이 지나면 보조 네임 서버는 해당 데이터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모든 항목 설명이 올바르게 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리눅스 가상화 기술인 KV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KVM은 초기에 전가상화 방식을 사용하여 개발한 하이퍼바이저이다.
  2. KVM은 Disk I/O의 반가상화를 지원한다.
  3. KVM은 QEMU 방식을 사용한다.
  4. KVM은 CPU의 반가상화를 지원한다.
(정답률: 38%)
  • KVM은 CPU의 반가상화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KVM은 하이퍼바이저로서 CPU의 반가상화를 지원한다. CPU의 반가상화란 게스트 OS가 직접 하드웨어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하이퍼바이저를 통해 가상화된 하드웨어에 접근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를 통해 게스트 OS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KVM 기반으로 생성되는 게스트 머신의 가상화 디스크 이미지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경로로 알맞은 것은?

  1. /usr/local/libvirt/images
  2. /var/lib/libvirt/images
  3. /usr/lib/libvirt/images
  4. /home/libvirt/images
(정답률: 36%)
  • 정답은 "/var/lib/libvirt/images"입니다.

    KVM은 가상화 디스크 이미지를 생성하고 저장하기 위해 libvirt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합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기본적으로 "/var/lib/libvirt/images" 디렉토리를 사용하여 가상화 디스크 이미지를 저장합니다. 따라서 KVM 기반으로 생성되는 게스트 머신의 가상화 디스크 이미지는 "/var/lib/libvirt/images"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하이퍼바이저 기반으로 생성되는 가상 머신의 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

  1. 메모리량
  2. 하드디스크 용량
  3. CPU 코어 수
  4. 이더넷 카드의 수
(정답률: 45%)
  • 하이퍼바이저는 호스트 시스템의 CPU 자원을 가상 머신에 할당하여 가상 머신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CPU 코어 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항목입니다. CPU 코어 수가 적으면 가상 머신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충분히 할당받지 못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이퍼바이저 기반으로 생성되는 가상 머신의 수는 호스트 시스템의 CPU 코어 수에 따라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실시간으로 가상 머신별로 자원 사용률을 모니터링 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libvirt
  2. virsh
  3. virt-top
  4. sar
(정답률: 52%)
  • 정답은 "virt-top"입니다.

    "virt-top"은 가상 머신별로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의 자원 사용률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명령입니다. 이를 통해 가상 머신의 성능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libvirt"는 가상화 기술을 관리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이며, "virsh"는 "libvirt"를 이용하여 가상 머신을 관리하는 명령입니다. "sar"은 시스템 자원 사용률을 모니터링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xinetd기반의 텔넷 서비스를 활성화하려고 한다. 다음 중 /etc/xinetd.d/telnet에 설정하는 관련 값으로 알맞은 것은?

  1. disable = no
  2. disable = yes
  3. enable = no
  4. enable = yes
(정답률: 46%)
  • 정답: "disable = no"

    설명: xinetd는 서비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데 사용되는 disable 옵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disable = no는 해당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disable = yes는 해당 서비스를 비활성화합니다. 따라서 telnet 서비스를 활성화하려면 /etc/xinetd.d/telnet 파일에서 disable = no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의 경우에 구축하면 유용한 서버로 알맞은 것은?

  1. NTP 서버
  2. DHCP 서버
  3. PROXY 서버
  4. VNC 서버
(정답률: 57%)
  • 이 그림은 인터넷과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화벽(Firewall)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화벽을 통과하는 모든 인터넷 트래픽은 PROXY 서버를 거쳐 내부 네트워크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PROXY 서버는 인터넷과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며, 보안성을 높이고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은 DHCP 서버에서 특정 호스트에게 고정된 IP 주소를 할당하기 위한 설정이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ip-address
  2. host-address
  3. mac-address
  4. fixed-address
(정답률: 49%)
  • DHCP 서버는 일반적으로 호스트에게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하지만, 특정 호스트에게 고정된 IP 주소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fixed-address"를 사용해야 한다. 이는 해당 호스트의 MAC 주소와 함께 설정되어 있어서 DHCP 서버가 해당 호스트를 인식하고 고정된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fixed-address"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은 VNC 서버 설정파일의 일부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geometry
  2. -nolisten
  3. -nohttpd
  4. -localhost
(정답률: 49%)
  • "-geometry" 옵션은 VNC 클라이언트에서 연결할 때 화면의 크기와 위치를 설정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화면이 작거나 크게 나타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은 NTP 서버 설정파일인 /etc/ntpd.conf의 내용이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ntp
  2. server
  3. time
  4. date
(정답률: 42%)
  • /etc/ntpd.conf 파일은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의 설정 파일로, 이 파일에는 NTP 서버의 동작 방식과 동기화할 다른 NTP 서버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보기에서 정답은 "server"이다. 이는 NTP 서버의 주요 역할 중 하나인 다른 NTP 서버와의 동기화를 위한 설정이기 때문이다. NTP 서버는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로, 다른 NTP 서버와 동기화하여 정확한 시간 정보를 유지하고 제공한다. 따라서 /etc/ntpd.conf 파일에서는 다른 NTP 서버의 주소를 설정하는 "server" 옵션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DoS 공격의 유형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디스크 채우기
  2. 메모리 고갈
  3. Mail Storm
  4. 프로세스 만들기
(정답률: 48%)
  • "Mail Storm"은 이메일 서버를 공격하여 대량의 스팸 이메일을 보내는 것으로, 나머지는 모두 시스템 자원을 고갈시키는 방식의 DoS 공격이다. 따라서 "Mail Storm"은 다른 유형의 DoS 공격과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에서 설명하는 상황과 가장 밀접한 침해유형으로 알맞은 것은?

  1. 웜(Worm)
  2. 바이러스(Virus)
  3. 도스 공격(Dos Attack)
  4. 트로이목마(Trojan Horse)
(정답률: 43%)
  • 이미지를 보면, 사용자가 다운로드하고 실행한 프로그램이 실제로는 악성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악성코드를 가진 프로그램을 트로이목마(Trojan Horse)라고 합니다. 트로이목마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유도하거나, 사용자의 컴퓨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등의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특정 서비스에 대해서 IP 주소 기반으로 접근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틀린 것은?

  1. xauth
  2. xhost
  3. tcp_wrapper
  4. iptables
(정답률: 31%)
  • "xauth"는 IP 주소 기반으로 접근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xauth"는 X Window System에서 인증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xaut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로그를 분석해보니 특정 IP 주소에서 ssh 포트로 무작위 대입을 통한 접근 기록을 발견하였다. 다음 중 해당 IP 주소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Tripwire를 설치하여 차단한다.
  2. John The Ripper라는 도구를 설치하여 차단한다.
  3. /etc/hosts.deny 파일에 해당 IP주소를 등록한다.
  4. Nessus를 설치하여 차단한다.
(정답률: 50%)
  • "/etc/hosts.deny 파일에 해당 IP주소를 등록한다."가 가장 알맞은 방법이다. 이유는 /etc/hosts.deny 파일은 TCP Wrappers라는 보안 도구에서 사용되는 파일로, 특정 IP 주소나 호스트명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해당 IP 주소를 /etc/hosts.deny 파일에 등록하면 SSH 포트로의 무작위 대입을 통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Snort
  2. Suricata
  3. netfilter
  4. nmap
(정답률: 46%)
  • 이 그림은 네트워크 침입 탐지 시스템 중 하나인 Suricata의 로고이다. 따라서 정답은 "Suricata"이다. Snort와 Suricata는 모두 인기 있는 오픈 소스 네트워크 침입 탐지 시스템이지만, Suricata는 Snort보다 더 빠르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netfilter는 리눅스 커널에서 사용되는 방화벽 프레임워크이며, nmap은 네트워크 탐지 및 보안 검사 도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