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9-03)

리눅스마스터 2급
(2011-09-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리눅스 파일의 퍼미션을 설정하는 사용자 구분으로 틀린 것은?

  1. 소유자(owner)
  2. 그룹(group)
  3. 관리자(administrator)
  4. 타인(other)
(정답률: 84%)
  • 리눅스에서는 "관리자(administrator)"라는 사용자 구분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 "소유자(owner)", "그룹(group)", "타인(other)"의 세 가지 사용자 구분이 존재하며, 각각에 대해 파일의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readme.txt 라는 파일에 대하여 소유자, 소속그룹 및 그 외 사용자까지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명령과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chmod 777 readme.txt
  2. chmod 411 readme.txt
  3. chmod 333 readme.txt
  4. chmod 101 readme.txt
(정답률: 94%)
  • 정답: "chmod 777 readme.txt"

    이유:
    -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 777은 각각 소유자, 소속그룹, 그 외 사용자에 대한 권한을 나타내는데, 7은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이 모두 부여된 것을 의미한다.
    - 따라서 "chmod 777 readme.txt"는 소유자, 소속그룹, 그 외 사용자 모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콘솔에서 출력되는 파일정보 중에 기호링크 파일임을 의미하는 파일속성 문자로 알맞은 것은?

  1. b
  2. c
  3. l
  4. d
(정답률: 69%)
  • 정답은 "l"입니다.

    "l"은 symbolic link(기호링크) 파일을 의미하는 파일속성 문자입니다. 기호링크 파일은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파일로, 원본 파일의 경로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호링크 파일을 실행하면 원본 파일이 실행됩니다.

    다른 선택지인 "b", "c", "d"는 각각 블록 디바이스 파일, 문자 디바이스 파일, 디렉토리 파일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현재 사용 중인 로그인 쉘(shell)을 바꾸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grp
  2. chsh
  3. alias
  4. cp
(정답률: 92%)
  • 정답은 "chsh"입니다.

    "chsh"는 "change shell"의 약자로, 현재 사용 중인 로그인 쉘을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기본 쉘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chgrp"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이고, "alias"는 명령어에 대한 별칭을 설정하는 명령입니다. "cp"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원래 Bourn-Again Shell이라는 쉘의 명칭으로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쉘 명칭으로 알맞은 것은?

  1. tsh
  2. korn
  3. c
  4. bash
(정답률: 92%)
  • 정답은 "bash"입니다.

    이유는 Bourn-Again Shell이라는 쉘은 Brian Fox가 개발한 쉘로서, sh 쉘의 기능을 확장하고 개선한 것입니다. 이후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기본 쉘로 사용되면서 bash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bash가 Bourn-Again Shell의 약어이며,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쉘 명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uperblock은 파일시스템 크기와 같은 전체적인 파일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갖는다.
  2. inode는 파일종류, 소유주권 등의 정보를 갖고 있다.
  3. nfs는 MS-DOS 파일시스템의 FAT과 호환을 위해 사용한다.
  4. iso9660은 표준 CD-ROM 파일 시스템이다.
(정답률: 63%)
  • nfs는 MS-DOS 파일시스템의 FAT과 호환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 다른 컴퓨터에서 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nfs는 MS-DOS 파일시스템의 FAT과 호환을 위해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파티션에 존재하는 파일 훼손을 검사하고 바로잡기 위한 fsck의 명령 옵션으로 오류 파일에 대한 자동수리(복구)와 검사도중 에러발생 시 복구 유무를 물어보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a, -r
  2. -a
  3. -A
  4. -s, -r
(정답률: 62%)
  • 정답: "-a, -r"

    - "-a": 자동수리(복구) 옵션
    - fsck가 오류를 발견하면 자동으로 복구를 시도한다.
    - "-r": 검사도중 에러발생 시 복구 유무를 물어보는 옵션
    - fsck가 오류를 발견하면 해당 파일을 복구할 것인지 물어본다.

    따라서, "-a, -r" 옵션은 파일 훼손을 검사하고 바로잡기 위해 자동수리를 시도하며, 검사도중 에러발생 시 복구 여부를 물어보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파일 시스템 생성을 위한 명령어인 mkf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새 하드디스크를 추가하거나 이전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2. -c 옵션은 파일시스템을 만들기 전에 불량 블록검사를 한다.
  3. 성공적으로 장치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1, 실패하면 0을 리턴한다.
  4. -t 옵션은 생성하는 파티션의 종류를 지정한다.
(정답률: 40%)
  • 정답은 "-c 옵션은 파일시스템을 만들기 전에 불량 블록검사를 한다."이다. mkfs 명령어의 -c 옵션은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때 불량 블록 검사를 수행하는 옵션이 아니라, 이미 생성된 파일 시스템에서 불량 블록을 검사하는 옵션이다.

    성공적으로 장치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1, 실패하면 0을 리턴하는 이유는 리눅스에서 명령어가 실행될 때,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0이 아닌 다른 값을 리턴하고, 실패하면 0을 리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mkfs 명령어도 마찬가지로, 성공적으로 파일 시스템 생성이 완료되면 0이 아닌 다른 값을 리턴하고, 실패하면 0을 리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용자 계정 ihd의 홈디렉토리인 /home/ihd에 설정된 Quota를 활성화 하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quotacheck
  2. quota
  3. quotaon
  4. chkdsk
(정답률: 69%)
  • 정답: quotaon

    설명: quotaon 명령은 파일 시스템에서 Quota를 활성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은 Quota를 사용하도록 설정된 파일 시스템에 대해 실행됩니다. Quotacheck 명령을 사용하여 Quota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 후 quotaon 명령을 사용하여 Quota를 활성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파일시스템의 사용한 용량과 사용 가능한 용량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df
  2. du
  3. chgrps
  4. fsck
(정답률: 67%)
  • 정답은 "df"이다.

    "df" 명령어는 파일시스템의 사용한 용량과 사용 가능한 용량 정보를 보여준다. 이는 디스크 용량을 모니터링하고 디스크 공간 부족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유용하다.

    "du" 명령어는 디렉토리별로 디스크 사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chgrps"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fsck" 명령어는 파일시스템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프로세스들 간의 연결구조를 부모프로세스, 자식 프로세스 형태로 보여주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pstree
  2. ls
  3. ps
  4. kill
(정답률: 87%)
  • 정답은 "pstree"입니다.

    "pstree"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 간의 계층 구조를 트리 형태로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 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반면, "ls"는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ps"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kill"은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명령어입니다. 이들 명령어는 프로세스 간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pstree"와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윈도우 운영체제의 Windows 작업관리자처럼 프로세스 정보를 나타내는 리눅스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ps
  2. kill
  3. signal
  4. touch
(정답률: 88%)
  • 정답은 "ps"입니다. "ps"는 process status의 약자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프로세스의 ID, 실행 시간, CPU 사용량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ill"은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는 명령어이고, "signal"은 프로세스에 신호를 보내는 명령어입니다. "touch"는 파일의 수정 시간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프로세스 상태확인 명령어 ps를 옵션 없이 사용하였을 경우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 틀린 것은?

  1. PID : 프로세스 식별번호
  2. TTY : 프로세스와 연결된 터미널 포트
  3. TIME : 프로세스가 사용한 CPU 사용시간
  4. STAT : 프로세스 현재 상태
(정답률: 30%)
  • 정답은 "TTY : 프로세스와 연결된 터미널 포트"입니다.

    ps 명령어를 옵션 없이 사용하면 현재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확인할 수 있는 정보는 PID, TTY, TIME, STAT 등이 있습니다.

    PID는 프로세스의 식별번호를 나타내며, TTY는 프로세스와 연결된 터미널 포트를 나타냅니다. TIME은 프로세스가 사용한 CPU 사용시간을 나타내며, STAT은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STAT은 옵션 없이 ps 명령어를 사용했을 때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중 하나이며,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 STAT이 S인 경우에는 프로세스가 실행 중인 상태를 나타내며, Z인 경우에는 프로세스가 좀비 상태인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세스 상태 명령에 의한 결과이다. 이 중 RSS가 의미하는 정보로 알맞은 것은?

  1. 연결터미널 포트
  2. 실제 메모리 사용량
  3. 중앙처리장치 사용비율
  4. 프로세스 시작 시간
(정답률: 77%)
  • RSS는 Resident Set Size의 약자로, 프로세스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실제 메모리 사용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실제 메모리 사용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ps -aux라는 프로세스 상태정보 명령문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 중에 STAT상태 정보표현 기호와 설명이 틀린 것은?

  1. R : 실행중인 상태
  2. S : Sleep 상태
  3. I : 간접적 접속상태
  4. P : Page 관련 대기상태
(정답률: 49%)
  • 정답: "I : 간접적 접속상태"

    설명: ps -aux 명령어는 현재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이때 STAT 열에 표시되는 상태 정보는 다음과 같다.

    - R : 실행 중인 상태(Running)
    - S : 대기 상태(Sleep)
    - D : 디스크 I/O 대기 상태(Disk sleep)
    - T : 중지된 상태(Stopped)
    - Z : 좀비 상태(Zombie)
    - < : 높은 우선순위(low-priority)
    - N : 우선순위가 낮은(normal-priority)
    - L : 메모리 페이지를 잠긴 상태(locked pages)
    - s : 프로세스 리더(leader) 상태
    - + : 프로세스 그룹 리더(leader) 상태

    따라서 "I : 간접적 접속상태"는 STAT 상태 정보표현 기호와 설명이 틀린 것이다. I는 존재하지 않는 상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리눅스 시스템에서 현재 실행중인 DBMS 엔진의 실행 상태를 강제 중단하고자 할 때 사용할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kill – 9 2690
  2. del – 9 2690
  3. kill – 9 2691
  4. rm – 9 2691
(정답률: 75%)
  • 정답은 "kill – 9 2691"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kill 명령어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명령어입니다.
    - -9 옵션은 SIGKILL 시그널을 보내 강제로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옵션입니다.
    - 2691은 종료시키고자 하는 DBMS 엔진의 프로세스 ID입니다.

    따라서, "kill – 9 2691" 명령어는 현재 실행중인 DBMS 엔진의 실행 상태를 강제 중단시키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프로세스 종료 명령인 kill 명령에서 현재 작업중인 프로그램의 메모리 액세스가 잘못 되었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SIGHUP
  2. SIGSEGV
  3. SIGTERM
  4. SIGINT
(정답률: 38%)
  • 정답은 "SIGSEGV"입니다. SIGSEGV는 "Segmentation Fault"의 약자로, 프로그램이 메모리를 잘못 액세스하거나 할당되지 않은 메모리를 액세스하려고 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버그나 메모리 누수 등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며,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됩니다. 따라서 kill 명령에서 SIGSEGV를 사용하여 메모리 액세스 오류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CPU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중에서 10개의 프로세스만을 보려고 할 경우의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top #10
  2. top i10
  3. top M10
  4. top r10
(정답률: 61%)
  • 정답: top #10

    이유: top 명령어는 시스템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이때, top 뒤에 숫자를 붙여주면 해당 숫자만큼의 프로세스 정보만을 보여준다. 따라서, "top #10"은 CPU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중에서 상위 10개의 프로세스 정보만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nice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프로세스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
  2. 정기적으로 명령이나 프로세스를 스케줄링하는 명령
  3. 한번에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사용하는 명령
  4. 상위 프로세스가 몇 개 실행되고 있으며, 어떤 데몬들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명령
(정답률: 83%)
  • "nice 명령은 프로세스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crontab 명령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입력 단위 값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요일(weekday)
  2. 월(month)
  3. 날짜(day)
  4. 연도(year)
(정답률: 81%)
  • crontab 명령은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업은 연도에 따라 실행 주기가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crontab 명령에서는 연도를 입력 단위 값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쉘이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내부 명령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lias
  2. cd
  3. ls
  4. set
(정답률: 53%)
  • 정답은 "ls"입니다.

    "alias"는 명령어에 대한 별칭을 설정하고, "cd"는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set"은 쉘의 환경 변수를 설정하고, "ls"는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열하는 명령어입니다.

    "ls"는 쉘에서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내부 명령어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ls"는 이 질문의 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한 경로명을 그 값으로 가지는 환경 변수로 틀린 것은?

  1. HOME
  2. MAIL
  3. PATH
  4. PS1
(정답률: 40%)
  • 정답: PS1

    설명:
    - HOME: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경로를 저장하는 환경 변수
    - MAIL: 현재 사용자의 메일함 경로를 저장하는 환경 변수
    - PATH: 실행 파일을 찾을 때 검색할 경로들을 저장하는 환경 변수
    - PS1: 쉘 프롬프트의 형식을 지정하는 환경 변수. 파일이나 디렉터리 경로와는 관련이 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환경 변수 PWD의 값에 영향을 미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at
  2. cd
  3. pwd
  4. ps
(정답률: 53%)
  • 환경 변수 PWD는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저장하는 변수입니다. 따라서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명령어인 "cd"는 PWD의 값에 영향을 미칩니다. "cat"은 파일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 "pwd"는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 "ps"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명령 chsh와 가장 관련이 깊은 환경변수로 알맞은 것은?

  1. SHELL
  2. PATH
  3. HOME
  4. TERM
(정답률: 74%)
  • 정답: SHELL

    chsh는 사용자의 로그인 셸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이때 변경하고자 하는 셸은 SHELL 환경변수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chsh와 가장 관련이 깊은 환경변수는 SHEL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쉘이 지정되어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shells
  2. /etc/rc.d
  3. /etc/passwd
  4. /etc/bashrc
(정답률: 62%)
  • 정답은 "/etc/passwd"입니다. 이 파일은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로, 로그인 쉘 정보도 함께 저장됩니다. 따라서 이 파일을 통해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tc/shells" 파일은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쉘의 목록을 저장하고, "/etc/rc.d" 파일은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저장합니다. "/etc/bashrc" 파일은 bash 쉘에서 사용되는 설정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프로그램의 표준 입출력을 파일로 지정할 수 있게 하는 기능으로 알맞은 것은?

  1. 입출력 리다이렉션(I/O redirection)
  2. 파이프(pipe)
  3. 히스토리(history)
  4. 별명(alias)
(정답률: 67%)
  • 정답은 "입출력 리다이렉션(I/O redirection)"입니다. 입출력 리다이렉션은 프로그램의 표준 입력 또는 출력을 파일로 지정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키보드나 모니터 대신 파일로부터 입력을 받거나 파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rogram < input.txt > output.txt"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program"이라는 프로그램이 "input.txt" 파일로부터 입력을 받고, "output.txt" 파일로 출력을 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입출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bashrc 파일의 내용을 바꾼 후, 다시 로그인 하지 않고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려고 할 때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et
  2. history
  3. source
  4. restart
(정답률: 27%)
  • 정답은 "source"입니다.

    .bashrc 파일은 새로운 터미널 세션을 시작할 때마다 로드됩니다. 그러나 이미 열려있는 터미널에서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려면 "source"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source" 명령어는 현재 쉘 세션에서 지정된 파일을 실행하고, 해당 파일에서 정의된 환경 변수, 함수, 별칭 등을 현재 쉘 세션에 적용합니다. 따라서 .bashrc 파일을 변경한 후에는 "source ~/.bashrc" 명령어를 실행하여 변경된 내용을 즉시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bash
  2. ssh
  3. ksh
  4. csh
(정답률: 80%)
  • 정답은 "ssh"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bash", "ksh", "csh"는 모두 셸(Shell)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을 도와주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 반면에 "ssh"는 Secure Shell의 약자로, 네트워크 상에서 안전하게 원격지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즉, "ssh"는 다른 프로그램과는 목적과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성격이 다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vi 에디터의 명령들 중 그 성격이 다른 것은?

  1. a
  2. O
  3. I
  4. ESC
(정답률: 82%)
  • 정답은 "ESC"입니다.

    "a", "O", "I"는 모두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명령어입니다.
    "a"는 현재 커서 위치 다음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진입합니다.
    "O"는 현재 커서 위치 위에 새로운 빈 줄을 만들고, 그 줄에서부터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진입합니다.
    "I"는 현재 커서 위치에서부터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로 진입합니다.

    반면에 "ESC"는 편집 모드에서 빠져나와 명령 모드로 돌아가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다른 세 명령어와는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vi 에디터의 명령들 중 텍스트 패턴 검색 명령으로 틀린 것은?

  1. /
  2. $
  3. n
  4. ?
(정답률: 45%)
  • 정답은 "$"입니다.

    "/"은 특정 패턴을 앞에서부터 검색하고, "n"은 다음으로 일치하는 패턴으로 이동하며, "?"는 이전으로 일치하는 패턴으로 이동합니다.

    하지만 "$"는 텍스트의 끝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검색 명령이 아닙니다. 따라서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vi 에디터 사용 시 편집 내용을 파일로 저장할 때 저장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로 알맞은 것은?

  1. 입력 모드
  2. 명령 모드
  3. Ex 모드
  4. 삽입 모드
(정답률: 48%)
  • 정답: Ex 모드

    설명: Ex 모드는 vi 에디터에서 파일을 저장하거나 종료하는 등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입니다. 이 모드에서는 콜론(:)을 입력하여 명령을 실행합니다. 반면에 입력 모드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모드, 명령 모드는 텍스트를 편집하는 모드, 삽입 모드는 명령 모드에서 특정 명령을 실행한 후 텍스트를 입력하는 모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vi 에디터 사용 중 복사하거나 잘라낸 문자열을 붙여넣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p
  2. w
  3. b
  4. c
(정답률: 60%)
  • 정답: p

    p는 "paste"의 약자로, 복사 또는 잘라낸 문자열을 현재 커서 위치에 붙여넣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예를 들어, "yy" 명령으로 현재 줄을 복사한 후, 다른 줄에서 "p" 명령을 입력하면 복사한 줄이 현재 커서 위치에 붙여넣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vi 에디터의 명령들 중 성격이 다른 것은?

  1. ^F
  2. ^L
  3. ^B
  4. ^D
(정답률: 41%)
  • 정답: "^L"

    설명:

    - "^F":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명령어
    - "^B":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는 명령어
    - "^D": 현재 커서 위치에서 반 페이지만큼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명령어

    위 세 가지 명령어는 모두 페이지 이동과 관련된 명령어이며, 커서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다.

    하지만 "^L"은 현재 화면을 지우고 다시 그리는 명령어로, 커서 위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화면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다른 성격의 명령어들과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vi를 사용하던 중 vi를 종료하지 않은 채 현 디렉터리 목록을 볼 수 있는 vi 명령은 무엇인가?

  1. :!ls
  2. :@ls
  3. :exec:ls
  4. :&ls
(정답률: 54%)
  • 정답은 ":!ls"이다. 이 명령은 현재 작업 중인 vi 세션을 종료하지 않고도 셸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목록을 보기 위해 "ls"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는 현재 파일을 실행하고, ":exec:"는 셸 명령어를 실행하지만 vi 세션을 종료한다. ":&"는 백그라운드에서 셸 명령어를 실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rpm 명령이 가진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소프트웨어 패키지 설치
  2. 소프트웨어 패키지 업그레이드
  3. 소프트웨어 패키지에 대한 정보 질의
  4.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배포
(정답률: 77%)
  • rpm 명령은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설치, 업그레이드, 정보 질의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배포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rpm 명령은 이미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배포된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배포"는 rpm 명령이 가진 기능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rpm 명령의 옵션 중 패키지 정보에 대한 질의 옵션으로 틀린 것은?

  1. -q
  2. -i
  3. -f
  4. -p
(정답률: 30%)
  • 정답은 "-i"입니다.

    "-i" 옵션은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패키지 정보에 대한 질의 옵션은 아닙니다.

    "-q" 옵션은 설치된 패키지의 정보를 조회하는 옵션입니다.

    "-f" 옵션은 파일이 어떤 패키지에 속하는지 조회하는 옵션입니다.

    "-p" 옵션은 아직 설치되지 않은 패키지의 정보를 조회하는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rpm 명령의 옵션 중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에 대해 소유자, 형식, 크기 등을 비교하여 파일의 이상 여부를 검증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V
  2. -U
  3. -e
  4. -v
(정답률: 56%)
  • "-V" 옵션은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에 대해 소유자, 형식, 크기 등을 비교하여 파일의 이상 여부를 검증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패키지 설치 후 파일이 수정되거나 삭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 옵션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rpm 명령의 옵션 중 패키지 설치 또는 업데이트 과정에서 진행 상태를 보여주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v
  2. -h
  3. -x
  4. -c
(정답률: 49%)
  • 정답: "-v"

    "-v" 옵션은 verbose 모드로 실행되어 설치 또는 업데이트 과정에서 진행 상태를 자세히 보여줍니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면 설치 또는 업데이트 과정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h" 옵션은 도움말을 보여주는 옵션입니다.

    "-x" 옵션은 패키지를 제거하는 옵션입니다.

    "-c" 옵션은 패키지를 검사하는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rpm 패키지 파일의 이름 중 몇 번째로 만든 패키지인지를 나타내는 릴리즈(release)로 알맞은 것은?

  1. libgcc
  2. 3.4.1
  3. 7
  4. i386
(정답률: 73%)
  • 릴리즈(release)는 패키지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1씩 증가하는 숫자이다. 따라서 "libgcc" 패키지의 경우 7번째로 만들어진 패키지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rpm 명령의 옵션 중 패키지 내의 설정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qi
  2. -ql
  3. -qd
  4. -qc
(정답률: 22%)
  • 정답: "-qc"

    설명:

    "-qi": 패키지 정보 출력

    "-ql":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 목록 출력

    "-qd": 패키지에 대한 의존성 정보 출력

    "-qc": 패키지 내의 설정 파일들에 대한 정보 출력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일반적으로 압축된 파일의 확장자가 .Z로 압축 파일이 만들어지는 압축 유틸리티로 알맞은 것은?

  1. compress
  2. zip
  3. gzip
  4. bzip2
(정답률: 55%)
  • 정답은 "compress"입니다. 이유는 .Z 확장자는 Unix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축 형식 중 하나인데, 이 형식을 만들어낸 유틸리티가 바로 "compress"입니다. "zip", "gzip", "bzip2"는 각각 다른 압축 형식을 지원하는 유틸리티이며, .Z 확장자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압축된 tar 파일 test.tar.gz에 대해 압축을 해제하고, tar로 묶인 파일들을 모두 풀기 위한 명령의 실행 예에서 ( 괄호 ) 안에 들어갈 기호로 알맞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27%)
  • 압축 해제: tar -zxvf test.tar.gz
    tar로 묶인 파일들 모두 풀기: tar -xvf (파일명)/*

    정답이 "-" 인 이유는 해당 명령어에서는 파일명 대신 디렉토리명을 입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는 표준 입력을 의미하므로, 디렉토리명 대신 "-"를 입력하면 표준 입력으로부터 파일 리스트를 받아서 처리하게 됩니다. 따라서, "-"를 입력하면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들이 풀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report.txt라는 파일을 lp라는 이름의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매수 2매를 출력하고자 할 때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lpr -C2 -P lp report.txt
  2. lpr -$2 -P lp report.txt
  3. lpr -#2 -P lp report.txt
  4. lpr -&2 -P lp report.txt
(정답률: 68%)
  • 정답은 "lpr -#2 -P lp report.txt"이다.

    -lpr은 파일을 프린트하는 명령어이다.
    -#2는 인쇄매수를 2로 지정하는 옵션이다.
    -P lp는 lp라는 이름의 프린터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lpr -#2 -P lp report.txt" 명령어는 report.txt 파일을 lp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매수 2매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리눅스 프린터 설치(설정) 과정 순서가 알맞은 것은?

  1. 프린터 종류 → 프린터 큐 → 프린터 기종 → 프린터 드라이버
  2. 프린터 큐 → 프린터 종류 → 프린터 드라이버 → 프린터 기종
  3. 프린터 종류 → 프린터 큐 → 프린터 드라이버 → 프린터 기종
  4. 프린터 드라이버 → 프린터 기종 → 프린터 큐 → 프린터 종류
(정답률: 61%)
  • 정답은 "프린터 종류 → 프린터 큐 → 프린터 기종 → 프린터 드라이버"입니다.

    먼저 프린터 종류를 선택하고, 해당 프린터에 대한 큐를 설정합니다. 그 다음으로 프린터 기종을 선택하고, 마지막으로 선택한 기종에 맞는 드라이버를 설치합니다. 이 순서를 따르면 프린터를 정확하게 설치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공통의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install
  2. setup
  3. compile
  4. mount
(정답률: 69%)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하드 디스크나 CD-ROM 같은 저장 매체를 컴퓨터에 연결하는 것이다. 이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매체를 시스템에 인식시켜야 하는데, 이를 "mount"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mount"이다. "install"은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고, "setup"은 시스템을 설정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 "compile"은 소스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dev/sda2 파일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첫 번째 IDE 타입 하드디스크의 두 번째 파티션
  2. 두 번째 IDE 타입 하드디스크의 두 번째 파티션
  3. 첫 번째 SCSI 타입 하드디스크의 두 번째 파티션
  4. 두 번째 SCSI 타입 하드디스크의 두 번째 파티션
(정답률: 62%)
  • /dev/sda2는 "첫 번째 SCSI 타입 하드디스크의 두 번째 파티션"을 나타냅니다. 이는 /dev/sda가 첫 번째 SCSI 타입 하드디스크를 나타내고, 그 중에서도 2번째 파티션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IDE 타입 하드디스크는 /dev/hda, /dev/hdb 등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리눅스 프린터 작동에 관한 명령으로 틀린 것은?

  1. lpc
  2. lprm
  3. lpq
  4. lps
(정답률: 74%)
  • 정답은 "lps"입니다. "lps"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리눅스에서 프린터 작동과 관련된 명령어입니다.

    - "lpc": 프린터 서비스를 관리하는 명령어로, 프린터 큐를 관리하거나 프린터 서비스를 중지/재시작할 수 있습니다.
    - "lprm": 프린터 큐에서 특정 작업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 "lpq": 현재 프린터 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 "lps":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의 오디오파일 재생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xmms
  2. vi
  3. Amarok
  4. Audacious
(정답률: 86%)
  • 정답은 "vi"입니다. "vi"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텍스트 편집기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며, 오디오파일 재생 기능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리눅스 시스템에서 오디오파일 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활용

49. X 윈도우는 유닉스 시스템의 표준 그래픽 인터페이스이다. 표준 X 어플리케이션과 설명이 틀린 것은?

  1. Xclock –간단한 시계 표시
  2. xterm –텍스트기반 터미널 에뮬레이터
  3. Xman –X 기반의 man 페이지
  4. xlm –로그인 관리자
(정답률: 58%)
  • 정답은 "xlm –로그인 관리자"이다. X 윈도우 시스템에서 로그인 관리자는 일반적으로 xdm이나 gdm과 같은 디스플레이 매니저를 사용한다. xlm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표준 X 어플리케이션이다. Xclock은 시계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xterm은 텍스트 기반 터미널 에뮬레이터, Xman은 X 기반의 man 페이지 뷰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X 프로토콜로 통신하는 기본 메시지가 아닌 것은?

  1. Request
  2. Response
  3. Error
  4. Event
(정답률: 37%)
  • X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Request)을 보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Response)을 보내는 방식으로 통신합니다. 따라서 "Response"가 아닌 것은 "Event"입니다. 이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로, 클라이언트는 이를 수신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Yup
  2. Yum
  3. Tripwire
  4. UpdateManager
(정답률: 8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림이 음식(파스타)이고, "Yum"은 음식이 맛있다는 뜻이므로 정답이 "Yu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설명 중 ( 괄호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서버 – (ㄴ)클라이언트 - (ㄷ)클라이언트
  2. (ㄱ)서버 - (ㄴ)클라이언트 - (ㄷ)서버
  3. (ㄱ)클라이언트 – (ㄴ)서버 - (ㄷ)클라이언트
  4. (ㄱ)클라이언트 – (ㄴ)서버 - (ㄷ)서버
(정답률: 64%)
  • (ㄱ)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ㄴ)서버는 요청을 받아서 처리한 후에 (ㄷ)클라이언트에게 결과를 전송해주기 때문에 정답은 "(ㄱ)클라이언트 – (ㄴ)서버 - (ㄷ)클라이언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윈도우 메이커(Window Maker)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단축키 [Alt]+[1]~[3]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도크
  2. 가상화면
  3. 환경설정
  4. 패널
(정답률: 46%)
  • 정답은 "가상화면"입니다.

    윈도우 메이커는 가상화면 기능을 제공합니다. 가상화면은 하나의 물리적인 모니터에서 여러 개의 가상적인 작업 공간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를 통해 작업 환경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lt]+[1]~[3] 단축키는 윈도우 메이커에서 가상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단축키입니다. [Alt]+[1]은 첫 번째 가상화면, [Alt]+[2]는 두 번째 가상화면, [Alt]+[3]은 세 번째 가상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KDE에서 웹브라우저 및 파일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응용프로그램인 Konqueror가 지원하는 편리한 파일관리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파일이나 폴더열기
  2. 드래그 앤 드롭
  3. 파일의 속성설정
  4. 원격 터미널 접속
(정답률: 65%)
  • Konqueror는 원격 터미널 접속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원격 터미널 접속"이 틀린 것입니다. Konqueror는 파일이나 폴더 열기, 드래그 앤 드롭, 파일의 속성 설정 등의 편리한 파일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의 X 윈도우에서 동작하는 이미지 관련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ImageMagick
  2. xv
  3. Photoshop
  4. GIMP
(정답률: 56%)
  • Photoshop은 윈도우나 맥 OS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으로, 리눅스 시스템의 X 윈도우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Photosho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멀티미디어 재생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RealPlayer
  2. GIMP
  3. XMMS
  4. BMP
(정답률: 60%)
  • GIMP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으로,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근거리 통신망인 LAN의 분류 방법인 토폴로지(topology)에 의한 분류로 알맞은 것은?

  1. Linear topology
  2. Circle topology
  3. Ring topology
  4. Network topology
(정답률: 50%)
  • LAN의 분류 방법인 토폴로지(topology)에는 Linear topology, Circle topology, Ring topology, Network topology 등이 있다. 이 중에서 Ring topology는 LAN을 구성하는 컴퓨터들이 일렬로 연결되어 있는 Linear topology와는 달리, 각 컴퓨터들이 서로 링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말한다. 따라서 데이터가 한 방향으로만 전송되는 Linear topology와는 달리, Ring topology에서는 데이터가 링을 따라서 순환하며 전송되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다. 또한, 한 컴퓨터의 고장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아래 토큰링에 대한 설명 중 ( 괄호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Token passthrough
  2. Token out
  3. Token sending
  4. Token passing
(정답률: 71%)
  • 토큰링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권한을 가진 "토큰"이라는 신호가 네트워크 상에서 순환하며, 각 노드는 이 토큰을 받으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을 "Token passing"이라고 부릅니다. (괄호)에 들어갈 내용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권한을 가진 신호가 네트워크 상에서 순환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구성(topology)은 무엇인가?

  1. Mesh topology
  2. Ring topology
  3. Bus topology
  4. Star topology
(정답률: 62%)
  • 위 그림은 Ring topology(링형 구성)이다. 이는 모든 노드가 순환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으로, 각 노드는 양쪽으로 연결된 두 개의 노드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데이터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전송되며,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전송될 때 모든 노드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전송 속도가 빠르고, 한 노드의 장애가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패킷교환기술의 특징을 갖고 있는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X.25
  2. CSMA/CD
  3. Ethernet
  4. IPX
(정답률: 36%)
  • 이미지에서 보이는 패킷 교환 방식은 가상 회선 방식으로, X.25 프로토콜이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 X.25은 전화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었으며, 오랫동안 네트워크 통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 프로토콜은 오류 검출 및 재전송,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TCP/IP 내부 스택과 해당 프로토콜이 알맞은 것은?

  1. 응용계층 : telnet, FTP, HTTP
  2. 전송계층 : TCP, IP, DNS
  3. 인터넷 : ICMP, UDP, SMTP
  4. 네트워크 접근 : 이더넷, 토큰링, FDDI, ARP 등
(정답률: 52%)
  • 응용계층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계층으로, 사용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telnet, FTP, HTTP와 같은 프로토콜이 응용계층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프로토콜의 기본 기능에 대한 설명 중 ( 괄호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Segmentation, (ㄴ) Flow Control
  2. (ㄱ) Error Control, (ㄴ) Flow Control
  3. (ㄱ) Segmentation, (ㄴ) Interrupt
  4. (ㄱ) Error Control, (ㄴ) Interrupt
(정답률: 67%)
  • 이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Segmentation 기능과, 수신측의 처리 속도에 맞춰 데이터를 조절하는 Flow Control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Segmentation, (ㄴ) Flow Contro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telnet으로 시스템에 접속했을 때, 로그인 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해당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알리는 문구를 설정하기 위한 파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etc/passwd
  2. /etc/init.d
  3. /etc/motd
  4. /etc/issue.net
(정답률: 43%)
  • "/etc/issue.net" 파일은 telnet으로 시스템에 접속했을 때, 로그인 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해당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알리는 문구를 설정하기 위한 파일이다. 이 파일은 telnet 서버가 사용하는 파일로, 사용자가 접속할 때 해당 파일의 내용이 화면에 출력된다. 따라서 "/etc/issue.net" 파일이 가장 적절한 파일이다.

    - "/etc/passwd":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된 파일
    - "/etc/init.d": 시스템 초기화 스크립트가 저장된 디렉토리
    - "/etc/motd": 사용자가 로그인 후에 출력되는 메시지를 설정하는 파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메일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적용되는 인터넷 전송규약과 서비스 프로그램 연결이 틀린 것은?

  1.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 imapd
  2.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netd
  3.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sendmail
  4. POP(Post Office Protocol) - qpopper
(정답률: 57%)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은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inetd는 인터넷 서비스 데몬으로, 클라이언트 요청에 따라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ICMP와 inetd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므로, 인터넷 전송규약과 서비스 프로그램 연결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MUA(Mail User Agent)
  2. MTA(Mail Transfer Agent)
  3. MDA(Mail Delivery Agent)
  4. MTU(Mail Transfer Unit)
(정답률: 40%)
  • 이 그림은 이메일 전송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MUA는 이메일을 작성하고 보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MTA는 이메일을 보내는 도중에 다른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MDA는 이메일을 수신자의 메일박스에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MDA가 이메일을 최종적으로 수신자의 메일박스에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답은 MDA입니다. MTU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리눅스 상에서 사용하는 GUI 기반의 FTP 클라이언트로 알맞은 것은?

  1. gFTP
  2. lftp
  3. ncftp
  4. lukemftp
(정답률: 73%)
  • gFTP는 GNOME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GUI 기반의 FTP 클라이언트이기 때문에 리눅스 상에서 사용하기에 알맞다. 다른 보기들은 CLI 기반의 FTP 클라이언트이거나 다른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Secure 기반의 원격제어 서비스와 연관이 없는 것은?

  1. ssh
  2. scp
  3. smv
  4. sftp
(정답률: 53%)
  • 정답은 "smv"입니다. "ssh", "scp", "sftp"는 모두 Secure Shell (SSH)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원격제어 및 파일 전송 서비스이지만, "smv"는 해당 프로토콜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smv"는 일반적으로 "Simple Motor Vehicle"의 약자로 사용되며, 원격제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전송규약(Protocol)과 해당하는 서버 프로그램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FTP – proftpd
  2. SMTP - qmail
  3. HTTP – mozilla
  4. DNS - named
(정답률: 51%)
  • HTTP는 웹 브라우저인 Mozilla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웹 서버인 Apache, Nginx 등과 연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HTTP – mozill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IP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문자(이름) 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DNS
  2. NFS
  3. DHCP
  4. HTTP
(정답률: 78%)
  • 정답은 "DNS"입니다.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IP 주소를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시켜주는 프로토콜입니다. 예를 들어, www.google.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DNS는 해당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찾아서 사용자가 접속하려는 서버에 연결해줍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도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리눅스에서 서비스 가능한 프로토콜 목록이 정의된 시스템 설정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protocols
  2. /etc/services
  3. /dev/protocols
  4. /dev/services
(정답률: 50%)
  • "/etc/protocols"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프로토콜 목록을 정의하는 시스템 설정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이름과 해당 프로토콜의 번호를 매핑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파일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파일 중 하나입니다. "/etc/services" 파일은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서비스 이름을 매핑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입니다. "/dev/protocols"와 "/dev/services" 파일은 존재하지 않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아래와 같이 Kernel IP routing table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netstat
  2. traceroute
  3. hostname
  4. ifconfig
(정답률: 50%)
  • 정답은 "netstat"입니다.

    Kernel IP routing table은 네트워크 라우팅 정보를 담고 있는 테이블입니다. 이 테이블은 운영체제 내부에서 관리되며, 네트워크 패킷이 전송될 때 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최적의 경로를 결정합니다.

    "netstat" 명령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으로, 현재 시스템에서 열린 포트와 연결된 프로세스, 라우팅 테이블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netstat" 명령을 사용하여 Kernel IP routing table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Netmask Address
  2. Gateway Address
  3. Domain Name
  4. Host Name
(정답률: 65%)
  • "Gateway Address"는 다른 네트워크로 나가기 위한 출구 역할을 하는 주소이다. 이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Gateway Address"가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일반적으로 설치된 LAN 카드 중 첫 번째 LAN 카드의 IP주소를 변경할 때 수정해야할 설정 파일이 절대경로를 포함하여 알맞은 것은?

  1. /etc/network-scripts/ifcfg-eth0
  2. /etc/sysconfig/network
  3.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4. /etc/sysconfig/ifcfg-eth0
(정답률: 72%)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은 첫 번째 LAN 카드의 설정 파일이 위치하는 경로이기 때문에 해당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다른 경로의 파일들은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파일이지만, 첫 번째 LAN 카드의 설정 파일이 아닙니다. 따라서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첫번째 이더넷카드에 IP주소를 설정하려고 할 때 ( 괄호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dev –netmask
  2. dev0 - subnet
  3. eth0 –subnet
  4. eth0 - netmask
(정답률: 68%)
  • 정답은 "eth0 - netmask"입니다.

    IP 주소를 설정할 때는 IP 주소와 함께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를 설정해야 합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의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더넷카드의 IP 주소를 설정할 때는 해당 이더넷카드의 이름인 "eth0"과 함께 서브넷 마스크를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eth0 - netmask"입니다.

    그 외의 보기들은 잘못된 형식이거나 존재하지 않는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의 네트워크 설정파일과 명령어를 통해서 공통적으로 변경되는 것은?

  1. Network Address
  2. IP Address
  3. Gateway Address
  4. DNS Address
(정답률: 70%)
  • 네트워크 설정 파일과 명령어에서 공통적으로 변경되는 것은 "Gateway Address"이다. 이는 모든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라우터의 주소를 의미한다. 따라서 모든 컴퓨터에서 이 주소를 설정해야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Network Address"는 서브넷 마스크를 설정할 때 사용되며, "IP Address"는 각 컴퓨터의 고유한 주소를 설정할 때 사용된다. "DNS Addres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TCP와 UD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UDP : 안정적인 비접속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2. UDP :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의 순서를 제공
  3. TCP : 접속기반의 바이트 스트림 프로토콜
  4. TCP : 전 이중 방식이나 신뢰성은 보장할 수 없음
(정답률: 68%)
  • TCP는 접속 기반의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연결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전송한 후에는 연결을 해제합니다. 또한, 데이터를 바이트 스트림으로 전송하며, 전 이중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반면, UDP는 비접속 데이터그램 프로토콜로, 연결 설정과 해제 과정이 없으며, 데이터를 전송할 때 순서를 보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UDP는 TCP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지만,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리눅스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가 아닌 것은?

  1. 고객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사례 지속적 발굴
  2. 우수한 전문 리눅스 엔지니어 배출
  3. 외부 컨설팅에만 의존
  4. 리눅스 기술력 확보
(정답률: 83%)
  • 외부 컨설팅에만 의존은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외부 컨설팅은 일시적인 지원으로서 필요하지만, 지속적인 리눅스 운영과 관리를 위해서는 내부에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외부 컨설팅에만 의존"은 지속적인 운영과 관리를 위한 선결과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모바일 시장을 양분하는 플랫폼으로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는 구글의 스마트폰 운영체제로 알맞은 것은?

  1. LiMo
  2. iOS
  3. Bada
  4. Android
(정답률: 73%)
  • 정답: Android

    설명: Android는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며, 스마트폰 시장에서 가장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LiMo는 리눅스 기반의 모바일 플랫폼이지만, Android보다는 덜 유명하며 사용자 수도 적습니다. iOS는 애플의 모바일 운영체제로, Android와 경쟁 관계에 있습니다. Bada는 삼성전자가 개발한 운영체제로, Android와 경쟁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오픈소스 운영체제인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는 구글의 스마트폰 운영체제는 Androi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클러스터 시스템의 기능 또는 종류가 아닌 것은?

  1. 병렬처리
  2. 부하분산
  3. 고가용성
  4. 무결성
(정답률: 68%)
  • 클러스터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작업을 분산 처리하고 고가용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 중 "무결성"은 클러스터 시스템의 기능이 아니라 데이터베이스나 파일 시스템 등에서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는 속성이다. 따라서 정답은 "무결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병렬처리 시스템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MPI(Message Passing Interface)
  2. Beowulf Cluster Architecture
  3. Embedded Realtime Linux
  4. MPP(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정답률: 43%)
  • 병렬처리 시스템과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Embedded Realtime Linux"이다. 이는 실시간 임베디드 시스템에 사용되는 운영체제로, 병렬처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MPI는 메시지 패싱 인터페이스로 병렬처리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이며, Beowulf Cluster Architecture와 MPP는 대규모 병렬처리 시스템 아키텍처와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