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9-10)

리눅스마스터 2급
(2012-09-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다음 설명하는 디렉터리로 알맞은 것은?

  1. /etc
  2. /boot
  3. /var
  4. /usr
(정답률: 84%)
  • "/etc" 디렉터리는 시스템 설정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부팅 관련 파일, 로그 파일, 시스템 프로그램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설정 파일들이 저장되는 "/etc"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 쉘을 변경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bash
  2. csh
  3. tsch
  4. chsh
(정답률: 84%)
  • 정답: chsh

    설명: chsh는 change shell의 약자로, 사용자의 로그인 쉘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로그인 쉘을 변경하려면 chsh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인 bash, csh, tsch는 각각 쉘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로그인 쉘을 변경하는 명령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명령의 결과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ux1 계정은 /public 디렉토리내에 추가로 파일 생성이 가능하다.
  2. tux1 계정은 tux2.txt의 내용을 볼 수 없다.
  3. tux2 계정은 tux2.txt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4. tux3 계정이 /public 디렉토리내에 파일 생성이 가능하다.
(정답률: 64%)
  • 보기에서 "tux1 계정은 /public 디렉토리내에 추가로 파일 생성이 가능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tux1 계정은 /public 디렉토리내에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의 터미널 장치 파일에 아래의 명령을 실행 하였을 경우, ( 괄호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brw-rw----
  2. crw-rw----
  3. drw-rw----
  4. lrw-rw----
(정답률: 42%)
  • 명령: ls -l tty1

    결과: crw-rw---- 1 root tty 4, 0 9월 10 2020 tty1

    - c: 문자 장치 파일을 나타내는 타입
    - r: 읽기 권한이 있는 것
    - w: 쓰기 권한이 있는 것
    - ----: 실행 권한이 없는 것

    따라서, 정답은 "crw-rw----" 이다. 이 파일은 tty1이라는 문자 장치 파일이며, 소유자는 root이고, 그룹은 tty이다. 소유자와 그룹은 읽기와 쓰기 권한이 있고, 다른 사용자들은 권한이 없다.

    - b: 블록 장치 파일을 나타내는 타입
    - d: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타입
    - l: 심볼릭 링크를 나타내는 타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project 디렉터리에 대해 모든 사용자가 읽기, 쓰기, 실행 가능하며, /project 디렉터리에서 생성 되는 파일 및 디렉터리가 penguin 그룹소유로 되도록 설정할 때 알맞은 명령은?

  1. chmod 2666 /project
  2. chmod 2777 /project
  3. chmod 4666 /project
  4. chmod 4777 /project
(정답률: 68%)
  • 알맞은 명령은 "chmod 2777 /project"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chmod 명령은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 숫자로 표현된 권한 모드에서 첫 번째 숫자는 파일 소유자의 권한, 두 번째 숫자는 그룹 소유자의 권한, 세 번째 숫자는 다른 사용자의 권한을 나타냅니다.
    - 2는 권한 중에 sticky bit를 나타내며, 7은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이 모두 가능함을 나타냅니다.
    - 따라서 "chmod 2777 /project" 명령은 /project 디렉터리에 대해 모든 사용자가 읽기, 쓰기, 실행 가능하며, sticky bit가 설정되어 생성되는 파일 및 디렉터리가 penguin 그룹 소유로 되도록 설정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 )은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 상태를 검색 하거나 quota 기록파일인 "quota.user"파일을 최근의 상태로 갱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괄호)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quotalist
  2. repquota
  3. quoutaupdate
  4. quotacheck
(정답률: 52%)
  • 정답은 "quotacheck"입니다.

    quotacheck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 상태를 검색하거나 quota 기록 파일인 "quota.user" 파일을 최근의 상태로 갱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제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quota 관리를 위한 도구들이지만, quotacheck는 디스크 사용량을 검색하고 갱신하는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파일 시스템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fsck 명령의 옵션들이다. 옵션과 설명이 틀린 것은?

  1. -r : 파일 시스템을 수기하기 전에 확인을 요청
  2. -s :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기 전에 슈퍼블럭을 나열
  3. -V : fsck의 버전정보를 출력한다.
  4. -A : /etc/fstab 파일로 가서 한번에 모든 파일을 점검하려고 시도
(정답률: 46%)
  • 정답: "-s :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기 전에 슈퍼블럭을 나열" 옵션은 틀린 설명이다. "-s" 옵션은 파일 시스템을 읽기 전에 슈퍼블록을 나열한다.

    "-V" 옵션은 fsck의 버전 정보를 출력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fsck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유지보수나 문제 해결 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ext2 파일시스템의 inode에 저장되는 정보 항목이 틀린 것은?

  1. 디스크에서의 위치
  2. 권한
  3. 시간
  4. 마운트된 횟수
(정답률: 65%)
  • 마운트된 횟수는 ext2 파일시스템의 superblock에 저장되는 정보이며, inode에 저장되는 정보 항목이 아닙니다. 이 값은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될 때마다 증가하며, 파일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du 명령에서 사용자들이 알아보기 쉽도록 디스크의 크기를 KB, MB, GB 단위로 보려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h
  2. -l
  3. -x
  4. -s
(정답률: 71%)
  • 정답: -h

    이유: -h 옵션은 "human-readable"의 약자로,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디스크의 크기를 표시해줍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디스크의 크기가 KB, MB, GB 등의 단위로 표시되어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부팅시에 자동으로 파일시스템 점검하도록 설정할 때 참조되는 /etc/fstab의 필드 영역으로 알맞은 것은?

(정답률: 72%)
  • 부팅시에 자동으로 파일시스템 점검하도록 설정할 때 참조되는 /etc/fstab의 필드 영역은 "옵션" 필드이다. 이 필드에는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될 때 적용될 옵션들이 설정된다. "ⓓ"가 정답인 이유는 "옵션" 필드에 "auto"와 "0"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auto"는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하도록 설정하고, "0"은 부팅시 파일시스템 점검을 하도록 설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쉘(shell)로 알맞는 것은?

  1. id
  2. wc
  3. tc
  4. csh
(정답률: 88%)
  • 정답은 "csh"입니다.

    리눅스에서는 다양한 쉘(shell)을 사용할 수 있지만, "csh"는 C 언어와 유사한 문법을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적인 기능을 지원하는 쉘입니다. 특히, C 언어와 유사한 문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C 프로그래머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csh"는 명령어 히스토리 기능이 강화되어 있어 이전에 실행한 명령어를 쉽게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쉘이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내부 명령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ls
  2. alias
  3. set
  4. cd
(정답률: 64%)
  • "ls"는 디렉토리 내의 파일과 디렉토리를 나열하는 외부 명령어이기 때문에, 쉘이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내부 명령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쉘이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내부 명령에 해당합니다. "alias"는 명령어에 대한 별칭을 설정하고, "set"은 쉘 변수를 설정하며, "cd"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Bash 쉘에서 PATH 변수를 구분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콜론(:)
  2. 세미콜론(;)
  3. 샾(#)
  4. 컴마(,)
(정답률: 81%)
  • PATH 변수는 여러 개의 디렉토리 경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경로는 콜론(:)으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PATH 변수를 구분하는 것으로 콜론(:)이 알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bash 사용 중 바로 직전에 사용한 명령을 다시 실행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윗방향 화살표키 (↑)를 누른 후 엔터 키를 누른다.
  2. 왼쪽방향 화살표키 (←)를 누른 후 엔터 키를 누른다.
  3. 명령행에 !! 입력 후 엔터 키를 누른다.
  4. 명령행에 !-1 입력 후 엔터 키를 누른다.
(정답률: 67%)
  • 정답은 "왼쪽방향 화살표키 (←)를 누른 후 엔터 키를 누른다." 이다. 왼쪽방향 화살표키를 누르면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가 나타나며, 엔터 키를 누르면 해당 명령어가 실행된다. 윗방향 화살표키를 누르면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들이 차례대로 나타나며, 엔터 키를 누르면 해당 명령어가 실행된다. !!는 바로 직전에 입력한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명령어이고, !-1은 바로 직전에 실행한 명령어를 실행시키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본인(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who
  2. pwd
  3. cd $HOME; pwd
  4. cat $HOME
(정답률: 43%)
  • 정답은 "cd $HOME; pwd"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who"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홈 디렉토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 "pwd" 명령어는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홈 디렉토리의 경로를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 "cat $HOME" 명령어는 홈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홈 디렉토리의 경로를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cd $HOME; pwd"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 명령어는 먼저 "cd $HOME"을 실행하여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를 홈 디렉토리로 변경한 후, "pwd" 명령어를 실행하여 홈 디렉토리의 경로를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bash 쉘에서 cp 명령어의 alias 적용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틀린 것은?

  1. which cp
  2. alias -a
  3. alias
  4. alias cp
(정답률: 41%)
  • 정답은 "which cp"입니다.

    "which cp"는 cp 명령어의 위치를 찾아주는 명령어이며, alias 적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alias -a"는 현재 적용된 모든 alias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cp 명령어에 대한 alias가 적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alias"와 "alias cp"는 각각 현재 적용된 alias 전체와 cp 명령어에 대한 alias만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쉘이 지정되어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bashrc
  2. /etc/passwd
  3. /etc/shells
  4. /etc/rc.d
(정답률: 55%)
  • 정답은 "/etc/passwd"입니다. 이 파일은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로, 로그인 쉘 정보도 함께 저장됩니다. 따라서 이 파일을 통해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쉘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파일들은 각각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etc/bashrc"는 bash 쉘의 설정 파일, "/etc/shells"는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쉘의 목록을 저장하는 파일, "/etc/rc.d"는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Bash 쉘의 환경변수로 틀린 것은?

  1. $SHELL
  2. $HOME
  3. $ROOT
  4. $PWD
(정답률: 64%)
  • "$ROOT"는 Bash 쉘의 환경변수가 아니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Bash 쉘의 환경변수는 "$SHELL", "$HOME", "$PWD" 등이 있으며, 각각 현재 사용 중인 쉘의 경로,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 경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 경로를 나타낸다. "$ROOT"는 일반적으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root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변수이다. 하지만 Bash 쉘에서는 기본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환경변수로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kernel 이후 최초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로 알맞은 것은?

  1. kthread
  2. klogd
  3. syslogd
  4. init
(정답률: 87%)
  • init은 시스템 부팅 후 최초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로, 다른 프로세스들을 시작하고 시스템 초기화를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init가 kernel 이후 최초로 실행되는 프로세스입니다. kthread는 커널 스레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klogd와 syslogd는 로그 관리를 담당하는 프로세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 간의 상관관계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kill
  2. pstree
  3. top
  4. nice
(정답률: 87%)
  • 정답은 "pstree"입니다.

    "pstree" 명령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들을 트리 형태로 보여주는 명령입니다. 이를 통해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 간의 상관관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프로세스는 자신의 부모 프로세스 ID(PID)를 가지고 있으며, "pstree" 명령을 실행하면 이 PID를 기반으로 프로세스들이 트리 형태로 나열됩니다. 따라서,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 간의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메타 문자로 알맞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82%)
  • 정답은 "&"입니다.

    "&"는 쉘에서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실행시키기 위한 메타 문자입니다. 이 문자를 명령어 뒤에 붙이면 해당 명령어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쉘 프롬프트가 바로 나타납니다. 이렇게 하면 해당 명령어가 실행되는 동안 다른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CTRL-\를 입력했을 때 보내어 지는 시그널로 알맞은 것은?

  1. HUP
  2. QUIT
  3. KILL
  4. CONT
(정답률: 47%)
  • 정답: QUIT

    CTRL-를 입력하면 QUIT 시그널이 보내지며, 이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시그널이다. 이 시그널은 KILL 시그널과 달리 프로세스가 자원을 정리하고 종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CTRL-를 입력하면 프로세스가 안전하게 종료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시그널 이름과 의미가 틀린 것은?

  1. HUP - STOP이나 TSTP에 의해 정지된 프로세스가 다시 실행을 계속한다.
  2. SEGV - 허가되지 않은 메모리 영역에 접근 하였다.
  3. TSTP - 실행을 정지 후 다시 실행을 계속 하기 위하여 대기
  4. TERM – 가능한 한 정상 종료
(정답률: 45%)
  • HUP - STOP이나 TSTP에 의해 정지된 프로세스가 다시 실행을 계속한다. 이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HUP 시그널은 SIGHUP으로, 터미널 연결이 끊어졌을 때 발생하며,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시그널입니다. 따라서 HUP 시그널로 인해 프로세스가 다시 실행을 계속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리눅스에서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

  1. top
  2. procscan
  3. pstree
  4. ps
(정답률: 71%)
  • 정답은 "procscan"입니다. "procscan"은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명령어가 아니며,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명령어로는 "top", "pstree", "ps"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시스템 정보를 확인 할 때 사용하는 top 명령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시스템 프로세스 확인
  2. 시스템 cpu 사용률 확인
  3. 시스템 메모리 사용률 확인
  4. 시스템 디스크 사용률 확인
(정답률: 73%)
  • 정답: "시스템 디스크 사용률 확인"

    top 명령은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고, CPU 및 메모리 사용률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디스크 사용률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df 명령어이다. df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프로세서의 상태를 알아보는 ‘ps’ 명령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상태정보 중 설명이 틀린 것은?

  1. Z : Zooming 상태
  2. R : 실행 중 혹은 실행될 수 있는 상태
  3. S : Sleep 상태
  4. T : Suspend 상태
(정답률: 67%)
  • "Z : Zooming 상태"는 ps 명령으로 얻을 수 있는 상태정보 중에는 없습니다. ps 명령으로 얻을 수 있는 상태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R : 실행 중 혹은 실행될 수 있는 상태
    - S : Sleep 상태
    - T : Suspend 상태
    - D : uninterruptible sleep 상태
    - I : Idle 상태
    - Z : Zombie 상태

    Zombie 상태란,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지만 부모 프로세스가 아직 해당 프로세스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 상태의 프로세스는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지만 실행되지 않으므로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 프로세스가 해당 프로세스의 상태정보를 수집하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프로세스 우선순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프로세스의 우선 순위를 변경할 수 없다.
  2. 일반적으로 프로세스 시작 시 부모 프로세스로 부터 우선순위를 물려받는다.
  3.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값이 작을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4. 프로세스 우선순위는 프로세스 실행 중에만 변경이 가능하다.
(정답률: 71%)
  • "프로세스 우선순위는 프로세스 실행 중에만 변경이 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이다. 프로세스 우선순위는 실행 중이 아닌 대기 상태에서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대기 중인 경우 우선순위가 낮은 프로세스보다 먼저 실행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cr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ron은 일반유저도 사용가능하다.
  2. crontab 파일은 한 라인은 총 6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3. cron 수행 결과는 mail 유틸리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4. crontab 파일은 작성한 사용자의 환경설정을 상속받는다.
(정답률: 39%)
  • "crontab 파일은 작성한 사용자의 환경설정을 상속받는다."가 틀린 설명이다. crontab 파일은 사용자의 환경설정을 상속받지 않는다. 따라서 crontab 파일에서 실행되는 명령어는 사용자의 환경설정과는 별개로 실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에디터로 틀린 것은?

  1. editplus
  2. vi
  3. emacs
  4. pico
(정답률: 85%)
  • 정답은 "editplus"입니다. "editplus"는 윈도우에서 사용 가능한 텍스트 에디터이며, 리눅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vi 편집기의 명령모드에서 입력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key)중 틀린 것은?

  1. I
  2. p
  3. o
  4. a
(정답률: 73%)
  • 정답은 "p"입니다. "p"는 명령모드에서 붙여넣기(paste)를 수행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입력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i"를 사용합니다. "i"는 현재 커서 위치에서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vi 에디터에서 문서 작성 “dd” 명령어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현재 문서 전체 삭제
  2. 커서가 위치한 행 삭제
  3. 커서가 위치한 아래 행 삭제
  4. 커서가 위치한 아래 행 모두 삭제
(정답률: 82%)
  • "dd" 명령어는 커서가 위치한 행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커서가 위치한 행만 삭제하기 때문에 "커서가 위치한 행 삭제"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현재 문서 전체를 삭제하거나 커서가 위치한 아래 행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텍스트 편집기인 pico에서 편집을 종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축키로 알맞은 것은?

  1. <Ctrl + A>
  2. <Ctrl + E>
  3. <Ctrl + X>
  4. <Ctrl + O>
(정답률: 75%)
  • 정답: "<Ctrl + X>"

    이유: "<Ctrl + X>"는 pico에서 현재 편집 중인 파일을 종료하고 저장 여부를 묻는 명령어이다. "X"는 "eXit"의 약자이며, "<Ctrl + X>"를 누르면 현재 작업 중인 파일을 종료하고 메인 메뉴로 돌아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vi 에디터 사용 중에 http 라는 단어를 ftp 라는 단어로 모두 변경 할 경우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1,$s/http/ftp/d
  2. :1,$f\http\ftp\d
  3. :1,$s/http/ftp/g
  4. :1.$s\http\ftp\g
(정답률: 68%)
  • 정답은 ":1,$s/http/ftp/g" 이다.

    해당 명령은 vi 에디터에서 http 라는 단어를 ftp 라는 단어로 모두 변경하는 명령이다.

    - :1 : 첫 번째 줄부터 시작한다는 의미
    - ,$ : 문서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는 의미
    - s/ : substitute(대체) 명령어를 사용한다는 의미
    - http/ftp/ : http 를 ftp 로 대체한다는 의미
    - g : 한 줄에서 여러 개의 http 가 있을 경우 모두 대체한다는 의미

    따라서, ":1,$s/http/ftp/g" 명령어를 사용하면 문서 전체에서 http 를 ftp 로 모두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vi 에디터 사용 중에 G 명령어 수행으로 알맞은 것은?

  1. 작성중인 문서 맨 상단으로 커서 이동
  2. 작성중인 문서 맨 하단으로 커서 이동
  3. 작성중인 문서를 이전 문서로 돌림
  4. 작성중인 문서 자동 저장기능 활성화
(정답률: 59%)
  • 정답은 "작성중인 문서 맨 하단으로 커서 이동"입니다.

    G 명령어는 커서를 문서의 특정 라인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어입니다. 숫자와 함께 사용하면 해당 라인으로 이동하고, 숫자 없이 사용하면 문서의 맨 마지막 라인으로 이동합니다. 따라서 G 명령어를 사용하면 작성중인 문서의 맨 하단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리눅스 프린터 작동에 관한 명령으로 틀린 것은?

  1. lprm
  2. lpc
  3. lps
  4. lpq
(정답률: 68%)
  • 정답은 "lps"입니다. "lps"는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명령어가 아니며, 프린터 작동과 관련이 없습니다. "lprm"은 프린터 큐에서 작업을 삭제하고, "lpc"는 프린터 관리를 위한 명령어입니다. "lpq"는 프린터 큐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설치된 모든 패키지 정보를 알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rpm -qq
  2. rpm -qa
  3. rpm -qs
  4. rpm –qo
(정답률: 84%)
  • 정답은 "rpm -qa"입니다.

    이유는 "rpm -qa" 명령어는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의 정보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rpm -qq"는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만 확인할 수 있고, "rpm -qs"는 패키지의 설명(description) 정보만 보여주며, "rpm -qo"는 특정 파일이 어떤 패키지에 속해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따라서, 설치된 모든 패키지 정보를 알고자 할 때는 "rpm -qa"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중 boy.tar.bz2 압축 파일을 풀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unzip boy.tar.bz2
  2. tar -zxvf boy.tar.bz2
  3. tar -jxvf boy.tar.bz2
  4. tar -xxvf boy.tar.bz2
(정답률: 58%)
  • 정답: tar -jxvf boy.tar.bz2

    이유: boy.tar.bz2는 bzip2로 압축된 tar 파일이므로, tar 명령어를 사용하여 압축을 해제해야 한다. -j 옵션은 bzip2로 압축된 파일을 해제할 때 사용하며, -x 옵션은 압축을 해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v 옵션은 작업 내용을 자세히 출력하고, -f 옵션은 파일 이름을 지정한다. 따라서 tar -jxvf boy.tar.bz2 명령어를 사용하여 boy.tar.bz2 파일을 압축 해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rpm --nodeps 옵션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이미 설치된 rpm을 제거 한다
  2. 설치나 삭제 진행시 의존성을 무시하고 진행한다.
  3. 설치 진행 과정을 ‘#’으로 보여준다.
  4. 이미 설치된 rpm을 업그레이드 한다.
(정답률: 83%)
  • --nodeps 옵션은 설치나 삭제 진행시 의존성을 무시하고 진행하는 옵션이다. 즉, 해당 rpm이 의존하는 패키지가 없어도 강제로 설치나 삭제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의존성 문제로 인해 설치나 삭제가 실패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gzip의 압축률을 높이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gzip -c
  2. gzip -h
  3. gzip -9
  4. gzip –1
(정답률: 61%)
  • 정답은 "gzip -9"입니다. 이는 gzip의 압축 레벨을 9로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이 레벨은 압축률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압축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축률이 높아야 할 경우에는 이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tar 명령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 : 새로운 묶음파일 생성
  2. -v : 해당 작업을 자세히 보여줌
  3. -f : 파일명 지정
  4. -t : 묶음파일 풀기
(정답률: 70%)
  • 정답: "-t : 묶음파일 풀기"

    tar 명령의 -t 옵션은 묶음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옵션이며, 즉 묶음파일을 풀어주는 것이 아니라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다. 올바른 묶음파일 풀기 옵션은 -x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

  1. rpm –evh
  2. rpm -Uvh
  3. rpm –ivh
  4. dpkg –i
(정답률: 60%)
  • 정답은 "rpm –evh"입니다.

    "rpm –evh"는 패키지를 제거하는 명령어이며, 설치하는 명령어는 아닙니다.

    따라서, 올바른 패키지 설치 명령어는 "rpm -Uvh" 또는 "rpm –ivh", "dpkg –i" 입니다.

    "rpm -Uvh"는 이미 설치된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하거나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며, "rpm –ivh"는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dpkg –i"는 데비안 계열 리눅스에서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debian 패키지의 --purge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패키지의 사용 방법에 대한 옵션
  2. 패키지의 유형을 알기 위한 명령 옵션
  3. 패키지의 제거를 위한 명령
  4. 어떤 패키지에서 취급하는지 알고자 하는 경우 사용되는 옵션
(정답률: 57%)
  • --purge 옵션은 패키지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명령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패키지와 관련된 모든 파일과 설정이 삭제됩니다. 따라서 패키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리눅스에서 프린터 프린터 큐에 대기중인 인쇄 작업을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lpqrm
  2. lprm
  3. lpdel
  4. lpqchg
(정답률: 72%)
  • 정답은 "lprm"입니다.

    "lprm"은 리눅스에서 프린터 큐에 대기중인 인쇄 작업을 삭제하는 명령입니다. "lpqrm"과 "lpdel"은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며, "lpqchg"는 프린터 큐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LPRng를 사용할 때 프린터 설정과 설치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printsetup
  2. printconf
  3. printcap
  4. printers
(정답률: 64%)
  • LPRng에서 프린터 설정과 설치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는 파일은 "printcap"입니다. 이 파일은 각각의 프린터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프린터 이름, 프린터 타입, 프린터 위치, 출력 명령어 등의 정보를 포함합니다. LPRng은 이 파일을 참조하여 프린터를 구성하고 관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아래의 설명에서 ( 괄호 )에 알맞은 것은?

  1. /usr/share/linux/Documentation/sound
  2. /etc/share/linux/Documentation/sound
  3. /usr/src/linux/Documentation/sound
  4. /etc/src/linux/Documentation/sound
(정답률: 41%)
  • "/usr/src/linux/Documentation/sound"은 리눅스 커널 소스 코드가 저장되는 디렉토리인 "/usr/src/linux" 안에 있는 "Documentation/sound" 경로에 해당하는 디렉토리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존재하지 않는 경로이거나, 잘못된 경로를 나타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프린터 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린터에서 사용할 이름과 임시로 저장할 스풀 디렉터리로 사용한다.
  2. 프린트 도중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스풀링 되어 있는 파일은 즉시 삭제된다.
  3. 네트워크 공유 프린터의 점유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스풀 디렉터리의 용량을 조절한다.
  4. 프린터 명령을 실행했을 때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정답률: 68%)
  • "프린트 도중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스풀링 되어 있는 파일은 즉시 삭제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이는 스풀링된 파일이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전원이 켜졌을 때 해당 파일을 다시 인쇄하도록 대기 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스풀링은 프린터가 인쇄 작업을 처리하는 동안 컴퓨터의 메모리나 디스크에 임시로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postscript 프린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단 현상 같은 것이 없는 고해상도의 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2. 드라이버는 상용 제품이기 때문에 구입, 설치의 과정이 필요하다.
  3. 포스트스크립트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포스트스크립트 프린터용 드라이버가 설치 되어야 한다.
  4. 포스트스크립트는 Adobe 사에서 만든 프린터 전용 스크립트 언어이다.
(정답률: 58%)
  • 정답은 "드라이버는 상용 제품이기 때문에 구입, 설치의 과정이 필요하다."이다. 이유는 포스트스크립트 프린터용 드라이버는 제조사나 제3자에서 제공하는 상용 제품이기 때문에 구입하고 설치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포스트스크립트 프린터의 특징이나 필요한 조건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프린터 lp0를 이용하여 ihd.txt 파일을 인쇄하려고 할 때 명령으로 틀린 것은?

  1. lpr -#10 > ihd.txt
  2. cat ihd.txt > /dev/lp0
  3. pr ihd.txt | lpr
  4. cat ihd.txt | lpr
(정답률: 38%)
  • 정답: "lpr -#10 > ihd.txt"

    설명:
    - "cat ihd.txt > /dev/lp0": ihd.txt 파일을 읽어서 lp0 프린터로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 "pr ihd.txt | lpr": ihd.txt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출력하기 위해 pr 명령어를 사용하고, 그 결과를 lpr 명령어로 출력한다.
    - "cat ihd.txt | lpr": ihd.txt 파일을 읽어서 lpr 명령어로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하지만 "lpr -#10 > ihd.txt"는 올바르지 않은 명령어이다. lpr 명령어는 파일을 인자로 받아서 출력하는데, 이 명령어에서는 출력할 파일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 또한 -#10 옵션은 출력할 페이지 수를 지정하는데, 이 명령어에서는 페이지 수를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활용

49. 다음 중 X 윈도우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네트워크 기반의 그래픽 환경이다.
  2.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다.
  3.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의 인터페이스를 만들 수 있다.
  4. 서로 다른 이 기종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0%)
  •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X 윈도우 시스템은 네트워크 기반의 그래픽 환경으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서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출력을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에서 보여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텍스트 모드로 부팅되는 리눅스 시스템을 X윈도우로 부팅되도록 변경하고자 할 때 수정한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fstab
  2. /etc/inittab
  3. /etc/X11/XF86Config
  4. /etc/X11/xorg.conf
(정답률: 66%)
  • 정답: /etc/inittab

    설명: /etc/inittab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의 초기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수정하여 시스템이 텍스트 모드로 부팅되는 대신 X윈도우로 부팅되도록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etc/inittab 파일에서 기본 런레벨을 5로 변경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X 프로토콜 - (ㄴ) X 클라이언트 - (ㄷ) X 서버
  2. (ㄱ) X 프로토콜 - (ㄴ) X 서버 - (ㄷ) X 클라이언트
  3. (ㄱ) X lib - (ㄴ) X 클라이언트 - (ㄷ) X 서버
  4. (ㄱ) X lib - (ㄴ) X 서버 - (ㄷ) X 클라이언트
(정답률: 54%)
  • (ㄱ) X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규약을 정의하고 있으므로, (ㄴ) X 서버와 (ㄷ) X 클라이언트는 이 규약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갖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ㄱ) X 프로토콜 - (ㄴ) X 서버 - (ㄷ) X 클라이언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은 무엇인가?

  1. Enlightenment
  2. 윈도우 메이커
  3. mwm
  4. fvwm
(정답률: 43%)
  • 이미지에서 보이는 윈도우 메이커의 이름은 "fvw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포토 리터칭, 이미지 합성, 이미지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리눅스용 저작도구로 알맞은 것은?

  1. GIMP
  2. MTV
  3. XMMS
  4. Real Player
(정답률: 78%)
  • 정답: GIMP

    설명: GIMP는 GNU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GNU Image Manipulation Program)의 약자로, 포토 리터칭, 이미지 합성, 이미지 제작 등 다양한 그래픽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리눅스용 저작도구입니다. GIMP는 무료이며, 다양한 플러그인과 확장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GIMP는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어서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GNOME과 가장 관련이 깊은 라이브러리로 알맞은 것은?

  1. Qt
  2. Motif
  3. Xaw
  4. GTK+
(정답률: 73%)
  • 정답: GTK+

    GNOME은 GTK+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한다. GTK+는 GNOME 뿐만 아니라 다양한 리눅스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되는 GUI 라이브러리이다. 따라서 GNOME과 가장 관련이 깊은 라이브러리는 GT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X 윈도우를 강제 종료하기 위한 조합키로 알맞은 것은?

  1. Ctrl + Alt + F1
  2. Ctrl + Alt + F7
  3. Ctrl + Alt + Esc
  4. Ctrl + Alt + BackSpace
(정답률: 70%)
  • 정답: "Ctrl + Alt + BackSpace"

    설명: "Ctrl + Alt + BackSpace" 조합키는 X 윈도우 시스템에서 현재 실행 중인 X 서버를 강제로 종료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X 서버가 먹통이 되었을 때 사용됩니다. 다른 조합키들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Ctrl + Alt + F1"은 텍스트 모드 콘솔로 전환하고, "Ctrl + Alt + F7"은 그래픽 모드로 전환합니다. "Ctrl + Alt + Esc"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시키는 역할을 하며, "Ctrl + Alt + BackSpace"와 같이 X 윈도우 시스템에서만 사용되는 조합키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윈도우 매니저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fvwm
  2. twm
  3. xdm
  4. mwm
(정답률: 53%)
  • 정답은 "xdm"입니다.

    "xdm"은 윈도우 매니저가 아니라 X 디스플레이 매니저입니다. X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로그인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X 윈도우 시스템을 시작합니다.

    따라서, "fvwm", "twm", "mwm"은 모두 윈도우 매니저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중앙에 위치한 컴퓨터가 각 컴퓨터와 통신하는 방식으로 중앙의 제어기(허브 또는 교환기)를 중심으로 모든 기기는 포인트 투 포인트 형태로 연결하는 통신망 구조 중 알맞은 것은?

  1. 스타 토폴로지
  2. 버스 토폴로지
  3. 링 토폴로지
  4. 망(Mesh) 토폴로지
(정답률: 71%)
  • 스타 토폴로지는 중앙의 제어기를 중심으로 모든 기기가 포인트 투 포인트 형태로 연결되는 통신망 구조입니다. 이 구조는 각 기기가 중앙 제어기를 통해 통신하기 때문에 전체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관리가 용이하며, 한 기기의 고장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스타 토폴로지는 기업이나 학교 등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각 클라이언트의 통신회선의 사용 여부를 반송파를 통해 진단한 후 패킷을 전송하여 동시에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막아주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CSMA
  2. IPX
  3. FDDI
  4. NetBEUI
(정답률: 71%)
  • 정답: CSMA

    설명: CSMA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의 약자로, 각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반송파를 감지하여 통신 회선이 사용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 중이 아니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를 통해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충돌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SMA는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IPX, FDDI, NetBEUI는 모두 네트워크 프로토콜이지만, 각각의 특징과 용도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회선 교환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송신측과 수신측을 연결하는 데 유동적인 회선을 통하는 방식이다.
  2. 송신측과 수신측이 연결되면 그 회선은 다른 사람이 쓸 수 없다.
  3. 초기 전화시스템이 회선 교환 방식의 대표적인 예이다.
  4. 호출 후에는 오버헤드 비트가 없다.
(정답률: 47%)
  • "호출 후에는 오버헤드 비트가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회선 교환 방식은 송신측과 수신측을 연결하는 데 유동적인 회선을 통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전화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전화기를 들어 번호를 누르면 해당 번호와 연결되는 회선이 유동적으로 할당됩니다. 이후에는 그 회선을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호출 후에도 오버헤드 비트가 존재합니다. 오버헤드 비트는 전송되는 데이터 외에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비트로,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 검출 및 제어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호출 후에도 오버헤드 비트는 계속 전송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ISO(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에서 담당하는 업무로 알맞은 것은?

  1. IP와 도메인
  2. 전기 전송 표준
  3. OSI 프로토콜
  4. LAN의 접속규격과 처리에 대한 표준
(정답률: 71%)
  • ISO는 국제 표준화 기구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합니다. 그 중에서도 OSI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로, 데이터 통신을 위한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SO는 이러한 OSI 프로토콜을 표준화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일종의 입구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라우터
  2. 리피터
  3. 브리지
  4. 게이트웨이
(정답률: 65%)
  •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일종의 입구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담당하며,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OSI 7계층을 하위 계층부터 상위 계층으로 나열한 것이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표현계층 - (ㄴ) 전송계층 - (ㄷ) 세션계층
  2. (ㄱ) 표현계층 - (ㄴ) 세션계층 - (ㄷ) 전송계층
  3. (ㄱ) 전송계층 - (ㄴ) 세션계층 - (ㄷ) 표현계층
  4. (ㄱ) 전송계층 - (ㄴ) 표현계층 - (ㄷ) 세션계층
(정답률: 74%)
  • 정답은 "(ㄱ) 전송계층 - (ㄴ) 세션계층 - (ㄷ) 표현계층"입니다. 이유는 전송계층은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고, 세션계층은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며, 표현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고 암호화/복호화를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과 관련된 전송계층이 가장 하위에 위치하고, 세션계층과 표현계층이 그 위에 위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TCP와 UDP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TCP는 UDP와 비교했을 때 전송 속도가 빠르고,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2. UDP는 end-to-end 에러탐지와 수정기능을 가지고 있다.
  3. UDP는 데이터가 올바른 순서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해준다.
  4. TCP는 접속기반의 바이트 스트림(byte-stream)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65%)
  • TCP는 접속기반의 바이트 스트림(byte-stream) 프로토콜이다. - TCP는 연결 지향적이며, 데이터를 일련의 바이트 스트림으로 처리한다. 이에 반해 UDP는 비연결성 프로토콜로,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etc/protocol - (ㄴ) /etc/service
  2. (ㄱ) /etc/protocols - (ㄴ) /etc/service
  3. (ㄱ) /etc/protocol - (ㄴ) /etc/services
  4. (ㄱ) /etc/protocols - (ㄴ) /etc/services
(정답률: 50%)
  • (ㄱ) /etc/protocols 파일은 인터넷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고, (ㄴ) /etc/services 파일은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를 사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두 파일은 네트워크 설정과 관련된 중요한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B 클래스 네트워크에 속한 IP주소로 알맞은 것은?

  1. 10.10.10.2
  2. 127.10.10.125
  3. 191.155.140.122
  4. 192.168.33.12
(정답률: 65%)
  • B 클래스 네트워크의 IP 주소 범위는 128.0.0.0 ~ 191.255.255.255 이므로, "191.155.140.122"는 B 클래스 네트워크에 속한 IP 주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프로토콜의 기본 기능에 대한 설명 중 ( 괄호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Error Control, (ㄴ) Interrupt
  2. (ㄱ) Segmentation, (ㄴ) Interrupt
  3. (ㄱ) Error Control, (ㄴ) Flow Control
  4. (ㄱ) Segmentation, (ㄴ) Flow Control
(정답률: 67%)
  • 이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ㄱ) Segmentation 기능과,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부터 받은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ㄴ) Flow Control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로 틀린 것은?

  1. Firefox
  2. Opera
  3. Safari
  4. Mozilla
(정답률: 57%)
  • 정답은 "Safari"입니다. Safari는 애플사의 제품으로 macOS와 iOS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따라서 리눅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get - (ㄴ) put
  2. (ㄱ) put - (ㄴ) get
  3. (ㄱ) cp - (ㄴ) mv
  4. (ㄱ) mv - (ㄴ) cp
(정답률: 80%)
  • 이미지에서는 파일을 가져오는 명령어인 "get"과 파일을 저장하는 명령어인 "put"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ㄱ) get - (ㄴ) pu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IRC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공통의 주제별로 모여 정보를 나누고 토론하는 자유게시판 서비스이다.
  2. 인터넷상에서 채팅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3. 인터넷 회선을 이용하야 음성을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4. 인터넷에 연결된 원격 호스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정답률: 66%)
  • 인터넷상에서 채팅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모뎀과 전화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 가장 관계가 깊은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POP3
  2. DHCP
  3. ICMP
  4. SLIP
(정답률: 51%)
  • 정답: SLIP

    SLIP은 시리얼 라인 인터넷 프로토콜(Serial Line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모뎀과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SLIP은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을 시리얼 라인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인터넷 접속 시 모뎀과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모뎀과 전화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 SLIP이 가장 관계가 깊은 프로토콜입니다. POP3는 이메일 수신 프로토콜, DHCP는 IP 주소 자동 할당 프로토콜,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리눅스 인터페이스 중 loopback interface에 할당되는 디바이스 이름으로 알맞은 것은?

  1. eth0
  2. virbr0
  3. lo
  4. ppp0
(정답률: 71%)
  • loopback interface는 자신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가상의 인터페이스이며, 네트워크 카드가 아닌 컴퓨터 자체를 가리키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따라서 loopback interface에 할당되는 디바이스 이름은 "l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ifconfig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주소, 넷마스크값,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설정한다.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킨다.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DNS 값을 설정한다.
  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맥 주소(Mac Address)를 변경한다.
(정답률: 46%)
  • ifconfig 명령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주소, 넷마스크값,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설정하거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거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맥 주소(Mac Address)를 변경할 수 있지만, DNS 값을 설정하는 기능은 없다. DNS 값을 설정하는 명령은 다른 명령어인 "resolv.conf" 파일을 수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시스템에 설정된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ifconfig
  2. ipconfig
  3. route
  4. ping
(정답률: 64%)
  • 정답은 "route"입니다.

    "route" 명령어는 시스템의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주는 명령어로, 게이트웨이 주소값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ipconfig"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ping"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며,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확인하는데에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exam.ihd.or.kr 도메인의 IP주소를 조회하려고 할 때 알맞은 명령어는?

  1. ifconfig
  2. netstat
  3. nslookup
  4. ping
(정답률: 66%)
  • 정답은 "nslookup"이다.

    "nslookup"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에게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exam.ihd.or.kr 도메인의 IP 주소를 조회하려면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netstat"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ping"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거나 호스트에 대한 응답 시간을 측정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은 설정된 DNS 서버 주소를 확인하는 내용이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ns
  2. dns
  3. domain
  4. nameserver
(정답률: 61%)
  • 보기에서 정답이 "nameserver"인 이유는 설정된 DNS 서버 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어인 "nslookup"에서 "ns"가 nameserver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nameserver가 필요하다. 따라서 DNS 서버 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어에서는 nameserver를 사용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부팅시 첫 번째 이더넷 카드에 할당되는 IP주소를 확인 할 수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ifcfg-eth0
  2. /etc/sysconfig/ifcfg-eth0
  3.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4. /etc/sysconfig/networking/ifcfg-eth0
(정답률: 65%)
  • 정답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입니다.

    이 파일은 레드햇 계열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파일 중 하나입니다. 이 파일은 첫 번째 이더넷 카드에 대한 설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파일을 수정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팅시 첫 번째 이더넷 카드에 할당되는 IP 주소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 파일을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첫번째 이더넷카드에 IP주소를 설정하려고 할 때 ( 괄호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eth0 – subnet
  2. eth0 - netmask
  3. dev – netmask
  4. dev0 - subnet
(정답률: 71%)
  • 정답은 "eth0 - netmask"입니다.

    이더넷카드에 IP주소를 설정할 때는 IP주소뿐만 아니라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도 함께 설정해야 합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의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미지에서 보면 eth0에 IP주소 192.168.0.1과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는 192.168.0.0 네트워크에 속하는 호스트 중에서 1번 호스트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eth0 - netmas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iOS
  2. 안드로이드
  3. 심비안
  4. 블랙베리
(정답률: 73%)
  • 위 그림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드로이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iOS, 심비안, 블랙베리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에서 설명하는 리눅스 기반 공개형 서버 가상화 기술로 알맞은 것은?

  1. Xen
  2. KVM
  3. VirtualBox
  4. VMware
(정답률: 34%)
  • 위 그림은 KVM을 사용한 가상화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KVM은 리눅스 커널에서 제공하는 가상화 모듈을 이용하여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KVM은 리눅스 기반의 공개형 서버 가상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의 환경에 적합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알맞은 것은?

  1.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2. PaaS(Platform as a Service)
  3. SaaS(Software as a Service)
  4. DaaS(Database as a Service)
(정답률: 57%)
  • 이 환경에서는 기업이 직접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비스를 선택하면 클라우드 공급자가 인프라를 제공하고 관리해주므로 기업은 인프라에 대한 걱정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