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12-07)

리눅스마스터 2급
(2013-12-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다음 중 사용자가 소스 컴파일하여 설치하는 프로그램을 위치시키는 디렉터리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lib
  2. /etc
  3. /usr/local
  4. /usr
(정답률: 61%)
  • "/usr/local" 디렉터리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설치되지 않은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설치하는 프로그램을 위치시키는 디렉터리입니다. 이 디렉터리는 시스템 전역에서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이 아니라 로컬 사용자나 관리자가 설치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다른 디렉터리와는 달리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현재 white.txt 허가권이 644이다. 아래의 보기와 같이 변경하고자 할 때 알맞은 것은?

  1. chmod 755 white.txt
  2. chmod u=x,g=x,o=x white.txt
  3. chmod ugo+r white.txt
  4. chmod ugo=wx white.txt
(정답률: 84%)
  • 정답은 "chmod 755 white.txt"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chmod: 파일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 755: 권한 설정 값
    - 7: 소유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
    - 5: 그룹에게 읽기, 실행 권한을 부여
    - 5: 다른 사용자에게 읽기, 실행 권한을 부여
    - white.txt: 권한을 변경할 파일 이름

    즉, "chmod 755 white.txt"는 white.txt 파일에 대해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가지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 실행 권한을 가지도록 권한을 변경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chmod u=x,g=x,o=x white.txt":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에게 실행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 "chmod ugo+r white.txt":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에게 읽기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 "chmod ugo=wx white.txt":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에게 실행 권한을 부여하고, 읽기 권한을 제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특정 그룹의 다른 사용자와 파일을 공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groupmod
  2. chgrp
  3. chsh
  4. chown
(정답률: 66%)
  • 정답: chgrp

    chgrp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그룹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특정 그룹의 다른 사용자와 파일을 공유할 때, 해당 그룹의 그룹 소유자로 파일을 변경하여 공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hgrp가 가장 알맞은 명령어입니다.

    - groupmod: 그룹을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 chsh: 사용자의 쉘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 chown: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chsh 명령어의 버전정보를 출력해주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s
  2. -l
  3. -u
  4. -v
(정답률: 82%)
  • 정답: "-v"

    설명: "-v" 옵션은 chsh 명령어의 버전 정보를 출력해줍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chsh 명령어의 현재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umask 설정값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umask 는 파일 및 디렉터리 생성시 기본권한을 설정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2. 기본적인 umask 값은 8진수로 022 또는 002이다.
  3. umask 값이 8진수로 022일때 파일을 생성하면 권한은 644이다.
  4. umask 값 설정은 root만이 가능하다.
(정답률: 71%)
  • "umask 값 설정은 root만이 가능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umask 값은 모든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일반 사용자도 자신의 umask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다만, root 권한으로 설정한 umask 값은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NFS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리눅스 파일 시스템간에 네트워크로 Disk 공간을 공유할 때 쓰인다.
  2. 리눅스와 윈도우 파일 시스템간에 네트워크로 Disk 공간을 공유할 때 쓰인다.
  3. 리눅스와 유닉스 파일 시스템간에 네트워크로 파일 공유할 때 사용한다.
  4. 리눅스와 리눅스 시스템간에 네트워크로 파일을 공유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62%)
  • "리눅스와 유닉스 파일 시스템간에 네트워크로 파일 공유할 때 사용한다." 가장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NFS(Network File System)는 파일 시스템을 네트워크로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주로 리눅스와 윈도우 파일 시스템간에 디스크 공간을 공유할 때 사용됩니다. NFS는 리눅스와 리눅스 시스템 간에도 파일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irc
  2. samba
  3. telnet
  4. ssh
(정답률: 81%)
  • 보기 중에서 "ssh"는 안전하게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다른 프로토콜들은 보안에 취약하거나 오래된 기술이기 때문에 "ssh"가 가장 안전하고 현대적인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로 장착하고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여 사용하려고 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mount → fdisk → mkfs
  2. fdisk → mkfs → mount
  3. mkfs → fdisk → mount
  4. mount → mkfs → fdisk
(정답률: 81%)
  • 정답은 "fdisk → mkfs → mount" 입니다.

    1. fdisk: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하면 우선 fdisk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2. mkfs: 파티션을 생성한 후, mkfs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3. mount: 파일 시스템을 생성한 후, mount 명령어를 사용하여 해당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합니다.

    따라서, fdisk → mkfs → mount 순서로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특정 사용자나 그룹에서 하드 디스크를 많이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 용량에 제한을 두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mkfs
  2. df
  3. quota
  4. free
(정답률: 76%)
  • 정답은 "quota"입니다.

    "quota"는 특정 사용자나 그룹이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용량을 제한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하드 디스크를 많이 사용하는 사용자나 그룹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mkfs"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이고, "df"는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free"는 메모리 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결과를 보여주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quotastats
  2. edquota
  3. quotaon
  4. repquota
(정답률: 55%)
  • "repquota"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할당량 정보를 보고하는 명령어입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각 사용자의 할당량과 사용량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명령어가 가장 알맞습니다. "quotastats"는 디스크 할당량 통계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edquota"는 사용자의 디스크 할당량을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quotaon"은 파일 시스템에 할당량을 적용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셸로 틀린 것은?

  1. Korn shell
  2. C shell
  3. Bourne Agin Shell
  4. Term shell
(정답률: 73%)
  • Term shell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셸이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셸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사용자의 명령이 셸(Shell)을 통해 시스템에 전달되는 과정의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Terminal → Device Driver → Shell → Linux Kernel
  2. Terminal → Shell → Device Driver → Linux Kernel
  3. Shell → Terminal → Device Driver → Linux Kernel
  4. Linux Kernel → Shell → Device Driver → Terminal
(정답률: 65%)
  • 정답: "Terminal → Device Driver → Shell → Linux Kernel"

    설명: 사용자가 터미널(Terminal)을 통해 명령을 입력하면, 이 명령은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를 통해 셸(Shell)로 전달됩니다. 셸은 이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해 리눅스 커널(Linux Kernel)에 요청을 보내고, 리눅스 커널은 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Terminal → Device Driver → Shell → Linux Kernel"이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chsh -l 명령으로 사용가능한 셸의 목록을 출력할 때 참고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shells
  2. /usr/shells
  3. /etc/shadow
  4. /bin/shells
(정답률: 73%)
  • 정답: "/etc/shells"

    설명: "/etc/shells" 파일은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셸의 목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chsh -l 명령은 이 파일을 참조하여 사용 가능한 셸의 목록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etc/shells" 파일이 정답입니다. "/usr/shells" 파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etc/shadow" 파일은 사용자 계정의 암호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bin/shells" 파일은 존재하지 않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Ctrl-Z 를 누르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일시 중지상태가 되도록 설정해주는 리눅스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pwd
  2. wc
  3. chsh
  4. stty
(정답률: 68%)
  • 정답: stty

    설명: stty는 터미널 설정을 변경하는 명령어로, Ctrl-Z를 누르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일시 중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른 작업을 수행하거나, 중지된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시킬 수 있다. pwd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출력하는 명령어, wc는 파일이나 표준 입력에서 단어, 줄, 문자 수를 세는 명령어, chsh는 사용자의 로그인 셸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본(Bourne) 셸에서 PATH 변수의 구분자로 알맞은 것은?

  1. 역슬래시 (\)
  2. 슬래시 (/)
  3. 콜론 (:)
  4. 세미콜론 (;)
(정답률: 74%)
  • 본 셸에서 PATH 변수의 구분자로는 콜론 (:)을 사용합니다. 이는 UNIX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분자이며, PATH 변수는 여러 디렉토리 경로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PATH 변수에 디렉토리 경로를 추가할 때는 경로와 경로 사이에 콜론을 사용하여 구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Bash의 history 기능에서 기억하는 명령의 개수를 100으로 설정할 때 사용하는 환경변수로 알맞은 것은?

  1. HISTCMD
  2. HISTFILE
  3. HISTSIZE
  4. HISTSTACK
(정답률: 85%)
  • 정답: HISTSIZE

    설명: HISTSIZE 환경변수는 Bash history에서 기억하는 명령의 개수를 설정하는 변수입니다. 이 변수를 설정하면 Bash는 해당 개수만큼의 명령을 기억하고, 그 이상의 명령은 기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HISTSIZE를 100으로 설정하면 Bash는 최근 100개의 명령만 기억하고, 그 이전의 명령은 기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bash에서 설정되어있는 alias 전체를 해제 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unalias -a
  2. unalias -A
  3. unalias -c
  4. unalias -t
(정답률: 74%)
  • 정답: unalias -a

    설명:
    - unalias: alias를 해제하는 명령어
    - -a: 모든 alias를 해제하는 옵션
    - 따라서, unalias -a는 bash에서 설정되어있는 모든 alias를 해제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bash의 history 기능을 이용하여 n번째의 명령을 실행하려 할 때 알맞은 것은?

  1. !-n
  2. !+n
  3. !n
  4. !!n
(정답률: 75%)
  • 정답: !n

    이유:
    - !-n: 현재 명령어에서 n번째 이전 명령어를 실행
    - !+n: 현재 명령어에서 n번째 이후 명령어를 실행
    - !n: history에서 n번째 명령어를 실행
    - !!n: 현재 명령어에서 n번째 이전 명령어를 실행

    따라서, history에서 n번째 명령어를 실행하려면 !n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daemon
  2. kernel
  3. command
  4. shell
(정답률: 84%)
  • 보기에서 "daemon"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지 않고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인 "kernel"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합니다. "command"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shell"은 사용자와 운영체제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daemon"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background로 작업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jobs
  2. fg
  3. bg
  4. kill
(정답률: 75%)
  • 정답은 "jobs"입니다.

    "jobs" 명령어는 현재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작업들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이 목록에는 작업 번호, 상태, 작업 이름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작업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g"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작업을 포그라운드로 가져오는 명령어입니다.

    "bg"는 중지된 백그라운드 작업을 다시 시작하는 명령어입니다.

    "kill"은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top의 실행 후 결과값을 나타내는 항목 및 설명이 틀린 것은?

  1. PID : 프로세스 ID
  2. PPID : 자식프로세스 ID
  3. USER : 사용자이름
  4. %CPU : CPU 사용량
(정답률: 76%)
  • 정답은 "PPID : 자식프로세스 ID"이다. PPID는 부모 프로세스 ID를 나타내는 것이다.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PPID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 ID를 나타낸다. 즉, 이 프로세스를 생성한 부모 프로세스의 ID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정보는 프로세스 간의 계층 구조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에서 설명하는 ps 명령어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a
  2. x
  3. u
  4. l
(정답률: 58%)
  • ps 명령어의 옵션 중 "l"은 long format으로 출력하라는 옵션이다. 즉, 프로세스의 상세 정보를 출력해준다. 위의 그림에서는 프로세스의 상태, PID, PPID, 사용자,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등의 정보를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l" 옵션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ps명령의 실행 결과, 출력되는 상단 메뉴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ID : Process ID 번호
  2. STAT : 프로세스 상태
  3. START : 프로세스가 시작된 시간
  4. TIME : Memory가 사용된 시간
(정답률: 72%)
  • 정답은 "START : 프로세스가 시작된 시간"이다.

    - PID : 각 프로세스에 할당된 고유한 식별자인 Process ID 번호를 나타낸다.
    - STAT : 프로세스의 상태를 나타내며, 실행 중인지, 대기 중인지, 종료되었는지 등을 나타낸다.
    - START : 프로세스가 시작된 시간을 나타낸다.
    - TIME : 프로세스가 CPU를 사용한 시간과 실제 시간 중 얼마나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TIME은 프로세스가 사용한 CPU 시간과 실제 시간 중 얼마나 사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kill 명령어의 시그널 중 설명이 틀린 것은?

  1. SIGHUP : 로그아웃 또는 접속을 끊을 때 사용한다.
  2. SIGINT : 현재 작동중인 프로그램의 동작을 멈출 때 사용한다.
  3. SIGKILL :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무조건 종료 시킨다.
  4. SIGTERM :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정답률: 73%)
  • 정답은 "SIGTERM :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이다. SIGTERM은 정상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시그널이며, 프로그램이 자원을 정리하고 종료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는 것이다. SIGKILL은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시키는 시그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kill과 유사 하지만 "프로그램 이름"으로 프로세스 종료시키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allkill
  2. killall
  3. nice
  4. priority
(정답률: 74%)
  • 정답은 "killall"입니다.

    "kill" 명령어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명령어이지만, 종료할 프로세스의 PID(Process ID)를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killall" 명령어는 프로세스 이름으로 종료할 수 있습니다. 즉, "killall" 명령어는 해당 프로세스 이름을 가진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killall" 명령어는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한 번에 종료시킬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단어로 알맞은 것은?

  1. (ㄱ) init - (ㄴ) fork
  2. (ㄱ) init - (ㄴ) exec
  3. (ㄱ) exec - (ㄴ) fork
  4. (ㄱ) fork - (ㄴ) exec
(정답률: 67%)
  • 리눅스에서 프로세스가 생성되는 과정은 init 프로세스가 먼저 생성되고, 이후에 fork 시스템 콜을 통해 자식 프로세스가 생성된다. 따라서 정답은 "(ㄱ) init - (ㄴ) fork" 이다. init 프로세스는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생성되며, 모든 프로세스의 조상 프로세스이다. fork 시스템 콜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복제하여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nice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무옵션이 없으면 상속받은 현재순서의 우선권을 출력한다.
  2. 옵션조정수치는 -20에서 19까지이다.
  3. 수치가 작을수록 낮은 우선순위를 갖게 된다.
  4. nice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시 사용된다.
(정답률: 72%)
  • 정답은 "아무옵션이 없으면 상속받은 현재순서의 우선권을 출력한다." 이다.

    수치가 작을수록 낮은 우선순위를 갖게 된다는 것은 nice 값이 -20에서 19까지 범위를 가지며, -20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19가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nice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시 사용되며, 옵션조정수치는 -20에서 19까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renice의 옵션으로 틀린 것은?

  1. -p pid
  2. -u user
  3. -g pgrp
  4. -a name
(정답률: 65%)
  • renice의 옵션 중 "-a name"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옵션은 프로세스 이름으로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p pid"는 특정 PID의 프로세스에 대해 우선순위를 변경하고, "-u user"는 특정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스에 대해 우선순위를 변경합니다. "-g pgrp"는 특정 프로세스 그룹에 속한 모든 프로세스에 대해 우선순위를 변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vi 에디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vi에디터는 입력모드와 명령모드로 나눈다.
  2. vi를 실행시키면 첫 번째 모드는 입력모드다.
  3. 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로 전환할 경우에는 [ESC]키를 누른다.
  4. ex명령모드에서 문자열 치환이 가능하다.
(정답률: 74%)
  • 정답은 "vi를 실행시키면 첫 번째 모드는 입력모드다."가 아니다.

    vi를 실행시키면 기본적으로 명령모드로 시작하며, 입력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명령모드에서 [i]나 [a] 등의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명령어를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모드는 명령모드이다.

    입력모드에서 명령모드로 전환할 경우에는 [ESC]키를 누르며, ex명령모드에서 문자열 치환이 가능하다는 설명은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emac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방향키, PageUp/PageDown키도 사용 가능하다.
  2. vi와 달리 입력모드와 명령모드가 없다.
  3. 종료하려면 [Ctrl]+[x]후에 [Ctrl]+[c]를 누른다.
  4. 시스템과의 호환성은 우수하지 않다.
(정답률: 70%)
  • "시스템과의 호환성은 우수하지 않다."가 틀린 설명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Emacs는 다양한 운영체제와 호환되며, 다양한 파일 형식을 지원한다. 따라서 시스템과의 호환성은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보기의 vi 명령 실행 결과로 알맞은 것은?

  1. 지정한 파일의 뒷부분에 현재 작성중인 글이 덧붙는다.
  2. 지정한 파일의 내용이 현재 작성중인 글에 덧붙는다.
  3. 지정한 파일의 내용을 삭제한다.
  4. 지정한 파일의 내용을 수정한다.
(정답률: 70%)
  • vi 명령에서 >>(shift + .)는 현재 작성중인 글을 지정한 파일의 뒷부분에 덧붙이는 명령이다. 따라서 "지정한 파일의 뒷부분에 현재 작성중인 글이 덧붙는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vi 편집 명령 중 현재 커서의 위치부터 10줄 복사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10yy
  2. yy10
  3. 10yw
  4. yw10
(정답률: 72%)
  • 정답은 "10yy"이다.

    "yy"는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을 복사하는 명령이다. "10"을 앞에 붙이면 현재 커서 위치부터 10줄을 복사하는 명령이 된다.

    예를 들어, 현재 커서가 5번째 줄에 위치해 있다면 "10yy" 명령을 실행하면 현재 줄부터 10번째 줄까지 모두 복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vi 편집기의 삭제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x : 커서가 위치한 곳의 문자를 삭제한다.
  2. dd : 커서가 위치한 곳의 아래 줄을 삭제 한다.
  3. dG : 커서가 위치한 곳부터 파일 끝까지 삭제한다.
  4. D : 파일이 위치한 곳에서 오른쪽 끝까지 삭제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dd : 커서가 위치한 곳의 아래 줄을 삭제 한다."가 아닌 것입니다.

    vi 편집기에서 dd 명령은 커서가 위치한 줄을 삭제하는 명령입니다. 따라서 "커서가 위치한 곳의 아래 줄을 삭제 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vi 편집기의 종료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q
  2. :wq
  3. :w
  4. :q!
(정답률: 84%)
  • 정답은 ":q!"입니다.

    ":q"는 현재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wq"는 현재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w"는 현재 파일을 저장하는 명령어입니다.
    ":q!"는 변경사항을 무시하고 강제로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w"는 현재 파일을 저장하는 명령어이며,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하려면 ":q"를 입력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rpm 패키지 설치시에 의존성을 검사하지 않기 위해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noscripts
  2. --nodeps
  3. --hash
  4. --percent
(정답률: 82%)
  • "--nodeps" 옵션은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고 패키지를 설치하도록 지시하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의존성 문제로 인해 패키지 설치가 실패하는 경우에도 강제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의존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rpm 설치 옵션 중 패키지를 실제로 설치하지 않고 충돌 사항이 있는지 점검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upgrade
  2. --test
  3. --oldpackage
  4. --root <dir>
(정답률: 75%)
  • "--test" 옵션은 패키지를 실제로 설치하지 않고 시뮬레이션 모드로 실행하여 충돌 사항이 있는지 점검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실제로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패키지 설치 전에 충돌 사항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gzip 옵션 중 압축 파일 정보를 확인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q
  2. -l
  3. -d
  4. -t
(정답률: 67%)
  • "-l" 옵션은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의 정보를 확인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의 압축률, 압축 전 파일 크기, 압축 후 파일 크기, 압축 시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옵션은 압축 파일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tar 옵션 중 gzip 형식으로 만들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x
  2. -z
  3. -v
  4. -f
(정답률: 76%)
  • "-z" 옵션은 gzip 형식으로 압축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tar로 파일을 압축할 때 gzip을 함께 사용하여 더 효율적인 압축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tar 옵션 중 처리중인 파일을 자세히 보여주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v
  2. -x
  3. -f
  4. -z
(정답률: 68%)
  • 정답: "-v"

    설명: "-v" 옵션은 verbose 모드로, 처리 중인 파일을 자세히 보여줍니다. 즉, tar 명령어가 실행되는 동안 어떤 파일이 처리되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옵션들은 각각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x": 압축 해제
    "-f": 파일 이름 지정
    "-z": gzip으로 압축 또는 해제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yum을 사용한 기록을 확인 하는 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cat /var/log/yum.log
  2. cat /var/log/yum
  3. cat /var/log/messages
  4. dmesg | grep yum
(정답률: 67%)
  • 정답은 "cat /var/log/yum.log"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cat"은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 "/var/log/yum.log"은 yum이 설치된 후에 발생한 모든 작업 기록이 저장된 파일입니다.
    - 따라서 "cat /var/log/yum.log" 명령어를 입력하면 yum을 사용한 모든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정답이 아닙니다.

    - "cat /var/log/yum" : yum과 관련된 로그 파일이 아닙니다.
    - "cat /var/log/messages" : 시스템 메시지 로그 파일이며, yum과 관련된 로그만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 "dmesg | grep yum" : dmesg는 시스템 메시지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며, yum과 관련된 로그만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yum 명령어의 옵션 중 설치여부를 묻지 않고 바로 설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e
  2. -y
  3. -c
  4. -t
(정답률: 81%)
  • 정답: "-y"

    설명: "-y" 옵션은 yum 명령어를 실행할 때 설치 여부를 묻지 않고 바로 설치를 진행하도록 하는 옵션이다. 예를 들어, "yum install package -y" 명령어를 실행하면 패키지를 바로 설치하고, 설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는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자동화된 스크립트나 배치 파일에서 yum 명령어를 사용할 때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totem이라는 패키지를 yum으로 설치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yum install totem -y
  2. yum totem install -y
  3. yum totem -y install
  4. yum -y totem install
(정답률: 69%)
  • 정답: "yum install totem -y"

    설명:
    - yum: 패키지 매니저인 yum을 사용한다는 것을 나타냄
    - install: 패키지를 설치한다는 것을 나타냄
    - totem: 설치할 패키지 이름
    - -y: 모든 질문에 대해 자동으로 yes를 선택하도록 함 (옵션)

    따라서, "yum install totem -y" 명령어는 totem 패키지를 yum으로 설치하되, 모든 질문에 대해 자동으로 yes를 선택하도록 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윈도우시스템에 공유되어 있는 프린터에 연결하려고 할 때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Unix Printer
  2. local
  3. JetDirect
  4. Samba Printer
(정답률: 79%)
  • 윈도우 시스템과 리눅스/유닉스 시스템 간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인 Samba를 사용하여 공유된 프린터에 연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Samba Printer는 윈도우 시스템과 리눅스/유닉스 시스템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프린터큐에 대기 중인 인쇄작업을 취소 할 수 있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lpq
  2. lprm
  3. lpr
  4. lpdel
(정답률: 70%)
  • 정답은 "lprm"입니다. "lprm"은 프린터큐에서 대기 중인 인쇄 작업을 취소하는 명령어입니다. "lpq"는 프린터큐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lpr"은 인쇄 작업을 추가하는 명령어입니다. "lpdel"은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리눅스에서 프린터 연결 선택 방법 중 설명이 틀린 것은?

  1. JetDirect : TCP/IP 포트로 접속하는 Socket API방식이며 간단한 Job 전송 프로토콜이다.
  2. Samba Printer : 윈도우즈 95/98/NT/XP등에 프린터가 공유 되어 있을때 사용가능하다.
  3. Local : 리눅스 시스템에 프린터가 직접 설치되어 있을 경우이다.
  4. Unix Printer : 프린터가 랜 환경에서 사용되는 다른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선택하는 옵션이다.
(정답률: 68%)
  • 정답은 "Unix Printer : 프린터가 랜 환경에서 사용되는 다른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선택하는 옵션이다." 이다. 이유는 Unix Printer는 로컬 프린터나 네트워크 프린터가 아닌, 직렬 또는 병렬 포트를 통해 연결된 프린터를 선택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랜 환경에서 사용되는 다른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Floppy장치나 CD-ROM의 마운트 포인터와 연관있는 디렉터리로 알맞은 것은?

  1. /dev
  2. /mnt
  3. /etc
  4. /usr
(정답률: 68%)
  • 정답은 "/mnt"입니다.

    "/mnt"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외부 저장 장치를 마운트할 때 사용하는 디렉터리입니다. 따라서 Floppy장치나 CD-ROM과 같은 외부 저장 장치를 마운트할 때, 해당 장치의 마운트 포인터는 "/mnt" 디렉터리와 연관됩니다.

    예를 들어, CD-ROM을 마운트하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mount /dev/cdrom /mnt
    ```

    이 명령어는 CD-ROM 장치를 "/dev/cdrom"에서 "/mnt" 디렉터리로 마운트하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mnt"는 Floppy장치나 CD-ROM의 마운트 포인터와 연관된 디렉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오디오 CD에서 음악 파일을 추출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cdparanoia
  2. sdcd
  3. xplaycd
  4. cdplay
(정답률: 74%)
  • 정답: cdparanoia

    설명: cdparanoia는 오디오 CD에서 음악 파일을 추출하는 데 사용되는 무손실 CD 추출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오디오 CD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정확하게 읽어들여 오디오 파일로 변환합니다. 이를 통해 오디오 CD에서 음악 파일을 추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에서 스캐너 사용과 관련있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xsane
  2. gimp
  3. ghost
  4. xmms
(정답률: 79%)
  • 정답: xsane

    설명: xsane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스캐너를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이미지 스캔 및 저장, 이미지 크기 조정, 색상 및 밝기 조정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gimp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ghost는 프린터 드라이버, xmms는 음악 재생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스캐너 사용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는 xsane이 가장 알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활용

49. 다음 중 X 윈도를 콘솔(console)에서 실행시키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tartx
  2. runx
  3. xstart
  4. xrun
(정답률: 71%)
  • 정답: startx

    설명: startx는 X 윈도 시스템을 시작하는 명령어로, 콘솔에서 실행시키면 GUI 환경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X 윈도는 그래픽 환경을 제공하는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startx 명령어를 입력하면 X 윈도 시스템이 시작되어 GUI 환경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X 윈도 환경설정에 사용했던 유틸리티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XF86setup, xf86cfg, Xconfigurator
  2. xf86config, Xconfigurator, Xsetup
  3. XF86setup, xf86cfg, Xsetup
  4. XF86setup, Xsetup, Xconfigurator
(정답률: 54%)
  • X 윈도 환경설정에 사용하는 유틸리티는 그래픽 드라이버와 모니터 설정 등을 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XF86setup"은 XFree86 서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며, "xf86cfg"는 그래픽 드라이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Xconfigurator"는 모니터 설정을 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XF86setup, xf86cfg, Xconfigurator" 조합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KDE의 Konqueror 응용프로그램에서 담당하지 않는 기능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웹브라우저 접속
  2. 파일 관리
  3. ftp 접속
  4. E-Mail 관리
(정답률: 48%)
  • Konqueror는 웹브라우저, 파일 관리, ftp 접속 기능을 담당하지만, E-Mail 관리 기능은 담당하지 않습니다. 대신, KDE에서는 KMail이라는 별도의 E-Mail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GNOME과 KDE의 데스크톱 환경에서 X 윈도를 강제 종료하기 위한 키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Ctrl + Alt + Enter
  2. Ctrl + Alt + F1
  3. Ctrl + Alt + BackSpace
  4. Ctrl + Alt + Delete
(정답률: 72%)
  • 정답: "Ctrl + Alt + BackSpace"

    이유: "Ctrl + Alt + BackSpace"는 X 서버를 강제로 종료하는 키 조합입니다. 이는 GNOME과 KDE 데스크톱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스템이 멈추거나 프로그램이 더 이상 응답하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 이 조합은 X 서버를 강제로 종료하므로 현재 실행 중인 모든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로그인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윈도 매니저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

  1. KDE
  2. GNOME
  3. WindowMaker
  4. Xen
(정답률: 61%)
  • 윈도 매니저는 X 윈도 시스템에서 윈도우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KDE와 GNOME은 대표적인 데스크톱 환경이지만, WindowMaker는 윈도 매니저 중 하나로, 가벼운 데스크톱 환경을 제공한다. WindowMaker는 윈도우를 타일링 방식으로 배치하며, 다양한 테마와 설정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맞춤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콘솔이나 터미널 상태에서 지나간 화면의 내용을 보려고 할 때 사용하는 키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Ctrl + PageUp
  2. Ctrl + PageDown
  3. Ctrl + Enter
  4. Shift + PageDown
(정답률: 40%)
  • 정답: Shift + PageDown

    설명: Shift + PageDown은 화면을 아래쪽으로 스크롤하면서 이전에 지나간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키 조합입니다. Ctrl + PageUp과 Ctrl + PageDown은 현재 화면에서 페이지를 이동하는 단축키이며, Ctrl + Enter은 일반적으로 입력한 내용을 실행하는 단축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에서 설명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MTV
  2. GIMP
  3. xv
  4. MPlayer
(정답률: 80%)
  • 이 프로그램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인 GIMP입니다. GIMP는 무료이며 오픈 소스이며, 다양한 이미지 편집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이미지를 만들고 수정하고 조작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접속관리 기능
  2. 세션관리 기능
  3. 복구관리 기능
  4. 백업관리 기능
(정답률: 58%)
  • 이미지에서 보이는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서버는 해당 사용자에 대한 세션을 생성하고 유지합니다. 이후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에는 이 세션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하고,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세션을 관리하는 기능이 바로 "세션관리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LAN과 WAN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WAN은 LAN에 비해 통신 속도가 빠르다.
  2. LAN은 통신거리에 제한이 없다.
  3. LAN은 건물, 학교, 공장 등 일정 지역 내의 통신에 사용된다.
  4. LAN은 1Gbps ~ 155Gbps의 전송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정답률: 75%)
  •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역적으로 가까운 건물, 학교, 공장 등 일정 지역 내에서 통신에 사용되는 네트워크입니다. 따라서 통신거리에 제한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OSI 참조모델과 OSI 프로토콜에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알맞은 것은?

  1. ISO
  2. ANSI
  3. EIA
  4. IEEE
(정답률: 70%)
  • ISO는 국제 표준화 기구로, OSI 참조모델과 OSI 프로토콜의 표준화 작업을 담당합니다. ANSI는 미국 국가 표준화 기구이며, EIA는 전자 산업 협회, IEEE는 전기 및 전자 기술자 협회로 각각 다른 분야의 표준화 작업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TCP
  2. Udp
  3. Socket
  4. Protocol
(정답률: 60%)
  • 이 그림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데이터를 보내는 쪽과 받는 쪽이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소켓입니다. 소켓은 프로그램과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연결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Socket"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프로토콜의 구성요소로 알맞은 것은?

  1. 구문, 의미, 타이밍
  2. 구문, 의미, 오버헤드
  3. 구문, 타이밍, 오버헤드
  4. 구문, 의미, 소켓
(정답률: 66%)
  • 프로토콜은 통신을 위한 규약으로, 이를 구성하는 요소는 구문, 의미, 타이밍이다. 구문은 데이터의 형식과 구조를 정의하고, 의미는 데이터의 의미와 목적을 정의하며, 타이밍은 데이터의 전송 시점과 순서를 정의한다. 따라서 "구문, 의미, 타이밍"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중 OSI 7 계층 모델에서 데이터링크 계층이 제공하는 인접한 개방형 시스템 간에 데이터 전송기능을 이용하여 연결성과 통신경로선택(Routing)을 제공하는 계층으로 알맞은 것은?

  1. 물리 계층
  2. 데이터링크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전송계층
(정답률: 64%)
  • 네트워크 계층은 인접한 개방형 시스템 간에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연결성과 통신 경로 선택을 제공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IP 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라우팅 기능을 제공하여 최적의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OSI 7 계층 모델에서 데이터링크 계층이 아닌 네트워크 계층이 인접한 개방형 시스템 간에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OSI의 물리,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프로토콜로 틀린 것은?

  1. 이더넷
  2. 토큰링
  3. FDDI
  4. ARP
(정답률: 56%)
  • 정답은 "ARP"입니다. ARP는 OSI 모델의 물리,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프로토콜이 아니라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프로토콜입니다. ARP는 IP 주소를 물리적 MAC 주소로 매핑하는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계층에서 IP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입니다. 이더넷, 토큰링, FDDI는 모두 물리,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프로토콜입니다. 이더넷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선 LAN 기술이며, 토큰링은 토큰 패싱 방식을 사용하는 LAN 기술입니다. FDDI는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는 LAN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OSI의 응용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elnet :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로그인을 제공한다.
  2. FTP : 단방향 파일 전송에 사용된다.
  3. SMTP : 전자 메일을 전달한다.
  4. HTTP : 네트워크를 통해 웹 페이지를 전송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FTP : 단방향 파일 전송에 사용된다." 이다. FTP는 양방향 파일 전송에 사용되며,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

  1. /etc/protocols
  2. /etc/services
  3. /etc/passwd
  4. /etc/securetty
(정답률: 62%)
  • "/etc/protocols" 파일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 문제에서는 "telnet"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찾는 것이므로 "/etc/protocols" 파일이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서비스, 사용자 계정, 터미널 장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IPv4 주소 체계에서 십진 표기법으로 B클래스 서브넷 마스크로 알맞은 것은?

  1. 255.0.0.0
  2. 255.255.0.0
  3. 255.255.255.0
  4. 255.255.255.255
(정답률: 81%)
  • B클래스는 첫 번째 두 개의 옥텟이 네트워크 주소를 나타내고, 세 번째와 네 번째 옥텟이 호스트 주소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B클래스 서브넷 마스크는 첫 번째 두 개의 옥텟이 모두 255이고, 세 번째와 네 번째 옥텟이 0인 형태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5.255.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인터넷 서비스의 종류 중 나머지 3개와 성격이 틀린 것은?

  1. WWW(World Wide Web)
  2. FTP(File Transfer Program)
  3. E-MAIL
  4.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정답률: 59%)
  •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나머지 3개는 모두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거나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ICMP는 다른 세 가지와 성격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유즈넷 뉴스그룹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뉴스 리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텍스트용 뉴스리더로서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틀린 것은?

  1. Pan
  2. Slrn
  3. Pine
  4. Tin
(정답률: 54%)
  • 정답은 "Pan"이다. Pan은 텍스트용 뉴스리더 프로그램이 아니라 GUI 기반의 뉴스리더 프로그램이다. Slrn, Pine, Tin은 모두 텍스트용 뉴스리더 프로그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시스템에 설정된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확인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netstat
  2. ifconfig
  3. dig
  4. host
(정답률: 57%)
  • 정답: ifconfig

    설명: ifconfig 명령은 현재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이며, 이 중에 게이트웨이 주소값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etstat 명령은 현재 열려있는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며,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아닙니다. dig와 host 명령은 DNS 서버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며,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일반적으로 루프백(Loopback)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IP주소로 알맞은 것은?

  1. 127.0.0.1
  2. 10.0.0.1
  3. 192.168.0.1
  4. 255.255.255.0
(정답률: 78%)
  • 정답: "127.0.0.1"

    설명: 루프백(Loopback) 인터페이스는 자신의 IP 주소로 데이터를 보내고 받는 가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네트워크 기능을 테스트하거나 로컬 호스트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P 주소는 "127.0.0.1"입니다. 이 주소는 로컬 루프백 인터페이스를 가리키는 특수한 IP 주소로, 항상 로컬 호스트를 가리키기 때문에 다른 호스트로 패킷을 보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한 후에 변경된 주소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하려고 할 때 관련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init.d/network
  2. /etc/sysconfig/network
  3. /etc/sysconfig/network-scripts
  4. /etc/hosts
(정답률: 44%)
  • 정답은 "/etc/init.d/network"입니다.

    "/etc/init.d/network" 파일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시작하고 중지하는 데 사용되는 스크립트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수정하여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한 후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할 수 있습니다.

    "/etc/sysconfig/network" 파일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설정을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수정하여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하는 데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토리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스크립트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입니다. 이 디렉토리의 파일을 수정하여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하는 데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etc/hosts" 파일은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데 사용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수정하여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변경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주소를 변경하는 데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첫 번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주소를 설정하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

  1. ifconfig eth0 192.168.0.1 netmask 255.255.255.0 up
  2. ifconfig eth1 192.168.0.1 netmask 255.255.255.0 up
  3. ifconfig eth2 192.168.0.1 netmask 255.255.255.0 up
  4. ifconfig eth3 192.168.0.1 netmask 255.255.255.0 up
(정답률: 80%)
  • 첫 번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eth0이므로 "ifconfig eth0 192.168.0.1 netmask 255.255.255.0 up"이 알맞은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는 eth0 인터페이스에 192.168.0.1 IP 주소를 할당하고, 서브넷 마스크를 255.255.255.0으로 설정하며,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ftp 클라이언트에서 파일을 업로드를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get
  2. put
  3. ls
  4. cd
(정답률: 73%)
  • 정답: put

    설명: put 명령은 로컬 컴퓨터에서 선택한 파일을 원격 서버로 업로드하는 명령입니다. get 명령은 원격 서버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명령이며, ls 명령은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입니다. cd 명령은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전송 속도를 검사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ping
  2. route
  3. dig
  4. hostname
(정답률: 79%)
  • 정답: ping

    설명: ping은 네트워크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로, 특정 호스트에 패킷을 보내고 그에 대한 응답 시간과 패킷 손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전송 속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특정 도메인명에 대한 IP 주소를 조회하려고 할 때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nslookup
  2. ifconfig
  3. iptables
  4. hostname
(정답률: 69%)
  • 정답: nslookup

    설명: nslookup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에 특정 도메인명을 입력하여 해당 도메인명에 대한 IP 주소를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DNS는 도메인명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nslookup을 사용하여 특정 도메인명에 대한 IP 주소를 조회할 수 있다. 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iptables는 방화벽 설정을 관리하는 명령어이며, hostname은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1단계 도메인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edu : 교육기관
  2. mil : 군사기관
  3. int : 국제기구
  4. net : 비영리기관
(정답률: 70%)
  • "net : 비영리기관"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IP로 알맞은 것은?

  1. 192.168.1.150
  2. 192.168.0.160
  3. 192.168.160.150
  4. 168.192.0.160
(정답률: 74%)
  • 이 네트워크에서는 192.168.0.0/24 대역의 IP 주소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대역에서는 0부터 255까지의 숫자 중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를 호스트 주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네트워크 대역에 속하면서 호스트 주소로 사용 가능한 IP 주소는 "192.168.0.16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오픈소스 DBMS로 틀린 것은?

  1. MySQL
  2. 큐브리드
  3. DB2
  4. MariaDB
(정답률: 47%)
  • DB2는 오픈소스 DBMS가 아닌 상용 DBMS이기 때문에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중 서버가상화솔루션에 대한연결이틀린 것은?

  1. Microsoft : Windows server 2012 hyper-V
  2. Citrix : Xen Desktop
  3. RedHat : RHEV
  4. VMware : vSphere
(정답률: 50%)
  • Citrix Xen Desktop은 데스크톱 가상화 솔루션으로, 서버 가상화 솔루션과는 다릅니다. 나머지 보기는 모두 서버 가상화 솔루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안드로이드
  2. 윈도 모바일
  3. 심비안
  4. IOS
(정답률: 76%)
  • 이 보기는 모바일 운영체제(OS)를 나타내는 것이며, 안드로이드는 구글에서 개발한 모바일 운영체제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바일 운영체제입니다. 윈도 모바일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모바일 운영체제이며, 심비안은 노키아에서 개발한 모바일 운영체제입니다. IOS는 애플에서 개발한 모바일 운영체제로, 아이폰과 아이패드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안드로이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BSD
  2. GPL
  3. MPL
  4. LGPL
(정답률: 45%)
  • 이유는 LGPL는 GPL의 하위 버전으로, GPL과 마찬가지로 소스코드 공개 의무가 있지만, LGPL은 라이브러리와 같은 독립적인 모듈에 대해서는 라이선스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