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12-08)

리눅스마스터 2급
(2018-12-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다음 설명과 관계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mkfs –t ext4 –i 1000 /dev/hdb1
  2. mkfs –t ext2 –T largefile /dev/hdb1
  3. mke2fs –j –i 1000 /dev/hdb1
  4. mke2fs –j –T largefile /dev/hdb1
(정답률: 47%)
  • 이미지에서 보이는 파일 시스템은 ext3이며, 대용량 파일을 다루기 위해선 ext2 대신 ext3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대용량 파일을 다루기 위해선 largefile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mke2fs –j –T largefile /dev/hdb1"이 가장 알맞은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특수권한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chmod g+s,o+t /project
  2. chmod g+t,o+t /project
  3. chmod go+s /project
  4. chmod go+t /project
(정답률: 77%)
  • "chmod g+s,o+t /project"는 /project 디렉토리에 대해 그룹 실행 권한과 그룹 소유자 권한을 유지하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그룹 내의 모든 사용자가 /project 디렉토리에 대한 실행 권한을 가지게 하고, 그룹 소유자가 변경되어도 그룹 실행 권한이 유지되도록 합니다. 또한, "o+t" 옵션은 다른 사용자들도 /project 디렉토리 내에서 자신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중 리눅스파일시스템에 대한설명으로틀린 것은?

  1. Reiserfs, XFS, JFS는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다.
  2. sysv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이다.
  3. iso9660은 DVD를 마운트할 때 지정하는 파일 시스템이다.
  4. nfs는 네트워크 상의 시스템 파일을 공유할 때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이다.
(정답률: 63%)
  • "sysv는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sysv는 운영 체제에서 사용하는 초기화 시스템입니다. 파일 시스템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운영 중인 리눅스 서버의 파일시스템에 손상된 디렉터리나 파일을 수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mkfs
  2. fsck
  3. chkdsk
  4. scandisk
(정답률: 82%)
  • 정답은 "fsck"입니다.

    "fsck"는 파일 시스템 체크(File System Check)의 약자로,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손상된 파일 시스템을 복구하고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운영 중인 리눅스 서버의 파일 시스템에 손상된 디렉터리나 파일을 수정할 때 사용됩니다.

    "mkfs"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며, "chkdsk"와 "scandisk"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고 복구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fdisk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정 후에는 partition table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2. 파티션을 삭제하는 특정 명령어는 d이다.
  3. 파티션을 추가하는 특정 명령어는 w이다.
  4. 파티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정답률: 69%)
  • "파티션을 추가하는 특정 명령어는 w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fdisk 명령어에서 파티션을 추가하는 명령어는 n입니다. w는 설정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usermod kait lin.txt
  2. groupmod kait lin.txt
  3. chown kait lin.txt
  4. chgrp kait lin.txt
(정답률: 67%)
  • 이미 존재하는 파일 lin.txt의 그룹을 kait로 변경하는 명령어는 "chgrp kait lin.txt" 이다. 다른 보기들은 사용자나 그룹을 추가/수정하는 명령어이거나 파일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허가권을 설정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mod 707 list.txt
  2. chmod a=777 list.txt
  3. chmod a=rwx list.txt
  4. chmod u=rwx list.txt
(정답률: 72%)
  • 해당 파일(list.txt)에 대해 모든 사용자(a)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rwx)을 부여하는 명령은 "chmod a=rwx list.txt" 이다.

    - "chmod 707 list.txt" : 7은 rwx 권한을 나타내므로,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에게 rwx 권한을 부여한다. 하지만, 0~7까지의 숫자로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은 이해하기 어렵고, 권한 설정이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 "chmod a=777 list.txt" : a는 all을 의미하므로, 모든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777은 rwx 권한을 나타내므로, 모든 사용자에게 rwx 권한을 부여한다. 하지만, 0~7까지의 숫자로 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은 이해하기 어렵고, 권한 설정이 복잡해질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 "chmod u=rwx list.txt" : u는 user를 의미하므로, 소유자에게 권한을 부여한다. rwx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나타내므로, 소유자에게 rwx 권한을 부여한다. 모든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지 않으므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권한 설정과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권 및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mod
  2. chown
  3. chgrp
  4. umask
(정답률: 71%)
  • 정답: chown

    chown은 "change owner"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chown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자와 그룹 소유자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접근 권한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용자나 그룹에 쿼터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quota
  2. edquota
  3. repquota
  4. quotaon
(정답률: 79%)
  • "edquota"는 사용자나 그룹에 대한 디스크 용량 제한을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각 사용자나 그룹에 대해 허용되는 최대 용량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quota"는 현재 사용량과 제한 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repquota"는 사용량과 제한 용량을 요약해서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quotaon"은 파일 시스템에 대한 디스크 용량 제한을 활성화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디렉터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수권한 중 Sticky-Bit가 설정되어 있다.
  2. tmp 디렉터리의 소유권은 root사용자에게 있다.
  3. 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권한이 주어진 디렉터리이다.
  4. 일시적으로 필요한 시스템이나 응용프로그램에 필요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이다.
(정답률: 60%)
  • 디렉터리의 권한이 "drwxrwxrwt"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이 주어지고, Sticky-Bit가 설정되어 있어 일반 사용자는 자신이 생성한 파일만 삭제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파일은 삭제할 수 없다. 따라서 "모든 사용자에게 모든 권한이 주어진 디렉터리"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괄호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LANG
  2. LANG
  3. $TERM
  4. TERM
(정답률: 80%)
  • "$LANG"은 현재 사용 중인 언어 환경 변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그림에서는 "ko_KR.UTF-8"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LANG"이 정답이다. "LANG"은 "$LANG"과 동일한 값을 가지지만 "$"가 없는 환경 변수이다. "$TERM"은 현재 사용 중인 터미널 타입을 나타내는 환경 변수이며, "$TERM"의 값은 "xterm-256color"이다. "TERM"은 "$TERM"과 동일한 값을 가지지만 "$"가 없는 환경 변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셸(Shell)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

  1. csh
  2. ksh
  3. tcsh
  4. bash
(정답률: 80%)
  • 정답은 "bash"입니다.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bash"가 가장 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기본 셸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그 외의 다른 셸들도 사용되지만, "bash"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csh"는 C 셸, "ksh"는 Korn 셸, "tcsh"는 C 셸의 확장 버전입니다. 각각의 셸은 특정한 목적에 따라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배시셸(Bash Shell)에서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알려주는 환경변수로 알맞은 것은?

  1. PS1
  2. PWD
  3. PATH
  4. SHELL
(정답률: 72%)
  • 정답: PWD

    설명: PWD는 "Prese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나타내는 환경변수입니다. 이 변수를 사용하면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경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echo $PWD"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경로가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기존의 PATH에 /home/ihd 경로를 추가하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

  1. export PATH=PATH:/home/ihd
  2. export PATH=$PATH:/home/ihd
  3. export $PATH=$PATH:/home/ihd
  4. export $PATH=PATH:/home/ihd
(정답률: 71%)
  • 정답은 "export PATH=$PATH:/home/ihd"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export: 환경 변수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 PATH: 시스템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경로를 나타내는 환경 변수입니다.
    - $PATH: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PATH 환경 변수의 값을 나타냅니다. $는 변수를 참조할 때 사용하는 기호입니다.
    - :/home/ihd: 기존의 PATH 값 뒤에 /home/ihd 경로를 추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export PATH=$PATH:/home/ihd"는 기존의 PATH 값에 /home/ihd 경로를 추가하여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history 명령어를 이용해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확인하려고 한다. 다음 중 히스토리 목록 중에서 5번째에 사용한 명령을 실행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
  2. !5
  3. history 5
  4. history !5
(정답률: 68%)
  • 정답은 "!5"이다.

    "!5"는 히스토리 목록에서 5번째에 사용한 명령을 실행하는 명령어이다.

    "!!"는 바로 이전에 사용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명령어이고, "history 5"는 히스토리 목록에서 5번째까지의 명령어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히스토리 목록에서 5번째에 사용한 명령어를 실행하려면 "!5"를 입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가장 먼저 개발된 셸(Shell)로 알맞은 것은?

  1. C shell
  2. Bash Shell
  3. Korn Shell
  4. Bourne Shell
(정답률: 80%)
  • 가장 먼저 개발된 셸은 "Bourne Shell"입니다. 이는 1977년에 Stephen Bourne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이전에는 셸이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명령어를 직접 입력해야 했습니다. Bourne Shell은 Unix 운영 체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셸 중 하나이며, 이후 다른 셸들이 개발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설정된 전체 환경 변수값을 확인 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env
  2. alias
  3. echo
  4. export
(정답률: 82%)
  • 정답: env

    설명: "env" 명령은 현재 설정된 전체 환경 변수값을 확인하는 명령입니다. "alias"는 명령어에 대한 별칭을 설정하거나 확인하는 명령이며, "echo"는 인자로 받은 문자열을 출력하는 명령입니다. "export"는 변수를 환경 변수로 설정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배시셸(Bash Shell)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확인하는 키(key)로 알맞은 것은?

  1. 알트키(Alt)
  2. 컨트롤키(Ctrl)
  3. 좌/우 방향키
  4. 위/아래 방향키
(정답률: 77%)
  • 위/아래 방향키는 배시셸에서 사용자가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를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키이다. 위 방향키를 누르면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가 하나씩 나타나고, 아래 방향키를 누르면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를 역순으로 나타낸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를 쉽게 찾아서 재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프로세스 우선순위에 관련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nice, renice, top 은 프로세스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명령이다.
  2. NI값의 기본값은 0이고, 지정가능한 값의 범위는 –19 ~ 20 이다.
  3. 일반사용자는 NI값 감소만 가능하고, root사용자만 NI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4. NI값을 설정하면 리눅스는 상황에 따라 PNI 값을 변경하여 우선순위를 조절한다.
(정답률: 57%)
  • "nice, renice, top은 프로세스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있는 명령이다."라는 설명은 맞습니다. nice와 renice는 프로세스의 NI값을 변경하여 우선순위를 조절하고, top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변경할 수 있는 명령입니다. NI값의 기본값은 0이며, 범위는 -19에서 20까지입니다. 일반 사용자는 NI값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root 사용자만 NI값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NI값을 설정하면 리눅스는 상황에 따라 PNI 값을 변경하여 우선순위를 조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으로 알맞은 것은?

  1. renice -10 14164
  2. renice --10 14164
  3. nice -10 14164
  4. nice --10 14164
(정답률: 61%)
  • 해당 명령은 "14164" PID를 가진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10으로 변경하는 renice 명령이다. "--" 옵션은 없으며, "nice" 명령은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이지만,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수 없다는 차이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ps aux 명령으로 출력되는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

  1. UID
  2. RSS
  3. PPID
  4. STIME
(정답률: 51%)
  • "RSS"는 Resident Set Size의 약자로, 프로세스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실제 메모리 양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ps aux 명령으로 출력되는 항목 중에서도 메모리 사용량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입니다. UID는 사용자 ID, PPID는 부모 프로세스 ID, STIME은 프로세스 시작 시간을 나타내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CTRL]+[c] 입력 시 보내지는 시그널로 알맞은 것은?

  1. SIGHUP
  2. SIGINT
  3. SIGQUIT
  4. SIGKILL
(정답률: 70%)
  • 정답: SIGINT

    [CTRL]+[c] 입력 시 보내지는 시그널은 SIGINT이다. 이는 Interrupt Signal을 의미하며, 프로세스에게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라는 신호를 보낸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SIGHUP: Hangup Signal, 터미널 연결이 끊어졌을 때 보내지는 신호
    - SIGQUIT: Quit Signal,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코어 덤프(core dump)를 생성하라는 신호
    - SIGKILL: Kill Signal, 프로세스를 즉시 종료하라는 신호 (강제 종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jobs ㉡ fg PID
  2. ㉠ ps –l ㉡ fg PID
  3. ㉠ jobs ㉡ fg %작업번호
  4. ㉠ ps –l ㉡ fg %작업번호
(정답률: 77%)
  • 해당 명령어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작업들을 보여주는 'jobs' 명령어와 해당 작업을 foreground로 가져오는 'fg' 명령어를 조합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 jobs ㉡ fg %작업번호"이다. %작업번호는 'jobs' 명령어로 확인한 백그라운드 작업의 번호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특정 사용자의 crontab 내용을 작성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rontab -w ihduser
  2. crontab -e ihduser
  3. crontab -w -u ihduser
  4. crontab -e -u ihduser
(정답률: 58%)
  • 정답은 "crontab -e -u ihduser"입니다.

    - "crontab -w ihduser": crontab 파일을 읽기 전용 모드로 열어서 표준 출력으로 내보내는 명령입니다.
    - "crontab -e ihduser": 특정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 에디터를 실행하는 명령입니다.
    - "crontab -w -u ihduser": 특정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읽기 전용 모드로 열어서 표준 출력으로 내보내는 명령입니다.
    - "crontab -e -u ihduser": 특정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 에디터를 실행하는 명령입니다. "-u" 옵션은 특정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편집할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nohup 명령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준출력과 표준에러는 'nohup.out' 파일을 생성해 기록한다.
  2. nohup는 실행한 명령을 자동으로 백그라운드로 보내 작업한다.
  3. 쓰기작업이 불가능한 경우 '$HOME/nohup.out' 파일을 생성해 기록한다.
  4. 작업 중인 터미널창이 닫혀도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작업할 수 있게 한다.
(정답률: 54%)
  • "nohup는 실행한 명령을 자동으로 백그라운드로 보내 작업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 "표준출력과 표준에러는 'nohup.out' 파일을 생성해 기록한다." : 맞다.
    - "nohup는 실행한 명령을 자동으로 백그라운드로 보내 작업한다." : 맞다.
    - "쓰기작업이 불가능한 경우 '$HOME/nohup.out' 파일을 생성해 기록한다." : 틀렸다. nohup은 쓰기작업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HOME/nohup.out' 파일을 생성해 기록한다.
    - "작업 중인 터미널창이 닫혀도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로 작업할 수 있게 한다." :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프로세스(Process)에 관련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최초의 프로세스인 init 프로세스는 PID가 0이다.
  2. 보통 명령어를 수행하면 exec 방식으로 실행된다.
  3. pstree 명령으로 init 프로세스가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임을 확인할 수 있다.
  4. exec 방식은 복사본 형태로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기존 프로세스는 그대로 실행되어 있다.
(정답률: 65%)
  • init 프로세스는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pstree 명령으로 init 프로세스가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임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PID
  2. SIGNAL
  3. DAEMON
  4. PROCESS
(정답률: 79%)
  • 이 그림은 리눅스에서 프로세스를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kill' 명령어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kill' 명령어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명령어로, 종료할 프로세스의 ID(PID)와 함께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종료할 때 사용되는 시그널(SIGNAL)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정답은 "SIGNA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그림에서 알 수 있는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업번호는 1이다.
  2. PID는 12677이다.
  3. PPID는 12676이다.
  4.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실행 방법이다.
(정답률: 74%)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실행 방법에 대한 설명은 그림에서 알 수 없으므로 틀린 것이 아니다. 정답인 "PPID는 12676이다."는 그림에서 12677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 ID가 12676임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은 vi 편집기 실행 시 자동으로 행번호가 나타나도록 설정한 후에 확인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virc ㉡ set nu
  2. ㉠ .virc ㉡ :set nu
  3. ㉠ .exrc ㉡ set nu
  4. ㉠ .exrc ㉡ :set nu
(정답률: 50%)
  • vi 편집기 실행 시 자동으로 행번호가 나타나도록 설정하려면 .exrc 파일에 set nu 명령어를 추가해야 한다. .exrc 파일은 vi 편집기가 실행될 때 자동으로 읽히는 설정 파일이다. 따라서 .exrc 파일에 set nu 명령어를 추가하면 vi 편집기 실행 시 자동으로 행번호가 나타난다. 따라서 정답은 "㉠ .exrc ㉡ set nu"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LISP 언어를 사용하려는 프로그래머에게 가장 최적화된 편집기로 알맞은 것은?

  1. vi
  2. pico
  3. vim
  4. emacs
(정답률: 69%)
  • LISP 언어는 괄호가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기 때문에, 괄호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능을 가장 잘 제공하는 편집기는 emacs입니다. emacs는 LISP 언어를 위한 많은 기능을 제공하며, 괄호를 쉽게 조작할 수 있는 단축키도 많이 제공합니다. 따라서 LISP 언어를 사용하는 프로그래머에게 가장 최적화된 편집기는 emac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vi 편집기에서 바로 직전에 실행한 줄 삭제 명령을 취소하여 복원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u
  2. x
  3. y
  4. z
(정답률: 50%)
  • 정답은 "u"입니다. "u"는 undo(실행 취소) 명령어로, 바로 직전에 실행한 명령을 취소하여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이전에 삭제한 줄을 복원하고 싶을 때 "u"를 입력하면 됩니다. "x", "y", "z"는 모두 다른 명령어이며, 삭제 명령을 취소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의 작업을 원격지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하던 중 네트워크 차단되면서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 이 때 생성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lin.txt.swp
  2. lin.txt.swap
  3. .lin.txt.swp
  4. .lin.txt.swap
(정답률: 52%)
  • 이 파일은 Vim 편집기에서 "lin.txt" 파일을 편집하던 중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면서 생성된 임시 파일이다. Vim은 파일을 편집할 때 해당 파일과 동일한 이름의 임시 파일을 생성하고, 작업이 끝나면 임시 파일을 삭제한다. 그러나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임시 파일이 삭제되지 않고 남아있을 수 있다. 이 때 임시 파일의 이름은 ".파일이름.swp" 형식으로 생성되며, 이 파일은 Vim이 다시 실행될 때 복구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lin.txt.swp"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X 윈도 환경에서만 사용 가능한 편집기로 틀린 것은?

  1. gedit
  2. nano
  3. xemacs
  4. gvim
(정답률: 63%)
  • 정답은 "xemacs"입니다.

    이유는 "gedit", "nano", "gvim"은 모두 X 윈도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편집기이지만, "xemacs"는 X 윈도 환경에서만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xemacs"는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한 편집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편집기로 알맞은 것은?

  1. nano
  2. pico
  3. gedit
  4. emacs
(정답률: 67%)
  • 이 편집기는 GUI 환경에서 사용되며, Linux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편집기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사용하기 쉽고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편집기는 일반적으로 소스 코드 편집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중 압축과압축해제명령어의 조합으로틀린것은?

  1. xz, unxz
  2. gzip, gunzip
  3. bzip2, unzip2
  4. compress, uncompress
(정답률: 62%)
  • 압축과 압축해제 명령어의 조합으로 틀린 것은 "bzip2, unzip2"입니다. 올바른 명령어는 "bzip2, bunzip2"입니다. bzip2는 파일을 압축하고, bunzip2는 압축 해제하는 명령어입니다. unzip2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므로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리눅스에서 소스(Source)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한 도구로 거리가 먼 것은?

  1. tar
  2. gcc
  3. rpm
  4. make
(정답률: 38%)
  • 정답: rpm

    설명: tar은 압축 파일을 해제하고, gcc는 C/C++ 컴파일러이며, make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고 설치하는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도구입니다. 반면에 rpm은 이미 컴파일된 바이너리 패키지를 설치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소스 코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rpm이 아닌 tar, gcc, make 등의 도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tar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테이프 관련 장치를 이용하여 백업할 때 사용된다.
  2. 심볼릭 링크가 가리키고 있는 원본 파일을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3. 디렉터리를 지정하면 그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과 서브 디렉터리들까지 함께 묶여진다.
  4. GNU tar는 파일로 묶거나 풀어주는 기능만 제공하고, 유닉스 tar는 압축 관련 작업도 지원한다.
(정답률: 52%)
  • "GNU tar는 파일로 묶거나 풀어주는 기능만 제공하고, 유닉스 tar는 압축 관련 작업도 지원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맞는 것입니다. GNU tar는 압축 관련 작업도 지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모두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은 tar명령을 이용해 압축을 해제하는 명령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xvf
  2. jxvf
  3. Jxvf
  4. zxvf
(정답률: 51%)
  • tar 명령어는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을 해제하는 명령어이다. 이때, 옵션을 사용하여 압축 방식을 지정할 수 있다.

    - x : 압축을 해제한다는 옵션
    - v : 작업 내용을 출력한다는 옵션
    - f : 파일 이름을 지정한다는 옵션

    그리고 압축 방식은 다음과 같다.

    - j : bzip2 방식으로 압축
    - z : gzip 방식으로 압축

    따라서, 위의 명령어에서는 bzip2 방식으로 압축된 파일을 해제하기 위해 "jxvf" 옵션을 사용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rpm 명령어로 패키지를 삭제 하려고 한다. 다음 중 의존성이 있는 패키지가 존재할 경우에도 제거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e
  2. --test
  3. --force
  4. --nodeps
(정답률: 71%)
  • 정답은 "--nodeps"이다.

    의존성이 있는 패키지가 존재할 경우에도 제거하는 옵션은 "--nodeps"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패키지를 강제로 삭제할 수 있으며,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패키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 옵션은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e" 옵션은 패키지를 삭제하는 옵션이다.
    "--test" 옵션은 패키지를 설치하기 전에 시험해보는 옵션이다.
    "--force" 옵션은 패키지를 강제로 설치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tar명령이 지원하는 압축 형식으로 틀린 것은?

  1. xz
  2. zip
  3. gzip
  4. compress
(정답률: 65%)
  • tar 명령은 zip 압축 형식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zip 압축 형식은 다른 압축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형식이며, tar와 함께 사용할 수는 있지만 tar 명령 자체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dpkg명령어를 이용해 환경 설정파일은 남기고 패키지를 삭제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e
  2. -r
  3. -P
  4. -R
(정답률: 50%)
  • 정답: "-r"

    설명: "-r" 옵션은 패키지를 삭제할 때 환경 설정 파일은 남기고 삭제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패키지를 삭제하더라도 설정 파일은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다른 옵션들의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e": 패키지를 삭제할 때 설정 파일도 함께 삭제하는 옵션입니다.
    - "-P": 패키지를 완전히 삭제하는 옵션으로, 설정 파일도 함께 삭제됩니다.
    - "-R": 패키지를 재설치하는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rpm 형태의 파일로 배포되는 rpm 파일의 구성 요소로 틀린 것은?

  1. 버전
  2. 릴리즈
  3. 압축형식
  4. 패키지 이름
(정답률: 71%)
  • 압축형식은 rpm 파일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rpm 파일은 패키지 이름, 버전, 릴리즈, 설치 및 제거 스크립트, 파일 및 디렉토리 등의 정보를 포함합니다. rpm 파일은 압축 형식이 아니라 RPM 패키지 형식입니다. RPM은 Red Hat Package Manager의 약자이며, 리눅스 배포판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데이트 및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lpq ㉡ lpstat
  2. ㉠ lpq ㉡ lpr
  3. ㉠ lp ㉡ lpstat
  4. ㉠ lp ㉡ lpr
(정답률: 71%)
  • 주어진 그림은 프린터 관련 명령어를 사용하는 예시이다. "lpq"는 현재 대기 중인 프린트 작업을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lpstat"은 현재 프린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 lpq ㉡ lpsta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lpq
  2. lpr
  3. lprm
  4. cancel
(정답률: 50%)
  • 주어진 그림은 프린터 큐(queue)를 관리하는 명령어들 중 하나인 lpq, lpr, lprm, cancel 중에서 lpq 명령어를 사용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lpq"가 아니라 "lprm"이다. lprm은 프린터 큐에서 특정 작업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USB 스캐너 관련 장치 파일을 찾아주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alsactl
  2. scanimage
  3. sane-find-scanner
  4. system-config-scanner
(정답률: 69%)
  • 정답은 "sane-find-scanner"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alsactl": 오디오 장치 설정을 관리하는 명령어로, USB 스캐너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 "scanimage": 이미지 스캔을 위한 명령어로, USB 스캐너 관련 파일을 찾아주는 기능은 없습니다.
    - "system-config-scanner": 시스템에서 스캐너를 구성하는 GUI 도구로, 명령어가 아닌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 "sane-find-scanner": SANE (Scanner Access Now Easy) 프로젝트에서 제공하는 명령어로, 시스템에 연결된 스캐너를 검색하고 관련 파일을 찾아줍니다. 따라서 USB 스캐너 관련 파일을 찾는 데에 가장 알맞은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 USB포트에 프린터를 직접 연결하는 경우 생성되는 관련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dev/usb/lp0
  2. /dev/usb/prn
  3. /dev/lp0/usb
  4. /dev/prn/usb
(정답률: 67%)
  • 정답: "/dev/usb/lp0"

    설명: 리눅스에서 USB 포트에 연결된 프린터는 /dev/usb/lp0 파일로 인식됩니다. 이 파일은 프린터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dev/usb/prn, /dev/lp0/usb, /dev/prn/usb는 모두 잘못된 경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표준 유닉스 장치 시스템 콜(POSIX READ, WRITE, IOCTL등)에 기반을 둔 OSS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애플이 개발한 오픈소스 프린팅 시스템이다.
  2. 리눅스에서 프린터를 지원해주는 초기 인쇄 시스템이다.
  3. 스캐너, 디지털카메라 등 이미지 관련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오픈소스 시스템이다.
  4. 유닉스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운드를 만들고 캡처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정답률: 57%)
  • 정답은 "유닉스계열 운영체제에서 사운드를 만들고 캡처하는 인터페이스이다."입니다. OSS는 Open Sound System의 약자로, 유닉스 및 리눅스 기반 시스템에서 사운드를 처리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이를 통해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고, 사운드를 생성하고, 캡처하고, 재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POSIX(표준 유닉스 장치 시스템 콜)에 기반을 둔 시스템으로, 다양한 유닉스 및 리눅스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ALSA
  2. OSS
  3. CUPS
  4. LPRng
(정답률: 77%)
  • 이 그림은 프린터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으며, CUPS는 Common Unix Printing System의 약자로, 리눅스나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프린터를 관리하는 표준 시스템이다. 따라서, CUPS가 정답이다. ALSA는 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OSS는 Open Sound System, LPRng는 Line Printer Daemon protocol의 개선 버전으로, 이들은 모두 오디오나 프린터와 관련된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활용

49.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xhost ㉡ TERMINAL
  2. ㉠ xhost ㉡ DISPLAY
  3. ㉠ xauth ㉡ DISPLAY
  4. ㉠ xauth ㉡ TERMINAL
(정답률: 64%)
  • xhost는 X Window System에서 호스트 접근 제어를 설정하는 명령어이고, DISPLAY는 X Window System에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환경 변수입니다. 따라서, xhost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른 호스트에서 현재 호스트의 X Window System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려면 "㉠ xhost ㉡ DISPLAY"를 입력해야 합니다. TERMINAL은 디스플레이 환경 변수가 아니므로 올바른 답이 아닙니다. xauth 명령어는 인증 관련 명령어이므로 올바른 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GNOM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Q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2. GNU 프로젝트를 통해 만들어졌다.
  3. 응용프로그램은 GPL 라이선스를 따른다.
  4. 재사용이 쉽도록 소스코드를 공개하였다.
(정답률: 66%)
  • 정답은 "Q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이다. GNOME은 GTK+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개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256 color 모드로 X 윈도를 실행시키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tartx -- :8
  2. startx -- :16
  3. startx -- -depth 8
  4. startx -- -depth 16
(정답률: 50%)
  • 정답: "startx -- -depth 8"

    설명: X 윈도에서 색상 깊이는 비트 단위로 표현되며, 256 color 모드는 8비트 색상 깊이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depth 8" 옵션을 사용하여 256 color 모드로 X 윈도를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8"이나 ":16"은 디스플레이 번호를 지정하는 옵션으로, 색상 깊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Kernel
  2. Display Manager
  3. Window Manager
  4. Desktop Environment
(정답률: 47%)
  • 이 그림은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의 역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윈도우 매니저는 윈도우를 관리하고 배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윈도우 매니저가 담당하는 작업들이 보여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Xlib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언어로 구현된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로 X 서버와 통신을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2. 개발자들이 Xlib를 통해 프로그램을 구현하려면 X 서버 및 X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프로토콜에 관해 자세히 알아야 한다.
  3. Xlib는 저수준의 인터페이스로 키보드나 마우스에 대한 반응 등 단순한 기능만 가지고 있다.
  4. XCB(X protocol C-language Binding)는 Xlib에 비해 향상된 스레딩 기능을 지원한다.
(정답률: 50%)
  • "Xlib는 저수준의 인터페이스로 키보드나 마우스에 대한 반응 등 단순한 기능만 가지고 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Xlib는 X Window System에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X 서버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개발자들이 Xlib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X 서버 및 X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특정 사용자가 X 윈도 실행 시에 관련키 값을 저장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Xterm
  2. .Xsession
  3. .Xpublickey
  4. .Xauthority
(정답률: 69%)
  • 정답: ".Xauthority"

    ".Xauthority" 파일은 X 윈도 시스템에서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특정 사용자가 X 윈도를 실행할 때 생성되며, 해당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저장합니다. 이 파일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위치하며, 다른 사용자가 이 파일에 접근할 수 없도록 권한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Xauthority" 파일은 특정 사용자의 X 윈도 실행 시에 관련키 값을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X 윈도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리눅스 초기에는 XFree86기반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X.org기반이 사용되고 있다.
  2. X 윈도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되어있고 X Protocol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3. GUI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며 서로 다른 이 기종을 함께 사용할 수 없다.
  4. 로컬 시스템뿐만 아니라 원격 호스트 간에도 응용프로그램을 주고받을 수 있다.
(정답률: 74%)
  • "GUI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며 서로 다른 이 기종을 함께 사용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이다. X 윈도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 기종 간의 호환성을 지원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설명에 알맞은 것은?

  1. GIMP
  2. KMid
  3. Totem
  4. Rhythmbox
(정답률: 79%)
  • 이 그림은 이미지 편집 소프트웨어인 GIMP의 로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서브넷 마스크 표기 방법 중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32비트의 값으로 표현한 방식을 네트워크 접두어 길이 표현(Network Prefix Length Representation)이라고 한다. 다음 중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0.0 일때 이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접두어로 알맞은 것은?

  1. /16
  2. /24
  3. /25
  4. /32
(정답률: 69%)
  • 정답: "/16"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0.0 일때, 이는 16비트가 네트워크 ID를 나타내고 나머지 16비트가 호스트 ID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접두어 길이는 16이 되며, 이를 "/16"으로 표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네트워크 구성 중 ifconfig 명령어를 이용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를 할당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하려고 한다.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eth0 ㉡: netmask ㉢: up
  2. ㉠: up ㉡: eth0 ㉢: netmask
  3. ㉠: ip ㉡: eth0 ㉢: mask
  4. ㉠: addr ㉡: mask ㉢: eth0
(정답률: 64%)
  • ifconfig 명령어를 이용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를 할당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터페이스 이름을 지정해줘야 한다. 이 경우 eth0이 인터페이스 이름이 된다. 그리고 IP 주소와 넷마스크를 설정해줘야 하는데, 이 경우 IP 주소는 192.168.0.1이 되고, 넷마스크는 255.255.255.0이 된다. 따라서 "㉠: eth0 ㉡: netmask ㉢: up"가 정답이 된다. 여기서 up은 해당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ihd 라는 계정으로 192.168.0.3 서버에 접속하는 명령으로 틀린 것은?

  1. ssh ihd@192.168.0.3
  2. ssh -l ihd 192.168.0.3
  3. telnet ihd@192.168.0.3
  4. telnet -l ihd 192.168.0.3
(정답률: 52%)
  • "telnet ihd@192.168.0.3"가 틀린 것이 아닌 것 같습니다.

    "ssh ihd@192.168.0.3"와 "ssh -l ihd 192.168.0.3"은 모두 ssh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명령어입니다.

    하지만 "telnet ihd@192.168.0.3"와 "telnet -l ihd 192.168.0.3"은 telnet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보안상의 이유로 ssh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며, "telnet ihd@192.168.0.3"가 틀린 것은 아니지만 추천되지 않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SSH와 관련된 서비스로 거리가 먼 것은?

  1. rsh
  2. scp
  3. sftp
  4. samba
(정답률: 58%)
  • 정답은 "samba"입니다.

    - "rsh"는 원격 호스트에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scp"는 SSH를 사용하여 파일을 안전하게 복사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sftp"는 SSH를 사용하여 파일을 안전하게 전송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반면에 "samba"는 Windows와 Linux/Unix 시스템 간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SH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중 FTP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ctive 모드와 Passive 모드를 지원한다.
  2. 익명의 계정(Anonymous)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3. FT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FTP 서버가 반드시 필요하다.
  4. UDP 프로토콜 기반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60%)
  • UDP 프로토콜 기반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 FTP는 TC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UDP를 사용하지 않는다. FTP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TCP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IPv6의 특징으로 알맞은 것은?

  1. 패킷 크기는 64KB이다.
  2. IPv4와 비교해 헤더 구조가 복잡하다.
  3. 주소 표시공간이 32비트로 약 42억개의 주소 제공한다.
  4. 흐름 제어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필드인 플로 레이블(Flow Label)을 도입하였다.
(정답률: 57%)
  • IPv6는 흐름 제어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필드인 플로 레이블(Flow Label)을 도입하였다. 이는 패킷의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특정한 흐름의 패킷을 식별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최상위 도메인으로 틀린 것은?

  1. or
  2. kr
  3. com
  4. edu
(정답률: 58%)
  • "or"은 최상위 도메인이 아니라,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ountry Code Top-Level Domain, ccTLD)이다. 나머지 "kr", "com", "edu"는 모두 최상위 도메인(Top-Level Domain, TL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네트워크 관련 파일을 직접 수정해서 ip를 설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직접 설정 방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파일 변경 후 저장과 동시에 정보가 갱신된다.
  2. 파일에 저장하면 서버 재부팅 시에도 적용 된다.
  3. vi 편집기 등을 이용해서 해당파일의 설정 내용을 직접 변경해야 한다.
  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 설정과 관련된 파일이 저장되는 곳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터리이다.
(정답률: 59%)
  • "파일에 저장하면 서버 재부팅 시에도 적용 된다."가 틀린 것이다. 파일을 수정하고 저장해도 서버를 재부팅해야만 변경된 설정이 적용된다. 이는 파일이 시스템에 로드되는 시점에 설정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이더넷 카드의 Link mode를 Auto-negotiation에서 100Mb/s Full duplex로 변경하려고 한다. 다음중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ip
  2. netstat
  3. ethtool
  4. ifconfig
(정답률: 70%)
  • ethtool은 이더넷 카드의 속성을 변경하고 모니터링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이더넷 카드의 Link mode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ethtool을 사용해야 한다. ip, netstat, ifconfig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모니터링하는 도구이지만, 이더넷 카드의 속성을 변경하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etc/hosts
  2. /etc/resolv.conf
  3. /etc/sysconfig/network
  4.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정답률: 56%)
  • "/etc/resolv.conf" 파일은 DNS 서버의 주소를 설정하는 파일이다. 따라서 이 파일을 통해 시스템은 DNS 서버에 접속하여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OSI 7 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SSL
  2. TCP
  3. FDDI
  4. ICMP
(정답률: 53%)
  • 정답은 "ICMP"입니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ICMP는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며, 라우팅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OSI 7 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하는 ICMP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에서 설명하는 OSI 7계층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

  1. 전송 계층
  2. 세션 계층
  3. 네트워크 계층
  4. 데이터링크 계층
(정답률: 62%)
  • 이 그림은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입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IP 주소를 이용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네트워크 계층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종류로 알맞은 것은?

  1. LAN
  2. MAN
  3. WAN
  4. X.25
(정답률: 78%)
  • 이 그림은 지리적으로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가진 네트워크는 WAN (Wide Area Networ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FTP를 이용해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에 가져올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get
  2. put
  3. mget
  4. mput
(정답률: 72%)
  • 정답은 "mget"입니다.

    "mget"은 FTP에서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에 가져올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get"은 하나의 파일을 가져오는 명령이고, "put"은 파일을 업로드하는 명령입니다. "mput"은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에 업로드할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따라서, 여러 개의 파일을 동시에 가져와야 할 때는 "mget"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에서설명하는프로토콜제정기관으로알맞은것은?

  1. EIA
  2. ISO
  3. IEEE
  4. ANSI
(정답률: 58%)
  • ANSI는 미국의 국가 표준화 기관으로, 미국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표준을 제정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토콜 제정 기관으로 적합하다. EIA는 전자 산업 협회, ISO는 국제 표준화 기구, IEEE는 전기 및 전자 기술자 협회로, 이들은 각각 전자, 국제, 전기 및 전자 분야의 표준을 제정하는 기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에서 설명하는 LAN 구성방식으로 알맞은 것은?

  1. 링(Ring)형
  2. 망(Mesh)형
  3. 버스(Bus)형
  4. 스타(Star)형
(정답률: 62%)
  • 스타(Star)형은 중앙에 허브(Hub)나 스위치(Switch)가 있고, 각각의 단말기가 이에 연결되는 구성 방식이다. 이 구성 방식은 단말기 간의 통신이 중앙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안정성이 높고, 단일 단말기의 고장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단말기를 추가하기도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GUI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설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setup
  2. mii-tool
  3. nm-connection-editor
  4. system-config-network
(정답률: 48%)
  • 정답은 "nm-connection-editor"입니다. 이는 GUI 기반의 네트워크 연결 설정 도구로, 네트워크 연결을 추가하고 수정하며, IP 주소, 게이트웨이, DNS 등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CLI(Command Line Interface) 기반의 도구이며, GUI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에서 설명하는 netstat의 상태 값으로 알맞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LISTEN
  2. SYS-SENT
  3. ESTABLISHED
  4. SYN_RECEIVED
(정답률: 66%)
  • "SYN_RECEIVED"는 TCP 3-way handshake 중 첫 번째 SYN 패킷을 받은 상태입니다. 서버는 이 SYN 패킷을 받고 클라이언트에게 ACK와 SYN을 함께 보내서 연결을 수립합니다. 따라서,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SYN 패킷을 받은 상태를 "SYN_RECEIVED"라고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su
  2. ftp
  3. ssh
  4. telnet
(정답률: 65%)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로그인 화면이며, ssh는 안전한 원격 접속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로그인 화면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 중 가장 안전하다. 따라서 정답은 "ss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로 사용되는 포트 범위로 알맞은 것은?

  1. 0번 ∼ 1023번
  2. 1번 ∼ 1024번
  3. 0번 ∼ 65535번
  4. 1번 ∼ 65536번
(정답률: 67%)
  • 정답은 "0번 ∼ 1023번"입니다.

    이 범위는 TCP/IP 프로토콜에서 잘 알려진 포트(Well-Known Port)로 사용되는 범위입니다. 이 포트들은 특정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포트로, 예를 들어 HTTP 서비스는 80번 포트, FTP 서비스는 21번 포트 등이 이 범위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포트들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관리자나 네트워크 관리자가 할당하고 관리하며, 다른 포트와 달리 보안상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빅데이터(Big Data)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에서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2. 빅데이터 관련기술로는 데이터마이닝, 기계학습, 자연어처리, 패턴인식 등이 있다.
  3. 데이터를 유연하고 더욱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NoSQL기술이 활용된다.
  4.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술로 하둡(Hadoop)이 있다.
(정답률: 54%)
  • 정답은 "분석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술로 하둡(Hadoop)이 있다." 이다. 하둡은 분산처리를 위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에 사용된다. 하지만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기술로는 Tableau, Power BI, D3.js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서버 가상화
  2. 임베디드 시스템
  3. 고가용성 클러스터
  4. 부하분산 클러스터
(정답률: 74%)
  • 이 그림은 작은 크기의 컴퓨터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주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사용됩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작은 크기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주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제어 시스템이나 가전제품의 제어 시스템 등이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임베디드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고계산용 클러스터(HPC)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고성능의 계산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슈퍼컴퓨터 구성에 주로 사용된다.
  2.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부하분산 클러스터와 연동하여 많이 사용된다.
  3. 모든 IT자원을 서비스형태로 제공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개념으로 SaaS가 있다.
  4. 대규모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으로 웹서비스등에 활용된다.
(정답률: 69%)
  • "고성능의 계산능력을 제공하기 위한 슈퍼컴퓨터 구성에 주로 사용된다." HPC는 고성능의 계산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러스터이다. 이는 대규모의 데이터 처리나 과학 연구 등에서 필요한 높은 계산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슈퍼컴퓨터 구성에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Docker
  2. Big Data
  3. Internet of Things
  4. Cloud Computing
(정답률: 77%)
  • 위 그림은 다양한 기기들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기술을 "Internet of Things" 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