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13)

리눅스마스터 2급
(2020-06-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다음과 같이 허가권 값이 변경되었을 경우 중간에 실행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mod u+s /project
  2. chmod g+s /project
  3. chmod g+t /project
  4. chmod o+t /project
(정답률: 79%)
  • 허가권 값이 변경되어 그룹에 대한 실행 권한이 추가되었으며, 그룹에 대한 실행 권한이 추가된 디렉토리에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면 그 파일의 소유자는 그룹의 소유자가 된다. 따라서 "chmod g+s /project"가 알맞은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fdisk 명령으로 파티션 속성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값의 조합으로 틀린 것은?

  1. Linux: 81
  2. Swap: 82
  3. LVM: 8e
  4. Raid: fd
(정답률: 61%)
  • 정답은 "Linux: 81"입니다.

    fdisk 명령으로 파티션 속성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값의 조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 Linux: 83
    - Swap: 82
    - LVM: 8e
    - Raid: fd

    Linux 파티션은 83이 아닌 81로 설정하는 것은 잘못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ihduser 사용자의 디스크 쿼터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quota
  2. quotaon
  3. setquota
  4. edquota
(정답률: 68%)
  • edquota 명령은 사용자 또는 그룹의 디스크 쿼터를 설정하기 위한 명령이다. 따라서 ihduser 사용자의 디스크 쿼터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edquota 명령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디렉터리에 부여되는 w 권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해당 디렉터리에 생성되는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2. 해당 디렉터리에 파일을 생성 또는 삭제할 수 있다.
  3. 해당 디렉터리에 파일을 생성할 수 있지만 삭제할 수 없다.
  4. 해당 디렉터리에 파일을 생성하고 해당 파일을 수정할 수 있다.
(정답률: 55%)
  • 해당 디렉터리에 부여되는 w 권한은 파일을 생성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해당 디렉터리에 파일을 생성 또는 삭제할 수 있다."가 정답입니다. 파일을 수정하는 권한은 r(읽기)와 w(쓰기) 권한 모두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명령의 실행 결과로 생성되는 lin.txt 파일의 허가권 값으로 알맞은 것은?

  1. -------r--
  2. -r--r--r--
  3. -rwxrwx-wx
  4. -rwxrwxr--
(정답률: 77%)
  • 정답: -rwxrwxr--

    이유:

    chmod 775 lin.txt 명령을 실행하면 lin.txt 파일의 허가권 값이 -rwxrwxr-x 로 변경된다.

    -rwxrwxr-x 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 첫 번째 문자는 파일 유형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일반 파일을 나타내는 "-" 이다.
    - 다음 세 개의 문자는 소유자의 허가권을 나타내며, rwx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모두 가지고 있다.
    - 다음 세 개의 문자는 그룹의 허가권을 나타내며, rwx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모두 가지고 있다.
    - 마지막 세 개의 문자는 기타 사용자의 허가권을 나타내며, r-x (읽기, 실행) 권한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lin.txt 파일의 허가권 값은 -rwxrwxr-x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가장 먼저 저널링(Journaling) 기술이 탑재된 파일 시스템으로 알맞은 것은?

  1. ext
  2. ext2
  3. ext3
  4. ext4
(정답률: 80%)
  • 가장 먼저 저널링 기술이 탑재된 파일 시스템은 ext3이다. 이는 ext2 파일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파일 시스템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저널링 기술을 도입하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명령을 실행했을 때 /dev/sdb1에 생성되는 파일 시스템으로 알맞은 것은?

  1. ext2
  2. ext3
  3. ext4
  4. xfs
(정답률: 68%)
  • mkfs.ext3 명령은 ext3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이다. 따라서 /dev/sdb1에 생성되는 파일 시스템은 "ext3"이다. ext3 파일 시스템은 ext2 파일 시스템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journaling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손상된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수리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mkfs
  2. fsck
  3. free
  4. fdisk
(정답률: 79%)
  • 정답은 "fsck"입니다.

    "fsck"는 파일 시스템 검사 및 수리 유틸리티입니다. 손상된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수리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mkfs":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입니다.
    - "free":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입니다.
    - "fdisk":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결과와 같을 때 umask 명령 실행 시 출력되는 값으로 알맞은 것은?

  1. 0002
  2. 0200
  3. 0664
  4. 0775
(정답률: 72%)
  • 위 그림에서 파일의 권한은 -rw-rw-r-- 이다. 이를 숫자로 나타내면 664이다. umask 값은 파일 생성 시 기본 권한에서 마스크할 권한을 나타내는 값이다. 즉, umask 값이 002이면 기본 권한에서 마스크할 권한은 "write"와 "execute"이다. 따라서, 파일의 권한에서 "write"와 "execute" 권한을 마스크하면 664에서 002를 뺀 662가 된다. 이를 다시 권한으로 나타내면 -rw-rw-r--이다. 따라서, umask 값은 00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현재 디렉터리 안에 있는 data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하위디렉터리 및 파일을 포함하여 ihduser로 변경하는 과정이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d
  2. -r
  3. -D
  4. -R
(정답률: 80%)
  • 정답은 "-R"이다.

    "-R"은 recursive(재귀적)의 약자로, 해당 디렉터리 안에 있는 모든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들에게도 명령어를 적용하겠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R"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data 디렉터리의 소유권만 변경되고,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들의 소유권은 변경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셸에서 선언된 셸 변수 전부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et
  2. env
  3. chsh
  4. export
(정답률: 50%)
  • 정답: set

    설명: set 명령은 현재 셸에서 선언된 모든 변수와 함수를 출력합니다. 이 명령은 셸 스크립트를 디버깅할 때 유용하며, 셸 변수의 값을 확인하거나 셸 환경을 분석할 때도 사용됩니다. env 명령은 현재 셸의 환경 변수만 출력하며, chsh 명령은 로그인 셸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export 명령은 변수를 환경 변수로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시스템 계정에 설정되는 셸로 알맞은 것은?

  1. /bin/bash
  2. /bin/dash
  3. /bin/tcsh
  4. /sbin/nologin
(정답률: 46%)
  • 시스템 계정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없는 계정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계정에는 로그인 셸로 "/sbin/nologin"이 설정됩니다. 이 셸은 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없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셸들은 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있는 셸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시스템 계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최근에 실행한 마지막 5개의 명령어 목록을 출력한다.
  2. 히스토리 명령 목록의 번호 중에서 5번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한다.
  3. 히스토리 명령 목록에서 5만큼 거슬러 올라가서 해당 명령을 실행한다.
  4. 히스토리 명령 목록에서 번호가 1번부터 5번에 해당하는 명령을 출력한다.
(정답률: 69%)
  • 해당 명령어는 "history | tail -5"로, "history" 명령어를 통해 사용자가 실행한 모든 명령어의 목록을 출력하고, "tail -5" 명령어를 통해 마지막 5개의 명령어만 출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최근에 실행한 마지막 5개의 명령어 목록을 출력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가장 최근에 등장한 셸로 알맞은 것은?

  1. csh
  2. ksh
  3. tcsh
  4. bash
(정답률: 74%)
  • 가장 최근에 등장한 셸은 "bash" 이다. 이는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되었으며, Bourne 셸과 호환성이 높아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다양한 기능과 확장성을 제공하여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명령의 결과로 알맞은 것은?

  1. lin
  2. ihduser
  3. $USER
  4. 화면에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다.
(정답률: 55%)
  •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이름을 출력하는 명령어는 "whoami" 이다. "$USER" 는 현재 쉘에서 사용 중인 사용자의 이름을 나타내는 환경 변수이다. 따라서, "whoami" 명령어의 결과는 "ihduser"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최근에 실행한 마지막 5개의 명령어 목록을 출력한다.
  2. 히스토리 명령 목록의 번호 중에서 5번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한다.
  3. 히스토리 명령 목록에서 5만큼 거슬러 올라가서 해당 명령을 실행한다.
  4. 히스토리 명령 목록에서 번호가 1번부터 5번에 해당하는 명령을 출력한다.
(정답률: 56%)
  • 이 명령은 "히스토리 명령 목록의 번호 중에서 5번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한다." 이유는 "!!:5"라는 명령어가 "히스토리 명령 목록에서 5만큼 거슬러 올라가서 해당 명령을 실행한다."라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셸로 알맞은 것은?

  1. bash
  2. dash
  3. tcsh
  4. ksh
(정답률: 77%)
  • 위 그림은 "$" 기호가 보이는 것으로 보아, Unix/Linux 계열의 셸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Unix/Linux 계열의 기본 셸은 "bash"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사용되는 셸은 "bash"입니다. "dash", "tcsh", "ksh"는 다른 유닉스 계열의 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결과에 해당하는 환경변수로 알맞은 것은?

  1. PS1
  2. PS2
  3. DISPLAY
  4. PROMPT
(정답률: 59%)
  • 정답은 "PS1"입니다.

    이유는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쉘 프롬프트의 모양을 지정하는 환경변수이기 때문입니다. 즉, 사용자가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할 때 보이는 프롬프트의 모양을 지정하는 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 기호로 프롬프트를 지정하면,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할 때 "$" 기호가 나타나게 됩니다.

    그 외의 환경변수들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PS2: 명령어가 여러 줄로 이루어질 때, 두 번째 줄 이후의 프롬프트 모양을 지정하는 변수입니다.
    - DISPLAY: X 윈도 시스템에서 그래픽 화면을 표시할 디스플레이를 지정하는 변수입니다.
    - PROMPT: 쉘 프롬프트의 모양을 지정하는 변수입니다. (PS1과 비슷하지만, 다른 쉘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top 명령은 실행 상태에서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여 프로세스 상태를 출력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중 관련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k 는 PID값을 입력하여 종료신호를 보낸다.
  2. p 는 프로세스와 CPU항목을 on/off 한다.
  3. m 은 메모리 관련 항목을 on/off 한다.
  4. W 는 바꾼 설정을 저장한다.
(정답률: 58%)
  • "p 는 프로세스와 CPU항목을 on/off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유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주겠다면, top 명령에서 "p" 옵션은 프로세스 리스트에서 CPU 사용량을 표시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옵션이다. "p" 옵션을 사용하면 CPU 사용량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어서, 시스템 리소스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cron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cron은 root 권한으로만 수행 가능하다.
  2. crontab 파일은 총 5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3.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작업만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작업은 /var/crontab 파일에 관련 정보가 저장된다.
(정답률: 56%)
  • cron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작업만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가 알맞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중 fg %2 명령을 실행했을 경우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fg + 와 동일한 명령으로 sleep 1000 작업이 실행된다.
  2.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던 sleep 2000 작업이 실행된다.
  3. fg – 와 동일한 명령으로 sleep 2000 작업이 실행된다.
  4.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던 sleep 3000 작업이 실행된다.
(정답률: 67%)
  • fg %2 명령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2번 작업을 포그라운드로 가져와 실행시키는 명령이다. 따라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sleep 3000 작업이 실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프로세스 식별번호가 2219, 2229, 2239 인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kill -9 22*9
  2. kill -9 22{1,2,3}9
  3. killall -9 2219 2229 2239
  4. killall -9 2219, 2229, 2239
(정답률: 64%)
  • 정답: "kill -9 22{1,2,3}9"

    이유:
    - "kill -9" 명령은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는 명령이다.
    - "22{1,2,3}9"는 2219, 2229, 2239를 의미한다. 중괄호 안에 쉼표로 구분하지 않고 숫자를 나열하면 중복되는 코드가 생기기 때문에 중괄호와 쉼표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 따라서 "kill -9 22{1,2,3}9" 명령은 프로세스 식별번호가 2219, 2229, 2239 인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는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시그널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시그널은 사용자의 인터럽트 키를 통해서만 발생된다.
  2. 시그널은 프로세스 간 메시지를 보내는 통신 할 때 이용한다.
  3. 시그널 목록은 kill -l 로 확인할 수 있고, 이름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시그널은 SIGINT, SIGKILL, SIGSTART, SIGSTOP 등이 있다.
(정답률: 61%)
  • 시그널은 프로세스 간 메시지를 보내는 통신 할 때 이용한다. 이는 다른 프로세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프로세스 간 협력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에게 작업을 요청하거나, 다른 프로세스가 작업을 완료했다는 신호를 보내는 등의 상황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시그널은 사용자의 인터럽트 키를 통해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다양한 상황에서 자동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시그널 목록은 kill -l 로 확인할 수 있고, 이름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시그널은 SIGINT, SIGKILL, SIGSTART, SIGSTOP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multitasking ㉡ crond
  2. ㉠ multitasking ㉡ standalone
  3. ㉠ daemon ㉡ crond
  4. ㉠ daemon ㉡ standalone
(정답률: 77%)
  • 이 그림은 서버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데몬(daemon)"과 "스탠드얼론(standalone)"에 대한 설명이다. 데몬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주로 시스템 관리를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스탠드얼론은 다른 시스템과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데몬과 스탠드얼론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보기들은 데몬과 스탠드얼론이 각각 다른 시스템과 연결되어 동작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조건으로 cron을 이용해서 일정을 등록할 때 알맞은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30 * * * * /etc/backup.sh
  2. */30 * * * * /etc/backup.sh
  3. * 30 * * * /etc/backup.sh
  4. * */30 * * * /etc/backup.sh
(정답률: 74%)
  • cron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하기 위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의 시간 기반 잡 스케줄러이다.

    위의 보기에서 "*/30 * * * *"은 매 시간의 30분마다 실행하라는 의미이다. 즉, 0분, 30분에 실행된다.

    따라서, "*/30 * * * * /etc/backup.sh"은 매 시간의 30분마다 /etc/backup.sh 스크립트를 실행하라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SIGINT(또는 INT)의 시그널 번호로 알맞은 것은?

  1. 1
  2. 2
  3. 9
  4. 15
(정답률: 66%)
  • 정답은 "2"입니다.

    SIGINT(Interrupt Signal)는 프로세스에게 인터럽트를 보내서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시그널입니다. 이 시그널의 번호는 2입니다.

    1은 SIGHUP(Hangup Signal), 9는 SIGKILL(Kill Signal), 15는 SIGTERM(Termination Signal)의 번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Foreground ㉡ Bandground
  2. ㉠ Foreground ㉡ Background
  3. ㉠ Background ㉡ Foreground
  4. ㉠ Bandground ㉡ Foreground
(정답률: 78%)
  • 이미지에서 전경(Foreground)은 글자의 색상이며, 배경(Background)은 글자가 위치한 영역의 색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 Foreground ㉡ Backgroun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들로 알맞은 것은?

  1. nice, renice
  2. nice, thread
  3. nohup, renice
  4. nohup, thread
(정답률: 81%)
  • "nice, renice" 명령어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nice" 명령어는 새로운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우선순위를 지정하고, "renice" 명령어는 이미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더 많은 CPU 자원을 할당받아 더 빠르게 실행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에서 설명하는 vi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vi +/ihd /etc/hosts
  2. vi +ihd /etc/hosts
  3. vi +/etc/hosts /ihd
  4. vi +/etc/hosts ihd
(정답률: 45%)
  • vi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을 편집할 때 사용하는 텍스트 에디터입니다.

    위의 명령어 "vi +/ihd /etc/hosts"는 /etc/hosts 파일에서 ihd라는 문자열이 있는 위치로 커서를 이동한 후 vi 편집기를 실행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etc/hosts 파일에서 ihd 문자열이 있는 위치로 바로 이동하여 파일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올바른 명령어가 아니므로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vi 편집기의 환경 설정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xrc
  2. .cshrc
  3. .profile
  4. .history
(정답률: 58%)
  • ".exrc" 파일은 vi 편집기의 환경 설정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 파일로, vi 편집기가 실행될 때 자동으로 로드되어 설정을 적용합니다. 따라서 ".exrc" 파일은 vi 편집기의 환경 설정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파일입니다. ".cshrc" 파일은 C shell의 환경 설정 파일이며, ".profile" 파일은 Bourne shell 및 Korn shell의 환경 설정 파일입니다. ".history" 파일은 사용자의 명령어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vi 편집기의 개발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gVim → vi → vim
  2. vim → gVim → vi
  3. vim → vi → gVim
  4. vi → vim → gVim
(정답률: 81%)
  • 정답: "vi → vim → gVim"

    vi는 1976년에 개발되었고, vim은 1991년에 vi의 개선 버전으로 개발되었습니다. vim은 vi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며, 더욱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gVim은 vim의 GUI 버전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vi가 먼저 개발되었고, vim이 vi를 개선한 버전이며, gVim은 vim의 GUI 버전이므로 "vi → vim → gVim"이 올바른 개발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vi 편집기로 문자열을 치환할 때 사용하는 정규 표현식 종류와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 : 줄의 끝을 의미
  2. ? : 줄의 시작을 의미
  3. < : 단어의 끝을 의미
  4. ^ : 단어의 시작을 의미
(정답률: 58%)
  • "$ : 줄의 끝을 의미"는 vi 편집기에서 문자열을 치환할 때 사용하는 정규 표현식 중 하나입니다. 이는 문자열의 끝을 나타내며, 치환할 문자열이 해당 줄의 끝에 위치할 경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hello world"라는 문자열에서 "world"를 "universe"로 바꾸고 싶을 때,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world$/universe/g

    여기서 "$"는 "world"가 해당 줄의 끝에 위치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g"는 해당 줄에서 모든 "world"를 "universe"로 바꾸라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텍스트 환경 기반의 콘솔 환경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에디터로 알맞은 것은?

  1. vi
  2. pico
  3. gedit
  4. emacs
(정답률: 79%)
  • gedit은 GUI 기반의 텍스트 에디터이므로 콘솔 환경에서 사용할 수 없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콘솔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에디터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vi 편집기로 문서를 편집한 후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w
  2. :w!
  3. :q!
  4. :wq
(정답률: 84%)
  • 정답은 ":wq"입니다.

    ":w"는 현재 편집 중인 문서를 저장하는 명령입니다.
    ":w!"는 강제로 저장하는 명령으로, 파일 권한이 없거나 읽기 전용 파일일 경우에도 저장할 수 있습니다.
    ":q!"는 변경사항을 무시하고 강제로 종료하는 명령입니다.
    ":wq"는 저장하고 종료하는 명령으로, 변경사항을 저장하고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환경 설정과 관련된 옵션 정보를 확인하려고 할 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help
  2. --config
  3. --option
  4. --install
(정답률: 71%)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은 "-h" 또는 "--help"이다. "--help" 옵션은 프로그램이나 명령어의 사용법과 함께 사용 가능한 옵션들을 보여주는 도움말을 출력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면 해당 프로그램이나 명령어의 사용 방법과 함께 사용 가능한 옵션들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bin/ls라는 파일을 설치한 패키지 이름을 알아보려고 한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알맞은 것은?

  1. -qc
  2. -qf
  3. -ql
  4. -qv
(정답률: 43%)
  • 보기에서 "-qf"는 파일이 설치된 패키지 이름을 출력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bin/ls" 파일이 설치된 패키지 이름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qf"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configure 작업으로 생성되는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

  1. make
  2. cmake
  3. Makefile
  4. configure.cmake
(정답률: 66%)
  • 정답: Makefile

    설명: configure 작업은 소스 코드를 빌드하기 위한 환경을 설정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을 수행하면 Makefile이라는 파일이 생성된다. Makefile은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고 빌드하는 데 필요한 명령어와 규칙을 정의하는 파일이다. 이 파일을 사용하여 소스 코드를 빌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은 압축되어 묶여진 tar 파일을 풀지 않고 내용만 확인하려고 한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알맞은 것은?

  1. zcvf
  2. zxvf
  3. ztvf
  4. zrvf
(정답률: 64%)
  • tar 파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t"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z" 옵션은 gzip으로 압축된 파일을 해제하기 위한 옵션이고, "v" 옵션은 작업 과정을 자세히 출력해주는 옵션이다. 따라서 "ztvf" 옵션은 gzip으로 압축된 tar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작업 과정을 자세히 출력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인텔 계열 CPU에 사용 가능한 데비안 리눅스 패키지 파일의 형식으로 알맞은 것은?

  1. vsftpd_3.0.3-12_s390.deb
  2. vsftpd_3.0.3-12_s390.apt
  3. vsftpd_3.0.3-12_i386.deb
  4. vsftpd_3.0.3-12_i386.apt
(정답률: 72%)
  • 정답은 "vsftpd_3.0.3-12_i386.deb"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vsftpd: 이 패키지는 vsftpd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패키지입니다.
    - 3.0.3-12: 이 패키지의 버전은 3.0.3-12입니다.
    - i386: 이 패키지는 인텔 아키텍처의 CPU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deb: 이 패키지 파일의 형식은 데비안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deb 형식입니다.

    따라서, 인텔 계열 CPU에서 데비안 리눅스를 사용하는 경우, vsftpd_3.0.3-12_i386.deb 파일을 사용하여 vsftpd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레드햇 계열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기법의 조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rpm, yum
  2. rpm, apt-get
  3. dpkg, yum
  4. YaST, yum
(정답률: 75%)
  • 레드햇 계열 리눅스에서는 패키지를 설치, 업데이트, 삭제하기 위해 rpm 패키지 관리기법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rpm은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므로 yum 패키지 관리기법을 함께 사용하여 의존성 문제를 해결합니다. 따라서 "rpm, yum"이 가장 알맞은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은 vsftpd라는 패키지를 의존성을 무시하고 제거하려고 한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알맞은 것은?

  1. -d --nodeps
  2. -r --nodeps
  3. -e --nodeps
  4. -v --nodeps
(정답률: 50%)
  • "-e --nodeps" 옵션은 패키지를 강제로 제거하며, 의존성을 무시하고 제거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vsftpd 패키지를 의존성을 무시하고 강제로 제거하려면 "-e --nodeps"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telnet-server라는 패키지를 삭제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알맞은 것은?

  1. delete
  2. destroy
  3. remove
  4. eliminate
(정답률: 77%)
  • telnet-server 패키지를 삭제하는 명령어는 "sudo apt-get (remove) telnet-server"이다.

    정답이 "remove"인 이유는, 패키지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가 "remove"이기 때문이다. "delete"나 "destroy"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용어이고, "eliminate"은 조금 더 강한 표현으로서 완전히 제거하거나 없애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패키지를 삭제할 때는 "remove"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ALS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PL 및 LGPL 라이선스 기반으로 배포되고 있다.
  2. OSS에 비해 적은 양의 단순한 API를 제공하고 있다.
  3. 1998년 Jaroslav Kysela가 주도하는 ALSA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
  4. 사운드 카드용 장치 드라이버를 위한 API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이다.
(정답률: 64%)
  • ALSA는 OSS에 비해 적은 양의 단순한 API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기능과 유연성을 제공하는 API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OSS에 비해 적은 양의 단순한 API를 제공하고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프린터 큐의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lp
  2. lpr
  3. lprm
  4. lpstat
(정답률: 69%)
  • 정답: lpstat

    이유: lpstat은 "line printer status"의 약자로, 프린터 큐의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lp는 프린터에 출력 작업을 보내는 명령어이고, lpr은 파일을 프린터 큐에 추가하는 명령어이며, lprm은 프린터 큐에서 작업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프린터 큐의 상태를 출력하는 명령어는 lpsta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CUP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웹 서버의 Common Log Format 형태의 로그파일을 제공한다.
  2. HTTP 기반의 IPP를 사용하고, SMB 프로토콜도 부분적으로 지원한다.
  3. CUPS 프린트 데몬의 환경 설정 파일의 기본문법이 아파치의 httpd.conf와 유사하다.
  4. CUPS가 제공하는 장치 드라이버는 어도비의 PPD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설정한다.
(정답률: 55%)
  • "CUPS가 제공하는 장치 드라이버는 어도비의 PPD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설정한다."이 틀린 설명이다. CUPS는 PPD 파일을 사용하여 프린터를 설명하고 구성하지만, 이 파일은 이미지 파일이 아니라 텍스트 파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설치된 PCI 관련 장치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pci
  2. lpc
  3. lspci
  4. pciinfo
(정답률: 63%)
  • 정답은 "lspci"입니다.

    lspci는 PCI 버스를 사용하는 장치들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시스템에 설치된 PCI 장치들의 목록과 해당 장치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설치된 PCI 관련 장치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로 lspci가 알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GUI 기반의 스캐너 도구로 알맞은 것은?

  1. xcam
  2. scanadf
  3. scanimage
  4. sane-find-scanner
(정답률: 54%)
  • 정답은 "xcam"입니다. "xcam"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기반의 스캐너 도구로, 사용자가 마우스와 키보드를 이용하여 스캔 설정을 조정하고 이미지를 스캔할 수 있습니다. "scanadf"와 "scanimage"는 명령어 기반의 스캐너 도구이며, "sane-find-scanner"는 스캐너를 찾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중System V 계열의프린트명령어로알맞은것은?

  1. lp
  2. lpr
  3. lpq
  4. lprm
(정답률: 62%)
  • 정답: lp

    이유: lp는 System V 계열의 프린트 명령어 중 하나로, 파일을 프린터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lpr은 BSD 계열의 프린트 명령어이며, lpq는 프린터 큐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lprm은 프린터 큐에서 작업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활용

49. 다음과 같은 결과를 위해 실행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xhost list $DISPLAY
  2. xhost list DISPLAY
  3. xauth list $DISPLAY
  4. xauth list DISPLAY
(정답률: 6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X11 Forwarding을 사용하여 원격 서버에서 실행 중인 GUI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X11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인증이 필요합니다. "xauth list $DISPLAY" 명령은 현재 사용자의 X11 인증 정보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이 명령을 실행하여 현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xhost list $DISPLAY" 명령은 호스트 기반의 인증 정보를 표시하므로 올바른 명령이 아닙니다. "xhost list DISPLAY"와 "xauth list DISPLAY" 명령은 DISPLAY 환경 변수를 인식하지 않으므로 올바른 명령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X 윈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런레벨 3으로 설정된 상태라면 부팅 시에 X 윈도가 시작된다.
  2. X 윈도는 정확한 그래픽 카드 설정이 필요하고 호환 모드 설정은 제공하지 않는다.
  3. X 윈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지 않고 서로 다른 기종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4. 현재 리눅스를 비롯해 유닉스 대부분에서 사용되는 X 윈도는 XFree86 기반이다.
(정답률: 58%)
  • X 윈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존적이지 않고 서로 다른 기종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 이유는 X 윈도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로컬에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기종에서도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리눅스를 시작할 때 X 윈도가 실행되도록 관련 설정 파일을 수정하려고 할 때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id:3:startx:
  2. id:5:startx:
  3. id:3:initdefault:
  4. id:5:initdefault:
(정답률: 55%)
  • 리눅스에서 실행 레벨(runlevel)은 시스템이 시작될 때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그룹을 정의합니다. X 윈도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실행 레벨을 5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etc/inittab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이 파일에서 id:5:initdefault: 라인을 찾아 수정하면 됩니다. 이 설정은 시스템이 부팅될 때 실행 레벨을 5로 설정하고, X 윈도를 실행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id:5:initdefault:"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X 윈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1986년 Matthias Ettrich가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만들었다.
  2. 노틸러스(Nautilu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표되었다.
  3. X 컨소시엄에 의해 X11 버전이 처음으로 개정되어 X11R2가 발표되었다.
  4. X11R7.7 버전을 끝으로 XFree86 프로젝트는 해체되었다.
(정답률: 54%)
  • X 윈도는 X 컨소시엄에 의해 X11 버전이 처음으로 개정되어 X11R2가 발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특정 사용자가 X 윈도를 실행 시 생성되는 키 값이 저장되는 곳으로 알맞은 것은?

  1. $HOME/.Xgrant
  2. $HOME/.Xauthority
  3. $HOME/.Xpermission
  4. $HOME/.Xcertification
(정답률: 74%)
  • 정답: $HOME/.Xauthority

    설명: X 윈도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X 서버가 실행되고, 이 때 사용자의 X 세션에 대한 인증 정보가 필요하다. 이 인증 정보는 $HOME/.Xauthority 파일에 저장된다. 이 파일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위치하며, X 윈도 시스템에서는 이 파일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X 세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따라서 $HOME/.Xauthority 파일은 X 윈도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파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설명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KDE
  2. GNOME
  3. KERNEL
  4. KWin
(정답률: 76%)
  • 이 그림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데스크톱 환경 중 하나인 GNOME의 로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GNOME"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KDE는 또 다른 데스크톱 환경, KERNEL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 KWin은 KDE에서 사용되는 창 관리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리눅스 부팅 시 X 윈도를 실행하기 위해 부팅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init
  2. /etc/inittab
  3. /etc/fstab
  4. /etc/runlevel
(정답률: 51%)
  • 정답은 "/etc/inittab"입니다. 이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초기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수정하여 부팅 시 실행할 프로세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부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이 파일에서 default runlevel을 수정해야 합니다. X 윈도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보통 runlevel 5를 사용하므로, default runlevel을 5로 설정하면 부팅 시 X 윈도가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GNOME 데스크톱에서 제공하는 Eye of GNOME Image Viewer를 실행시키기 위해 명령행에서 입력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image
  2. viewer
  3. eog
  4. eyes
(정답률: 72%)
  • 정답: eog

    이유: GNOME 데스크톱에서 제공하는 Eye of GNOME Image Viewer의 실행 파일 이름은 "eog"이다. "image", "viewer", "eyes"는 해당 프로그램과 관련된 단어이지만, 실행 파일 이름이 아니기 때문에 올바른 명령어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과 같은 조건일 때 설정되는 브로드캐스트 주소 값으로 알맞은 것은?

  1. 192.168.3.190
  2. 192.168.3.191
  3. 192.168.3.192
  4. 192.168.3.193
(정답률: 54%)
  • IP 주소는 192.168.3.190이고,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252입니다. 이는 30비트 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호스트 비트는 2비트이므로 4개의 IP 주소가 사용 가능합니다. 따라서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92.168.3.19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IPv4의 A 클래스 대역에 할당된 사설 네트워크 대역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

  1. 1
  2. 10
  3. 16
  4. 256
(정답률: 53%)
  • A 클래스 대역은 10.0.0.0 ~ 10.255.255.255 이므로 사설 네트워크 대역은 하나뿐이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서비스로 알맞은 것은?

  1. NIS
  2. NFS
  3. CIFS
  4. SAMBA
(정답률: 69%)
  • 이 서비스는 파일 공유를 위한 것으로, NFS는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 네트워크 상에서 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NFS가 가장 알맞은 답이다. NIS는 Network Information System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계정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고, CIFS는 Common Internet File System으로,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파일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이다. SAMBA는 Linux나 UNIX 시스템에서 윈도우와의 파일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메일 서버간의 메시지 교환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FTP
  2. POP3
  3. IMAP
  4. SMTP
(정답률: 78%)
  • 정답: SMTP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메일 서버간에 메시지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메일을 보내는 클라이언트는 SMTP 서버에 메시지를 보내고, 이를 받는 클라이언트는 POP3 또는 IM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일 서버에서 메시지를 가져옵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OP3와 IMAP은 이메일 클라이언트가 메일 서버에서 이메일을 가져오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다음 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로 알맞은 것은?

  1. /etc/networking/devices
  2. /etc/sysconfig/devices
  3. /etc/sysconfig/network
  4. /etc/sysconfig/network-scripts
(정답률: 48%)
  •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터리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입니다. 이 디렉터리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 파일들을 편집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디렉터리에는 ifcfg-eth0, ifcfg-eth1 등의 파일이 있으며, 이 파일들을 편집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운영 중인 서버의 특정 포트에 접속하여 연결된(ESTABLISHED)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의 조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ip, netstat
  2. ss, netstat
  3. ip, route
  4. ss, route
(정답률: 59%)
  • 정답은 "ss, netstat"입니다.

    ss는 소켓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netstat은 네트워크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이 두 명령어를 조합하여 운영 중인 서버의 특정 포트에 접속하여 연결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ip은 IP 주소와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route는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이 두 명령어는 운영 중인 서버의 특정 포트에 접속하여 연결된 정보를 확인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결과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s
  2. ip
  3. route
  4. ethtool
(정답률: 70%)
  • "ethtool"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속성을 확인하고 설정하는 도구입니다. 위의 결과에서는 "eth0" 인터페이스의 속도가 1000Mbps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thtool" 명령어가 이 결과에 해당합니다. "ss"는 소켓 통계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ip"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라우팅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route"는 라우팅 테이블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은 다른 계정으로 접근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u
  2. -n
  3. -p
  4. -l
(정답률: 52%)
  • "-l"은 로그인할 때 사용자의 로그인 쉘을 지정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기본 로그인 쉘이 지정된다. 따라서 다른 계정으로 접근할 때 해당 계정의 로그인 쉘을 지정하기 위해 "-l" 옵션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FTP 서비스 관련 포트 번호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 ftp: 20 ㉡ ftp-data: 21
  2. ㉠ ftp: 21 ㉡ ftp-data: 20
  3. ㉠ ftp: 22 ㉡ ftp-data: 21
  4. ㉠ ftp: 21 ㉡ ftp-data: 22
(정답률: 65%)
  • FTP 서비스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포트는 ftp-data가 아닌 ftp 포트인 20번이고, 제어를 위한 포트는 ftp 포트인 21번이기 때문에 "㉠ ftp: 21 ㉡ ftp-data: 20"이 올바른 조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이더넷 케이블의 배열 순서인 T568B를 표준화한 기구로 알맞은 것은?

  1. ISO
  2. EIA
  3. ITU
  4. IEEE
(정답률: 38%)
  • 정답은 "EIA"입니다.

    T568B는 이더넷 케이블의 배열 순서 중 하나로, EIA/TIA-568B 표준에 따라 정의되었습니다. EIA는 전기 및 전자 산업 협회(Electronic Industries Alliance)의 약자로, 미국에서 전기 및 전자 산업의 표준화를 촉진하는 단체입니다. EIA/TIA-568B는 이더넷 케이블의 배열 순서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설치 및 유지보수에 대한 규정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IP
  2. ARP
  3. UDP
  4. TCP
(정답률: 77%)
  • 이 그림은 UDP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UDP는 데이터 전송 시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고, 데이터 그대로를 전송하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 그림에서도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하고, 오류 검사를 위한 체크섬만 추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그림은 UDP 프로토콜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표현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데이터의 암호화와 해독을 수행한다.
  2. 데이터의 전송 순서 및 동기점의 위치를 제공한다.
  3.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필요에 따라 압축과 압축해제를 진행한다.
  4. 코드와 문자를 번역하여 일관되게 전송 데이터를 서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프로토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IP
  2. ARP
  3. UDP
  4. ICMP
(정답률: 72%)
  • 이 그림은 ICMP 프로토콜의 패킷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ICMP Echo Request 메시지가 보내지고 있습니다. 이는 일종의 "핑" 메시지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ICMP 프로토콜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장애 발생 시에도 다른 시스템에 영향이 적고,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여 신뢰성이 높은 LAN 구성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

  1. 스타형
  2. 버스형
  3. 링형
  4. 망형
(정답률: 74%)
  • 정답은 "망형"입니다.

    망형은 여러 개의 스위치나 허브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스위치나 허브로 우회하여 통신이 가능합니다. 또한, 각각의 장비들이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장애 발생 시에도 다른 시스템에 영향이 적고,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여 신뢰성이 높은 LAN 구성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웹서비스에 사용되는 포트번호로 알맞은 것은?

  1. 80
  2. 143
  3. 8008
  4. 8080
(정답률: 65%)
  • 정답: 80

    웹서비스는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서비스이다. HTTP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며, 따라서 웹서비스에 사용되는 포트번호는 80번이다. 143번은 IMAP 프로토콜, 8008번은 HTTP Alternate 프로토콜, 8080번은 HTTP Alternate (http_alt) 프로토콜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웹 브라우저로 알맞은 것은?

  1. 크롬
  2. 사파리
  3. 오페라
  4. 파이어폭스
(정답률: 5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주소 표시줄이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탭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오페라"가 알맞은 웹 브라우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할당받은 C 클래스 네트워크 주소 대역에서 서브넷마스크를 255.255.255.192이고,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정했을 경우에 사용 가능한 IP 주소 개수로 알맞은 것은?

  1. 61
  2. 62
  3. 63
  4. 64
(정답률: 3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과 같은 설정이 저장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hosts
  2. /etc/resolv.conf
  3. /etc/sysconfig/network
  4. /etc/sysconfig/network-scripts
(정답률: 62%)
  • 이 설정 파일은 DNS 서버의 IP 주소를 지정하는 파일로, 네트워크 연결 시 DNS 서버를 참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etc/resolv.conf"가 정답이다.

    - "/etc/hosts":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파일로,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 "/etc/sysconfig/network":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설정을 저장하는 파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게이트웨이, 호스트 이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 "/etc/sysconfig/network-script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변경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IPv6의 주소 표현의 단위로 알맞은 것은?

  1. 32bit
  2. 64bit
  3. 128bit
  4. 256bit
(정답률: 72%)
  • IPv6 주소는 128비트로 표현됩니다. 이는 IPv4 주소의 32비트와 비교하여 주소 공간이 매우 크게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IPv6 주소는 16진수로 표현되며, 각 16비트는 콜론(:)으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는 유효한 IPv6 주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도시권 통신망인 MAN과 관련된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X.25
  2. ATM
  3. DQDB
  4. FDDI
(정답률: 52%)
  • 정답은 "DQDB"입니다.

    DQDB는 Distributed Queue Dual Bus의 약자로, MAN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버스 형태의 토폴로지를 가지며, 데이터 전송을 위해 듀얼 큐를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충돌을 방지하고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DQDB는 비동기식 전송 방식을 사용하며, ATM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기술이 탑재된 제품으로 알맞은 것은?

  1. Xen
  2. KVM
  3. RHEV
  4. VitualBox
(정답률: 53%)
  • 위 그림은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서버 가상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Xen"은 하이퍼바이저 기술을 사용하여 가상화를 구현하는 제품입니다. 다른 보기들도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지만, "Xen"은 하이퍼바이저 기술을 사용하여 더욱 효율적인 가상화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구성에 해당하는 클러스터링 기법으로 알맞은 것은?

  1. LVS
  2. HA 클러스터
  3. HPC 클러스터
  4. 베어울프 클러스터
(정답률: 67%)
  • 이 구성에서는 서버들이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HA(High Availability) 클러스터링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HA 클러스터는 여러 대의 서버를 하나의 논리적인 서버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하나의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서버가 이를 대신 처리하여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이 구성에서는 HA 클러스터가 가장 적합한 클러스터링 기법이다. LVS는 로드 밸런싱 기술, HPC 클러스터는 고성능 컴퓨팅 기술, 베어울프 클러스터는 고가용성 클러스터링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운영체제로 알맞은 것은?

  1. Tizen
  2. webOS
  3. Bada OS
  4. QNX
(정답률: 69%)
  • 이 운영체제는 삼성전자와 리눅스 재단이 공동 개발한 모바일 운영체제로, 삼성전자의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Tizen은 리눅스 기반으로 개발되어 있으며, 웹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개발이 용이하고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Arduino
  2. Raspberry Pi
  3. Micro Bit
  4. Cubie Board
(정답률: 65%)
  • 이 보기에서 "Raspberry Pi"는 컴퓨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싱글 보드 컴퓨터이다. 다른 보드들은 주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사용되는 반면, Raspberry Pi는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