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6-17)

9급 지방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2017-06-17 기출문제)

목록

1. 체세포 분열의 세포주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G1기는 딸세포가 성장하는 시기이다.
  2. S기에는 DNA 합성으로 염색체가 복제되어 자매염색분체를 만든다.
  3. G2기의 세포 중 일부가 세포분화를 하여 조직으로 발달한다.
  4. M기에는 체세포 분열에 의하여 딸세포가 형성된다.
(정답률: 80%)
  • G2기의 세포 중 일부가 세포분화를 하여 조직으로 발달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체세포 분열의 세포주기에서 G1기는 딸세포가 성장하는 시기, S기에는 DNA 합성으로 염색체가 복제되어 자매염색분체를 만들고, M기에는 체세포 분열에 의하여 딸세포가 형성된다. G2기는 세포가 분열을 준비하는 단계로, 세포 내부의 구조와 기능이 준비되고 염색체가 복제된 후에 체세포 분열이 일어난다. 일부 세포는 이 단계에서 세포분화를 하여 조직으로 발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유전적 평형이 유지되고 있는 식물 집단에서 한 쌍의 대립유전자 A와 a의 빈도를 각각 p, q라 하고 p=0.6이고, q=0.4일 때, 집단 내 대립유전자빈도와 유전자형빈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전자형 AA의 빈도는 0.36이다.
  2. 유전자형 Aa의 빈도는 0.24이다.
  3. 유전자형 aa의 빈도는 0.16이다.
  4. 이 집단이 5세대가 지난 후 예상되는 대립유전자 A의 빈도는 0.6이다.
(정답률: 83%)
  • "이 집단이 5세대가 지난 후 예상되는 대립유전자 A의 빈도는 0.6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유전적 평형이 유지되고 있다는 가정 하에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변하지 않으므로, 5세대가 지난 후에도 대립유전자 A의 빈도는 0.6으로 유지될 것이다.

    유전자형 Aa의 빈도는 2pq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2 x 0.6 x 0.4 = 0.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작물의 수확 후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백미는 현미에 비해 온습도 변화에 민감하고 해충의 피해를 받기 쉽다.
  2. 곡물은 저장 중 α-아밀라아제의 분해 작용으로 환원당 함량이 감소한다.
  3. 호흡급등형 과실은 성숙함에 따라 에틸렌이 다량 생합성되어 후숙이 진행된다.
  4. 수분함량이 높은 채소와 과일은 수확 후 수분증발에 의해 품질이 저하된다.
(정답률: 91%)
  • "백미는 현미에 비해 온습도 변화에 민감하고 해충의 피해를 받기 쉽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α-아밀라아제는 녹말을 분해하여 당분을 생성하는 효소이다. 따라서 저장 중인 곡물에서 α-아밀라아제의 활동이 일어나면 환원당 함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곡물의 품질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백미와 현미는 모두 곡물이므로 저장 중 α-아밀라아제의 활동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백미도 현미와 마찬가지로 저장 중에 환원당 함량이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벼 품종의 기상생태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위도지대인 적도 부근에서 기본영양생장성이 큰 품종은 생육기간이 길어서 다수성이 된다.
  2. 중위도지대에서 감온형 품종은 조생종으로 사용된다.
  3. 고위도지대에서는 감온형 품종을 심어야 일찍 출수하여 안전하게 수확할 수 있다.
  4. 우리나라 남부에서는 감온형 품종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정답률: 74%)
  • "우리나라 남부에서는 감온형 품종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남부 지역의 기후가 따뜻하고 습하며, 감온형 품종이 이러한 기후 조건에서 잘 자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배수성 육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수체를 작성하기 위해 세포분열이 왕성한 생장점에 콜히친을 처리한다.
  2. 복2배체의 육성방법은 이종게놈의 양친을 교배한 F1의 염색체를 배가시키거나 체세포를 융합시키는 것이다.
  3. 반수체는 염색체를 배가하면 동형접합체를 얻을 수 있으나 열성형질을 선발하기 어렵다.
  4. 인위적으로 반수체를 만드는 방법으로 약배양, 화분배양, 종속간 교배 등이 있다.
(정답률: 89%)
  • 배수성 육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반수체는 염색체를 배가하면 동형접합체를 얻을 수 있으나 열성형질을 선발하기 어렵다."이다. 이유는 반수체는 염색체를 배가하면 열성형질도 함께 선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우량품종에 한두 가지 결점이 있을때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반복친과 1회친을 사용하는 육종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순환선발법
  2. 집단선발법
  3. 여교배육종법
  4. 배수성육종법
(정답률: 96%)
  • 우량품종에 결점이 있을 때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여러 개체를 교배하여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는 것이 여교배육종법이다. 이 방법은 우량품종의 결점을 보완하면서도 다양한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 유전적 안정성이 높은 새로운 품종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우량품종 개선에 매우 효과적인 육종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돌연변이육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위돌연변이체는 대부분 수량이 낮으나, 수량이 낮은 돌연변이체는 원품종과 교배하면 생산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2. 돌연변이유발원으로 sodium azide, ethyl methane sulfonate 등이 사용된다.
  3. 이형접합성이 높은 영양번식작물에 돌연변이유발원을 처리하면 체세포돌연변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4. 타식성 작물은 자식성 작물에 비해 돌연변이유발원을 종자처리하면 후대에 포장에서 돌연변이체의 확인이 용이하다.
(정답률: 80%)
  • 타식성 작물은 자식성 작물에 비해 돌연변이유발원을 종자처리하면 후대에 포장에서 돌연변이체의 확인이 용이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타식성 작물은 씨앗이 아닌 줄기, 잎, 꽃 등에서 돌연변이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돌연변이유발원을 처리한 후에는 이러한 부위를 채취하여 돌연변이체를 확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일반 포장에서 작물의 광포화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벼 포장에서 군락의 형성도가 높아지면 광포화점은 높아진다.
  2. 벼잎의 광포화점은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3. 콩이 옥수수보다 생육 초기 고립상태의 광포화점이 높다.
  4. 출수기 전후 군락상태의 벼는 전광(全光)에 가까운 높은 조도에서도 광포화에 도달하지 못한다.
(정답률: 76%)
  • "콩이 옥수수보다 생육 초기 고립상태의 광포화점이 높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유는 콩과 옥수수는 서로 다른 작물이며, 광포화점은 작물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콩과 옥수수는 생육 초기에 광포화점이 다르다. 콩은 높은 광도에서도 빠르게 광포화에 도달하기 때문에 생육 초기에 고립상태에서도 높은 광도가 필요하다. 반면에 옥수수는 생육 초기에는 광도가 낮아도 광포화에 도달하기 때문에 고립상태에서도 낮은 광도에서 생육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물마다 광포화점이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콩이 옥수수보다 생육 초기 고립상태의 광포화점이 높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고온장해가 발생한 작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흡이 광합성보다 우세해진다.
  2. 단백질의 합성이 저해된다.
  3. 수분흡수보다 증산이 과다해져 위조가 나타난다.
  4. 작물의 내열성은 미성엽(未成葉)이 완성엽(完成葉)보다 크다.
(정답률: 87%)
  • 작물의 내열성은 미성엽(未成葉)이 완성엽(完成葉)보다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오히려 완성엽이 더 내열성이 높은 경우가 많다. 이유는 완성엽이 더 많은 열화학적 반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작물 품종의 재배, 이용상 중요한 형질과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물의 수분함량과 저장성은 유통 특성으로 품질 형질에 해당한다.
  2. 화성벼는 줄무늬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품종이다.
  3. 단간직립 초형으로 내도복성이 있는 통일벼는 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품종이다.
  4. 직파적응성 벼품종은 저온발아성이 낮고 후기생장이 좋아야 한다.
(정답률: 80%)
  • "작물의 수분함량과 저장성은 유통 특성으로 품질 형질에 해당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직파적응성 벼품종은 저온발아성이 낮고 후기생장이 좋아야 한다." 이다.

    직파적응성 벼품종은 추운 지역에서 재배하기 적합한 품종으로, 저온발아성이 높아야 한다. 즉, 낮은 온도에서도 발아가 잘 되어야 한다. 또한 후기생장이 좋아야 수확량이 높아지므로, 추운 지역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육묘해서 이식재배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벼는 육묘 시 생육이 조장되어 증수할 수 있다.
  2. 봄 결구배추를 보온육묘해서 이식하면 추대를 유도할 수 있다.
  3. 과채류는 조기에 육묘해서 이식하면 수확기를 앞당길 수 있다.
  4. 벼를 육묘이식하면 답리작이 가능하여 경지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76%)
  • "봄 결구배추를 보온육묘해서 이식하면 추대를 유도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옳은 내용이지만, "벼를 육묘이식하면 답리작이 가능하여 경지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는 육묘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육묘는 작물의 생육을 조장시켜 수확기를 앞당기거나 추대를 유도하는 등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작물의 생태적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스파라거스는 다년생 작물이다.
  2. 티머시는 난지형 목초이다.
  3. 고구마는 포복형 작물이다.
  4. 식물체가 포기를 형성하는 작물을 주형(株型)작물이라고 한다.
(정답률: 78%)
  • 정답은 "티머시는 난지형 목초이다."이다. 이유는 티머시는 난지형이 아니라 물생형이기 때문이다. 물생형 작물은 물 속에서 자라는 작물로, 난지형은 물이 많은 습지에서 자라는 작물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우리나라 일반포장에서 작물의 주요온도 중 최고온도가 가장 높은 작물은?

  1. 귀리
  2. 보리
  3. 담배
  4. 옥수수
(정답률: 86%)
  • 옥수수는 일반포장에서 보관할 때 최고온도가 25도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작물들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보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옥수수가 주요온도 중 최고온도가 가장 높은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혼작에 적합한 작물조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와 기장
  2. 콩과 보리
  3. 콩과 수수
  4. 팥과 메밀
(정답률: 62%)
  • 콩과 보리는 모두 농경지에서 생육기간이 비슷하므로 경쟁관계가 발생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혼작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콩과 보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작물종자의 파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추파하는 경우 만파에 대한 적응성은 호밀이 쌀보리보다 높다.
  2. 상추 종자는 무 종자보다 더 깊이 복토해야 한다.
  3. 우리나라 북부지역에서는 감온형인 올콩(하대두형)을 조파(早播)한다.
  4. 맥류 종자를 적파(摘播)하면 산파(散播)보다 생육이 건실하고 양호해진다.
(정답률: 82%)
  • "상추 종자는 무 종자보다 더 깊이 복토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상추 종자와 무 종자는 모두 얕게 복토해야 한다. 이유는 둘 다 작은 종자이기 때문에 흙 위에 뿌려놓고 가볍게 덮어주면 된다. 깊이 묻으면 발아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감자와 고구마의 안전 저장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식용감자는 10~15°C에서 큐어링 후 3~4°C에서 저장하고, 고구마는 30~33°C에서 큐어링 후 13~15°C에서 저장한다.
  2. 식용감자는 30~33°C에서 큐어링 후 3~4°C에서 저장하고, 고구마는 10~15°C에서 큐어링 후 13~15°C에서 저장한다.
  3. 가공용 감자는 당함량 증가 억제를 위해 10°C에서 저장하고, 고구마는 30~33°C에서 큐어링 후 3~5°C에서 저장한다.
  4. 가공용 감자는 당함량 증가 억제를 위해 3~4°C에서 저장하고, 식용감자는 10~15°C에서 큐어링 후 3~4°C에서 저장한다.
(정답률: 70%)
  • 식용감자는 10~15°C에서 큐어링 후 3~4°C에서 저장하고, 고구마는 30~33°C에서 큐어링 후 13~15°C에서 저장하는 것이 옳다. 이는 감자와 고구마의 최적 보관 온도와 습도를 고려한 결과이다. 감자는 저온 다습한 환경에서 보관하면 부패와 변질이 발생하기 때문에, 큐어링 후 저온 건조한 환경에서 보관해야 한다. 고구마는 큐어링을 통해 수분을 제거하고 당분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습도에서 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종자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의 발아는 수분흡수, 배의 생장개시, 저장양분 분해와 재합성, 유묘 출현의 순서로 진행된다.
  2. 저장양분이 분해되면서 생산된 ATP는 발아에 필요한 물질 합성에 이용된다.
  3. 유식물이 배유나 떡잎의 저장양분을 이용하여 생육하다가 독립영양으로 전환되는 시기를 이유기라고 한다.
  4. 지베렐린과 시토키닌은 종자발아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률: 70%)
  • 종자의 발아는 수분흡수, 배의 생장개시, 저장양분 분해와 재합성, 유묘 출현의 순서로 진행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저장양분 분해와 재합성은 수분흡수와 함께 진행되며, 배의 생장개시와 유묘 출현은 저장양분이 분해되고 합성된 물질들로 인해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종자의 발아는 수분흡수, 배의 생장개시, 저장양분 분해와 재합성, 유묘 출현의 순서로 진행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논토양과 시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담수 상태의 논에서는 조류(藻類)의 대기질소고정작용이 나타난다.
  2. 암모니아태질소가 산화층에 들어가면 질화균이 질화작용을 일으켜 질산으로 된다.
  3. 한여름 논토양의 지온이 높아지면 유기태질소의 무기화가 저해된다.
  4. 답전윤환재배에서 논토양이 담수 후 환원상태가 되면 밭상태에서는 난용성인 인산알루미늄, 인산철 등이 유효화된다.
(정답률: 51%)
  • "한여름 논토양의 지온이 높아지면 유기태질소의 무기화가 저해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논토양의 지온이 높아지면 유기태질소의 무기화가 촉진된다. 이유는 높은 지온이 미생물 활동을 촉진시켜 유기태질소를 더 빠르게 분해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채소류의 접목육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이를 시설에서 연작할 경우 박이나 호박을 대목으로 이용하면 흰가루병을 방제할 수 있다.
  2. 핀접과 합접은 가지과 채소의 접목육묘에 이용된다.
  3. 박과 채소는 접목육묘를 통해 저온, 고온 등 불량환경에 대한 내성이 증대된다.
  4. 접목육묘한 박과 채소는 흡비력이 강해질 수 있다.
(정답률: 68%)
  • "오이를 시설에서 연작할 경우 박이나 호박을 대목으로 이용하면 흰가루병을 방제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박과 호박은 흰가루병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대목으로 이용하면 오이의 흰가루병 발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대목으로 이용되는 박이나 호박은 흰가루병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지만, 오이는 그렇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이를 박이나 호박에 접목시켜서 이들의 내성을 빌리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종자의 수분(受粉) 및 종자형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담배와 참깨는 수술이 먼저 성숙하며 자식으로 종자를 형성할 수 없다.
  2. 포도는 종자형성 없이 열매를 맺는 단위결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3. 웅성불임성은 양파처럼 영양기관을 이용하는 작물에서 1대잡종을 생산하는 데 이용된다.
  4. 1개의 웅핵이 배유형성에 관여하여 배유에서 우성유전자의 표현형이 나타나는 현상을 크세니아(xenia)라고 한다.
(정답률: 78%)
  • "담배와 참깨는 수술이 먼저 성숙하며 자식으로 종자를 형성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담배와 참깨는 수술이 성숙하면 자식으로 종자를 형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