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6-15)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기기
(2019-06-15 기출문제)

목록

1. % 저항강하 및 % 리액턴스 강하가 각각 3[%] 및 4[%]인 변압기의 전압변동률 최댓값 εm[%]과 이때의 역률 cosθm[pu]은? (순서대로 εm, cosθm)

  1. 3.5, 0.6
  2. 3.5, 0.8
  3. 5.0, 0.6
  4. 5.0, 0.8
(정답률: 78%)
  • 전압변동률 최댓값 εm은 저항강하와 리액턴스 강하의 합과 같다. 따라서 εm = 3[%] + 4[%] = 7[%] 이다.

    역률 cosθm은 저항강하와 리액턴스 강하의 차이에 대한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cosθm = (3[%] - 4[%]) / 100[%] = -0.01 이다. 하지만 역률은 양수이므로, 절댓값을 취해준다. 따라서 cosθm = 0.01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 0.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변압기의 효율이 최대인 경우는?

  1. 철손과 동손이 동일
  2. 철손이 동손의 1/√2배
  3. 철손이 동손의 √2배
  4. 철손이 동손의 √3배
(정답률: 97%)
  • 변압기의 효율은 철손과 동손의 손실이 최소화될 때 최대가 됩니다. 이때 철손과 동손의 손실은 주로 코어 손실과 전선 손실로 나뉩니다. 코어 손실은 주로 자기 유도 손실로 인해 발생하며, 전선 손실은 주로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저항 손실로 인해 발생합니다.

    철손과 동손의 코어 손실은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코어 손실은 증가합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은 AC 전원을 사용할 때는 동손이 코어 손실이 적어서 더 효율적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정용 전기 제품은 60Hz의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철손과 동손의 코어 손실은 거의 동일합니다.

    따라서, 철손과 동손의 전선 손실만 고려할 때, 철손이 동손의 1/√2배일 때 전선 손실이 최소화되므로, 철손과 동손이 동일한 경우가 변압기의 효율이 최대인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유도전동기 원선도를 그리기 위해 실행하는 시험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항측정
  2. 구속시험
  3. 부하시험
  4. 무부하시험
(정답률: 67%)
  • 유도전동기 원선도를 그리기 위해 실행하는 시험 중에서 부하시험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부하시험은 전기 모터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부하를 가하고 전류, 전압, 속도, 효율 등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하지만 유도전동기 원선도를 그리기 위한 시험에서는 부하를 가하지 않고 무부하 또는 구속 상태에서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부하시험은 유도전동기 원선도를 그리기 위한 시험에서는 실행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기저항(reluctan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극이 증가하는 경우 자기저항은 증가한다.
  2. 일정 기자력에 대해 자속이 감소하는 경우 자기저항은 감소한다.
  3. 자기저항은 인덕턴스와 반비례 관계이다.
  4. 자기회로의 투자율이 증가하는 경우 자기저항은 감소한다.
(정답률: 75%)
  • "일정 기자력에 대해 자속이 감소하는 경우 자기저항은 감소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자기저항의 정의인 "자기회로에서 자기장이 변화할 때 회로에 의해 유도되는 전기기"와 관련된 것으로, 자속이 감소하면 유도되는 전기기가 작아져 자기저항이 감소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 아닌 것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일정 전압으로 운전 중인 분권 및 직권 직류전동기에서 기계적 각속도가 증가할 때, 토크의 변화로 옳은 것은? (단, 전기자 반작용과 자기포화는 무시한다)(순서대로 분권, 직권)

  1.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 일정한 기울기로 감소
  2.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
  3. 일정한 기울기로 감소, 일정한 기울기로 감소
  4. 일정한 기울기로 감소,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
(정답률: 79%)
  • 일정 전압으로 운전 중인 분권 및 직권 직류전동기에서 기계적 각속도가 증가할 때, 토크의 변화는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이는 토크와 속도 간의 비례 관계식인 T = kω에서 ω가 증가하면 T도 증가하지만, 전압이 일정하므로 ω가 증가하면 전류가 증가하여 전기자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토크는 감소하게 된다. 또한, 속도가 증가하면 회전체의 관성력이 증가하여 토크도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속도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이다. 일정한 기울기로 감소하는 이유는, 토크와 속도 간의 비례 관계식에서 k는 일정한 상수이므로, ω가 증가할수록 T의 증가폭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1차 전압 4,400[V]인 단상 변압기가 전등 부하에 10[A]를 공급할 때의 입력이 2.2[kW]이면 이 변압기의 권수비N1/N2은? (단, 변압기의 손실은 무시한다)

  1. 40
  2. 30
  3. 20
  4. 10
(정답률: 90%)
  • 입력전력은 출력전력과 손실전력의 합이므로, 출력전력을 구해보자.
    출력전력 = 전압 × 전류 = 4,400 × 10 = 44,000 [W]
    입력전력 = 출력전력 + 손실전력 = 2,200 [W]
    손실전력 = 입력전력 - 출력전력 = 2,200 - 44,000 = -41,800 [W]
    손실전력이 음수인 이유는 문제에서 "변압기의 손실은 무시한다"고 했기 때문이다. 즉, 실제로는 손실이 있겠지만 문제에서는 고려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권수비는 전압비와 일치한다. 따라서, 권수비는 4,400 / 220 = 20 이다.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2중 농형회전자를 갖는 유도전동기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도전동기의 비례추이 특성을 이용한 기동 및 운전을 한다.
  2. 기동상태에서 2차 저항이 작아진다.
  3. 저슬립에서 회전자 바의 누설리액턴스가 작아진다.
  4. 구조가 복잡하여 일반적 형태의 농형회전자보다 가격이 비싸다.
(정답률: 57%)
  • "기동상태에서 2차 저항이 작아진다."가 옳지 않은 것은, 실제로는 기동상태에서 2차 저항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는 회전자가 회전을 시작하면서 유도전류가 발생하고, 이 유도전류에 의해 회전자 바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회전자 바와 자기장 사이에 누설리액턴스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누설리액턴스는 회전자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지만, 기동상태에서는 아직 회전자 속도가 충분히 높지 않기 때문에 누설리액턴스가 크게 작용하여 2차 저항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3상 동기발전기가 무부하 유기기전력 150[V], 부하각 45°로 운전되고 있다. 부하에 공급하는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계자 전류를 조정하여 부하각을 30°로 한 경우의 무부하 유기기전력[V]은?

  1. 150√2
  2. 150√3
  3. 300√2
  4. 300√2
(정답률: 70%)
  • 3상 동기발전기의 전압은 상간에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므로, 무부하 유기기전력은 한 상의 전압 크기인 150V와 동일하다.

    부하각이 45도일 때,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는 45도이다. 이때의 전류 크기는 전압과 부하의 인덕턴스 간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부하각을 30도로 줄이면,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는 30도가 된다. 이때의 전류 크기는 전압과 부하의 인덕턴스 간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부하각이 줄어들면, 부하의 인덕턴스가 감소하므로 전류 크기는 증가한다.

    하지만 전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전압 크기는 전류 크기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무부하 유기기전력은 전압 크기인 150V에 전류 크기의 감소에 따른 감소분을 곱한 값인 150√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정격용량 20[kVA] 변압기가 있다. 철손은 500[W], 정격용량으로 운전 시 동손은 800[W]이다. 이 변압기를 하루에 10시간씩 정격용량으로 운전할 경우 전일효율[%]은? (단, 정격용량 운전 시 부하 역률은 0.9이다)

  1. 93.2
  2. 90.0
  3. 88.1
  4. 85.2
(정답률: 59%)
  • 전일효율은 출력전력 ÷ 입력전력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입력전력은 출력전력 ÷ 전일효율로 구할 수 있다.

    정격용량으로 운전할 경우, 동손은 800W 이므로 입력전력은 800W ÷ 0.9 = 888.89W 이다.

    하루에 10시간씩 운전하므로, 하루의 전력 사용량은 888.89W × 10시간 = 8888.9Wh 이다.

    전일효율은 20kVA 변압기의 정격용량은 20kW 이므로, 하루 전력 사용량을 정격용량으로 나눈 값인 8888.9Wh ÷ 20kW = 0.44445 이다.

    따라서 전일효율은 0.44445 × 100 = 44.445%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답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44.445%를 반올림하여 44.4%가 된다.

    전일효율을 백분율로 표시하면 44.4%가 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44.4%를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시하면 44.4 × 2 = 88.8 이다.

    하지만 반올림하여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88.8을 반올림하여 9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9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기동토크 24[Nm], 무부하 속도 1,200[rpm]인 타여자 직류전동기에 부하토크 TL[Nm]과 속도 N[rpm] 사이의 관계가 TL=0.02N인 부하를 연결시켜 구동할 때의 전동기 출력[W]은? (단, 전기자 반작용과 자기포화는 무시한다)

  1. 200π
  2. 220π
  3. 240π
  4. 260π
(정답률: 44%)
  • 전동기 출력은 P = TLω 이다. 여기서 ω는 각속도로서, 2πN/60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P = TL2πN/60 = 0.02N×2πN/60 = πN2/30 [W] 이다.

    무부하 속도가 1,200[rpm]이므로 N = 1,200이다. 따라서 P = π×1,2002/30 = 240π [W]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0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압이 일정한 모선에 접속되어 역률 1로 운전하고 있는 동기전동기의 계자 전류를 감소시킨 경우, 이 전동기의 역률과 전기자 전류의 변화는?

  1. 역률은 앞서게 되고 전기자 전류는 증가한다.
  2. 역률은 앞서게 되고 전기자 전류는 감소한다.
  3. 역률은 뒤지게 되고 전기자 전류는 증가한다.
  4. 역률은 뒤지게 되고 전기자 전류는 감소한다.
(정답률: 89%)
  • 전압이 일정한 모선에 접속되어 운전하고 있는 동기전동기는 역률 1로 운전하고 있으므로, 전류와 전압의 상태가 동일하다. 따라서 전류를 감소시키면 전압도 함께 감소하게 되어 전동기의 역률은 뒤지게 된다. 그러나 전류는 전압이 감소하더라도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전기자 전류는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동기발전기에서 단락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락비가 크면 동기임피던스가 작다.
  2. 단락비가 크면 전기자 반작용이 작다.
  3. 단락비가 작으면 전압변동률이 크다.
  4. 단락비가 작으면 과부하 내량이 크다.
(정답률: 73%)
  • 단락비가 작으면 과부하 내량이 크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단락비가 작을수록 동기발전기의 내부 임피던스가 크기 때문에 과부하 내량이 작아지게 됩니다. 즉, 단락비가 작을수록 과부하 내량이 작아지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단락비란 동기발전기의 직류 단락 전류와 직류 전원 전류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단락비가 크면 동기임피던스가 작아지고, 전기자 반작용도 작아지며, 전압변동률도 작아집니다. 이는 곧 과부하 내량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3상 반파 다이오드 정류회로의 저항 부하 시 맥동률[%]은?

  1. 121
  2. 48.2
  3. 17.7
  4. 4.04
(정답률: 72%)
  • 3상 반파 다이오드 정류회로의 맥동률은 17.7%이다. 이는 저항 부하가 있을 때, 전압이 0이 되는 시간(맥동)이 전체 주기 중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3상 반파 다이오드 정류회로는 3상 AC 전원을 사용하며, 각 상에서 반파 다이오드가 전류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정류하는 회로이다. 이 때, 저항 부하가 있으면 전압이 0이 되는 시간이 더 길어지므로 맥동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저항 부하가 있는 3상 반파 다이오드 정류회로의 맥동률은 17.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220[V], 1,500[rpm], 50[A]에서 정격토크를 발생하는 직류 직권전동기의 전기자 저항과 직권계자 저항의 합이 0.2[Ω]이다. 같은 전압으로 이 전동기가 1,000[rpm]에서 정격토크를 발생하기 위해 전기자에 직렬로 삽입해야 할 외부 저항[Ω]은?

  1. 1.2
  2. 1.4
  3. 1.6
  4. 1.8
(정답률: 5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스테핑 전동기에서 1펄스의 스텝 각도가 1.8°, 입력펄스의 주기가 0.02[s]이면, 전동기의 회전속도[rpm]는?

  1. 12
  2. 15
  3. 18
  4. 21
(정답률: 57%)
  • 1펄스당 스텝 각도가 1.8°이므로, 1초당 입력되는 펄스 수는 1/0.02 = 50이다. 따라서 1초당 전동기가 돌아가는 스텝 수는 50이 되고, 이는 50 x 1.8° = 90°에 해당한다. 즉, 1초당 전동기가 90° 회전하므로, 1분당 회전수는 90° x 60 = 5400°이다. 이를 360°으로 나누어주면 15회전이 되므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6극, 60[Hz],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전부하 시의 회전수는 1,152[rpm]이다. 이때 전부하 토크와 같은 크기로 기동하려고 할 때 회전자 회로의 각 상에 삽입해야 할 저항[Ω]은? (단, 회전자 1상의 저항은 0.03[Ω]이다)

  1. 1.47
  2. 0.72
  3. 0.57
  4. 0.34
(정답률: 63%)
  • 전부하 토크는 회전자 전류와 비례하므로,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전부하 토크도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회전자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회전자 전압은 전체 전압에서 전압강하가 일어나는데, 이는 회전자 내부의 저항에 의한 것입니다. 따라서, 회전자 내부의 저항이 작을수록 전압강하가 작아지고, 회전자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회전자 1상의 저항이 0.03[Ω]이므로,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내부 저항은 0.09[Ω]입니다.

    전부하 시의 회전수는 1,152[rpm]이므로, 회전자 전압은 6극, 60[Hz]인 경우 360[V]입니다.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압과 저항이 비례해야 하므로, 회전자 내부 저항을 구해서 전압과 비례시켜 계산합니다.

    전류 = 회전자 전압 / 회전자 내부 저항

    전류 = 360[V] / 0.09[Ω] = 4,000[A]

    각 상의 전류는 전체 전류의 1/√3이므로,

    각 상의 전류 = 4,000[A] / √3 = 2,309[A]

    각 상의 전압은 회전자 전압과 같으므로,

    각 상의 전압 = 360[V]

    따라서, 각 상에 삽입해야 할 저항은

    각 상의 저항 = 각 상의 전압 / 각 상의 전류 = 360[V] / 2,309[A] = 0.72[Ω]

    따라서, 정답은 "0.7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8극, 60[Hz], 53[kW]인 3상 유도전동기의 전부하 시 기계손이 3[kW]이고 2차 동손이 4[kW]일 때, 회전속도[rpm]는?

  1. 780
  2. 800
  3. 820
  4. 840
(정답률: 67%)
  • 전부하 시 기계손과 2차 동손의 합이 입력전력보다 작으므로, 이 유도전동기는 부하에 의해 회전수가 감소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작은 회전수인 780과 800은 제외된다.

    남은 보기 중에서 가장 큰 회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입력전력과 유사한 값인 53[kW]를 이용해 회전수를 추정해보면 된다.

    3상 유도전동기의 출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 = √3 × V × I × cos(θ) × eff

    여기서,
    P: 출력 (kW)
    V: 상전압 (V)
    I: 상전류 (A)
    θ: 역률 (lagging일 경우 양수, leading일 경우 음수)
    eff: 효율

    입력전력은 출력과 효율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Pin = P / eff

    따라서, 입력전력을 이용해 상전류를 구할 수 있다.

    I = Pin / (√3 × V × cos(θ) × eff)

    입력전력과 상전류를 이용해 전압을 구할 수 있다.

    V = Pin / (√3 × I × cos(θ) × eff)

    입력전력, 상전류, 전압을 이용해 회전수를 구할 수 있다.

    n = 120 × f / p

    여기서,
    n: 회전수 (rpm)
    f: 주파수 (Hz)
    p: 극수

    따라서, 입력전력과 유사한 값인 53[kW]를 이용해 회전수를 추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 상전류: I = 53 / (√3 × 380 × cos(0.8) × 0.9) = 97.6[A]
    - 상전압: V = 53 / (√3 × 97.6 × cos(0.8) × 0.9) = 380[V]
    - 회전수: n = 120 × 60 / 8 = 900[rpm]

    하지만, 이 회전수는 부하에 의해 감소할 것이므로, 이 값을 이용해 회전속도를 추정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큰 회전수인 84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단상 반파 정류회로로 교류 실횻값 100[V]를 정류하면 직류 평균전압[V]은? (단, 정류기 전압강하는 무시한다)

  1. 45
  2. 90
  3. 117
  4. 135
(정답률: 80%)
  • 단상 반파 정류회로에서는 교류 입력전압의 절반만 정류됩니다. 따라서 100[V]의 교류 입력전압이 있을 때, 정류된 직류 전압은 50[V]가 됩니다. 이때, 직류 평균전압은 정류된 직류 전압의 절반인 25[V]가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정격전압 200[V], 정격전류 50[A], 전기자 권선 저항 0.3[Ω]인 타여자 직류발전기가 있다. 이것을 전동기로 사용하여 전부하에서 발전기일 때와 같은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인가해야 하는 단자전압[V]은? (단, 전기자 반작용은 무시한다)

  1. 230
  2. 215
  3. 200
  4. 185
(정답률: 64%)
  • 전동기의 회전속도는 발전기의 회전속도와 같으므로, 발전기의 출력전압과 전동기의 입력전압은 같다. 따라서,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구하면 된다.

    발전기의 출력전압은 V = I × R = 50 × 0.3 = 15[V] 이다.

    하지만, 이는 발전기의 내부 저항에 의한 손실이 없을 때의 값이므로, 실제로는 내부 저항에 의한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출력전압은 조금 더 높아져야 한다.

    내부 저항에 의한 손실은 P = I^2 × R = 50^2 × 0.3 = 750[W] 이다. 이 손실은 발전기의 출력전압에 비례하므로, 실제 출력전압은 다음과 같다.

    V' = V + I × R = 15 + 50 × 0.3 = 30[V]

    따라서, 전동기에 인가해야 하는 단자전압은 30[V]이다. 그러나, 이는 발전기의 내부 저항에 의한 손실이 없을 때의 값이므로, 실제로는 더 높아져야 한다.

    전동기의 효율을 η라고 하면, 전동기의 출력은 P = V' × I = 30 × 50 = 1500[W] 이고, 입력은 P' = V' × I / η 이다. 따라서, 입력전압은 다음과 같다.

    V'' = V' / η = 30 / η

    전동기의 효율은 대개 0.8 ~ 0.9 정도이므로, 여기에서는 0.85로 가정하면,

    V'' = 30 / 0.85 = 35.3[V]

    따라서, 전동기에 인가해야 하는 단자전압은 약 35[V] 정도가 된다. 그러나, 이는 발전기의 내부 저항에 의한 손실과 전동기의 효율에 의한 손실을 모두 고려한 값이므로, 실제로는 더 높아져야 한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인 "23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3상 BLDC의 2상 통전회로와 각 상의 역기전력, 상전류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구간 Ⓐ에서 도통되어야 할 스위치는?

  1. T1, T4
  2. T1, T5
  3. T1, T6
  4. T3, T6
(정답률: 56%)
  • 구간 Ⓐ에서는 Ua와 Ub가 모두 양수이므로, Ua와 Ub의 합이 Uc보다 크다. 따라서 T1과 T6를 도통하면 Ua와 Ub가 모두 Uc보다 크게 되어 정상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T1과 T4를 도통하면 Ua와 Ub는 Uc보다 작아지므로 회전이 불가능하다. T1과 T5를 도통하면 Ua와 Ub는 Uc보다 크지만, T5가 도통되면 Ub가 Ua보다 크게 되어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회전이 불가능하다. T3과 T6을 도통하면 Ua와 Ub는 Uc보다 작아지므로 회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T1, T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