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6-18)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기기
(2022-06-18 기출문제)

목록

1. 자기저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투자율에 비례한다.
  2. 전기회로의 전기저항에 대응한다.
  3. 자기저항이 클수록 동일 기자력을 인가할 경우 발생하는 자속은 감소한다.
  4. 직렬 연결된 자기저항들의 등가자기저항값은 개개의 자기저항을 모두 합한 값과 같다.
(정답률: 알수없음)
  • "투자율에 비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자기저항은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정의되는데, 이는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류와 전압이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류가 높을수록 자기저항도 높아지며, 이는 투자율과도 비례한다. 즉, 자기저항이 높을수록 전류가 흐르는데 필요한 전압이 높아지므로, 같은 전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회전자 위치에 따른 자속의 변화를 측정하여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는?

  1. 광 센서
  2. 압력 센서
  3. 홀(Hall) 센서
  4. 적외선(IR) 센서
(정답률: 알수없음)
  • 홀 센서는 회전자 위치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이 바뀌는 현상을 이용하여 회전자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입니다. 회전자에 자석을 부착하고, 홀 센서를 자석 근처에 위치시키면 자기장의 방향이 바뀌는 지점에서 홀 센서가 감지하여 회전자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홀 센서가 회전자 위치 검출에 적합한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2극 동기발전기의 회전자가 터빈에 의해 300[rpm]으로 회전할 때, 발전 전압 주파수[Hz]는?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12극 동기발전기는 1회전당 12개의 전기 신호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회전자가 300[rpm]으로 회전할 때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주파수는 300[rpm] × 12[극] ÷ 60[초] = 60[Hz] 입니다. 따라서 발전 전압 주파수는 60[Hz]의 절반인 30[Hz]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 방식에 따른 종류가 아닌 것은?

  1. 분상 기동형
  2. 영구 자석형
  3. 셰이딩 코일형
  4. 커패시터 기동형
(정답률: 알수없음)
  • 영구 자석형은 기동 방식이 아니라 유도전동기의 자석 구성 방식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 방식에 따른 종류가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도전동기의 기동 방식에 따른 종류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단상 변압기를 병렬 운전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변압기 극성의 일치
  2. 각 변압기 용량의 일치
  3. 각 변압기 백분율 임피던스 강하의 일치
  4. 각 변압기 권수비 및 1차와 2차 정격전압의 일치
(정답률: 알수없음)
  • 각 변압기 용량의 일치가 옳지 않은 것이다. 단상 변압기를 병렬 운전할 때는 각 변압기의 용량이 일치해야 한다. 이는 각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일정하게 분배되어 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량이 다른 변압기를 병렬 운전할 경우, 전류의 분배가 불균형하게 되어 전압이 불안정해지고, 변압기의 과부하 및 과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손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동손은 부하손이다.
  2. 일반적으로 철손은 히스테리시스 손실과 와전류 손실로 구분된다.
  3. 히스테리시스 손실은 재질의 히스테리시스 루프 면적에 비례한다.
  4. 적층한 자성체 두께만 1/2로 줄이면 와전류 손실은 1/2로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적층한 자성체 두께만 1/2로 줄이면 와전류 손실은 1/2로 감소한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적층한 자성체 두께가 감소하면 자기 저항이 감소하고, 따라서 와전류 손실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직렬 R-L 부하에 연결된 사이리스터 단상전파정류회로의 위상각을 30°에서 60°로 변경하면 출력평균전압은 몇 배가 되는가? (단, 출력전류는 연속적이고 환류다이오드는 사용하지 않는다)

  1. 1/√3
  2. 1/√2
  3. 1/2
  4. √3/2
(정답률: 알수없음)
  • 직렬 R-L 부하에 연결된 사이리스터 단상전파정류회로의 출력평균전압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Vavg = Vm/π * (cosα - cosβ)

    여기서 Vm은 입력전압의 최대값, α는 사이리스터의 절단각도, β는 위상각이다. 따라서 위상각이 30°에서 60°로 변경되면 cosβ 값이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평균전압도 변하게 된다.

    cos30° = √3/2, cos60° = 1/2 이므로,

    Vavg(60°) = Vm/π * (cosα - 1/2)

    Vavg(30°) = Vm/π * (cosα - √3/2)

    Vavg(60°)/Vavg(30°) = (cosα - 1/2)/(cosα - √3/2)

    분모와 분자에 √3/2를 곱해주면,

    Vavg(60°)/Vavg(30°) = [(cosα - 1/2)/(cosα - √3/2)] * [√3/2/√3/2]

    = [(cosα - √3/2)/(cosα - 1/2)] * √3

    = [(-sinα)/(cosα - 1/2)] * √3

    = -2 * √3 * tan(α/2)

    여기서 tan(α/2)는 사이리스터의 절단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하지만 tan(α/2)가 작을수록 cosα는 크고 sinα는 작아지므로, 위의 식에서 분모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위상각이 작아질수록 출력평균전압은 커지게 된다.

    이제 tan(α/2)가 작을 때, 즉 α가 작을 때의 극한값을 구해보자.

    lim(α→0) -2 * √3 * tan(α/2) = -2 * √3 * lim(α→0) tan(α/2)

    = -2 * √3 * (lim(α→0) sin(α/2) / cos(α/2))

    = -2 * √3 * (1/2) / 1

    = -√3

    따라서 위상각이 30°에서 60°로 변경될 때 출력평균전압은 1/√3 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3상 유도전동기의 공급전압과 발생 토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토크 크기는 공급전압에 비례한다.
  2. 토크 크기는 공급전압에 반비례한다.
  3. 토크 크기는 공급전압의 제곱에 비례한다.
  4. 토크 크기는 공급전압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토크 크기는 공급전압의 제곱에 비례한다."이다.

    3상 유도전동기의 토크는 공급전압의 크기와 회전자의 회전속도에 비례한다. 또한, 회전자의 회전속도는 공급전압의 주파수에 비례하므로, 토크 크기는 공급전압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는 회전자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이 공급전압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급전압을 높이면 토크 크기도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이상적인 변압기 회로에서 부하저항 RL에 최대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a 값은? (단, VP는 전원전압, RP는 전원의 내부저항이다)

  1. √5
  2. 5
  3. √10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이상적인 변압기 회로에서 최대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부하저항과 전원의 내부저항이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RL = RP가 되어야 한다.

    전원전압 VP는 부하저항 RL과 전원의 내부저항 RP를 합한 값에 비례하므로, VP = (RL + RP)I 가 된다. 여기서 I는 전류이다.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P = VPI = (RL + RP)I2 이다.

    이때, I2는 RL에 대한 이차함수이므로, 최대값을 가지는 지점에서 미분값이 0이 되어야 한다.

    P를 RL로 미분하면, dP/dRL = 2I2(RL + RP) - I2 = I2(2RL + RP) 이다.

    이를 0으로 놓고 RL에 대해 풀면, RL = RP/2 이다.

    따라서, a = RL/RP = 1/2 이다.

    √10은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1/2의 제곱근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200[V], 60[Hz], 6극, 15[kW]인 3상 유도전동기의 2차 효율이 95[%]일 때, 회전수[rpm]는? (단, 기계적 손실은 무시한다)

  1. 60
  2. 1,140
  3. 1,200
  4. 1,260
(정답률: 알수없음)
  •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회전수 = (120 x 주파수) / 극수

    여기서, 주파수는 60Hz이고 극수는 6이므로,

    회전수 = (120 x 60) / 6 = 1,200 rp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2차 효율이 95%로 주어졌다. 따라서, 출력은 입력의 95%가 되며,

    출력 = 입력 x 2차 효율 = 15 kW x 0.95 = 14.25 kW

    입력 전력은 출력 전력보다 크므로, 입력 전력을 구해야 한다.

    입력 전력 = 출력 전력 / 2차 효율 = 14.25 kW / 0.95 = 15 kW

    따라서,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회전수 = (30 x 출력) / (π x 지름)

    여기서, 지름은 회전자의 지름으로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 kW의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지름은 약 20cm 정도이다.

    따라서, 지름 = 0.2m 이고, π는 3.14이므로,

    회전수 = (30 x 14.25 kW) / (3.14 x 0.2m) = 1,140 rpm

    따라서, 정답은 "1,1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직류 복권 발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무부하 특성은 분권 발전기의 것과는 많이 다르다.
  2. 가동 복권에서는 부하가 증가하면 전기자전류는 감소한다.
  3. 전기자전류가 증가하면 직권 계자의 기자력은 감소한다.
  4. 과복권에서는 전부하 단자전압이 무부하 단자전압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복권 발전기는 회전자 내부에 자기장을 생성하고, 외부 회로에서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전기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이다. 이때, 발전기의 무부하 특성은 분권 발전기와는 많이 다르다. 분권 발전기는 무부하 상태에서는 전압이 거의 0에 가깝지만, 직류 복권 발전기에서는 무부하 상태에서도 일정한 전압이 발생한다. 이는 회전자 내부의 자기장이 외부 회로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복권에서는 전부하 단자전압이 무부하 단자전압보다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직류기의 효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류기의 최대효율은 무부하손과 부하손이 일치할 때 얻어진다.
  2. 직류발전기의 규약 효율은 으로 나타낸다.
  3. 직류기에 부하를 걸고 입력과 출력을 직접 측정하여 입ㆍ출력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 실측 효율이라고 한다.
  4. 직류기의 기계적인 동력을 전력과 손실로부터 구하여 효율을 정의한 것을 규약 효율이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직류기의 기계적인 동력을 전력과 손실로부터 구하여 효율을 정의한 것을 규약 효율이라고 한다." 이다. 규약 효율은 직류발전기의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입력 전력과 출력 전력의 비율로 계산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직류 입력전압이 Vdc[V]인 6-스텝 제어 3상 인버터가 3상 Y결선 평형 부하에 인가할 수 있는 선간전압 기본파의 최댓값[V]은?

(정답률: 알수없음)
  • 3상 Y결선 평형 부하에 인가할 수 있는 선간전압 기본파의 최댓값은 Vdc/√3이다. 이는 6-스텝 제어 3상 인버터에서 각 단계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Vdc/2√3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동기발전기의 단락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전기의 공극과 단락비는 반비례한다.
  2. 단락비는 pu 동기임피던스의 역수이다.
  3. 단락비는 정격전압 상태인 개방단자를 단락시켜 측정된 단락전류(Is)와 정격전류(In)의 비율인 Is/In이다.
  4. 단락비는 개방전압이 정격전압 상태일 때의 계자전류(If1)와 단락전류가 정격전류 상태일 때의 계자전류(If2)의 비율인 If1/If2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전기의 공극과 단락비는 반비례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단락비는 pu 동기임피던스의 역수이며, 정격전압 상태인 개방단자를 단락시켜 측정된 단락전류(Is)와 정격전류(In)의 비율인 Is/In이다. 또한, 단락비는 개방전압이 정격전압 상태일 때의 계자전류(If1)와 단락전류가 정격전류 상태일 때의 계자전류(If2)의 비율인 If1/If2이다. 따라서 모든 설명이 옳으므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60[Hz], 4극 권선형 유도전동기가 전부하 조건에서 1,575[rpm]로 회전할 때 2차 회로의 상당 저항은 1[Ω]이다. 동일 부하에서 2차 회로의 상당 저항을 2[Ω]로 증가시켰을 때, 회전속도[rpm]는?

  1. 900
  2. 1,350
  3. 1,575
  4. 1,800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는 전기적으로 생성되는 회전자 자기장과 권선형 자기장 사이의 상대적인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 때, 회전자 자기장의 회전 속도는 60[Hz]의 주파수를 가진 교류 전원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60[Hz]의 주파수를 가진 교류 전원에 의해 4극 권선형 유도전동기가 전부하 조건에서 1,575[rpm]로 회전할 때, 회전자 자기장의 속도는 1,575[rpm]이다.

    또한, 2차 회로의 상당 저항이 1[Ω]에서 2[Ω]로 증가하면, 회전자 자기장과 권선형 자기장 사이의 상대적인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는 회전속도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 때의 회전속도는 1,350[rp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3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무부하 상태인 이상적인 단상 변압기의 1차 단자 전원을 50[Hz], 110[V]에서 60[Hz], 220[V]으로 변경하였을 때, 철심 내부의 자속 변화는?

  1. 5/3 배 감소
  2. 5/3 배 증가
  3. 10/3 배 감소
  4. 10/3 배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단상 변압기의 경우, 주파수와 전압의 변화에 따라 자속이 변화하게 된다. 이 경우, 주파수가 60[Hz]로 증가하면서 자기장의 주기가 감소하게 되므로 자속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전압이 220[V]로 증가하면서 자기장의 세기가 증가하므로 자속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자속은 5/3 배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직류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절권의 코일은 180°보다 작은 전기각을 가진다.
  2. 직류기는 같은 속도라 하더라도 극수가 다를 수 있다.
  3. 전기자 반작용을 상쇄하기 위해 보상권선을 사용할 수 있다.
  4. 발전기로 동작할 때 부하가 증가하면 전기자 반작용에 의해 중성축은 회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전기로 동작할 때 부하가 증가하면 전기자 반작용에 의해 중성축은 회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부하가 증가하면 발전기의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자 반작용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중성축이 회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기자 반작용을 상쇄하려는 힘을 발생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손실이 없는 정상상태의 벅(Buck) 컨버터가 출력평균전압을 유지하면서 출력전압리플을 줄이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출력 인덕터 전류는 연속적이고, 입력전압은 출력평균전압보다 크며 일정하다)

  1. 듀티비를 증가시킨다.
  2. 듀티비를 감소시킨다.
  3. 출력 커패시터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4. 듀티비를 유지하며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듀티비를 유지하면서 스위칭 주파수를 증가시키면, 스위칭 주기가 짧아져서 출력전압리플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출력인덕터 전류의 변화량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손실이 없는 정상상태의 벅 컨버터에서는 이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3상 비돌극형 동기전동기의 부하각이 30°, 한 상의 유도기전력이 120[V], 동기리액턴스가 3[Ω], 전기자전류가 40[A]일 때, 동기전동기의 역률각은? (단, 전기자저항과 기계적 손실은 무시한다)

  1. 30°
  2. 45°
  3. 6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3상 비돌극형 동기전동기의 부하각이 30°이므로,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는 30°이다. 따라서, 유도기전력과 전류의 위상차는 30°이다.

    전류가 40[A]이므로, 유도기전력은 120[V] × √3 × 40[A] × sin(30°) = 4,320[VA]이다.

    동기리액턴스가 3[Ω]이므로, 유도전압은 3[Ω] × 40[A] = 120[V]이다.

    따라서, 전압과 유도전압의 위상차는 0°이다.

    역률은 유용전력과 전체전력의 비율로 정의된다. 유용전력은 유도기전력과 같으므로, 전체전력은 유용전력과 무효전력의 합이다.

    무효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에 의해 발생하는데, 전압과 유도전압의 위상차가 0°이므로 무효전력은 없다. 따라서, 전체전력은 유용전력과 같다.

    역률은 유용전력과 전압의 곱을 전체전력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유용전력은 4,320[VA]이고, 전압은 120[V]이므로, 전체전력은 4,320[VA] / 120[V] = 36[A]이다.

    따라서, 역률각은 cos⁻¹(40[A] / 36[A]) = cos⁻¹(1.111) ≈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정격속도로 무부하 운전 중인 손실이 없는 타여자 직류전동기의 속도를 증가시켰을 때, 자속, 역기전력 및 전기자전류의 변화로 옳은 것은? (단, 공급전압과 전기자저항은 일정하고, 속도는 정상상태로 가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속도가 증가하면 자속도 증가로 인해 역기전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자전류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①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