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어류양식
1. 지수의 뱀장어 양식장어 1열의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산소를 공급하는 것은?
2. 실뱀장어가 가장 많이 소상하는 시간대는?
3. 다음 중 추성(樞星)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4. 탈라피아 양식의 산란습성 및 부화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 은어의 먹이인 윤충류 배양시 사용하면 생존율과 성장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6. 무지개송어에 있어서 선별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 다음 중 동조법에 해당되는 것은?
8. 다음 중 잉어 그물 가두리 양식을 위한 적지가 될수 없는 것은?
9. 최근 배양기술 개발로 참돔 자어 사육시 윤충류 이후에 직접 해야해서 사용하는 먹이생물은?
10. 금붕어 양식의 일반적 사항으로 틀린 것은?
11. 어류 운반시 계절적으로 저온인 경우가 좋은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12. 뱀장어 양식지에서 가장 좋은 물색의 상태는?
13. 숭어 양식에 대한 사육조건 설명 중 틀린 것은?
14. 다음 어류 중 혼합 효과가 높은 것은?
15. 다음 중 일반적으로 넙치 자이 사육에 가장 적당한 수온은?
16. 잉어의 부화 수온 범위가 15~30℃일 때 부화에 소요되는 일수를 기술한 것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7. 배합사료의 장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8. 다음 중 송어의 실제 양식에 있어서 연간 50톤 생산목표로 적지를 신청하려고 할 때, 1분간 필요한 용수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9. 은어의 생태 습성으로 틀린 것은?
20. 미꾸라지의 습성 중 잘못 설명한 것은?
2과목: 무척추동물양식
21. 조개류의 종묘생산 과정 중에 알에서 부화된 유생의 대량폐사가 일어나는 시기를 위험기라고 한다. 다음 중 위험기에 해당되는 시기는?
22. 우리나라에서 채묘예보를 5월경에 실시하는 폐류는?
23. 먹이생물(규조류)의 배양 속도를 가장 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24. 우리나라의 남해안에서 피조개의 부유 유생이 주로 나타나는 시기는?
25. 양식된 바지락의 모양이 장형이었다면 이것을 양식한 양식장의 환경은?
26. 남해안산 문어의 성장에 가장 좋은 양성기간은?
27. 우렁쉥이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28. 진주양식에 있어 가장 거리가 먼 사항은?
29. 다음 부유유생 중 부유기간이 가장 긴 충류는?
30. 보리새우의 먹이가 되는 brine shrimp는 분류상 어디에 속하는가?
31. 경제성을 고려해서 양식할 때 외양성 양초지대로 해조류가 변우하는 곳에 적당한 양식종은?
32. 다음 중 대합(백합) 종묘로 이용하기 위한 가장 좋은 최소 각장의 크기는?
33. 다음 중 호흡공 수가 가장 많은 전복류는?
34. 꽃게가 먹이를 거의 먹지 않는 수온의 기준은?
35. 다음 중 생식소에 식염을 섞은 후 알코올을 섞어 가공해서 운단을 만드는데 이용되는 것은?
36. 윤충(로티퍼) 1마리가 하루에 먹는 클로렐라 양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37. 참굴 양식시 풍파가 강한 곳에 적합한 양성시설은?
38. 전복의 바이러스성 질병 중 외투막과 상족의 위축 및 패각 주변부의 붕괴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39. 다음 중 조위망식 양성법으로서 주로 양성하는 종류는?
40. 해상은 여름철에 수온이 높아지면 하면을 한다. 하면하는 동안에 나타나는 가장 뚜렷한 현상은?
3과목: 해조류양식
41. 강의 색소에서 붉은 색을 나타내는 것은?
42. 다음 중 김의 종묘생산에서 유리사상체의 배양시 가장 좋은 조건은?
43. 김 재묘작업이 끝난 후 발을 발아층으로 올리는 것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4. 김어장에서 해수시비법(海水施肥法)의 장점은?
45. 다음 중 공장폐수 등의 영향이 있는 곳에서 많이 나타나고 이 병으로 수확감소와 품질저하가 생기는 갯병은?
46. 여름철에 다시마 종묘를 억제배양할 때 수조의 최대 온도 기준은?
47. 다음 중 각포자 방출 촉진법은?
48. 다음 그림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49. 미역의 채묘에서 씨줄은 배양해수 톤 당 몇 m 정도로 하는가?
50. 냉장발은 싹의 크기와 부착상태에 따라서 냉장시기와 설치시기가 달라진다. 다음 중 틀린 사항은?
51. 감자성제의 닭살병의 주된 원인은?
52. 1월 중에 김을 채취한 다음에 김발의 높이는?
53. 톳의 생활사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54. 마른 김의 제조과정을 올바른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55. 김의 병해에서 점액성인 Leuucothrix-mucer에 의하여 발병하는 것은?
56. 초파리의 배우자는 어느 추광성을 갖는가?
57. 남방형 미역의 특징이 아닌 것은?
58. 미역 종사의 채묘장소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59. 다음 중 김양식에 적당한 해수의 유속은?
60. 출파래의 접합자판에 착상한 규조류를 구제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4과목: 수산생물
61. 다음 중 동물 분류학상 태형동물군(Bryozoa)에 속하는 종류는?
62. 바닷말류의 주된 영양소 흡수기관은?
63. 다음 중 뱀장어에서 볼수 없는 지느러미는?
64. 난방중 전복의 겨울철 서식한계 수온은?
65. 적조생물 중 유독물질은 내어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것은?
66. 다음 종류 중 창자호흡을 하는 것은?
67. 어류의 몸 옆면에 세로로 뻗어 있는 옆줄의 기능은?
68. 다음 중 난태생어에 해당하는 것은?
69. 아우리클라리아(Auricularia) 유생기를 거치는 것은?
70. 강장동물의 특징 중 틀린 것은?
71. 원양성 해저퇴적물 중 생물기원 퇴적물로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72. 삼어류를 형태상 구분하고자 할 때 그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73. 대형 플랑크톤(Macroplankton)의 크기는?
74. 동물플랑크톤 중 제일 많이 분포하는 종류는?
75. 다음 중 체형이 전혀 다른 어류는?
76. 다음 극피동물의 특징 중 틀린 것은?
77. 해초식물 중에서 톳은 어디에 속하는가?
78. 김 양식에 있어 서식대가 겹쳐 피해를 주는 해조류는?
79. 해양 생태계에서 환원지에 속하는 것은?
80.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5과목: 수질분석 및 양식생물
81. 시료수의 운반과 보존 중 특히 5℃이하의 냉암소에 보존하야야 하는 분석 대상 항목은?
82. 닻벌레의 변태과정 중 어채 표면에서 기생하는 시기는?
83. 시약보관 시 주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84. Bucephalus 중이 굴의 생식소에 기생할 때 생식소는 어떤 색을 보이는가?
85. pH 측정용 전극의 취급법으로 옳은 것은?
86. 시료병 재료로서 가장 좋은 것은?
87. 통풍이 불량한 곳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 시료를 보관하면 곰팡이가 자라는데 이것이 원인이 되어 생기는 병은?
88. 잉어에 감염된 솔방울병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89. 표면수온 측정에서 오차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90.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하기 쉬운 성분에 대한 취급법으로서 가장 맞는 것은?
91. 각각 시험을 하기 위해 혼합한 시료 중에서 분리하여 취한 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92. 방어에 피부흡충이 기생하면 5~6일 만에 2차적인 원인으로 죽게 된다. 어떤 원인인가?
93. 해수에서 염소량으로부터 총 염분량을 계산하는 식은?
94. 송어의 복부가 부풀어 오르고 천천히 헤염치는 것이 있어 해부하여 보니 위가 심하게 확장되고 있고, 위속에 회갈색의 액체와 기포가 많이 들어있었다면 그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은?
95. 혐기성 박테리아나 원생동물의 역할로 분해되어 발생하는 생성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6. 체내에 투입되어 특정한 질병 원인체에 대항하는 항체를 체내에 생성시켜 특정질병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생물학적 제제는?
97. 다음 중 현지측정 항목이 아닌 것은?
98. 은어의 아피노마이세스병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99. 포자충류의 발생을 막는 가장 적당한 예방책은?
100. 뱀장어에 유행하는 Edward 병의 유행시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