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6-18)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2016-06-18 기출문제)

목록

1. 데이터에 대한 정보로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조건 및 기타 특성 등을 저장한 것은?

  1. 속성데이터
  2. 위상데이터
  3. 메타데이터
  4. 관계데이터
(정답률: 94%)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것으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조건 및 기타 특성 등을 기술합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메타데이터"가 정답입니다. 속성데이터는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저장하며, 위상데이터는 공간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합니다. 관계데이터는 데이터 간의 관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벡터 자료와 래스터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벡터 자료는 면 형태의 도형 정보를 처리하는 토지정보체계 구축에 적합하다.
  2. 래스터 자료의 취득에는 디지타이저를 주로 사용한다.
  3. 벡터 자료는 래스터 자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한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다.
  4. 래스터 자료구조는 일정 간격의 격자로 데이터의 위치와 그 값을 표현한다.
(정답률: 97%)
  • "래스터 자료의 취득에는 디지타이저를 주로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래스터 자료의 취득 방법은 다양하며, 디지타이저 외에도 스캐너, 위성, 드론 등을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다.

    - 벡터 자료는 면 형태의 도형 정보를 처리하는 토지정보체계 구축에 적합하다.
    → 벡터 자료는 점, 선, 면 등의 도형 정보를 처리하는데 적합하며, 토지정보체계 구축에도 많이 사용된다.

    - 래스터 자료의 취득에는 디지타이저를 주로 사용한다.
    → 래스터 자료의 취득 방법은 다양하며, 디지타이저 외에도 스캐너, 위성, 드론 등을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다.

    - 벡터 자료는 래스터 자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한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다.
    → 벡터 자료는 도형 정보를 좌표와 속성값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래스터 자료의 격자 형태보다는 복잡한 자료구조이다.

    - 래스터 자료구조는 일정 간격의 격자로 데이터의 위치와 그 값을 표현한다.
    → 래스터 자료는 격자 형태로 데이터를 표현하며, 각 격자의 값으로 해당 위치의 속성값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관계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중복 정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을 적용하는 것은?

  1. 정규화(Normalization)
  2. 역정규화(Denormalization)
  3. 변경 이상(Update Anomaly)
  4. 카디날리티(Cardinality)
(정답률: 94%)
  • 정규화는 중복 정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으로, 하나의 테이블에 여러 개의 속성이 중복되어 있을 경우 이를 분리하여 각각의 테이블로 만들어 관리함으로써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유지하고 변경 이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규화가 관계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중복 정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으로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운영 및 관리규정」상 1:600 축척 구분 코드는?

  1. 00
  2. 06
  3. 12
  4. 60
(정답률: 97%)
  •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에서 1:600 축척 구분 코드는 "06"이다. 이는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축척 중 하나로, 1cm가 6m를 나타내는 축척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에서 1:600 축척을 사용할 경우, 1cm의 길이가 실제 세계에서는 6m의 길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벡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 중의 하나인 스파게티모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 선, 면을 좌표 목록으로 저장한다.
  2. 객체들 간의 위상관계가 설정되어 공간분석에 효율적이다.
  3. 다각형의 공유되는 경계선이 중복 저장된다.
  4. 수작업으로 디지타이징된 지도 자료가 대표적인 예이다.
(정답률: 83%)
  • "다각형의 공유되는 경계선이 중복 저장된다."는 스파게티모델의 특징 중 하나이며,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객체들 간의 위상관계가 설정되어 공간분석에 효율적이다는 것은, 스파게티모델에서는 객체들이 서로 겹치거나 붙어있는 등의 관계가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어, 공간분석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로와 건물이 겹쳐져 있는 경우, 스파게티모델에서는 이 두 객체의 위상관계를 명확하게 설정하여, 도로 위에 건물이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상속성
  2. 캡슐화
  3. 인접성
  4. 다형성
(정답률: 74%)
  • 인접성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이 아닙니다. 인접성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나 데이터베이스 등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두 개체가 서로 가까이 위치하거나 연결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접성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회전타원체인 지구상의 곡면을 2차원 평면에 나타내는 등각투영법의 일종으로 국가나 대륙의 형태를 표현할 때 가장 적당한 도법은?

  1. 시누소이달(Sinusoidal) 도법
  2. 호몰로사인(Homolosine) 도법
  3. 본느(Bonne) 도법
  4. 메르카토르(Mercator) 도법
(정답률: 96%)
  • 메르카토르 도법은 지구를 회전타원체로 가정하고, 경도와 위도를 직사각형 좌표계로 변환하여 표현하는 등각투영법입니다. 이 도법은 해상항로에서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만들어졌으며, 경도와 위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지도의 크기와 모양이 일정합니다. 따라서 국가나 대륙의 형태를 표현할 때 가장 적당한 도법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적원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기준」에서 지적원도의 좌표독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좌표독취기에 의해 입력되는 좌표는 해당 도면 좌하단점의 도곽선수치를 기준으로 가산한다.
  2. 좌표독취는 수동방식 또는 반자동방식으로 수행한다.
  3. 좌표독취는 밀리미터(mm)단위로 소수점 이하 2자리 이상 취득한다.
  4. 좌표독취 후 좌표결정은 미터(m)단위로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결정한다.
(정답률: 80%)
  • "좌표독취는 밀리미터(mm)단위로 소수점 이하 2자리 이상 취득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지적원도의 좌표독취는 수동방식 또는 반자동방식으로 수행되며, 좌표독취기에 의해 입력되는 좌표는 해당 도면 좌하단점의 도곽선수치를 기준으로 가산된다. 좌표결정은 미터(m)단위로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결정된다. 좌표독취는 밀리미터(mm)단위로 취득되는 것이 아니라, 좌표결정에서 사용되는 단위가 미터(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래스터 자료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실 세계를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표현한다.
  2. 스캐닝 자료, 항공 및 위성영상은 래스터 자료에 해당한다.
  3. 설정된 격자의 크기보다 작은 현실 세계의 객체는 표현이 어렵다.
  4. 격자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데이터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자료관리에 용이하다.
(정답률: 94%)
  • 격자의 크기를 작게 할수록 데이터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자료관리에 용이하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버퍼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면사상 주변에 버퍼 존(Buffer Zone)을 형성하는 경우 면사상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지역을 설정한다.
  2. 선사상을 입력하더라도 버퍼 분석의 결과는 면사상으로 표현된다.
  3. 버퍼 거리(Buffer Distance)는 직선거리인 유클리디언 거리(Euclidian Distance)를 주로 이용한다.
  4. 면사상에 대한 버퍼 존은 면의 내부에도 생성할 수 있다.
(정답률: 62%)
  • "면사상 주변에 버퍼 존(Buffer Zone)을 형성하는 경우 면사상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지역을 설정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버퍼 존은 면사상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설정하여 형성하는 것이며, 이 거리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면사상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는 지역을 설정하는 것은 일반적인 경우이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관계형 DBMS에서 사용하는 표준 데이터 조작 언어는?

  1. UML
  2. COGO
  3. SQL
  4. COBOL
(정답률: 94%)
  •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관리하기 위한 표준 데이터 조작 언어입니다. SQL은 데이터의 삽입, 삭제, 수정, 검색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관계형 DBMS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SQL은 관계형 DBMS에서 사용하는 표준 데이터 조작 언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적 도면 입력 시의 오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버레이(Overlay)는 주로 경계선에서 점, 선이 이중으로 입력되어 발생하는 오류이다.
  2. 슬리버(Sliver)는 인접된 폴리곤이 하나의 선으로 정확히 인접되지 않을 때 불필요한 폴리곤이 생기는 오류이다.
  3. 오버슈트(Overshoot)는 다른 선과의 교점을 지나서 디지타이징된 선의 오류이다.
  4. 스파이크(Spike)는 작업자나 기계의 오류로 인하여 불규칙하게 튀는 잘못된 좌표가 입력되는 오류이다.
(정답률: 75%)
  • 오버레이(Overlay)는 주로 경계선에서 점, 선이 이중으로 입력되어 발생하는 오류이다."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중첩분석을 수행할 때 하나의 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자료를 의미하는 것은?

  1. 래스터(Raster)
  2. 벡터(Vector)
  3. 레이어(Layer)
  4. 영상소(Pixel)
(정답률: 94%)
  • 중첩분석을 수행할 때 하나의 주제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자료를 나타내는 것은 레이어(layer)입니다. 레이어는 공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벡터(vector)나 래스터(raster) 데이터를 하나의 레이어로 표현한 것입니다. 레이어는 지도상에서 하나의 층(layer)처럼 겹쳐져서 표현됩니다. 따라서 중첩분석을 수행할 때는 여러 개의 레이어를 겹쳐서 분석을 수행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벡터 자료를 작성할 때 점, 선, 다각형의 요소들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것은?

  1. 토폴로지(Topology)
  2. 클러스터(Cluster)
  3. 자기상관성(Autocorrelation)
  4. 패턴(Pattern)
(정답률: 93%)
  • 토폴로지는 공간적인 요소들의 상호관계를 나타내는 수학적인 분야로, 벡터 자료에서 점, 선, 다각형 등의 요소들의 공간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클러스터는 벡터 자료에서 유사한 속성을 가진 요소들이 모여 있는 그룹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자기상관성은 벡터 자료에서 공간적으로 가까운 요소들이 서로 유사한 값을 가지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패턴은 벡터 자료에서 특정한 형태나 구조를 가진 요소들의 집합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벡터 자료에서 점, 선, 다각형 등의 요소들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것은 토폴로지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운영 및 관리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행정구역 명칭 변경 시 지적소관청은 시ㆍ도지사를 경유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변경일 10일 전까지 코드 변경을 요청하여야 한다.
  2. 토지 및 임야대장에 등록하는 각 필지를 식별하는 토지의 고유번호는 총 18자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행정구역 코드는 10자리이다.
  3. 지적소관청에서는 지적통계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일일마감을 생략하고 월마감과 년마감을 실시한다.
  4. 지적소관청에서는 익년도 1월 31일까지 당해 연도 업무처리를 마감하여야 한다.
(정답률: 85%)
  • 행정구역 명칭 변경 시에는 코드 변경을 요청해야 하며, 이를 위해 시ㆍ도지사를 경유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변경일 10일 전까지 요청해야 한다. 따라서 첫 번째 보기가 옳다. 나머지 보기는 토지의 고유번호, 지적통계의 처리 방식, 마감 기한 등과 관련된 내용으로, 문제와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공간자료를 이용한 공간분석 방법 중 중첩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논리연산을 사용할 수 있다.
  2. 격자구조에서는 단위구조인 각각의 격자를 대상으로, 벡터구조에서는 기본 구조인 점, 선, 면을 대상으로 한다.
  3. 버퍼링 등에 의해 둘러 싸여진 지역 내의 주민 수를 집계하거나 평균 연령 등을 구하는 각종 집계 계산이 가능하다.
  4. 관망을 통해 이동하는 최단 경로를 표현하고 분석할 수 있다.
(정답률: 70%)
  • "관망을 통해 이동하는 최단 경로를 표현하고 분석할 수 있다."는 중첩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이다. 이는 네트워크 분석 기능 중 하나로, 지리적으로 연결된 노드와 엣지를 이용하여 최단 경로를 계산하고 분석하는 기능이다. 이를 통해 도로망, 수도망, 전력망 등의 네트워크 분석이 가능하며, 이동 경로 최적화, 서비스 영역 분석 등에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형자료의 취득 방법 중 직접취득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지타이저를 이용한 방법
  2. 드론촬영을 이용한 방법
  3. 토털 스테이션을 이용한 방법
  4. 라이다측량을 이용한 방법
(정답률: 80%)
  • 디지타이저를 이용한 방법은 직접취득방법이 아닙니다. 디지타이저는 이미지나 도면을 스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로, 이미 존재하는 도형자료를 디지털화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직접취득방법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토지정보체계(LIS)의 필지중심자료와 지리정보체계(GIS)의 지형중심자료를 비교할 때, 필지중심자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토지 지목
  2. 토지 경계
  3. 토지 경사
  4. 토지 면적
(정답률: 87%)
  • 토지 지목, 토지 경계, 토지 면적은 모두 필지정보체계(LIS)의 필지중심자료와 관련된 정보이며, 지리정보체계(GIS)의 지형중심자료와도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토지 경사는 지형적인 정보로서, 필지정보체계(LIS)의 필지중심자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토지 경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 운영 및 관리규정」에서 사용자의 권한에 대한 부여 대상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지적전산코드의 입력
  2. 지적전산코드의 조회
  3. 지적전산자료의 추출
  4. 지적통계의 관리
(정답률: 70%)
  • "지적전산코드의 입력"은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작업으로, 다른 권한 대상들은 시스템에서 이미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다른 것과 구분됩니다. 이 작업은 지적통계를 관리하고 지적전산자료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적정보의 구축에 있어서 표준화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 지적정보 활용시스템과의 정보 교환 조건을 정의하여 상호연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활용성 높은 데이터의 중복 보관 및 관리를 통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기 구축된 지적정보의 재사용을 위한 접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공통 데이터의 공유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정답률: 87%)
  • 활용성 높은 데이터의 중복 보관 및 관리를 통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지적정보를 구축할 때 표준화를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의 정보 교환 조건을 정의하여 상호연동성을 확보하고, 기 구축된 지적정보의 재사용을 위한 접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공통 데이터의 공유를 통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