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6-18)

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2016-06-18 기출문제)

목록

1. 접근 속도가 가장 빠른 기억장치는?

  1. 주기억장치
  2. 보조기억장치
  3. 레지스터
  4. 캐시
(정답률: 84%)
  •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위치하며, CPU가 처리할 데이터나 명령어를 저장하는 곳입니다. 다른 기억장치들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CPU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접근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따라서 레지스터가 접근 속도가 가장 빠른 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0진수 -20을 2의 보수 형식의 8비트 2진수로 나타낸 것은?

  1. 10010100
  2. 11101011
  3. 11101100
  4. 11110100
(정답률: 71%)
  • -20을 2의 보수 형식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먼저 20을 2진수로 나타내고, 각 자리수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해준다.

    20을 2진수로 나타내면 00010100이다. 각 자리수를 반전시키면 11101011이 되고, 여기에 1을 더해준 결과는 11101100이 된다.

    따라서, -20을 2의 보수 형식의 8비트 2진수로 나타낸 것은 "11101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떤 프로세스가 일정 크기의 CPU 시간 할당량(time quantum)을 한 번 받은 후에는 강제로 대기 큐의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겨주는 방식의 스케줄링 기법은?

  1. FCFS(First-Come-First-Served)
  2. RR(Round-Robin)
  3. SPN(Shortest Process Next)
  4. HRRN(Highest Response Ratio Next)
(정답률: 90%)
  • RR(Round-Robin)은 시분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스케줄링 기법으로, 각 프로세스에게 일정한 시간 할당량을 주고, 그 시간이 지나면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겨주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모든 프로세스가 공평하게 CPU 시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대기 시간이 긴 프로세스도 빠르게 처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R은 다른 스케줄링 기법에 비해 응답 시간이 빠르고, 대기 시간이나 평균 반환 시간도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입력 안내에 따라 두 사람의 나이를 입력받고 그 합을 구하는 C 프로그램을 작성하려고 한다.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다음의 코드 조각을 올바른 순서로 나열한 것은?

  1. ㄷ → ㅁ → ㄱ → ㄴ → ㄹ
  2. ㄷ → ㄱ → ㄴ → ㅁ → ㄹ
  3. ㅁ → ㄱ → ㄷ → ㄹ → ㄴ
  4. ㄷ → ㄱ → ㅁ → ㄴ → ㄹ
(정답률: 68%)
  • 정답은 "ㄷ → ㅁ → ㄱ → ㄴ → ㄹ" 입니다.

    먼저, 나이를 입력받기 위해 scanf 함수를 사용해야 하므로 "ㄷ"가 가장 먼저 나와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입력받은 나이를 더해야 하므로 "ㅁ"이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덧셈 결과를 출력하기 위해 printf 함수를 사용해야 하므로 "ㄱ"이 나와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프로그램이 종료되기 전에 사용자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입력을 기다리는 코드가 필요하므로 "ㄴ"이 나와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종료되기 위해 return 0; 코드가 필요하므로 "ㄹ"이 나와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주소 변환을 위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RP는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는 상대 호스트나 라우터의 논리 주소인 IP 주소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된다.
  2. ARP 요청은 해당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와 라우터에게 브로드캐스트된다.
  3. ARP 응답은 ARP 요청을 전송한 요청자에게 유니캐스트된다.
  4. ARP 요청과 응답을 통해 획득한 주소 값을 ARP 캐시 테이블에 저장하여 통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60%)
  • 옳지 않은 설명은 "ARP 요청은 해당 네트워크 상의 모든 호스트와 라우터에게 브로드캐스트된다." 이다. ARP 요청은 해당 IP 주소를 가진 호스트나 라우터에게만 전송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QR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Quick Response' 코드의 약자로 일본에서 개발되었다.
  2. 가로와 세로를 활용하는 2차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3. 기존 바코드보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넣을 수 있다.
  4. 오류 정정(error correction) 기능이 없다.
(정답률: 82%)
  • QR코드는 오류 정정(error correction) 기능이 있어서 일부 손상되거나 훼손된 경우에도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오류 정정(error correction) 기능이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의 정규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의처리 성능 향상을 위해 비효율적인 릴레이션들을 병합하는 과정이다.
  2. 데이터 중복을 감소시켜 저장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3. 삽입, 삭제, 수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이상(anomaly) 현상을 제거한다.
  4. 정규형에는 1NF, 2NF, 3NF, BCNF, 4NF, 5NF 등이 있다.
(정답률: 69%)
  • "질의처리 성능 향상을 위해 비효율적인 릴레이션들을 병합하는 과정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정규화는 데이터 중복을 감소시켜 저장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이상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며, 정규형에는 1NF, 2NF, 3NF, BCNF, 4NF, 5NF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속성 A, B, C로 정의된 릴레이션의 인스턴스가 아래와 같을 때, 후보키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은?

  1. (A)
  2. (A, C)
  3. (B, C)
  4. (A, B, C)
(정답률: 69%)
  • 릴레이션의 인스턴스에서 각 튜플은 유일한 식별자를 가져야 하므로 후보키는 유일성을 만족해야 합니다.

    - (A)는 후보키가 될 수 없습니다. A 속성의 값이 중복되는 튜플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 (B, C)는 후보키가 될 수 없습니다. B와 C 속성의 값이 중복되는 튜플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 (A, B, C)는 후보키가 될 수 있지만, 최소성을 만족하지 않습니다. (A, B)나 (A, C)도 유일성을 만족하므로 불필요한 속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A, C)는 후보키가 될 수 있습니다. A와 C 속성의 값이 모두 유일하게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른 후보키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최소성도 만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의 인접리스트는 어떤 그래프를 표현한 것이다. 이 그래프를 정점 A에서부터 깊이 우선 탐색(depth first search)할 때, 정점이 방문되는 순서로 옳은 것은?

  1. A → B → C → D → F → G → E
  2. A → D → C → B → F → E → G
  3. A → B → C → D → E → F → G
  4. A → B → E → G → F → C → D
(정답률: 48%)
  • 정답은 "A → B → E → G → F → C → D"이다.

    깊이 우선 탐색은 한 정점에서 시작하여 가능한 한 깊이 들어가면서 탐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A에서 시작하여 B로 이동하고, B에서 E로 이동한다. E에서는 더 이상 갈 곳이 없으므로 G로 이동한다. G에서는 F로 이동하고, F에서는 더 이상 갈 곳이 없으므로 C로 이동한다. C에서는 D로 이동하고, D에서는 더 이상 갈 곳이 없으므로 탐색을 종료한다. 따라서 방문 순서는 "A → B → E → G → F → C →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가상 메모리의 페이지 교체 정책 중 최적(optimal)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페이지를 할당한 예이다. 참조열 순으로 페이지가 참조될 때, 페이지 부재(page fault)가 6회 발생하였다. 동일한 조건 하에서 LRU(Least Recently Used)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페이지 부재가 몇 회 발생하는가?

  1. 6
  2. 7
  3. 8
  4. 9
(정답률: 62%)
  • 최적 알고리즘은 앞으로 참조될 페이지 중에서 가장 나중에 참조될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1번 페이지는 6번 참조 이후에 다시 참조되므로 6번 참조 이후에 교체된다. 2번 페이지는 5번 참조 이후에 다시 참조되므로 5번 참조 이후에 교체된다. 3번 페이지는 4번 참조 이후에 다시 참조되므로 4번 참조 이후에 교체된다. 4번 페이지는 3번 참조 이후에 다시 참조되므로 3번 참조 이후에 교체된다. 5번 페이지는 2번 참조 이후에 다시 참조되므로 2번 참조 이후에 교체된다. 6번 페이지는 1번 참조 이후에 다시 참조되므로 1번 참조 이후에 교체된다. 따라서, 최적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페이지 부재는 6회 발생한다. LRU 알고리즘은 가장 오래 전에 참조된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이다. 최적 알고리즘보다 성능이 떨어지므로 페이지 부재는 더 많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LRU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페이지 부재는 9회 이상 발생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IT 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oT(Internet of Things)는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이다.
  2. 공용 클라우드(public cloud)는 한 기업의 정보 보안을 위해 내부 데이터 센터의 기능을 강화한 형태이다.
  3. 빅데이터는 수집ㆍ저장된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4. 가상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을 컴퓨터에서 만들어, 인간 오감을 활용한 작용으로 현실 세계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정답률: 85%)
  • 공용 클라우드(public cloud)는 한 기업의 정보 보안을 위해 내부 데이터 센터의 기능을 강화한 형태가 아니라, 여러 기업이 공유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2진 부동소수점 수를 표현하기 위한 표준 형식의 요소가 아닌 것은?

  1. 지수(exponent)
  2. 가수(fraction 또는 mantissa)
  3. 기수(base)
  4. 부호(sign)
(정답률: 69%)
  • 기수(base)는 부동소수점 수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진법을 나타내는 요소이다. 예를 들어, 10진법에서는 기수(base)가 10이고, 2진법에서는 기수(base)가 2이다. 따라서, 부동소수점 수를 표현하는 데 있어서 기수(base)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지수(exponent), 가수(fraction 또는 mantissa), 부호(sign)와 같은 다른 요소들은 부동소수점 수의 크기와 정확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수(base)가 부동소수점 수를 표현하기 위한 표준 형식의 요소 중 하나가 아니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범용 컴퓨터의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소 버스(address bus)
  2. 데이터 버스(data bus)
  3. 제어 버스(control bus)
  4. 명령어 버스(instruction bus)
(정답률: 78%)
  • 시스템 버스는 컴퓨터 내부에서 데이터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통로를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명령어 버스는 CPU가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를 읽어오는 데 사용되는 버스입니다. 따라서 명령어 버스는 시스템 버스의 일종이지만, 다른 버스와는 목적과 사용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시스템 버스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는 인터넷 상에서 디지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송 계층 프로토콜이다.
  2. TFTP(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는 안전한 파일 전송을 위해 인증과 TCP를 필수 구성 요소로 한다.
  3. TELNET는 가상 터미널 연결을 위한 응용 계층 프로토콜로 텍스트 기반 양방향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4.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호스트의 인터넷 도메인 명을 IP 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것이다.
(정답률: 49%)
  • TELNET은 가상 터미널 연결을 위한 응용 계층 프로토콜로, 텍스트 기반 양방향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즉, 원격지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마치 로컬에서 작업하는 것처럼 텍스트 기반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브라우저가 웹 서버로부터 정보를 읽어 오기 위해 사용하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은?

  1. SMTP
  2. HTTP
  3. IMAP
  4. RTP
(정답률: 89%)
  • 브라우저가 웹 서버로부터 정보를 읽어 오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HTTP이다.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규약이다. 즉,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응답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의 부울함수와 같은 논리식이 아닌 것은?

(정답률: 57%)
  • 보기 중에서 "" 는 부울함수와 같은 논리식이 아니다. 이유는 이 논리식은 AND 연산자와 OR 연산자를 혼합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부울함수는 AND, OR, NOT 연산자만을 사용하여 표현된다. 따라서 "" 는 부울함수와 같은 논리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데이터 링크 계층 오류제어 기법들을 프레임 전송 효율이 좋은 것부터 나쁜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여러 개의 프레임을 전송할 때 평균적으로 요구되는 전송 및 대기 시간만을 고려하되, 송신 및 수신단에 요구되는 구현의 복잡도나 운용에 따른 비용은 무시한다)

  1. ㄱ → ㄴ → ㄷ
  2. ㄴ → ㄷ → ㄱ
  3. ㄷ → ㄱ → ㄴ
  4. ㄷ → ㄴ → ㄱ
(정답률: 65%)
  • ㄷ → ㄴ → ㄱ 순서가 가장 효율적인 이유는, ㄷ인 순간적 ARQ 기법은 오류 발생 시 재전송을 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길어지고, ㄱ인 순간적 ARQ 기법은 오류 발생 시 해당 프레임만 재전송하지 않고 이전에 전송한 모든 프레임을 재전송해야 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더욱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ㄴ인 선택적 반복 ARQ 기법이 가장 효율적인 선택입니다. 선택적 반복 ARQ 기법은 오류 발생 시 해당 프레임만 재전송하고, 이전에 전송한 프레임은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전송 시간이 가장 짧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과 같은 코드로 동작하는 원형 큐의 front와 rear의 값이 각각 7과 2일 때, 이 원형 큐(queue)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item)의 개수는? (단, MAX_QUEUE_SIZE는 12이고, front와 rear의 초깃값은 0이다)

  1. 5
  2. 6
  3. 7
  4. 8
(정답률: 52%)
  • front와 rear의 값이 각각 7과 2이므로, 큐의 원형 구조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7, 8, 9, 10, 11, 0, 1, 2]

    따라서, 큐에 저장된 데이터의 개수는 7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자바 코드를 컴파일할 때, 문법 오류가 발생하는 부분은?

(정답률: 74%)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변수 num1과 num2가 선언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num1과 num2를 선언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크기가 각각 12KB, 30KB, 20KB인 프로세스가 다음과 같은 메모리 공간에 순차적으로 적재 요청될 때, 모든 프로세스를 적재할 수 있는 알고리즘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69%)
  • 정답은 "ㄴ, ㄷ"이다.

    - 최초 적합 알고리즘(First Fit) : 프로세스를 순서대로 메모리에 적재하면서 가장 먼저 발견되는 충분한 크기의 빈 공간에 적재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30KB 프로세스는 40KB 공간에 적재되므로 남은 공간은 10KB가 된다. 하지만 20KB 프로세스는 10KB보다 크기가 크기 때문에 적재할 수 없다. 따라서 모든 프로세스를 적재할 수 없다.

    - 최적 적합 알고리즘(Best Fit) : 프로세스를 적재할 수 있는 빈 공간 중에서 가장 작은 공간을 찾아 적재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30KB 프로세스는 40KB 공간에 적재되고, 남은 공간은 10KB가 된다. 20KB 프로세스는 20KB 공간에 적재되고, 남은 공간은 0KB가 된다. 마지막으로 12KB 프로세스는 12KB 공간에 적재되고, 모든 프로세스를 적재할 수 있다.

    - 최악 적합 알고리즘(Worst Fit) : 프로세스를 적재할 수 있는 빈 공간 중에서 가장 큰 공간을 찾아 적재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30KB 프로세스는 60KB 공간에 적재되고, 남은 공간은 30KB가 된다. 20KB 프로세스는 30KB 공간에 적재되고, 남은 공간은 10KB가 된다. 마지막으로 12KB 프로세스는 12KB 공간에 적재되고, 모든 프로세스를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프로세스를 적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은 "최적 적합 알고리즘"과 "최악 적합 알고리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