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6-18)

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2022-06-18 기출문제)

목록

1. 컴퓨터 알고리즘의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명령어의 의미는 모호하지 않고 명확해야 한다.
  2. 알고리즘 단계들에는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다.
  3. 한정된 수의 단계 후에는 반드시 종료되어야 한다.
  4. 각 명령어들은 실행 가능한 연산이어야 한다.
(정답률: 78%)
  • 알고리즘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단계들의 집합이며, 이 단계들은 순서가 정해져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알고리즘 단계들에는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에서 설명하는 빅데이터의 3대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센싱 기술 등을 활용하여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 획득(sensor)
  2. 방대한 양의 데이터 처리(volume)
  3.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로 구성(variety)
  4. 실시간으로 생산되며 빠른 속도로 수집 및 분석(velocity)
(정답률: 76%)
  • 센싱 기술은 물리적인 센서를 사용하여 사물이나 주위 환경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센싱 기술 등을 활용하여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 획득(sensor)"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자료를 오름차순으로 삽입 정렬(insertion sort)하는 과정에서 나올 수 없는 경우는?

  1. 1 3 4 2 9 5
  2. 1 2 3 4 9 5
  3. 3 1 5 2 4 9
  4. 1 2 3 4 5 9
(정답률: 71%)
  • 삽입 정렬은 현재 위치에서 이전 위치들과 비교하면서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는 정렬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주어진 자료를 삽입 정렬하는 과정에서는 각 단계마다 현재 위치에서 이전 위치들과 비교하면서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게 된다.

    하지만 "3 1 5 2 4 9"의 경우, 3 다음에 1이 오는 것이 올바른 정렬 순서가 아니기 때문에 삽입 정렬 과정에서 나올 수 없는 경우이다. 따라서, 정답은 "3 1 5 2 4 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소프트웨어의 화이트박스 테스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글래스 박스(Glass-box) 테스트라고 부른다.
  2. 소프트웨어의 내부 경로에 대한 지식을 보지 않고 테스트 대상의 기능이나 성능을 테스트하는 기술이다.
  3. 문장 커버리지, 분기 커버리지, 조건 커버리지 등의 검증 기준이 있다.
  4. 모듈의 논리적인 구조를 체계적으로 점검하기 때문에 구조적 테스트라고도 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소프트웨어의 내부 경로에 대한 지식을 보지 않고 테스트 대상의 기능이나 성능을 테스트하는 기술이다."이다. 이유는 소프트웨어의 화이트박스 테스트는 소프트웨어의 내부 구조와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의 내부 경로에 대한 지식을 보지 않고"라는 부분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16진수 210을 8진수로 변환한 것은?

  1. 1020
  2. 2100
  3. 10210
  4. 20100
(정답률: 71%)
  • 16진수 210을 2진수로 변환하면 0010 0001 0000이 된다. 이를 3자리씩 끊어서 8진수로 변환하면 102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은행원 알고리즘(banker's algorithm)이 교착상태를 해결하는 방법은?

  1. 예방
  2. 회피
  3. 검출
  4. 회복
(정답률: 59%)
  • 은행원 알고리즘은 교착상태를 회피하는 방법으로, 시스템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원 할당 순서를 미리 정해놓고, 각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청할 때마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지 검사하여 자원을 할당하거나 대기시키는 방식으로 교착상태를 회피합니다. 따라서 "회피"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OSI 7계층 중 물리 계층에 해당하는 장치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ㄹ, ㅁ
(정답률: 65%)
  • 물리 계층은 데이터를 전기적, 기계적,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물리 계층에 해당하는 장치는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ㄱ. 허브"와 "ㄴ. 리피터"입니다. "ㄱ, ㄷ"는 둘 다 물리 계층과 관련된 장치이지만, ㄷ. 브릿지는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ㄴ, ㄹ"은 둘 다 물리 계층과 관련된 장치이지만, ㄹ. 라우터는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ㄱ, ㄴ"이 물리 계층에 해당하는 이유는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이미지 표현을 위한 RGB 방식과 CMYK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MYK 방식은 가산 혼합 모델로 빛이 하나도 없을 때 검은색을 표현한다.
  2. CMYK 방식에서 C는 Cyan을 의미한다.
  3. RGB 방식은 주로 컬러 프린터, 인쇄, 페인팅 등에 적용된다.
  4. RGB 방식에서 B는 Black을 의미한다.
(정답률: 43%)
  • 정답은 "CMYK 방식에서 C는 Cyan을 의미한다." 이다.

    CMYK 방식은 감산 혼합 모델로서, 색을 표현하기 위해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그리고 검정(Black)을 사용한다. 이 중에서 C는 시안을 의미하며, 시안은 파란색과 녹색을 혼합한 색이다. 따라서 C는 Cyan의 약자로 사용된다.

    반면에 RGB 방식은 가산 혼합 모델로서, 색을 표현하기 위해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을 사용한다. 이 중에서 B는 Blue의 약자로 사용된다.

    따라서, RGB 방식과 CMYK 방식은 각각 다른 색 모델을 사용하며, 각각의 모델에서 사용되는 약자들도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A계좌에서 B계좌로 3,500원을 이체하는 계좌 이체 트랜잭션 T1과, C계좌에서 D계좌로 5,200원을 이체하는 계좌 이체 트랜잭션 T2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면서 기록된 로그파일 내용이다. (가)의 시점에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지연 갱신 회복 기법을 적용했을 때 트랜잭션에 대한 회복조치로 옳은 것은?

  1. T1, T2 트랜잭션 모두 별다른 조치를 수행하지 않는다.
  2. T1 트랜잭션의 로그 내용을 무시하고 버린다.
  3. T1 트랜잭션에는 별다른 회복조치를 하지 않지만, T2 트랜잭션에는 redo(T2) 연산을 실행한다.
  4. T2 트랜잭션에는 별다른 회복조치를 하지 않지만, T1 트랜잭션에는 redo(T1) 연산을 실행한다.
(정답률: 38%)
  • 지연 갱신 회복 기법에서는 커밋되지 않은 트랜잭션의 변경 내용을 로그에 기록하고, 커밋되지 않은 트랜잭션이 종료될 때까지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의 시점에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T1 트랜잭션은 커밋되지 않았으므로 로그에 기록된 변경 내용을 취소하고, T2 트랜잭션은 커밋되지 않았으므로 로그에 기록된 변경 내용을 취소한다. 따라서 T1 트랜잭션에는 redo(T1) 연산을 실행하지 않고, T2 트랜잭션에는 별다른 회복조치를 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에 해당하는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모델의 성숙 단계로 옳은 것은? (단, 하위 성숙 단계는 모두 만족한 것으로 가정한다)

  1. 2단계
  2. 3단계
  3. 4단계
  4. 5단계
(정답률: 52%)
  • 이 모델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5단계로 나누어 평가한다. 3단계는 "정의된 프로세스" 단계로,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이를 따르도록 교육하며, 프로세스의 성과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전 2단계에서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불안정한 요소들이 많았지만, 3단계에서는 프로세스를 안정화하고 개선하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이미 1단계와 2단계를 만족하고 있으며, 프로세스를 안정화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 조직은 3단계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은 정논리를 사용하는 JK 플립플롭의 진리표이다. (가)~(라)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단, Q'은 Q의 반댓값을 의미한다)

(정답률: 41%)
  • JK 플립플롭의 진리표를 보면, J와 K가 모두 1일 때 이전 상태의 Q값이 유지되고, J가 1이고 K가 0일 때 Q가 1이 되고, J가 0이고 K가 1일 때 Q'가 1이 되며, J와 K가 모두 0일 때 이전 상태의 Q값이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는 J=1, K=1일 때 Q가 1이 되는 것이고, (나)는 J=1, K=0일 때 Q가 1이 되는 것이다. (다)는 J=0, K=1일 때 Q'가 1이 되는 것이고, (라)는 J=0, K=0일 때 Q가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문으로 생성한 테이블에 내용을 삽입할 때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 SQL 문장은?

  1. INSERT INTO Book (ISBN, TITLE, PRICE, AUTHOR) VALUES ('978-89-8914-892-1', '데이터베이스 개론', 20000, '홍길동');
  2. INSERT INTO Book VALUES ('978-89-8914-892-2', '데이터베이스 개론', 20000, '2022-06-18', '홍길동');
  3. INSERT INTO Book (ISBN, TITLE, PRICE) VALUES ('978-89-8914-892-3', '데이터베이스 개론', 20000);
  4. INSERT INTO Book (ISBN, TITLE, AUTHOR) VALUES ('978-89-8914-892-4', '데이터베이스 개론', '홍길동');
(정답률: 38%)
  • 정답은 "INSERT INTO Book VALUES ('978-89-8914-892-2', '데이터베이스 개론', 20000, '2022-06-18', '홍길동');" 이다. 이유는 테이블의 컬럼 순서와 값의 순서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Book 테이블의 컬럼 순서는 ISBN, TITLE, PRICE, PUBLISHED_DATE, AUTHOR 이지만, 해당 SQL 문장에서는 PUBLISHED_DATE가 PRICE 다음에 오므로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다. 나머지 SQL 문장들은 모두 올바르게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패킷 크기는 옥텟(Octet) 단위로 사용한다.
  2.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는 송ㆍ수신지 정보를 포함하는 패킷들로 구성된다.
  3. 패킷 교환 방식은 접속 방식에 따라 데이터그램 방식과 가상회선 방식이 있다.
  4.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는 동시에 2쌍 이상의 통신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62%)
  •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는 동시에 2쌍 이상의 통신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는 여러 개의 패킷이 동시에 전송되고, 각 패킷은 독립적으로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됩니다. 따라서 동시에 여러 개의 통신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인터럽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부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컴퓨터는 더 이상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없다.
  2. 프로세서는 인터럽트 요구가 있으면 현재 수행 중인 프로그램의 주소 값을 스택이나 메모리의 0번지와 같은 특정 장소에 저장한다.
  3. 신속하고 효율적인 인터럽트 처리를 위하여 컴퓨터는 항상 인터럽트 요청을 승인하도록 구성된다.
  4. 인터럽트 핸들러 또는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은 인터럽트 소스가 요청한 작업에 대한 프로그램으로 기억장치에 적재되어야 한다.
(정답률: 49%)
  • "신속하고 효율적인 인터럽트 처리를 위하여 컴퓨터는 항상 인터럽트 요청을 승인하도록 구성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컴퓨터는 모든 인터럽트 요청을 승인하지 않으며,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거나 일부 인터럽트를 무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인터럽트 처리를 위해서는 우선순위와 처리 방식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구성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C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사용자가 1, 2, 3, 4를 차례대로 입력했을 때, 출력 결과는?

  1. 3
  2. 6
  3. 9
  4. 10
(정답률: 41%)
  • 프로그램은 반복문을 통해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출력하면서, 각 숫자가 3, 6, 9, 10 중 하나인지 확인합니다. 만약 해당하는 숫자라면 "짝"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으면 숫자를 출력합니다. 따라서 1부터 10까지의 숫자 중에서 3, 6, 9에 해당하는 숫자가 있으므로, 해당하는 숫자에서 "짝"이 출력됩니다. 그 중에서 3, 6, 9에 해당하는 숫자는 각각 3, 6, 9이므로, "짝"이 출력되는 횟수는 3번이 됩니다. 따라서 출력 결과는 "1 2 짝 4 5 짝 7 8 짝"이 되며, "짝"이 출력되는 횟수는 3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TCP Tahoe에서 데이터 전송에 따른 혼잡 윈도우(cwnd, 단위: MSS)의 크기 변화를 나타낸다. 혼잡 윈도우값이 18일 때의 전송에서 Time-out이 발생했을 때, 느린 출발(slow-start) 임곗값과 혼잡 윈도우값 변화로 옳은 것은?

  1. 임곗값은 변하지 않고, 혼잡 윈도우값은 1로 감소한다.
  2. 임곗값이 9가 되고, 혼잡 윈도우값은 1로 감소한다.
  3. 임곗값이 9가 되고, 혼잡 윈도우값은 현재 값의 반으로 감소한다.
  4. 임곗값은 변하지 않고, 혼잡 윈도우값은 현재 값의 반으로 감소한다.
(정답률: 38%)
  • 느린 출발(slow-start) 임곗값은 현재 혼잡 윈도우값의 반으로 설정되므로, 18의 반인 9가 된다. 따라서, 임곗값이 9가 되고, 혼잡 윈도우값은 1로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연속 메모리 할당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변분할 메모리 할당은 프로세스의 크기에 따라 메모리를 나누는 것으로 단편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2. 가변분할 메모리 할당의 메모리 배치방법으로는 최초 적합, 최적 적합, 최악 적합 방법이 있다.
  3. 고정분할 메모리 할당은 프로세스의 크기와 상관없이 메모리를 같은 크기로 나누는 것이다.
  4. 고정분할 메모리 할당에서는 쓸모없는 공간으로 인해 메모리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63%)
  • 가변분할 메모리 할당은 프로세스의 크기에 따라 메모리를 나누는 것으로 단편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반납하거나 새로운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요청할 때, 작은 조각들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어서 큰 공간을 할당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변분할 메모리 할당에서도 단편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병렬 프로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세스 수준 병렬성은 다수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독립적인 프로그램 여러 개를 동시에 수행한다.
  2. 클러스터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컴퓨터들이 하나의 대형 멀티 프로세서로 동작하는 시스템이다.
  3. 공유 메모리 프로세서(SMP)는 단일 실제 주소 공간을 갖는 병렬 프로세서를 의미한다.
  4. 각 프로세서의 메모리 접근법 분류에 따르면 UMA는 약결합형 다중처리기 시스템, NUMA 및 NORMA는 강결합형 다중처리기 시스템에 해당한다.
(정답률: 39%)
  • 정답은 "각 프로세서의 메모리 접근법 분류에 따르면 UMA는 약결합형 다중처리기 시스템, NUMA 및 NORMA는 강결합형 다중처리기 시스템에 해당한다."이다. 이유는 UMA(Unified Memory Access), NUMA(Non-Uniform Memory Access), NORMA(No-Remote Memory Access)는 모두 메모리 접근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로, 각각 약결합형 다중처리기 시스템, 강결합형 다중처리기 시스템, 그리고 강결합형 다중처리기 시스템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C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로 옳은 것은?

(정답률: 45%)
  • 실행 결과는 "" 이다. 이유는 for문에서 i가 0부터 4까지 증가하면서 배열 arr의 인덱스 0부터 4까지의 값을 모두 더한 후, 그 결과를 sum에 누적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sum의 최종 값은 10이 되고, 이를 출력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과 같이 P1, P2, P3, P4 프로세스가 동시에 준비 상태 큐에 도착했을 때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 알고리즘에서 평균 반환시간과 평균 대기시간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단, 프로세스 간 문맥교환에 따른 오버헤드는 무시하며, 주어진 4개의 프로세스 외에 처리할 다른 프로세스는 없다고 가정한다)

(정답률: 40%)
  • SJF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실행하는 알고리즘이다. 따라서, P1, P2, P3, P4의 실행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짧은 P1부터 실행하면 평균 반환시간과 평균 대기시간이 최소화될 것이다.

    평균 반환시간 = (종료시간 - 도착시간)의 총합 / 프로세스 수

    평균 대기시간 = (시작시간 - 도착시간)의 총합 / 프로세스 수

    따라서, P1부터 실행할 경우 다음과 같다.

    P1: 종료시간 = 3, 시작시간 = 0, 반환시간 = 3, 대기시간 = 0

    P2: 종료시간 = 6, 시작시간 = 3, 반환시간 = 6, 대기시간 = 0

    P3: 종료시간 = 8, 시작시간 = 6, 반환시간 = 8, 대기시간 = 0

    P4: 종료시간 = 11, 시작시간 = 8, 반환시간 = 11, 대기시간 = 0

    따라서, 평균 반환시간 = (3+6+8+11)/4 = 7, 평균 대기시간 = (0+0+0+0)/4 = 0 이므로, 정답은 "④"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