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조물 설계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2. 그림과 같이 자중과 활하중의 합 w=80 kN/m가 작용할 때 A점의 응력이 영(zero)이 되기 위한 PS강재의 긴장력[kN]은? (단, PS강재가 단면 중심에서 긴장되며 손실은 고려하지 않는다)
3. 휨부재의 최소 철근량 규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4. 설계기준압축강도 fck [MPa]가 21이상 35이하인 경우의 배합강도 fcr [MPa]는? (단, 압축강도의 시험 횟수가 14회 이하이거나 현장강도 기록자료가 없는 경우이다)
5. 그림과 같은 임의 단면에서 중립축거리 c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을 등가직사각형응력분포로 환산하여 그 면적을 빗금친 부분으로 나타내었다면, 철근량 AS[mm2]는? (단, fck=24MPa, fy=400MPa, 빗금친 부분의 면적은 40,000mm2이다)
6. 철근의 정착 및 이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7. 강도설계법에서 P-M 상관도를 이용하여 기둥단면을 설계할 때, 압축파괴구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단, e=편심거리, eb=균형편심거리, Pb=균형축하중, Pu=극한하중, Mb= 균형모멘트이다)
8. 1방향 슬래브의 설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9. I-형강을 길이 6.5m인 교량의 수평 인장브레이싱으로 사용할 때 세장비(λ)는? (단, I-200×150×9×16 : A=50 cm2, Ix=5,000 cm4, Iy=1,250 cm4 이다)
10. 폭 b=300mm, 유효깊이 d=500 mm,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 fck=36MPa인 직사각형 단면보에 철근 설계기준항복강도 fy=300MPa인 U형 스터럽을 간격 s=200mm로 배치하였을 때 공칭전단강도 Vn[kN]은? (단, 스터럽 한가닥의 면적은 100mm2이다)
11. 옹벽설계 시 구조해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2.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유도된 값 중 옳지 않은 것은?
13. 철근콘크리트 확대기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4. 그림과 같은 PSC부재의 A단에서 강재를 긴장할 경우 B단까지의 마찰에 의한 긴장력 감소율[%]은? (단, θ1=0.11 rad, θ2=0.07 rad, θ3=0.11 rad, μ(곡률마찰계수)=0.50, k(파상마찰계수)=0.0015 이고 근사법으로 계산한다)
15. 기둥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 그림과 같이 양단이 고정되고 단면이 균일한 보의 중앙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하고 있을 경우, 탄성처짐곡선의 접선의 기울기가 영(zero)인 곳은?
17. 그림과 같이 두께가 동일한 강판을 공장에서 겹침이음 필렛(fillet)용접을 하였다. 용접치수 s=10mm일 때, 용접부의 허용하중 P [kN]에 가장 가까운 값은? (단, SM400 강재를 사용하고 용접부 허용응력은 80MPa이다)
18. 단변의 길이가 l 이고 장변의 길이가 3 l 인 단순 지지된 2방향 슬래브 중앙에 집중하중 P가 작용하고, 그 슬래브 전체에 등분포하중 w가 작용할 때 cd대가 부담하는 하중의 총 크기는? (단, 슬래브의 EI는 일정하다)
19. 프리텐션방식의 PSC에 초기 긴장력을 가했을 때 프리스트레스 도입 직후 PS강재 도심위치에서의 콘크리트압축응력(fcs)이 5MPa로 산정되었다. 이때 PS강재의 탄성계수(Ep)는 2.0 × 105MPa이고 콘크리트의 탄성계수(Ec)는 4.0 × 104MPa일 경우, 콘크리트 탄성변형에 의한 PS강재의 프리스트레스 감소량[MPa]은?
20. 강도설계법에서 철근콘크리트 보의 설계휨강도(Md)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