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효깊이 d=480mm, 압축연단에서 중립축까지의 거리 c=160mm인 단철근 철근콘크리트 직사각형보의 휨파괴 시 인장철근 변형률은? (단, 인장철근은 1단 배근되어 있고, 파괴 시 압축연단 콘크리트의 변형률은 0.003이다)
2. 고장력 볼트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단철근 철근콘크리트 직사각형보의 폭 b=400mm, 유효깊이 d=600mm이며, 전단철근 단면적 Av=200mm2이고, 전단철근 간격 s=300mm일 때, 보의 계수전단력 Vu[kN]는? (단, =5MPa, fyt=400MPa, 는 경량콘크리트 계수,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yt는 횡방향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이다.)
4.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2)의 기반이 된 한계상태설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 축력, 휨모멘트, 전단력의 작용에 의해 부재 단면에 발생하는 응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 그림과 같이 설계 축력이 200kN인 고장력 볼트(F10T-M22 볼트) 5개를 이용하여 마찰이음 연결부를 설계할 때, 연결부의 공칭마찰강도[kN]는? (단,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2)에 따라 볼트의 공칭마찰강도는 Rn=KhKsNsPt로 계산하고, Kh는 구멍크기계수, Ks는 표면상태계수, Ns는 볼트 1개당 미끄러짐면의 수, Pt는 볼트의 설계 축력을 나타내며, Kh=0.4, Ks=0.6이다.)
7.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길이 5m의 H형강(300×300×10×15)을 사용한 기둥의 오일러 좌굴하중[kN]은? (단, π2=10으로 가정하고, H형강의 강축 및 약축의 단면2차모멘트 Ixx=2×108mm4, Iyy=5×107mm4, 탄성계수 E=2.0×105MPa이다)
8. 그림과 같이 지간 L=8m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단순보의 지간 중앙에 집중하중 Q=240kN이 작용하고 있다. 꺽인 직선 긴장재는 지간 중앙에 편심 e=0.3m로 설치되었다. 하중평형법에 의해 집중하중 Q와 등가상향력의 크기가 같아지도록 하는 프리스트레스의 크기 P[kN]는? (단, sinθ=2e/L으로 가정하고,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은 무시하며, 집중하중은 자중을 포함하고 있다.)
9. 다음의 철근콘크리트 확대기초에서 유효깊이 d=550mm, 지압력 qu=0.3MPa일 때, 1방향 전단에 대한 위험단면에 작용하는 전단력[kN]은?
10. 도로교설계기준(한계상태설계법, 2012)에 따른 신축이음 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서 프리스트레스의 감소 원인 중 프리스트레스 도입 후에 발생하는 시간적 손실의 원인에 해당하는 것은?
12. 단철근 철근콘크리트 직사각형보의 폭 b=400mm, 유효깊이 d=450mm이며, 인장철근 단면적 As=1,700mm2, 콘크리트 설계기준압축강도 fck=20MPa,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400MPa일 때, 공칭휨강도 Mn[kNㆍm]은? (단, 인장철근은 1단 배근되어 있다)
13. 콘크리트 기초판에 수직력 P와 모멘트 M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 A지점에 압축응력이 발생하기 위한 최소 수직력 P[kN]는?
14.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의 모멘트 강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a는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 b는 단면의 폭,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이다)
15. 2방향 콘크리트 슬래브의 중앙에 집중하중 175kN이 작용할 때 장경간이 부담하는 하중[kN]은? (단, 장경간은 3m, 단경간은 2m이다)
16.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 철근 콘크리트의 전단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s는 전단철근의 간격, Av는 전단철근의 단면적, fyt는 횡방향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d는 유효깊이, α는 경사스터럽과 부재축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18.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에 따른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의 철근콘크리트 1방향 슬래브의 최소 두께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슬래브는 큰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칸막이벽이나 기타 구조물을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은 부재이고, 부재의 길이는 ℓ이다.)
19.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에 따른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인장에 대한 정착길이 계산식을 적용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 다음 그림과 같은 박스형 단면을 갖는 철근콘크리트보의 공칭휨강도 Mn[kNㆍm]은? (단, fck=20MPa, fy=400MPa, fck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fy는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이다.)
ε = (M * c) / (A * d^2 * f_y)
여기서 M은 균일하게 분포된 최대 굴곡모멘트, A는 인장철근의 단면적, f_y는 인장강도이다.
주어진 조건에서 균일하게 분포된 최대 굴곡모멘트는 M = (0.85 * f_c * b * d^2) / 2 이다. 여기서 f_c는 압축콘크리트의 고강도 경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설계강도, b는 보의 폭이다.
따라서 M = (0.85 * 21 * 200 * 480^2) / 2 = 87,091,200 Nmm 이다.
인장철근의 단면적은 1단 배근되어 있으므로 A = (π * 12^2) / 4 = 113.1 mm^2 이다.
따라서 ε = (87,091,200 * 160) / (113.1 * 480^2 * 400) = 0.006 이다.
따라서 정답은 "0.006"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