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6-05)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2021-06-05 기출문제)

목록

1. 다음에 해당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람이 죽으면 뼈만 추려 가족 공동 무덤인 목곽에 안치하였다.
  2. 읍군이나 삼로라고 불린 군장이 자기 영역을 다스렸다.
  3. 가축 이름을 딴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이 있었다.
  4. 천신을 섬기는 제사장인 천군이 있었다.
(정답률: 86%)
  • 이 설명은 고구려에 대한 것입니다. 고구려는 가축을 중요한 자원으로 여겼고, 가축 이름을 따서 지역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마가는 말을, 우가는 소를, 저가는 양을, 구가는 돼지를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해상 교역을 통해 우수한 철을 수출하였다.
  2. 박, 석, 김씨가 교대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3. 경당을 설치하여 학문과 무예를 가르쳤다.
  4. 정사암 회의를 통해 재상을 선발하였다.
(정답률: 82%)
  • 해상 교역을 통해 우수한 철을 수출한 이유는 해당 나라가 철이 풍부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해외로 철을 수출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에 들어갈 기구로 옳은 것은?

  1. 삼사
  2. 상서성
  3. 어사대
  4. 식목도감
(정답률: 84%)
  • 위 그림은 나무와 관련된 그림이므로, "식목도감"이 가장 적합한 기구이다. "삼사"는 삼국지, 삼일도, 삼각형 등과 관련된 용어이고, "상서성"은 서양의 성서와 관련된 용어이다. "어사대"는 어떤 대회나 시험에서 심사위원을 뜻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고려를 침략하였다.
  2. 고려에 동북 9성을 돌려달라고 요구하였다.
  3. 다루가치를 배치하여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였다.
  4. 쌍성총관부를 두어 철령 이북의 땅을 지배하였다.
(정답률: 73%)
  • 강조의 정변은 고려 시대에 일어난 사건 중 하나로, 강조(강감찬의 아들)가 왕위를 물려받지 못하고 왕위를 차지한 고종을 살해하고 자신이 왕위에 오르려는 시도였습니다. 이 사건을 구실로 고려를 침략한 것은 일본이었습니다. 따라서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고려를 침략하였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가)에 들어갈 기구로 옳은 것은?

  1. 사헌부
  2. 교서관
  3. 승문원
  4. 승정원
(정답률: 83%)
  • 이 그림은 조선시대의 관청 중 하나인 사헌부의 문서 작성 기구인 "붓"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헌부는 왕실의 문서 작성과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붓은 그들이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필수적인 도구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헌부"입니다. 교서관은 서적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며, 승문원과 승정원은 문학과 역사를 연구하는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당나라와 동맹을 체결하였다.
  2. 천리장성의 축조를 맡아 수행하였다.
  3. 수나라의 군대를 살수에서 격퇴하였다.
  4. 남진 정책을 추진하여 한성을 점령하였다.
(정답률: 64%)
  • 그는 천리장성의 축조를 맡아 수행하였다. 이는 그가 중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건축물 중 하나인 천리장성의 건설을 주도하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든 것이 한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 사상을 제시하였다.
  2. 화엄 사상을 연구하여 「화엄일승법계도」를 작성하였다.
  3. 왕에게 수나라에 군사를 청하는 글을 지어 바쳤다.
  4. 인도를 여행하여 「왕오천축국전」을 썼다.
(정답률: 6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 (나)에 들어갈 이름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가) 박지원, (나) 한치윤
  2. (가) 박지원, (나) 안정복
  3. (가) 박제가, (나) 한치윤
  4. (가) 박제가, (나) 안정복
(정답률: 56%)
  • 이미지 속 인물들의 이름이 "박제가"와 "한치윤"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정답은 "(가) 박제가, (나) 한치윤"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는 이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사건을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가)→(나)→(라)→(다)
  2. (가)→(다)→(나)→(라)
  3. (라)→(가)→(나)→(다)
  4. (라)→(가)→(다)→(나)
(정답률: 74%)
  • (라)→(가)→(나)→(다) 순서로 나열한 것이다.

    (라)는 1980년 5월 18일 광주민주화운동이 일어난 날로, 이 사건은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큰 민주화 운동 중 하나였다.

    (가)는 1987년 6월 29일 대한민국에서 6.29 민주항쟁이 일어난 날로, 이 사건은 대한민국 역사상 민주주의를 회복한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이다.

    (나)는 1994년 6월 29일 김영삼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한 날로, 이 사건은 남북한 관계 개선에 큰 역할을 한 사건 중 하나이다.

    (다)는 2002년 5월 31일 한일 월드컵 조별리그에서 대한민국이 일본을 이긴 날로, 이 사건은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큰 축구 역사 중 하나이다.

    따라서, 시기순으로는 (라)→(가)→(나)→(다) 순서로 나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곳에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재조대장경을 만들었다.
  2. 지눌이 이곳에서 수선사 결사 운동을 펼쳤다.
  3. 망이⋅망소이가 이곳에서 봉기하였다.
  4. 몽골이 이곳에 동녕부를 두었다.
(정답률: 49%)
  • 이 지역은 고려시대에는 동녕부라는 몽골의 행정기관이 있었기 때문에 몽골이 이곳에 동녕부를 두었다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내용의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불교를 중심으로 신화와 설화를 정리하였다.
  2. 유교적인 합리주의 사관에 따라 기전체로 서술되었다.
  3. 단군조선을 우리 역사의 시작으로 본 통사이다.
  4. 진흥왕의 명을 받아 거칠부가 편찬하였다.
(정답률: 68%)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밑줄 친 ‘이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2. 국학을 설립하여 유학을 교육하였다.
  3. 백성에게 처음으로 정전을 지급하였다.
  4. 진골 출신으로서 처음 왕위에 올랐다.
(정답률: 70%)
  • '이 왕'은 건원왕으로, 국학을 설립하여 유학을 교육하였다는 것은 그가 교육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학은 당시의 교육기관으로, 유학은 그 국학에서 교육받는 학생들을 일컫는 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밑줄 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 동학이 창시되었다.
  2. 「대전회통」이 편찬되었다.
  3. 신해통공이 시행되었다.
  4. 홍경래의 난이 발생하였다.
(정답률: 71%)
  • 왕이 재위한 시기는 1863년부터 1907년까지이다. 이 중에서 신해통공이 시행된 시기는 1885년이다. 신해통공은 대한제국의 최초의 무역협약으로, 미국과 체결되었다. 이 협약은 대한제국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미국과의 무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따라서 정답은 "신해통공이 시행되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한국국제」를 만들어 공포하였다.
  2. 서원을 대폭 줄이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3. 우정총국 개국 축하연을 이용해 정변을 일으켰다.
  4. 황쭌셴의 「조선책략」을 가져와 널리 유포하였다.
(정답률: 87%)
  • 이 인물은 대한제국의 국무총리인 이기환입니다. 그는 1907년 「대한국국제」를 만들어 공포하였으며, 이를 통해 서원을 대폭 줄이는 정책을 추진하였습니다. 이는 경제적인 이유로 인한 것으로, 국가의 재정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 단체의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동단결선언」을 발표하였다.
  2. 국내와의 연락을 위해 교통국을 두었다.
  3. 독립군을 양성하기 위해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였다.
  4. 「조선혁명선언」을 강령으로 삼아 의열투쟁을 전개하였다.
(정답률: 61%)
  • 국내와의 연락을 위해 교통국을 두었다는 것은, 단체가 국내와의 연락을 유지하고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교통국을 설치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 고종이 홍범 14조를 발표하였다.
  2. 일본의 운요호가 초지진을 포격하였다.
  3.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 도굴을 시도하였다.
  4. 차별 대우에 불만을 품은 군인이 임오군란을 일으켰다.
(정답률: 84%)
  •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려는 시도를 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밑줄 친 ‘이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선물산장려회를 조직해 물산장려운동을 펼쳤다.
  2. 고등 교육 기관을 설립하기 위해 민립대학설립운동을 시작하였다.
  3. 문맹 퇴치와 미신 타파를 목적으로 브나로드 운동을 전개하였다.
  4.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진상을 조사하고 이를 알리는 대회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정답률: 67%)
  • 이 단체는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진상을 조사하고 이를 알리는 대회를 개최하고자 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긴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선총독부를 설치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2. 헤이그 특사 사건 직후 일제의 강요로 체결되었다.
  3. 방곡령 시행 전에 미리 통보해야 한다는 합의가 실려 있다.
  4. 일본의 중재 없이 국제적 성격을 가진 조약을 체결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정답률: 64%)
  • 일본의 중재 없이 국제적 성격을 가진 조약을 체결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미⋅소 양측의 의견 차이로 결렬되었다.
  2.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조직하는 성과를 냈다.
  3. 민주 공화제를 핵심으로 한 제헌헌법을 만들었다.
  4. 유엔 감시하의 총선거로 정부를 수립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정답률: 72%)
  • 이미지는 1948년 5월 10일에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립을 기념하는 행사에서 발표된 성명서의 일부분이다. 그러나 이 성명서는 미국과 소련의 대립으로 인해 미⋅소 양측의 의견 차이로 결렬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미⋅소 양측의 의견 차이로 결렬되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1. 「반민족행위처벌법」이 제정되다.
  2. 7⋅4 남북 공동 성명이 발표되다.
  3.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하다.
  4. 5⋅18 민주화 운동이 일어나다.
(정답률: 67%)
  • 7⋅4 남북 공동 성명은 2000년 6월 15일에 발표된 것으로, 이 시기에는 남북한 간의 관계가 개선되고 평화적인 대화가 이루어지는 분위기였기 때문에 옳은 사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