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5-31)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2015-05-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미생물공학

1. 식초용 초산(acetic acid) 발효의 상업적인 생산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1. 적하식 발효법 (trickling generator)
  2. 미생물 고정화법 (whole cell immobilization)
  3. 표면발효법 (surface culture)
  4. 혐기발효법 (anaerobic culture)
(정답률: 74%)
  • 적하식 발효법은 적하식이라는 재료를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하는 방법으로, 적하식을 적정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하면서 미생물이 발효를 진행하게 된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하며,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2차 대사산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균이 생육에 필요한 양만을 생산한다.
  2. 공업적인 발효로 생산이 되고 있지 않는 것들이다.
  3. 균의 대사와 생육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들이다.
  4. 아미노산, 핵산,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이다.
(정답률: 80%)
  • 2차 대사산물은 균의 대사와 생육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들이다. 즉, 균이 생산하는 양만을 생산하며, 공업적인 발효로 생산되지 않는 것들이다. 이러한 대사산물에는 아미노산, 핵산,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Aspergillus oryzae 로부터 a-amylase를 생산하는 배지를 고안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질소원에 대해 생산성을 시험한 결과 무기 질소원보다는 유기 질소원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당한 질소원이 아닌 것은?

  1. 카제인 분해물 (casein hydrolysate)
  2. 주석산암모늄 (ammonium tartarate)
  3. 펩톤 (peptone)
  4. 옥수수시럽 (corn syrup)
(정답률: 84%)
  • Aspergillus oryzae는 유기 질소원을 선호하므로, "카제인 분해물", "펩톤", "주석산암모늄"은 적당한 질소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옥수수시럽"은 유기 질소원이 아니라 당류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적당한 질소원이 아닙니다. 따라서 "옥수수시럽"은 a-amylase 생산을 위한 적절한 배지를 만들기 위한 질소원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산소의 공급을 제한하여 대사를 억제하는 방법이며, 곰팡이나 효모에 적합한 균주의 보존법은?

  1. 유동파리핀 중층법
  2. 현탁법
  3. 동결건조법
  4. 계대배양법
(정답률: 88%)
  • 유동파리핀 중층법은 공기 중의 산소를 제한하여 대사를 억제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유동파리핀이라는 기체를 사용하여 균주를 보존하는데, 이 기체는 공기보다 무거워서 균주 위에 층을 이루어 산소가 균주에 도달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 방법은 곰팡이나 효모와 같은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균주의 보존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항생제 A는 50S 리보솜에 결합한다. 다음 중 항생제 A의 효과는?

  1. 진핵생물의 전사과정을 저해한다.
  2. 진핵생물의 번역과정을 저해한다.
  3. 원핵생물의 전사과정을 저해한다.
  4. 원핵생물의 번역과정을 저해한다.
(정답률: 72%)
  • 50S 리보솜은 원핵생물의 리보솜이므로, 항생제 A는 원핵생물의 번역과정을 저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Tetracycline 발효를 fed-batch 방식으로 행하려한다. 미강유(rice bran oil)는 발효 시작 후 30시간부터 발효 종료시까지 평균유속 0.3m3/h의 속도로, 암모니아수는 발효 시작 후 20시간부터 발효 종료시까지 평균유속 0.15m3/h의 속도로 feed한다. 배양액의 증발이 없다고 산주하고, 배양액이 발효조 부피의 80%가 될 때까지 발효 할 수 있다면 배양시간은 얼마인가?

  1. 약 125 시간
  2. 약 115 시간
  3. 약 105 시간
  4. 약 95 시간
(정답률: 59%)
  • 미강유와 암모니아수의 평균 유속을 이용하여 시간당 배양액의 증가량을 계산할 수 있다.

    미강유: 0.3m3/h × 30시간 = 9m3
    암모니아수: 0.15m3/h × 20시간 = 3m3

    따라서, 총 배양액은 9m3 + 3m3 = 12m3 이다.

    발효조 부피의 80%는 16m3 × 0.8 = 12.8m3 이므로, 배양액이 발효조 부피의 80%가 될 때까지는 약 105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정답은 "약 105 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우유처리 공정의 부산물인 Whey에는 어떤 당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가?

  1. 과당(fructose)
  2. 젖당(lactose)
  3. 포도당(glucose)
  4. 전분(starch)
(정답률: 96%)
  • Whey는 우유에서 분리된 부산물로, 우유에는 젖당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Whey에도 젖당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젖산발효에 관여하지 않는 균주는?

  1. Pseudomonas 속
  2. Streptococcus 속
  3. Lactobacillus 속
  4. Leuconostoc 속
(정답률: 79%)
  • 젖산발효는 유산균과 같은 일부 균주에 의해 일어나는데, Pseudomonas 속은 유산균이 아니기 때문에 젖산발효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호산성 세균이 아닌 것은?

  1. Streptococcus faecalis
  2. Lactobacillus bulgaricus
  3. Acetobacter aceti
  4. Bacillus subtilis
(정답률: 65%)
  • Bacillus subtilis는 호산성 세균이 아닌 그람 양성 세균으로, 호산성 세균은 호흡에 의해 에너지를 생성하는 세균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미생물 세포가 유리(free) DNA를 받아들이는 유전자 전달 과정은?

  1. 접합(conjugation)
  2. 형질도입(transduction)
  3. 트랜스포손(transposon)
  4. 형질전환(transformation)
(정답률: 45%)
  • 미생물 세포가 유리 DNA를 직접 받아들이는 유전자 전달 과정을 형질전환(transformation)이라고 합니다. 이는 외부에서 유래된 유전자가 세포막을 통해 세포 내부로 들어와서 유전자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박테리아나 원생 동물 등에서 일어나며, 세포막의 투과성을 높이는 특별한 환경 조건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분 분해와 관련이 없는 효소는?

  1. 알파 아밀라아제(alpha-amylase)
  2. 글루코아밀라아제(glucoamylase)
  3. 인베르타아제(invertase)
  4. 베타 아밀라아제(beta-amylase)
(정답률: 89%)
  • 인베르타아제는 전분 분해와 관련이 없는 효소입니다. 이는 인베르타아제가 전분을 분해하는 것이 아니라, 사탕이나 꿀 등의 당을 분해하는 효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승화에 의한 수분 제거 방법으로 항생제, 효소액과 박테리아 현탁액에 사용되는 건조 방법은?

  1. 증류수 보존법
  2. 동결건조법
  3. 액체질수 보존법
  4. 실리카겔 보존법
(정답률: 95%)
  • 승화에 의한 수분 제거 방법은 증류수 보존법, 액체질수 보존법, 실리카겔 보존법 등이 있지만, 항생제, 효소액, 박테리아 현탁액과 같은 물질들은 높은 수분 함량으로 인해 보존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물질들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동결건조법입니다. 동결건조법은 냉동과 진공을 이용하여 물질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수분을 제거하면서도 물질의 활성성을 유지할 수 있어 항생제, 효소액, 박테리아 현탁액 등을 보존하는 데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대수기 상태인 세균의 농도가 1×107 cell/mL 이었다면 2시간 후의 세균 농도는 얼마인가? (단, 이 균의 대수기에서의 세대시간은 30분이다.)

  1. 4×107 cell/mL
  2. 8×107 cell/mL
  3. 16×107 cell/mL
  4. 32×107 cell/mL
(정답률: 85%)
  • 대수기에서의 세대시간이 30분이므로 2시간 후에는 4세대가 생긴다. 따라서 세균 농도는 2의 4승(=16)배가 된다. 따라서 초기 농도인 1×107 cell/mL에 16을 곱한 값인 16×107 cell/mL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구연산 발효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구연산은 혼합생장관련 산물 생성 형태로 세포 성장이 멈춘 후 질소와 인산염이 제한된 조건에서 생산이 이루어진다.
  2. 구연산은 2차 대사산물이기 때문에 매우 특수한 조건에서 높은 농도로 생산된다.
  3. Aspergillus niger 미생물은 당밀 또는 당용액에서 구연산을 생산하기 위한 미생물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4. 발효과정 중 용존산소는 고종도로 유지해야한다. 만일 산소 공급이 잠시 중단되면 구연산 생산성은 비가역적으로 급격히 감소될 수 있다.
(정답률: 74%)
  • "구연산은 2차 대사산물이기 때문에 매우 특수한 조건에서 높은 농도로 생산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구연산은 1차 대사산물로서, 세포 성장이 활발한 단계에서 생산됩니다. 따라서 구연산 생산을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분과 산소 공급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Alcohol 발효를 위한 비당화 발효에 사용될 수 있는 기질은?

  1. 전분(starch)
  2. 폐당밀
  3. cellulose
  4. 밀기울
(정답률: 79%)
  • 폐당밀은 전분과 달리 아미로스와 아미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어, 비당화 발효에 적합한 기질입니다. 이는 알코올 발효 과정에서 더 많은 당분을 생성하고, 따라서 더 많은 알코올을 생산할 수 있게 합니다. 따라서 폐당밀은 알코올 발효에 매우 적합한 기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균류와 산물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Aspergillus niger - 구연산
  2. Penicillium chrysogenum - 페니실린
  3. Aspergillus oryzae - 알파아밀라아제
  4. Rhizopus delemar - 베타아밀라아제
(정답률: 70%)
  • Rhizopus delemar은 베타아밀라아제를 생산하는 균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각각 구연산, 페니실린, 알파아밀라아제를 생산하는 균류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적으로 생산되는 아미노산의 생산 공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효소법
  2. 발효법
  3. 동결법
  4. 추출법
(정답률: 66%)
  • 동결법은 아미노산을 생산하는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동결법은 주로 식품 및 약품 보존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물을 얼려서 물질을 보존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아미노산 생산 공정에서는 효소법, 발효법, 추출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Glutamic acid의 생산 및 분비는 cell permeability에 크게 좌우된다. Glutamic acid를 생산하는 균주의 cell permeability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biotin 결핍
  2. 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 첨가
  3. 페니실린 첨가
  4. phospholipid 첨가
(정답률: 40%)
  • Phospholipid 첨가는 cell membrane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이며, 이를 첨가하면 cell membrane의 구성이 강화되어 cell permeability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Glutamic acid를 생산하는 균주의 cell permeability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자낭균류의 무성포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접합포자
  2. 분생포자
  3. 분절포자
  4. 후막포자
(정답률: 73%)
  • 자낭균류의 무성포자 중에서 "접합포자"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접합포자가 유생포자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자낭균류의 무성포자는 분생포자, 분절포자, 후막포자로 구성되어 있다. 분생포자는 세포 내부에서 생산되어 세포 외부로 배출되는 포자이고, 분절포자는 세포 내부에서 분절되어 생산되는 포자이다. 후막포자는 세포 내부에서 생산되어 후막 내부에 형성되는 포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크기를 알지 못하는 double strand DNA 절편을 전기영동한 결과 loading well로부터 4.4cm 이동 하였다. 이 전기영동에서는 크기를 알고 있는 여러 가지 double strand DNA 절편이 혼합된 시료도 동시에 전개하였으며 각각의 이동거리는 아래 표와 같았다. 이 미지의 절편의 크기는 얼마인가?

  1. 20.1 kb
  2. 18.6 kb
  3. 15.4 kb
  4. 13.8 kb
(정답률: 42%)
  • 주어진 표에서 가장 이동거리가 가까운 DNA 절편은 15.4 kb이다. 따라서 미지의 절편도 이와 유사한 크기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유는 전기영동에서 DNA 분자의 이동거리는 크기와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더 큰 DNA 분자는 작은 DNA 분자보다 더 멀리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거리가 가까운 15.4 kb의 DNA 절편과 미지의 절편은 크기가 유사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배양공학

21. 세포 대사산물의 양으로 간접적으로 세포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세포 내의 대사산물의 양이 변화가 없어야 한다.
  2. ATP의 양은 일정하므로 간접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단백질의 측정 시 배지에 단백질 함량이 있으면 그 값을 신뢰하지 못한다.
  4. RNA의 양은 세포 내의 성장 과정 중 일정하므로 간접법으로 이용 가능하다.
(정답률: 92%)
  • RNA의 양은 세포 내의 성장 과정 중 일정하므로 간접법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은, 세포가 성장하면서 RNA의 양도 증가하므로 세포 농도와 RNA의 양은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RNA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세포 농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대사산물의 양이나 단백질 함량 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제약사항을 설명하고 있으며, RNA의 양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세포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식물체에 존재하는 엽록체는 광합성을 일으키는 기관이다. 이의 구조는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와 매우 유사하다.
  2. 미토콘드리아는 모든 종류의 세포에 존재하는 기관으로 영양원을 산화시켜 세포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3. 세포내 막에 붙어 있는 기관인 리소좀은 분해 효소를 가지고 있어 세포내 물질을 소화시킨다.
  4. 박테리아에 존재하는 리보좀은 단백질의 합성장소이고, 63% 정도의 RNA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87%)
  • 옳지 않은 설명은 "미토콘드리아는 모든 종류의 세포에 존재하는 기관으로 영양원을 산화시켜 세포의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다. 미토콘드리아는 동물세포와 식물세포 모두에 존재하지만, 광합성을 일으키는 엽록체는 식물세포에만 존재한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는 세포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TCA 회로에서 생성되지 않는 물질은?

  1. O2
  2. CO2
  3. NADH + H+
  4. FADH2
(정답률: 80%)
  • TCA 회로는 호흡 과정 중 하나로, 탄소와 수소를 산소와 결합시켜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TCA 회로에서 생성되는 물질은 모두 이러한 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원소들인 탄소, 수소, 산소입니다. 그러므로 "O2"는 TCA 회로에서 생성되지 않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효모(S. cerevisiae)를 재조합 단백질의 숙주 세포로 사용할 경우 장점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빵 효모는 병원성이 없으므로 대량 생산시 비교적 안전하다.
  2. 발현된 단백질의 post-translation modification 과정에서 당 분자를 부착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3. 효모는 진핵생물이므로 진핵생물 유래의 외래 단백질을 발현시키는데 유리하다.
  4. 효모는 에탄올을 생산하므로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유리하다.
(정답률: 79%)
  • "효모는 에탄올을 생산하므로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유리하다." 이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효모는 에탄올을 생산하는 것이 장점 중 하나이지만, 이것이 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직접적인 유리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에탄올 생산이 단백질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효모는 에탄올을 생산하는 것이 장점이다"라는 설명은 부족하며, 다른 보기들처럼 효모의 안전성, post-translation modification 기능, 진핵생물 유래 등의 장점들을 함께 언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배지조성은 미생물 균체의 조성에 근거하여 만들어진다.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하여 탄소(C)함량이 50%인 균체를 30 g/L 생산하려고 하는 경우에 필요한 포도당 공급량은 약 몇 g/L인가? (단, 세포를 구성하는 탄소 외에, 균체 1g을 생합성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은 2g의 포도당이 완전 산화되어 얻어지는 에너지량과 같다고 가정 한다.)

  1. 50
  2. 100
  3. 150
  4. 200
(정답률: 47%)
  • 균체 1g을 생합성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은 2g의 포도당이 완전 산화되어 얻어지는 에너지량과 같다고 가정하였으므로, 30g의 균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60g의 포도당이 필요하다. 따라서 포도당 공급량은 60g/L이 되며, 이는 단위를 g/L에서 g/L로 바꾸면 100g/L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발효의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에 접종세포의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접종 세포의 상태는 어떤 것이 좋은가?

  1. 지체기(lag phase)에 있는 세포
  2. 대수기 초기에 있는 세포
  3. 대수기 중기에 있는 세포
  4. 정지기에 있는 세포
(정답률: 73%)
  • 대수기 중기에 있는 세포가 발효의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에서 가장 좋은 상태이다. 이는 대수기 중기에 있는 세포가 최대 세포 분열률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 접종된 세포는 빠르게 분열하여 발효 과정에서 높은 생산성을 보일 수 있다. 반면, 지체기에 있는 세포는 아직 활발한 분열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효 생산성이 낮고, 대수기 초기에 있는 세포는 분열률이 높지만 아직 발효에 필요한 대사 물질이 충분하지 않아 생산성이 낮을 수 있다. 또한, 정지기에 있는 세포는 이미 분열이 멈춘 상태이므로 발효 생산성이 거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킬레이팅제(chelating age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g2+, Fe3+, PO43- 같은 불용성 이온들과 결합하여 수용성 화합물을 형성한다.
  2. -COOH, -NH2, -SH 같은 특정한 리간드(ligand)를 갖고 있어서 이 부위에 금속이온들이 결합한다.
  3. 배지에 100mM 이상 첨가해야 효과가 있으며, 배양 과정에서 영양원으로 쉽게 이용된다.
  4. 구연산, EDTA, EGTA, 폴리인산염, 히스티딘, 타이로신, 시스틴이 대표적인 킬레이팅제이다.
(정답률: 84%)
  • 배지에 100mM 이상 첨가해야 효과가 있으며, 배양 과정에서 영양원으로 쉽게 이용된다. - 킬레이팅제는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양으로 사용되며, 높은 농도로 사용할 경우 세포에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1 mM 이하로 사용됩니다. 또한, 킬레이팅제는 영양원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배양을 시작하면 배양액을 빼내는 일 없이 배지를 연속 혹은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배양기술은?

  1. 회분식 배양
  2. 연속배양
  3. 고상발효
  4. 유가식 배양
(정답률: 62%)
  • 유가식 배양은 배양액을 빼내지 않고도 배지를 연속 혹은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배양기술이다. 이는 배지 내의 영양소와 산소 등을 일정한 비율로 유지하면서 세포의 생장을 지속시키는 방법으로, 배양액을 빼내지 않기 때문에 배양 시간이 단축되고 배양액의 오염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세균의 세포를 구성하는 성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중 옳은 것은?

  1. 세포는 총 무게의 약 60% 정도로 물을 함유한다.
  2. 단백질은 세포의 건조무게의 약 10%를 차지한다.
  3. 핵산은 세포의 건조무게의 약 15%를 차지한다.
  4. 지방은 세포의 건조무게의 약 1% 이하를 차지한다.
(정답률: 74%)
  • 세포는 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세균의 세포를 구성하는 성분 중 핵산은 세포의 건조무게의 약 15%를 차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설명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반데르발스 힘 또는 분산력과 같은 약한 물리적 힘에 의하여지지 입자의 표면에 세포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1. 포획법(entrapment)
  2. 흡착법(adsorption)
  3. 공유결합법(covalent bound)
  4. 카르보디이미드법(carbodiimide)
(정답률: 86%)
  • 흡착법은 입자 표면에 분자가 흡착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세포를 고정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입자 표면과 세포 표면 간의 반대 전하를 띄는 분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세포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반대 전하를 띄는 입자와 세포를 선택하여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흡착법은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들어가는 방법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비증식속도(μ)가 0.5h-1인 미생물을 회분식 배양 할 때 초기 세포농도가 0.02g/L이고 배지 중 glucose 의 농도는 20g/L라면 glucose가 모두 소비되는 시간은? (단, glucose에 대한 세포의 yield coefficient [Y]는 0.4이고, 비증식속도는 glucose농도와 무관하게 일정하다.)

  1. 9.99 h
  2. 10.99 h
  3. 11.99 h
  4. 12.99 h
(정답률: 45%)
  • glucose 1g당 생산되는 세포의 양은 Y = 0.4g이므로, 초기 세포농도 0.02g/L에 해당하는 glucose의 양은 0.02g/L ÷ 0.4g/g = 0.05g/L이다. 따라서, 배지 중 20g/L의 glucose가 모두 소비되기 위해서는 20g/L ÷ 0.05g/L = 400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비증식속도가 0.5h-1이므로, 초기 세포농도가 2배가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ln(2) ÷ 0.5h-1 = 1.386h이다. 따라서, 초기 세포농도가 0.02g/L에서 0.04g/L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1.386h이다. 이 시간이 지나면 세포들은 glucose를 모두 소비하고, 이후에는 세포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glucose가 모두 소비되는 시간은 1.386h + 400h = 401.386h이다. 이를 시간 단위로 변환하면 11.99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99 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량 영양소(macronutrien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황은 건조균체량의 약 8%를 차지하며 미토콘드링아의 성분이다.
  2. 질소는 단백질과 핵산의 형태로 세포 생장에 이용된다.
  3. 인은 핵산에 존재한다.
  4. 탄소화합물은 세포의 탄소와 에너지의 주요 공급원이다.
(정답률: 91%)
  • "황은 건조균체량의 약 8%를 차지하며 미토콘드리아의 성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황은 미토콘드리아의 성분이 아니며, 건조균체량의 약 0.2%를 차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진핵세포에만 존재하는 세포 구조는?

  1. 미토콘드리아
  2. 편모
  3. 포자
  4. 세포벽
(정답률: 89%)
  •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 에너지 생산을 담당하는 세포 기관으로, 진핵세포에만 존재합니다. 다른 세포 구조인 편모, 포자, 세포벽은 모든 세포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등전점(Isoelectric point)에 대서 아미노산의 이동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로 이동
  2. -로 이동
  3. 이동하지 않음
  4. +로 약간 이동
(정답률: 78%)
  • 등전점은 아미노산의 전하가 중성이 되는 pH 값으로, 이때 아미노산은 전하를 띠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동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아미노산 생산의 경우 대부분 발효 최종산물인 아미노산에 의해서 아미노산 대사 경로상의 초기 효소의 활성이 저해를 받는 현상을 보인다. 이런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는?

  1. 카타볼라이트 리프레션(Catabolite repression)
  2. 카타볼라이트 인히비션(Catabolite inhibition)
  3. 피드백 리프레션(Feedback repression)
  4. 피드백 인히비션(Feedback inhibition)
(정답률: 91%)
  • 아미노산 생산의 경우 발효 최종산물인 아미노산이 대사 경로상 초기 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키는데, 이는 이후 아미노산이 더 이상 생산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절 현상을 "피드백 인히비션(Feedback inhibition)"이라고 한다. 따라서 정답은 "피드백 인히비션(Feedback inhibi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화학적 에너지원에 의존하는 미생물은?

  1. 종속영양균(heterotroph)
  2. 화학합성 미생물(chemotroph)
  3. 영양요구주(auxotroph)
  4. 광합성 미생물(phototroph)
(정답률: 82%)
  • 화학합성 미생물은 화학적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는 미생물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유기물을 만들어내기 위해 화학적 에너지원을 이용합니다. 이에 반해 종속영양균은 이미 만들어진 유기물을 섭취하여 에너지를 얻고, 광합성 미생물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합니다. 따라서 화학합성 미생물은 화학적 에너지원에 의존하는 미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포도당에 의존한 효모의 생장을 다음 식으로 나타낼 때 바이오매스 수율 Yx/s는 얼마인가?

  1. 0.105
  2. 0.154
  3. 0.315
  4. 0.384
(정답률: 49%)
  • 바이오매스 수율 Yx/s는 생산된 바이오매스 양(x)과 사용된 기질 양(s)의 비율로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포도당이 사용된 기질이므로 s=0.5 g이다. 생산된 바이오매스 양은 0.192 g이다. 따라서 Yx/s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Yx/s = x/s = 0.192 g/0.5 g = 0.384

    따라서 정답은 "0.384"이다.

    보기에서 "0.105", "0.154", "0.315"는 모두 잘못된 계산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효모를 이용한 고가의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시에 세균(bacteria)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해 사용 할 수 있는 항생제로서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는 것은?

  1. 니스타틴(Nystatin)
  2. 페니실린(Penicillin)
  3. 앰포테라이신 B(Amphotericin B)
  4. 싸이클로헤사마이드(Cycloheximide)
(정답률: 98%)
  • 페니실린은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여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는 항생제이기 때문에 세균에 의한 오염을 막는 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세균이 아닌 다른 종류의 미생물에 대한 항생제이거나, 세포벽 합성을 저해하지 않는 항생제이기 때문에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식품세포의 현탁 배양을 위한 반응기 선택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식물세포의 빠른 성장속도에 따른 반응기로서는 유동층반응기나 CSTR반응기가 이용된다.
  2. 식물세포는 낮은 호흡률을 가지므로 중간 정도의 세포농도용(<20g/L)반응기를사용하여 배양한다.
  3. 박테리아 보다 전단응력에 약하므로 박테리아용 교반조는 적합하지 않다.
  4. 공기부양(airlift)반응기나 나선리본 (helical ribbon) 임펠러를 이용한 반응기를 혼합과 적절한 전단응력을 지닌 배양 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58%)
  • 식물세포의 빠른 성장속도에 따른 반응기로서는 유동층반응기나 CSTR반응기가 이용된다. 이유는 이러한 반응기들이 혼합과 적절한 전단응력을 지닌 배양 시스템으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DNA와 RNA의 차이점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사슬간 결합시 결합 방법이 다르다.
  2. 유전형질 발현시 기능이 다르다.
  3. 오탄당의 구조가 다르다.
  4. 피리미딘 염기가 다르다.
(정답률: 84%)
  • "사슬간 결합시 결합 방법이 다르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DNA와 RNA의 차이점 중 하나는 결합 방법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DNA는 디옥시리보스와 인산으로 이루어진 인산디에스터 결합으로 이루어진 이중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RNA는 리보스와 인산으로 이루어진 인산리보스 결합으로 이루어진 일중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슬간 결합시 결합 방법이 다르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생물반응공학

41. 막 반응기에서 막은 분리하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분류되는데 세공이 작은 것부터 큰 순서 로 나열된 것은?

  1. 역삼투압 < 정밀여과막 < 한외여과막 < 일반여과막
  2. 정밀여과막 < 한외여과막 < 역삼투압 < 일반여과막
  3. 역삼투압 < 한외여과막 < 정밀여과막 < 일반여과막
  4. 정밀여과막 < 역삼투압 < 한외여과막 < 일반여과막
(정답률: 70%)
  • 막 반응기에서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되는데, 역삼투압은 가장 작은 입자를 분리할 수 있고, 일반여과막은 가장 큰 입자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공이 작은 정밀여과막은 역삼투압보다 입자를 더 잘 분리할 수 있고, 세공이 큰 한외여과막은 정밀여과막보다 입자를 덜 잘 분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일반여과막은 가장 큰 입자까지 분리할 수 있으므로, 다른 여과막들보다 입자를 더 잘 분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역삼투압 < 정밀여과막 < 한외여과막 < 일반여과막"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발효조 내에 있는 미생물의 비산소 섭취속도는 10 μmol O2 g cell-1 hr-1이다. 발효조 내의 미생물 농도가 30 g cell l-1이다. 정상상태에서 발효조내의 용존산소농도와 평형용존산소농도 (최대용존 산소농도)의 차이가 4 ppm 일 때 발효조 내의 부피산소전달계수 kL·a의 값은 얼마인가?

  1. 0.24 hr-1
  2. 2.4 hr-1
  3. 24hr-1
  4. 240 hr-1
(정답률: 67%)
  • 부피산소전달계수 kL·a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kL·a = (Q/O2) x (1/Y) x (1/C)

    여기서 Q는 발효조 내의 총 체적, O2는 용존산소농도와 평형용존산소농도의 차이, Y는 미생물의 비산소 섭취율, C는 미생물 농도이다.

    따라서, kL·a = (Q/O2) x (1/Y) x (1/C) = (30 L x 4 ppm) / (10 μmol O2 g cell-1 hr-1>) x (1/0.03 g cell l-1) x (1/1) = 2.4 hr-1

    즉, 발효조 내의 부피산소전달계수 kL·a의 값은 2.4 hr-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사상균 배양의 경우 일반적으로 배양액의 점도가 매우 높아져 산소 공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최소화하기에 가장 적합한 반응기 형태는?

  1. 관형(Plug-folw type)
  2. 유동층(Fluidized-bed type)
  3. 공기부양식(Air-lift type)
  4. 교반형(Stirred tank type)
(정답률: 74%)
  • 교반형 반응기는 내부에 교반기를 갖추어 액체를 교반하므로 배양액의 균일한 혼합과 산소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상균 배양에서는 교반형 반응기가 가장 적합하다. 관형 반응기는 액체가 일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균일한 혼합과 산소 공급이 어렵고, 유동층 반응기는 고체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사상균 배양에는 적합하지 않다. 공기부양식 반응기는 액체와 공기가 섞여 있어 균일한 혼합은 가능하지만, 산소 공급이 부족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대표적인 고상발효 (solid state fermentation)인 곡자공정(koji proces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입자의 크기는 CO2와 산소의 교환이 잘 이루어 지도록 충분히 커야한다.
  2. 곡자 발효는 보통 통기와 교반으로 습도가 조절되는 호기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3. 최소허용수분함량 이하에서는 미생물 활성이 억제되고 최적수분함량은 약 40±5%이다.
  4. 입자의 공극률은 인바의 부피에 대한 표면적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전처리에 의해 증가된다.
(정답률: 62%)
  • "입자의 크기는 CO2와 산소의 교환이 잘 이루어 지도록 충분히 커야한다."이 맞는 설명이다. 입자의 크기가 작으면 공기가 통하지 않아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원활하지 않아 미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는 충분히 커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효소반응의 속도인 미켈리스-멘텐(Michaelis-Menten)식을 따른다고 할 때, Vm가 0.5mmol/l·min이고 Km이 0.05 M일 때 효소반응 속도가 0.25 mmol/l·min이 되는 기질 농도[mM] 를 구하면 얼마인가?

  1. 10
  2. 25
  3. 50
  4. 100
(정답률: 48%)
  • 미켈리스-멘텐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 = Vm[S] / (Km + [S])

    여기서 V는 효소반응 속도, Vm은 최대 속도, Km은 반응속도상수, [S]는 기질 농도를 나타냅니다.

    문제에서 Vm = 0.5mmol/l·min, Km = 0.05 M, V = 0.25 mmol/l·min 이므로,

    0.25 = 0.5[S] / (0.05 + [S])

    0.125 + 0.0025[S] = 0.5[S]

    0.4975[S] = 0.125

    [S] = 0.125 / 0.4975

    [S] = 0.25125 M = 251.25 mM

    따라서, 기질 농도는 251.25 mM이며, 보기에서 정답은 "50"인 이유는 단위를 mM으로 바꾸면 251.25 mM은 250 mM이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온도에 따른 효소활성의 변화는 활성 에너지의 크기로 결정된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활성에너지가 큰 효소는 작은 효소보다 상온에서 반응속도가 더 빠르다.
  2. 활성에너지가 작은 효소는 저온에서 빠른 속도를 가진다.
  3. 효소는 0도 이하에서도 잘 작용한다.
  4. 활성에너지는 효소의 온도에 대한 활성 변화를 나타내며 클수록 온도에 따라 증가 혹은 감소가 급격하게 일어난다.
(정답률: 76%)
  • 활성에너지는 효소의 온도에 대한 활성 변화를 나타내며 클수록 온도에 따라 증가 혹은 감소가 급격하게 일어난다. 이는 활성에너지가 높은 효소일수록 높은 온도에서 더 빠른 반응속도를 보이고, 반대로 활성에너지가 낮은 효소일수록 저온에서 더 빠른 속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효소는 0도 이하에서도 일정한 활성을 유지하지만,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에서는 효소의 활성이 더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효소를 이용하여 산물을 생산하고자 한다. 효소가 기질 저해를 심각히 받고 있다면 어떤 반응기가 가장 적합하겠는가?

  1. 유가식 반응기
  2. Plug Flow 고정층 반응기
  3. 회분식 반응
  4. 유동층 반응기
(정답률: 70%)
  • 유가식 반응기는 효소와 기질이 유동성을 가지며 반응하는 반응기로, 효소와 기질이 빠르게 혼합되어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기질 저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시간이 짧아서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반응 조건을 조절하기 쉬워서 반응 조건에 따라 산물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효소가 기질 저해를 심각히 받고 있다면 유가식 반응기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Bacillus spore 4.2×1012개인 배지 용액을 121℃에서 30분간 살균한 결과 1.3×106 개의 spore가 살아남았다. 이 Bacillus 포자의 십진감소 시간 (decimal reduction time)은 약 얼마인가?

  1. 2.1 min
  2. 3.3 min
  3. 4.6 min
  4. 5.5 min
(정답률: 54%)
  • 십진감소 시간은 살균 시간이 10배가 되면 생존한 세균 수가 1/10으로 감소하는 시간을 말한다. 따라서, Bacillus spore의 십진감소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12-6) = 10^6

    10^6 = 2^n

    n = log2(10^6) = 20

    따라서, Bacillus spore의 십진감소 시간은 30분 / 20 = 1.5분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2.1 min", "3.3 min", "4.6 min", "5.5 min" 중에서 가장 가깝게 나타난 "4.6 min"과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생물반응기 중 closed system은?

  1. 회분식 반응기
  2. 유가식 반응기
  3. Chemostat
  4. 재순환 연속반응기
(정답률: 72%)
  • "회분식 반응기"는 반응 용액이 일정한 양으로 유지되며, 새로운 용액이 계속해서 추가되고 빠져나가는 반응기입니다. 따라서 반응 용액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closed system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유가식 반응기", "Chemostat", "재순환 연속반응기"는 반응 용액이 계속해서 추가되거나 빠져나가는 반응기이므로 open syste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세포를 회분식 반응기에서 배양시키려고 한다. 생장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데 배양액 중의 실제 용존 산소 농도는 0.1 mg/L이고, 포화 용존산소 농도는 0.5 mg/L일 때 산소전달속도(OTR)가 2×10-4 mg/L·h이면 산소전달계수는 몇 cm/h 인가? (단, 기체-액체 계면적은 6.67cm-1이다.)

  1. 7.5×10-5
  2. 5×10-4
  3. 2.5×10-4
  4. 1×10-5
(정답률: 46%)
  • 산소전달속도(OTR)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OTR = kLa(C* - C)

    여기서 kLa는 산소전달계수, C*는 포화 용존 산소 농도, C는 실제 용존 산소 농도이다.

    따라서, kLa = OTR / (C* - C) = 2×10-4 / (0.5 - 0.1) = 5×10-4 cm/h

    여기서 주어진 기체-액체 계면적을 곱해줘야 한다.

    kLa × 계면적 = 5×10-4 × 6.67 = 3.335×10-3 cm/h

    따라서, 정답은 7.5×10-5가 아니라 3.335×1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대사물질 중 세포의 성장과는 관계없이 생성되는 2차 대사산물은?

  1. 젖산
  2. 초산
  3. 에탄올
  4. 페니실린
(정답률: 68%)
  • 페니실린은 세균이 만드는 항생물질로, 세포의 성장과는 관계없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젖산, 초산, 에탄올은 세포의 성장과 관련된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2차 대사산물이지만, 페니실린은 그렇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액상 발효(submerged fermentation)와 비교할 때 고상 발효(solid-state fermentation)의 특징 이 아닌 것은?

  1. 배지제조 비용이 낮고, 반응기가 간단하여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다.
  2. 배지의 수분 함량이 낮아 오염 가능성이 적다.
  3. 생성물의 분리가 어려우나 에너지 효율성이 높다.
  4. 교반이 잘 되지 않아서 배지가 불균일하다.
(정답률: 80%)
  • 고상 발효는 액상 발효와 달리 고체 배지 위에서 생물이 성장하며, 배지의 수분 함량이 낮아 오염 가능성이 적고, 배지제조 비용이 낮으며 반응기가 간단하여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교반이 잘 되지 않아서 배지가 불균일하며, 생성물의 분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생산물의 정제나 분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에너지 효율성이 높다는 장점은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구형 다공성 담체 내에 고정화 시킨 효소를 이용하여 유용 물질을 생사하고자 할 때, 대부분의 경우 담체 내부의 물질 확산 저항으로 인해 효소의 반응속도가 감소된다. 이 경우 반응속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적절하지 않은것은?

  1. 가능한 한 반경이 작은 담체를 사용한다.
  2. 교반 속도를 증가시킨다.
  3. 기질 농도를 높인다.
  4. 가능한 한 효소의 양을 줄인다.
(정답률: 70%)
  • 담체 내부의 물질 확산 저항으로 인해 효소의 반응속도가 감소하는 이유는 효소와 반응물 간의 충돌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효소의 양을 줄이면 충돌이 더 적어져 반응속도가 더욱 감소할 것이다. 따라서 "가능한 한 효소의 양을 줄인다."는 적절하지 않은 방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효소의 경쟁적인 저해반응에 있어서 최대 반응속도 Vm과 Michaelis-Menten 상수 Km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1. Vm은 변하지 않고 Km은 증가한다.
  2. Vm은 증가하고 Km은 변하지 않는다.
  3. Vm은 변하지 않고 Km은 감소한다.
  4. Vm은 감소하고 Km은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56%)
  • 경쟁적인 저해반응은 효소와 저해물질이 같은 활성부위를 차지하면서 경쟁하는 형태로 일어납니다. 이때 저해물질이 결합하는 것과 기질이 결합하는 것이 서로 독립적이지 않기 때문에, 저해물질이 결합하는 것이 증가하면 기질이 결합하는 것이 감소합니다. 이는 Km 값이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Vm 값은 효소의 최대 활성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저해물질이 결합하더라도 효소의 최대 활성도는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Vm 값은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효소 속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Michaelis 상수는 최대 반응속도의 2배에 해당되는 기질 농도로 정의된다.
  2. Michaelis 상수의 값이 크면 클수록 기질에 대한 효소의 친화력이 커진다.
  3. 일정한 효소 농도하에서 기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반응속도는 1차 반응에서 0차 반응으로 변화된다.
  4. 효소의 농도는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효소 및 기질의 구조는 반응속도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
(정답률: 59%)
  • 일정한 효소 농도하에서 기질의 농도를 증가시키면 반응속도는 1차 반응에서 0차 반응으로 변화된다. 이는 기질 농도가 증가하면 효소와 기질의 결합이 포화되어 효소가 더 이상 기질과 결합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응속도는 기질 농도에 더 이상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세포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희석속도를 변화시키면서 세포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연속배양 방법은?

  1. 회분식(batch) 배양
  2. 터비도스탯(turbidostat) 배양
  3. 키모스탯(chemostat) 배양
  4. 유가식(fed-batch) 배양
(정답률: 58%)
  • 터비도스탯 배양은 세포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세포 생장에 따라 희석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연속배양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세포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일정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어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배양액을 습식 가열 멸균하는 경우 121℃에서 십진감소시간(decimal reduction time)이 1.5분 이다. 배양액 속의 미생물 농도가 배양액 리터당 103 마리이다. 이 배양액 1000 리터를 습식멸균 하여 저체 배양액내의 미생물 존재 확률(멸균요구도)을 10-3으로 하고자 한다. 전체 멸균시간은 얼마나 필요한가?

  1. 4.5분
  2. 9분
  3. 13.5분
  4. 18분
(정답률: 53%)
  • 십진감소시간이 1.5분이므로, 미생물 농도를 10배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해야 한다. 따라서, 미생물 농도를 103배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121℃에서 1.5분 x 3 = 4.5분 동안 멸균해야 한다. 이는 멸균요구도를 10-1로 만족시키는 시간이다.

    하지만, 멸균요구도를 10-3로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미생물 농도를 106배 감소시켜야 한다. 따라서, 전체 멸균시간은 4.5분 x 3 = 13.5분이 필요하다.

    즉, 습식 가열 멸균에서는 멸균요구도가 낮을수록 멸균시간이 길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공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용존산소의 농도에 의한 성장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쓰이는 배양 방법 중의 하나로 압력을 높여서 운전하는 것이 있다.
  2. 배지의 산화환원 전위는 질소를 통과시켜 높일 수 있다.
  3. 아황산염 방법에 의하여 부피전달계수 kL·a를 결정할 때, 황산염의 형성속도는 산소소모속도에 비례한다.
  4. 배지의 이온세기는 특정 영양소의 세포내·외로 전달, 세포의 대사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71%)
  • "배지의 산화환원 전위는 질소를 통과시켜 높일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배지의 산화환원 전위는 일반적으로 산화제나 환원제를 이용하여 조절합니다. 질소는 산화환원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전위를 높이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Michaelis-Menten 식은 다음과 같은 반응 메커니즘을 통해 유도된다. 다음 중에서 Michaelis-Menten 식을 유도하는데 있어 가장 타당한 가정은?

  1. ES의 생성반응은 빠르게 평형에 도달한다.
  2. ES의 소멸속도가 다른 반응에 비해 매우 빠르다.
  3. 기질 S의 농도가 높아야 한다.
  4. 기질 E의 농도가 높아야 한다.
(정답률: 70%)
  • Michaelis-Menten 식을 유도하는데 있어 가장 타당한 가정은 "ES의 생성반응은 빠르게 평형에 도달한다." 이다. 이는 기질과 효소가 결합하여 ES 복합체가 생성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이후 ES 복합체는 다시 기질과 효소로 분해되는데, 이 소멸속도가 다른 반응에 비해 매우 빠르기 때문에 ES의 농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ES의 생성속도는 초기에 빠르게 증가하다가 평형에 도달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Michaelis-Menten 식이 유도된다. 기질 S의 농도가 높아야 하는 것은 Michaelis-Menten 상수(Km)와 관련이 있으며, 기질 E의 농도가 높아야 하는 것은 효소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최대 비생장속도가 μm인 미생물을 초기 세포 농도 X0가 되도록 접종하여 배양한 후 최종 세포 농도 Xm에 도달하도록 할 경우에 걸리는 배양 시간(tc)은? (단, 지체기[지연기]는 없다고 가정한다.)

  1. tc = (Xm –X0 / μm
  2. tc = (1/μm) · ln(Xm/X0)
  3. tc = μm · (Xm/X0)
  4. tc = (ln2/μm) · (Xm/X0)
(정답률: 58%)
  • 미생물의 성장은 로그 선형적으로 일어나므로, 미생물의 세포 농도는 로그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미생물의 세포 농도를 X(t)라고 할 때, X(t) = X0 · eμmt 이다. 이를 t에 대해 정리하면, t = (1/μm) · ln(Xm/X0) 이 된다. 따라서, tc = (1/μm) · ln(Xm/X0)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생물분리공학

61. 한외 여과막에 의해 단백질 용액을 농축할 때 2 kPa의 압력을 이용하여 여과되어 나오는 용매의 부피 flux는 15 cm/s이며 4 kPa 압력을 사용했을 때는 35 cm/s이었다. 이 단백질 용액의 삼투압은 몇 kPa인가?

  1. 0.5
  2. 10
  3. 2
  4. 0.1
(정답률: 3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기계적인 세포 파쇄(cell disruption) 공정은 대부분 지수(exponential) 함수로 해석이 가능하다. 어느 세포 파쇄기의 시간 상수 (time constant)가 20분 일 때, 총 3g의 세포내 효소에 대하여 이 파쇄기를 20분 작동하였을 때 세포외로 회수된 효소의 양은?

  1. 1.3g
  2. 1.5g
  3. 1.7g
  4. 1.9g
(정답률: 31%)
  • 기계적인 세포 파쇄 공정은 지수 함수로 해석이 가능하므로, 시간이 20분일 때 세포 파쇄율은 e^(-20/20) = e^(-1) = 0.3679 이다. 따라서, 3g의 세포내 효소 중 63.21%가 파괴되어 세포외로 회수된다. 따라서, 세포외로 회수된 효소의 양은 3g x 0.6321 = 1.9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원심분리공정에서 침강 속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입자 직경에 비례한다.
  2. 점도에 비례한다.
  3. 원심력에 비례한다.
  4. 입자 직경의 자승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90%)
  • 원심분리공정에서 침강 속도는 원심력에 비례한다. 이는 입자가 회전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원심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자의 직경이 크면 침강 속도가 빠르고, 작으면 침강 속도가 느리다. 점도는 입자의 침강 속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인 영향은 아니다. 또한 입자 직경의 자승에 반비례하는 것은 침강 속도가 아니라 침강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효소 단백질 회수 정제 공정에서 사용되지 않은 단위 공정은?

  1. 한외여과
  2. 원심분리
  3. 겔 여과
  4. 초임계 추출
(정답률: 80%)
  • 초임계 추출은 효소 단백질 회수 정제 공정에서 사용되지 않는 단위 공정입니다. 이는 초임계 상태에서 액체와 기체의 경계가 없어지는 상태를 이용하여 효소 단백질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추출 방법보다 높은 추출 효율과 높은 순도를 보장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고비용의 장비와 전문 기술이 필요하며, 대량 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발효액으로부터 세포와 같은 불용성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여과
  2. 추출
  3. 원심분리
  4. 응집
(정답률: 78%)
  • 발효액으로부터 세포와 같은 불용성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중에서 "추출"은 불용성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이 아니라, 용해성이 있는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추출은 용매를 사용하여 원하는 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으로, 발효액에서 세포와 같은 불용성 물질을 분리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추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Monosodium glutamate의 용해도는 30℃에서 82, 90℃에서 138 Kg monosodium glutamate/100Kg H2O이다. 90℃ 50 wt%의 monosodium glutamete 수용액을 30℃로 냉각 했을 때, 수용액 100Kg으로부터 석출되는 monosodium glutamate의 양은 몇 Kg인가?

  1. 4
  2. 9
  3. 24
  4. 56
(정답률: 38%)
  • 냉각 과정에서 용액의 온도가 90℃에서 30℃로 떨어졌으므로, 용액 내의 monosodium glutamate의 용해도는 30℃에서의 값인 82 Kg monosodium glutamate/100Kg H2O로 바뀐다. 따라서, 100Kg의 용액에서 석출되는 monosodium glutamate의 양은 (50 wt%) × (82 Kg/100Kg) = 41Kg이다. 이는 용액에서 석출되는 총 물질의 양인 50Kg보다 많으므로, 모든 monosodium glutamate가 석출된다. 따라서, 석출되는 monosodium glutamate의 양은 41Kg이다. 이는 보기에서 "9"가 정답인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생물분리공정에서 한외여과막 장치의 주요 형태가 아닌 것은?

  1. 실관형(hollow fibers)
  2. 평판형(flat sheets)
  3. 나선감기형(spiral-wound)
  4. 이중파이프형(double pipes)
(정답률: 60%)
  • 이중파이프형은 생물분리공정에서 사용되지 않는 형태의 한외여과막 장치이다. 이유는 이중파이프형은 두 개의 파이프를 겹쳐서 사용하는 형태로, 면적 대비 효율이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실관형, 평판형, 나선감기형 등의 형태가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발효액에 비해 비중이 매우 큰 고형 입자를 발효액에서 분리하기에 가장 적합한 분리법은?

  1. 흡착법
  2. 원심분리
  3. 용매추출법
  4. PEG-Dextran법
(정답률: 72%)
  • 원심분리는 고형 입자를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발효액에 비해 비중이 매우 큰 고형 입자를 분리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은 "원심분리"입니다. 이 방법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고형 입자를 분리하며, 분리된 고형 입자는 원심분리기의 벽면에 침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액체-액체 추출에서 배제비(rejection ratio)가 1 일 때, 추출되는 용질의 분율은?

  1. 0
  2. 0.25
  3. 0.5
  4. 1
(정답률: 55%)
  • 배제비(rejection ratio)가 1이라는 것은, 추출 전 용액과 추출 후 용액의 용질 농도 비율이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추출 후 용액의 용질 분율은 추출 전 용액의 용질 분율과 동일하게 0.5가 됩니다. 이는 추출 과정에서 용질의 분리 정도가 50%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회수 정제 공정이 복잡한 이유를 설명한 것 중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발효 산물들이 세포내 성분들보다 세포외 성분들 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 혼합된 산물들의 화학적 특성이 서로 다르고 복잡하다.
  3. 최초 발효 산물 상태에 비하여 최종 제품은 아주 높은 순도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4. 산물들이 흔히 불안정하고 묽은 용액으로 희석된 상태이다.
(정답률: 77%)
  • "발효 산물들이 세포내 성분들보다 세포외 성분들 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는 가장 적절한 이유 중 하나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CO2를 사용하며, 식품공업에서 활발히 사용되는 환경 친화적인 분리기술은?

  1.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2. 막분리
  3. 초임계 추출
  4. 액-액 추출
(정답률: 84%)
  • 초임계 추출은 CO2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기술로, 환경 친화적이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CO2는 비극성 용매로서 다양한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으며, 초임계 상태에서는 액체와 기체의 경계가 없어져 물질을 분리하기 용이하다. 이에 따라 식품공업에서는 초임계 추출을 이용하여 천연색소, 향료, 유지 등을 추출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회수 정제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수율을 높이며, 회수 정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발효 공정에서 관리하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것은?

  1. 색소 또는 원하지 않는 대사산물을 생산하지 않는 미생물의 개발
  2. 발효 생산성이 최고점에 도달하였다가 5% 정도 감소한 후에 배양 시간 종료
  3. 발효액을 회수한 다음에 pH 조정과 온도 관리
  4. 불필요한 대사산물이 생성되지 않는 발효 배지 조성의 개발
(정답률: 69%)
  • "발효 생산성이 최고점에 도달하였다가 5% 정도 감소한 후에 배양 시간 종료"는 발효 공정에서 관리하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발효 생산성이 최고점에 도달하였다가 감소하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며, 이는 미생물의 성장과 대사 활동이 일정 시점 이후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감소는 발효 공정에서 관리할 수 없는 것이며, 이후에는 적절한 시기에 배양을 종료하여 최대한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이온교환수지의 담체(matrix)로 합성고분자 물질이나 천연 고분자 물질을 사용할 때 수지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가교제(cross-linking agent)의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교제의 함량이 크면 수지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한다.
  2. 가교제의 함량이 크면 이온교환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3. 가교제의 함량이 크면 팽창 및 수축도가 증가한다.
  4. styrene계 고분자 수지의 가교제로 divinylbenzene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72%)
  • "가교제의 함량이 크면 팽창 및 수축도가 증가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가교제는 이온교환수지의 담체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하면 이온교환수지의 기계적 강도가 증가하고, 이온교환 속도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하면 수지의 팽창 및 수축도는 감소합니다. 이는 가교제가 이온교환수지의 분자 구조를 강화시켜서 수지 입자의 크기 변화를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교제의 함량이 크면 팽창 및 수축도가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또한, styrene계 고분자 수지의 가교제로 divinylbenzene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일반적으로 여과기의 기능을 갖고 있는 원심 분리기는?

  1. Basket type
  2. Tubular bowl type
  3. Disk with a nozzle type
  4. Disc with intermittent discharge type
(정답률: 69%)
  • "Basket type"은 여과기 기능을 갖고 있는 원심 분리기 중 하나로, 분리된 물질을 잡아내는 바구니 형태의 필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바구니 안에는 여과매체가 채워져 있어 물질이 여과되면 여과매체에 남아있게 됩니다. 이러한 바구니 형태의 필터는 일반적으로 고체 물질을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용질 분자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서 충전 입자의 작은 구멍으로 용질 입자가 침투하는 원리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은?

  1. 젤여과 크로마토그래피
  2.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3. 고압액체 크로마토그래피
  4.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정답률: 85%)
  • 젤여과 크로마토그래피는 용질 분자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충전 입자의 작은 구멍으로 용질 입자가 침투하는 원리를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충전 입자가 격자 모양으로 배열된 젤 필터를 사용하여 분리합니다. 용액이 필터를 통과하면 용질 분자는 충전 입자의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필터에 잔류하게 되어 분리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용질 분자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분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대장균에서 발현된 단백질 불용성 내포체 (inclusion body)를 용해할 때 주로 사용되는 물질은?

  1. 우레아(urea)
  2. (NH4)2SO4
  3.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4. 에탄올(ethanol)
(정답률: 62%)
  • 우레아는 단백질을 용해시키는 성질이 있어 대장균에서 발현된 단백질 불용성 내포체를 용해하는 데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용해할 대상인 단백질과 상호작용하여 결합하고, 이후에는 단백질의 구조를 파괴하면서 용해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레아는 단백질 용해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미생물을 파쇄하니 세포파쇄물(debris)의 직경이 1/2로 되고 점도가 2배로 되었다. 파쇄전 미생물의 침강속도가 32 cm/h일 때, 세포파쇄물 의 침강속도는 몇 cm/h인가?

  1. 2
  2. 4
  3. 8
  4. 12
(정답률: 50%)
  • 침강속도는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영향을 받는데, 파쇄 후 세포파쇄물의 직경이 1/2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입자의 크기가 작아졌고, 점도가 2배로 증가했기 때문에 입자의 밀도가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침강속도는 (입자의 크기)^2 × (입자의 밀도)에 비례하므로, 파쇄 후 세포파쇄물의 침강속도는 (1/2)^2 × 2 = 1/2 cm/h가 된다. 이는 보기 중에서 "4"에 해당하므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전기투석(electrodialysis)을 이용한 단백질 용액의 탈염 공정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단백질은 희석 되지 않는다.
  2. 탈염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3. 막에 의한 단백질의 손실이 적다.
  4. 막의 사용은 단백질의 분자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답률: 49%)
  • 막의 사용은 단백질의 분자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는 막의 구조와 특성이 단백질의 분자량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막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단백질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인 탈염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정압(진공)여과운전에서 여과속도는 여과기의 표면적과 여액의 점도와 각각 어던 관계인가?

  1. 여과기의 포면적에 비례, 여액의 점도에 비례
  2. 여과기의 표면적에 비례, 여액의 점도에 반비례
  3. 여과기의 표면적에 반비례, 여액의 점도에 비례
  4. 여과가의 표면적에 반비례, 여액의 점도에 반비례
(정답률: 75%)
  • 여과속도는 여과기의 표면적과 여액의 점도에 반비례한다. 이는 여과기의 표면적이 클수록 여과기 내부에서 여액이 흐르는 거리가 길어져서 여과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또한 여액의 점도가 높을수록 여과기 내부에서 여액이 흐르는 저항이 커져서 여과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과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과기의 표면적을 작게하고 여액의 점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당단백질의 당쇄가 연결될수 없는 아미노산은?

  1. 세린(serine)
  2. 쓰레오닌(threonine)
  3. 라이신(lysine)
  4. 아스파라진(asparagine)
(정답률: 71%)
  • 라이신은 아미노기에 암모늄기가 있어서 당쇄가 연결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아미노산을 기본적으로 양성 아미노산이라고 부르며, 당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생물공학개론

81. 박테리아에서 유전자가 한 세포에서 다른 세포로 전달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형질전환(transformation)
  2. 번역(translation)
  3. 형질도입(transduction)
  4. 접합(conjugation)
(정답률: 82%)
  • 번역(translation)은 DNA에서 RNA로의 전사(transcription) 후, RNA에서 단백질로의 번역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세포간 유전자 전달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박테리아에서 유전자가 한 세포에서 다른 세포로 전달되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아미노산과 같은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할 때의 적정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H가 점점 증가한다.
  2. pK값 근처의 pH에서는 pH변화가 작다.
  3. 짝염기의 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4. pH가 pK보다 작을 때는 산의 농도가 짝염기의 농도보다 높다.
(정답률: 85%)
  • "짝염기의 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보면, 적정 시 약산과 짝염기의 반응으로 생성되는 염기의 양은 약산의 양과 같으므로, 짝염기의 농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적정 시 짝염기의 농도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10-6 N NaOH 수용액의 pH는?

  1. 2
  2. 8
  3. 12
  4. 13
(정답률: 80%)
  • NaOH는 강염기이므로 수용액에서 OH- 이온의 농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pH는 14에서 pOH를 빼면 구할 수 있습니다. pOH는 -log[OH-]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때 [OH-]는 10^-6 N입니다. 따라서 pOH는 6이 되고, pH는 14에서 6을 빼면 8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한 효소반응을 저해하는 물질이 있는데 기질 농도가 낮을 때에는 저해효과가 현저하나 기질 농도가 높으면 그 저해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물질은 어떠한 형태의 저해 작용을 하는 것인가?

  1. 혼합형 저해
  2. 비경쟁적 저해
  3. 경쟁적 저해
  4. 기질 저해
(정답률: 57%)
  • 기질 농도가 낮을 때에는 저해효과가 현저하므로 이 물질은 효소와 유사한 구조나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이 물질은 효소와 같은 기질에 결합하여 효소의 활성부위를 차지하고, 효소와 기질 사이에서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효소반응을 저해하는 "경쟁적 저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미생물 회분식 배양에서 지수 생장기에 있다. 이 단계에서 알짜 비성장속도는 3 h-1이다. 이 경우 세포의배가시간(doubling time)은 얼마인가?

  1. 0.462 h
  2. 0.231 h
  3. 0.693 h
  4. 0.875 h
(정답률: 77%)
  • 알짜 비성장속도는 세포의 배수에 해당하는 값이다. 따라서 알짜 비성장속도가 3 h-1이면, 세포의 배가 1/3 시간(=0.3333... 시간)마다 두 배가 된다. 이를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33 시간이 되고, 이는 0.231 시간으로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0.231 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금속 원소의 분석에 있어서 측정 대상 원소가 많고 한번의 측정으로 다원소의 정량이 가능한 분석법은?

  1. ICP발광분석법
  2. 원자흡광분석법
  3. 불꽃분석법
  4. 흡광광도법
(정답률: 62%)
  • ICP발광분석법은 샘플을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어 원소들이 발광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다원소의 정량이 가능한 분석법입니다. 이에 비해 원자흡광분석법과 불꽃분석법은 한번에 측정 가능한 원소의 수가 제한적이며, 흡광광도법은 측정 대상이 되는 원소의 특성에 따라 측정 방법이 달라져 다원소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효소들 중 락토오스 오페론에서 생성된 것이 아닌 것은?

  1. 글루코키나아제(glucokinase)
  2. 트란스아세틸라제(transacetylase)
  3. 베타갈락토시다제(β-galactosidase)
  4. 페르메아제(permease)
(정답률: 37%)
  • 글루코키나아제는 락토오스 오페론과는 관련이 없는 효소이다. 락토오스 오페론은 락토오스 대사를 조절하는데 관여하는데, 이 오페론에서 생성되는 효소는 트란스아세틸라제, 베타갈락토시다제, 페르메아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진핵세포의 세포 소기관과 그 기능이 잘못 연결 된 것은?

  1. 조면소포체 – 당합성
  2. 핵 – DNA 합성
  3. 리보솜 – 단백질 합성
  4. 액포 – 세포 폐기물 저장
(정답률: 87%)
  • 조면소포체는 주로 당분을 합성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당합성은 이러한 기능과 관련된 것입니다. 따라서, 진핵세포의 세포 소기관과 그 기능이 잘못 연결된 것은 조면소포체와 DNA 합성, 단백질 합성, 세포 폐기물 저장 등과 같은 다른 소기관과의 연결이 아니라, 조면소포체와 당합성이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전기영동에 관련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생물 분자의 크기와 전하에 의해 분리하는 방법이다.
  2. pH>pI 일 때 단백질은 양전하를 띠게 된다.
  3. pH=pI에서 전기영동속도는 0이다.
  4. 전하를 띠는 입자에 대한 항력은 정전기적 힘과 균형을 이룬다.
(정답률: 73%)
  • "pH>pI 일 때 단백질은 양전하를 띠게 된다."는 옳은 내용이다. pH>pI일 때 단백질의 아미노산 측기는 양이온화되어 양전하를 띠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외부에서 조작된 DNA 절편 또는 vector를 세포내로 전달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세포감염능력이 있는 recombinant virus particle을 이용한 host cell infection
  2. liposome을 이용한 transfection
  3. competent bacterial cell을 이용한 transformation
  4. DNA ligase를 이용한 재조합 vector 결합
(정답률: 70%)
  • DNA ligase를 이용한 재조합 vector 결합은 DNA 절편이나 vector를 세포내로 전달하는 방법이 아니라, 이미 세포 내에 있는 DNA 절편이나 vector를 재조합하여 새로운 vector를 만드는 방법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조작된 DNA 절편이나 vector를 전달하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무균공정의 유효성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공기는 HEPA filter를 통과
  2. 중요 무균공정 단계의 시간 제한 설정
  3. 중요한 무균공정의 viable particle 수는 10 CFU/ft3 이하
  4. 무균공정을 위한 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인원수의 설정
(정답률: 61%)
  • "중요한 무균공정의 viable particle 수는 10 CFU/ft3 이하" 인 이유는 미생물이나 바이러스 등의 유기체가 공기 중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유기체가 무균공정에 영향을 미치면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균공정에서는 공기를 HEPA 필터를 통과시켜 깨끗한 공기를 사용하고, 중요한 무균공정 단계의 시간 제한을 설정하며, 무균공정을 위한 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인원수를 설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유기체의 수를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고박테리아(archeabacteria)의 특징을 진정박테리아(eubacteria)와 비교할 때 옳지 않은 것은?

  1. 고박테리아는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을 가지지 않는다.
  2. 리보좀 RNA의 염기서열은 고박테리아 내에서는 비슷하지만 진정박테리아와는 상당히 다르다.
  3. 세포질막의 지질 조성이 매우 다르다
  4. 고박테리아는 캡슐이라 불리는 표피 또는 외부 세포벽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60%)
  • 고박테리아는 캡슐이라 불리는 표피 또는 외부 세포벽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는 진정박테리아와의 차이점 중 하나이다. 고박테리아는 대부분 균모양을 띠며, 균사체나 세균과는 다른 세포 구조와 대사 경로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pH 6인 완충용액의 OH- 이온의 농도는?

  1. 6 M
  2. 8 M
  3. 10-6 M
  4. 10-8 M
(정답률: 61%)
  • pH 6인 용액은 약산성 용액이므로 OH- 이온의 농도는 매우 작을 것입니다. pH와 pOH는 항상 14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pOH는 14-6=8이 됩니다. 따라서, pOH가 8일 때의 OH- 이온 농도는 10-8 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8 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연속배양(continuous culture)에서 원료 배지는 무균상태이고, 사멸속도가 생장속도에 비해 무시할 만큼 작다고 하면 시스템이 정상 상태일 때, 희석속도 D와 생장속도 μ의 관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μ = D
  2. μ > D
  3. μ < D
  4. μ = D/2
(정답률: 75%)
  • 정답: "μ = D"

    이유: 연속배양에서는 일정량의 배지가 일정한 속도로 유입되고, 동시에 같은 양의 배지가 제거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장속도와 희석속도가 같아지면, 세포의 수가 일정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μ = D 일 때 시스템이 정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μ > D 이면, 세포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배지가 고갈될 때까지 시스템이 유지될 수 없다. 반대로, μ < D 이면, 세포의 수가 감소하게 되고,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진다. 마지막으로, μ = D/2 이면, 시스템은 일정한 수준으로 안정화되지 않고,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어떤 화합물의 등전점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알짜전하(net charge)가 없는 pH
  2. 전기장 내에서 분자의 이동이 없는 pH
  3. 전기적으로 중성인 pH
  4. 염기의 농도와 짝염기의 농도가 같을 때의 pH
(정답률: 75%)
  • "알짜전하(net charge)가 없는 pH"는 분자의 전하가 중성인 경우를 의미하며, "전기장 내에서 분자의 이동이 없는 pH"는 전기장이 없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전기적으로 중성인 pH"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가 같아서 전하가 상쇄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틀린 것은 "염기의 농도와 짝염기의 농도가 같을 때의 pH"가 아닙니다. 이 경우에는 염기와 짝염기가 서로 상쇄되어 pH가 중성인 값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의약품 생산에 있어 FDA 승인을 받기 위한 검증 종합 계획서에 포함되는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방법론(methodology)
  2. 원가 및 비용(cost)
  3. 공정도(process flow diagram)
  4. 검정(qualification)
(정답률: 86%)
  • FDA 승인을 받기 위한 검증 종합 계획서는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계획서이다. 따라서 방법론, 공정도, 검정 등은 모두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하기 위한 중요한 내용이다. 그러나 원가 및 비용은 제품의 안전성과 효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내용이다. 따라서 원가 및 비용은 FDA 승인을 받기 위한 검증 종합 계획서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분열시 모든 세포가 20개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 플라스미드 불포함세포가 발생할 확률은 약 얼마인가? (단, 세포분열시 플라스미드는 무작위로 분배된다.)

  1. 9.5 × 10-7
  2. 1.9 × 10-6
  3. 5.28 × 105
  4. 1.1 × 106
(정답률: 62%)
  • 하나의 세포가 20개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으므로, 두 개의 세포가 만들어질 때 각각이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가지고 있지 않을 확률은 각각 0.5이다. 따라서, 두 개의 세포가 만들어질 때 둘 다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지 않을 확률은 0.5 × 0.5 = 0.25이다.

    세포가 분열하여 2개의 세포가 만들어질 때마다 위의 확률이 적용되므로, 10번의 분열 후에 두 개의 세포가 만들어질 때 둘 다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지 않을 확률은 0.25의 10승인 9.77 × 10-4이다.

    따라서, 두 개의 세포가 만들어질 때 둘 중 하나라도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을 확률은 1 - 9.77 × 10-4 = 0.9990223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묻는 것은 플라스미드 불포함세포가 발생할 확률이므로, 위의 확률을 2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플라스미드 불포함세포가 발생할 확률은 0.0004886 또는 1.9 × 10-6이다.

    따라서, 정답은 "1.9 × 1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염색질(chromatin)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NA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2. 히스톤은 DNA를 뭉치게 하는 단백질이다.
  3. DNA는 양전하를 띠고 히스톤은 음전하를 띤다.
  4. 뉴클레오솜을 구성하는 히스톤 단백질은 4 종류이다.
(정답률: 82%)
  • "DNA는 양전하를 띠고 히스톤은 음전하를 띤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DNA 분자의 인산기(-PO4)가 양전하를 띠고, 히스톤 단백질의 아미노기(-NH3+)가 음전하를 띠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하 상호작용으로 인해 DNA와 히스톤이 결합하여 염색질을 구성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진핵세포의 핵에 관련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백질과 결합된 DNA를 포함한다.
  2. 다공성 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3. RNA는 핵 안에서 생성된다.
  4. 핵막은 한 겹(monolayer)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률: 79%)
  • 핵막은 두 겹의 인접한 인산지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분광광도계에서 람버트-비어(Lambet-Beer)의 법칙이 성립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입사광은 단색광이어야 한다.
  2. 용액 및 용매 부자에 의한 산란이 없어야 한다.
  3. 용액 계면에서의 반사, 기기 내부의 미광이 없어야 한다.
  4. 용액 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용질 화학종의 용존 상태가 변화해야 한다.
(정답률: 71%)
  • 용액 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용질 화학종의 용존 상태가 변화해야 한다는 것은 분광광도계에서 빛이 흡수되는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면 빛의 흡수도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물질의 농도에 따른 흡수도 측정이 불가능하며, 람버트-비어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