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1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유공자)
(2020-06-13 기출문제)

목록

1. 자동차용 납산 축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해액 부족으로 인한 극판의 노출
  2. 과다 방전으로 인한 극판의 영구 황산납화
  3. 전해액의 비중이 낮은 경우
  4. 방전 종지전압 이상의 충전
(정답률: 74%)
  • 방전 종지전압 이상의 충전은 충전 시 충전 전압을 넘어서 충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충전 시 충전 전압을 넘어서 극판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게 되어 극판의 손상을 초래하고, 이로 인해 축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가장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보기>에서 설명하는 엔진과 행정 조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가솔린 엔진-흡기 행정
  2. 가솔린 엔진-연소ㆍ 팽창 행정
  3. 디젤 엔진-흡기 행정
  4. 디젤 엔진-연소ㆍ 팽창 행정
(정답률: 85%)
  • 가솔린 엔진은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시키는데, 이때 흡기 행정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흡기 행정은 공기를 효율적으로 엔진 내부로 공급하여 연소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솔린 엔진과 흡기 행정이 가장 적합한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기>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뉴트럴 스티어링(neutral steering)
  2. 오버 스티어링(over steering)
  3. 아웃사이드 스티어링(out-side steering)
  4. 언더 스티어링(under steering)
(정답률: 80%)
  • 보기의 그림에서는 핸들을 우측으로 돌리면 바퀴가 좌측으로 돌아가는데, 이는 언더 스티어링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언더 스티어링은 핸들을 돌렸을 때 차량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고, 바퀴가 트는 것보다는 덜 트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차량의 전체 무게 중심이 앞쪽에 치우쳐져 있어서 발생하는데, 이 경우에는 핸들을 더 돌려야 차량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캠각(cam angle)이 크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접점간극이 작아진다.
  2. 점화시기가 빨라진다.
  3. 1차 전류가 커진다.
  4. 점화코일이 발열한다.
(정답률: 59%)
  • 캠각이 크면 접점간극이 작아지게 되어 점화시기가 빨라지게 됩니다. 이는 점화코일에서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가 빠르게 분배되어 점화스파크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점화시기가 빨라진다."입니다. 1차 전류가 커지는 것은 캠각과는 관련이 없으며, 점화코일이 발열하는 것은 전류가 과도하게 흐르거나 접촉이 불량할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타이어 규격이 <보기>와 같을 때 타이어 높이에 가장 가까운 값은?

  1. 12cm
  2. 13cm
  3. 14cm
  4. 15cm
(정답률: 79%)
  • 타이어 규격에서 "235/60R18" 중 "60"은 타이어 높이를 나타내는 백분율입니다. 따라서 타이어 높이는 타이어 폭인 "235mm"에 "60%"를 곱한 값이 됩니다.

    235mm x 60% = 141mm

    하지만 이 값은 타이어의 지름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반지름을 구하기 위해서는 2로 나눠주어야 합니다.

    141mm ÷ 2 = 70.5mm

    따라서 타이어 높이에 가장 가까운 값은 "71cm"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3cm"이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단위를 cm로 바꾸어 계산한 값입니다.

    70.5mm ÷ 10 = 7.05cm

    따라서 타이어 높이에 가장 가까운 값은 "13cm"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엔진의 피스톤 구비 조건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관성력에 의한 동력손실을 줄이기 위해 무게가 가벼울 것
  2. 열전도율이 높고 열팽창률이 클 것
  3. 피스톤 상호 간의 무게차이가 적을 것
  4. 충분한 기계적 강도가 있을 것
(정답률: 90%)
  • "열전도율이 높고 열팽창률이 클 것"은 옳은 조건이 아닙니다. 열전도율이 높으면 열이 피스톤에서 빠르게 전달되어 열팽창률이 클 경우 피스톤이 빠르게 팽창하여 동력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전도율은 적당하게, 열팽창률은 작은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흡기다기관 내의 절대압력, 스로틀 밸브의 열림 정도, 엔진의 회전 속도로부터 흡입공기량을 간접 계측하는 공기유량센서로 가장 옳은 것은?

  1. MAP센서방식
  2. 베인방식
  3. 칼만와류방식
  4. 열선 및 열막방식
(정답률: 70%)
  • MAP 센서는 흡기다기관 내의 절대압력을 측정하여 흡입공기량을 간접적으로 계측하는 방식입니다. 스로틀 밸브의 열림 정도와 엔진의 회전 속도에 따라 변하는 흡기다기관 내의 압력을 측정하여 공기량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MAP 센서 방식이 가장 옳은 선택입니다. 베인방식은 흡기다기관 내의 공기 유속을 측정하는 방식이며, 칼만와류방식과 열선 및 열막방식은 다른 방식의 공기 유량 측정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동변속기의 부품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싱크로나이저 링
  2. 토크컨버터
  3. 스테이터
  4. 댐퍼클러치
(정답률: 48%)
  • 싱크로나이저 링은 자동변속기에서 기어를 변경할 때 기어와 기어 사이의 속도차를 맞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동변속기의 부품 중에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싱크로나이저 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자동차 현가장치에서 스프링 위 질량과 관련된 진동현상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피칭(pitching)
  2. 롤링(rolling)
  3. 와인드 업(wind-up)
  4. 요잉(yawing)
(정답률: 53%)
  • 와인드 업(wind-up)은 스프링 위 질량이 회전하면서 스프링이 꼬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스프링 위 질량과 관련된 진동현상으로는 옳지 않습니다. 피칭(pitching)은 차량의 전후방으로 기울어지는 현상, 롤링(rolling)은 차량의 좌우로 기울어지는 현상, 요잉(yawing)은 차량의 좌우로 회전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자동차 타이어에서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며 노면의 충격을 받아들이는 부분의 명칭은?

  1. 트레드
  2. 숄더
  3. 카카스 코드
  4. 사이드 월
(정답률: 50%)
  • 자동차 타이어에서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며 노면의 충격을 받아들이는 부분은 "사이드 월"입니다. 이는 타이어의 측면 부분을 가리키며, 타이어의 구조상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사이드 월은 타이어의 내부에 있는 케이스와 함께 타이어의 형태를 유지하고, 타이어가 노면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주행 안전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안전표지와 그에 대한 설명이 가장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승합자동차 통행금지 표지
  2. 미끄러운 도로 표지
  3. 양측방향 통행 표지
  4. 자전거 주차장 표지
(정답률: 91%)
  • 정답은 " 미끄러운 도로 표지"입니다. 이 표지는 도로가 미끄러울 수 있음을 알리고 운전자들이 조심하도록 경고하는 안전표지입니다. 다른 표지들은 승합자동차 통행금지, 양측방향 통행, 자전거 주차장을 나타내는 표지이며, 이와 관련된 설명과 연결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상 편도 1차로 고속도로에서의 최고속도는?

  1. 매시 60킬로미터
  2. 매시 80킬로미터
  3. 매시 100킬로미터
  4. 매시 120킬로미터
(정답률: 67%)
  •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서는 편도 1차로 고속도로에서의 최고속도를 매시 80킬로미터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안전한 운전을 위해 정해진 속도로 운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고속도로에서는 높은 속도로 운전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매시 80킬로미터는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에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적절한 속도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로교통법」상 긴급자동차의 우선 통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긴급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도로의 중앙이나 좌측부분을 통행할 수 있다.
  2. 긴급자동차는 이 법에 따른 명령에 따라 정지해야 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부득이한 경우 정지하지 않을 수 있다.
  3. 교차로나 그 부근에서 긴급자동차가 접근하는 경우에는 차마와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교차로와 상관없이 일시정지 해야 한다.
  4. 모든 차와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교차로나 그 부근 외의 곳에서 긴급자동차가 접근하는 경우 우선 통행할 수 있도록 양보해야 한다.
(정답률: 84%)
  • "교차로나 그 부근에서 긴급자동차가 접근하는 경우에는 차마와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교차로와 상관없이 일시정지 해야 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긴급자동차가 교차로나 그 부근에서 접근할 때에만 차마와 노면전차의 운전자가 일시정지해야 하며, 그 외의 경우에는 모든 차와 노면전차의 운전자가 긴급자동차에게 우선 통행할 수 있도록 양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도로교통법」상 도로에서의 금지행위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정차되어 있는 차마에서 뛰어내리는 행위
  2. 교통이 빈번한 도로에서 공놀이 또는 썰매타기 놀이를 하는 행위
  3. 술에 취하여 도로에서 갈팡질팡하는 행위
  4. 돌ㆍ유리병이나 그 밖에 도로에 있는 사람이나 차마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물건을 던지는 행위
(정답률: 77%)
  • 정차되어 있는 차마에서 뛰어내리는 행위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위험한 행동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행위는 차량 내부나 주변 환경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며,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에게도 위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는 도로교통법상 금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도로교통법」상 차마의 운전자가 도로의 중앙이나 좌측부분으로 통행할 수 있는 경우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도로가 일방통행인 경우
  2. 도로 우측 부분의 폭이 차마의 통행에 충분하지 아니한 경우
  3. 안전표지 등으로 앞지르기를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는 경우
  4. 도로의 파손, 도로공사나 그 밖의 장애 등으로 도로의 우측 부분을 통행할 수 없는 경우
(정답률: 78%)
  • 안전표지 등으로 앞지르기를 금지하거나 제한하고 있는 경우는 차량이나 보행자 등 다른 도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앞지르기를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차마의 운전자도 중앙이나 좌측부분으로 통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도로교통법」상 운전면허의 종별 구분에서 제2종 운전면허의 종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형면허
  2. 보통면허
  3. 소형견인차면허
  4. 원동기장치자전거면허
(정답률: 69%)
  • 제2종 운전면허는 보통면허, 소형면허, 소형견인차면허, 원동기장치자전거면허로 구분됩니다. 그 중에서도 소형견인차면허는 제2종 운전면허가 아닌 제1종 운전면허에 해당합니다. 이는 소형견인차면허가 일반적인 승용차나 대형차 운전에 필요한 기술보다는 특정한 용도의 차량을 운전하기 위한 면허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형견인차면허는 제2종 운전면허의 종류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도로교통법」상 보행자의 보호와 관련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차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통행하고 있을 때에는 보행자의 횡단을 방해하거나 위험을 주지 아니하도록 그 횡단보도 앞에서 일시정지 하여야 한다.
  2. 모든 차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교통정리를 하고 있는 교차로에서 좌회전이나 우회전을 하려는 경우에는 신호기 또는 경찰공무원등의 신호나 지시에 따라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3. 모든 차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도로를 횡단하고 있을 때에는 안전거리를 두고 서서히 운행하여야 한다.
  4. 모든 차의 운전자는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 또는 그 부근의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69%)
  • 정답은 "모든 차의 운전자는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 또는 그 부근의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입니다. 이는 교차로와 관련된 내용이며, 보행자의 보호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모든 차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통행하고 있을 때에는 보행자의 횡단을 방해하거나 위험을 주지 아니하도록 그 횡단보도 앞에서 일시정지 하여야 한다."는 횡단보도와 관련된 내용으로, 보행자의 보호를 위해 운전자가 지켜야 할 규정입니다.

    "모든 차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교통정리를 하고 있는 교차로에서 좌회전이나 우회전을 하려는 경우에는 신호기 또는 경찰공무원등의 신호나 지시에 따라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는 교차로에서 운전자가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모든 차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보행자가 횡단보도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도로를 횡단하고 있을 때에는 안전거리를 두고 서서히 운행하여야 한다."는 횡단보도가 없는 도로에서 보행자의 보호를 위해 운전자가 지켜야 할 규정입니다.

    따라서, 보행자의 보호와 관련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모든 차의 운전자는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 또는 그 부근의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여서는 아니 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도로교통법」상 운전면허증 갱신발급 및 정기 적성검사의 연기사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도서지역에 거주 중인 경우
  2. 「병역법」에 따라 의무소방원으로 전환복무 중인 경우
  3. 부상으로 거동이 불가능한 경우
  4. 재해를 당한 경우
(정답률: 80%)
  • 도서지역에 거주 중인 경우는 운전면허증 갱신발급 및 정기 적성검사의 연기사유가 될 수 없습니다. 이유는 도서지역에 거주 중인 사람도 교통법규를 준수하고 안전운전을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도로교통법」에 의할 때, 교통정리가 없는 교차로에서의 양보운전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 들어가려고 하는 차의 운전자는 이미 교차로에 들어가 있는 다른 차가 있을 때에는 그 차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2.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 들어가려고 하는 차의 운전자는 그 차가 통행하고 있는 도로의 폭보다 교차하는 도로의 폭이 넓은 경우에는 서행하여야 하며, 폭이 넓은 도로로부터 교차로에 들어가려고 하는 다른 차가 있을 때에는 그 차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3.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 동시에 들어가려고 하는 차의 운전자는 좌측도로의 차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4.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서 좌회전하려고 하는 차의 운전자는 그 교차로에서 직진하거나 우회전하려는 다른 차가 있을 때에는 그 차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는 교차로에 동시에 들어가려고 하는 차의 운전자는 좌측도로의 차에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교통정리가 없는 교차로에서는 우선순위가 없기 때문에, 동시에 들어가려는 차들은 서로 진로를 양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좌측도로의 차에 진로를 양보하는 것이 옳은 운전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도로교통법」제4조제1항에 따른 안전표지의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주의표지:도로상태가 위험하거나 도로 또는 그 부근에 위험물이 있는 경우에 필요한 안전조치를 할 수 있도록 이를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2. 규제표지: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각종 제한ㆍ금지 등의 규제를 하는 경우에 이를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3. 지시표지: 도로의 통행방법ㆍ 통행구분 등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시를 하는 경우에 도로사용자가 이에 따르도록 알리는 표지
  4. 보조표지: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각종 주의ㆍ규제ㆍ지시 등의 내용을 노면에 기호ㆍ문자 또는 선으로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
(정답률: 70%)
  • 보조표지는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해 각종 주의, 규제, 지시 등의 내용을 노면에 기호, 문자 또는 선으로 도로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이다. 따라서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