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1-09-12)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2021-09-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태양광발전 기획

1.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령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의 거래 제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급인증서가 발전소별로 5000kW 이내의 수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고 발급된 경우
  2. 공급인증서가 기존 방조제를 활용하여 건설된 조력(潮力)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고 발급된 경우
  3. 공급인증서가 석탄을 액화·가스화한 에너지 또 중질잔사유를 가스화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고 발급된 경우
  4. 공급인증서가 폐기물에너지 중 화석연료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폐가스로부터 얻어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고 발급된 경우
(정답률: 74%)
  • 공급인증서가 발전소별로 5000kW 이내의 수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하고 발급된 경우는 거래 제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령에서 수력 발전소의 규모에 따라 공급인증서 거래 제한을 둔 것이기 때문이다. 5000kW 이내의 수력 발전소는 거래 제한의 대상이 아니므로 공급인증서 거래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기사업법령에 따라 사업계획서 작성 시 전기설비 개요에 포함되어야 할 태양광설비에 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태양전지의 종류
  2. 접속함의 설치장소
  3. 집광판(集光板)의 면적
  4. 인버터(Inverter)의 종류
(정답률: 70%)
  • 접속함의 설치장소는 태양광설비에 대한 사항 중 하나이며, 전기사업법령에 따라 사업계획서 작성 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는 태양광패널과 인버터를 연결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기생산을 위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접속함의 설치장소"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령에 따라 태양에너지(태양의 빛에너지를 변환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에 한정한다)의 2015년 이후 의무공급량은 몇 GWh인가?

  1. 723
  2. 1353
  3. 1971
  4. 2325
(정답률: 67%)
  • 태양에너지의 2015년 이후 의무공급량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령에 따라 매년 증가하며, 2022년까지 1,971GWh를 공급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97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기사업법령에 따라 전기사업을 하려는 자가 허가 받은 사항을 변경하려고 할 때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중요 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사업구역 변경
  2. 공급전압 변경
  3. 발전설비 설치장소 내에서의 인버터의 설치위치 변경
  4. 허가를 받은 발전설비용량의 100분의 10을 초과한 설비용량 변경
(정답률: 82%)
  • 전기사업법령에서는 발전설비 설치장소 내에서의 인버터의 설치위치 변경은 중요 사항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발전설비의 용량, 사업구역, 공급전압 등과 같이 전기사업의 안전성과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항들과는 달리, 인버터의 설치위치 변경은 전기사업의 안전성과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설비용량 999.999kW인 태양광발전설비를 염전에 설치하였을 때 적용받을 수 있는 가중치는?

  1. 1
  2. 1.019
  3. 1.049
  4. 1.229
(정답률: 61%)
  • 태양광발전설비의 설치 장소가 염전일 경우, 해당 지역의 특수한 기후 조건으로 인해 발전 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염전 지역에서는 발전 효율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적용합니다.

    해당 문제에서는 설비용량이 999.999kW이므로, 가중치는 1.019입니다. 이는 염전에서의 발전 효율 저하를 고려한 값으로, 일반 지역에서의 가중치 1보다 약간 높은 값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태양을 올려다보는 각도가 30°인 경우, air mass(AM) 값은?

  1. 1.0
  2. 1.15
  3. √2
  4. 2.0
(정답률: 60%)
  • 태양을 올려다보는 각도가 30°인 경우, air mass(AM) 값은 2.0이다. 이는 AM 값이 대기를 통과하는 경로의 길이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태양이 수직으로 떠 있는 경우(즉, 각도가 0°인 경우) 대기를 통과하는 경로의 길이는 최소이며, 이때의 AM 값은 1.0이다. 하지만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워질수록 대기를 통과하는 경로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AM 값은 1보다 큰 값이 된다. 태양을 올려다보는 각도가 30°인 경우, 대기를 통과하는 경로의 길이는 2배가 되므로 AM 값은 2.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기공사업법령에 따라 전기공사업자가 전기공사를 하도급 주기위하여 미리 해당 전기공사의 발주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하여 작성하는 하도급 통지서에 첨부하는 서류로 틀린 것은?

  1. 공사 예정 공정표
  2. 하도급(재하도급)계약서 사본
  3. 하수급인 또는 다시 하도급받은 공사업자의 등록수첩 사본
  4. 하수급인 또는 다시 하도급받은 공사업자의 전기공사자재 보유현황
(정답률: 72%)
  • 하도급 통지서에 첨부하는 서류 중에서 "하수급인 또는 다시 하도급받은 공사업자의 전기공사자재 보유현황"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서류는 하도급 받을 업체가 전기공사자재를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하도급 공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에 따라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미한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토지의 일부를 공공용지 또는 공용지로 하기 위한 토지의 분할
  2. 농림지역 안에서 농림어업용 비닐하우스 안에 육상어류양식장의 설치
  3.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 채취면적이 25제곱미터 이하인 토지에서의 부피 50세제곱미터 이하의 토석채취
  4.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 물건을 쌓아놓는 면적이 25제곱미터 이하인 토지에 전체무게 50톤 이하, 전체부피 50세제곱미터 이하로 물건을 쌓아놓는 행위
(정답률: 60%)
  • 농림지역 안에서 농림어업용 비닐하우스 안에 육상어류양식장의 설치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에서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는 경미한 행위에 해당합니다. 이는 농림지역에서 농업 및 어업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행위로서, 국가적으로도 육성하고자 하는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행위는 법적으로 허가를 받지 않아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부지선정 검토 시 법적 인허가 및 신고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공작물 축조신고
  2. 사도개설의 허가
  3. 무연분묘 개장허가
  4. 공급인증서 발급허가
(정답률: 71%)
  • 공급인증서 발급허가는 부지선정과는 관련이 없는 사항으로, 다른 보기들은 부지선정 검토 시 필요한 법적 인허가 및 신고사항이지만 공급인증서 발급허가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은 직류입력으로부터 교류출력을 얻어내는 인버터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아래와 같은 출력파형을 얻기 위해 ㉢ 신호에 들어갈 스위치의 상태를 S1-S2-S3-S4의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

  1. OFF-ON-ON-OFF
  2. ON-ON-OFF-OFF
  3. OFF-OFF-ON-ON
  4. ON-OFF-OFF-ON
(정답률: 75%)
  • 인버터는 직류입력을 교류출력으로 바꾸기 위해 스위치를 이용하여 입력전압의 극성을 바꾸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위 그림에서 ㉢ 신호는 스위치의 상태를 제어하는 신호이다. 출력파형을 보면, 양 극성의 주기가 번갈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의 상태도 양 극성을 번갈아가며 바꿔주어야 한다. "OFF-ON-ON-OFF"는 이를 만족하는 스위치의 상태 순서이다. 첫 번째 스위치는 OFF로 두어 양극성의 주기를 시작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 스위치는 ON으로 두어 양 극성을 유지하며, 마지막 스위치는 다시 OFF로 두어 극성을 바꾸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조건에서 월간 발전량은 약 몇 kWh/월 인가? (단, 종합설계계수는 0.66을 적용하며 기타 조건을 무시한다.)

  1. 695.26
  2. 826.42
  3. 995.72
  4. 713.56
(정답률: 56%)
  • 월간 발전량은 일일 발전량을 곱한 후 30일로 나누면 된다. 따라서 일일 발전량은 (총 발전량 ÷ 365일) × 종합설계계수 이다.

    일일 발전량 = (1,500 kW × 4시간 × 0.66) ÷ 365일 ≈ 13.15 kWh/일

    월간 발전량 = 13.15 kWh/일 × 30일 ≈ 394.5 kWh/월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기타 조건을 무시하라고 했으므로, 발전량이 394.5 kWh/월보다 더 많을 것이다. 따라서 826.42 kWh/월이 가장 적절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기사업법령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하의 발전설비를 갖추고 특정한 공급수역의 수요에 맞추어 전기를 생산하여 전력시장을 통하지 아니하고 그 공급구역의 전기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을 말하는 것은?

  1. 송전사업
  2. 배전사업
  3. 중개거래사업
  4. 구역전기사업
(정답률: 79%)
  • 구역전기사업은 특정한 공급수역의 수요에 맞추어 전기를 생산하여 전력시장을 통하지 아니하고 그 공급구역의 전기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송전사업, 배전사업, 중개거래사업은 구역전기사업과는 목적과 방식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태양전지의 계산식 에서 NOCT는 무엇인가? (단, Tcell은 태양전지 온도(℃), Tamb 은 주위 온도(℃), S는 방사조도(kW/m2)이다.)

  1. 일조량
  2. 공기온도
  3. 개방전압
  4. 공칭작동 태양전지 온도
(정답률: 72%)
  • NOCT는 "Nominal Operating Cell Temperature"의 약자로, 공칭작동 태양전지 온도를 의미한다. 이는 태양전지가 실제로 작동할 때의 평균 온도를 나타내는데, 이 온도는 일조량, 공기온도, 개방전압 등의 요소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NOCT는 태양전지의 성능을 평가하고 비교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기공사업법령에 따른 공사업자의 등록취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는?

  1. 거짓으로 공사업을 등록한 경우
  2. 타인에게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빌려 준 경우
  3. 전기공사기술자가 아닌 자에게 전기공사의 시공관리를 맡긴 경우
  4. 공사업의 등록을 한 후 1년 이내에 영업을 시작하지 아니한 경우
(정답률: 60%)
  • 전기공사업법령에서는 전기공사업자가 등록취소 대상이 되는 경우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전기공사기술자가 아닌 자에게 전기공사의 시공관리를 맡긴 경우"는 등록취소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전기공사기술자가 아닌 자도 전기공사의 시공관리를 맡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전기공사기술자가 시공관리를 감독하고 있어야 하며, 시공결과에 대한 책임은 전기공사기술자가 부담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태양광발전을 위한 부지선정 시 일반적인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

  1. 계통연계 가능성
  2. 일조량과 일조시간
  3. 자연재해의 발생 가능 여부
  4. 인근 태양광 발전소와의 거리
(정답률: 66%)
  • 인근 태양광 발전소와의 거리는 일반적인 고려사항이 아니라는 이유는 이미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와의 거리가 발전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태양광 발전소는 일조량과 일조시간, 계통연계 가능성, 자연재해의 발생 가능 여부 등의 요소가 중요하지만, 이미 설치된 발전소와의 거리는 발전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는 일반적인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태양광발전 어레이에서 생산된 전력 125W가 인버터에 입력되어 인버터 출력이 100W가 되면 인버터의 변환효율은 몇 % 인가?

  1. 45
  2. 64
  3. 80
  4. 92
(정답률: 74%)
  • 인버터의 변환효율은 출력전력/입력전력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전력은 125W이고 출력전력은 100W이므로 변환효율은 100/125 = 0.8 = 80%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독립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설계 시 1일 부하량이 5000Wh이고, 부조일수가 10일, 보수율이 80%, 방전심도가 60%일 때 축전지 용량은 약 몇 Ah 인가? (단, 축전지의 공칭전압은 2 V/cell, 축전지 셀 수는 24개이다.)

  1. 2170
  2. 2320
  3. 2517
  4. 2730
(정답률: 59%)
  • 일일 부하량은 5000Wh이므로, 10일 동안의 총 부하량은 5000Wh x 10일 = 50,000Wh이다. 보수율이 80%이므로, 실제 필요한 축전지 용량은 50,000Wh / 0.8 = 62,500Wh이다. 방전심도가 60%이므로, 총 축전지 용량은 62,500Wh / 0.6 = 104,166.67Wh이다. 축전지의 공칭전압은 2V/cell이므로, 총 축전지 용량은 104,166.67Wh / 2V = 52,083.33Ah이다. 축전지 셀 수는 24개이므로, 각 셀의 용량은 52,083.33Ah / 24 = 2,170.14Ah이다. 따라서, 정답은 "21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할인율을 적용한 수입의 현재가치와 지출의 현재가치를 비교하여 비율로 표시한 것은?

  1. 내부수익률법(IRR)
  2. 순현재가치법(NPV)
  3. 자본회수기간법(PPM)
  4. 비용/편익비율법(BCR)
(정답률: 47%)
  • 비용/편익비율법(BCR)은 할인율을 적용한 수입의 현재가치와 지출의 현재가치를 비교하여 비율로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투자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수입과 지출의 비율이 1보다 크면 투자가 이익이 되는 것이고, 1보다 작으면 손해가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BCR이 높을수록 투자의 효율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령에 따른 재생에너지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수소에너지
  2. 태양에너지
  3. 해양에너지
  4. 지열에너지
(정답률: 79%)
  • 정답은 "수소에너지"입니다. 수소는 에너지 저장 매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그 자체로는 에너지원이 아닙니다. 따라서, 수소에너지는 재생에너지의 종류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저전압 서지 보호장치-제12부 : 저압 배전 계통 보호용–선정 및 지침(KS C IEC 61643-12 : 2007)에 따른 SPD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조합형 SPD
  2. 전류 제어형 SPD
  3. 전압 제한형 SPD
  4. 전압 스위칭형 SPD
(정답률: 54%)
  • 정답은 "전류 제어형 SPD"입니다.

    "전류 제어형 SPD"는 KS C IEC 61643-21에서 다루는 고전압 서지 보호장치의 종류입니다. 따라서 이 문서에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조합형 SPD"는 전압 제한형과 전류 제어형의 기능을 모두 갖춘 SPD입니다.

    "전압 제한형 SPD"는 과전압이 발생할 경우 전압을 제한하여 기기를 보호하는 SPD입니다.

    "전압 스위칭형 SPD"는 과전압이 발생할 경우 전압을 스위칭하여 기기를 보호하는 SPD입니다.

    따라서 "전류 제어형 SPD"가 KS C IEC 61643-12에서 다루는 SPD의 종류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태양광발전 설계

21.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에 따른 비상주감리원의 업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기성 및 준공검사
  2. 설계도서 등의 검토
  3.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4. 설계변경 및 계약금액 조정의 심사
(정답률: 60%)
  •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에 따른 비상주감리원의 업무에는 기성 및 준공검사, 설계도서 등의 검토, 설계변경 및 계약금액 조정의 심사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안전관리계획서 작성은 감리원의 업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안전관리계획서 작성은 공사 시행자가 수행하는 업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에 따라 감리원은 공사가 시작된 경우에 공사업자로부터 착공신고서를 제출받아 적정성 여부를 검토 후 며칠 이내에 발주자에게 보고하여야 하는가?

  1. 5일
  2. 7일
  3. 14일
  4. 30일
(정답률: 72%)
  •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에 따르면, 감리원은 공사가 시작된 경우에 공사업자로부터 착공신고서를 제출받아 적정성 여부를 검토 후 7일 이내에 발주자에게 보고하여야 합니다. 이는 공사의 진행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조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건축물 기초구조 설계기준(KDS 41 20 00 : 2019)에 따른 기초형식의 선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초는 하부구조의 규모, 형상, 구조, 강성 등을 함께 고려하여야 한다.
  2. 기초형식 선정 시 부지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3. 동일 구조물의 기초에서는 가능한 한 이종형식기초의 병용을 피하여야 한다.
  4. 구조성능, 시공성, 경제성 등을 검토하여 합리적으로 기초형식을 선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4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력기술관리법령에 따른 감리원에 대한 시정조치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대통령령
  2. 국무총리령
  3. 시·도지사령
  4. 산업통상자원부령
(정답률: 73%)
  • 전력기술관리법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담당하고 있으므로, 감리원에 대한 시정조치도 산업통상자원부령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산업통상자원부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지상형 태양광발전시스템 구조물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고정식
  2. 단축식
  3. 양축식
  4. 부유식
(정답률: 79%)
  • 부유식은 지상형 태양광발전시스템 구조물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부유식은 물 위에 떠다니는 태양광발전시스템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고정식, 단축식, 양축식과는 구조와 설치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을 나타내는 약호는?

  1. DV
  2. GV
  3. CV
  4. OV
(정답률: 73%)
  •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을 나타내는 약호는 "CV"이다. 이는 Cross-linked Polyethylene Insulated PVC Sheathed Cable의 약어로, 가교 처리된 폴리에틸렌 절연체와 PVC 시스 케이블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에 정전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 저항성분의 누설전류가 몇 mA 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보는가?

  1. 1
  2. 3
  3. 5
  4. 10
(정답률: 57%)
  • 절연저항 측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저항성분의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절연성능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누설전류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에만 절연성능이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에서는 이 수준을 몇 mA 이하로 정하고 있으며,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태양광발전시스템에 설치하는 CCTV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감시구역에 설치하는 카메라와 제어실(또는 방재센터)에 설치하는 모니터 및 전원장치 등을 기본구성으로 한다.
  2. 카메라의 특성에 맞는 휘도를 확보하여야 하며, 화각 내 고휘도 광원, 물채, 햇빛직사 등을 피하야 하며, 파괴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한다.
  3. 전체 경계구역을 효율적인 화각(촬영 범위) 이내가 되도록 이중거리, 초점거리, 촬영방식, 유효 화소수, 해상도, 최저 피사체조도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4. 일반적으로 컬러형과 흑백형, 고정형과 회전형(수평, 수직) 옥내형과 옥외형, 노출형과 매입형 등으로 구분하고,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하는 은폐형이 있다.
(정답률: 61%)
  • 카메라의 특성에 맞는 휘도를 확보하여야 하며, 화각 내 고휘도 광원, 물채, 햇빛직사 등을 피하야 하며, 파괴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한다. - 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CCTV를 설치할 때는 파괴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화각 내 고휘도 광원, 물채, 햇빛직사 등을 피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카메라의 특성에 맞는 휘도를 확보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분산형전원을 계통연계하는 경우 전력계통의 단락용량이 다른 자의 차단기의 차단용량 또는 전선의 순시허용전류 등을 상회할 우려가 있을 때에는 그 분산형전원 설치자가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1. 지락차단기
  2. 영상변류기
  3. 계기용변압기
  4. 전류제한리액터
(정답률: 64%)
  • 분산형전원을 계통연계하는 경우 전력계통의 단락용량이 다른 자의 차단기의 차단용량 또는 전선의 순시허용전류 등을 상회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전류제한리액터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전류제한리액터가 전류를 제한하여 전선이나 차단기 등의 부하가 과부하 상태에 놓이지 않도록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류제한리액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지반조사(KDS 11 10 10 : 2018)에 따른 예비조사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구조물 입지로서의 적합성 평가
  2. 구조물 시공으로 발생될 변화 예측
  3. 시공방법 계획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4. 구조물의 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반의 구성 및 특성 파악
(정답률: 46%)
  • 예비조사는 구조물 시공 전 지반 조사를 통해 구조물 입지로서의 적합성 평가, 구조물 시공으로 발생될 변화 예측, 구조물의 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반의 구성 및 특성 파악 등의 목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시공방법 계획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은 예비조사의 목적 중 하나이며, 틀린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신재생발전기 계통연계기준에 따라 태양광발전기 계통운영자가 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비하여야 하는 무효전력 제어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일정 역률 제어
  2. 일정 입력전류 제어
  3. 일정 무효전력 출력제어
  4. 전압 조정을 위한 무효전력 제어
(정답률: 54%)
  • 태양광발전기는 일정한 입력전류를 유지하면서 발전을 해야하기 때문에 "일정 입력전류 제어"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일정 역률 제어는 역률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전력품질을 개선하는 방식이고, 일정 무효전력 출력제어는 발전기의 무효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계통과의 전압 차이를 조절하는 방식이다. 전압 조정을 위한 무효전력 제어는 발전기의 무효전력을 조절하여 계통과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설계감리업무 수행지침에 따라 설계감리원의 수행 업무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설계감리 용역을 발주
  2. 시공성 및 유지관리의 용이성 검토
  3. 주요 설계용역 업무에 대한 기술자문
  4. 설계업무의 공정 및 기성관리의 검토·확인
(정답률: 64%)
  • "설계감리 용역을 발주"는 설계감리원의 수행 업무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입니다. 이는 설계감리원이 설계를 감리하고 검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지, 설계감리 용역을 발주하는 것은 발주자의 역할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즉, 설계감리원은 설계감리를 수행하는 것이 주요 업무이며, 발주자는 설계감리 용역을 발주하는 것이 주요 업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력기술관리법령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또는 시·도지사는 검사(질문을 포함한다.)를 하려면 검사일 며칠 전까지 검사 일시, 검사 목적, 검사 내용 등의 검사계획을 검사대상자에게 알려야 하는가? (단, 긴급한 경우나 사전에 알리면 증거인멸 등으로 검사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제외한다.)

  1. 4
  2. 7
  3. 15
  4. 30
(정답률: 63%)
  • 전력기술관리법령에 따라 검사를 하려면 검사일 며칠 전까지 검사계획을 검사대상자에게 알려야 한다. 이때, 알리는 기간은 7일이다. 따라서 정답은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시방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사시방서는 견적내역서를 기본하여 작성한다.
  2. 발주처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은 표준시방서를 따른다.
  3. 공사시방서는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기도 하며,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이 된다.
  4.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의 기준이 되는 것은 전문시방서이다.
(정답률: 58%)
  • 정답은 "공사시방서는 견적내역서를 기본하여 작성한다."가 아니다. 공사시방서는 견적내역서를 참고하여 작성하지만, 견적내역서와는 별도의 문서이다. 공사시방서는 발주처가 작성하거나 시공사가 작성할 수 있으며, 시공기준을 정하는 문서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공사시방서는 발주처가 작성하는 경우에는 표준시방서를 따르며,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이 된다. 또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기도 한다.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의 기준이 되는 것은 전문시방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사용전압 35kV 이하의 특고압 가공전선이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 지표상 높이는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
  2. 5.5
  3. 6
  4. 6.5
(정답률: 66%)
  • 한국전기설비규정 제 4장 제 1절 제 4조에 따르면, 사용전압 35kV 이하의 특고압 가공전선이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 지표상 높이는 최소 6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외기온도 30℃에서 태양광발전 모듈의 최대 출력전압은 약 몇 V 인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36.34
  2. 39.21
  3. 41.94
  4. 43.25
(정답률: 61%)
  • 태양광발전 모듈의 최대 출력전압은 일정하지 않고, 온도, 일사량 등의 환경 조건에 따라 변화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외기온도가 30℃일 때의 최대 출력전압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보기에서 36.34V가 정답인 이유는, 그래프에서 외기온도가 30℃일 때 최대 출력전압이 36.34V임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라 사용전압이 400kV 이상의 특고압 가공전선과 건조물 사이의 수평거리는 그 건조물의 화재로 인한 그 전선의 손상 등에 의하여 전기사업에 관련된 전기의 원활한 공급에 지장을 줄 우려가 없도록 몇 m 이상 이격하여야 하는가? (단, 가공전선과 건주물 상부와의 수직거리가 28m 미만인 경우이다.)

  1. 0.5
  2. 1
  3. 3
  4. 5
(정답률: 52%)
  •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르면, 사용전압이 400kV 이상인 특고압 가공전선과 건조물 사이의 수평거리는 건조물의 화재로 인한 전기사업에 관련된 전기의 원활한 공급에 지장을 줄 우려가 없도록 최소한 3m 이상 이격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에 따라 감리원 해당 공사와 관련하여 공사업자의 공법 변경요구 등 중요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하여 요구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이를 검토하고 의견서를 첨부하여 발주자에게 보고하여야 하는가?

  1. 4
  2. 7
  3. 14
  4. 30
(정답률: 70%)
  • 전력시설물 공사감리업무 수행지침에 따르면, 감리원은 공사업자의 공법 변경요구 등 중요한 기술적인 사항에 대하여 요구한 날부터 7일 이내에 이를 검토하고 의견서를 첨부하여 발주자에게 보고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분산형전원 배전계통연계 기술기준에 따라 분산형전원 연계 시스템은 안정상태의 한전계통 전압 및 주파수가 정상 범위로 복원된 후 그 범위 내에서 몇 분간 유지되지 않는 한 분산형전원의 재병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지연기능을 갖추어야 하는가?

  1. 1분
  2. 5분
  3. 10분
  4. 30분
(정답률: 53%)
  • 분산형전원 연계 시스템은 안정상태의 한전계통 전압 및 주파수가 정상 범위로 복원된 후 그 범위 내에서 몇 분간 유지되지 않는 경우 분산형전원의 재병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지연기능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는 분산형전원이 한전계통과 연계될 때,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필요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분"인 이유는 분산형전원 연계 시스템이 안정상태로 복원된 후 5분간 유지되지 않으면 분산형전원의 재병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지연기능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변환효율 13%의 100W 태양광발전 모듈을 이용하여 10kW 태양광발전 어레이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설치면적(m2)으로 적당한 것은? (단, STC 조건이다.)

  1. 75
  2. 77
  3. 79
  4. 81
(정답률: 62%)
  • 100W 모듈 100개를 사용하여 10kW 어레이를 구성하려면 100개의 모듈이 필요하다. 변환효율이 13%이므로, 모듈의 실제 출력은 13W이다. 따라서, 10kW를 얻기 위해서는 10,000W / 13W = 769개의 모듈이 필요하다. 각 모듈의 면적은 일반적으로 1.6m2 정도이므로, 769개의 모듈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약 1,231.4m2의 면적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는 STC 조건에서의 면적이며, 실제 설치 시에는 일조량, 경사각, 방위각 등의 요인에 따라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77"을 선택하는 것이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태양광발전 시공

41. 공칭단면적이 38mm2 인 경동연선을 경간이 300m이고, 고저차가 없는 두 철탑 사이에 가선하는 경우 이도는 몇 m 인가? (단, 전선의 중량이 0.348kg/m, 전선의 수평장력이 650kg 이다.)

  1. 4.02
  2. 5.02
  3. 6.02
  4. 7.02
(정답률: 57%)
  • 전선의 중량과 수평장력을 이용하여 전선의 기울기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가선한 전선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전선의 중량은 0.348kg/m 이므로, 전선의 길이가 1m 일 때 중량이 0.348kg 이다. 따라서 전선의 중량은 길이에 비례한다.

    전선의 수평장력은 650kg 이므로, 전선의 길이가 1m 일 때 수평장력이 650kg 이다. 따라서 전선의 수평장력은 길이에 비례한다.

    경동연선의 공칭단면적이 38mm2 이므로, 반지름이 3.1mm 인 원형 전선으로 가정할 수 있다.

    전선의 중량과 수평장력을 이용하여 전선의 기울기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tanθ = 중력 / 수평장력
    = (전선의 중량 × g) / 수평장력
    = (0.348kg/m × 9.8m/s2) / 650kg
    = 0.0052

    따라서 전선의 기울기는 약 0.0052 이다.

    가선한 전선의 길이는 두 철탑 사이의 거리인 300m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이도를 구할 수 있다.

    이도 = 전선의 길이 × sinθ
    = 300m × sin(0.0052)
    ≈ 1.03m

    따라서 이도는 약 1.03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이므로, 이를 반올림하여 1.03m 을 1.02m 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6.02" 가 아닌 "5.02" 이다.
  • 이도 D = WS^2 / 8T = 0.348 x 300^2 / 8 x 650 = 6.0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증폭기의 입력전압이 5mv, 출력전압이 5V 일 때 전압이득(dB)은?

  1. 3
  2. 60
  3. 100
  4. 1000
(정답률: 52%)
  • 전압이득(dB)은 20log(출력전압/입력전압)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20log(5V/5mV) = 20log(1000) = 60dB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어떤 부하에 전압을 10% 낮추면 전력은 몇 % 감소하는가?

  1. 10
  2. 15
  3. 19
  4. 27
(정답률: 53%)
  • 전압이 10% 낮아지면 전력은 19% 감소한다. 이는 전력과 전압 간의 제곱 관계 때문이다. 즉, 전압이 10% 감소하면 전력은 (1-0.1)^2 = 0.81 즉, 81%가 된다. 따라서 전력은 100% - 81% = 19%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어떤 변전소의 부하가 10MVA, 역률이 0.75 일 때 역률을 0.9로 개선하려면, 필요한 전력용 커패시터의 용량은 약 몇 kVA 인가?

  1. 1500
  2. 2000
  3. 2500
  4. 3000
(정답률: 34%)
  •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역률이 0.75일 때, 피상전력은 유효전력의 1.33배이다. 역률을 0.9로 개선하려면, 피상전력은 유효전력의 1.11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필요한 전력용 커패시터의 용량은 10MVA x (1.33 - 1.11) = 3000kV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지상 무효분 공급으로 페란티 현상 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리액터는?

  1. 직렬리액터
  2. 소호리액터
  3. 병렬리액터
  4. 한류리액터
(정답률: 40%)
  • 병렬리액터는 지상 무효분 공급 시 발생하는 페란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는 병렬로 연결된 리액터가 전류를 분산시켜 지상 무효분을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병렬리액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접지저항을 감소시키는 접지저항저감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사람과 가축에 안전할 것
  2. 전기적으로 양호한 부도체일 것
  3. 접지전극을 부식시키지 않을 것
  4. 계절에 따른 접지저항값의 변동이 적을 것
(정답률: 73%)
  • 전기적으로 양호한 부도체일 것이 아닌 것은 접지저항을 감소시키는 접지저항저감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닙니다. 이유는 접지저항을 감소시키는 접지저항저감제는 전기적으로 양호한 부도체가 아니더라도 작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기적으로 양호한 부도체일 것"은 접지저항을 감소시키는 접지저항저감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태양광발전설비에서 사용하는 전선의 시설방법이 아닌 것은?

  1. 접속점에 장력이 가해지도록 할 것
  2. 충전부분이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시설할 것
  3. 모듈의 출력배선은 극성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것
  4. 모듈 및 기타 기구에 전선을 접속하는 경우는 나사로 조이고, 기타 이와 동등 이상의 효력이 있는 방법으로 기계적·전기적으로 안전하게 접속할 것
(정답률: 76%)
  • 정답은 "접속점에 장력이 가해지도록 할 것"입니다. 이는 전선이 늘어나거나 당겨지는 등의 외부적인 힘에도 접속부분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테브난의 정리와 등가변환 관계에 있는 것은?

  1. 밀만의 정리
  2. 중첩의 정리
  3. 노튼의 정리
  4. 보상의 정리
(정답률: 66%)
  • 테브난의 정리와 등가변환 관계에 있는 것은 "노튼의 정리"입니다. 이는 테브난의 정리에서 등장하는 적분을 노튼의 정리를 이용하여 더 쉽게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노튼의 정리는 적분과 미분의 등가성을 나타내는 공식으로, 적분을 미분으로 바꾸거나 미분을 적분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따라서 테브난의 정리에서 등장하는 적분을 노튼의 정리를 이용하여 미분으로 바꾸면 계산이 더욱 간단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금속덕트에 전선을 시설 시, 전광표시장치 기타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제어회로 등의 배선만을 넣는 경우 전선단면적(절연피복의 단면적을 포함한다.)의 합계는 덕트의 내부 단면적의 몇 % 이하이어야 하는가?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39%)
  • 한국전기설비규정에서는 금속덕트에 전선을 시설할 때, 전선단면적의 합계가 덕트의 내부 단면적의 50%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선이 덕트 내부에서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배선되어 안전하게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따라 합성수지관 상호 간 및 박스와는 관을 삽입하는 깊이를 관의 바깥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이다.)

  1. 0.8
  2. 1.2
  3. 1.5
  4. 2.0
(정답률: 59%)
  • 한국전기설비규정에서는 합성수지관 상호 간 및 박스와는 관을 삽입할 때,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관의 바깥지름의 1.2배 이상으로 깊이를 삽입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안전하고 견고한 전기설비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깊이가 충분하지 않으면 관이 빠져나와 전기적인 문제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태양광발전설비의 시공 전 진행하는 시방서의 검토 내용이 아닌 것은?

  1. 재해 예방을 위한 검사
  2. 제반 법규 및 규정의 적합성
  3. 설계도면, 구조계산서, 공사내역서 일치 여부
  4. 주요 자재 설비와 제품 등의 제품사양서 일치 여부
(정답률: 60%)
  • "재해 예방을 위한 검사"는 시공 전 진행하는 시방서의 검토 내용이 아닙니다. 이는 시공 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작업으로, 시공 전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태양광발전설비의 시공 전에는 설비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설계도면, 구조계산서, 공사내역서, 주요 자재 설비와 제품 등의 제품사양서 일치 여부 등을 검토하여 시공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준비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금속으로부터 전자를 진공으로 이탈시키는데 필요한 최소에너지는?

  1. 일함수
  2. 기저준위
  3. 페르미준위
  4. 에너지준위
(정답률: 50%)
  • 금속에서 전자를 진공으로 이탈시키는데 필요한 최소에너지는 일함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일함수가 금속의 기저준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저준위는 가장 낮은 에너지준위를 의미하며, 일함수는 이 기저준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가 이 기저준위에서 진공으로 이탈하기 위해서는 일함수와 관련된 최소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이를 페르미준위라고도 부르며, 이 에너지를 페르미에너지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가공 송전선에 댐퍼를 설치하는 이유는?

  1. 코로나 방지
  2. 전자유도 감소
  3. 전선 진동방지
  4. 현수애자 경사방지
(정답률: 72%)
  • 가공 송전선은 바람이나 기타 외부 요인으로 인해 진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진동은 전력 손실을 유발하고 전선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댐퍼를 설치하여 전선의 진동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선 진동방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은 SPD의 접속도체의 총 길이(a+b)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0.5
  2. 1
  3. 1.5
  4. 2
(정답률: 54%)
  • SPD의 접속도체는 노란색 부분과 파란색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이 두 부분의 길이를 각각 a와 b라고 하면, 전체 길이는 a+b가 됩니다. 그림에서 주어진 조건은 노란색 부분과 파란색 부분이 모두 0.5m 이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a와 b는 각각 0.5m 이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a+b는 1m 이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이하"로 조건을 주었으므로, a+b는 1m 이하이면서 최대한 작아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보호계전장치의 구비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신뢰성
  2. 협조성
  3. 불연성
  4. 후비성
(정답률: 55%)
  • 보호계전장치는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구비조건으로는 신뢰성, 협조성, 후비성이 필요하다. 하지만 불연성은 전기적인 문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안전성 요소이기 때문에 보호계전장치의 구비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태양광발전 어레이의 구조물 설치 시 지반상태에 따른 해결책이 아닌 것은?

  1. 연약층이 깊을 경우 독립기초로 한다.
  2. 지반의 허용지지력이 부족할 경우 저판 폭을 증가시키거나 지반을 치환한다.
  3. 배면토의 강도정수가 부족할 경우 저판 폭을 증가시키거나 사면경사도를 완화한다.
  4. 지반의 지하수위가 높을 경우 지지력 저하로 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배수공을 설치한다.
(정답률: 63%)
  • 정답인 "연약층이 깊을 경우 독립기초로 한다."는 지반상태에 따른 해결책 중 하나인데, 이유는 연약층이 깊을 경우 지반의 지지력이 약해져서 구조물이 침하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독립기초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독립기초는 지반의 지지력이 약한 부분에 구조물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지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반과 구조물을 분리하여 설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태양광발전설비의 사용전검사 신청서 제출 시 첨부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2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설계도서
  2. 접지설계계산서
  3. 감리원 배치확인서
  4. 전기안전관리자 선임신고증명서
(정답률: 74%)
  • 태양광발전설비의 사용전검사는 전기안전법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때 접지설계계산서는 전기안전에 관련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접지 설계에 대한 계산서이기 때문에 첨부해야 합니다. 따라서 "접지설계계산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터파기(KCS 11 20 15 : 2018)에 따른 현장 품질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낸 바닥면과 기초에 접하거나 아래에 있는 흙은 동해를 입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2. 자반변위나 이완된 흙이 터파기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시공 중 지반 안정을 유지해야 한다.
  3. 터파기공사 중 토질에 변화가 생길 때에는 즉시 공사감독자에게 보고하여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4. 예상하지 못한 지중조건이 발견되면 공사감독자에게 통지하고 작업 중지 지시가 있을 때까지는 해당구역의 작업을 계속 진행해야 한다.
(정답률: 74%)
  • "예상하지 못한 지중조건이 발견되면 공사감독자에게 통지하고 작업 중지 지시가 있을 때까지는 해당구역의 작업을 계속 진행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예상하지 못한 지중조건이 발견되면 즉시 해당 구역의 작업을 중지하고 공사감독자에게 보고하여 승인을 받은 후에만 작업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신전원설비공사(KCS 31 60 30 : 2019)에 따른 태양광발전 어레이 및 접속함의 시설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태양광발전 모듈은 교체가 용이 한 구조이어야 한다.
  2. 태양광발전 어레이 및 접속함은 장기간 사용에 충분한 난연성이 있어야 한다.
  3. 태양광발전 모듈은 스테인리스 부속자재(볼트·너트·와셔 등)로 견고하게 조립하고 시공하여야 한다.
  4. 태양광발전 어레이 및 접속함은 자중·적설·풍압·지진·진동·충격 등에 대하여 안전한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률: 58%)
  • 정답은 "태양광발전 어레이 및 접속함은 장기간 사용에 충분한 난연성이 있어야 한다."가 아닌 "태양광발전 모듈은 교체가 용이 한 구조이어야 한다."입니다.

    태양광발전 어레이 및 접속함은 화재 발생 시 안전을 위해 충분한 난연성이 있어야 합니다. 이는 장기간 사용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변전설비공사(KCS 31 60 10 : 2019)에 따른 수변전기기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기실 바닥 트렌치·트레이 및 풀박스는 전압 및 회선별로 정리하여 배선하고, 회선별 표찰을 부착하여야 한다.
  2. 모선 및 기기 접속도체의 접속은 전기적·기계적으로 완전하게 시공하여야 하며, 접속점은 최대한으로 하여야 한다.
  3. 전기실에 설치하는 수변전설비는 특성·품질·시공방법 등을 검토하여야 하며, 감리자의 승인을 얻은 후 설치 및 시공하여야 한다.
  4. 변압기 등과 같이 진동이 있는 기기와 모선을 접촉할 경우는 기기의 진동이 모선에 전달되지 않도록 가요성 도체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전기실 바닥 트렌치·트레이 및 풀박스는 전압 및 회선별로 정리하여 배선하고, 회선별 표찰을 부착하여야 한다."이 부분은 수변전설비 시공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것이다.

    "모선 및 기기 접속도체의 접속은 전기적·기계적으로 완전하게 시공하여야 하며, 접속점은 최대한으로 하여야 한다." 이 부분은 모선 및 기기 접속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내용이다. 접속점이 적을수록 전기적인 저항이 작아지고, 기계적인 강도가 높아져 안정적인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태양광발전 운영

61.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계측에 사용되는 기기 중 검출된 데이터를 컴퓨터 및 먼 거리에 설치된 표시장치에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장치는?

  1. 검출기
  2. 연산장치
  3. 기억장치
  4. 신호변환기
(정답률: 64%)
  •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검출된 데이터는 아날로그 신호로 생성되지만, 컴퓨터 및 표시장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신호변환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호변환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소형 태양광 발전용 인버터(계통연계형, 독립형)(KS C 8564 : 2020)에 따라 3상 독립형 인버터의 경우 부하 불평형 시험 시 정격용량에 해당하는 부하를 연결한 후 U상, V상, W상 중 한 상의 부하를 0으로 조정한 후 몇 분 동안 운전하는가?

  1. 10
  2. 15
  3. 20
  4. 30
(정답률: 46%)
  • 3상 독립형 인버터의 경우 부하 불평형 시험 시 정격용량에 해당하는 부하를 연결한 후 U상, V상, W상 중 한 상의 부하를 0으로 조정한 후 30분 동안 운전한다. 이는 KS C 8564 : 2020에서 명시된 시험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지붕공사 안전보건작업 기술지침에 따라 지붕경사가 20° 이상인 경우 지붕작업발판의 설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작업발판 길이는 1m 이상이어야 한다.
  2. 작업발판 폭은 100mm 이상이어야 한다.
  3. 미끄러지는 것과 옆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어야 한다.
  4. 작업자 및 자재 등을 제외한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률: 68%)
  • 지붕경사가 20° 이상인 경우 작업자가 작업발판에서 미끄러지거나 옆으로 움직이는 것은 매우 위험하므로, 작업발판은 미끄러지는 것과 옆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여야 합니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미끄러지는 것과 옆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어야 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또한, 작업발판의 길이는 1m 이상이어야 하고, 폭은 100mm 이상이어야 하며, 작업자 및 자재 등을 제외한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태양광발전용 변압기의 정기점검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유면계, 온도계의 파손 여부
  2. 부싱 등의 균열, 파손, 변형 여부
  3. 퓨즈통, 애자 등에 균열 변형 여부
  4. 건식형인 경우 코일, 절연물의 과열에 의한 손상 여부
(정답률: 54%)
  • 퓨즈통과 애자는 변압기 내부에서 전기적인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부품이기 때문에 균열이나 변형이 발생하면 전기적인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점검 시에는 퓨즈통과 애자의 균열이나 변형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태양광발전시스템 점검 시 비치해야 하는 전기안전관리 장비가 아닌 것은?

  1. 측량계
  2. 멀티미터
  3. 클램프 미터
  4. 적외선 온도측정기
(정답률: 68%)
  • 측량계는 거리나 면적을 측정하는 장비로, 전기안전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비치해야 하는 전기안전관리 장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태양광발전시스템 점검 계획 시 고려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신설설비는 고장발생 확률이 높기 때문에 점검 주기를 단축하였다.
  2. 중요한 설비와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설비를 구별하여 반영하였다.
  3. 고장이력을 검토하여 고장이 빈번한 기기는 점검 계획에서 제외하였다.
  4. 기기부하 상태를 확인하여 저부하 상태의 설비는 점검 주기를 단축하였다.
(정답률: 62%)
  • 태양광발전시스템 점검 계획 시 중요한 설비와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설비를 구별하여 반영하는 이유는 중요한 설비가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요한 설비는 더 자주 점검하고 유지보수해야 합니다. 반면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설비는 고장 발생 확률이 낮기 때문에 점검 주기를 더 길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미칠 위험성을 미리 제거하기 위하여 안전진단 등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여야 하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화재 등으로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의 내력(耐力)이 개선되었을 경우
  2.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에 지진, 동해(凍害), 부동침하(不同沈下) 등으로 균열·비틀림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3.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의 인근에서 굴착·항타작업 등으로 침하·균열 등이 발생하여 붕괴의 위험이 예상될 경우
  4. 구조물, 건축물, 그 밖의 시설물이 그 자체의 무게·적설·풍압 또는 그 밖에 부가되는 하중 등으로 붕괴 등의 위험이 있을 경우
(정답률: 75%)
  • 정답인 "화재 등으로 구축물 또는 이와 유사한 시설물의 내력(耐力)이 개선되었을 경우"는 이미 안전성이 개선된 상태이기 때문에 안전성 평가를 진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즉, 이미 안전성이 보장되는 상태이므로 추가적인 안전성 평가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점검 중 일상점검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이상 상태를 발견한 경우에는 배전반 등의 문을 열고 이상 정도를 확인한다.
  2. 원칙적으로 정전을 시켜놓고 무전압 상태에서 기기의 이상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기기를 분리하여 점검한다.
  3. 주로 점검자의 감각(오감)을 통해서 실시하는 것으로 이상한 소리, 냄새, 손상 등을 점검 항목에 따라서 행하여야 한다.
  4. 이상 상태가 직접 운전을 하지 못할 정도로 전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상 상태의 내용을 정기점검 시에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정답률: 63%)
  • "이상 상태를 발견한 경우에는 배전반 등의 문을 열고 이상 정도를 확인한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이유는 이상 상태를 발견한 경우에는 문을 열어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정전을 시켜놓고 무전압 상태에서 기기의 이상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기기를 분리하여 점검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인버터의 이상신호 조치 방법 중 태양전지의 전압이 과전압인 경우 조치사항은?

  1. 연결단자 점검
  2. 인버터 및 팬 점검 후 운전
  3. 태양전지 전압 점검 후 정상 시 5분 후 재가동
  4. 시스템 정지 후 고장 부분 수리 또는 계통점검 후 운전
(정답률: 59%)
  • 태양전지의 전압이 과전압인 경우, 인버터는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정지합니다. 이는 인버터와 다른 부품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상신호 조치 방법 중 "태양전지 전압 점검 후 정상 시 5분 후 재가동"이 선택되었습니다. 이는 태양전지의 전압이 과전압인 경우, 이를 확인하고 문제가 해결된 후에 5분 후에 다시 가동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인버터와 다른 부품들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태양광발전(PV) 모듈(안전)(KS C 8563 : 2015)에서 플라스틱 등 특정한 용도로 적용할 때 그 사용 용도의 적합성 여부를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가연성을 시험하는 장치는?

  1. IP 시험기
  2. 난연성 시험기
  3. 트래킹 시험기
  4. Hot wire coil ignition 시험기
(정답률: 65%)
  • 태양광발전(PV) 모듈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높은 가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정한 용도로 적용할 때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난연성 시험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난연성 시험기"입니다. 이 장치는 플라스틱의 난연성을 측정하여 사용 용도의 적합성 여부를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절연보호구의 선정 및 사용에 관한 기술지침에 따라 사용전압이 300V를 초과하고 교류 600V 또는 직류 750V 이하의 작업에 사용하는 절연 고무장갑의 종별로 옳은 것은?

  1. A종
  2. B종
  3. C종
  4. D종
(정답률: 53%)
  • 300V를 초과하는 사용전압에 대한 보호를 위해서는 A종 절연 고무장갑을 사용해야 한다. B종, C종, D종은 각각 500V, 1000V, 7500V 이상의 사용전압에 대한 보호를 위해 사용되며, 300V를 초과하는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A종 절연 고무장갑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관한 고시에 따라 전기설비의 주요 구성품이 동작시험 및 계기측정 등을 통해 전기설비기술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매년 정기적으로 정밀하게 점검하는 것은?

  1. 일상점검
  2. 사용전 점검
  3. 공사 중 점검
  4. 정밀(연차)점검
(정답률: 80%)
  • 전기안전관리자는 전기설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정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정밀(연차)점검은 매년 한 번씩 전기설비의 주요 구성품을 동작시험 및 계기측정 등을 통해 전기설비기술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정밀하게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는 전기설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점검 방법 중 하나이며, 일상점검, 사용전 점검, 공사 중 점검과 함께 전기안전관리자의 역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유지보수 전의 안전조치로 틀린 것은?

  1. 검전기로 무전압 상태를 확인한다.
  2. 잔류전하를 방전시키고 접지시킨다.
  3. 차단기 앞에 '점검중' 표지판을 설치한다.
  4. 해당 단로기를 닫고 주회로가 무전압이 되게 한다.
(정답률: 64%)
  • 해당 단로기를 닫고 주회로가 무전압이 되게 하는 것은 유지보수를 위해 전기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렇게 하면 전기적인 충격이나 화재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태양광발전 접속함(KS C 8567 : 2019)에 따라 서지 보호장치(SP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칭 방전 전류(In, 8/20)는 모든 경우에 대해 10kA 이상이어야 한다.
  2. 서지 보호장치 최대 연속 사용전압은 접속함 회로 정격전압의 1.2배 이상이어야 한다.
  3. 소형 접속함(스트링 2회로 이상)의 경우, 입력 회로의 근접하여 서지 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중대형 접속함(스트링 4회로 이상)의 경우, 출력 회로에 근접하여 서지 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41%)
  • "소형 접속함(스트링 2회로 이상)의 경우, 입력 회로의 근접하여 서지 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소형 접속함은 스트링 2회로 이상이므로 여러 개의 입력 회로가 근접해 있기 때문에 각 입력 회로 근처에 서지 보호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전기안전관리법령에 따라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아도 되는 발전설비의 용량으로 옳은 것은?

  1. 20 kW 이하
  2. 30 kW 이하
  3. 50 kW 이하
  4. 100 kW 이하
(정답률: 62%)
  • 전기안전관리법령에서는 발전설비의 용량에 따라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가 결정됩니다. 이에 따라 발전설비의 용량이 20 kW 이하인 경우에는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유는 20 kW 이하의 발전설비는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상업시설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하는 것이 비용적으로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고장 종류와 원인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환기팬 소음 - 환기팬 노화
  2. 케이블 변색 – 불량품 적외선 과다노출
  3. 모듈 백화, 적화 현상 – 제조 공정상 불량
  4. 모듈 단자함 불량 – 방수 불량, 전선 납땜 불량
(정답률: 51%)
  • 케이블 변색은 일반적으로 적외선 과다노출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전기 에너지가 케이블을 통해 전달될 때 발생하는 열로 인해 케이블이 변색되는 것이다. 이는 불량품 적외선 과다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다른 원인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표의 내용을 기준하여, 한국전력공사의 SMP 구입전력금액의 공급가액은 약 얼마인가? (단, 소내소비전력 차감 및 무부하 손실량은 없으며, 발전소의 REC가중치는 1.08 이다.)

  1. 716979원
  2. 774337원
  3. 4356115원
  4. 4704605원
(정답률: 46%)
  • 공급가액은 SMP 구입전력금액에서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이다. 따라서 SMP 구입전력금액을 부가세율인 10%로 나누어 공급가액을 구할 수 있다.

    SMP 구입전력금액 = (소비전력 + 대규모산업용전력 + 일반산업용전력 + 농림어업용전력 + 공공용전력) x REC가중치
    = (1,000,000 + 1,500,000 + 1,000,000 + 500,000 + 1,000,000) x 1.08
    = 6,120,000원

    공급가액 = SMP 구입전력금액 ÷ 1.1
    = 6,120,000 ÷ 1.1
    ≈ 5,560,000원

    따라서, 정답은 "4704605원"이 아닌 "4356115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굴착공사 계측관리 기술지침에 따른 일반적인 계측기 선정 원리로 틀린 것은?

  1.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할 것
  2. 계기의 오차가 적고 이상 유무의 발견이 쉬울 것
  3.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적게 받거나 보정이 간단할 것
  4. 예상 변위나 응력의 크기보다 계측기의 측정 범위가 좁을 것
(정답률: 72%)
  • "예상 변위나 응력의 크기보다 계측기의 측정 범위가 좁을 것"은 올바른 원리이다. 이유는 예상되는 변위나 응력의 크기보다 측정 범위가 좁으면 측정값이 정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측정기가 파손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 범위는 예상되는 변위나 응력의 크기를 고려하여 충분히 넓게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절차 등에 관한 고시에 따라 태양광발전설비에서 전력변환장치의 정기검사 시 세부검사내용으로 틀린 것은?

  1. 개방전압
  2. 외관검사
  3. 절연저항
  4. 접지저항
(정답률: 31%)
  • 태양광발전설비에서 전력변환장치의 정기검사 시 세부검사내용으로 틀린 것은 "개방전압"입니다. 개방전압은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에서 검사 대상이 아닙니다. 개방전압이란 전기회로에서 전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전력변환장치의 정기검사 시 세부검사내용으로는 외관검사, 절연저항, 접지저항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태양광발전 시스템 직류용 커넥터-안전 요구사항 및 시험(KS C IEC 62852 : 2014)에 따라 잠금 장치 또는 스냅인 장치가 있는 커넥터는 최소 몇 N의 부하를 견뎌야 하는가?

  1. 10
  2. 30
  3. 50
  4. 80
(정답률: 32%)
  • KS C IEC 62852 : 2014에 따르면, 잠금 장치 또는 스냅인 장치가 있는 커넥터는 최소 80N의 부하를 견뎌야 합니다. 이는 안전 요구사항 및 시험에서 정해진 기준으로, 이 값을 충족하지 못하면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