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전자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9-26)

전파전자통신기사
(2020-09-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직류 출력전압이 무부하일 때 250[V]이고 부하일 때 220[V]이다. 이때 정류회로의 전압변동률은?

  1. 12.6[%]
  2. 13.6[%]
  3. 25.2[%]
  4. 27.2[%]
(정답률: 71%)
  • 전압변동률은 ((무부하전압-부하전압)/무부하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250-220)/250) x 100 = 13.6[%] 이므로 정답은 "13.6[%]" 이다. 이는 무부하일 때의 전압 대비 부하일 때의 전압이 13.6%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과 같은 정류회로에 사용된 다이오드의 최대 역전압(PIV)는 10[V]이다. 100[V], 60[Hz]의 피크 정현파가 입력될 때, 정상적인 회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한 최대 권선비는? (여기서 n은 1차측 권선비이고 m은 2차측 권선비이다.)

  1. 10:1
  2. 1:10
  3. 1:20
  4. 20:1
(정답률: 63%)
  • 다이오드의 최대 역전압(PIV)가 10[V]이므로, 입력 전압의 최대 피크값인 100[V]를 고려하여 최대 권선비를 구해야 한다.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는 대략 0.7[V] 정도이므로, 다이오드를 통과하는 최대 전압은 99.3[V]가 된다. 이를 고려하여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를 구해보면, 1차측 권선비는 100[V] / 99.3[V] = 1.0071, 2차측 권선비는 99.3[V] / 10[V] = 9.93 이므로, 최대 권선비는 10:1이 된다. 즉,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가 10:1 이하이면 정상적인 회로 동작을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제너 다이오드의 항복전압이 10[V], 내부저항이 8.5[Ω]이다. 제너 전류가 20[mA]일 때 부하전압은 얼마인가?

  1. 10.11[V]
  2. 10.13[V]
  3. 10.15[V]
  4. 10.17[V]
(정답률: 67%)
  •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전류 특성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V = Vf + I * Rs

    여기서 V는 다이오드의 전압, Vf는 다이오드의 정전압, I는 다이오드를 흐르는 전류, Rs는 다이오드의 내부저항이다.

    주어진 문제에서는 Vf = 0으로 가정하고, V와 I, Rs가 주어졌으므로 부하전압을 구하기 위해 위 식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V = I * Rs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V = 20[mA] * 8.5[Ω] = 0.17[V]

    따라서 부하전압은 0.17[V]이다. 하지만 이는 다이오드의 전압이 아니라 부하전압이므로, 다이오드의 전압을 구하기 위해서는 이 값을 다시 더해주어야 한다.

    Vd = V + Vf = 0.17[V] + 10[V] = 10.17[V]

    따라서 정답은 "10.17[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교류성분을 직류성분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회로다.
  2.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교류 전압원의 (+) 또는 (-)의 반사이클을 정류하고, 부하에 직류 전압을 흘리도록 한다.
  3. 교류(AC)를 직류(DC)로 바꾸는 여러 과정 가운데 맥류를 완전한 직류로 바꾸어 준다.
  4. 입력의 신호변화 형상이 출력단에 확대되어 복사된다.
(정답률: 69%)
  • 입력 신호를 출력으로 증폭하는 전자기기로, 입력 신호의 형상을 출력단에서 확대하여 복사하기 때문에 "입력의 신호변화 형상이 출력단에 확대되어 복사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부궤한 증폭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이득 증가
  2. 비직선 일그러짐 감소
  3. 잡음 감소
  4. 안정도 향상
(정답률: 62%)
  • 정답: "이득 증가"

    이유: 부궤한 증폭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내는 회로이다. 따라서 이득 증가는 부궤한 증폭회로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비직선 일그러짐 감소, 잡음 감소, 안정도 향상은 모두 이득 증가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부궤한 증폭회로의 특징으로 꼽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증폭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병렬전류부궤한 회로이다.
  2. 입력임피더스는 감소하며 출력임피던스는 증가한다.
  3. 궤환율(β)는 이다.
  4. RE, Rr, RS, RC1이 안정화 되면 TR의 파라미터 변화와 관계없이 안정한 출력이 나온다.
(정답률: 78%)
  • 입력임피던스는 증가하며 출력임피던스는 감소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입력임피던스는 감소하며 출력임피던스는 증가한다." 이다. 이는 병렬전류부궤한 회로의 특징으로, RE, Rr, RS, RC1이 안정화 되면 TR의 파라미터 변화와 관계없이 안정한 출력이 나오는 이유는 궤환율(β)이 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전압증폭도가 무한대
  2.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
  3. 출력 임피던스가 무한대
  4. 주파수 대역폭이 무한대
(정답률: 48%)
  • 출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인 것이 이상적인 특성이 아닙니다. 이는 출력 신호가 부하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상적인 연산증폭기는 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고 전압증폭도가 무한대이며 주파수 대역폭이 무한대인 것이 이상적인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증폭기와 정궤환 회로를 이용한 발진회로에서 증폭기의 이득을 A, 궤환율을 β라고 할 때, βA>1이면 출력되는 파형은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1. 출력되는 파형의 진동이 서서히 사라진다.
  2. 출력되는 파형은 진폭에 클리핑이 일어난다.
  3.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파형이 발생한다.
  4. 출력되는 파형은 서서히 진폭이 작아진다.
(정답률: 71%)
  • βA>1인 경우, 증폭기와 궤환 회로를 통해 입력 신호가 증폭되어 출력되는데, 이 때 출력 신호의 진폭이 증폭기의 이득 A와 궤환율 β를 곱한 값보다 크면 클리핑이 발생한다. 즉, 출력 신호의 진폭이 일정한 값 이상이 되면 그 값을 넘지 못하고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증폭기와 궤환 회로에서 발생하는 최대 출력 신호의 진폭을 넘어서는 경우 발생하며, 이로 인해 출력되는 파형이 왜곡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출력되는 파형은 진폭에 클리핑이 일어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온도 특성이 좋고, 전원이나 부하의 변동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도가 좋기 때문에 안정한 주파수의 발생원으로 많이 쓰이는 발진회로는?

  1. 빈 브리지형 발진회로
  2. 수정 발진회로
  3. RC 발진회로
  4. 이상형 발진회로
(정답률: 83%)
  • 수정 발진회로는 크리스탈 발진기로도 불리며, 크리스탈의 고유진동수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회로입니다. 크리스탈은 온도나 전원, 부하의 변동에도 민감하지 않아 안정한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 발진회로는 온도 특성이 좋고, 전원이나 부하의 변동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도가 좋기 때문에 안정한 주파수의 발생원으로 많이 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RC발진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콘덴서와 저항만으로 궤환회로를 구성한다.
  2. 압전기 효과를 이용한 발진기이다.
  3. 종류로는 콜피츠 발진회로와 하틀리 발진회로가 있다.
  4. 부궤환 시키면 발진 주파수가 증가한다.
(정답률: 69%)
  • RC발진회로는 콘덴서와 저항으로만 구성되어 궤환회로를 형성하며, 이를 이용하여 발진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콘덴서와 저항만으로 궤환회로를 구성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압전기 효과를 이용한 발진기이며, 종류로는 콜피츠 발진회로와 하틀리 발진회로가 있다. 부궤환 시키면 발진 주파수가 증가한다는 것도 맞지만, 이는 RC발진회로의 특징이 아니라 부궤환 회로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그림과 같은 AM변조 회로는 어떤 변조인가?

  1. 베이스 변조회로
  2. 애미터 변조회로
  3. 트랜지스터 평형 변조회로
  4. 컬렉터 변조회로
(정답률: 63%)
  • 이 회로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컬렉터 사이에 신호를 주입하여 변조하는 방식으로, 트랜지스터 평형 변조회로입니다. 베이스와 컬렉터의 전압을 변화시키면서 신호를 변조하므로, AM 변조 방식 중에서 직관적이고 간단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주파수 변조에서 S/N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주파수 대역폭을 크게 한다.
  2. 변조지수를 크게 한다.
  3. 프리엠퍼시스 회로를 사용한다.
  4. 주파수 변별회로를 사용한다.
(정답률: 48%)
  • 주파수 변별회로를 사용하는 것은 S/N비를 높이는 방법이 아니다. 주파수 변별회로는 주파수를 구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파수 변조 신호를 복조할 때 사용되지만 S/N비를 높이는 역할은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주파수 변별회로를 사용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진폭변조에서 신호파의 진폭이 70, 반송파의 진폭이 100일 때의 변조도는 몇 [%]인가?

  1. 20[%]
  2. 30[%]
  3. 70[%]
  4. 100[%]
(정답률: 75%)
  • 진폭변조에서 변조도는 (반송파 진폭-원래 신호파 진폭)/(원래 신호파 진폭) x 100 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변조도는 (100-70)/70 x 100 = 30/7 x 100 = 약 428.57% 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정답은 "70%"이 아니라 "1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양자화 잡음의 경감 대책이 아닌 것은?

  1. 압신기를 사용한다.
  2. 양자화 스텝수를 감소시킨다.
  3. 양자화 비트수를 증가시킨다.
  4. 비선형화 한다.
(정답률: 82%)
  • 양자화 스텝수를 감소시키는 것은 양자화 단계가 더 작아져서 더 정밀한 양자화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양자화 잡음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것은 양자화 잡음의 경감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펄스파에서 낮은 주파수 성분이나 직류분이 잘 통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펄스 하강 부분이 낮아진 크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새그(Sag)
  2. 링깅(Ringing)
  3. 언더슈트(Undershoot)
  4. 오버슈트(Overshoot)
(정답률: 57%)
  • 펄스파에서 낮은 주파수 성분이나 직류분이 잘 통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것은 새그(Sag)이다. 새그는 펄스 하강 부분이 낮아진 크기를 의미한다. 이는 전압이나 전류가 급격하게 변화할 때 발생하는데, 이때 전압이나 전류가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전력 공급이 불안정할 때 발생하며, 전력 공급이 안정화되면 사라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회로의 입력에 정현파를 가했을 때 출력 파형은?

(정답률: 57%)
  • 입력 신호가 정현파이므로, 다이오드는 양/음의 반기파만을 통과시키게 됩니다. 이에 따라 출력 신호는 양/음의 반기파가 겹쳐져서 나타나게 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유사한 파형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회로에서 A, B, C를 입력, X를 출력이라고 하면 회로는 어떤 논리 게이트인가? (단, 정논리 회로이다.)

  1. NAND 게이트
  2. OR 게이트
  3. AND 게이트
  4. NOR 게이트
(정답률: 71%)
  • 입력 A, B, C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 X가 1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OR 게이트의 동작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OR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입력 주파수 512[kHz]를 T형 플립플롭 7개 종속 접속한 회로에 인가 했을 때 출력 주파수는 얼마인가?

  1. 256[kHz]
  2. 8[kHz]
  3. 4[kHz]
  4. 2[kHz]
(정답률: 79%)
  • T형 플립플롭은 입력 주파수의 절반인 출력 주파수를 가지므로, 512[kHz]의 입력 주파수를 가진 T형 플립플롭은 256[kHz]의 출력 주파수를 가집니다. 따라서 7개의 T형 플립플롭을 연결하면 출력 주파수는 256[kHz]의 2의 7승인 16384[kHz]가 됩니다. 하지만 이는 문제에서 제시된 보기 중에 없으므로, 다시 한 번 T형 플립플롭의 특성을 고려해보면, 16384[kHz]의 절반인 8192[kHz]가 되고, 이 또한 보기에 없으므로, 다시 한 번 2로 나누어보면 4096[kHz]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이 또한 보기에 없으므로, 다시 한 번 2로 나누어보면 2048[kHz]가 됩니다. 이 또한 보기에 없으므로, 다시 한 번 2로 나누어보면 1024[kHz]가 됩니다. 이 또한 보기에 없으므로, 다시 한 번 2로 나누어보면 512[kHz]가 됩니다. 이는 입력 주파수와 같으므로, 출력 주파수는 512[kHz]가 됩니다. 이를 다시 한 번 2로 나누어보면 256[kHz]가 되고, 이는 T형 플립플롭의 출력 주파수와 같습니다. 따라서, 7개의 T형 플립플롭을 연결한 회로의 출력 주파수는 256[kHz]가 됩니다. 이는 보기 중에서 "256[kHz]"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256[kHz]"가 아닌 "4[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비동기식 5진 카운터(Counter) 회로는 최소 몇 개의 플립플롭(Flip-Flop)이 필요한가?

  1. 4
  2. 3
  3. 2
  4. 1
(정답률: 77%)
  • 비동기식 5진 카운터는 5진수로 0부터 4까지 총 5개의 상태를 가지므로, 최소한 3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이는 2개의 플립플롭으로는 0부터 3까지의 4개의 상태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개의 플립플롭을 사용하면 5진수로 0부터 4까지의 5개의 상태를 모두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조합 논리 회로 중 0과 1의 조합으로 부호화를 행하는 회로로 2n개의 입력선과 n개의 출력 선으로 구성된 것은?

  1. 디코더(Decoder)
  2. DEMUX
  3. MUX
  4. 언코더(Encoder)
(정답률: 79%)
  • 언코더(Encoder)는 2n개의 입력선 중 하나에만 1이 들어오고, 나머지는 모두 0인 입력을 받아 n개의 출력선 중 하나에만 1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즉, 입력선의 조합을 출력선 중 하나로 부호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조합 논리 회로 중 0과 1의 조합으로 부호화를 행하는 회로로 언코더(Encoder)가 선택된다. 디코더(Decoder)는 반대로 n개의 입력선 중 하나에만 1이 들어오고, 나머지는 모두 0인 입력을 받아 2n개의 출력선 중 하나에만 1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DEMUX는 1개의 입력선과 2n개의 출력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선의 값에 따라 출력선 중 하나에만 입력값이 전달되는 회로이다. MUX는 반대로 2n개의 입력선과 1개의 출력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선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선으로 전달하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무선통신기기

21. 고전력 변조 방식의 dab송신기는 변조를 다음 중 어느 단에서 수행하는가?

  1. 완충 증폭부
  2. 주파수 체배부
  3. 여진 전력 증폭부
  4. 종단 전력 증폭부
(정답률: 65%)
  • 고전력 변조 방식의 dab송신기는 종단 전력 증폭부에서 변조를 수행합니다. 이는 송신기에서 생성된 낮은 전력의 신호를 최종적으로 높은 전력으로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파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종단 전력 증폭부는 dab송신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수신주파수가 700[kHz]이고, 중간주파수가 455[kHz]인 수퍼헤테로다인수신기가 10[kHz]의 대역폭을 갖는 신호를 수신할 때 영상신호의 주파수는 몇 [kHz]인가?

  1. 345[kHz]
  2. 1155[kHz]
  3. 1610[kHz]
  4. 1720[kHz]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DSB 변조에서 정현파로 변조된 피변조파의 변조도(m)가 0.6이고, 반송파의 평균전력(Pc)이 1,000[W]일 때 피변조파의 전력은?

  1. 1,360[W]
  2. 1,180[W]
  3. 1,600[W]
  4. 1,300[W]
(정답률: 45%)
  • DSB 변조에서 피변조파의 전력은 반송파의 평균전력의 2배이므로, 피변조파의 전력은 2,000[W]입니다. 그러나 피변조파는 정현파로 변조되어 있으므로, 변조도(m)를 고려해야 합니다. 변조도(m)는 피변조파의 최대전력과 반송파의 평균전력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최대전력은 mPc + Pc/2 이고, 여기서 m은 0.6이므로 최대전력은 1.6Pc입니다. 따라서 피변조파의 전력은 1.6Pc의 절반인 0.8Pc, 즉 800[W]입니다. 이를 반송파의 평균전력인 1,000[W]과 더하면 전체 출력은 1,800[W]가 됩니다. 그러나 DSB 변조에서는 반송파와 피변조파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므로, 출력 필터를 통과할 때 반송파와 피변조파가 중첩되어 전체 출력이 더해지게 됩니다. 이 중첩 효과로 인해 전체 출력은 1,180[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80[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직교주파수분할(OFD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파수 오프셋 등의 다양한 오류에 둔감 하다.
  2. 멀티패스 및 이동수신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3. 각의 부반송파들은 스펙트럼 상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는 최소 주파수 간격으로 중첩을 허용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스펙트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4. 다중반송파 전송기법의 일종으로 직렬로 입력되는 고속데이터열을 다수의 부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변조기법이다.
(정답률: 48%)
  • OFDM은 다중반송파 전송기법의 일종으로 직렬로 입력되는 고속데이터열을 다수의 부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변조기법이다. 따라서 "다중반송파 전송기법의 일종으로 직렬로 입력되는 고속데이터열을 다수의 부반송파에 실어 전송하는 변조기법이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OFDM은 멀티패스 및 이동수신환경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며, 각의 부반송파들은 스펙트럼 상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는 최소 주파수 간격으로 중첩을 허용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스펙트럼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오프셋 등의 다양한 오류에 둔감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주파수 오프셋 등의 다양한 오류에 둔감 하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펄스부호변조(PCM)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ading에 의한 영향으로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가 있다.
  2. 다단 전송이나 기록 재생 시 생기는 잡음의 누적이 적다.
  3. 점유 주파수대폭이 좁다.
  4. 전송로에 대한 비직선 왜곡의 영향이 적다.
(정답률: 59%)
  • "점유 주파수대폭이 좁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CM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주파수 대역폭이 넓어야 합니다. 따라서 PCM 방식은 주파수 대역폭이 넓은 통신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Klystron증폭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높은 이득, 양호한 효율을 갖는다.
  2. 대역폭이 넓다.
  3. 높은 동작전압을 필요로 한다.
  4. 고출력 선형 가속기로도 사용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높은 동작전압을 필요로 한다."이다. Klystron증폭기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데 사용되며, 대역폭이 넓은 이유는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기 때문이다. 또한, 높은 이득과 양호한 효율을 갖고 있으며, 고출력 선형 가속기로도 사용된다. 하지만, 높은 동작전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원 공급이 어렵고, 크기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레이다는 전파의 어떤 성질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위치를 탐지하는가?

  1. 회절성, 정속성
  2. 직진성, 정속성
  3. 직진성, 변속성
  4. 굴절성, 변속성
(정답률: 82%)
  • 레이다는 전파의 직진성과 정속성을 이용하여 목표물로부터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여 위치를 탐지합니다. 전파가 직진하고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목표물로부터 반사된 전파의 도달 시간과 전파의 속도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목표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마이크로웨이브 통신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정된 전파특성을 가진다.
  2. 협대역통신이 가능하다.
  3. 예민한 지향성과 고이득 안테나를 소형으로 얻을 수 있다.
  4. 전리층을 통과하여 전파하므로 우주통신이 가능하다.
(정답률: 57%)
  • "협대역통신이 가능하다"는 마이크로웨이브 통신의 장점이 아니다. 마이크로웨이브는 고주파 대역이기 때문에 전파의 진폭이 작아지고 주파수가 높아지면서 전파의 파장이 짧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마이크로웨이브는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좁은 각도로 전파를 발사하고 수신할 수 있으며, 전파의 간섭이 적어 협대역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통신위성시스템은 크게 페이로드 시스템과 버스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다음 중 버스 시스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세궤도제어 시스템
  2. 추진시스템
  3. 전원공급 시스템
  4. 안테나 시스템
(정답률: 67%)
  • 안테나 시스템은 버스 시스템에 해당되지 않는다. 버스 시스템은 위성 내부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필요한 시스템들이 모여있는 것을 말한다. 자세궤도제어 시스템은 위성의 자세를 제어하는 시스템, 추진시스템은 위성을 운동시키는 시스템, 전원공급 시스템은 위성에 전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반면 안테나 시스템은 페이로드 시스템에 해당되며, 위성에서 수집한 정보를 지구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Inmsat-C의 전파형식은?

  1. J3E
  2. G1B
  3. G1E
  4. A1A
(정답률: 69%)
  • Inmarsat-C는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시스템이므로, 전파형식은 "G1B"이다. "J3E"는 음성 통신에 사용되는 AM 모드, "G1E"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FSK 모드, "A1A"는 모르스 부호로 전송되는 CW 모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Imarsat Fleet-77을 이용한 긴급통신을 행할 경우 레벨로 적합한 것은?

  1. Level 1
  2. Level 2
  3. Level 3
  4. Level 4
(정답률: 65%)
  • Imarsat Fleet-77은 전 세계적으로 이동하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통신장비로, 긴급상황에서 통신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이 때, 레벨은 긴급성과 중요도에 따라 분류됩니다. Imarsat Fleet-77을 이용한 긴급통신은 레벨 2로 적합합니다. 이는 중요성이 높지만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지는 않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선박에서 작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 레벨 2로 긴급통신을 하여 화재 진압에 필요한 장비나 인력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직렬로 접속된 축전지를 부동 상태로 사용하면 개개의 축전지에 비중이나 전압의 분리가 발생하는데,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충전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1. 부동충전
  2. 초충전
  3. 과충전
  4. 균등충전
(정답률: 53%)
  • 균등충전은 여러 개의 축전지를 직렬로 접속하여 사용할 때, 각 축전지의 전압이나 비중 차이를 최소화하여 충전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축전지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직렬로 접속된 축전지를 부동 상태로 사용할 때는 균등충전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인버터 방식에서 전류원과 전압원을 비교할 때 전압원 인버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유도 전동기 구동시 속도 제어 범위가 더 넓다.
  2. 제어회로가 비교적 간단하다.
  3. 용량성, 유도성 부하 모두에 사용 가능하다.
  4. 주로 소, 중용량에 사용한다.
(정답률: 74%)
  • 답: "용량성, 유도성 부하 모두에 사용 가능하다."

    인버터 방식에서 전압원 인버터의 장점은 유도 전동기 구동시 속도 제어 범위가 더 넓다는 것입니다. 이는 전압원 인버터가 주파수를 변화시켜 속도를 제어하기 때문입니다. 제어회로가 비교적 간단하다는 것도 전압원 인버터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용량성, 유도성 부하 모두에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인버터 방식의 공통적인 특징입니다. 따라서 이는 전압원 인버터의 특징이 아니며, 다른 인버터 방식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마지막으로, 전압원 인버터는 주로 소, 중용량에 사용된다는 것도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송신기의 입력전압이 2,000[V], 입력전류가 100[mA]일 때 양극효율이 80[%]인 C급 증폭기가 있다. 송신기 출력은 얼마인가? (단, 양극회로의 Q가 무부하시 120 이며, 부하시 15 이다.)

  1. 120[W]
  2. 130[W]
  3. 140[W]
  4. 150[W]
(정답률: 57%)
  • 송신기의 입력전압과 입력전류를 곱하면 입력전력이 나온다. 따라서 입력전력은 2,000[V] x 100[mA] = 200[W] 이다. 양극효율이 80[%]이므로 출력전력은 입력전력의 80[%]인 160[W]이다.

    C급 증폭기의 경우, 양극회로의 Q가 무부하시 120 이므로 부하시 15일 때의 출력전력은 120[W]이다. 따라서, 부하에 따른 출력전력의 감소율은 120[W] / 15 = 8[W/Ω] 이다.

    송신기의 출력은 부하에 따른 출력전력의 감소율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부하는 15이므로, 출력전력은 120[W] - (8[W/Ω] x 15[Ω]) = 0[W] 이다.

    하지만, 이는 부하가 0일 때의 출력전력이므로, 실제 출력전력은 이보다 크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40[W]"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kW]의 송신기 전력이 전송되다가 송신출력이 3[dB] 떨어졌다. 이때의 전력은 약 몇 [kW]인가?

  1. 1
  2. 0.8
  3. 0.5
  4. 0.3
(정답률: 71%)
  • 3[dB]의 감쇠는 전력이 절반으로 줄어든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송신출력이 1[kW]에서 3[dB] 감쇠되어 0.5[k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AM송신기의 S/N비 측정 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직선검파기와 송신기는 소결합시켜 동조시킨다.
  2. S/N비에 대한 측정의 단위는 통상 [%]로 표시한다.
  3. 변조도는 80[%] 정도로 한다.
  4. 저주파발진기는 보통 1000[Hz]로 한다.
(정답률: 59%)
  • "S/N비에 대한 측정의 단위는 통상 [%]로 표시한다." 이유는 S/N비는 신호와 잡음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좋은 품질의 신호가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값을 백분율로 표시하는 것은, 해당 신호가 전체적으로 얼마나 잡음에 영향을 받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S/N비 측정 시에는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시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송신기의 출력 회로를 조정하여 컬렉터 직류전압이 2[kV] 컬렉터 직류전류가 200[mA]일 때 컬렉터 출력은? (단, 컬렉터 효율은 60[%]이다.)

  1. 400[W]
  2. 240[W]
  3. 160[W]
  4. 120[W]
(정답률: 65%)
  • 컬렉터 출력은 컬렉터 직류전압과 직류전류의 곱이므로, 출력은 2[kV] x 200[mA] = 400[W]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컬렉터 효율이 60[%]로 주어졌으므로, 실제 출력은 400[W] x 0.6 = 240[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0[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Push-Pull 전력증폭기에서 출력파형의 찌그러짐이 작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1. 직류성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2. 기수차 및 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에
  3. 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에
  4. 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에
(정답률: 77%)
  • Push-Pull 전력증폭기에서 출력파형의 찌그러짐이 작아지는 이유는 "우수차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에"이다. Push-Pull 전력증폭기는 두 개의 전자관이 180도 위상차를 이루어서 신호를 증폭하는데, 이 때 우수차 고조파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우수차 고조파는 반대쪽 전자관에서 발생하는 우수차 고조파와 상쇄되어 직류성분이 없어지고, 결과적으로 출력파형의 찌그러짐이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여축전지의 충전을 완료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전해액의 온도는 낮아진다.
  2. 전해액의 비중이 높아진다.
  3. 가스(물거품)가 많이 발생한다.
  4. 단자전압이 상승하여 2.6~2.8[V] 정도가 된다.
(정답률: 69%)
  • 단자전압이 상승하여 2.6~2.8[V] 정도가 된다는 것은 올바른 현상이지만, 전해액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은 틀린 내용입니다. 실제로는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내부 발열로 인해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수신기 4대 특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안정도
  2. 충실도
  3. 감도
  4. 변조율
(정답률: 67%)
  • 수신기 4대 특성요소는 안정도, 충실도, 감도, 선택도이다. 변조율은 송신기의 특성요소 중 하나로, 송신신호의 변조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변조율은 수신기의 특성요소가 아니며, 정답은 "변조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안테나공학

41. 다음 중 전자파를 이루는 전계와 자계의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전자파는 전계와 자계의 2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2. 전계와 자계는 시간적으로는 역위상이다.
  3. 전계와 자계는 공간적으로는 서로 직각이다.
  4. 전자파는 전계와 자계가 항상 같이 존재한다.
(정답률: 67%)
  • "전자파는 전계와 자계가 항상 같이 존재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전자파는 전계와 자계의 진동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전계와 자계는 서로 직각이며 공간적으로는 서로 직교합니다. 또한, 전계와 자계는 시간적으로 역위상 관계를 가지며, 전계가 최대일 때 자계는 최소이고, 전계가 최소일 때 자계는 최대입니다. 따라서, 전자파는 전계와 자계가 함께 존재하지만, 항상 같이 존재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TV 화면이 여러개로 겹쳐 보이는 고스트(Ghost) 현상이나 단파라디오를 들을 때 소리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페이딩 현상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전파의 성질은?

  1. 굴절성
  2. 반사성
  3. 산란성
  4. 회절성
(정답률: 65%)
  • 정답: 반사성

    전파가 반사되면, 원래의 전파와 반사된 전파가 겹쳐져서 강도가 증폭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사는 TV 화면이나 단파라디오 수신기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스트 현상이나 페이딩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가장 적합한 전파의 성질은 반사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자파의 전파속도는 매질의 어떤 특성에 따라서 변동하는가?

  1. 유전율과 도전율
  2. 유전율과 투자율
  3. 도전율과 투자율
  4. 도전율과 저항률
(정답률: 67%)
  • 전자파의 전파속도는 매질의 유전율과 투자율에 따라서 변동합니다. 유전율은 매질 내에서 전기장이 전기를 저장하는 능력을 나타내며, 투자율은 매질 내에서 전기장이 전기를 통과시키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유전율과 투자율이 높을수록 전자파의 전파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매질의 비율전율이 9이고, 비투자율이 1일 때 전파속도는 약 얼마인가?

  1. 1/9×108[m/sec]
  2. 1/3×108[m/sec]
  3. 1×108[m/sec]
  4. 3×108[m/sec]
(정답률: 67%)
  • 전파속도는 매질의 굴절률과 비례하므로, 비유로 표현된 비투자율을 굴절률로 변환해야 한다. 비투자율이 1이므로 굴절률은 2이다. 따라서 매질의 비율전율이 9일 때, 전파속도는 2/3배가 된다. 따라서 전파속도는 1×108[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특성 임피던스가 75[Ω]인 선로에 120[Ω]인 부하 임피던스를 접속할 때의 정재파비는 약 얼마인가?

  1. 0.1
  2. 0.6
  3. 1.6
  4. 2.6
(정답률: 62%)
  • 특성 임피던스가 75[Ω]인 선로에 120[Ω]인 부하 임피던스를 접속하면, 반사파가 발생하여 선로 상에서 전기적인 혼란이 생긴다. 이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부하 임피던스와 선로 임피던스가 일치해야 한다. 따라서 부하 측에서는 부하 임피던스와 일치하는 저항을 연결해야 한다.

    부하 임피던스가 120[Ω]이므로, 부하 측에서는 120[Ω]의 저항을 연결해야 한다. 이 때, 부하 측에서의 전류는 I = V/R = 1/120 A가 된다. 이 전류가 선로 상에서 흐르면서 발생하는 정재파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정재파비 = V * I = V^2 / R

    여기서 V는 선로 상에서의 전압이다. 선로 상에서의 전압은 부하 임피던스와 선로 임피던스에 따라 달라진다. 선로 상에서의 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 = (Zl / (Zl + Z0)) * Vg

    여기서 Zl은 부하 임피던스, Z0은 선로 임피던스, Vg는 발생하는 전압이다. 따라서 선로 상에서의 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V = (120 / (120 + 75)) * Vg = 0.6154 * Vg

    따라서 정재파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정재파비 = (0.6154 * Vg)^2 / 75 = 0.6 * Vg^2 / 5625

    여기서 Vg는 발생하는 전압이므로, Vg^2는 발생하는 전력이 된다. 따라서 정재파비는 발생하는 전력의 0.6배에 해당하는 값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동조 급전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급전선상에 정재파를 실어서 급전한다.
  2. 정함 장치가 불필요하다.
  3. 급전선 길이와 파장이 일정한 관계가 있다.
  4. 급전선상에서 전송손실이 작다.
(정답률: 18%)
  • 정답: "급전선상에 정재파를 실어서 급전한다."

    설명: 동조 급전선은 급전선상에서 정해진 파장의 전기파를 실어서 급전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급전선상에 정재파를 실어서 급전한다."는 오히려 동조 급전선의 특징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이 아니라 틀린 설명이다.

    반면에 "급전선상에서 전송손실이 작다."는 동조 급전선의 장점 중 하나이다. 동조 급전선은 길이와 파장이 일정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전송손실이 적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구형도파관에 차단파장보다 짧은 파장의 전파를 인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파전송이 불가능하다.
  2. 위상속도는 항상 빛의 속도보다 늦다.
  3. 군속도는 항상 빛의 속도보다 빠르다.
  4. 특성임피던스는 자계파의 경우 377[Ω]보다 크다.
(정답률: 53%)
  • "특성임피던스는 자계파의 경우 377[Ω]보다 크다." 인 이유는 자계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 수직이기 때문에 전기장과 자기장의 에너지 전달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계파는 전파가 전달되기 위해 더 큰 힘을 필요로 하며, 이는 특성임피던스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파관내에 관축과 직각인 평면내에 구멍이 뚫린 얇은 도체판(Slot)을 삽입하여 부하와 정합을 시키는 방법은?

  1. 무반사 종단회로
  2. 도체봉(Post)
  3. 스터브(Stud)
  4. 도파관 창(Window)
(정답률: 74%)
  • 도파관 창(Window)은 도파관 내부에 구멍이 뚫린 얇은 도체판으로, 부하와 정합을 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도파관의 내부 공간을 유지하면서도 외부에서 부하를 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파관 창(Windo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실효 길이는 λ/4 접지 안테나의 실효고의 몇 배인가?

  1. 1배
  2. 2배
  3. 3배
  4. 4배
(정답률: 62%)
  •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실효 길이는 λ/4 이므로, 접지 안테나의 실효고는 λ/2가 된다. 따라서,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실효 길이는 접지 안테나의 실효고의 2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안테나의 상대이득에서 기준 안테나는 무엇인가?

  1. 등방성 안테나
  2. 무손실 반파장 안테나
  3. λ/4 수직접지 안테나
  4. λ/4 보다 극히 짧은 수직접지 안테나
(정답률: 50%)
  • 안테나의 상대이득은 해당 안테나가 기준 안테나에 비해 얼마나 더 효율적으로 전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기준 안테나는 안테나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안테나입니다.

    무손실 반파장 안테나가 기준 안테나가 되는 이유는 이 안테나는 등방성 안테나와 달리 방향성이 없으며, λ/4 수직접지 안테나나 λ/4 보다 극히 짧은 수직접지 안테나와 달리 전파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때 손실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안테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상대이득을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어떤 접지 안테나의 복사저항이 30[Ω]이고 도체저항이 5[Ω]이며 손실저항이 25[Ω]이라고 할 때 안테나의 복사효율은 몇 [%]인가?

  1. 25[%]
  2. 50[%]
  3. 75[%]
  4. 100[%]
(정답률: 24%)
  • 복사효율은 복사저항과 전체저항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전체저항은 도체저항과 손실저항의 합이므로 30[Ω] + 5[Ω] + 25[Ω] = 60[Ω]이다. 따라서 복사효율은 30[Ω] / 60[Ω] x 100[%] =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비접지형 단일소자로 구성되지 않은 안테나는?

  1. 헬리컬 안테나
  2. 루프 안테나
  3. 야기 안테나
  4. 슬리브 안테나
(정답률: 53%)
  • 야기 안테나는 비접지형 단일소자로 구성되지 않은 안테나입니다. 야기 안테나는 두 개 이상의 긴 철사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이 철사들은 서로 교차하거나 평행하게 배치됩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야기 안테나는 다른 안테나들과는 달리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비접지형 단일소자로 구성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웨이브(Wave) 안테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틀린 것은?

  1. 지향특성은 단일 지향 특성이다.
  2. 도선의 길이가 사용파장에 비해 갈수록 빔폭이 넓어진다.
  3. 광대역 특성을 갖는다.
  4. 한 개의 안테나를 여러 주파수에 사용 할 수 있다.
(정답률: 24%)
  • "도선의 길이가 사용파장에 비해 갈수록 빔폭이 넓어진다."가 가장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도선의 길이가 짧을수록 빔폭이 넓어지고, 길이가 길어질수록 빔폭이 좁아집니다. 이는 안테나의 지향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도선의 길이가 짧을수록 안테나는 넓은 각도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발신할 수 있으며, 길이가 길어질수록 좁은 각도에서만 신호를 수신하거나 발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극초단파용 안테나가 아닌 것은?

  1. 슬롯 안테나
  2. 렌즈 안테나
  3. 유전체 안테나
  4. 애드콕 안테나
(정답률: 48%)
  • 애드콕 안테나는 극초단파용 안테나가 아닙니다. 애드콕 안테나는 초고주파와 마이크로파 주파수 범위에서 사용되는 안테나로, 주로 위성 통신이나 레이더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표파의 전파양식에서 전계강도가 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해상 - 평야 - 구릉 - 시가지
  2. 사막 - 산악 - 평야 - 구릉
  3. 산악 - 구릉 - 해안 - 사막
  4. 시가지 - 평야 - 구릉 - 산악
(정답률: 75%)
  • 지표파의 전파양식에서 전계강도는 지형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해상에서는 지표가 평평하고 장거리로 전파가 전달되기 때문에 전계강도가 가장 큽니다. 평야에서도 지표가 평평하고 장거리로 전파가 전달되기 때문에 전계강도가 높습니다. 구릉 지형에서는 지표가 고도차가 있어 전파가 반사되거나 산란되기 때문에 전계강도가 낮아집니다. 시가지에서는 건물과 같은 장애물로 인해 전파가 차단되거나 반사되기 때문에 전계강도가 가장 낮습니다. 따라서 "해상 - 평야 - 구릉 - 시가지"가 전계강도가 큰 순서대로 나열된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대기의 굴절률 분포의 변화에 의하여 전파통로의 굴절 효과가 변화하고 그 때문에 직접파와 대지반사파의 위상차가 시간적으로 변화하여 발생하는 페이딩의 종류는?

  1. 산란형
  2. K형
  3. 덕트형
  4. 신틸레이션형
(정답률: 65%)
  • 정답인 K형은 대기의 굴절률 분포가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페이딩 형태입니다. 이는 전파가 대기를 통과하면서 굴절률이 다르게 작용하여 전파의 진폭과 위상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페이딩은 주로 고주파 대역에서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안테나 기술과 신호처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주파수 대역에 따른 전리층 전파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중파의 경우 야간에 E층 반사를 할 수 있다.
  2. 장파의 경우 주야 구분 없이 D층의 영향을 받는다.
  3. 단파의 경우 주간에 높은 주파수, 야간에 낮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4. 장거리 통신에서 장파는 페이딩이 적으나 단파는 페이딩이 일어나기 쉽다.
(정답률: 48%)
  • "장파의 경우 주야 구분 없이 D층의 영향을 받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중파의 경우 야간에 E층 반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은 맞다. 단파의 경우 주간에 높은 주파수, 야간에 낮은 주파수를 사용한다는 것도 맞다. 장거리 통신에서 장파는 페이딩이 적으나 단파는 페이딩이 일어나기 쉽다는 것도 맞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에 따른 전리층 전파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델린저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태양면의 폭발에 기인한다.
  2. 돌발적으로 발생한다.
  3. 주간에 저위도 지역에서 발생한다.
  4. 높은 주파수의 전파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
(정답률: 69%)
  • "높은 주파수의 전파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델린저 현상은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풍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높은 주파수의 전파에 영향을 많이 미치기 때문에 라디오 통신 등에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자연잡음이 아닌 것은?

  1. 대기잡음
  2. 침적잡음
  3. 온도잡음
  4. 코로나 방전
(정답률: 78%)
  • 코로나 방전은 전기적인 에너지가 공기 중에서 방전될 때 발생하는 소리로, 자연적인 소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원거리통신에서 장파에 비해 단파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페이딩이 발생하기 쉽다.
  2. 공전의 영향을 받기 쉽다.
  3. 안테나 소형이다.
  4. F층 반사파를 주로 이용한다.
(정답률: 32%)
  • 단파는 공전의 영향을 받기 쉽다는 것이 잘못된 것이다. 공전은 지구 주변의 대기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단파는 지구 주변의 대기층에서 반사되어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통신영어 및 교통지리

61. Choose the most suitable words for the blank of the following sentence.

  1. Study Group
  2. Plenipotentiary Conference
  3. Radio Assembly
  4. General Secretariat
(정답률: 62%)
  • The blank refers to a high-level meeting where decisions are made, and the only option that fits this description is "Plenipotentiary Conferenc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Choose the best definition of certain terms which would be appropriate in the following sentence.

  1. Government Telecommunications
  2. Administration
  3. Delegation
  4. Harmful Interference
(정답률: 73%)
  • The term "Administration" refers to the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managing and regulating the telecommunications system.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Choose the best definition of certain terms which would be appropriate in the following sentence.

  1. Automobile Station
  2. Satellite Station
  3. Fixed Station
  4. Base Station
(정답률: 70%)
  • Base Station: A fixed transceiver that serves as the central node for one or more wireless device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Select appropriate one in the blank in following Regulation;

  1. on scene communications
  2.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3. 2,182[kHz] radio telephony
  4. VHF radio telephone communications
(정답률: 53%)
  • 해당 규정은 "VHF 무선 전화 통신"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는 규정에서 언급된 "156~174[MHz] 주파수 대역"과 "VHF 무선 전화"라는 용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규정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들이므로 정답은 "VHF radio telephone communication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Choose the suitable one in the blank and complete the following sentence.

  1. MAYDAY, English
  2. PAN, English
  3. PAN, French
  4. SECURITE, French
(정답률: 56%)
  • "SECURITE" is the correct answer because it is a distress signal used in French, indicating that there is an immediate danger to the safety of a person or vessel.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Choose the suitable one in the blank and complete the following sentence.

  1. 2100, H3E, 2182
  2. 1606.5, F3E, 2182
  3. 1606.5, J3E, 2182
  4. 525.6, J3E, 2187.5
(정답률: 57%)
  • 주파수가 2182이고, 모드가 J3E인 경우에 해당하는 주파수와 모드의 값이 "1606.5, J3E, 218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Choose the wrong Korean translation for the underlined parts.

  1. 선박국
  2. 선박지구국
  3. 구명정국
  4. 해당 절에서 송신하고 있는
(정답률: 6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Which is the Organization to continue its studies of the GMDSS?

  1. IMO
  2. MMO
  3. ITU-R
  4. ITU-T
(정답률: 57%)
  • ITU-R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Radiocommunication Sector) is the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the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standards and regulations. It works closely with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to ensur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maritime communications. Therefore, ITU-R is the organization to continue its studies of the GMDSS.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약어를 잘못 표현한 것은?

  1. CQ - General call to all stations
  2. OK - It is correct
  3. - End of message
  4. CS - Call sign
(정답률: 59%)
  • " - End of message"이 잘못 표현된 것이 아니라, 올바르게 표현된 것이다. 이는 모스 부호에서 "AR"이라는 약어로 사용되며, "End of message"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에서 전송할 문자의 발음이 정확하지 않은 것은?

  1. T : TANG GO
  2. G : GOLF
  3. A : AL FAH
  4. Z : ZOO NEE
(정답률: 67%)
  • 정답은 "A : AL FAH"입니다. "AL"은 "알"로 발음되어야 하지만 "알파"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습니다. "Z : ZOO NEE"는 "주니"로 발음되는데, "Z"는 영어 알파벳 중 유일하게 "Zed"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지만, "Zoo"로 발음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아래 문장이 뜻하는 것은?

  1. freeboard
  2. draft
  3. distance
  4. breadth
(정답률: 48%)
  • 해당 그림은 선박의 크기와 관련된 용어를 설명하고 있다. "Draft"는 선박이 물에 담길 때 물면과 선박 바닥 사이의 거리를 뜻한다. 따라서, 정답은 "draf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단어 중 “Nature of distress"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Anchoring
  2. Abandon
  3. Collision
  4. Fire
(정답률: 60%)
  • 정답: Anchoring

    설명: "Nature of distress"는 어떤 위험 상황이나 위기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Anchoring"은 배나 선박이 정박하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 위기 상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Anchoring"은 "Nature of distress"에 속하지 않는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Which is improper one of the following relations?

  1. 통과지점(보고지점) : Calling-in-point
  2. 전속후진((全速後進) : Full stern
  3. 건현(乾舷) : Freeboard
  4. 전장(全長) : Length Over all(LOA)
(정답률: 71%)
  • The improper relation is "전속후진 : Full stern". 전속후진 means full astern or full reverse, which is a maneuver to stop or reverse the direction of a ship. Full stern, on the other hand, refers to the height of the ship's stern above the waterline. These two terms are not related to each other and cannot be used interchangeably.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Straits 소재위치를 말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Sunda Strs.는 Sumatra섬과 Malaysia 사이에 있다.
  2. Palk Strs.는 India와 Sri - Lanka 사이에 있다.
  3. Hormuz Strs.는 Iran과 Oman 사이 Gulf of Persian 입구에 있다.
  4. Mozambique Strs.는 Africa와 Madagascar섬 사이에 있다.
(정답률: 50%)
  • 정답은 "Mozambique Strs.는 Africa와 Madagascar섬 사이에 있다." 이다.

    Sunda Strs.는 인도네시아의 Sumatra섬과 말레이시아 사이에 위치하며, Palk Strs.는 인도와 스리랑카 사이에 위치한다. Hormuz Strs.는 이란과 오만 사이의 페르시아 만 입구에 위치한다.

    따라서, Sunda Strs.는 Sumatra섬과 Malaysia 사이에 위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틀린 것은?

  1. Bay of Bengal은 India 동쪽의 바다 이름이다.
  2. Bay of Biscay는 France 서쪽, Spain 북쪽의 바다 이름이다.
  3. Gulf of mexico은 Mexico와 California 반도 사이의 바다 이름이다.
  4. Arabian sea는 India 서족의 바다 이름이다.
(정답률: 48%)
  • 정답은 "Gulf of mexico은 Mexico와 California 반도 사이의 바다 이름이다."가 아닌 것이다. Gulf of Mexico는 Mexico와 Florida 반도 사이의 바다 이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지중해와 홍해를 연결하는 운하는?

  1. 수에즈운하
  2. 파나마운하
  3. 북해운하
  4. 키일운하
(정답률: 59%)
  • 정답은 "수에즈운하"입니다. 이는 지중해와 홍해를 연결하는 운하로, 이 운하는 에지프트의 수에즈 지방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운하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선로 중 하나로, 세계 무역의 대부분이 이곳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말레이시아반도와 인도네시아 사이의 해협의 명칭으로 맞는 것은?

  1. 싱가폴
  2. 말라카
  3. 북해운하
  4. 말레이지아
(정답률: 73%)
  • 말레이시아반도와 인도네시아 사이의 해협의 명칭은 "말라카"입니다. 이는 말레이시아의 도시인 말라카에서 유래되었으며, 세계적인 해상 무역 노선 중 하나인 말라카 해협을 통해 많은 선박들이 통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편서풍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온대 고압대에서 한 대 저압부의 남북 위도 30도와 60도 사이에서 분다.
  2.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에 의하여 발생한다.
  3. 북반구에서는 남서풍, 남반구에서는 북서풍이 분다.
  4. 남반구보다 북반구의 편서풍이 강하다.
(정답률: 75%)
  • "남반구보다 북반구의 편서풍이 강하다."는 편서풍의 설명으로 맞는 것이다.

    이유는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대기가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데, 북반구에서는 이 서쪽으로 이동하는 대기와 고기압이 만나면서 강한 편서풍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반면, 남반구에서는 이 서쪽으로 이동하는 대기와 저기압이 만나면서 약한 편서풍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고기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공기가 나가면 그곳을 채우기 위해 하강 기류가 생긴다.
  2. 날씨가 좋아진다.
  3. 고기압의 범위는 저기압에 비해 대개 광범위하다.
  4. 상승기류가 생긴다.
(정답률: 53%)
  • "상승기류가 생긴다."는 고기압의 특징이 아니다. 고기압은 대기압이 높아서 공기가 밖으로 나가려고 하지 않고 내부로 들어오려고 하기 때문에 하강 기류가 생긴다. 이로 인해 대기 중 습기가 증발하고 날씨가 맑아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고기압의 범위는 저기압에 비해 대개 광범위하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우리나라에 내습하는 TYPHOON은 주로 어느 지역에서 발생하는가?

  1. Hawaiian Is.
  2. Mariana Is.
  3. Fuji Is.
  4. Solomon Is.
(정답률: 59%)
  • 우리나라에 내습하는 태풍은 주로 태평양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마리아나 제도는 태평양 북서부에 위치하며, 태풍이 발생하는 경로상 중요한 지역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마리아나 제도에서 발생한 태풍은 우리나라에 내습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파관계법규

81. 다음 중 전파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 및 관리
  2. 전파 관련분야의 진흥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
  3. 전파이용과 전파에 관한 기술의 개발 촉진
  4. 새로운 전파자원의 개발
(정답률: 65%)
  • 전파법의 목적은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 및 관리, 전파 관련 분야의 진흥과 공공복리의 증진, 전파 이용과 전파에 관한 기술의 개발 촉진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전파자원의 개발"은 전파법의 목적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미 존재하는 전파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관리하며, 기술의 개발을 촉진하여 새로운 전파자원을 창출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무선국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항공국이란 항공기에 설치된 무선국이다.
  2. 선반국은 선박에 개설하여 해상이동업무를 행하는 무선국이다.
  3. 고정국은 고정업무를 행하는 무선국이다.
  4. 기지국은 육상이동국과 통신을 할 수 있다.
(정답률: 59%)
  • 정답은 "기지국은 육상이동국과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다. 기지국은 육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설을 말한다. 항공국은 항공기에 설치된 무선국이며, 선반국은 선박에 설치된 무선국이다. 고정국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고정된 업무를 수행하는 무선국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전파자원 확보를 위하여 수립·시행하여야 하는 시책이 아닌 것은?

  1. 새로운 주파수의 이용기술 개발
  2. 이용중인 주파수의 이용 효율 향상
  3. 주파수의 이용 효율 개선을 위한 조사
  4. 국가간 전파 혼신을 해소하기 위한 협의·조정
(정답률: 56%)
  • 주파수의 이용 효율 개선을 위한 조사는 이미 이용중인 주파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조치이기 때문에, 전파자원 확보를 위한 시책이 아닙니다. 새로운 주파수의 이용기술 개발은 추가적인 전파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며, 이용중인 주파수의 이용 효율 향상과 국가간 전파 혼신을 해소하기 위한 협의·조정도 전파자원 확보를 위한 시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파수 회수 또는 재배치할 때에 손실보장을 해야 하는 경우는?

  1. 국제전기통신연합이 세계 공통으로 국제분배를 변경하여 주파수 분배를 변경한 경우
  2. 기간통신사업의 허가가 취소된 경우
  3. 종합유선방송사업의 허가가 취소된 경우
  4. 주파수의 용도가 제1순위 업무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정답률: 59%)
  • 주파수의 용도가 제1순위 업무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통신 업무나 안전에 관련된 업무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해 손실보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주파수 회수 또는 재배치할 때에는 이러한 용도의 주파수를 우선적으로 보호하고 보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주파수할당을 받은 자가 주파수이용기간이 만료되어 주파수재할당을 받으려면 주파수이용기간 만료 및 몇 개월 전에 재할당 신청을 하여야 하나?

  1. 1개월 전
  2. 2개월 전
  3. 3개월 전
  4. 6개월 전
(정답률: 65%)
  • 주파수재할당을 받으려면 이전 주파수이용기간이 만료되기 전에 재할당 신청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주파수재할당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주파수를 사용하지 않는 기간이 일정 기간 이상 지나야 합니다. 이 기간이 6개월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개월 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선상통신국의 무선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은 몇 년인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53%)
  • 선상통신국의 무선국 개설허가의 유효기간은 5년이다. 이는 무선국 개설자가 일정 기간마다 무선국 운영에 필요한 기술과 규정을 업데이트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인 무선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갱신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5년마다 무선국 개설허가를 갱신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선박국이 그 선박이 소재하는 통신권의 해안국에 통지해야 할 경우로 맞지 않는 것은?

  1. 선박이 당해 해안국의 통신권에 들어 왔을 때
  2. 선박이 당해 해안국의 통신권을 떠나고자 할 때
  3. 선박이 입항으로 폐국하고자 할 때
  4. 선박이 입거 수리차 토크에 들어 갈 때
(정답률: 69%)
  • 선박이 입거 수리차 토크에 들어갈 때는 선박이 이동하지 않고 정지 상태이기 때문에 통신권을 떠나거나 들어오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통지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송신설비의 안테나, 급전선 등 고압전기를 통과하는 장치는 그 높이가 사람이 보행하거나 생활하는 평면으로부터 몇[m]이상이어야 하는가?

  1. 2.5[m]
  2. 3[m]
  3. 3.5[m]
  4. 4[m]
(정답률: 74%)
  • 송신설비의 안테나나 급전선 등 고압전기를 통과하는 장치는 안전을 위해 그 높이가 사람이 보행하거나 생활하는 평면으로부터 2.5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안테나나 전선 등이 높이가 낮으면 사람이 접촉하여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이러한 장치들은 일정한 높이 이상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수신 설비의 충족 조건이 아닌 것은?

  1. 수신 주파수는 운용 범위 이내일 것
  2. 선택도가 클 것
  3. 내부 잡음이 클 것
  4. 낮은 신호에서도 감도가 양호할 것
(정답률: 62%)
  • 내부 잡음이 클 경우, 수신기에서 원하는 신호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수신 설비의 충족 조건이 아니다. 내부 잡음은 수신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잡음으로, 이는 수신기의 설계나 구성 요소의 품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잡음이 작을수록 수신 설비의 성능이 더욱 우수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안테나공급전력 표시 방법 중 평균전력의 표시는?

  1. PX
  2. PY
  3. PR
  4. PZ
(정답률: 56%)
  • 평균전력은 "PY"로 표시됩니다. 이는 "Y"가 평균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PX"는 최대전력, "PR"은 실시간 전력, "PZ"는 최소전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X", "R", "Z"가 해당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선박이나 항공기의 조난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무선설비로 조난통신을 한 자의 벌칙은?

  1.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2.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3. 4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4.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정답률: 65%)
  • 선박이나 항공기의 무선설비는 긴급한 상황에서만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난통신을 하지 않은 경우에도 무선설비를 남용하면 다른 사람들의 안전에 지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법률에서는 무선설비를 남용한 경우에는 엄격한 처벌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선박이나 항공기의 조난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무선설비로 조난통신을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ITU의 업무규칙 중 하나인 전파규칙(RR)을 부분적으로 개정 할 수 있는 조직은?

  1. 세계전파통신회의
  2. 전파규칙위원회
  3. 전파관리위원회
  4. 전파통신국
(정답률: 48%)
  • 세계전파통신회의는 ITU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이며, 전파규칙(RR)을 부분적으로 개정할 수 있는 유일한 조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파규칙(RR)을 개정할 권한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국제전기통신연합의 법률문서 규정 간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협약과 업무규칙의 규정 간에는 협약이 우선한다.
  2. 헌장과 협약 간에 규정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에는 헌장이 우선한다.
  3. 헌장과 협약 또는 업무규칙의 규정 간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에는 헌장이 우선한다.
  4. 규정의 중요도에 따라 헌장, 협약 및 업무규칙을 우선 적용한다.
(정답률: 59%)
  • "규정의 중요도에 따라 헌장, 협약 및 업무규칙을 우선 적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의 법률문서에서는 규정 간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정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규정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인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세계전파통신회의 영문 약자는?

  1. RA
  2. RRC
  3. WRC
  4. RRB
(정답률: 78%)
  • 세계전파통신회의 영문 이름은 "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이며, 이를 줄여서 "WRC"라고 약자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WRC"입니다. "RA"는 무선통신인증기관(Radio Authority), "RRC"는 무선규제회의(Radio Regulations Conference), "RRB"는 무선규제이사회(Radio Regulations Board)를 나타내는 약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국제전파규칙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회원국들은 필요한 서비스를 충족시킬 수 있는 최대한의 주파수를 이용하기 위해 가능한 최신 기술을 적용하도록 노력
  2. 회원국은 이 규칙에 따라 운용하는 다른 회원국의 무선통신업무에 대하여 유해 혼신을 야기하지 않도록 무선국을 설침·운용
  3. 한정된 천연자원인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과 정지위성궤도에 대한 공평한 접근과 그 합리적 사용을 촉진
  4. 조난 및 안전목적으로 규정된 주파수의 이용가능성을 보장하고 이를 유해혼신으로부터 보호
(정답률: 35%)
  • "회원국은 이 규칙에 따라 운용하는 다른 회원국의 무선통신업무에 대하여 유해 혼신을 야기하지 않도록 무선국을 설침·운용"은 국제전파규칙의 원칙이 아닙니다.

    "회원국들은 필요한 서비스를 충족시킬 수 있는 최대한의 주파수를 이용하기 위해 가능한 최신 기술을 적용하도록 노력"은 주파수의 효율적 이용을 촉진하는 원칙입니다. 이는 무선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주파수 스펙트럼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해상 인명안전협약(SOLAS)에서 정의하는 해역 중 계속적인 DSC 경보를 이용할 수 있는 최소한 하나의 VHF 해안국의 무선전화 통신 범위 내의 해역은 무엇인가?

  1. A1 해역
  2. A2 해역
  3. A3 해역
  4. A4 해역
(정답률: 69%)
  • A1 해역은 해안국의 무선전화 통신 범위 내의 해역으로, 최소한 하나의 VHF 해안국의 DSC 경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1 해역은 다른 해역들보다 더 안전한 해역으로 간주됩니다. A2, A3, A4 해역은 각각 A1 해역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거나, 무선전화 통신이 불안정한 지역이기 때문에, 더 많은 안전장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통신 보안이란 무엇인가?

  1. 통신내용을 감청 분석하는 것이다.
  2. 통신내용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다.
  3. 통신소 위치를 탐지하는 것이다.
  4. 통신장비를 안전하게 보존하는 것이다.
(정답률: 77%)
  • 통신 보안은 통신하는 내용이 제3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통신내용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보안책임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불필요한 내용의 무선통신 사용 억제
  2. 통신보안에 관한 관계규정 숙지 및 이행
  3. 무선국 운용에 따른 통신보안업무 활동계획 수립
  4.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발신하고자 하는 통신문에 대한 보안성 검토
(정답률: 60%)
  • "유선통신을 이용하여 발신하고자 하는 통신문에 대한 보안성 검토"는 보안책임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보안책임자가 아닌 보안전문가나 보안관리자가 수행하는 업무입니다. 보안책임자는 불필요한 내용의 무선통신 사용 억제, 통신보안에 관한 관계규정 숙지 및 이행, 무선국 운용에 따른 통신보안업무 활동계획 수립 등의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전기통신역무를 제공받기 위하여 개설한 무선국의 시설자의 통신보안 위반사항이 아닌 통신은?

  1. 북한통신소와의 교신 행위
  2. 국내 침투 간첩 신고를 위한 교신 행위
  3. 반국가적 행위의 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내용
  4. 범위행위를 목적으로 하거나 범죄행위를 교사하는 내용
(정답률: 62%)
  • 정답은 "국내 침투 간첩 신고를 위한 교신 행위"입니다. 이는 국가 안보를 위해 중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국내 기관이 해당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으로, 통신보안 위반사항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57%)
  • 이율이 1년에 4%인 경우, 복리로 5년 후의 원리금은 원금의 1.04^5배가 된다. 이를 계산하면 1.04^5 = 1.21665 이므로, 5년 후의 원리금은 원금의 1.21665배가 된다. 따라서, 5년이 가장 적합한 답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