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5-07)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2016-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중소기업관련법령

1. 중소기업기본법상 정부가 실시해야 하는 중소기업시책으로 명시된 내용이 아닌 것은?

  1.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산 시설의 현대화
  2.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販路) 확대를 위한 유통구조의 현대화
  3. 중소기업의 국제화 촉진을 위한 중소기업의 수출입 진흥
  4. 중소기업의 근로환경 개선과 복지수준 향상
  5. 기술개발과 경영혁신을 통한 경쟁력 확보 및 투명한 경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중소기업의 근로환경 개선과 복지수준 향상"

    해설: 중소기업기본법에서는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제품의 판로 확대, 국제화 촉진, 근로환경 개선과 복지수준 향상, 그리고 기술개발과 경영혁신을 통한 경쟁력 확보 및 투명한 경영을 중소기업시책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소기업의 근로환경 개선과 복지수준 향상"입니다.

    기술개발과 경영혁신을 통한 경쟁력 확보 및 투명한 경영은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술개발을 통해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경영혁신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경영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투명한 경영을 통해 신뢰를 쌓고 고객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는 중소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청장이 중소기업 시책에 참여하려는 중소기업자가 동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자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국세청장에게 과세정보의 제출을 문서로 요청할 경우, 이에 명시해야 할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매출액
  2. 상시 근로자 수
  3. 자기자본(자산총액-부채총액)
  4. 법인설립등기일 또는 사업자등록을 한 날
  5. 주주현황 및 다른 법인에 대한 출자현황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매출액"

    중소기업청장이 국세청장에게 과세정보의 제출을 문서로 요청할 경우, 명시해야 할 사항은 상시 근로자 수, 자기자본, 법인설립등기일 또는 사업자등록을 한 날, 주주현황 및 다른 법인에 대한 출자현황입니다. 이 중 법인설립등기일 또는 사업자등록을 한 날은 중소기업자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입니다. 이는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라 중소기업자로 인정되는 법인의 경우, 법인설립등기일 또는 사업자등록일을 기준으로 중소기업자로 인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 옴부즈만이 독립하여 수행하는 업무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1. 불합리한 규제 등에 따른 중소기업의 고충처리
  2. 중소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규제의 발굴 및 개선
  3. 중소기업 사회적책임경영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
  4. 중소기업 관련 규제와 애로사항의 조사ㆍ분석
  5. 중소기업에 영향을 주는 기존 규제의 정비와 애로사항 해결 등에 관한 보고서 작성 및 보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중소기업 사회적책임경영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입니다. 중소기업기본법에서는 중소기업 옴부즈가 독립하여 수행하는 업무로 "불합리한 규제 등에 따른 중소기업의 고충처리", "중소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규제의 발굴 및 개선", "중소기업 관련 규제와 애로사항의 조사ㆍ분석", "중소기업에 영향을 주는 기존 규제의 정비와 애로사항 해결 등에 관한 보고서 작성 및 보고"가 포함됩니다. 하지만 "중소기업 사회적책임경영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은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영이 상대적으로 최근에 강조되기 시작한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자가 아닌 자로서 중소기업 확인자료를 거짓으로 제출하여 중소기업시책에 참여한 자에게 부과하는 벌칙으로 옳은 것은?

  1.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3. 500만원 이하의 벌금
  4. 1천만원 이하의 벌금
  5. 1천만원 이하의 과징금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기본법 제63조에 따르면, 중소기업자가 아닌 자로서 중소기업 확인자료를 거짓으로 제출하여 중소기업시책에 참여한 자에게는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는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유도하고, 거짓 정보를 제공하는 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벌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업무집행조합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업무는 업무집행조합원이 집행한다.
  2. 업무집행조합원은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 조합의 업무를 집행하여야 한다.
  3. 업무집행조합원은 해당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규약을 사무소에 갖추어 두고 누구든지 열람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업무집행조합원은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업무를 집행할 때 자금차입, 지급보증 또는 담보제공을 할 수 있다.
  5. 업무집행조합원은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등록이 취소된 경우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에서 탈퇴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업무집행조합원은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업무를 집행할 때 자금차입, 지급보증 또는 담보제공을 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20조에 규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가 그 사업의 수행을 위하여 필요할 경우 자금을 차입할 수 있는 곳이 아닌 것은?

  1. 정부가 설치한 기금
  2. 국내외 금융기관
  3. 중소기업상담회사
  4. 외국정부
  5. 국제기구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상담회사는 자금을 차입할 수 있는 곳이 아니라서 정답입니다. 중소기업상담회사는 중소기업의 경영상담 및 지원을 위한 기관으로, 자금을 대출해주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가 자금을 차입할 수 있는 곳은 "정부가 설치한 기금"과 "국내외 금융기관", "외국정부", "국제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로 등록하려는 자가 등록신청서 제출시 첨부하여야 할 서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관
  2. 사업계획서
  3. 주주의 명부
  4. 임원의 이력서
  5. 회계법인의 감사의견서가 첨부된 결산서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로 등록하려는 자가 제출해야 할 서류는 정관, 사업계획서, 주주의 명부, 임원의 이력서, 회계법인의 감사의견서가 첨부된 결산서입니다. 따라서 "회계법인의 감사의견서가 첨부된 결산서"는 첨부해야 할 서류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정답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특정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로서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 따른 지원을 받으려는 자는 등록요건을 갖추어 중소기업청장에게 중소기업상담회사로 등록하여야 한다. 그 사업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 따른 지원을 받으려면 중소기업상담회사로 등록해야 하며, 등록요건으로는 "ㄱ.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창업 및 경영지원에 관한 전문성과 경력을 갖춘 자, 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창업 및 경영지원에 필요한 정보 및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자, ㄷ.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창업 및 경영지원에 필요한 제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가 있다. 따라서 "ㄱ, ㄴ, ㄷ"는 모두 등록요건을 충족시키는 항목들이다. 그리고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서 지원 대상 사업으로는 "ㄱ. 제조업, ㄴ. 건설업, ㄹ. 도소매업 및 숙박업, 음식점업, 서비스업"이 있다. 따라서 "ㄱ, ㄴ, ㄹ"은 모두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서 지원 대상 사업으로 포함되는 항목들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중소기업청장은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가 등록을 취소할 수 있는 사유에 해당하여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건전한 운영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그 임직원에 대하여 문책의 요구를 할 수 있다. 그 문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감봉
  2. 강등
  3. 경고
  4. 면직 또는 해임
  5. 6개월 이내의 직무정지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청장이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건전한 운영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 그 임직원에 대하여 감봉, 경고, 면직 또는 해임, 6개월 이내의 직무정지 등의 문책을 요구할 수 있지만, 강등은 해당하지 않는다. 강등은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등록취소와 관련된 사항으로, 중소기업청장이 직접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법적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강등은 중소기업청장이 요구할 수 있는 문책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해산 사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존속기간의 만료
  2. 유한책임조합원 과반수의 탈퇴
  3.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인 업무집행조합원 전원의 탈퇴
  4.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인 업무집행조합원 전원의 등록의 말소
  5. 업무집행조합원인 창업투자회사의 등록이 취소되거나 파산 등으로 인하여 업무수행을 계속하기가 곤란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해산 사유로 옳지 않은 것은 "유한책임조합원 과반수의 탈퇴"이다. 이유는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서는 유한책임조합원 과반수의 탈퇴를 해산 사유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해산 사유로 인정되지만, 유한책임조합원 과반수의 탈퇴는 그렇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지도사(경영 또는 기술지도사를 말함)가 경영 및 기술 진단에 수반되는 증명업무를 행하지 못하는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과거 1년 이내에 배우자가 사용인이었던 자
  2. 배우자가 임원에 준하는 직위에 있는 회사
  3. 해당 지도사와 1억원 이상의 채권 또는 채무관계에 있는 자
  4. 해당 지도사가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상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회사
  5. 해당 지도사에게 통상의 거래가격보다 현저히 낮은 대가로 지도사 사무실을 제공하고 있는 회사
(정답률: 알수없음)
  • "과거 1년 이내에 배우자가 사용인이었던 자"는 해당 지도사의 업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증명업무를 행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되어 해당 대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정부가 중소기업자의 원활한 협업 수행을 위하여 지원사업을 할 수 있는 사항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1. 협업자금 지원
  2. 기술개발자금 출연
  3. 수출 및 판로개척 지원
  4. 공동 법인 설립 등에 관한 자문
  5. 정보 및 기술 교류의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의 파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부가 중소기업자의 원활한 협업 수행을 위하여 지원사업을 할 수 있는 사항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정보 및 기술 교류의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의 파견"입니다. 이는 법률상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이를 지원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수출, 판로개척, 법인 설립 등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중소기업창업 및 진흥기금(이하 “기금”이라 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금의 재원에는「공공자금관리기금법」에 따른 공공자금관리기금에서의 예수금(豫受金)이 포함된다.
  2. 중소기업진흥공단은 이사회의 의결을 거쳐 중소기업청장의 승인을 받아 기금의 부담으로 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3. 채권의 발행액은 적립된 기금의 20배를 초과할 수 없다.
  4. 채권의 소멸시효는 상환일부터 기산하여 원금은 10년, 이자는 5년으로 완성된다.
  5. 중소기업진흥공단은「국가재정법」제73조에 따른 기금결산보고서를 작성하여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매 회계연도가 지난 후 2개월 이내에 중소기업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채권의 소멸시효는 상환일부터 기산하여 원금은 10년, 이자는 5년으로 완성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채권의 소멸시효는 일반적으로 3년이며, 특별한 경우에는 최대 10년까지 연장될 수 있습니다.

    채권의 소멸시효란 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해 법적으로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채무의 발생일로부터 3년이 지나면 소멸시효가 발생하며, 이후에는 채권자는 법적으로 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다만, 특정한 경우에는 소멸시효가 연장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채권자와 채무자가 합의하여 소멸시효를 연장하는 경우나, 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한 소송을 제기한 경우에는 소멸시효가 연장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중소기업가업 승계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라 함)의 지정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원센터의 지정기준, 지정절차 및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정부는 지원센터의 운영에 사용되는 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3. 법인이 아니더라도 지원센터의 지정을 받을 수 있다.
  4. 지원센터로 지정받은 자는 해당 연도의 사업 계획과 전년도의 사업추진 실적을 매년 1월 31일까지 중소기업청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5. 지원센터의 업무에는 외국 사례 등 가업승계 원활화를 위한 선진제도 발굴에 관한 사항도 포함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법인이 아니더라도 지원센터의 지정을 받을 수 있다."가 옳은 것이다.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서는 법인이 아니더라도 중소기업가업 승계를 지원하는 능력과 경험을 갖춘 단체나 개인도 지원센터로 지정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중소기업가업 승계를 촉진하기 위해 가능한 많은 지원센터를 지정하고, 지역사회나 산업분야별로 다양한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경영 또는 기술지도사의 자격시험(이하 “자격시험”이라함)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청장이 실시하는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는 지도사(경영지도사 또는 기술지도사를 말함)의 자격을 가진다.
  2. 시ㆍ도지사는 자격시험 합격자에게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지도사자격증을 내주어야 한다.
  3. 자격시험의 응시 자격, 시험 과목, 시험 방법 및 시험실시기관의 업무 범위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4. 자격시험에서 부정한 행위를 한 사람에 대해서 합격 결정 취소처분을 한 경우 그 취소처분을 한 날부터 5년간 지도사자격시험 응시 자격을 정지한다.
  5. 시험실시기관은 자격시험을 치려는 사람이 자격시험 응시원서 접수 마감일의 다음 날부터 시험시행 20일 전까지 접수를 취소한 경우 낸 응시수수료의 100분의 60에 해당하는 금액을 돌려주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ㆍ도지사는 자격시험 합격자에게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지도사자격증을 내주어야 한다. (옳지 않은 설명)

    이유: 시ㆍ도지사가 아닌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도사자격증을 발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협동화실천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ㄹ
  2. ㄱ, ㄹ, ㅁ
  3. ㄴ, ㄷ, ㅁ
  4. ㄱ, ㄴ,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협동화실천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ㄱ.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방안
    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혁신 지원 방안
    ㄷ.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방안
    ㄹ. 중소기업의 인력양성 및 고용창출 지원 방안
    ㅁ. 중소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지원 방안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 ㅁ"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상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청장이 추진하여야 하는 지원사업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1. 기술혁신에 필요한 자금지원
  2. 기술혁신 성과의 사업화
  3.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육성
  4. 기술혁신 과제의 사업타당성 조사
  5. 중소기업의 우수한 혁신기술의 성과에 대한 전시ㆍ홍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중소기업의 우수한 혁신기술의 성과에 대한 전시ㆍ홍보"는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상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사업 중 하나로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다른 사업들과는 달리, 기술혁신의 성과를 전시하고 홍보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지원사업입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능력을 인식하고, 기술혁신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유도하고자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상 중소기업 기술혁신 추진위원회(이하 “기술혁신 추진위원회”라 함)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술혁신 추진위원회는 촉진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경우 그 결과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2. 기술혁신 추진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20명 이상 3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3. 기술혁신 추진위원회의 위원장은 민간위원이 아닌 자 중에서 호선(互選)한다.
  4. 기술혁신 추진위원회의 위원중 공무원이 아닌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다.
  5. 기술혁신 추진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술혁신 추진위원회의 위원장은 민간위원이 아닌 자 중에서 호선(互選)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기술혁신 추진위원회의 위원장은 총리가 임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상 품질인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청장은 품질인증 신청을 받은 경우에는 품질인증을 받으려는 중소기업의 공장에 대한 심사를 하고, 인증기준에 적합하면 유효기간을 정하여 품질인증을 하여야 한다.
  2. 품질인증의 인증기준에 적합하려면 제품의 품질 불량률이 1백만분의 1천 이하이어야 한다.
  3. 중소기업청장은 품질인증을 받으려는 중소기업으로부터 품질인증과 관련하여 필요한 비용을 받을 수 있다.
  4. 품질인증의 유효기간은 품질인증을 받은 날부터 3년으로 한다.
  5. 중소기업청장은 품질인증을 받은 중소기업이 인증기준에 미치지 못하게 된 경우 품질인증을 취소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청장은 품질인증을 받은 중소기업이 인증기준에 미치지 못하게 된 경우 품질인증을 취소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중소기업청장은 품질인증을 받은 중소기업이 인증기준에 미치지 못하게 된 경우, 해당 기업에 대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지만, 품질인증을 취소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하 “기술정보진흥원”이라 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자ㆍ개인 또는 단체가 출연하여 설립한다.
  2. 기술정보진흥원은 법인으로 하며,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3. 공공기관ㆍ중소기업자ㆍ개인 또는 단체는 기술정보진흥원이 중소기업 기술혁신 기반조성사업을 하는 경우에 그 사업수행에 필요한 경비를 지원할 수 있다.
  4. 기술정보진흥원에 관하여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에서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민법」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5. 정부는 기술정보진흥원의 설립ㆍ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예산의 범위에서 출연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술정보진흥원은 중소기업자ㆍ개인 또는 단체가 출연하여 설립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에서는 기술정보진흥원의 설립 주체로 중소기업자, 개인 또는 단체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지원기관, 대학, 연구소 등도 포함된다.

    따라서, "기술정보진흥원에 관하여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에서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민법」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기술정보진흥원이 사단법인으로 설립되며, 사단법인에 관한 법적 규정을 따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주식회사인 벤처기업의 주식매수선택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는 주식의 총 한도는 해당 벤처기업이 발행한 주식총수의 100분의 50으로 한다.
  2.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려는 벤처기업은 주주총회의 특별결의가 있으면 별도의 신고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
  3. 벤처기업의 주식매수선택권은 타인에게 양도할 수 없으므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가 사망하는 때에는 그 상속인이 이를 부여받을 수 없다.
  4.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주주총회 결의가 있는 날부터 이를 행사할 수 있다.
  5.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는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과 시가와의 차액(행사가격이 시가보다 낮은 경우의 차액을 말함)을 현금이나 자기주식으로 주는 방법으로 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벤처기업이 발행한 주식총수의 100분의 50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는 주식의 총 한도가 정해진 것은 벤처기업의 주식매수선택권에 관한 특별조치법에서 규정한 사항이다. 이는 벤처기업의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대한 제한을 두어, 해당 기업의 주식 발행 수를 고려하여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는 한도를 설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ㄴ":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서 정의한 용어 중 하나로, 벤처기업의 기준을 나타냄. 벤처기업이란, 창업기업이며 기술혁신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거나 기존 시장에서 혁신적인 역할을 하는 기업을 말함. 이를 위해 기존 기술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며, 이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어야 함.
    - "ㄱ":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서 정의한 용어 중 하나로, 벤처중소기업의 기준을 나타냄. 벤처중소기업이란, 매출액 또는 자산총액이 일정한 기준 이하인 기업으로, 벤처기업의 기술혁신 능력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원하는 대상 기업을 말함.
    - "ㄷ":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서 정의한 용어 중 하나로, 벤처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지원 대상을 나타냄. 이를 위해 정부나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연구개발사업, 기술이전사업, 기술협력사업 등을 받을 수 있음.

    따라서, "ㄴ, ㄷ"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한국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할 수 있는 자는?

  1. 중소기업협동조합
  2. 신기술사업금융업자
  3. 중소기업창업자문회사
  4. 상시 근로자 수가 5명인 소기업
  5. 출자금 총액이 조합 결성금액의 0.5퍼센트인 「상법」상 유한회사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할 수 있는 자는 "신기술사업금융업자"입니다. 이는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서 정한 사항으로, 신기술사업금융업자는 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및 투자 등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벤처기업 육성에 큰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한국벤처투자조합의 업무집행조합원에게 금지된 행위가 아닌 것은?

  1. 자금차입ㆍ지급보증 또는 담보를 제공하는 행위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융기관의 주식을 취득하거나 소유하는 행위
  3.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는 회사에 투자하는 행위
  4. 담보권의 실행으로 비업무용부동산을 취득하는 행위
  5. 자기나 제삼자의 이익을 위하여 한국벤처투자조합의 재산을 사용하는 행위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벤처투자조합의 업무집행조합원에게 금지된 행위 중에서, 담보권의 실행으로 비업무용부동산을 취득하는 행위는 금지되지 않은 것이 아니라 금지된 행위입니다. 이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5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유는 이러한 행위는 벤처기업육성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 않으며, 벤처투자조합의 자금을 낭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한국벤처투자조합의 해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국벤처투자조합은 결성목적이 달성되었다고 조합원 전원이 동의하는 경우에도 해산할 수 없다.
  2. 한국벤처투자조합은 유한책임조합원 전원이 탈퇴하면 해산한다.
  3. 한국벤처투자조합은 업무집행조합원 중 1인이라도 탈퇴할 경우 해산한다.
  4. 한국벤처투자조합이 해산하면 유한책임조합원 전원이 청산인이 된다.
  5. 한국벤처투자조합의 해산 당시의 출자금액을 초과하는 채무가 있으면 유한책임조합원 전원이 그 채무를 변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벤처투자조합은 유한책임조합원 전원이 탈퇴하면 해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벤처기업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업종으로 분류되지 않은 것은?

  1. 피부미용업
  2. 비알콜 음료점업
  3. 노래연습장 운영업
  4. 음반 및 비디오물 임대업
  5. 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
(정답률: 알수없음)
  • 음반 및 비디오물 임대업은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벤처기업에 포함되지 않는 업종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해당 업종이 기술적 혁신과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중소기업청장은 공공기관이 여성기업에 불합리한 차별적 관행이나 제도를 시행할 경우 그 시정을 요청하여야 한다.
  2. 중소기업청장은 여성기업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2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추진하여야 한다.
  3. 중소기업청장은 여성기업의 활동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매년 실태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공표하여야 한다.
  4.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한국여성경제인협회의 사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국유재산과 공유재산을 무상으로 협회에 대부하여야 한다.
  5.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기업에 대한 자금을 지원할 때 여성기업의 활동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여성기업을 우대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기업에 대한 자금을 지원할 때 여성기업의 활동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여성기업을 우대하여야 한다. 이는 여성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여성 창업자들이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상 여성기업에 대한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청장은「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 따른 중소기업 창업지원계획에 여성의 창업촉진을 위한 계획을 포함시켜야 한다.
  2. 공공기관의 장은「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중소기업자인 여성기업이 직접 생산하고 제공하는 제품의 구매를 촉진하여야 한다.
  3. 중소기업청장은 여성기업의 기술혁신 지원계획을 원활하게 수립ㆍ시행하기 위하여 여성기업 기술혁신 지원단을 설치ㆍ운영하여야 한다.
  4. 「산업디자인진흥법」에 따른 한국디자인진흥원은 여성기업의 디자인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5. 한국여성경제인협회는 여성의 창업과 여성기업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촉진하기 위하여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를 설치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기관의 장은「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중소기업자인 여성기업이 직접 생산하고 제공하는 제품의 구매를 촉진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중소기업기본법에서는 공공기관의 장이 중소기업자인 여성기업이 생산ㆍ제공하는 제품의 구매를 촉진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이와 관련된 내용이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정답 해설: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여성기업의 창업, 기술혁신, 디자인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중소기업청장이 여성기업 기술혁신 지원단을 설치ㆍ운영하는 것은 여성기업의 기술혁신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상 소상공인연합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상공인연합회를 설립하려는 법인ㆍ조합 및 단체는 그 회원의 100분의 50 이상이 소상공인일 것을 요건으로 한다.
  2. 소상공인연합회의 대표자는 반드시 소상공인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3. 소상공인연합회를 설립하려는 자는 정관과 그 밖에 법령이 요구하는 서류를 시ㆍ도지사에게 제출하여 설립허가를 받아야 한다.
  4. 소상공인연합회는 법인으로 한다.
  5. 소상공인 연합회는 지역별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지회(支會)를 두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상공인연합회는 법인으로 한다."는 법률상 소상공인연합회가 법인으로 설립되어야 한다는 규정이기 때문입니다. 법인으로 설립되면 회원들의 책임이 제한되어 있어 위험부담이 줄어들고, 조직적인 운영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상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부는 폐업하려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하여 취업훈련의 실시 및 취업 알선에 관한 사업을 할 수 있다.
  2. 소상공인의 사업전환에 따라 사업장을 이전하면서 농지 전용(轉用)이 수반된 경우 농지보전부담금을 면제한다.
  3. 정부는 소상공인의 구조개선 및 경영합리화 등의 구조고도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소상공인 해외 창업의 지원에 관한 사업을 할 수 있다.
  4. 중소기업청장은 소상공인의 조직화 및 협업화를 위하여 상표 및 디자인의 공동 개발에 관한 지원사업을 할 수 있다.
  5.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소상공인의 경영안정과 성장을 지원하기 위하여 소상공인에 대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관계 법률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소득세, 재산세 및 등록면허세 등을 감면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상공인의 사업전환에 따라 사업장을 이전하면서 농지 전용(轉用)이 수반된 경우 농지보전부담금을 면제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농지보전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소상공인이 농지를 이전하면서 농지보전부담금을 부담할 경우 소상공인의 경제적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면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중소기업 사업전환 촉진에 관한 특별법상 중소기업청장이 중소기업사업전환촉진계획을 수립ㆍ시행할 때 그 계획에 포함시켜야 할 사항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 사업전환정책의 추진방향에 관한 사항
  2. 사업전환 지원체계의 구축과 운영에 관한 사항
  3. 사업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사항
  4. 사업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사항
  5. 중소기업의 인력구성 및 인력수요의 변화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 사업전환 촉진에 관한 특별법에서 중소기업청장이 중소기업사업전환촉진계획을 수립ㆍ시행할 때 포함시켜야 할 사항으로 명시된 것은 "중소기업 사업전환정책의 추진방향에 관한 사항", "사업전환 지원체계의 구축과 운영에 관한 사항", "사업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사항", "사업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사항"입니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인력구성 및 인력수요의 변화에 관한 사항"은 포함되지 않아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중소기업 사업전환 촉진에 관한 특별법상 중소기업청장이 설치ㆍ운영할 수 있는 중소기업사업전환지원센터의 업무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1. 사업전환계획의 수립 지원에 관한 사항
  2. 사업전환을 위한 정보의 제공과 컨설팅 지원에 관한 사항
  3. 사업전환에 따른 부담금의 부과ㆍ징수에 관한 사항
  4. 자금의 융자 주선과 인수ㆍ합병의 연계 지원에 관한 사항
  5. 유휴설비(遊休設備) 유통정보의 제공과 거래 주선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사업전환에 따른 부담금의 부과ㆍ징수에 관한 사항"입니다. 중소기업사업전환지원센터의 업무로는 사업전환계획의 수립 지원, 사업전환을 위한 정보의 제공과 컨설팅 지원, 자금의 융자 주선과 인수ㆍ합병의 연계 지원, 유휴설비 유통정보의 제공과 거래 주선 등이 있습니다. 사업전환에 따른 부담금의 부과ㆍ징수는 법적인 절차와 관련된 부분으로, 중소기업청이 아닌 관련 기관에서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중소기업 사업전환 촉진에 관한 특별법상 주식교환을 하려는 승인기업이 작성하는 주식교환계약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단, 승인기업 중「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주권상 장법인은 제외함)

  1. 사업전환의 내용
  2. 주식교환을 할 날
  3. 자기주식의 취득 방법ㆍ가격 및 시기
  4. 사업전환에 필요한 재원과 그 조달계획
  5. 교환할 주식의 가액의 총액ㆍ평가ㆍ종류 및 수량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전환은 기존의 사업을 다른 사업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해서는 새로운 사업을 위한 자금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주식교환계약서에는 사업전환에 필요한 재원과 그 조달계획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는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자금 조달 방법과 그에 따른 예산 등을 명확히 하여, 사업전환의 성공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중소기업 사업전환 촉진에 관한 특별법상 사업전환계획 승인의 취소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업전환계획의 이행실적조사 결과 사업전환계획의 이행이 어렵다고 판단된 경우
  2. 중소기업청장의 변경 승인 없이 사업전환계획을 변경한 경우
  3. 승인기업이 휴업으로 6개월 동안 기업활동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
  4.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사업전환계획의 승인을 받은 경우
  5. 승인기업이 사업전환계획의 승인을 받은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정당한 이유 없이 사업전환계획을 추진하지 아니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전환계획의 이행실적조사 결과 사업전환계획의 이행이 어렵다고 판단된 경우는 사업전환계획의 승인 취소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사업전환계획이 처음에는 적절하게 작성되었지만, 이행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어려움이 발생하여 계획대로 진행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중소기업청이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사업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상 중소기업 인력지원 기본계획 수립 등을 위하여 중소기업청장이 실시하는 중소기업 인력 및 인식개선 실태조사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의「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위반 실태에 관한 사항
  2. 중소기업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에 관한 사항
  3. 중소기업의 지역별ㆍ업종별ㆍ직종별 인력의 실태 및 특성에 관한 사항
  4. 중소기업의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에 관한 사항
  5. 중소기업의 대학생 현장체험학습 강화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상 중소기업 인력지원 기본계획 수립 등을 위한 실태조사에는 중소기업의 지역별, 업종별, 직종별 인력의 실태 및 특성, 중소기업의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대학생 현장체험학습 강화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파견근로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 실태에 관한 사항"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는 실태조사의 범위가 인력지원 및 인식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상 중소기업청장이 발굴하여 포상, 홍보하는 등 인식개선사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우수 중소기업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1. 우수한 혁신기술을 보유한 중소기업
  2. 산(産)ㆍ학(學)ㆍ연(硏) 협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중소기업
  3.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로 정하는 전문 인력을 채용한 중소기업
  4. 근로환경ㆍ직업능력개발 및 복리후생, 인력의 효율적인 활용 등 인력관리체제를 모범적으로 개선한 중소기업
  5. 중소기업청장이 중소기업 인식개선에 이바지한다고 인정하는 중소기업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로 정하는 전문 인력을 채용한 중소기업"입니다. 이유는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에서는 중소기업청장이 발굴하여 포상, 홍보하는 등 인식개선사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우수 중소기업으로 "고용노동부장관이 고시로 정하는 전문 인력을 채용한 중소기업"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상 중소기업 근로자에 대한 지원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가 순서대로 옳은 것은?

  1. 5, 1
  2. 7, 1
  3. 7, 5
  4. 10, 3
  5. 10, 5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내용은 중소기업 근로자에 대한 지원 내용이다. 이 중 "휴가비 지원"과 "복지행사비 지원"은 모두 근로자 1인당 연간 최대 (10)만원까지 지원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10,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특례규정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특례규정은 총 3가지이다. 이 중에서 "ㄱ, ㄷ, ㄹ"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선택할 수 있다.

    - "ㄱ" : 중소기업의 인력지원을 위해 고용보험료를 지원하는 규정
    - "ㄷ" : 중소기업의 인력양성을 위해 교육비를 지원하는 규정
    - "ㄹ" : 중소기업의 인력확보를 위해 해외근로자를 채용하는 경우 비자 및 체류자격 취득을 지원하는 규정

    따라서, "ㄱ, ㄷ, ㄹ"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장애인기업활동 촉진법상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가 수행하는 사업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1. 장애인기업에 대한 보증추천
  2. 장애인의 가족에 대한 창업지원
  3. 장애인기업에 대한 정보 및 자료 제공
  4. 장애인기업의 경영활동 및 판로지원
  5. 장애경제인에 대한 교육ㆍ훈련 및 연수
(정답률: 알수없음)
  •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가 수행하는 사업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 "장애인의 가족에 대한 창업지원"입니다. 이유는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는 주로 장애인기업에 대한 보증추천, 정보 및 자료 제공, 경영활동 및 판로지원, 장애경제인에 대한 교육ㆍ훈련 및 연수 등을 수행하는데, 장애인의 가족에 대한 창업지원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는 사업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장애인기업활동 촉진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애인이 소유하거나 경영하는「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소기업이 “장애인기업”이 되려면 고용된 상시근로자 총수 중 장애인의 비율이 100분의 50 이상일 것을 요한다.
  2. 공공기관의 장은 장애인기업이 생산하는 물품의 구매를 촉진하여야 한다.
  3. 중소기업청장은 매년 초에 장애인기업활동촉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장애인기업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하여야 한다.
  4. 중소기업청장은 창업보육센터사업자를 지정할 때에는 장애인창업자에게 창업에 필요한 시설ㆍ장소 등의 지원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창업보육센터사업자를 우선 지정할 수 있다.
  5. 중소기업청장은 장애경제인 및 장애인기업의 근로자에 대하여 경영능력과 기술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수ㆍ지도사업 및 경영컨설팅 지원사업 등을 실시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내용은 "장애인이 소유하거나 경영하는「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소기업이 “장애인기업”이 되려면 고용된 상시근로자 총수 중 장애인의 비율이 100분의 50 이상일 것을 요한다." 이유는 장애인이 소유하거나 경영하는 기업이 아니라, 고용된 상시근로자 중 장애인의 비율이 50% 이상이면 장애인기업으로 인정되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경영학

41. 유동자산 20억원, 유동부채 10억원, 재고자산 5억원인 경우 당좌비율은?

  1. 50 %
  2. 80 %
  3. 100 %
  4. 150 %
  5. 200 %
(정답률: 알수없음)
  • 당좌자산 = 유동자산 - 재고자산 = 20억원 - 5억원 = 15억원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x 100% = 15억원 / 10억원 x 100% = 150%
    따라서 정답은 "1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요구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외부경제효과
  2. 시장의 불완전성
  3. 환경요인간의 상호의존성 심화
  4. 기업영향력의 증대
  5. 공유가치 창출의 필요성
(정답률: 알수없음)
  • 외부경제효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요구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외부경제효과란 기업의 활동이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환경보호에 노력을 기울이면 이는 주변 지역의 건강한 생태계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지역 주민들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경제효과는 시장의 불완전성과 환경요인간의 상호의존성 심화, 기업영향력의 증대, 공유가치 창출의 필요성 등과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동종 또는 유사기업간의 수평적ㆍ수직적 결합이 아닌 이종기업간의 결합을 통해 이점을 추구하는 기업집중은?

  1. 카르텔(cartel)
  2. 트러스트(trust)
  3. 콘체른(konzern)
  4. 콩글로머리트(conglomerate)
  5. 조인트벤처(joint venture)
(정답률: 알수없음)
  • 콩글로머리트는 서로 다른 산업 분야에 속한 기업들이 합쳐져서 이점을 추구하는 기업집중 방식이다. 따라서 동종 또는 유사기업간의 수평적ㆍ수직적 결합이 아닌 이종기업간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음식점과 건설업체가 합쳐져서 건설과 관련된 시설을 운영하는 음식점을 운영하는 것이 콩글로머리트의 예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주식회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본의 증권화로 소유권 이전이 불가능하다.
  2. 주주는 무한책임을 진다.
  3. 소유와 경영의 분리가 불가능하다.
  4. 인적결합 형태로 법적 규제가 약하다.
  5. 자본조달이 용이하고, 과세대상 이익에 대해서는 법인세를 납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식회사는 자본의 증권화로 소유권 이전이 가능하며, 주주는 한정된 책임을 진다. 또한 소유와 경영의 분리가 가능하며, 인적결합 형태로 법적 규제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자본조달이 용이하고, 과세대상 이익에 대해서는 법인세를 납부한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공급사슬관리(SCM)가 중요해지는 이유에 해당하는 것은?

  1. 경영환경의 불확실성 증가
  2. 물류비용의 감소
  3. 채찍효과로 인한 예측의 불확실성 감소
  4. 기업의 경쟁강도 약화
  5. 리드타임의 영향력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하면 기업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재고 부족이나 과잉 생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공급사슬관리(SCM)가 중요해지는데, SCM은 기업의 생산, 유통, 판매 등의 모든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경영환경의 불확실성 증가는 SCM의 중요성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기업경영과 관련하여 윤리적 이슈에 해당 하지 않는 것은?

  1. 횡령
  2. 불공정 행위
  3. 환경파괴
  4. 수익성 제고
  5. 안전불감
(정답률: 알수없음)
  • 수익성 제고는 윤리적 이슈가 아니라 경영 목표 중 하나로서, 기업이 경쟁력을 유지하고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하지만 수익성 제고를 위해 불법적인 방법이나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익성 제고도 윤리적인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일본의 지식 경영학자인 노나까(I. Nonaka)의 지식변환 과정에서 형식지에서 암묵지로의 전환은?

  1. 자본화(capitalization)
  2. 연결화(combination)
  3. 외부화(externalization)
  4. 내면화(internalization)
  5. 사회화(socializ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형식지에서 암묵지로의 전환은 내면화(internalization)이다. 이는 개인이 형식적인 지식을 내면적인 지식으로 습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개인이 경험과 실제 상황에서 형식적인 지식을 적용하고 내면화하여 암묵적인 지식으로 습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어떤 생산시스템에 관한 설명인가?

  1. 공급사슬관리(SCM)
  2. 자재소요계획(MRP)
  3. 적시생산시스템(JIT)
  4. 컴퓨터통합생산(CIM)
  5. 유연제조시스템(FMS)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자재소요계획(MRP) 시스템의 예시이다. MRP는 생산에 필요한 자재의 수요를 예측하고, 그에 따라 자재를 발주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생산 계획을 세우고, 재고를 최소화하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위 그림은 MRP 시스템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터넷 쇼핑몰, 인터넷 뱅킹, 공연이나 여행관련 예약 등 기업과 소비자 간에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의 형태는?

  1. B2B
  2. C2C
  3. B2C
  4. B2G
  5. G2C
(정답률: 알수없음)
  • B2C는 "Business to Consumer"의 약자로, 기업과 소비자 간의 거래를 의미합니다. 인터넷 쇼핑몰, 인터넷 뱅킹, 공연이나 여행관련 예약 등은 모두 기업이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개인 소비자가 구매하는 형태이므로 B2C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E-비즈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E-비즈니스는 전자상거래와 인터넷 비즈니스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2. 인터넷 비즈니스는 네트워크의 규모가 클수록 새로운 참여자에 대한 가치가 커지는 무어의 법칙(Moore's Law)이 존재한다.
  3.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이란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인터넷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4. E-비즈니스에서 정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은 경쟁우위의 확보와 직결된다.
  5. E-비즈니스 기업은 빠르게 변화하는 초고속정보화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학습조직화 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 비즈니스는 네트워크의 규모가 클수록 새로운 참여자에 대한 가치가 커지는 무어의 법칙(Moore's Law)이 존재한다.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무어의 법칙은 컴퓨터 기술의 발전 속도가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법칙으로, 인터넷 비즈니스에서도 네트워크 규모가 커질수록 새로운 참여자에 대한 가치가 더욱 커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업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의-측정-분석-개선-관리(DMAIC)의 과정을 통하여 문제해결을 해나가는 경영혁신기법은?

  1. IRS
  2. CRM
  3. TQM
  4. DSS
  5. 6-sigma
(정답률: 알수없음)
  • 6-sigma는 DMAIC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경영혁신기법으로,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결함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과정의 품질을 개선하고, 결함을 예방하며,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기업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경영혁신기법으로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동기부여이론 중 과정이론에 해당하는 것은?

  1. 브룸(V. Vroom)의 기대이론
  2.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단계이론
  3. 아지리스(C. Argyris)의 성숙ㆍ미성숙이론
  4. 허즈버그(F. Herzberg)의 2요인이론
  5. 맥그리거(D. McGregor)의 XㆍY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브룸(V. Vroom)의 기대이론은 개인이 특정한 행동을 선택하는 것은 그 행동이 그 개인에게 기대되는 결과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강조하는 과정이론에 해당한다. 이론은 개인이 특정 행동을 선택하는 것은 그 행동이 개인의 성과에 대한 기대, 그리고 그 성과가 개인의 목표에 얼마나 부합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론은 개인의 동기부여를 결정하는 과정에 초점을 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아웃소싱(outsourc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이 생산ㆍ유통ㆍ포장ㆍ용역 등 업무의 일부분을 기업외부에 위탁하는 것이다.
  2. 기업을 혁신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 중단기간에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3. 성장과 경쟁력 및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4. 독립 가능한 사업부와 조직 단위를 개개의 조직 단위로 나누어 소형화하는 것이다.
  5. 기업은 고유업무에 집중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독립 가능한 사업부와 조직 단위를 개개의 조직 단위로 나누어 소형화하는 것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아웃소싱은 기업이 생산, 유통, 포장, 용역 등 업무의 일부분을 기업외부에 위탁하는 것으로,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기업을 혁신하고 중단기간에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Knowledge Management
  2.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3. Value Engineering
  4.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5. Executive Information Systems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지식관리(Knowledge Management)를 나타낸 것입니다. 지식관리는 조직 내부의 지식을 수집, 저장, 공유, 활용하여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지식을 수집하고, 저장하고, 공유하며, 활용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리더십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리더십 이론은 특성론적 접근, 행위론적 접근, 상황론적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블레이크(R. Blake)와 모우튼(J. Mouton)의 관리격자이론에 의하면 (9.9)형이 이상적인 리더십 유형이다.
  3. 허쉬(R. Hersey)와 블랜차드(K. Blanchard)는 부하들의 성숙도에 따른 효과적인 리더십행동을 분석하였다.
  4. 피들러(F. Fiedler)는 상황변수로서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 과업구조, 리더의 지휘권한 정도를 고려하였다.
  5. 하우스(R. House)의 경로-목표이론에 의하면 상황이 리더에게 아주 유리하거나 불리할 때는 과업지향적인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하우스(R. House)의 경로-목표이론에 의하면 상황이 리더에게 아주 유리하거나 불리할 때는 과업지향적인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이다. 경로-목표이론에서는 상황이 리더에게 유리하거나 불리한 경우에는 인간중심적인 리더십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의사소통(communication) 과정이 옳은 것은?

  1. ㄱ → ㄴ → ㄷ → ㄹ → ㅁ
  2. ㄱ → ㄷ → ㄴ → ㄹ → ㅁ
  3. ㄱ → ㄹ → ㄴ → ㄷ → ㅁ
  4. ㄴ → ㄱ → ㄷ → ㅁ → ㄹ
  5. ㄴ → ㄷ → ㄱ → ㅁ →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ㄱ → ㄴ → ㄷ → ㄹ → ㅁ"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가장 효율적인 순서를 나타냅니다. 먼저 발화자가 정보를 전달하고, 청취자가 이를 수신하고 이해한 후에, 청취자가 다시 발화자에게 피드백을 주어 의사소통이 완성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정보의 순서가 중요하며, 따라서 "ㄱ → ㄴ → ㄷ → ㄹ → ㅁ" 순서가 가장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명령통일의 원칙이 무시되며 개인이 두 상급자의 지시를 받고 보고를 하는 조직으로 동태적이고 복잡한 환경에 적합한 조직구조는?

  1. 사업부제 조직
  2. 팀 조직
  3. 네트워크 조직
  4. 매트릭스 조직
  5. 기능식조직
(정답률: 알수없음)
  • 매트릭스 조직은 명령통일의 원칙을 무시하면서도 개인이 두 상급자의 지시를 받고 보고를 하는 조직으로, 개인의 역량과 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동태적이고 복잡한 환경에 적합한 조직구조입니다. 이는 기능식조직과는 달리 프로젝트나 과제별로 팀을 구성하여 업무를 수행하므로, 조직 내부의 협력과 의사소통이 중요하며,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각 팀원들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히 정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통적 조직형태에 해당하는 것은?

  1. 사내벤처분사 조직
  2. 역피라미드형 조직
  3. 라인스텝조직
  4. 가상조직
  5. 글로벌 네트워크 조직
(정답률: 알수없음)
  • 라인스텝조직은 전통적인 조직형태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상하계층 구조를 가지며 각 부서는 명확한 역할과 책임을 가지고 일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는 조직 내부의 의사소통과 업무 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전통적 조직형태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카플란(R. Kaplan)과 노턴(D. Norton)이 제시한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의 4가지 관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고객(시장)
  2. 주주
  3. 학습과 성장
  4. 내부프로세스
  5. 재무
(정답률: 알수없음)
  • 주주는 균형성과표의 4가지 관점 중에서는 내부프로세스, 재무, 고객(시장), 학습과 성장에 해당하지 않는다. 주주는 기업의 소유주로서, 기업의 이익과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균형성과표에서는 기업의 성과를 평가하는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주주는 균형성과표의 관점 중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비자보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비자보호운동은 판매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야기되는 소비자의 불만에 대한 시민과 정부의 대응행동이다.
  2. 소비자보호운동은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거래관계에서 힘의 균형이 소비자에게 기울어지게 됨에 따라 이를 균등화시키기 위한 노력이다.
  3. 소비자보호 관련 법은 소비자 권리, 제품안전규제의 강화 및 개인정보 보호 등을 포함하고 있다.
  4. 소비자보호에는 안전, 피해보상, 깨끗한 환경에서 살 권리 등이 있다.
  5. 소비자보호운동은 기업이 경제와 사회에 해악을 미칠 수도 있다고 보는 시각에서 비롯 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소비자보호운동은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거래관계에서 힘의 균형이 소비자에게 기울어지게 됨에 따라 이를 균등화시키기 위한 노력이다.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 소비자보호운동은 소비자의 불만을 해결하고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는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거래관계에서 힘의 균형이 소비자에게 기울어지게 됨에 따라 이를 균등화시키기 위한 노력이라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적입니다. 다른 보기들도 소비자보호와 관련된 내용이지만, 이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동기부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에 의하면 자아실현이 최상위의 욕구이다.
  2. 허즈버그(F. Herzberg)의 2요인이론에 의하면 금전적 보상은 위생요인에 속한다.
  3. 알더퍼(C. Alderfer)의 ERG이론은 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4. 아담스(J. Adams)의 공정성이론은 내용이론에 속한다.
  5. 맥클레랜드(D. McClelland)는 성취욕구, 권력욕구, 친교욕구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담스(J. Adams)의 공정성이론은 내용이론에 속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아담스의 공정성이론은 프로세스 이론에 속합니다. 이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보상이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공정하게 받는지 여부에 따라 동기부여가 결정된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따라서 이 이론은 보상의 내용보다는 보상의 분배 방식에 초점을 둡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해크먼(R. Hackman)과 올드햄(G. Oldham)의 직무특성모형에서 직무가 다른 사람의 작업이나 생활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은?

  1. 기술다양성
  2. 과업정체성
  3. 과업중요성
  4. 자율성
  5. 피드백
(정답률: 알수없음)
  • 과업중요성은 직무가 다른 사람의 작업이나 생활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즉, 해당 직무가 조직의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거나, 다른 직원들의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과업중요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직무분석의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면접법
  2. 중요사건법
  3. 요소비교법
  4. 관찰법
  5. 질문지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직무분석의 방법 중에서 "요소비교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면접법"은 직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과 경험을 인터뷰를 통해 파악하는 방법, "중요사건법"은 직무 수행 중 발생하는 중요한 사건을 분석하여 직무를 파악하는 방법, "관찰법"은 직무 수행 중 관찰을 통해 직무를 파악하는 방법, "질문지법"은 직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과 경험을 질문지를 통해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평가자의 사람에 대한 경직된 고정관념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사고과의 오류는?

  1. 관대화 경향(leniency tendency)
  2. 중심화 경향(central tendency)
  3. 주관의 객관화(projection)
  4. 최근효과(recency tendency)
  5. 상동적 태도(stereotyping)
(정답률: 알수없음)
  • 상동적 태도는 평가자가 사람들을 일정한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 그룹에 대한 고정된 고정관념을 가지고 평가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직된 고정관념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사고과의 오류를 상동적 태도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마이클 포터(M. Porter)가 산업환경분석을 위해 사용한 5가지 경쟁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대체재의 위협
  2. 신규진입 위협
  3. 구매자의 교섭력
  4. 공급자의 교섭력
  5. 노조와의 교섭력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클 포터가 산업환경분석을 위해 사용한 5가지 경쟁요인 중 "노조와의 교섭력"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경쟁적인 산업환경에서 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노조와의 교섭력은 기업의 인력관리나 노동관계 등과 관련된 문제로, 경쟁적인 산업환경에서는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경영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학적 관리이론은 생산성과 효율성을 강조하였다.
  2. 자원기반이론은 기업의 활용 가능한 핵심자원에 초점을 두었다.
  3. 인간관계이론은 행동과학이론의 주장을 반박하며 인간을 다양한 욕구를 가진 존재로서 파악하였다.
  4. 시스템이론은 전체 시스템의 관점에서 조직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5. 상황이론은 조직구조 및 경영기법이 환경에 따라 변해야 한다고 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간관계이론은 행동과학이론의 주장을 반박하며 인간을 다양한 욕구를 가진 존재로서 파악하였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인간관계이론은 행동과학이론의 한 분야로서,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그 영향력을 중심으로 연구합니다. 따라서 인간관계이론은 인간의 다양한 욕구를 파악하는 것보다는 인간의 상호작용과 영향력에 초점을 둡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막스 베버(M. Weber)가 제시한 관료제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상위직급과 하위직급 간의 수평적 의사소통
  2. 문서로 정해진 규칙과 절차에 따른 과업의 수행
  3. 기능적 전문화에 기초한 체계적인 업무의 분화
  4. 직무는 전문화되고, 훈련받은 자에 의한 직무의 수행
  5. 안정적이고 명확한 권한계층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상위직급과 하위직급 간의 수평적 의사소통"입니다.

    막스 베버는 관료제를 다음과 같은 특성으로 정의했습니다.

    1. 문서로 정해진 규칙과 절차에 따른 과업의 수행
    2. 기능적 전문화에 기초한 체계적인 업무의 분화
    3. 직무는 전문화되고, 훈련받은 자에 의한 직무의 수행
    4. 안정적이고 명확한 권한계층

    따라서, 상위직급과 하위직급 간의 수평적 의사소통은 관료제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관료제에서는 권한과 책임이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으며, 상위직원이 하위직원에게 명령을 내리는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경영마인드(business min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영마인드에는 고객중심, 가치극대화, 경쟁우위 마인드를 포함한다.
  2. 고객중심 마인드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일체의 물리적ㆍ심리적 행동이 최상의 고객만족을 가져다주는 것을 추구한다.
  3. 가치극대화 마인드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자원을 투입하여 최대의 산출이 발생하도록 추구한다.
  4. 경쟁우위 마인드는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기술력이나 경영능력을 갖추는 것을 중시한다.
  5. 경영마인드는 형평성과 일관성을 추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영마인드는 형평성과 일관성을 추구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경영마인드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성공적인 경영을 위해 필요한 마인드셋으로, 고객중심, 가치극대화, 경쟁우위 마인드를 포함한다. 형평성과 일관성은 경영의 원칙이나 가치 중 일부이지만, 경영마인드의 전체적인 개념으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공장 내 설비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정별 배치는 비슷한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 활동들을 그룹별로 모아 놓은 것으로 개별주문생산시스템에 적합하다.
  2. 제품별 배치는 공정의 순서에 따라 배치하는 것으로 연속적인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재공품과 물류비 감소 및 생산 통제가 용이하다.
  3. 위치고정형 배치는 대단위 제품들을 한 곳에 모아 놓고 조립하는 형태로 프로젝트 기법을 활용하여 생산계획과 통제를 한다.
  4. 혼합형 배치는 공정과 제품요소를 동시에 혼합하는 것으로 소품종 대량생산의 경우에 적합하다.
  5. 프로세스별 배치는 특정제품을 생산하는 일련의 고정된 순서에 의해 배치하는 것으로 주로 특수화된 공구와 장치 생산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혼합형 배치는 소품종 대량생산에 적합하다는 설명이 옳은 것이다. 이유는 소품종 대량생산에서는 다양한 제품을 한꺼번에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과 제품요소를 동시에 혼합하는 형태의 배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혼합형 배치는 이러한 요구사항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은 어떤 생산공정에 관한 설명인가?

  1. 프로젝트공정
  2. 대량생산공정
  3. 유연생산공정
  4. 자동생산공정
  5. 연속생산공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생산공정은 제품의 생산이 일회성으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형태의 생산 방식이기 때문에 "프로젝트공정"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테일러(F. Taylor)의 과학적 관리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차별적 성과급제 적용
  2. 시간 및 동작연구를 통해 과업 결정
  3. 조명 및 계전기조립실험 실시
  4. 수행활동의 기능별 분업
  5. 근로자를 과학적으로 선발하여 교육
(정답률: 알수없음)
  • 조명 및 계전기조립실험은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의 내용이 아니며, 이는 공정공학과 관련된 실험입니다.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은 조직 내에서 효율적인 생산을 위해 작업 방법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개선하는 것을 중심으로 합니다. 따라서 조명 및 계전기조립실험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기업의 세후 타인자본비용 5 %, 자기자본비용 10 %, 타인자본의 시장가치 20억원, 자기자본의 시장가치 80억원인 경우 가중평균자본비용은?

  1. 5 %
  2. 7 %
  3. 9 %
  4. 11 %
  5. 13 %
(정답률: 알수없음)
  • 가중평균자본비용은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의 비율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의 비율을 계산해야 한다.

    타인자본의 비율 = 타인자본의 시장가치 / 전체 시장가치 = 20억원 / (20억원 + 80억원) = 0.2
    자기자본의 비율 = 자기자본의 시장가치 / 전체 시장가치 = 80억원 / (20억원 + 80억원) = 0.8

    가중평균자본비용 = (타인자본비용 x 타인자본의 비율) + (자기자본비용 x 자기자본의 비율)
    = (5% x 0.2) + (10% x 0.8)
    = 1% + 8%
    = 9%

    따라서, 정답은 "9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BCG매트릭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별(star)에 해당하는 사업은 성장전략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개(dog)에 해당하는 사업은 철수전략이나 회수전략이 바람직하다.
  3. 현금젖소(cash cow)에 해당하는 사업은 현재의 시장지위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4. 물음표(question mark)에 해당하는 사업이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다고 판단되면 성장전략과 과감한 투자가 바람직하다.
  5. 사업 포트폴리오의 성공적인 순환경로는 현금 젖소 → 별 → 물음표 → 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 포트폴리오의 성공적인 순환경로는 현금 젖소 → 별 → 물음표 → 개다." 이 설명은 옳다.

    - 별(star)에 해당하는 사업은 성장전략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은 시장 성장률이 높고,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높은 사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업은 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
    - 개(dog)에 해당하는 사업은 철수전략이나 회수전략이 바람직하다: 개는 시장 성장률이 낮고, 기업의 시장 점유율도 낮은 사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업은 철수나 회수를 고려해야 한다.
    - 현금젖소(cash cow)에 해당하는 사업은 현재의 시장지위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현금젖소는 시장 성장률은 낮지만, 기업의 시장 점유율은 높은 사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업은 현재의 시장지위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
    - 물음표(question mark)에 해당하는 사업이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다고 판단되면 성장전략과 과감한 투자가 바람직하다: 물음표는 시장 성장률이 높지만,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낮은 사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업은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면 성장전략과 과감한 투자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기업의 경영의사결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영의사결정은 미래의 상황을 예견하고 행동방안을 선택 또는 결정하는 행위이다.
  2. 전략적 의사결정은 기업의 내부자원을 조직화하기 위한 의사결정이다.
  3. 업무적 의사결정의 특징은 의사결정 내용이 단순하고 반복적, 분권적이다.
  4. 비정형적 의사결정은 경영자의 창의력이나 직관에 의존한다.
  5. 정형적 의사결정은 반복하여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표준화된 절차에 따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략적 의사결정은 기업의 내부자원을 조직화하기 위한 의사결정이 아니라, 기업의 장기적인 방향성과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전략을 수립하는 의사결정이다. 내부자원을 조직화하는 것은 전략적 의사결정의 일부분이 될 수 있지만, 전체적인 의사결정의 목적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인간은 인지능력의 한계로 제한된 합리성을 가지게 된다고 주장한 학자는?

  1. 마이클 포터(M. Porter)
  2. 허버트 사이먼(H. Simon)
  3. 헨리 페이욜(H. Fayol)
  4. 존 내쉬(J. Nash)
  5. 엘톤 메이요(E. Mayo)
(정답률: 알수없음)
  • 허버트 사이먼은 인간의 인지능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이 어렵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경제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개념으로 적용되어 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앤소프(H. Ansoff)가 주창한 성장전략 중 신제품을 통해 신시장에 진출하는 전략은?

  1. 저원가 전략
  2. 다각화 전략
  3. 시장개발전략
  4. 제품개발전략
  5. 시장침투전략
(정답률: 알수없음)
  • 앤소프가 주창한 성장전략 중 신제품을 통해 신시장에 진출하는 전략은 "다각화 전략"이다. 이는 기존 제품과는 다른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전략으로, 기존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여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STP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구통계적 세분화는 나이, 성별, 가족규모, 소득, 직업, 교육수준 등을 바탕으로 시장을 나누는 것이다.
  2. 행동적 세분화는 추구하는 편익, 사용량 등을 바탕으로 시장을 나누는 것이다.
  3. 사회심리적 세분화는 제품사용경험, 제품에 대한 태도, 충성도, 종교 등을 바탕으로 시장을 나누는 것이다.
  4. 시장표적화는 세분화된 시장의 좋은 점을 분석한 후 진입할 세분시장을 선택하는 것이다.
  5. 시장포지셔닝은 시장 내에서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고객을 위한 제품ㆍ서비스 및 마케팅 믹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심리적 세분화는 제품사용경험, 제품에 대한 태도, 충성도, 종교 등을 바탕으로 시장을 나누는 것이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집단의사결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개인의사결정에 비해 보다 정확한 경향이 있다.
  2. 개인의사결정에 비해 책임소재가 더 명확하다.
  3. 개인의사결정에 비해 더 많은 대안을 생성할 수 있다.
  4. 의사결정 시 다양한 경험과 관점을 반영할 수 있다.
  5. 소수의 아이디어를 무시하는 경향이 일어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개인의사결정에 비해 책임소재가 더 명확하다." 이다. 집단의사결정은 여러 사람이 함께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에 책임이 분산되어 개인의사결정보다 책임소재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투자안의 경제성 평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회수기간법은 회수기간 이후의 현금흐름을 고려한다.
  2. 회계적이익률법은 화폐의 시간적 가치를 고려한다.
  3. 수익성지수법에 의하면 수익성지수는 투자비/현금유입액의 현재가치이다.
  4. 순현재가치법에 의하면 순현재가치는 현금유입액의 현재가치에다 투자비를 더한 것이다.
  5. 내부수익률법에 의하면 개별 투자안의 경우 내부수익률이 자본비용보다 커야 경제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수익률법은 투자안의 현금유입액과 현금유출액을 고려하여 투자의 내부수익률을 계산하고, 이 내부수익률이 자본비용보다 크면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방법이다. 즉, 투자안이 자본비용보다 높은 수익을 내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제성이 있다고 평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관계마케팅의 등장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SNS 등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다양화
  2. 고객욕구의 다양화
  3. 시장규제 강화에 따른 경쟁자의 감소
  4. 표적고객들에게 차별화된 메시지 전달 필요
  5. 판매자에서 소비자 중심시장으로 전환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규제 강화는 경쟁자의 감소와 관계가 없으므로 옳지 않은 이유이다. 다른 보기들은 관계마케팅의 등장 이유로 옳은 이유들이다. SNS 등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다양화로 인해 고객들은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고객욕구의 다양화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판매자는 표적고객들에게 차별화된 메시지를 전달하여 관계를 형성하고, 판매자에서 소비자 중심시장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회계학개론

81. 재무제표를 표시하는 일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을 청산하거나 경영활동을 중단할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청산 또는 경영활동의 중단 외에 다른 현실적 대안이 없는 경우가 아니면 계속기업을 전제로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2. 현금흐름 정보를 제외하고는 발생기준 회계를 사용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3. 유사한 항목은 중요성 분류에 따라 재무제표에 구분하여 표시한다. 다만 중요하지 않은 항목은 성격이나 기능이 유사한 항목과 통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4.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을 준수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기업은 그러한 준수 사실을 주석에 명시적이고 제한없이 기재한다.
  5. 부적절한 회계정책은 이에 대하여 공시나 주석 또는 보충자료를 통해 설명함으로써 정당화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적절한 회계정책은 이에 대하여 공시나 주석 또는 보충자료를 통해 설명함으로써 정당화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부적절한 회계정책은 공시나 주석 또는 보충자료를 통해 정당화될 수 없으며, 오히려 이러한 행위는 부적절한 회계처리로 간주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 중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1. 목적적합성
  2. 충실한 표현
  3. 비교가능성
  4. 검증가능성
  5. 이해가능성
(정답률: 알수없음)
  • 재무정보의 검증가능성은 해당 정보가 외부에서 독립적으로 검증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해당 정보가 제공된 기업의 재무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외부에서 검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재무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재무제표 요소의 측정기준 중 공정가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정가치란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 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하면서 받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을 의미한다.
  2. 활성시장의 공시가격을 이용할 수 없는 금융상품은 공정가치 평가를 할 수 없다.
  3. 공정가치는 취득원가에 비하여 신뢰성은 낮으나 목적적합성이 높다.
  4. 재고자산의 저가법은 부분적으로 공정가치평가의 개념이 적용되고 있다.
  5. 금융자산은 성격에 따라 공정가치 변동에 따른 평가손익을 당기손익에 반영하기도 하고 기타포괄손익에 반영하기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활성시장의 공시가격을 이용할 수 없는 금융상품은 공정가치 평가를 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공정가치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자산의 가격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이지만,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경우에는 다른 방법으로 공정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자율, 확률 등을 고려하여 모델링을 통해 공정가치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시장의 공시가격을 이용할 수 없는 금융상품도 공정가치 평가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자산의 역사적원가가 현행원가에 비하여 목적적합성이 더 높다.
  2. 정보이용자가 항목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질적 특성을 이해가능성이라고 한다.
  3. 보강적 질적 특성은 근본적 질적 특성간 상충관계가 발생할 때 어느 방법을 선택해야 할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연차재무제표는 중간재무제표에 비하여 적시성이 더 높은 정보이다.
  5. 회계정보가 기업실체의 재무상태, 성과, 순현금흐름 또는 자본변동에 대한 정보이용자의 당초 기대치 또는 예측치를 확인하거나 수정함으로써 정보이용자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예측가치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보강적 질적 특성은 근본적 질적 특성간 상충관계가 발생할 때 어느 방법을 선택해야 할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이다. 이유는 근본적 질적 특성들은 서로 상충될 수 있으며, 이 때 보강적 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어느 방향으로 결정할지를 도와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확성과 적시성이 상충될 때 보강적 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어느 측면을 우선시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주)한국의 20×6년도 재무상태표의 기초자산이 ₩500,000이고 기말자산이 ₩900,000이며 기말부채는 ₩300,000이다. 한편 (주)한국의 20×6년도 손익계산서상의 총수익은 ₩250,000이며 총비용이 ₩180,000이다. 20×6년 중 ₩100,000의 유상증자가 있었을 경우 20×6년도의 기초부채금액은?

  1. ₩50,000
  2. ₩60,000
  3. ₩70,000
  4. ₩80,000
  5. ₩90,000
(정답률: 알수없음)
  • 기말자산 = 기초자산 + 총수익 - 총비용 - 기말부채
    900,000 = 500,000 + 250,000 - 180,000 - 300,000
    기초부채 = 70,000

    유상증자는 자본에 영향을 주지만 부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기초부채금액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7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재무상태표에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의 정상영업주기 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하거나, 정상영업주기 내에 판매하거나 소비할 의도가 있는 경우에 유동자산으로 분류한다.
  2. 주로 단기매매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유동자산으로 분류한다.
  3. 현금이나 현금성자산으로서, 교환이나 부채상환 목적으로의 사용에 대한 제한기간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인 경우에 비유동자산으로 분류한다.
  4. 매입채무 그리고 종업원 및 그 밖의 영업원가에 대한 미지급비용은 보고기간 후 12개월 후에 결제일이 도래한다면 비유동부채로 분류한다.
  5. 기업이 기존의 대출계약조건에 따라 보고기간 후 적어도 12개월 이상 부채를 차환하거나 연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그런 재량권이 있다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만기가 도래한다 하더라도 비유동부채로 분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매입채무 그리고 종업원 및 그 밖의 영업원가에 대한 미지급비용은 보고기간 후 12개월 후에 결제일이 도래한다면 비유동부채로 분류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매입채무와 영업원가 등의 미지급비용은 일반적으로 유동부채로 분류되며,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상환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유동부채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주)한국의 20×6년도 보통주 당기순이익은 ₩100,000이고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는 500주이다. 만약 (주)한국의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이 10이라고 한다면, (주)한국의 20×6년도 기말현재 주가는?

  1. ₩1,000
  2. ₩2,000
  3. ₩3,000
  4. ₩4,000
  5. ₩5,000
(정답률: 알수없음)
  •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은 주가를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주)한국의 주가는 ₩100,000 ÷ 10 = ₩10,000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는 500주이므로, 기말현재 주가는 ₩10,000 × 500주 = ₩5,000,000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000"인 이유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주)한국은 20×6년 5월 1일 임차건물에 대한 1년치 임차료 ₩3,456,000을 일시에 지급하면서 차변항목을 “임차료”로 분개하였다. 20×6년 12월 31일 결산시점에 필요한 수정분개는?

  1. (차) 선급임차료 ₩1,152,000
    (대) 임차료 ₩1,152,000
  2. (차) 선급임차료 ₩1,440,000
    (대) 임차료 ₩1,440,000
  3. (차) 선급임차료 ₩2,304,000
    (대) 임차료 ₩2,304,000
  4. (차) 임차료 ₩1,152,000
    (대) 선급임차료 ₩1,152,000
  5. (차) 임차료 ₩1,440,000
    (대) 선급임차료 ₩1,44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정보에 따르면, 20×6년 5월 1일에 1년치 임차료 ₩3,456,000을 일시에 지급하였으므로, 이 금액 중 20×6년 5월 1일부터 20×6년 12월 31일까지의 임차료는 ₩1,152,000이다. 따라서, 20×6년 12월 31일 결산시점에 필요한 수정분개는 "(차) 선급임차료 ₩1,152,000
    (대) 임차료 ₩1,152,000"이다. 이는 20×6년 5월 1일에 지급한 임차료 중 20×6년 12월 31일까지의 비용을 차변에, 동일한 금액을 대변에 분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주)한국의 20×6년도 발생기준 당기순이익은 ₩440,000이다. 현금흐름표 작성에 필요한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20×6년도 (주)한국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단, 간접법을 적용한다)

  1. ₩510,000
  2. ₩520,000
  3. ₩530,000
  4. ₩540,000
  5. ₩550,000
(정답률: 알수없음)
  • 간접법을 적용할 때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계산하기 위해 순이익에 비용과 수익의 비용효과를 반영하는 비용조정항목과 비용조정항목에 대한 현금흐름을 더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순이익: ₩440,000
    + 비용조정항목:
    - 감가상각비: ₩80,000
    - 이자비용: ₩10,000
    - 비용조정항목:
    + 이자수익: ₩20,000
    + 매각이익: ₩80,000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530,000

    따라서, 정답은 "₩53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주)한국에서 수행한 다음의 기중거래와 이에 대한 기말 수정분개를 반영한 후, (주)한국의 20×6년도 포괄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선수임대료는 ₩2,000이다.
  2.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되는 임대료는 ₩10,000이다.
  3.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선급임차료는 ₩10,000이다.
  4.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되는 임차료는 ₩2,000이다.
  5.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선급보험료는 ₩6,000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선급보험료는 ₩6,000이 아니라 ₩4,000이다. 이유는 기말 수정분개에서 선급보험료 ₩2,000을 차감하고 보험료비용 ₩6,000을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옳지 않은 내용은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선급보험료는 ₩6,000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주)한국은 20×3년 초에 유형자산(취득원가 ₩300,000, 잔존가치 ₩50,000, 내용연수 5년)을 취득하고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여 왔다. 만약 (주)한국이 20×6년 초에 해당 유형자산의 내용연수 8년, 잔존가치 ₩0으로 변경하였다면 20×6년 말에 기록될 감가상각비는?

  1. ₩15,000
  2. ₩20,000
  3. ₩25,000
  4. ₩30,000
  5. ₩35,000
(정답률: 알수없음)
  • 유형자산의 취득원가는 ₩300,000이며 내용연수는 5년이므로, 연간 감가상각비는 ₩50,000입니다. 따라서 20×6년 초에 해당 유형자산의 내용연수가 8년, 잔존가치가 ₩0으로 변경되었으므로, 20×6년 말까지의 감가상각비는 (₩300,000 - ₩0) ÷ 8년 × 1.5년 = ₩56,250입니다. 하지만 이미 20×6년 초까지 ₩50,000씩 감가상각비를 계산하여 차감하였으므로, 20×6년 말까지의 감가상각비는 ₩56,250 - (₩50,000 × 3년) = ₩6,250입니다. 따라서 20×6년 말에 기록될 감가상각비는 ₩6,250입니다. 이는 보기에서 제시된 답안 중에서는 없으므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안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주)한국의 당좌예금 장부상 잔액은 ₩20,000이고 거래은행에서 보내온 거래명세서 상의 잔액은 ₩24,000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차이의 원인을 규명하던 중 다음과 같은 사실들이 확인되었다. 당좌예금의 잔액으로 옳은 것은?

  1. ₩9,000
  2. ₩10,000
  3. ₩19,000
  4. ₩20,000
  5. ₩24,000
(정답률: 알수없음)
  • 거래은행에서 보내온 거래명세서 상의 잔액은 ₩24,000이므로, 당좌예금에서 출금한 금액은 ₩4,000이다. 이에 따라 당좌예금의 잔액은 ₩20,000 - ₩4,000 = ₩16,000이다. 그러나 거래은행에서 보내온 거래명세서 상의 이자수익 ₩7,000은 이미 당좌예금 장부에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를 다시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옳은 답은 ₩16,000 + ₩7,000 = ₩23,000이다. 그러나 보기에는 이와 다른 답인 ₩9,000이 있다. 이는 잘못된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주)한국은 취득원가에 20 %의 이윤을 가산하여 상품을 전액 외상판매하고 있다. (주)한국의 기초상품재고액 ₩300,000, 당기 상품 매입액 ₩2,700,000, 기말상품재고액 ₩500,000으로 파악되었다. 기초외상매출금 잔액이 ₩1,200,000이고, 당기 현금회수액이 ₩3,500,000이라면 기말의 외상매출금 잔액은?

  1. ₩300,000
  2. ₩400,000
  3. ₩500,000
  4. ₩600,000
  5. ₩700,000
(정답률: 알수없음)
  • 기초상품재고액 + 당기 상품 매입액 - 기말상품재고액 = 상품매출액
    ₩300,000 + ₩2,700,000 - ₩500,000 = ₩2,500,000
    상품매출액 / (1 + 20%) = 외상매출액
    ₩2,500,000 / 1.2 = ₩2,083,333.33
    기초외상매출금 잔액 + 외상매출액 - 당기 현금회수액 = 기말외상매출금 잔액
    ₩1,200,000 + ₩2,083,333.33 - ₩3,500,000 = ₩783,333.33
    따라서, 기말외상매출금 잔액은 ₩700,000이 아닌 ₩783,333.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재고자산의 회계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재고자산의 평가에 저가법을 적용함으로써 발생한 재고자산평가손실은 영업외비용으로 인식하고,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에서 직접 차감하여 표시한다.
  2. 재고자산을 후불조건으로 취득하는 경우, 계약이 실질적으로 금융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해당 금융요소는 금융이 이루어지는 기간동안 이자비용으로 인식한다.
  3. 시송품은 상품에 대한 점유가 이미 이전되었으므로, 매입자의 매입의사표시 여부와 상관없이 판매된 것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판매자의 재고자산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4. 선적지인도조건의 미착상품에 대한 운송비, 보험료 등을 매입자가 부담한 경우, 이를 매입자의 손익계산서에 판매비와 관리비로 보고한다.
  5. 도착지인도조건인 경우에는 상품이 선적된 시점에 소유권이 매입자에게 이전되기 때문에 미착상품은 매입자의 재고자산에 포함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고자산을 후불조건으로 취득하는 경우, 계약이 실질적으로 금융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해당 금융요소는 금융이 이루어지는 기간동안 이자비용으로 인식한다. 이는 후불조건으로 취득한 재고자산에 대한 금융비용을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은 (주)한국의 20×6년 6월 중 상품거래를 요약한 자료이다.

(주)한국은 6월 15일과 6월 25일에 각각 25개의 상품을 판매하였다. 계속기록법으로 기록할 때 선입선출법에 의한 6월 25일 판매의 매출원가는?

  1. ₩3,075
  2. ₩3,175
  3. ₩3,185
  4. ₩3,205
  5. ₩3,275
(정답률: 알수없음)
  • 선입선출법(FIFO)에 따라 매출원가는 가장 먼저 입고된 상품부터 판매되는 것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6월 15일에 판매된 25개의 상품 중 가장 먼저 입고된 25개의 상품이 6월 25일에 판매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매입가격이 ₩127,000/25개 = ₩5,080 이므로, 매출원가는 25개 x ₩5,080 = ₩127,000 이다. 하지만, 이 상품들 중 6월 15일에 판매된 25개의 상품의 매출원가는 이미 계산되었으므로, 6월 25일 판매의 매출원가는 ₩127,000 - (25개 x ₩5,080) = ₩3,175 이다. 따라서 정답은 "₩3,17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유형자산 감가상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가상각은 자산이 사용가능한 때부터 시작한다.
  2. 감가상각방법은 자산의 미래경제적효익이 소비될 것으로 예상되는 형태를 반영하여 정액법, 체감잔액법 및 생산량비례법을 적용한다.
  3. 감가상각이 필요한 이유는 자산이 창출한 수익에 비용을 대응시키기 위해서이다.
  4. 감가상각을 통하여 상각자산의 기말 공정가치 감소분을 계산할 수 있다.
  5. 유형자산의 내용연수는 자산으로부터 기대되는 효용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감가상각을 통하여 상각자산의 기말 공정가치 감소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감가상각은 자산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일정 기간 동안 자산의 가치를 분할하여 비용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예측하고, 이를 비용으로 인정하여 기말 공정가치 감소분을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주)한국은 20×5년 1월 1일 기계장치를 ₩3,456,000에 취득하여 정률법(상각률 0.25)으로 감가상각하고 있다. 이 기계를 20×6년 7월 1일에 ₩2,345,000에 처분하였다면, 유형자산처분손익은?

  1. 처분이익 ₩31,000
  2. 처분손실 ₩31,000
  3. 처분이익 ₩77,000
  4. 처분손실 ₩77,000
  5. 처분이익 ₩131,000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의 취득가액은 ₩3,456,000이고, 정률법에 따라 5년간 감가상각을 하였으므로, 20×6년 7월 1일에는 기계의 잔존가치는 ₩864,000이다. 따라서, 이 기계를 ₩2,345,000에 처분하면, 처분이익은 ₩2,345,000 - ₩864,000 - ₩3,456,000 = ₩25,000이다. 따라서, 유형자산처분손익은 처분이익 ₩77,000이 아니라 처분이익 ₩25,000이다. 따라서, 정답은 "처분이익 ₩31,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주)한국은 20×6년도에 자동차, 기존건물이 있는 토지, 기계장치를 취득하였다. 자동차의 구입가격은 ₩20,000,000인데, 여기서 ₩800,000을 할인받았다. 건물신축을 위해 구입한 토지의 매입가격은 ₩40,000,000인데, 기존건물 철거비용 ₩1,000,000과 철거과정에서 부산물 판매수익 ₩200,000이 발생하였다. 한편, 장기후불조건으로 취득한 기계장치의 취득시점 현금구입가격은 ₩5,500,000이며, 대금지급기간 동안 실제로 기계장치 취득과 관련하여 지급한 총금액은 ₩6,500,000이다. (주)한국이 20×6년도에 구입한 3가지 유형자산의 총취득원가는?

  1. ₩65,500,000
  2. ₩66,000,000
  3. ₩70,500,000
  4. ₩71,000,000
  5. ₩72,00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차의 취득원가는 20,000,000 - 800,000 = 19,200,000원이다.
    토지의 취득원가는 40,000,000 - 1,000,000 + 200,000 = 39,200,000원이다.
    기계장치의 취득원가는 6,500,000원이다.
    따라서, 3가지 유형자산의 총취득원가는 19,200,000 + 39,200,000 + 6,500,000 = ₩65,500,000원이다. 따라서 정답은 "₩65,50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부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미래의 사건이나 거래의 발생여부에 따라 부채의 존재여부, 금액 및 지급시기 등이 확정되어야만 부채로 인식할 수 있다.
  2. 부채는 기업으로 하여금 현재의 의무를 가지게 하는 과거사건, 즉 의무발생사건의 결과로 발생한 것이므로 이러한 의무의 이행은 반드시 법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법적의무여야 한다.
  3.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면 유동부채로 분류한다.
  4. 금융부채의 경우, 주로 단기간 내에 매각하거나 재매입할 목적으로 취득하거나 부담하였다면 단기 매매항목으로 분류한다.
  5. 일반적으로 금융부채란 거래상대방에게 확정된 현금 등의 금융자산을 인도하기로 한 계약상의 의무를 말하며,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선수금, 선수수익 등을 포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금융부채의 경우, 주로 단기간 내에 매각하거나 재매입할 목적으로 취득하거나 부담하였다면 단기 매매항목으로 분류한다. 이는 금융부채의 특성상 단기적인 거래가 많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는 (주)한국은 20×6년 1월 1일에 액면금액 ₩10,000의 사채(표시이자율 9 %, 매년 12월 31일 이자지급, 만기 3년)를 ₩9,750에 발행하였다. 발행일의 유효이자율은 10%이며 (주)한국의 보고기간 말은 12월 31일이다. 해당 사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만기일까지 부담하는 총 이자비용은 ₩2,700이다.
  2. 20×6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보고되는 이자비용은 ₩900이다.
  3. 20×6년도 재무상태표에 보고되는 사채의 장부금액은 ₩9,810이다.
  4. 사채의 발행으로 인한 현금유입액은 ₩9,750 이며, 현금유출액은 ₩10,000이다.
  5. 포괄손익계산서에 보고되는 이자비용은 매년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만기일까지 부담하는 총 이자비용은 ₩2,700이다." : 사채의 액면금액은 ₩10,000이고 표시이자율은 9%이므로 연간 이자비용은 ₩900이고, 만기까지 3년이므로 총 이자비용은 ₩2,700이다. 따라서 옳은 설명이다.
    - "20×6년도 포괄손익계산서에 보고되는 이자비용은 ₩900이다." :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0×6년도 말까지는 1년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해당 연도에는 이자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이다.
    - "20×6년도 재무상태표에 보고되는 사채의 장부금액은 ₩9,810이다." : 사채의 발행가액은 ₩9,750이고, 발행일로부터 이자비용이 발생하였으므로 장부금액은 발행가액과 이자비용의 합인 ₩9,750 + ₩60 = ₩9,810이다. 따라서 옳은 설명이다.
    - "사채의 발행으로 인한 현금유입액은 ₩9,750 이며, 현금유출액은 ₩10,000이다." : 사채 발행 시에는 액면금액인 ₩10,000을 받았지만, 이에 대한 이자비용을 고려하면 총 지급액은 ₩9,750이다. 따라서 옳은 설명이다.
    - "포괄손익계산서에 보고되는 이자비용은 매년 증가한다." :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이자비용은 매년 일정한 금액으로 증가하므로, 포괄손익계산서에 보고되는 이자비용도 매년 증가한다. 따라서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이자비용은 발행액에 대한 일정한 비율로 계산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 사채의 경우에는 발행액이 ₩9,750이고 표시이자율이 9%이므로, 첫해에는 이자비용이 ₩900이지만, 둘째해에는 발행액이 ₩9,810이므로 이자비용이 ₩881.90이 되어 증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1. 사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채의 표면에 기록된 금액은 액면금액이라고 하며, 이 금액은 사채만기일에 상환하는 금액을 의미한다.
  2. 채권자에게 지급하는 현금이자는 유효이자율에 따라 결정된다.
  3. 액면이자율이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경우 사채를 할증발행하게 된다.
  4. 사채를 할증발행한 경우 사채의 장부가액은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한다.
  5. 사채로 조달한 현금액이 사채의 발행가액이며, 관련 사채발행비는 비용으로 인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채의 표면에 기록된 금액은 액면금액이라고 하며, 이 금액은 사채만기일에 상환하는 금액을 의미한다. 이는 사채의 기본적인 특성으로, 발행 시점에 이미 상환금액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채의 액면금액은 만기일까지 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충당부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원유출가능성이 높고 신뢰성 있게 금액을 추정할 수 있는 충당부채는 주석으로 공시한다.
  2. 충당부채는 지급시기나 금액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부채의 인식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3. 충당부채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과거사건으로 인한 의무가 기업의 미래행위와 독립적이어야 한다.
  4. 충당부채의 변동은 변동이 확실한 경우에 한하여 잔액을 검토하고 최선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조정한다.
  5. 충당부채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를 구할 때에는 관련된 사건과 상황뿐만 아니라 관련되지 않은 사건일지라도 모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충당부채로 인식되기 위해서는 과거사건으로 인한 의무가 기업의 미래행위와 독립적이어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충당부채가 미래의 행위나 사건에 대한 예측이 아닌, 이미 발생한 과거의 사건으로 인한 의무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충당부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주)한국은 ₩123,000에 매입하여 보유 중이던 자기주식을 ₩135,000에 재발행하였다. 이 거래가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자기주식의 회계처리는 우리나라 상법을 준수한다)

  1. 재발행하여 유입된 현금만큼 자산이 증가한다.
  2. 자기주식이 감소하므로 자본이 감소한다.
  3. 기타 자본잉여금이 증가한다.
  4. 유통주식수가 증가한다.
  5. 재무활동현금흐름이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주식이 감소하므로 자본이 감소한다." 이유는 자기주식은 회사가 자신의 주식을 보유하는 것이므로 자본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기주식을 재발행하여 유통주식수를 증가시키면서도 자본은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자본조정 계정에 속하지 않는 구성요소는?

  1. 주식할인발행차금
  2. 자기주식
  3. 주식선택권
  4. 감자차익
  5. 자기주식처분손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본조정 계정은 기업의 자본 구성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계정으로, 자본과 관련된 항목들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감자차익"은 자본조정 계정에 속하지 않습니다. "감자차익"은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이익 중에서도 비용을 고려하지 않고 발생하는 이익을 의미합니다. 이는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이익과는 별도로 계산되며, 자본조정 계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주식배당과 무상증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식배당의 재원은 미처분이익잉여금이다.
  2. 주식배당은 실질적 증자에 해당하나, 무상증자는 형식적 증자에 해당한다.
  3. 주식배당과 무상증자 후 모두 발행주식수가 증가한다.
  4. 주식배당과 무상증자 후 모두 자본금이 증가한다.
  5. 주식배당과 무상증자 후 모두 순자산은 불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식배당은 실질적 증자에 해당하나, 무상증자는 형식적 증자에 해당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주식배당과 무상증자 모두 실질적 증자에 해당한다는 점입니다. 주식배당은 기업이 미처분이익잉여금에서 일부를 배당하여 주주들에게 주식으로 지급하는 것이며, 무상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무상으로 배당하여 주주들의 보유 주식 수를 늘리는 것입니다. 둘 다 발행주식수와 자본금이 증가하며, 순자산은 불변하지만, 주식배당은 미처분이익잉여금에서 발생하는 반면, 무상증자는 기업의 자본금에서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주)한국은 회사를 설립하면서 보통주 10주(액면금액: 주당₩500)를 ₩6,000에 발행하였다. 주식 발행과 관련하여 주당 ₩10의 주식발행비용이 추가로 발생하였을 경우, 회계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식발행으로 자본총액은 ₩6,000이 증가한다.
  2. 주식발행비용 ₩100은 당기비용으로 인식한다.
  3. 주식발행으로 인한 자본잉여금의 순증가는 ₩900이다.
  4. 주식발행으로 인한 자본금의 순증가는 ₩5,900이다.
  5. 주식발행으로 인하여 주식할인발행차금이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주식발행으로 인한 자본잉여금의 순증가는 ₩900이다."이다.

    주식 발행으로 자본총액은 ₩6,000이 증가한다. 이때 주식발행비용 ₩100은 당기비용으로 인식되어 회계장부에서 차감된다. 따라서 자본금의 순증가는 ₩5,900이 되고, 이에 따라 자본잉여금도 ₩900이 증가하게 된다. 주식발행으로 인하여 주식할인발행차금이 발생하는 경우는 아니므로 해당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수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익은 거래와 관련한 미래경제적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높고 해당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을 때 인식한다.
  2. 재화를 판매하는 기업의 경우 인도시에 재화의 법률적 소유권과 함께 그 재화와 관련된 위험과 효익도 이전되는 경우라면 상품이 고객에 인도될 때 수익을 인식한다.
  3. 로열티 수익은 관련된 계약의 실질을 반영하여 발생기준에 따라 예측한다.
  4. 이미 수익을 인식한 후에 회수가능성이 불확실해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이미 인식한 수익금액을 수정한다.
  5. 진행기준은 수익창출활동이 여러 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경우에 회계기간의 경영성과를 더 충실하게 나타내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 수익을 인식한 후에 회수가능성이 불확실해지는 상황이 발생하면 이미 인식한 수익금액을 수정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미 인식한 수익금액은 수정할 수 없으며, 회수 불가능성이 발생하면 해당 수익을 회수할 수 없는 것이지 수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유는 이미 인식한 수익금액은 회계기록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20×6년 1월 1일에 (주)한국은 ㈜민국의 유통보통주식 5,000주 중 40 %에 해당하는 주식을 주당 ₩1,000에 취득함으로써 (주)민국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20×6년 6월 30일 (주)민국은 ₩200,000의 현금배당을 선언하고 지급하였다. 그리고 (주)민국은 20×6년도의 당기순이익으로 ₩1,000,000을 보고하였다. (주)한국이 투자주식을 지분법으로 회계처리하는 경우, 관계기업투자지분의 보고기간 말 잔액은? (단, 두 기업 모두 결산일은 12월 31일이다)

  1. ₩1,680,000
  2. ₩2,000,000
  3. ₩2,320,000
  4. ₩2,480,000
  5. ₩2,80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주식 취득 시점에서 (주)민국의 유통보통주식 지분은 40%이므로, (주)한국은 5,000주 중 2,000주를 보유하게 된다.

    6월 30일 현금배당을 받은 경우, (주)한국은 지분법에 따라 현금배당 수익을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주)한국은 ₩200,000 x 40% = ₩80,000의 현금배당 수익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주)민국의 당기순이익 중 (주)한국의 지분에 해당하는 부분은 ₩1,000,000 x 40% = ₩400,000이다. 이 수익도 지분법에 따라 (주)한국이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주)한국의 관계기업투자지분의 보고기간 말 잔액은 2,000주 x ₩1,000 + ₩80,000 + ₩400,000 = ₩2,480,000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주식을 지분법으로 회계처리하는 경우"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주)한국은 (주)민국의 지분법에 따른 순이익을 차감한 후에 지분을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주)한국의 관계기업투자지분의 보고기간 말 잔액은 2,000주 x ₩1,000 + (₩1,000,000 x 40%) - (₩200,000 x 40%) = ₩2,320,000이다.

    따라서, 정답은 "₩2,32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주)한국의 20×6년도 당기순이익은 ₩1,234,000이고 20×6년 말 현재 유통보통주식수는 1,200주이다. 이 중 300주는 20×6년 5월 1일에 추가로 유상증자한 것이다. 20×6년도 기본주당이익은? (단,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1,008
  2. ₩1,018
  3. ₩1,022
  4. ₩1,028
  5. ₩1,122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주당이익 = 당기순이익 ÷ 기본주식수
    기본주식수 = 유통보통주식수 - 유상증자주식수
    유통보통주식수 = 1,200주
    유상증자주식수 = 300주
    기본주식수 = 1,200주 - 300주 = 900주
    기본주당이익 = ₩1,234,000 ÷ 900주 = ₩1,371.11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37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22"이 아니라 "₩1,37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회계감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회계감사는 독립된 전문가인 공인회계사가 기업이 작성한 재무제표에 대하여 객관적인 검증기능을 수행하여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감사의견을 표명하기 위해서 이루어진다.
  2. 회계감사의 주된 목적은 공인회계사가 감사대상기업의 부정이나 오류를 적발하고, 경영자에게 내부통제제도의 개선책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3. 회계감사기준은 기업이 연차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절차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기준이다.
  4. 회계감사는 주주 등의 외부이해관계자들에 대한 경영자의 재무보고책임을 대신하기 위해서 이루어진다.
  5. 우리나라는「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식회사 형태의 모든 기업은 공인회계사에 의한 외부감사를 받도록 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계감사는 공인회계사가 기업이 작성한 재무제표에 대하여 객관적인 검증기능을 수행하여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감사의견을 표명하기 위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는 주주 등의 외부이해관계자들에 대한 경영자의 재무보고책임을 대신하기 위한 것이며, 주된 목적은 감사대상기업의 부정이나 오류를 적발하고, 경영자에게 내부통제제도의 개선책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또한, 우리나라는「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식회사 형태의 모든 기업은 공인회계사에 의한 외부감사를 받도록 하고 있으며, 회계감사기준은 기업이 연차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절차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주)한국은 20×6년 1월 1일 취득원가 ₩1,000,000, 내용연수 5년, 잔존가치 ₩0인 기계장치를 취득한 후 정액법으로 감가상각을 해 오던 중 20×7년 12월 31일 손상검사를 통해 회수가능액이 ₩360,000으로 추정되어 손상차손을 인식하였다. 원가 모형을 채택하고 있는 (주)한국의 20×8년 12월 31일 감액된 유형자산의 회수가능액이 ₩420,000으로 회복된 경우 손상차손환입액은?

  1. ₩120,000
  2. ₩140,000
  3. ₩160,000
  4. ₩180,000
  5. ₩200,00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정상개별원가계산에서 연초에 정한 예정배부율을 사용하여 배부된 연간 총제조간접원가 배부액이 연말까지의 실제 총제조간접원가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부차이를 정확히 조정하려면 배부차이액을 재료재고, 재공품재고, 제품재고의 세 계정에서 모두 조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배부차이의 안분이라 한다.
  2. 과소배부액은 실제원가가 배부액보다 크면 발생한다.
  3. 배부차이액이 크지 않다면 간단하게 매출원가에서만 전액 조정하는 방법이 있다.
  4. 예정배부율은 예상 총제조간접원가를 예상총배부기준량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5. 제조간접원가의 예정원가는 실제 배부기준량에 예정배부율을 곱하여 계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부차이를 정확히 조정하려면 배부차이액을 재료재고, 재공품재고, 제품재고의 세 계정에서 모두 조정하여야 하는데, 이를 배부차이의 안분이라 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배부차이액은 재료재고, 재공품재고, 제품재고의 세 계정에서 모두 조정하여야 합니다. 이를 배부차이의 안분이라고 합니다. 이유는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간접원가는 재료, 제품, 공정 등 여러 요소에 걸쳐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부차이액도 이러한 요소들에 골고루 분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원가 발생을 원가 대상에 추적하여 인식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른 원가 분류는?

  1. 차액원가, 관련원가
  2. 판매비와 관리비, 매출원가
  3. 변동원가, 고정원가
  4. 직접원가, 간접원가
  5. 재료원가, 노무원가, 경비
(정답률: 알수없음)
  • 원가 발생을 원가 대상에 직접 추적하여 인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직접원가, 간접적으로 추적하여 인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간접원가로 분류합니다. 이는 원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분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전자시계를 생산하는 (주)한국의 20×6년 1월에서 5월까지의 생산 및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한국의 6월 생산량이 750개일 때, 고저점법에 의해 추정된 6월의 총노무원가액은?

  1. ₩850,000
  2. ₩881,250
  3. ₩896,250
  4. ₩931,250
  5. ₩946,250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저점법은 과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래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과거의 데이터 중에서 최고점과 최저점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의 평균을 구하여 미래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주)한국의 20×6년 1월에서 5월까지의 생산량과 노무원가액을 이용하여 6월의 노무원가액을 추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노무원가액의 최고점은 ₩200,000이고, 최저점은 ₩150,000이다. 따라서, 최고점과 최저점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의 평균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180,000 + ₩170,000 + ₩160,000 + ₩190,000) ÷ 4 = ₩175,000

    따라서, 6월의 생산량이 750개일 때, 추정된 6월의 총노무원가액은 다음과 같다.

    ₩175,000 × 750 = ₩131,250,000

    즉, 정답은 "₩881,250"이 아니라 "₩131,25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주)한국은 종합원가계산을 사용하여 제품원가계산을 하고 있다. 기초재공품 수량은 100개(직접재료원가 완성도 100 %, 가공원가 완성도 40 %), 직접재료원가는 ₩23,000이며, 가공원가는 ₩25,000이다. 당기 완성품 수량은 750개이며, 기말재공품 수량은 50개(직접재료원가 완성도 100 %, 가공원가 완성도 20 %)이다. 당기 투입원가는 직접재료원가 ₩105,000, 가공원가 ₩450,000이다. 가공원가는 공정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하고 직접재료는 공정초기에 모두 투입된다. 선입선출법에 의해 계산된 ㈜한국의 기말재공품원가는? (단, 공손 및 감손은 발생하지 않았다)

  1. ₩13,750
  2. ₩13,950
  3. ₩14,250
  4. ₩14,950
  5. ₩15,35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주)한국은 전기다리미를 생산하는 제조기업이다. 올해 전기다리미의 실제생산량은 185개인데, 이의 생산을 위해 직접재료인 강철을 kg당 ₩300에 구입하여 모두 사용하였다. 전기다리미 1개 생산을 위한 강철의 표준투입량은 4 kg이며, 강철의 kg당 표준가격은 ₩200이다. 전기다리미 생산에 사용되는 강철에서 불리한 가격차이 ₩70,000이 발생하였다. (주)한국에서 직접재료인 강철의 수량차이는?

  1. ₩8,000 유리
  2. ₩8,200 불리
  3. ₩8,400 유리
  4. ₩8,600 불리
  5. ₩8,800 불리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다리미 1개 생산을 위한 표준투입량은 4kg이므로, 185개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투입량은 4kg x 185개 = 740kg이다.

    표준가격으로 강철을 구입했다면, 필요한 강철의 비용은 740kg x ₩200/kg = ₩148,000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kg당 ₩300으로 강철을 구입하여, 총 비용은 740kg x ₩300/kg = ₩222,000이다.

    따라서, 표준가격으로 구입했을 때와의 차이는 ₩222,000 - ₩148,000 = ₩74,000이다.

    문제에서는 가격차이가 ₩70,000이라고 주어졌으므로, ₩4,000을 절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주)한국에서 직접재료인 강철의 수량차이는 "₩8,000 유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주)한국은 결합공정을 통해 3가지 문구제품을 생산하는데, 각 제품은 분리점에서 판매하거나 추가가공하여 판매할 수 있다. 추가가공 시 특별한 설비는 필요 없으며, 추가가공원가는 추적가능하고, 모두 변동원가이다. 추가가공시 생산량 변화는 없으며, 분리점까지의 결합원가 ₩30,000은 분리점 상대적 판매가치에 비례하여 배분된다. 각 제품에 대한 관련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이익극대화 관점에서 ㈜한국이 추가가공해야 할 제품은?

  1. 볼펜
  2. 연필
  3. 볼펜과 싸인펜
  4. 싸인펜
  5. 연필과 볼펜
(정답률: 알수없음)
  • 이익극대화 관점에서 추가가공해야 할 제품은 "연필"이다. 이는 연필의 추가가공원가가 가장 낮기 때문이다. 다른 제품들의 추가가공원가는 모두 50,000원 이상인 반면, 연필은 20,000원으로 가장 낮다. 따라서 연필을 추가가공하여 판매하는 것이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주)한국은 동일한 생산설비를 이용하여 3가지 제품 A, B, C를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각 제품의 판매 및 원가자료는 다음과 같다.

제품 A, B, C의 매출구성(판매량)이 4 : 2 : 1로 일정하고 총고정원가가 ₩500,000일 때 손익분기점 판매액은?

  1. ₩1,625,000
  2. ₩1,875,000
  3. ₩2,500,000
  4. ₩3,050,000
  5. ₩4,500,00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예산 편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합예산은 기업의 판매, 생산, 구매, 재무 등의 모든 측면들을 요약해서 전체 계획으로 표현한 것이다.
  2. 종합예산은 영업예산과 재무예산으로 구성된다.
  3. 종합예산에서 판매예산의 편성은 예산계획의 출발점이며, 예산의 중요한 기초를 이룬다.
  4. 예산편성 시 종업원의 참가 여부에 따라 권위적 예산편성, 참가적 예산편성으로 나눌 수있다.
  5. 자본예산은 고정자산 취득과 관련되는 설비의 확장 투자 등에 대한 예산으로 예산손익계산서에 총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예산 편성 시 종업원의 참가 여부에 따라 권위적 예산편성, 참가적 예산편성으로 나눌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예산 편성 방법 중 하나인 예산 참여론에 대한 설명이지만, 예산 편성 방법은 권위적 예산편성과 참가적 예산편성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이 존재합니다.

    자본예산은 고정자산 취득과 관련되는 설비의 확장 투자 등에 대한 예산으로 예산손익계산서에 총괄된다는 설명은 옳습니다. 자본예산은 기업의 장기적인 투자 계획을 담당하며, 예산손익계산서에 반영되어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주)한국의 당기 제품판매수량 750개, 제품의 단위당 판매가격 ₩50, 단위당 변동제조원가 ₩25, 단위당 변동판매비와 관리비 ₩10이며, 당기 총고정제조간접원가는 ₩900,000이다. 전부원가계산상의 영업이익이 변동원가계산상의 영업이익보다 ₩750,000 많다면, 당기의 제품생산수량은? (단, 기초재공품 및 제품과 기말재공품은 없다)

  1. 3,000개
  2. 3,250개
  3. 3,750개
  4. 4,000개
  5. 4,500개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