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06)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2019-04-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중소기업관련법령

1. 중소기업기본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정책심의회는 위원장 1명을 제외하고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정부는 중소기업 사이의 협력에 필요한 시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위촉한 중소기업정책심의회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다.
  4. 중소기업 옴부즈만은 업무에 관한 활동 결과보고서를 작성하여 매년 1월말까지 규제개혁위원회와 국무회의 및 국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5.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행하는 중소기업 보호 및 육성에 관한 업무를 총괄ㆍ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정책심의회는 위원장 1명을 제외하고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중소기업정책심의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중소기업기본법상 정부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부는 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2. 정부는 소기업에 대하여 그 경영의 개선과 발전을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정부는 중소기업시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조세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세제상의 지원을 할 수 있다.
  4. 정부는 중소기업의 구조를 고도화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의 법인 전환 등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5. 정부는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지원과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부는 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이것이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모든 보기가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정책심의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 보호ㆍ육성과 관련된 주요 정책 및 계획과 그 이행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조정하기 위하여 중소벤처기업부에 중소기업정책심의회를 둔다.
  2. 중소기업정책심의회는 둘 이상의 중앙행정기관이 관련된 주요 중소기업 보호ㆍ육성 정책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조정한다.
  3.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한다.
  4. 중소기업정책심의회는 중소기업 육성과 관련된 제도 및 법령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조정한다.
  5. 실무조정회의는 소관 사항을 전문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분과별 전문위원회를 둘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중소기업기본법 제20조에 따르면 중소기업정책심의회의 위원장은 중소벤처기업부 장이 임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중소기업기본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부는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생산 시설의 현대화와 정보화의 촉진 등 필요한 시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2. 정부는 매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추진할 중소기업시책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여 관련 예산과 함께 10월까지 국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3. 정부는 중소기업자의 사업영역이 중소기업 규모로 경영하는 것이 적정한 분야에서 원활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실시하여야 한다.
  4. 중소기업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구분기준에 따라 소기업과 중기업으로 구분한다.
  5. 정부는 중소기업시책을 실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법제 및 재정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부는 중소기업자의 사업영역이 중소기업 규모로 경영하는 것이 적정한 분야에서 원활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실시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내용입니다. 중소기업기본법은 중소기업의 지위와 권익을 보호하고,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본적인 법률입니다. 따라서 중소기업자의 사업영역이 중소기업 규모로 경영하는 것이 적정한 분야인지 여부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시책 중 하나일 뿐이며, 중소기업기본법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는 내용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액셀러레이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산선고를 받은 자는 복권되어도 액셀러레이터의 임원이 될 수 없다.
  2. 「상법」에 따른 회사가 액셀러레이터가 되기 위해서는 납입자본금이 1억원 이상이어야 한다.
  3. 액셀러레이터는 지원할 초기창업자를 선발하여 1천만원 이상을 투자하여야 한다.
  4.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창업보육센터가 액셀러레이터로 전환할 경우 필요한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5.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는 액셀러레이터의 임원이 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액셀러레이터는 지원할 초기창업자를 선발하여 1천만원 이상을 투자하여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액셀러레이터는 초기창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제공하지만, 투자는 필수적인 요건은 아닙니다.

    "파산선고를 받은 자는 복권되어도 액셀러레이터의 임원이 될 수 없다."의 이유는, 파산선고를 받은 자는 경영능력이 미흡하다는 것을 시사하기 때문에, 액셀러레이터의 임원으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은 중소기업 창업자에게 자금을 지원하고, 이에 대한 투자 수익을 회원들에게 분배하는 조합이다.
    - ㄴ.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은 법인으로 설립되며, 회원은 개인 또는 법인이 될 수 있다.
    - ㄷ.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은 법인세와 소득세를 면제받으며, 회원들의 투자금액도 소득세 과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업무집행조합원은 조합원 전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에서 탈퇴할 수 있다.
  2. 조합의 업무는 업무집행조합원이 집행한다.
  3. 업무집행조합원은 제삼자의 이익을 위하여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재산을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4. 업무집행조합원은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업무를 집행할 때 자금차입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5.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해산 당시에 출자금액을 초과하는 채무가 있으면 모든 조합원이 그 채무를 변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해산 당시에 출자금액을 초과하는 채무가 있으면 모든 조합원이 그 채무를 변제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며,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의 해산 당시에 출자금액을 초과하는 채무가 있을 경우, 해당 채무를 변제할 책임은 업무집행조합원에게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란 창업자에게 투자하는 것을 주된 업무로 하는 회사로서 이 법에 따라 등록한 회사를 말한다.
  2. 미성년자는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임원이 될 수 없다.
  3.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는 창업투자회사와 투자자 간, 특정 투자자와 다른 투자자 간의 이해 상충을 방지하기 위한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4.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가 그 영업을 양도하면 그 영업을 양수한 자는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로서의 지위를 승계한다.
  5.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는 자본금과 적립금 총액의 20배의 범위에서 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는 자본금과 적립금 총액의 20배의 범위에서 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는 자본금과 적립금 총액의 10배 이내에서만 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이는 중소기업창업 지원법 제15조에 명시되어 있다. 이유는 사채 발행으로 인한 부채 증가를 제한하여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는 회계연도마다 결산서를 금융감독원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2.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대주주는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이익에 반하여 대주주 자신의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반대급부의 제공을 조건으로 다른 주주와 담합하여 경영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는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을 결성할 수 없다.
  4.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는 그 사업 수행을 위하여 필요하더라도 국제기구로부터 자금을 차입할수 없다.
  5.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는 재무에 관한 사항을 공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대주주는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이익에 반하여 대주주 자신의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반대급부의 제공을 조건으로 다른 주주와 담합하여 경영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창업자 甲이 사업을 개시한 날부터 7년동안 면제받을 수 있는 부담금은?

  1. 「지방자치법」에 따른 분담금
  2. 「농지법」에 따른 농지보전부담금
  3. 「지하수법」에 따른 지하수이용부담금
  4. 「도시교통정비 촉진법」에 따른 교통유발부담금
  5. 「전기사업법」에 따른 부담금
(정답률: 알수없음)
  • 「농지법」에 따른 농지보전부담금은 농지를 보전하기 위해 농지를 개발하거나 이용하는 경우에 부과되는 부담금입니다. 따라서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사업계획의 승인을 받은 창업자가 사업을 개시한 경우에는 농지를 개발하거나 이용하지 않으므로 농지보전부담금 면제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신기술창업전문회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학은 신기술창업전문회사를 설립할 수 있다.
  2. 신기술창업전문회사를 설립하는 경우 중소벤처기업부장관에게 등록하여야 하지만 이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다.
  3. 신기술창업전문회사는 대학ㆍ연구기관 또는 전문회사가 보유한 기술의 사업화 업무를 영위한다.
  4. 신기술창업전문회사는「상법」상 주식회사이어야 한다.
  5. 대학이나 연구기관은 해당 기관이 설립한 신기술창업전문회사의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0이상을 보유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기술창업전문회사는「상법」상 주식회사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신기술창업전문회사는 주식회사, 유한책임회사, 합자회사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벤처기업의 주식매수선택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벤처기업이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에게 내줄 목적으로 자기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0을 초과할 수 없다.
  2. 주식매수선택권에 관한 정관의 규정에는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 기간이 포함되어야 한다.
  3.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가 사망한 때에는 그 상속인이 이를 부여받은 것으로 본다.
  4. 주식회사인 벤처기업은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주주총회의 특별결의가 있으면 주식매수 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5. 주식매수선택권에 관한 정관의 규정에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자격 요건이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벤처기업이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에게 내줄 목적으로 자기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0을 초과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벤처기업이 자기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에만 해당되며,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에게 내주는 경우에는 발행주식 총수의 제한이 없다. 이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6조 제2항에 명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한국벤처투자조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국벤처투자조합은 조합 규약에도 불구하고 업무집행조합원에게 투자수익에 따른 성과보수를 지급할 수 없다.
  2. 한국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한 자는 중소벤처기업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업무집행조합원은 선량한 관리자로서 출자자의 이익을 위하여 한국벤처투자조합의 자산을 관리하여야 한다.
  4.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는 한국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할 수 있다.
  5. 업무집행조합원은 한국벤처투자조합의 업무를 집행할 때 지급보증을 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벤처투자조합은 조합 규약에도 불구하고 업무집행조합원에게 투자수익에 따른 성과보수를 지급할 수 없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한국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5조에 따라 업무집행조합원에게 투자수익에 따른 성과보수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략적제휴란 벤처기업이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강화 등을 목적으로 기술ㆍ시설ㆍ정보ㆍ인력 또는 자본 등의 분야에서 다른 기업의 주주 또는 다른 벤처기업과 협력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2.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5년마다 벤처기업 육성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3.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육성계획의 수립과 시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에 대하여 자료의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
  4.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벤처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매년 벤처기업의 활동현황 및 실태 등에 대해 조사한다.
  5.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벤처기업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ㆍ운영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5년마다 벤처기업 육성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이다. 이는 옳은 내용이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매년 벤처기업의 활동현황 및 실태 등에 대해 조사하고, 벤처기업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ㆍ운영할 수 있다는 내용도 옳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상 투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식회사가 발행한 주식을 인수하는 행위
  2. 주식회사가 발행한 무담보전환사채를 인수하는 행위
  3. 유한회사의 출자를 인수하는 행위
  4. 주식회사가 발행한 무담보신주인수권부사채를 인수하는 행위
  5. 주식회사가 발행한 무담보교환사채를 인수하는 행위
(정답률: 알수없음)
  • 주식회사가 발행한 무담보교환사채를 인수하는 행위는 특별조치법상 투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사채가 주식과 달리 회사의 자본금에 기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행위는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신기술창업전문회사를 설립할 수 없다.
  2. 벤처기업에 대한 현물출자 대상에는 디자인권이 포함되지 않는다.
  3. 연구기관은 신기술창업전문회사를 설립할 때나 그 전문회사가 신주를 발행할 때에 현금을 출자할 수 없다.
  4. 주식교환을 하려는 벤처기업은 주식교환에 필요한 주식에 대하여는 자기의 계산으로 자기주식을 취득할 수 없다.
  5. 유한회사인 벤처기업은 정관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사원총회의 결의로 이익배당에 관한 기준을 따로 정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한회사인 벤처기업은 정관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사원총회의 결의로 이익배당에 관한 기준을 따로 정할 수 있다. 이는 벤처기업이 자율적으로 이익배분에 대한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협업지원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술개발자금 출연
  2. 판로개척 지원
  3. 공동 법인 설립 등에 관한 자문
  4. 가업승계지원
  5. 인력 양성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업승계지원은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협업지원사업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중소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 기업 인수합병을 통한 가업승계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법률상 협업지원사업과는 별도의 제도로 운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채권 발행을 승인하려면 미리 기획재정부장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2.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발행한 채권의 소멸시효는 상환일부터 기산하여 원금은 5년, 이자는 2년으로 완성된다.
  3. 명문장수기업의 확인을 받지 않고 명문장수기업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자에게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금융업을 영위하는 기업은 명문장수기업이 될 수 없다.
  5. 이권(利券)있는 무기명식의 채권을 상환하는 경우 이권이 흠결되면 그 이권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환액에서 공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명문장수기업의 확인을 받지 않고 명문장수기업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자에게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명문장수기업의 확인을 받지 않고 명문장수기업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자에게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이다. 이유는 명문장수기업의 확인을 받지 않고 명문장수기업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경우,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는 내용이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에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지역협동기술지원센터의 활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역협동기술향상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조
  2. 지방중소기업의 생산현장에서의 기술적 애로사항 파악
  3. 국공립 연구기관의 지역협동기술향상활동에 대한 지원능력의 파악
  4. 지역협동기술향상활동을 하려는 지방중소기업과「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과의 상호 연계
  5. 지방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기술기금 설치와 운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지방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기술기금 설치와 운영"입니다. 이는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지역협동기술지원센터의 활동 범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지역협동기술지원센터는 지방중소기업의 기술적 애로사항 파악, 국공립 연구기관의 지원능력 파악,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조 등을 통해 지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대기업과의 기술기금 설치와 운영은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다른 제도나 기관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협업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협업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ㄱ. 기술이전 및 개발협력
    ㄴ. 인력양성 및 교류
    ㄷ. 생산 및 판매협력
    ㄹ. 시장개척 및 확대

    이유는 중소기업간의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며, 기술 및 인력을 공유하여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ㄱ, ㄴ, ㄹ이 포함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경영지도사 또는 기술지도사가 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1. 금고의 실형을 선고받은 후 그 집행이 끝나고 1년 6개월이 지난 A
  2. 피성년후견인인 B
  3.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C
  4.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D
  5. 지도사등록증을 다른 사람에게 대여하여 지도사의 등록이 취소된 날부터 2년 1개월이 지난 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E는 지도사등록증을 다른 사람에게 대여하여 지도사의 등록이 취소된 날부터 2년 1개월이 지난 경우이다. 이는 법률상 지도사 등록 취소 사유 중 하나로, 지도사 등록 취소 후 2년 1개월이 지나야 다시 지도사 등록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상 경영지도사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회계의 진단ㆍ지도
  2. 사무관리의 진단ㆍ지도
  3. 공정개선기술의 진단ㆍ지도
  4. 유통관리의 진단ㆍ지도
  5. 수출입 업무의 진단ㆍ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서 경영지도사의 업무는 회계, 사무관리, 유통관리, 수출입 업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단ㆍ지도를 수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공정개선기술의 진단ㆍ지도는 경영지도사의 업무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공정개선기술이 생산과 관련된 기술이기 때문에 생산기술자나 생산관리자 등이 담당하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을 경영하는 자는 중소기업자에 해당한다.
  2. 지방자치단체는 관할구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구역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시책을 수립ㆍ시행할 수 있다.
  3.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계획을 매년 수립하여야 한다.
  4.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촉진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조정하기 위하여 중소벤처기업부에 중소기업기술혁신 추진위원회를 둔다.
  5.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기술혁신 촉진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데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미리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계획을 매년 수립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에서는 중소기업청장이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계획을 매년 수립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상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자ㆍ개인 또는 단체가 출연하여 설립한다.
  2. 법인으로 하며,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3. 중소기업 기술혁신 기반조성의 사업을 한다.
  4. 기술정보진흥원에 관하여는「상법」중 주식회사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5. 정부는 기술정보진흥원의 설립ㆍ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예산의 범위에서 출연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술정보진흥원에 관하여는「상법」중 주식회사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에서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법인으로 설립하며, 주식회사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지 않는다. 이는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주식회사가 아닌 비영리법인으로 설립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상 연구개발을 성실하게 수행한 사실이 인정되는 때에 참여 제한기간을 감면할 수 있는 경우는?

  1. 정당한 사유 없이 기술료의 납부를 게을리 한 경우
  2. 정당한 사유 없이 연구개발 결과물인 지식재산권을 소속 임직원의 명의로 출원한 경우
  3. 거짓으로 연구개발에 참여한 경우
  4. 연구개발의 결과가 극히 불량하여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실시하는 평가에 따라 실패한 사업으로 결정된 경우
  5. 정당한 절차 없이 연구개발 내용을 유출한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상 연구개발을 성실하게 수행한 사실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참여 제한기간을 감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구개발의 결과가 극히 불량하여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실시하는 평가에 따라 실패한 사업으로 결정된 경우에는 참여 제한기간을 감면할 수 없습니다. 이유는 연구개발을 성실히 수행하지 않아서 실패한 경우에는 참여 제한기간을 감면할 수 없다는 법적 규정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중소기업 기술연구회를 구성하려는 중소기업은 중소벤처기업부장관에게 인가를 받아야 한다.
  2. 중소기업 기술혁신 추진위원회의 위원장은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지명한다.
  3.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중소기업자의 기술혁신과 정보화 지원 관련 자금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재정 지원, 신용보증 지원 등 필요한 시책을 실시할 수 있다.
  4.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중소기업 기술혁신 지원단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5. 중소기업 기술혁신 추진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30명 이상 5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중소기업자의 기술혁신과 정보화 지원 관련 자금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재정 지원, 신용보증 지원 등 필요한 시책을 실시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중소기업자의 기술혁신과 정보화 지원 관련 자금공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재정 지원, 신용보증 지원 등 필요한 시책을 실시할 수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공공기관이 여성기업에 불합리한 차별적 관행이나 제도를 시행할 경우 그 시정을 요청할 수 있다.
  2.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여성기업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매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하여야 한다.
  3.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여성기업의 활동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년마다 실태 조사를 하여야 한다.
  4. 공공기관의 장은 여성경제인이 직접 생산하는 물품을 물품구매총액의 3퍼센트 이상을 구매하여야 한다.
  5. 지방자치단체는 기업에 대한 자금을 지원할 때 여성기업의 활동과 창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여성기업을 우대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기관의 장은 여성경제인이 직접 생산하는 물품을 물품구매총액의 3퍼센트 이상을 구매하여야 한다. - 이는 여성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법률 내용 중 하나로, 공공기관이 여성기업의 제품을 구매하여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상 여성기업 지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 따른 중소기업 창업지원계획에 여성의 창업촉진을 위한 계획을 포함시켜야 한다.
  2.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여성의 창업을 촉진하기 위하여「중소기업창업 지원법」에 따른 창업보육센터사업자를 지정할 때에는 여성을 위한 창업보육센터사업자를 우선 지정할 수 있다.
  3.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여성기업이 아닌 자로서 거짓으로 이 법에 따른 지원을 받은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5.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여성기업의 근로자에 대하여 기술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수를 실시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를 설치할 의무는 없지만, 설치할 수 있다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여성기업지원 및 창업촉진에 관한 법률」 제6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상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단은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2. 정부는 공단의 사업 수행에 필요한 경비를 출연할 수 있다.
  3. 공단은 지역별 소상공인지원센터를 설치ㆍ운영하며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부, 연수원 또는 부설기관을 설치할 수 있다.
  4. 공단에 관하여 이 법에서 규정한 것 외에는「민법」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5.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공단의 업무를 지도ㆍ감독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사업에 관한 지시나 명령을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단은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공단은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의 허가를 받아 설립되며, 설립등기를 하지 않는다.

    공단에 관하여 이 법에서 규정한 것 외에는「민법」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는 것은, 공단이 사단법인으로서의 법적 지위와 권한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공단이 자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5년마다 소상공인 지원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 소상공인의 날은 매년 11월 5일이다.
  3. 소상공인연합회는 지역별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회를 둘 수 있다.
  4. 정부는 폐업하려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하여 재창업지원에 관한 사업을 할 수 있다.
  5. 시ㆍ도지사는 지역별 소상공인 지원 시행계획의 추진실적을 중소벤처기업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5년마다 소상공인 지원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매년 소상공인 지원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중소기업 사업전환 촉진에 관한 특별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사업전환촉진계획의 수립과 성과관리 등을 위하여 2년마다 중소기업자의 사업전환에 관한 실태조사를 하여야 하며,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수시로 할 수 있다.
  2.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중소기업자의 사업전환에 관한 실태조사를 한 때에는 그 결과를 공표하여야 한다.
  3. 주식회사인 승인기업은 사업전환을 위하여 신주를 발행하여 다른 주식회사 또는 다른 주식회사의 주요주주의 주식과 교환할 수 있다.
  4.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사업전환을 추진하는 중소기업자에게 판로ㆍ기술 및 진출업종 등 사업전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5. 중소기업사업전환지원센터를 운영하는 단체는 공공기관 혹은 공법인 중에서 지정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사업전환지원센터를 운영하는 단체는 공공기관 혹은 공법인 중에서 지정되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중소기업사업전환지원센터는 공공기관 또는 공법인이 아닌 민간단체도 운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중소기업 사업전환 촉진에 관한 특별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사업전환이란 중소기업자가 운영하고 있는 사업의 규모를 늘리면서 추가된 업종의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를 말한다.
  2.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승인기업이 사업전환계획의 승인을 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정당한 이유없이 사업전환계획을 추진하지 않으면 그 승인을 취소할 수 있다.
  3.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사업전환계획의 승인을 취소하려면 관계 기관과 먼저 협의를 거쳐야 한다.
  4.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사업전환계획의 승인을 취소하려면 청문을 하여야 한다.
  5.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승인기업이 거짓으로 사업전환계획의 승인을 받은 경우 그 승인을 취소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사업전환계획의 승인을 취소하려면 청문을 하여야 한다."이다. 이유는 특별법에서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승인기업이 사업전환계획의 승인을 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정당한 이유없이 사업전환계획을 추진하지 않으면 그 승인을 취소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이때 승인 취소를 위해서는 청문을 거쳐야 한다고 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중소기업 사업전환 촉진에 관한 특별법상 사업전환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전환을 하려는 중소기업자는 사업전환계획을 중소벤처기업부장관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을 수 있다.
  2. 사업전환계획의 승인을 받은 중소기업자가 사업전환계획을 중단하려면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사업전환계획에는 사업전환에 필요한 재원과 그 조달계획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4.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사업전환계획의 승인을 받은 중소기업자의 사업전환계획의 이행 여부와 실적 등을 정기적으로 조사하여야 한다.
  5.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조사 결과 사업전환계획의 이행이 어렵다고 판단하면 해당 승인기업에 그 계획의 변경이나 중단을 권고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전환계획의 승인을 받은 중소기업자가 사업전환계획을 중단하려면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이 부분이 옳지 않습니다. 중소기업자가 사업전환계획을 중단하려면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의 승인을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중소기업자는 사업전환계획의 변경이나 중단 시에 중소벤처기업부장관에게 그 사실을 통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중소기업 사업전환 촉진에 관한 특별법상 간이합병의 특례에 대한 조문의 일부이다. ( )에 알맞은 것은?

  1. 발행주식총수 중 의결권 있는 주식의 100분의 90 이상
  2.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90 이상
  3. 발행주식총수의 3분의 2 이상
  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 이상
  5. 발행주식총수 중 의결권 있는 주식의 3분의 2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발행주식총수 중 의결권 있는 주식의 100분의 90 이상"은 간이합병의 특례에 대한 조문 중 하나로, 합병을 하기 위해서는 합병 대상 회사의 발행주식총수 중에서 의결권이 있는 주식의 비율이 100분의 90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합병 후 새로운 회사의 의결권이 대부분 합병 대상 회사의 주주들에게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상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실시하는 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미취업자를 대상으로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실무교육과 현장연수를 받게 한 후 중소기업에 채용 알선
  2. 15세 이상 34세 이하인 미취업자의 중소기업 취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이들을 고용하는 중소기업에 고용장려금 지급
  3. 중소기업체험사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사업에 참가하는 학생에게 정보 제공 등의 지원
  4. 인력채용 연계사업에 참여하는 미취업자에 대한 실무교육 및 현장연수 수당 등 지원
  5. 중소기업의 수요에 맞는 인력양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중소기업과「초ㆍ중등교육법」에 따른 각급 학교를 연계하여 재학생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 실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중소기업체험사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사업에 참가하는 학생에게 정보 제공 등의 지원"

    15세 이상 34세 이하인 미취업자들은 취업을 위해 필요한 경험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실무교육과 현장연수를 받은 후 중소기업에 채용 알선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인력양성을 촉진하고, 미취업자들의 취업 기회를 늘리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들을 고용하는 중소기업에는 고용장려금이 지급되어 더욱 적극적인 취업 촉진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상 성과보상기금의 재원으로 될 수 없는 것은?

  1. 중소기업이 부담하는 기여금
  2. 중소기업 핵심인력이 납부하는 공제납입금
  3. 성과보상기금의 관리 및 운용에 필요한 차입금
  4.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세 수입금
  5. 성과보상기금의 운용으로 발생하는 수익금
(정답률: 알수없음)
  •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에서는 성과보상기금을 운용하기 위한 재원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세 수입금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교육세가 교육 분야에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성과보상기금의 재원은 중소기업이 부담하는 기여금, 핵심인력이 납부하는 공제납입금, 성과보상기금의 관리 및 운용에 필요한 차입금, 그리고 성과보상기금의 운용으로 발생하는 수익금 등 다른 재원을 활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동산업종의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는다.
  2. 인재육성형 중소기업 지정의 유효기간은 지정을 받은 날부터 3년으로 한다.
  3. 20세인 미취업자는 인력채용 연계사업의 대상자이다.
  4.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중소기업 인력지원 기본계획을 3년마다 수립하여야 한다.
  5. 인력구조 고도화사업이란 중소기업 관련 단체 및 협동조합등이 고급인력의 확보, 인력관리의 개선, 근로시간의 단축 등을 목적으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실시하는 사업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동산업종의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은 모든 중소기업에 적용되며, 특별한 예외 조항이 없다.

    따라서,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은 중소기업 인력지원 기본계획을 3년마다 수립하여야 하는 것이 맞다. 이 법은 인재육성, 인력채용 연계사업, 인력구조 고도화사업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인력 문제를 해결하고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력지원 기본계획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과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상 성과보상기금의 사용 용도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소기업 핵심인력에 대한 복지사업
  2.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사업
  3. 성과보상기금의 관리 및 운용
  4.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전직지원사업
  5. 중소기업 핵심인력에 대한 성과보상공제사업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중소기업 핵심인력에 대한 성과보상공제사업"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에서 성과보상기금은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성과에 대한 보상을 위해 사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전직지원사업"은 핵심인력의 전직을 지원하는 것으로, 성과에 대한 보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장애인기업활동 촉진법상 한국장애경제인협회가 수행하는 업무가 아닌 것은?

  1. 장애인기업에 대한 정보 제공
  2. 장애인 창업에 대한 지원 및 촉진 활동
  3. 장애인기업활동촉진에 관한 기본계획의 심의
  4. 공동구매 및 판매사업 지원
  5. 장애인기업의 외국인투자 유치 지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장애인기업활동촉진에 관한 기본계획의 심의"입니다. 이유는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에서는 장애인기업에 대한 정보 제공, 장애인 창업에 대한 지원 및 촉진 활동, 공동구매 및 판매사업 지원, 장애인기업의 외국인투자 유치 지원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 명시되어 있지만, 기본계획의 심의는 한국장애경제인협회가 수행하는 업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장애인기업활동 촉진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애인기업활동촉진위원회의 위원장은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된다.
  2. 장애인기업으로 확인받았더라도 폐업 등의 사유로 기업활동을 하지 아니하게 된 경우에는 그 확인이 취소될 수 있다.
  3. 장애인기업의 확인을 취소하려면 청문을 하여야 한다.
  4. 지방자치단체는 중소기업에 대하여 자금을 지원하는 경우 장애인기업을 우대하여야 한다.
  5. 「산업디자인진흥법」에 따른 한국디자인진흥원은 장애인기업의 디자인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장애인기업활동촉진위원회의 위원장은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장애인기업활동촉진위원회의 위원장은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장애인복지시설관리공단의 이사장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경영학

41.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단계이론과 알더퍼(C. Alderfer)의 ERG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욕구단계이론과 ERG이론은 하위욕구가 충족되면 상위욕구를 추구한다고 보는 공통점이 있다.
  2. ERG이론에서는 욕구의 좌절 -퇴행 과정도 일어난다.
  3. 욕구단계이론에서 자아실현의 욕구는 ERG이론에서 성장욕구에 해당한다.
  4. 욕구단계이론에서는 한 시점에 낮은 단계와 높은 단계의 욕구가 동시에 발생한다.
  5. 욕구단계이론에서 생리적 욕구는 ERG이론에서 존재욕구에 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욕구단계이론에서는 한 시점에 낮은 단계와 높은 단계의 욕구가 동시에 발생한다."이 부분이 옳지 않습니다.

    욕구단계이론에서는 욕구는 일정한 계층 구조를 가지며, 낮은 단계의 욕구가 충족되어야 높은 단계의 욕구를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한 시점에는 낮은 단계의 욕구가 우선적으로 발생하며, 이를 충족시키고 나서야 높은 단계의 욕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호손(Hawthorne) 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간이 조직에서 중요한 요소의 하나라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2. 개인과 집단의 사회적ㆍ심리적 요소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하였다.
  3. 비공식조직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4. 작업의 과학화, 객관화, 분업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5. 매슬로우(A. Maslow) 등이 주도한 인간관계운동의 출현을 가져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의 과학화, 객관화, 분업화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호손 연구는 인간이 조직에서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고, 개인과 집단의 사회적ㆍ심리적 요소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하였으며, 비공식조직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간관계운동 등의 출현을 가져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버나드(C. Barnard)와 사이먼(H. Simon)이 주장한 이론은?

  1. 과학적 관리법
  2. 관료제
  3. 상황이론
  4. 의사결정이론
  5. 경영과학
(정답률: 알수없음)
  • 버나드와 사이먼이 주장한 이론은 "의사결정이론"이다. 이 이론은 조직 내에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최적의 결정을 내리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론은 상황이나 문제에 따라 다양한 결정 방법을 제시하며, 경영과학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조직화 과정의 올바른 순서는?

  1. ㄱ→ㄷ→ㅁ→ㄴ→ㄹ
  2. ㄷ→ㅁ→ㄴ→ㄱ→ㄹ
  3. ㄷ →ㅁ→ ㄹ→ㄴ→ㄱ
  4. ㅁ→ㄷ→ㄱ→ㄹ→ㄴ
  5. ㅁ→ㄷ→ㄴ→ㄹ→ㄱ
(정답률: 알수없음)
  • 조직화 과정의 올바른 순서는 "ㄷ→ㅁ→ㄴ→ㄱ→ㄹ" 입니다. 이유는 먼저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역할과 책임을 분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ㄷ"가 가장 먼저 나오고, 그 다음으로는 조직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과 협력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 "ㅁ"이 나오고, 그 다음으로는 구성원들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하게 정의하고 그에 따라 조직을 구성하는 "ㄴ"이 나오고, 그 다음으로는 조직 내부의 권한과 책임을 분명하게 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 "ㄱ"이 나오며, 마지막으로는 조직의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 "ㄹ"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균형성과표(BSC)의 네 가지 관점이 아닌 것은?

  1. 내부 프로세스 관점
  2. 외부 프로세스 관점
  3. 고객관점
  4. 학습 및 성장 관점
  5. 재무관점
(정답률: 알수없음)
  • BSC는 조직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네 가지 관점을 사용합니다. 이 네 가지 관점은 내부 프로세스 관점, 고객관점, 학습 및 성장 관점, 재무관점입니다. 그러나 외부 프로세스 관점은 BSC의 네 가지 관점 중 하나가 아닙니다. 외부 프로세스 관점은 조직 외부의 환경과 경쟁자를 고려하는 것으로, BSC의 네 가지 관점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하우스(R. House)의 경로 - 목표 이론에서 정의한 리더십 행동 유형이 아닌 것은?

  1. 혁신적(innovational) 리더
  2. 성취지향적(achievement oriented) 리더
  3. 지시적(instrumental) 리더
  4. 지원적(supportive) 리더
  5. 참여적(participative) 리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지시적(instrumental) 리더"

    "혁신적(innovational) 리더"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법을 도입하고 변화를 주도하는 리더입니다. "성취지향적(achievement oriented) 리더"는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성과를 중시하는 리더입니다. "지시적(instrumental) 리더"는 명확한 지시와 규칙을 제시하고 업무를 관리하는 리더입니다. "지원적(supportive) 리더"는 직원들의 감정과 욕구를 이해하고 지원하는 리더입니다. "참여적(participative) 리더"는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함께 의사결정을 내리는 리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사용자가 노동조합원이 아닌 자도 고용할 수 있지만, 일단 고용된 근로자는 일정 기간 내 노동조합에 가입해야 하는 제도는?

  1. 플렉스 숍(flex shop)
  2. 레이버 숍(labor shop)
  3. 오픈 숍(open shop)
  4. 클로즈드 숍(closed shop)
  5. 유니온 숍(union shop)
(정답률: 알수없음)
  • 유니온 숍은 고용된 근로자가 일정 기간 내 노동조합에 가입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동조합원이 아닌 자도 고용할 수 있지만, 고용된 근로자는 노동조합에 가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모티베이션 이론 중 과정이론으로만 묶인 것은?

  1. 욕구단계론, 성취동기이론
  2. 공정성이론, 목표설정이론
  3. ERG이론, 기대이론
  4. ERG이론, 2요인이론
  5. 성취동기이론, 욕구단계론
(정답률: 알수없음)
  • 공정성이론과 목표설정이론은 모두 개인이 내부적으로 느끼는 과정에 초점을 둔 이론들이다. 공정성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노력과 성과를 타인과 비교하여 공정성을 느낄 때 동기부여가 된다는 이론이고, 목표설정이론은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개인이 동기부여를 느끼게 된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이 두 이론은 모두 개인의 내부적인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과정이론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제도 운영에서 실시되지 않았던 것은?

  1. 업종별 차등 적용
  2. 지역별 차등 적용
  3. 직무별 차등 적용
  4. 사업체 규모별 차등 적용
  5. 근로자 연령별 차등 적용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제도 운영에서는 업종별, 직무별, 사업체 규모별, 근로자 연령별 차등 적용이 이미 이루어지고 있지만, 지역별 차등 적용은 아직 실시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지역별로 경제적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최저임금을 동일하게 적용하면 일부 지역에서는 기업의 경쟁력이 떨어지거나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역별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지식, 기능, 행동, 능력 등을 기술한 문서는?

  1. 고용계약서
  2. 역량평가서
  3. 직무평정서
  4. 직무기술서
  5. 직무명세서
(정답률: 알수없음)
  • 직무명세서는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능, 행동, 능력 등을 상세하게 기술한 문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고용과 관련된 문서이거나 역량이나 성과를 평가하는 문서이므로 직무명세서와는 다른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세분시장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이 아닌 것은?

  1. 수익 및 성장의 잠재력
  2. 세분시장 내 욕구의 동질성 정도와 세분시장 간 욕구의 상이성 정도
  3. 세분시장에 대한 접근가능성의 정도
  4. 시장세분화에 소요되는 비용
  5. 세분시장의 인지부조화
(정답률: 알수없음)
  • 세분시장의 인지부조화는 세분시장 내에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일정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세분시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고려해야 할 요인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분시장의 인지부조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사업별 조직구조의 강점이 아닌 것은?

  1. 분권화된 의사결정
  2. 기능부서 간 원활한 조정
  3. 불안정한 환경에서 신속한 변화에 적합
  4. 명확한 책임 소재를 통한 고객만족 향상
  5. 제품 라인 간 통합과 표준화 강화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 라인 간 통합과 표준화 강화"는 사업별 조직구조의 강점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것은 조직구조의 강점이 아니라, 제품 라인 관리와 관련된 전략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조직구조의 강점으로서, 분권화된 의사결정, 기능부서 간 원활한 조정, 불안정한 환경에서 신속한 변화에 적합, 명확한 책임 소재를 통한 고객만족 향상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분석 기법을 설명하는 용어는?

  1. Markov chain analysis
  2. Gantt chart
  3. LP(linear programming)
  4. PERT(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
  5. VE(value engineering)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PERT (Program Evaluation & Review Technique)의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ERT는 프로젝트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기 위한 분석 기법 중 하나로, 각 작업의 선행-후행 관계와 예상 소요 시간을 고려하여 전체 프로젝트 일정을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의 비용과 일정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각 작업의 예상 소요 시간과 선행-후행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전체 프로젝트 일정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업의 환경경영체제를 평가하여 인증하는 국제환경규격은?

  1. ISO 9000
  2. ISO 14000
  3. ISO 26000
  4. ISO 27000
  5. ISO 31000
(정답률: 알수없음)
  • ISO 14000은 기업의 환경경영체제를 평가하여 인증하는 국제환경규격입니다. 이 규격은 기업이 환경문제를 인식하고 관리하며 지속가능한 경영을 추구할 수 있도록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환경문제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A 기업이 현금 1,000 만원을 투자하여 1년 후 2,000 만원의 현금유입이 발생하였다. 투자안의 순현재가치(NPV)는 약 얼마인가? (단, 요구수익률은 10%이다.)

  1. 618만원
  2. 668만원
  3. 718만원
  4. 768 만원
  5. 818만원
(정답률: 알수없음)
  • NPV는 현재 가치에서 미래 현금 유입액과 미래 현금 유출액의 차이를 계산한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000 만원의 현금이 투자되었으므로, 1년 후에 2,000 만원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현재 가치로 환산해야 한다. 요구수익률이 10%이므로, 1년 후에 받을 2,000 만원을 1.1로 나누어 현재 가치로 환산한다. 즉, 2,000 / 1.1 = 1,818 만원이다. 이에 투자액 1,000 만원을 빼면 NPV는 818 만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818만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투자안의 경제성 평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회수기간법은 시간적 가치를 고려한다.
  2. 순현가법은 투자를 하여 얻은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초기 투자금액을 비교하여 투자의 적정성을 평가한다.
  3. 내부수익률은 미래의 현금흐름의 순현가를 1로 만드는 할인율이다.
  4. 회계적이익률법에서 회계적이익률은 연평균투자액을 연평균순이익으로 나눈 것이다.
  5. 수익성지수법에서 수익성지수는 투자비를 현금유출액으로 나눈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순현가법은 투자를 하여 얻은 현금흐름의 현재가치와 초기 투자금액을 비교하여 투자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회수기간, 내부수익률, 회계적이익률, 수익성지수를 이용한 평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근로자대표와 합의하에 실시할 경우 단위기간 한도는?

  1. 2주
  2. 1개월
  3. 3개월
  4. 6개월
  5. 1년
(정답률: 알수없음)
  •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합의하여 근로시간을 조정하는 제도이다. 이때 단위기간 한도는 근로자와 사업주가 합의한 기간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근로자대표와 합의하에 실시할 경우, 단위기간 한도는 합의한 기간인 3개월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해크만과 올드햄(R. Hackman & G. Oldham)의 직무특성모형에서 5가지 핵심 직무특성이 아닌 것은?

  1. 기능 다양성
  2. 과업 정체성
  3. 과업 중요성
  4. 과업 전문성
  5. 자율성
(정답률: 알수없음)
  • 해크만과 올드햄의 직무특성모형에서 5가지 핵심 직무특성은 기능 다양성, 과업 정체성, 과업 중요성, 자율성, 그리고 피드백입니다. 따라서 과업 전문성은 핵심 직무특성이 아닙니다. 과업 전문성은 직무 수행에 필요한 기술, 지식, 경험 등의 전문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직무특성 모형에서는 다른 항목들과는 조금 다른 개념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현대적 직무설계방안이 아닌 것은?

  1. 직무순환
  2. 직무확대
  3. 직무전문화
  4. 직무충실화
  5. 준자율적 작업집단
(정답률: 알수없음)
  • "직무전문화"는 현대적 직무설계 방안이 아닙니다. 이는 과거에는 일부 직무에 대한 전문성을 강조하던 시대적인 흐름에서 나온 개념으로, 현재는 조직 내 직무의 유연성과 다양성을 강조하는 추세에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현대적 직무설계 방안으로는 "직무순환", "직무확대", "직무충실화", "준자율적 작업집단"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프렌치와 레이븐(J. French & B. Raven)이 제시한 조직 내 권력의 원천 5가지가 아닌 것은?

  1. 구조적 권력(structural power)
  2. 보상적 권력(reward power)
  3. 강압적 권력(coercive power)
  4. 합법적 권력(legitimate power)
  5. 전문적 권력(expert power)
(정답률: 알수없음)
  • 구조적 권력은 프렌치와 레이븐이 제시한 5가지 권력 중 하나가 아닙니다. 구조적 권력은 조직 내에서 특정한 위치나 역할에 따라 발생하는 권력으로, 조직 구조 자체가 권력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CEO나 상위 관리자는 조직 구조상에서 더 많은 권한과 권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구조적 권력은 조직 구조와 관련된 것으로, 다른 4가지 권력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경영의사결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리적 의사결정모형은 완전한 정보를 가진 가장 합리적인 의사결정행동을 모형화하고 있다.
  2. 경영자가 하는 대부분의 의사결정은 최선의 대안보다는 만족할만한 대안을 선택하는 것으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다.
  3. 브레인스토밍은 타인의 의견에 대한 비판을 통해 대안을 찾는 방법이다.
  4. 집단응집력을 낮춤으로써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집단사고 경향을 낮출 수 있다.
  5. 명목집단법은 문제의 답에 대한 익명성을 보장하고, 반대논쟁을 극소화하는 방식으로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브레인스토밍은 타인의 의견에 대한 비판을 통해 대안을 찾는 방법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브레인스토밍은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비판하지 않고 모든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대안을 찾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델파이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토의 구성원에게 문제를 분명히 알린다.
  2. 전문가들에게 대안을 수집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3. 전문가들로부터 개진된 의견을 취합하여 다시 모든 구성원과 공유한다.
  4. 시간적ㆍ지리적 제약이 있는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5. 합의된 의사결정대안의 도출까지 진행과정을 반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문가들에게 대안을 수집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델파이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법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전문가들의 의견이 모두 수렴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델파이법은 시간적ㆍ지리적 제약이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제품포트폴리오관리(PP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영자원의 포괄적 파악과 적절한 배분에 유용한 프레임워크이다.
  2. 기업활동을 단순하고 명쾌하게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3. 최고경영자는 기업전체수준에서 사업평가와 자원할당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4. 제품포트폴리오관리는 시장세분화와 시장성숙도에 기초하여 기업전략을 수립한다.
  5. 기업의 전체사업들을 고려함으로써 잠재적인 사업 확보와 철수를 고려하는 유용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포트폴리오관리는 시장세분화와 시장성숙도에 기초하여 기업전략을 수립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제품포트폴리오관리는 기업의 제품들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경영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이다. 기업전략은 제품포트폴리오관리를 통해 수립될 수 있지만, 단순히 시장세분화와 시장성숙도에 기초하여 수립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BCG매트릭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BCG 매트릭스는 기업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분석하여 성장성과 시장 점유율을 고려하여 4가지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도구이다.

    "ㄱ"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BCG 매트릭스에서 "ㄱ"은 존재하지 않는다.

    - "ㄴ"은 고성장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높은 제품을 의미한다.
    - "ㄱ, ㄷ"는 저성장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높은 제품과 고성장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낮은 제품을 의미한다.
    - "ㄴ, ㄷ"는 고성장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낮은 제품을 의미한다.
    - "ㄱ, ㄴ, ㄷ"는 고성장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높은 제품과 낮은 제품, 그리고 저성장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이 높은 제품을 모두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SWOT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교섭력 분석기법
  2. 사업포트폴리오 분석기법
  3. 안정성 평가기법
  4. 기업환경의 기회, 위협, 강점, 약점을 분석하는 기법
  5. 수익성, 성장성, 효과성을 분석하는 최신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SWOT분석은 기업환경의 기회, 위협, 강점, 약점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과거의 목표설정과 관리방식을 유지하면서 주요 정책이나 방침에 변화를 주지 않는 전략은?

  1. 안정전략
  2. 확장전략
  3. 축소전략
  4. 결합전략
  5. 차별화전략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정전략은 기업이 과거의 목표설정과 관리방식을 유지하면서 주요 정책이나 방침에 변화를 주지 않는 전략입니다. 이는 기업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고, 경쟁자들과의 경쟁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하고자 할 때 적용됩니다. 따라서 안정전략은 기업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중시하는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포터(M. Porter)의 산업구조분석모형(five forces model)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잠재경쟁자의 진입위험이 높으면 산업의 전반적인 수익률은 낮아진다.
  2. 산업 내 기존기업 간의 경쟁정도가 높으면 산업의 전반적인 수익률은 높아진다.
  3. 구매자의 교섭력이 낮으면 산업의 전반적인 수익률은 낮아진다.
  4. 공급자의 교섭력이 높으면 산업의 전반적인 수익률은 높아진다.
  5. 산업의 제품에 대한 대체재의 출현가능성이 낮으면 산업의 전반적인 수익률은 낮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잠재경쟁자의 진입위험이 높으면 산업의 전반적인 수익률은 낮아진다. 이는 새로운 기업이 산업에 진입하면 경쟁이 더 심해지고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가격 경쟁이 심화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기존 기업들은 가격을 낮추거나 마케팅 비용을 늘리는 등의 대응책을 강구해야 하므로 전반적인 수익률이 낮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기업의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후방통합(backward integration)은 부품과 원료 등의 투입요소에 대한 소유와 통제를 갖는다.
  2. 전방통합(forward integration)을 통하여 판매 및 분배경로를 통합함으로써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할 수 있다.
  3. 기업의 효율적인 생산규모와 전체적인 생산능력의 균형을 관리ㆍ유지하기가 쉽다.
  4. 통합된 기업 중 어느 한 기업의 비효율성이 나타나는 경우 기업 전체의 비효율성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5. 부품생산에서의 비용구조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업의 효율적인 생산규모와 전체적인 생산능력의 균형을 관리ㆍ유지하기가 쉽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수직적 통합을 통해 기업이 생산부터 유통까지의 모든 단계를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량과 판매량을 조절하여 효율적인 생산규모와 생산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기업 간 전자상거래를 의미하는 용어는?

  1. B2B
  2. B2C
  3. B2G
  4. G2C
  5. C2C
(정답률: 알수없음)
  • "B2B"는 "Business to Business"의 약어로, 기업 간 전자상거래를 의미합니다. 즉, 한 기업이 다른 기업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B2C"는 기업과 개인 간 전자상거래, "B2G"는 기업과 정부 간 전자상거래, "G2C"는 정부와 개인 간 전자상거래, "C2C"는 개인 간 전자상거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고객관계관리(CRM)의 성공 전제조건이 아닌 것은?

  1. 고객을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마이닝 도구가 필요하다.
  2. 고객관계관리를 위하여 인적네트워크가 필수적이다.
  3. 대용량 데이터분석을 위한 대용량 컴퓨터가 필요하다.
  4. 전략실행을 위한 다양한 마케팅채널과 연계되어야 한다.
  5. 고객통합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고객관계관리를 위하여 인적네트워크가 필수적이다."

    이유: CRM은 고객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것이므로, 인적네트워크는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며, 다른 보기들은 CRM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들이다. 데이터마이닝 도구는 고객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대용량 데이터분석을 위한 대용량 컴퓨터는 데이터 처리 속도를 높이고 분석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다양한 마케팅채널과 연계되어 전략을 실행하고, 고객통합 데이터베이스는 고객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허쉬와 블랜차드(P. Hersey & K. Blanchard)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에서 설명한 4가지 리더십 스타일이 아닌 것은?

  1. 설명형
  2. 설득형
  3. 관료형
  4. 참여형
  5. 위임형
(정답률: 알수없음)
  • 허쉬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에서는 "관료형" 리더십 스타일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이유는 관료형 리더십 스타일은 조직의 규칙과 절차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는 것으로, 상황적 리더십 이론에서 강조하는 개인의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처와는 거리가 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관료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시장지배를 목적으로 동일한 생산단계에 속한 기업들이 하나의 자본에 결합하는 기업집중형태는?

  1. 카르텔(cartel)
  2. 콤비나트(combinat)
  3. 콘체른(concern)
  4. 조인트벤처(joint venture)
  5. 트러스트(trust)
(정답률: 알수없음)
  • 트러스트는 동일한 생산단계에 속한 기업들이 하나의 자본에 결합하여 시장지배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집중형태이다. 이는 기업들이 서로 경쟁하지 않고 가격을 조정하고 시장을 지배할 수 있게 되는 위험성이 있어서 반독점법 등으로 규제를 받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목표관리(MBO)의 일반적 요소가 아닌 것은?

  1. 목표의 구체성(goal specificity)
  2. 명확한 기간(explicit time period)
  3. 성과 피드백(performance feedback)
  4. 참여적 의사결정(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5. 조직구조(organizational structure)
(정답률: 알수없음)
  • 조직구조는 목표관리(MBO)의 일반적 요소가 아니며, MBO는 목표의 구체성, 명확한 기간, 성과 피드백, 참여적 의사결정 등을 포함하는 목표지향적인 관리 방법론이다. 조직구조는 조직의 구성, 계층 구조, 역할 및 책임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MBO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세계 각국의 근로조건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할 목적으로 추진되는 다자간 무역협상을 설명하는 용어는?

  1. Blue Round
  2. Green Round
  3. Technology Round
  4. Competition Round
  5. Ethics Round
(정답률: 알수없음)
  • Blue Round은 근로조건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다자간 무역협상의 한 종류로, 국제 노동 기구(ILO)의 핵심 규정을 포함하여 근로자의 권리와 안전, 건강, 환경 등을 보호하는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역 파트너들은 이러한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이를 위해 상호 협력하고 협약을 체결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혁신을 위한 환경요소가 아닌 것은?

  1. 유기적 조직구조
  2. 세밀하고 철저한 일정관리
  3. 긍정적 피드백
  4. 갈등에 대한 포용
  5. 낮은 외부 통제
(정답률: 알수없음)
  • 세밀하고 철저한 일정관리는 혁신을 위한 환경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일정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관리 방법이지만, 혁신을 위해서는 실험과 실패를 허용하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유연한 환경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세밀하고 철저한 일정관리는 혁신을 위한 환경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공급사슬 내에서 소비자로부터 생산자로 갈수록 그 주문 변동 폭이 확대되는 것은?

  1. 크로스도킹시스템(cross docking system)
  2. 동기화(synchronization)
  3. e-커머스(e-commerce)
  4. 채찍효과(bullwhip effect)
  5. 자동발주시스템(computer assisted ordering)
(정답률: 알수없음)
  • 채찍효과는 공급사슬에서 생산자로 갈수록 주문 변동 폭이 확대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소비자의 수요 변동이 생산자에게 전달될 때 정보가 왜곡되거나 지연되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소매업체에서는 수요 예측을 위해 과거 판매 기록을 기반으로 주문을 하지만, 도매업체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생산 계획을 수립하고, 생산업체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원자재를 구매합니다. 이렇게 정보가 전달될 때마다 수요 예측이 왜곡되거나 지연되어 생산자에서는 수요 변동 폭이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동기화, 자동발주시스템, 크로스도킹시스템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에서 공통으로 설명하는 경영개념은?

  1. benchmarking
  2. division of labor
  3. just in time
  4. reengineering
  5. value chain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제품을 만들기 위한 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추가되는 가치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가치사슬을 최적화하여 제품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경영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value chain" 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모험적으로 위험을 감수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계층은?

  1. 혁신자(innovator)
  2. 조기수용자(early adopter)
  3. 조기다수자(early majority)
  4. 후기다수자(late majority)
  5. 지각수용자(laggard)
(정답률: 알수없음)
  • 혁신자는 새로운 아이디어나 제품에 대해 모험적으로 위험을 감수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계층이다. 이들은 새로운 것에 대한 열정과 호기심이 높으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혁신자는 새로운 제품이나 아이디어를 선보이는 기업들에게 중요한 시장을 형성하며, 이들의 성공은 이후 다른 계층들의 수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정보 사일로(information silo)의 의미는?

  1. 2개 이상의 독립적인 기업이 특정 시스템을 공유하는 것
  2. 다양한 업무부서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3. 서로 다른 정보시스템에서 데이터가 고립되어 상호작용이 어려운 관리시스템
  4. 고객과의 상호작용 업무와 관련된 모든 시스템을 연결한 통합관리 시스템
  5. 고유프로세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를 단일한 플랫폼으로 연결한 집합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보 사일로는 서로 다른 정보시스템에서 데이터가 고립되어 상호작용이 어려운 관리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즉, 각각의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데이터가 분리되어 있어서 정보를 공유하거나 상호작용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에서 공통으로 설명하는 개념은?

  1. business intelligence
  2.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3.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4. 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
  5. supply chain management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기업의 모든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생산, 재고, 인력, 재무 등 기업의 모든 부문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위 그림은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회계학개론

81.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내용 중 자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산은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고 미래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이다.
  2. 특정 항목이 자산의 정의를 충족하는지를 판단할 때에 단순한 법률적 형식이 아닌 거래의 실질과 경제적 현실을 고려하여야 한다.
  3. 자산이 갖는 미래경제적효익이란 직접으로 또는 간접으로 미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기업에의 유입에 기여하게 될 잠재력을 말한다.
  4. 유형자산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자산이 물리적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자산의 존재를 판단하기 위해서 물리적 형태가 필수적이다.
  5.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거래나 사건 자체만으로는 자산이 창출되지 아니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형자산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자산이 물리적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자산의 존재를 판단하기 위해서 물리적 형태가 필수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잘못된 개념으로, 자산은 물리적 형태를 가지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다. 예를 들어, 브랜드, 특허, 저작권 등은 물리적 형태를 가지지 않지만 자산으로 인정된다. 따라서 자산의 존재를 판단할 때 물리적 형태만을 고려해서는 안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부채의 본질적 특성인 기업의 현재의무를 이행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은?

  1. 자산을 다른 자산과 교환하다.
  2. 재화를 외상으로 구입하다.
  3.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다.
  4. 부채를 다른 부채로 대체하다.
  5. 의무불이행에 따른 위약금이 발생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의무불이행에 따른 위약금이 발생하다."

    부채는 기업이 현재 가지고 있는 의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위약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채의 본질적 특성은 기업의 현재의무를 이행하는 것입니다. 반면에 "부채를 다른 부채로 대체하다"는 것은 부채를 갚지 않고 다른 부채로 대체하는 것으로, 부채의 본질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주)대한의 20×1년 기초순자산은 ₩50,000이고, 기말순자산은 ₩70,000이다. (주)대한은 20×1년 중 ₩5,000의 유상증자를 하였고, 중간배당으로 현금 ₩2,000을 주주에게 지급하였다. 명목화폐단위 재무자본유지개념에 따른 손익은?

  1. 손실 ₩20,000
  2. 이익 ₩15,000
  3. 이익 ₩17,000
  4. 이익 ₩20,000
  5. 이익 ₩23,000
(정답률: 알수없음)
  • 기초순자산 ₩50,000에 유상증자 ₩5,000을 하여 총 자산은 ₩55,000이 되었습니다. 중간배당으로 인해 현금 ₩2,000이 지출되었으므로 자산은 ₩53,000이 됩니다. 기말순자산은 ₩70,000이므로, 이익은 ₩17,00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이익 ₩17,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현금흐름표에서 재무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되지 않는 것은?

  1. 단기차입금의 상환에 따른 현금유출
  2. 단기차입금의 차입에 따른 현금유입
  3. 유상감자로 인한 현금유출
  4. 사채의 발행에 따른 현금유입
  5. 유형자산의 처분에 따른 현금유입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유형자산의 처분에 따른 현금유입"입니다. 이유는 유형자산의 처분은 투자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유형자산의 처분은 보통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고정자산을 매각하거나 폐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현금이 유입되므로 투자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주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재무제표 어느 곳에도 표시되지 않지만 재무제표를 이해하는데 목적적합한 정보를 제공한다.
  2. 기업의 현금및현금성자산 창출능력과 기업의 현금흐름 사용 필요성에 대한 평가의 기초를 재무제표이용자에게 제공한다.
  3. 특정 필요에 따른 특수보고서의 작성을 기업에 요구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아니한 재무제표이용자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작성되는 재무제표를 말한다.
  4. 기업의 재무상태를 이해하는 데 목적적합한 경우 재무상태표에 항목, 제목 및 중간합계를 추가하여 표시한 것이다.
  5. 다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에서 요구하거나 허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않은 수익과 비용항목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석은 "재무제표 어느 곳에도 표시되지 않지만 재무제표를 이해하는데 목적적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맞습니다. 주석은 재무제표에 포함되지 않지만, 재무제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주석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현금흐름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하며, 재무제표의 항목들에 대한 설명과 해석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주)대한의 20×1년 말 자산과 부채가 다음과 같을 때, 20×1년 말 자본은?

  1. ₩400
  2. ₩450
  3. ₩500
  4. ₩550
  5. ₩600
(정답률: 알수없음)
  • 자본 = 자산 - 부채 이므로, 20×1년 말 자본은 ₩500 - ₩50 = ₩450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550"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재무제표의 표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익과 비용은 상계하여 표시한다.
  2. 재무제표는 매 회계연도 말 청산을 가정하여 작성된다.
  3. 부적절한 회계정책은 이에 대하여 공시나 주석 또는 보충 자료를 통해 설명한 경우 예외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
  4. 중요하지 않은 항목은 성격이나 기능이 유사한 항목과 통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5. 재무제표는 적어도 매 분기마다 작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무제표에서 중요하지 않은 항목은 성격이나 기능이 유사한 항목과 통합하여 표시할 수 있는데, 이는 정보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비슷한 종류의 자산이 있다면 이를 하나의 항목으로 통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재무제표의 가독성과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주)대한은 20×1년 말 단기차입금 ₩1,000을 현금으로 상환하였다. 다음 중 영향을 받지 않는 재무비율은? (단, (주)대한의 20×1년 말의 유동자산은 유동부채보다 더 많고, 부채비율을 계산할 때 분모로 자기자본을 이용한다.)

  1. 총자산이익률
  2. 부채비율
  3. 유동비율
  4. 총자산회전율
  5. 자본이익률
(정답률: 알수없음)
  • "자본이익률"은 단기차입금 상환과 같은 단기적인 현금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재무비율이다. 이유는 자본이익률은 자기자본에 대한 수익률을 나타내기 때문에 단기적인 현금흐름과는 무관하다. 반면에 "총자산이익률", "부채비율", "유동비율", "총자산회전율"은 모두 단기적인 현금흐름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번 상황에서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주)대한의 20×1년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800과 ₩500이며, 이자비용은 ₩100, 법인세비용은 ₩200이다. 20×1년 지급된 현금이자는 ₩50일 때, (주)대한의 20×1년도 이자보상비율은?

  1. 5
  2. 8
  3. 10
  4. 13
  5. 16
(정답률: 알수없음)
  •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이익 대비 이자비용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자보상비율은 (이자비용 ÷ 영업이익) × 100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주)대한의 20×1년도 이자비용은 ₩100, 영업이익은 ₩800이므로 이자보상비율은 (100 ÷ 800) × 100 = 12.5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이자비용과 함께 법인세비용도 고려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계산해야 한다. 따라서 실제로 지급된 이자비용은 ₩100 - ₩200(법인세비용) + ₩50(지급된 현금이자) = ₩-50이 된다.

    하지만 이자보상비율은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이 경우에는 0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주)대한의 20×1년도 이자보상비율은 (0 ÷ 800) × 100 = 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가 아닌 "0"이다. "8"도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법인세비용과 지급된 현금이자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수정분개 중 결과적으로 자산감소와 자본감소를 초래하는 것은?

  1. 선수임대료 중 실현된 부분을 인식하기 위한 수정분개
  2. 미지급급여 발생액을 인식하기 위한 수정분개
  3. 실현되었지만 현금으로 수취되지 않은 수익을 인식하기 위한 수정분개
  4. 선급보험료 중 기간경과로 소멸된 부분을 인식하기 위한 수정분개
  5. 비용으로 처리한 거래를 자산으로 인식하기 위한 수정분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선급보험료 중 기간경과로 소멸된 부분을 인식하기 위한 수정분개"입니다. 이는 보험료를 미리 지불하고 보험 기간이 지나면서 보험금 청구가 없어져 소멸된 경우, 해당 부분을 자산에서 차감하고 비용으로 처리하기 위해 수정분개를 수행하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자산과 자본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주)대한은 20×1년 중 소모품을 ₩850에 구매하고 자산으로 기록하였다. 20×1년 말 ₩340의 소모품이 사용되지 않고 남아있을 때, (주)대한의 기말 수정분개로 옳은 것은? (단, 20×1년 초 소모품은 없다.)

  1. (차) 소모품비 510 (대) 소 모 품 510
  2. (차) 선급비용 510 (대) 소 모 품 510
  3. (차) 소모품비 340 (대) 소 모 품 340
  4. (차) 소 모 품 510 (대) 소모품비 510
  5. (차) 소모품비 410 (대) 선급비용 410
(정답률: 알수없음)
  • 소모품은 사용되는 과정에서 비용이 발생하므로, 소모품비 계정에 비용을 기록하고 소모품 계정에서 감소시켜야 한다. 따라서, 기말 수정분개로는 "(차) 소모품비 510 (대) 소 모 품 510"이 옳다. 소모품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기존에 기록한 소모품 계정에서 차감하고, 소모품비 계정에서는 추가로 비용을 기록하여 소모품의 가치를 반영한다. 다른 보기들은 계정과목이 잘못 기재되거나, 금액이 잘못 기재되어 있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회계추정의 변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계추정의 변경은 새로운 정보의 획득, 새로운 상황의 전개 등에 따라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회계적 추정치를 바꾸는 것으로 오류수정에 해당하지 아니한다.
  2. 회계추정의 변경은 기업이 재무제표를 작성ㆍ표시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구체적인 원칙, 근거, 관습, 규칙 및 관행을 바꿈으로써 발생한다.
  3. 측정기준의 변경은 회계추정의 변경이 아니라 회계정책의 변경에 해당한다.
  4. 회계정책의 변경과 회계추정의 변경을 구분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를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본다.
  5. 대손과 재고자산 진부화는 추정이 필요할 수 있는 항목에 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계추정의 변경은 오류수정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회계추정의 변경은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이루어질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감사인이 감사절차 진행 후 상황이 다음과 같을 때 표명할 적정한 감사의견은?

  1. 적정의견
  2. 한정의견
  3. 의견보류
  4. 의견거절
  5. 부적정의견
(정답률: 알수없음)
  • 감사인이 진행한 감사절차에서 중요한 결함을 발견하였으며, 이 결함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부적정의견을 표명해야 한다. 이 경우, 재무제표가 정확하게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해 재무제표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부적정의견은 감사인이 가장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는 의견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20×1년 초에 설립된 (주)대한의 당기 재고자산 거래내역이 다음과 같고, 재고자산 가격결정방법으로 선입선출법을 적용할 경우, 계속기록법에 의한 매출원가와 실지재고조사법에 의한 기말재고액은? (단, 기말재고수량은 120개이다.) (순서대로 매출원가, 기말재고액)

  1. ₩13,600, ₩12,960
  2. ₩13,600, ₩13,400
  3. ₩14,600, ₩13,400
  4. ₩16,000, ₩11,000
  5. ₩26,000, ₩11,000
(정답률: 알수없음)
  • 선입선출법은 먼저 입고된 재고를 먼저 판매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매출원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1월 1일에 입고된 100개의 재고를 먼저 판매하고, 매출원가는 100개 × 100원 = 10,000원이 된다.
    2월 1일에 입고된 80개의 재고를 판매하고, 매출원가는 80개 × 120원 = 9,600원이 된다.
    3월 1일에 입고된 120개의 재고를 판매하고, 매출원가는 120개 × 140원 = 16,800원이 된다.

    따라서 매출원가의 총액은 10,000원 + 9,600원 + 16,800원 = 36,400원이 된다.

    기말재고액은 120개 × 140원 = 16,8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3,600, ₩13,4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회계연도 말 단기차익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다른 상장회사 주식의 공정가치가 장부금액을 초과할 경우 회계처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부금액을 상각후원가에 유효이자율을 적용한다.
  2. 장부금액을 초과하는 공정가치를 당기순손익으로 인식한다.
  3. 장부금액을 초과하는 공정가치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다.
  4. 장부금액을 초과하는 공정가치는 총포괄손익에 포함되지 않는다.
  5. 장부금액을 초과하는 공정가치는 포괄손익계산서에 보고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상장회사 주식의 공정가치가 장부금액을 초과할 경우, 이는 장부에 기록된 가치보다 실제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를 당기순손익으로 인식하여 회계처리합니다. 이유는 장부에 기록된 가치보다 실제 가치가 높기 때문에, 이를 인식하지 않으면 회사의 실제 재무상태를 반영하지 못하고, 투자자들의 이익을 손해보게 됩니다. 따라서 이를 당기순손익으로 인식하여 회계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금융자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금융자산은 보유기간에 따라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으로 분류한다.
  2. 금융자산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범주에서 상각후원가 측정 범주로 재분류하는 경우에 재분류일의 장부금액이 새로운 총장부금액이 된다.
  3. 회계불일치를 제거하거나 유의적으로 줄이는 경우에는 취득 시점 이후라도 해당 금융자산을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으로 지정할 수 있다.
  4.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은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한다.
  5.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고, 최초 인식 후에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보고기간 말에 12개월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금융자산은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며, 최초 인식시점에는 공정가치로 측정된다. 일부의 경우를 제외하고, 최초 인식 후에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보고기간 말에 12개월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한다. 이는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고기간 동안 예상되는 손실을 미리 충당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부채계정 중 재무상태표에 계상될 수 없는 것은?

  1. 미지급법인세
  2. 예수금
  3. 선수수익
  4. 가수금
  5. 선수금
(정답률: 알수없음)
  • 가수금은 재무상태표에 계상될 수 없는 부채계정이다. 이는 기업이 다른 기업에 대해 미리 지불한 금액으로, 상대방이 제공해야 할 서비스나 상품 등을 받기 전에 미리 지불한 금액이다. 따라서 이는 미래에 받을 서비스나 상품에 대한 선불금이므로, 재무상태표에 계상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주)대한의 20×1년 매출총이익률은 50%이고, 재고자산 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을 때, 당기매출원가는?

  1. ₩75
  2. ₩80
  3. ₩90
  4. ₩95
  5. ₩110
(정답률: 알수없음)
  • 매출총이익률은 매출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값이므로, 매출총이익은 ₩100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출원가는 매출액에서 매출총이익을 뺀 값인 ₩100 - ₩50 = ₩50입니다. 재고자산 거래내역에서 매입가가 ₩30인 상품이 2개 판매되었으므로, 해당 상품의 매출원가는 ₩30 × 2 = ₩60입니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당기매출원가"를 물었으므로, 재고자산에서 매입한 상품 중 아직 판매하지 않은 1개의 상품도 매출원가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당기매출원가는 ₩60 + ₩30 = ₩8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주)대한은 20×1년 초 기계장치를 구입(취득원가 ₩8,500, 잔존가치 ₩500, 내용연수 4년)하고 감가상각방법으로 연수합계법을 적용하였다. (주)대한이 해당 기계장치를 20×2년 말 ₩2,500에 처분하였을 때, 처분손익은?

  1. 손실 ₩400
  2. 손실 ₩300
  3. 손실 ₩200
  4. 이익 ₩300
  5. 이익 ₩400
(정답률: 알수없음)
  • 감가상각비율은 1/4이므로, 20×2년 말에는 이미 5년이 지났으므로 잔존가치는 0이 된다. 따라서, 해당 기계장치의 분개는 다음과 같다.

    처분시
    차변: 현금 ₩2,500
    차변: 누적상각 ₩8,500×5/4 = ₩10,625
    차변: 손익계정 ₩(2,500-10,625) = ₩(8,125)
    차변합계: ₩(21,250)

    대변: 기계장치 ₩8,500
    대변합계: ₩8,500

    따라서, 손익계정의 차변액이 크므로 손실이 발생하며, 그 크기는 ₩8,125이다. 이는 보기에서 "손실 ₩400"이므로, 정답은 "손실 ₩4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액면가액이 ₩5,000인 보통주 1주를 주당 ₩6,000에 발행하였을 때,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자산총액 ₩5,000 증가
  2. 자본총액 ₩5,000 증가
  3. 자본금 ₩5,000 증가
  4. 당기순이익 ₩1,000 증가
  5. 이익잉여금 ₩1,000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자본금 ₩5,000 증가"입니다. 이유는 주식 발행 시 자본금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자본금은 회사의 자본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주주들이 회사에 투자한 자본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주식 발행으로 인해 자본금이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재무제표에서 자본총액에 반영되며, 자산총액은 변화하지 않습니다. 또한 이익잉여금과 당기순이익은 주식 발행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1. 무형자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형자산은 물리적 실체는 없지만 식별할 수 있는 비화폐성자산을 말한다.
  2. 무형자산의 미래경제적효익은 제품의 매출, 용역수익, 원가절감 또는 자산의 사용에 따른 기타 효익의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3.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은 상각하지 아니한다.
  4.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은 자산으로 인식하지 아니한다.
  5. 무형자산을 최초로 인식할 때에는 원가와 시가 중 적은 금액으로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은 상각하지 아니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도 일정 기간에 걸쳐 소모되므로 상각을 해야 한다.

    무형자산을 최초로 인식할 때에는 원가와 시가 중 적은 금액으로 측정하는 이유는, 무형자산의 가치는 대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초 인식 시점에서는 무형자산의 가치를 과대평가하지 않기 위해 원가나 시가 중 적은 쪽을 선택하여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주)대한은 20×1년 1월 1일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950,244에 사채를 할인 발행하였을 때, 20×1년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은? (단, 계산 금액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1. ₩7,602
  2. ₩15,024
  3. ₩40,000
  4. ₩76,020
  5. ₩95,024
(정답률: 알수없음)
  •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은 발행금액에서 할인받은 금액을 차감한 후, 발행기간 동안 일정한 비율로 상각하는 금액이다.

    따라서, 발행금액 ₩950,244에서 할인받은 금액 ₩40,000을 차감한 후, 20년 동안 일정한 비율로 상각한 금액을 구해야 한다.

    할인받은 금액을 차감하면 ₩910,244가 되고, 이를 20년 동안 일정한 비율로 상각하면 연간 ₩45,512.2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계산 금액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라고 했으므로, 연간 ₩45,512.2를 반올림하여 ₩45,512로 계산한다.

    따라서,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은 20년 동안 연간 ₩45,512씩 상각되므로, 총 상각액은 20 × ₩45,512 = ₩910,240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계산 금액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라고 했으므로, ₩910,240을 반올림하여 ₩910,240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사채할인발행차금 상각액은 ₩910,240에서 발행시 받은 금액인 ₩895,216을 차감한 ₩15,024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0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수익과 비용의 인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익의 인식은 자산의 증가나 부채의 감소에 대한 인식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2. 일반적으로 수익은 현금을 수취한 때에 인식한다.
  3. 비용의 인식은 부채의 증가나 자산의 감소에 대한 인식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4. 비용은 발생된 원가와 특정 수익항목의 가득 간에 존재하는 직접적인 관련성을 기준으로 인식한다.
  5. 감가상각비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배분절차를 기준으로 인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수익은 현금을 수취한 때에 인식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수익의 인식은 현금 수취와 관련이 있지만, 현금 수취와 동시에 인식되는 것은 아닙니다. 수익은 일반적으로 수익이 발생한 시점에서 인식됩니다. 예를 들어, 상품을 판매한 경우에는 상품을 판매한 시점에서 수익이 발생하고 인식됩니다. 이후에 현금이 수취되는 경우에는 현금 수취와는 별개로 이미 수익이 인식된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주)대한은 핸드폰을 판매하고 2년간 품질보증을 해주고 있다. 과거 경험에 비추어볼 때, 매출액의 5%가 보증비용으로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20×1년과 20×2년의 매출액과 실제 발생한 보증비용은 다음과 같다. 20×2년 말 제품보증충당부채는?

  1. ₩10
  2. ₩20
  3. ₩30
  4. ₩80
  5. ₩190
(정답률: 알수없음)
  • 매출액의 5%가 보증비용으로 발생하므로, 20×1년의 매출액은 ₩400이고 보증비용은 ₩20, 20×2년의 매출액은 ₩600이고 보증비용은 ₩30이다. 따라서, 20×2년 말 제품보증충당부채는 보증비용의 누적인 ₩50이 된다. 이 중에서 이미 발생한 보증비용인 ₩20을 차감하면, 최종적으로 20×2년 말 제품보증충당부채는 ₩3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인식과정 중 ‘수행의무의 식별’ 이전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1. 고객과의 계약 식별
  2. 거래가격의 배분
  3. 계약이행 가능성 확인
  4. 거래가격의 산정
  5. 수익의 인식
(정답률: 알수없음)
  • 고객과의 계약 식별은 수익의 인식과정 중 가장 처음에 이루어지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고객과의 계약 내용을 파악하고, 계약이행 가능성을 확인하며, 거래가격을 산정합니다. 이후에는 수행의무의 식별, 거래가격의 배분 등의 단계를 거쳐 수익을 인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부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현재 재판에 계류 중인 소송에 대해 자원의 유출가능성이 높지 않다면 재무제표 본문에 부채로 보고하지 않으며, 주석으로도 공시하지 않는다.
  2. 제품보증에 관한 애프터서비스의 경우 앞으로 언제, 얼마의 비용이 발생할지 확정할 수 없으므로 충당부채로 인식하지 않는다.
  3. 자원의 유출가능성에 상관없이, 예상되는 손실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으면 충당부채로 인식할 수 있다.
  4. 장기차입금은 금융기관 등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고 그 원금을 차입일로부터 1년 이후의 일정시점에 상환하게 되어 있는 채무를 말한다.
  5. 충당부채란 당기 수익에 대응하는 비용으로서 장래에 지출될 것이 확실하나 그 금액이나 지출시기 혹은 지출대상이 확정되어 있지 않은 부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충당부채란 당기 수익에 대응하는 비용으로서 장래에 지출될 것이 확실하나 그 금액이나 지출시기 혹은 지출대상이 확정되어 있지 않은 부채이다." 이는 충당부채의 정의이며, 다른 보기들은 부채에 대한 특정한 상황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주)대한은 공장건물 신축을 위해 20×1년 초부터 2년간 ₩100,000을 차입하였다.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은 연 12%인데, 동 차입금 중 ₩40,000을 5월 초부터 6월 말까지 은행에 예입하여 ₩1,500의 이자수익이 발생하였다. 공장건물의 신축은 20×1년 5월 초에 시작하여 20×1년 10월 말에 종료되었다. 공장건물은 적격자산에 해당된다. 20×1년 (주)대한이 공장건물의 취득원가에 가산할 차입원가는? (단, 기간은 월단위로 계산한다.)

  1. ₩4,500
  2. ₩6,000
  3. ₩8,000
  4. ₩10,500
  5. ₩12,000
(정답률: 알수없음)
  •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은 연 12%이므로 월 이자율은 1%이다. 따라서 5월 초부터 6월 말까지 예입한 ₩40,000에 대한 이자는 2개월 동안 발생한 것이므로 ₩40,000 × 1% × 2 = ₩800이다.

    공장건물의 신축 기간은 20×1년 5월 초부터 20×1년 10월 말까지이므로 총 6개월 동안 건설되었다. 따라서 차입금에 대한 이자는 6개월 동안 발생한 것이다. 이자율은 연 12%이므로 월 이자율은 1%이다. 따라서 ₩100,000 × 1% × 6 = ₩6,000이다.

    하지만 이미 5월 초부터 6월 말까지 ₩40,000에 대해 ₩800의 이자수익이 발생했으므로, 이를 차감해야 한다. 따라서 공장건물의 신축에 대한 차입원가는 ₩6,000 - ₩800 = ₩5,200이다.

    그러나 공장건물은 적격자산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감가상각을 고려해야 한다. 감가상각률은 일반적으로 10%이므로, 6개월 동안의 감가상각비는 ₩5,200 × 10% × 6/12 = ₩260이다.

    따라서 공장건물의 신축에 대한 적정 차입원가는 ₩5,200 - ₩260 = ₩4,940이다. 하지만 월단위로 계산하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4,5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주)대한의 20×1년 말의 자본과 20×2년 중 발생한 거래내역이 다음과 같을 때, 20×2년말 자본총액은?

  1. ₩125
  2. ₩135
  3. ₩179
  4. ₩189
  5. ₩209
(정답률: 알수없음)
  • 20×2년말 자본총액은 20×1년말 자본총액 + 20×2년 순이익 - 20×2년 배당금이다. 따라서 계산해보면, ₩150 + ₩24 - ₩5 = ₩169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미지수"로 표시된 부분이 있으므로, 이를 구하기 위해 20×2년 거래내역을 살펴보면, ₩10의 이익이 발생하였다. 이를 20×2년 순이익에 더해주면, ₩169 + ₩10 = ₩179 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7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주)대한은 20×1년 초부터 3년간 교량을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총계약수익은 ₩400, 추정총계약원가는 ₩320이다. 연도별 계약원가 발생액은 20×1년, 20×2년, 20×3년에 각각 ₩128, ₩96, ₩96이다. 동 공사로 인한 20×2년 계약이익은? (단, 추정총계약원가는 변동이 없다.)

  1. ₩24
  2. ₩32
  3. ₩120
  4. ₩184
  5. ₩280
(정답률: 알수없음)
  • 20×2년에 발생한 계약원가는 ₩96이고, 추정총계약원가는 ₩320이므로, 남은 20×1년과 20×3년의 추정총계약원가 합은 ₩224이다. 따라서, 총계약수익인 ₩400에서 추정총계약원가인 ₩320을 뺀 ₩80을 3년간 동일하게 분배하면, 20×2년에는 ₩24의 계약이익이 발생한다. 따라서 정답은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주)대한의 20×1년 기초 자본현황과 20×1년도 자기주식 거래 및 당기순이익에 대한 정보가 다음과 같을 때, 20×1년 말 자본총계는?

  1. ₩840
  2. ₩1,000
  3. ₩1,010
  4. ₩1,020
  5. ₩1,030
(정답률: 알수없음)
  • 자본총계 = 자본금 + 이익잉여금 + 기타자본항목

    20×1년 말 자본총계 = ₩500 + ₩400 + ₩110 = ₩1,010

    이유는 주어진 정보에서 자본금은 ₩500, 이익잉여금은 ₩400, 기타자본항목은 ₩110으로 계산되며, 이들을 합산하면 ₩1,01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주)대한은 건물을 신축할 목적으로 토지를 ₩3,000에 매입하였다. 토지 매입과 관련하여 등록세 등 수수료가 ₩300이 발생했으며, 토지 매입을 위해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국채를 ₩180에 구입하였다. 매입 당시 국채의 공정가치는 ₩150일 때, 재무상태표 상 토지는?

  1. ₩3,000
  2. ₩3,300
  3. ₩3,330
  4. ₩3,450
  5. ₩3,480
(정답률: 알수없음)
  • 재무상태표 상에서 토지의 가치는 토지 매입가와 관련 수수료, 그리고 의무적으로 매입한 국채의 가치를 합산한 값이다. 따라서, 토지 매입가는 ₩3,000이고, 수수료는 ₩300이므로, 이들을 합산한 값은 ₩3,300이 된다. 그리고 의무적으로 매입한 국채의 가치는 공정가치인 ₩150보다 높은 ₩180이므로, 이를 합산한 값은 ₩3,480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국채를 매입한 가격이 ₩180이므로, 이를 반영하여 토지의 가치를 계산하면 ₩3,33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3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주)대한의 20×1년 말 재무제표에 포함된 내용이다. 20×1년 말 자본잉여금은?

  1. ₩300
  2. ₩340
  3. ₩350
  4. ₩390
  5. ₩480
(정답률: 알수없음)
  • 자본잉여금은 전년도 이익 중 배당하지 않은 부분과 이번 해의 이익 중 배당하지 않은 부분을 합한 금액이다. 따라서, 자본잉여금은 20×1년 말의 이익중 배당하지 않은 부분인 ₩1,020에서 전년도 이익 중 배당하지 않은 부분인 ₩540을 빼면 ₩48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주)대한은 원재료를 이용해서 결합생산공정으로부터 제품A와 제품B를 제조하며, 결합원 가는 순실현가치법을 이용하여 배부한다. 제품B에 배부된 결합원가가 ₩750이라면, 다음 자료를 이용할 때 배부 전 결합원가 총액은?

  1. ₩200
  2. ₩400
  3. ₩600
  4. ₩800
  5. ₩1,000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B에 배부된 결합원가가 ₩750이므로, 제품B의 결합생산공정에서 사용된 원재료 비용은 ₩250(=₩1,000-₩750)이다. 따라서 제품A의 결합생산공정에서 사용된 원재료 비용은 ₩1,000-₩250=₩750이다. 또한, 제품A와 제품B의 결합생산공정에서 사용된 원재료 비용의 합은 ₩1,000이므로, 배부 전 결합원가 총액은 ₩1,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주)대한은 월 5단위의 부품A를 자가제조하고 있으며, 단위당 제조원가는 다음과 같다.

(주)대한은 부품A 5단위를 단위당 ₩575에 외부구입이 가능하다. 외부구입할 경우 유휴시설을 임대하여 월 ₩625의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부품A에 배부된 고정제조간접원가를 단위당 ₩100만큼 회피가능하다. 외부구입시 (주)대한의 월간 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1. ₩125 감소
  2. ₩100 감소
  3. ₩100 증가
  4. ₩125 증가
  5. ₩150 증가
(정답률: 알수없음)
  • 외부구입시 월간 이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외부구입 비용 = 5 x 575 = 2,875
    임대 수익 = 625
    고정제조간접원가 회피 = 5 x 100 = 500

    따라서, 월간 이익은 625 + (2,500 - 500) = 1,625 이다.

    내부제조시 월간 이익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제조원가 = 5 x 1,200 = 6,000
    고정제조간접원가 = 5 x 400 = 2,000

    따라서, 월간 이익은 10,000 - 6,000 - 2,000 = 2,000 이다.

    외부구입시 월간 이익이 내부제조시 월간 이익보다 375 낮으므로, 월간 이익은 ₩125 증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125 증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주)대한의 직접노무원가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직접노무원가 유리한 능률차이는?

  1. ₩300
  2. ₩485
  3. ₩500
  4. ₩515
  5. ₩600
(정답률: 알수없음)
  • 직접노무원가 유리한 능률차이는 (직접노무원가 - 간접노무원가) / 간접노무원가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200 - 1,000) / 1,000 x 100 = 20% 입니다.

    그리고 유리한 능률차이가 20%일 때, 간접노무원가가 ₩500일 경우 직접노무원가는 ₩600이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직접노무원가가 이미 주어져 있으므로, 간접노무원가를 구해야 합니다.

    간접노무원가 = 직접노무원가 / (1 + 유리한 능률차이) = ₩400

    따라서, (직접노무원가 - 간접노무원가) / 간접노무원가 x 100 = (₩600 - ₩400) / ₩400 x 100 = 50%

    유리한 능률차이가 50%이므로, 간접노무원가가 ₩400일 때 직접노무원가는 ₩600이 됩니다.

    그러므로, 직접노무원가가 ₩485인 이유는 주어진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주)대한은 단일의 제품을 생산ㆍ판매하고 있다. 연간 생산 및 판매 관련 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옳지 않은 것은?

  1. 총원가 ₩28,000
  2. 총변동원가 ₩15,000
  3. 단위당 공헌이익 ₩70
  4. 영업이익 ₩21,000
  5. 손익분기점 판매량 200단위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단위당 공헌이익 ₩70"이다. 단위당 공헌이익은 1개 제품을 생산할 때 발생하는 가변비용과 기여한 고정비용의 차이로 계산되는데, 이 경우에는 (판매가 - 가변비용)으로 계산된 값인 ₩70이 아니라 (판매가 - 단위변동원가)로 계산된 값인 ₩85이다.

    총원가는 고정원가와 변동원가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총원가는 ₩13,000 + ₩15,000 = ₩28,000이다.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고정원가 + 영업이익) / 단위당 공헌이익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고정원가와 영업이익의 합은 ₩13,000 + ₩21,000 = ₩34,000이고, 단위당 공헌이익은 ₩85이므로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34,000 / ₩85) = 400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주)대한의 20×1년 발생한 원가가 다음과 같을 때 옳은 것은?

  1. 재고가능원가 ₩560
  2. 기초원가(prime costs) ₩400
  3. 변동원가계산하의 제조원가 ₩700
  4. 전부원가계산하의 제조원가 ₩620
  5. 전환원가(conversion costs) ₩560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원가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조원가 = 기초원가 + 변동원가

    여기서 기초원가는 원재료비와 직접노무비의 합으로 ₩400이고, 변동원가는 간접노무비와 간접재료비의 합으로 ₩300입니다. 따라서 제조원가는 ₩700이 됩니다.

    전부원가계산하의 제조원가는 제조원가에 간접생산비를 더한 값으로 ₩700 + ₩80 = ₩780입니다.

    재고가능원가는 제조원가에 관리비를 더한 값으로 ₩700 + ₩140 = ₩840입니다.

    전환원가는 간접노무비와 간접생산비의 합으로 ₩560입니다.

    따라서 옳은 답은 "변동원가계산하의 제조원가 ₩7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주)대한은 선입선출법에 의한 종합원가계산을 채택하고 있다. 직접재료는 공정초에 전량 투입되며, 전환원가는 공정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기초재공품은 30단위(전환원가 완성도: 20%), 당기완성품은 180단위, 기말재공품은 20단위(전환원가 완성도: 40%)이다. 당기 직접재료원가와 전환원가의 완성품환산량은? (순서대로 직접재료원가, 전환원가)

  1. 170단위, 164단위
  2. 170단위, 182단위
  3. 200단위, 168단위
  4. 200단위, 182단위
  5. 200단위, 188단위
(정답률: 알수없음)
  • 선입선출법에 따라 기초재공품 30단위 중 20%인 6단위가 당기완성품으로 판매되었으므로, 기말재공품은 24단위가 된다. 이 중 40%인 9.6단위가 전환원가로 계산되므로, 전환원가 완성도는 9.6/24 = 0.4가 된다. 따라서 전환원가는 공정 전체에 균등하게 발생하므로, 당기완성품 180단위에 전환원가 완성도 0.4를 곱한 값인 72단위가 전환원가로 계산된다.

    직접재료원가는 공정초에 전량 투입되므로, 당기 생산량인 당기완성품 180단위의 직접재료원가가 직접재료원가의 총액이 된다. 따라서 직접재료원가는 180단위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70단위, 182단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원가 및 원가행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련범위 내에서 단위당 고정원가는 각 생산량의 수준에서 일정하다.
  2. 관련범위 내에서 단위당 변동원가는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3. 제품의 생산과 관련하여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경제적 자원의 소비는 제조원가에 포함하지 아니한다.
  4. 제조기업의 제품배달용 트럭의 감가상각비는 재고가능원가이다.
  5. 서비스기업의 본사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전기료는 재고가능원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의 생산과 관련하여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경제적 자원의 소비는 제조원가에 포함하지 아니한다."는 제조과정에서 예기치 않게 발생한 비용이나 손실 등을 말하는데, 이는 제품의 생산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기 때문에 제조원가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주)대한은 개별원가계산제도를 사용한다. 전기 말 현재 작업 #101(총제조원가 ₩510)이 미완성이었으며, 당기 중 작업 #102, #103, #104가 새로 시작되었고, #101, #102는 완성되어 판매되었다. 당기 중 작업별 직접원가 발생액이 다음과 같고, 당기 제조간접원가 실제 발생액 ₩816을 직접노무원가 기준으로 배부한다고 할 때 당기 매출원가는?

  1. ₩950
  2. ₩994
  3. ₩1,404
  4. ₩1,504
  5. ₩1,852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