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4-06)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2019-04-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업진단론

1. 재무비율 중 동태비율에 해당하는 것은?

  1. 현금ㆍ예금비율
  2. 당좌비율
  3. 자기자본회전율
  4. 부채비율
  5. 유동비율
(정답률: 알수없음)
  • 동태비율은 회사의 자산 중 유동자산이 장기부채로 상환 가능한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동태비율에 해당하는 것은 없습니다. 정답인 "자기자본회전율"은 회사의 자기자본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회사의 자기자본이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내부주체인 경영자가 경영분석을 수행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내부의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업무계획 수립
  2. 경영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정보 수집
  3. 경쟁기업 분석을 위한 정보 수집
  4. 자금조달 방법을 위한 정보 수집
  5. 조세부담의 능력평가 및 거시경제 정책수립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세부담의 능력평가 및 거시경제 정책수립은 기업 내부의 상황을 파악하거나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것과는 관련이 적습니다. 이는 외부적인 요인에 대한 분석이며, 기업의 경영분석을 수행하는 목적과는 거리가 멉니다. 따라서, 조세부담의 능력평가 및 거시경제 정책수립은 경영자가 수행하는 경영분석의 목적으로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기업을 진단하는 컨설턴트의 자세로 옳지 않은 것은?

  1. 핵심 문제를 중심으로 해결책을 설정하고 집중 분석한다.
  2. 임직원과의 소통에 힘쓴다.
  3. 인터뷰를 통해서도 자료를 수집한다.
  4. 최소한의 정량적 진단기법을 활용한다.
  5. 기업체의 경영 및 기술 측면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책을 권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컨설턴트는 최소한의 정량적 진단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정량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기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컨설턴트는 정량적인 진단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업을 진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활동성 비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얼마나 능률적으로 운영하였는지 측정하는 것이다.
  2. 매출액을 형성하기 위하여 투자된 각종 자산들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3. 기업의 영업활동에 대한 효율성을 평가하는 비율이다.
  4. 회전율이 높을수록 유동부채에 대한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5. 총자산회전율은 매출액을 총자산으로 나눈 비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율이 높을수록 유동부채에 대한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회전율은 기업의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유동부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자산을 빠르게 운영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매출액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유동부채와의 상대적인 높낮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업체질삼각형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출액, 총자산회전율, 투자수익률(ROI)을 삼각형의 3변에 각각 표시하여 삼각형 면적의 변동을 평가한다.
  2.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의 체질 상태에 대한 종합적 평가를 할 수 있다.
  3. 비교시점의 삼각형 크기가 더 큰 면적일수록 양호한 것으로 평가한다.
  4. 삼각형의 하단 수평변에는 일반적으로 매출액을 표시한다.
  5. 경영의 질을 종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교시점의 삼각형 크기가 더 큰 면적일수록 양호한 것으로 평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사실 기업체질삼각형 분석에서는 삼각형 면적이 작을수록 기업의 경영체질이 양호하다고 평가한다. 이는 매출액, 총자산회전율, 투자수익률(ROI)이 모두 높은 기업일수록 삼각형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손익분기점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손익분기점이 높을수록 경영 위험은 낮다고 판단한다.
  2. 기업의 생산 및 판매활동에서 일정기간의 매출액과 영업비용이 일치하여 손익 제로(zero)상태를 의미한다.
  3. 판매단가와 단위당 변동비가 일정하다고 할 때, 수익과 비용간의 선형관계를 의미한다.
  4. 비용ㆍ매출액ㆍ이익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CVP분석이라고도 한다.
  5. 기업의 설비투자 등으로 고정비 부담이 증가하는 경우 매출액 변동에 따라 이익수준의 변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손익분기점이 높을수록 경영 위험은 낮다고 판단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손익분기점이 높을수록 기업이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매출액이 높아지기 때문에 경영 위험이 오히려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손익분기점이 낮을수록 경영 위험은 낮다고 판단하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현금흐름할인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의 영업활동에 의한 잉여현금흐름으로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모형이다.
  2. 기업이 활용하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현금흐름을 적절한 할인율로 계산한 현재가치로 기업가치를 평가한다.
  3. 할인율은 자본 출자자 관점에서 기업의 최대수익률이 되며, 기업의 관점에서 보면 자본조달의 대가인 자본수익이 된다.
  4. 영업현금유입액에서 영업현금유출액을 차감하여 영업활동현금흐름을 구한다.
  5. 현재가치 측정에 적용되는 할인율은 기업의 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할인율은 자본 출자자 관점에서 기업의 최대수익률이 되며, 기업의 관점에서 보면 자본조달의 대가인 자본수익이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할인율은 기업의 자본비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본수익과는 다른 개념이다. 할인율은 기업이 자본을 조달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고려하여 산정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제품수명주기 중 성장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신제품을 개발하는 단계로 경쟁사도 적고 매출 증가율이 극히 저조하다.
  2. 시장수요가 포화상태에 이르며 매출성장이 둔화되고 판촉비 등의 증가를 통해 극심한 경쟁을 하게 된다.
  3. 매출액이 급증하기 시작하고 대량생산에 따른 원가하락으로 수익성이 양호하고 사업 위험성이 적다.
  4. 수익성이 감소하기 시작하고 유휴설비가 발생하여 경쟁력이 약화된 기업은 서서히 사업 위험성이 커지기 시작한다.
  5. 판매량과 수익성이 급속히 감소하기 시작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수명주기 중 성장기는 매출액이 급증하기 시작하고 대량생산에 따른 원가하락으로 수익성이 양호하고 사업 위험성이 적은 단계이다. 이는 제품이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경쟁사보다 우위에 서기 시작하여 매출이 증가하고, 대량생산으로 인한 원가절감으로 수익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이 단계에서는 사업 위험성이 적기 때문에 기업은 안정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주)산단은 기업의 부실을 판별 예측할 수 있는 재무비율을 발견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 동안 부실기업과 건전기업의 재무비율이 어떻게 변화하는가의 추세를 도표로 작성하려고 한다. 이때 분석해야 하는 기법은?

  1. 판별분석
  2. 프로파일(profile) 분석
  3. 채권평가모형분석
  4. 추세분석법
  5. 다변량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파일 분석은 일정 기간 동안 부실기업과 건전기업의 재무비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세로 파악하는 분석 기법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프로파일 분석이 적절한 기법이다. 판별분석은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하는 기법이고, 채권평가모형분석은 채권 등급을 평가하는 기법이며, 추세분석법은 시계열 데이터의 추세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다변량분석은 여러 개의 변수를 동시에 분석하는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주)산단의 매출관련 자료이다.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1. 1,000개
  2. 1,500개
  3. 2,000개
  4. 2,500개
  5. 3,000개
(정답률: 알수없음)
  • 손익분기점은 총 수입과 총 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을 말한다. 이 회사의 총 비용은 고정비용 1,000,000원과 가변비용 500원 × 판매량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 수입은 판매가격 1,500원 × 판매량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총 비용 = 총 수입
    1,000,000원 + 500원 × 판매량 = 1,500원 × 판매량
    1,000,000원 = 1,000원 × 판매량
    판매량 = 1,000,000원 ÷ 1,000원
    판매량 = 1,000개

    하지만, 이 회사는 손익분기점 이상의 판매량을 달성해야 이익을 낼 수 있다. 따라서,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1,000개보다 큰 값이어야 한다. 보기에서 유일하게 1,000개보다 큰 값은 "2,000개" 이므로, 정답은 "2,000개"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포괄손익계산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현금성 항목이 포함된다.
  2. 매출원가, 판매비와 일반관리비가 포함된다.
  3. 회계적 이익은 분석대상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4. 영업이익이 많으면 기업의 경영성과가 양호함을 의미한다.
  5.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경상이익, 이월이익잉여금, 당기순이익 등이 포함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영업이익이 많으면 기업의 경영성과가 양호함을 의미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영업이익이 많다고 해서 항상 기업의 경영성과가 양호한 것은 아닙니다. 기업의 경영성과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영업이익만으로는 그것을 판단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율분석을 이용한 경영분석에서 각 재무비율 자체만으로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에 대한 양호ㆍ불량의 객관적 판단이 어려워 상호 비교할 수 있는 표준비율이 필요하다. 다음 중 표준비율의 종류에 해당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표준비율은 여러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율로, 일반적으로 산업평균이나 시장평균 등이 사용된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ㄱ, ㄴ, ㄷ, ㄹ"은 모두 표준비율의 종류에 해당된다.

    - "ㄱ"은 산업평균 비율을 의미한다.
    - "ㄴ"은 시장평균 비율을 의미한다.
    - "ㄷ"는 경쟁사 비율을 의미한다.
    - "ㄹ"은 역사적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중에서 "ㄱ, ㄴ, ㄷ, ㄹ"은 모두 다른 기업들과의 비교를 위해 사용되는 표준비율의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주)나무는 2019년 4월 창업하였다. 기업활동을 통해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기업가치의 극대화
  2. 기업성장의 극대화
  3. 이윤 극대화
  4. 부채 의존도 극대화
  5. 시장점유율 극대화
(정답률: 알수없음)
  • "부채 의존도 극대화"는 기업의 재무상태를 악화시키고, 재무위험을 증가시키며, 기업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기업활동을 통해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기업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기업은 소유와 경영이 일치한다.
  2. 합명회사는 2인 이상의 유한책임사원으로만 구성된다.
  3. 합자회사는 무한책임을 지는 출자자와 유한책임을 지는 출자자로 구성된다.
  4. 유한회사는 기업채무에 대한 유한책임을 지는 출자자로 구성된다.
  5. 주식회사는 주주의 유한 책임제도와 주식으로 자본의 증권화를 통하여 자본과 경영이 분리 운영되는 다수공동기업의 형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합명회사는 2인 이상의 유한책임사원으로만 구성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합명회사는 유한책임사원과 무한책임사원이 모두 존재할 수 있다. 유한책임사원은 자신이 출자한 금액에 한하여 책임을 지고, 무한책임사원은 자신이 출자한 금액 이상의 책임을 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기업 신용위험의 결정요인 5C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경영자 인격(Character)
  2. 상환능력(Capacity)
  3. 담보력(Collateral)
  4. 콜 옵션(Call option)
  5. 경제 여건(Conditions)
(정답률: 알수없음)
  • 콜 옵션은 기업의 신용위험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에 5C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콜 옵션은 주식 등의 자산을 매입한 사람이 일정 가격으로 해당 자산을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것으로, 기업의 신용위험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영업레버리지도(DOL)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업레버리지도가 높다는 것은 기업의 영업이익이 높거나 경영상태가 양호함을 의미한다.
  2. 고정 영업비용이 없으면 영업레버리지는 발생하지 않는다.
  3. 영업레버리지는 고정비가 크고 변동비용이 작을수록 크게 작용한다.
  4. 고정영업비용이 일정할 때에 매출액이 늘어나면 영업레버리지도가 낮아진다.
  5. 경기가 불황일 때 영업레버리지도가 큰 기업일수록 매출액의 감소에 따른 영업이익 하락 폭이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영업레버리지도가 높다는 것은 기업의 영업이익이 높거나 경영상태가 양호함을 의미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영업레버리지도가 높다는 것은 기업의 고정비 대비 변동비가 많아서 매출액 변화에 따라 영업이익이 크게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영업이익이 높거나 경영상태가 양호하다고 해서 영업레버리지도가 높다고 할 수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현금흐름표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석 대상기업의 미래 현금흐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기업의 부채상환능력과 배당금 지급능력을 알 수 있다.
  3.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순현금흐름과 당기순이익의 차이 및 그 이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4. 현금흐름을 포괄적으로 표시해서 기업 자금흐름을 대략적으로만 볼 수 있다.
  5. 기업의 투자활동과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검토함으로써 일정기간 동안 자산이나 부채의 증감 이유를 파악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금흐름을 포괄적으로 표시해서 기업 자금흐름을 대략적으로만 볼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현금흐름표는 기업의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 등을 통해 발생한 현금흐름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기업의 자금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재무제표이다. 따라서 현금흐름을 포괄적으로 표시하여 대략적으로만 볼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재무적 부실징후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의 자산 가치가 부채 가치보다 감소
  2. 과다한 금용비용 발생
  3. 재고자산의 감소
  4. 자본잠식의 심화
  5. 현금ㆍ예금의 지속적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재고자산의 감소는 오히려 재무적 부실징후가 아니라 경영상의 효율적인 관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재고 회전율이 높아지면서 재고자산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재고자산의 감소"는 옳지 않은 보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업의 자본조달비용을 의미하는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산출 시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자기자본
  2. 자기자본의 비용
  3. 타인자본의 비용
  4. 법인세율
  5. 유형자산
(정답률: 알수없음)
  • WACC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데 필요한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의 비용을 고려하여 계산하는데, 유형자산은 자본조달비용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유형자산은 기업의 생산활동에 필요한 고정자산으로, WACC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경영분석의 수행 주체와 분석 목적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금융기관: 제품의 품질과 사후 서비스 분석
  2. 투자자: 주식이나 채권의 내재가치 또는 위험특성 분석
  3. 세무당국: 담세능력이나 수익성 분석
  4. 신용평가기관: 채권등급 평정
  5. 주주: 수익성과 위험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금융기관은 제품의 품질과 사후 서비스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제품 개발 및 마케팅 분석에 해당하며, 금융기관은 대출 심사 및 대출 상환 능력 분석 등과 같은 대출 관련 분석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금융기관: 대출 심사 및 대출 상환 능력 분석"이 옳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경영분석의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수분석은 계산한 재무비율을 표준비율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2. 증감분석법은 기간 중에 특정 재무제표 항목이 어느 정도 변동하였는지를 분석한다.
  3. 지수법은 재무제표상 두 항목의 균형이 이루어져 있는가를 분석한다.
  4. 균형분석법은 가중평균지수를 계산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한다.
  5. 비율분석은 몇 개의 중요한 비율을 결합하여 종합적인 하나의 지표로 분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증감분석법은 특정 재무제표 항목이 기간 중에 어느 정도 변동했는지를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즉, 전년도와 비교하여 증가했는지 감소했는지를 파악하여 경영상황을 판단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총자본순이익률(ROI)분석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미국 듀퐁사에서 개발하였다.
  2. 매출액순이익률과 총자산회전율을 곱하여 계산한다.
  3. 장단기 지급능력 등에 대한 분석도 포함한 유용한 분석법이다.
  4. 수익성을 결정하는 질적 요소나 전략적 요소를 간과할 수 있다.
  5. 기업의 단기 경영목표를 총자산순이익률의 극대화로 보고 이 목표를 통제하기 위한 분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익성을 결정하는 질적 요소나 전략적 요소를 간과할 수 있다."는 총자본순이익률(ROI)분석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총자본순이익률(ROI)분석법은 기업의 재무상태와 수익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매출액순이익률과 총자산회전율을 곱하여 계산한다. 이는 기업의 단기 경영목표를 총자산순이익률의 극대화로 보고 이 목표를 통제하기 위한 분석이다. 또한, 장단기 지급능력 등에 대한 분석도 포함하여 유용한 분석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수익성을 결정하는 질적 요소나 전략적 요소를 간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주)중기에서 재무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재무상태를 판단하고자 할 때 분석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익성 분석
  2. 유동성 분석
  3. 안전성 분석
  4. 유연성 분석
  5. 성장성 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유연성 분석은 재무상태를 판단하는 요소 중 하나가 아니며, 기업이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유연성 분석은 분석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다. 수익성 분석은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고, 유동성 분석은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을 평가하며, 안전성 분석은 기업의 재무위험을 평가하고, 성장성 분석은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평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기업의 유동성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업이 장기채무를 변제할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는 비율이다.
  2. 현금비율은 유동성비율 중에서 가장 보수적인 비율이다.
  3.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 대체로 낮을수록 좋다.
  4. 유동성 분석을 위한 항목에는 유동비율, 당좌비율, 총자산회전율 등이 존재한다.
  5. 순운전자본비율은 순운전자본을 유형자산으로 나눈 비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금비율은 유동자산 중에서 현금과 현금성 자산만을 이용하여 유동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비율이다. 따라서 다른 유동자산인 재고자산이나 매출채권 등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보수적인 비율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재무상태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정시점의 기업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이다.
  2. 재무상태표의 대변은 부채와 자본으로 구성된다.
  3. 재무상태표상의 장부가치와 경제적 실질가치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4. 재무상태표의 차변은 자본의 조달상황, 대변은 자본의 운용상황을 나타낸다.
  5. 재무상태표에는 질적 정보와 비계량적 정보가 반영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무상태표의 차변은 자본의 조달상황, 대변은 자본의 운용상황을 나타내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당좌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기업의 단기채무지급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표는?

  1. 당좌비율
  2. 유동비율
  3. 순운전자본비율
  4. 현금비율
  5. 부채비율
(정답률: 알수없음)
  • 당좌비율은 기업의 당좌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지표로, 기업의 단기채무지급능력을 평가하는데 유용합니다. 당좌자산은 현금,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기업이 급하게 현금을 필요로 할 때 쉽게 유동화할 수 있는 자산입니다. 따라서 당좌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채무지급능력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빈의 q 비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식의 시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2. 주식의 시가를 주당장부가치로 나눈 값이다.
  3. 배당금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4. 주당 배당액에서 주식가격을 나눈 값이다.
  5. 자산의 시장가치를 자산의 대체원가로 나눈 값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토빈의 q 비율은 자산의 시장가치를 자산의 대체원가로 나눈 값입니다. 이는 기업이 자산을 대체할 때 필요한 비용과 현재 시장에서 자산이 가치 있는 정도를 비교하여 기업의 투자 결정을 돕는 지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식의 시가, 장부가치, 배당금, 배당액 등을 이용한 지표이며, q 비율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기자본과 비유동부채가 비유동자산에 어느 정도 투입되어 운용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는?

  1. 유동비율
  2. 비유동비율
  3. 자기자본비율
  4. 이자보상비율
  5. 비유동장기적합률
(정답률: 알수없음)
  • 비유동장기적합률은 자기자본과 비유동부채가 비유동자산에 어느 정도 투입되어 운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기업이 장기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충당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비유동자산에 대한 자금 조달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재무상태표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은?

  1. 자산
  2. 이자비용
  3. 자본금
  4. 이익잉여금
  5. 매입채무
(정답률: 알수없음)
  •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등의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이며, 이자비용은 손익계산서에서 계산되는 비용으로 재무상태표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자비용은 기업의 현재 재무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이전 기간에 발생한 비용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자비용은 손익계산서에서 계산되어 재무상태표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재무제표를 이용한 비율분석의 한계점이 아닌 것은?

  1. 경영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는 경우에는 분석의 한계가 있다.
  2. 비교기업 간의 회계처리방법이 다른 경우에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렵다.
  3. 계절적 변동에 따른 영향이 큰 산업은 비율분석이 왜곡될 수 있다.
  4. 비교기준이 되는 표준비율로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5. 분석목적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비율분석이 어렵고, 제3자가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분석목적에 맞는 다양한 종류의 비율분석이 어렵고, 제3자가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다는 것은 재무제표를 이용한 비율분석의 한계점이 아닌 것입니다. 이는 비율분석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분석 목적에 맞는 적절한 비율을 선택하고, 이를 계산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해야 하며, 이러한 자료는 종종 제한적이거나 부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레버리지비율로 조달한 자본 중 타인자본에 대한 의존 정도를 나타내는 것은?

  1. 매출수익율
  2. 자산회전율
  3. 부채비율
  4. 당좌비율
  5. 자기자본회전율
(정답률: 알수없음)
  • 레버리지 비율은 자기자본 대비 부채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레버리지 비율이 높을수록 부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며, 부채비율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채비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경영분석 자료 중 회계자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은 회계기준에 근거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2. 재무상태표는 일정시점의 자산과 부채 및 자본의 내용을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다.
  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기업활동에서 발생하는 이익 처분에 관련한 보고서이다.
  4. 현금흐름표는 기업활동에서 발생하는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영업, 투자, 재무활동으로 분류한 보고서이다.
  5. 포괄손익계산서는 기업활동에서 일정시점의 경영노력의 결과를 수익, 비용, 이익의 관계로 체계적으로 제시한 보고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포괄손익계산서는 기업활동에서 일정시점의 경영노력의 결과를 수익, 비용, 이익의 관계로 체계적으로 제시한 보고서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경영분석에서 활용하는 비회계적 자료가 아닌 것은?

  1. 인력현황
  2. 포괄손익계산서
  3. 시장점유율
  4. 노사관계
  5. 주식가격과 거래량
(정답률: 알수없음)
  • 경영분석에서는 주로 회계적 자료를 활용하지만, 비회계적 자료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포괄손익계산서는 회계적 자료 중 하나로, 비회계적 자료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포괄손익계산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주가현금흐름비율(PC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가현금흐름비율이 낮은 주식이 일반적으로 투자대상으로 적절하다.
  2. 1주당 매출액의 몇 배가 주가로 평가되는지를 보여준다.
  3. 주가현금흐름비율이 높을수록 보유한 현금에 비해 주가가 낮은 것으로 해석된다.
  4. 대체적으로 주가가 일정하다면 주가현금흐름비율이 주가수익비율보다 높게 나타난다.
  5. 기업의 당기순이익 중 배당금으로 지급되는 부분의 비율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가현금흐름비율(PCR)은 기업의 주가를 현금흐름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따라서 주가현금흐름비율이 낮을수록 기업의 주가가 현금흐름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주가현금흐름비율이 낮은 주식이 일반적으로 투자대상으로 적절하다."는 설명이 옳다. 다른 보기들은 주가와 관련된 지표를 설명하고 있지만, PCR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경제적 부가가치(EVA)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EVA의 측정은 영업이익에서 총자본비용을 차감한 것이다.
  2. EVA가 양(+)의 값이면 효과적인 경영을 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3. 수익성이 높은 부문에 투자를 유도하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4. EVA를 강조할 경우 경영자들은 단기성과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5. EVA를 증가시키려면 자본비용을 낮추어야 하고 적절한 재무구조를 유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EVA를 강조할 경우 경영자들은 단기성과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EVA는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 창출을 위해 사용되는 지표로,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성과를 추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EVA를 강조할 경우 경영자들은 장기적인 가치 창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이행하는 데 더욱 노력할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주가를 주당순자산(장부가치)으로 나눈 비율은?

  1. PBR
  2. PER
  3. PSR
  4. ROE
  5. ROA
(정답률: 알수없음)
  • 주가를 주당순자산(장부가치)으로 나눈 비율은 PBR이다. 이는 기업의 가치를 장부가치에 비례하여 평가하는 지표로, PBR이 낮을수록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SR은 주가를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매출액 대비 주가가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ROE은 자기자본이익률로, 기업의 이익을 자기자본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ROA는 총자산수익률로, 기업의 총자산 대비 이익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물가상승이 재무비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물가상승이 재무비율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
    - 물가상승은 기업의 수익과 비용 모두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재무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ㄴ. 물가상승으로 인해 재무비율이 감소한다.
    - 물가상승으로 인해 기업의 비용이 증가하면서 이익이 감소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재무비율이 감소한다.
    - ㄷ. 물가상승으로 인해 재무비율이 증가한다.
    - 물가상승으로 인해 기업의 자산가치가 상승하면서 자기자본도 상승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재무비율이 증가한다.
    - ㄹ. 물가상승으로 인한 재무비율의 변화는 기업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
    - 물가상승이 기업의 수익과 비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따라 재무비율의 변화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일반화할 수 없다.
    -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주)중기의 2018년도 영업이익은 200억원, 당기순이익은 100억원이다. 총자산영업이익률(ROA)이 0.1이고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이 0.2일 때, (주)중기의 타인자본은 얼마인가?

  1. 400억원
  2. 500억원
  3. 800억원
  4. 1,500억원
  5. 2,000억원
(정답률: 알수없음)
  • ROA는 총자산 대비 영업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ROE는 자기자본 대비 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ROE가 ROA보다 높은 경우, 자기자본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자기자본은 총자본의 일부분이므로 타인자본은 자기자본을 제외한 나머지이다.

    ROA = 영업이익 / 총자산
    0.1 = 200 / 총자산
    총자산 = 2,000억원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0.2 = 100 / 자기자본
    자기자본 = 500억원

    따라서, 타인자본은 총자본에서 자기자본을 뺀 나머지이므로 2,000 - 500 = 1,500억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주)중기는 외국인 관광객 대상으로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다. 전 세계적인 한류의 확산으로 (주)중기의 화장품 판매매출이 10%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영업이익이 30%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주)중기의 영업레버리지도(DOL)는?

  1. 1
  2. 2
  3. 3
  4. 4
  5. 5
(정답률: 알수없음)
  • DOL은 %로 계산되며, DOL = %변화율(영업이익) / %변화율(매출액) 이다. 문제에서는 매출액이 10% 증가하고, 이에 따라 영업이익이 30% 증가한다고 했으므로 DOL은 30% / 10% = 3 이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주)중기의 회계자료가 다음과 같을 때 노동생산성은?

  1. 100원
  2. 200원
  3. 250원
  4. 400원
  5. 5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노동생산성은 총 생산액을 총 노동시간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총 생산액 ÷ 총 노동시간)을 계산하면 됩니다.

    총 생산액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값인 1,000,000원입니다.
    총 노동시간은 직원 5명이 8시간씩 일한 총 40시간입니다.

    따라서 노동생산성은 (1,000,000원 ÷ 40시간) = 25,000원입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200원"인 이유는, 노동생산성이 25,000원일 때 1원당 생산성은 1/25,000원이 되며, 이를 100으로 나누면 0.004원이 됩니다. 이 값을 50으로 곱하면 0.2원이 되며, 이를 1,000으로 곱하면 200원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조사방법론

41. 자료수집방법 중 실험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실험법은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변수를 조작하고 결과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 따라서 실험법을 사용하면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 보기에서 "ㄱ, ㄷ"는 두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이다.
    - "ㄱ, ㄴ"은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이다.
    - "ㄱ, ㄹ", "ㄴ, ㄷ", "ㄷ, ㄹ"도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연구의 과정이나 방법이 분명하게 정리되어, 동일한 절차를 반복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는 과학적 연구의 특징은?

  1. 객관성
  2. 재현가능성
  3. 검증가능성
  4. 경험성
  5. 비주관성
(정답률: 알수없음)
  • 과학적 연구에서는 연구의 과정과 방법이 분명하게 정리되어 있어, 다른 사람들이 동일한 절차를 따르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재현가능성이라고 한다. 이는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 다른 연구자들이 연구 결과를 검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과학적 연구에서는 재현가능성이 매우 중요한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면접조사 과정 중 프로빙(probing)을 구사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단한 찬성적인 응답
  2. 무언의 암시에 의한 자극
  3. 명확한 대답의 요구
  4. 비지시적 질문의 사용
  5. 의견이나 행동의 이유를 질문
(정답률: 알수없음)
  • "의견이나 행동의 이유를 질문"은 옳은 방법이다. 이 방법은 면접자의 의견이나 행동에 대한 깊은 이해를 위해 사용되며, 면접자의 사고 과정과 결정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프로빙의 유형이며, "의견이나 행동의 이유를 질문"은 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서베이 자료수집 방법들의 특성을 상대적으로 비교한 표이다. ( ㄱ ) ∼ ( ㄹ )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보통, ㄴ: 느림, ㄷ: 낮음, ㄹ: 낮음
  2. ㄱ: 우수, ㄴ: 느림, ㄷ: 낮음, ㄹ: 보통
  3. ㄱ: 우수, ㄴ: 빠름, ㄷ: 보통, ㄹ: 낮음
  4. ㄱ: 보통, ㄴ: 느림, ㄷ: 보통, ㄹ: 보통
  5. ㄱ: 우수, ㄴ: 빠름, ㄷ: 낮음, ㄹ: 낮음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보통 - 모든 방법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들이기 때문에 보통으로 분류됩니다.
    - ㄴ: 느림 - 인터뷰나 관찰 등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느림으로 분류됩니다.
    - ㄷ: 보통 - 설문조사는 비교적 쉽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지만, 인터뷰나 관찰보다는 시간이 덜 걸리기 때문에 보통으로 분류됩니다.
    - ㄹ: 보통 - 문항지나 인터넷 설문조사는 비교적 쉽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처리도 간단하기 때문에 보통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설명에 모두 해당하는 실험설계 방법은?

  1. 집단비교설계
  2. 단일집단 사후 측정설계
  3. 솔로몬 4집단 설계
  4. 통제집단 사후 측정설계
  5. 단일집단 사전사후 측정설계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실험설계 방법은 하나의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에 측정한 결과와 사후에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여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단일집단 사전사후 측정설계"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실험설계 방법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패널조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제 구매행동이 아닌 구매의도에 관한 자료이다.
  2. 패널 구성원들이 표본 대표성을 결여할 수 있다.
  3. 패널 구성원들이 이사 혹은 기타 이유로 패널에서 이탈할 수 있다.
  4. 원래 정해진 응답자가 아닌 다른 응답자가 응답할 수 있다.
  5. 사실대로 응답하지 않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실제 구매행동이 아닌 구매의도에 관한 자료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패널조사는 일반적으로 구매의도, 제품 선호도, 브랜드 인식 등을 조사하기 때문에 실제 구매행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두 변수 간의 사실적 관계를 통제하여 밝힐 수 있는 변수로서 진짜 관계가 무차수준에서 나타나는 것을 방해하는 검증변수는?

  1. 억제변수
  2. 조절변수
  3. 왜곡변수
  4. 잠재변수
  5. 매개변수
(정답률: 알수없음)
  • 억제변수는 두 변수 간의 사실적 관계를 통제하여 밝힐 수 있는 변수로서, 진짜 관계가 무차수준에서 나타나는 것을 방해하는 변수입니다. 이는 조절변수와 유사하지만, 조절변수는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억제변수는 오히려 두 변수 간의 관계를 왜곡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억제변수는 검증 결과를 왜곡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탐색적 조사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적집단면접법
  2. 전문가의견조사
  3. 문헌연구
  4. 사례조사
  5. 패널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탐색적 조사 방법 중에서 패널조사는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일정한 주기로 반복적으로 조사하는 방법으로, 이미 정해진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므로 탐색적 조사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A사는 최근 마케팅 부서에 고객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20여명의 신규직원을 추가로 마케팅 부서에 충원하였다. 한편, 고객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 사은품 증정프로모션을 함께 실시하였다. 이 때 사은품 증정 프로모션의 변수 유형은?

  1. 억제변수
  2. 왜곡변수
  3. 이산변수
  4. 외생변수
  5. 조절변수
(정답률: 알수없음)
  • 사은품 증정 프로모션은 마케팅 부서에서 조작 가능한 변수가 아니며, 마케팅 부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변수이므로 "외생변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실험설계의 종류에 관한 다음 표의 (ㄱ) ∼ (ㄷ)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원시, ㄴ: 순수, ㄷ: 유사
  2. ㄱ: 순수, ㄴ: 원시, ㄷ: 유사
  3. ㄱ: 유사, ㄴ: 순수, ㄷ: 원시
  4. ㄱ: 유사, ㄴ: 원시, ㄷ: 순수
  5. ㄱ: 원시, ㄴ: 유사, ㄷ: 순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유사, ㄴ: 순수, ㄷ: 원시"입니다.

    (ㄱ) 유사설계는 이미 존재하는 실험설계를 참고하여 비슷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는 것이므로 원시적인 방법이 아닙니다.

    (ㄴ) 순수설계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구분하여 실험을 진행하는 것으로, 다른 요인들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순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ㄷ) 원시설계는 실험을 진행하기 전에 미리 계획을 세우지 않고, 단순히 시행착오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장 원시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비표준화면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비표준화면접은 기업이나 채용담당자가 자체적으로 만든 면접 방식으로, 일반적인 면접과는 다른 형식과 질문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ㄱ, ㄷ"은 비표준화면접에서 자주 등장하는 질문 유형 중 하나입니다. "ㄱ, ㄷ"은 두 가지 선택지 중에서 자신이 더 선호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하는 질문입니다. 이를 통해 지원자의 선호도나 성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적합한 업무나 조직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구체적이고 정확한 조작적 정의를 하고, 이에 맞는 측정항목을 개발한다.
  2. 신뢰성이 높은 측정문항을 사용한다.
  3. 선행연구를 통해 실효성이 검증된 측정도구를 사용한다.
  4. 한 가지 방법보다는 두 개 이상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5. 측정개념을 위한 용어를 정확하게 사용하고 응답자들에게 용어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한 가지 방법보다는 두 개 이상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이다. 이유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은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들이지만, 이 중에서 가장 강조해야 할 것은 "신뢰성이 높은 측정문항을 사용한다."이다. 이는 측정도구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보장하며,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상관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관계수의 절댓값의 크기는 변수들 간의 선형관계 정도를 나타낸다.
  2. 상관계수는 -1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진다.
  3. 상관계수의 값이 0.8 이상이거나 -0.8 이하이면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4. 두 변수의 값에 양의 상수를 곱하면 상관계수가 변한다.
  5. 산포도에서 한 변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른 한 변수의 값이 감소하면 상관계수가 음의 상관관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 변수의 값에 양의 상수를 곱하면 상관계수가 변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상관계수는 두 변수 간의 선형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두 변수의 값에 양의 상수를 곱하더라도 선형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단지 상관계수의 부호만 바뀔 뿐이다. 예를 들어, 두 변수 X와 Y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을 때, X에 2를 곱하면 Y에도 2를 곱해주면서 상관계수는 여전히 양의 값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조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체계적 오차를 제거한다.
  2. 측정항목의 모호성을 제거한다.
  3. 측정항목의 수를 늘린다.
  4. 응답자가 모르는 내용은 측정하지 않는다.
  5. 검증된 측정방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체계적 오차를 제거한다."는 조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조사에서 발생하는 무작위 오차와는 달리 체계적으로 발생하는 오차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체계적 오차는 조사의 설계나 질문의 구성 등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로, 이를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체계적 오차를 최소화하고, 무작위 오차를 줄이는 방법을 함께 사용하여 조사의 신뢰성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사양식법
  2. 대체법
  3. 반분법
  4. 내적일관성
  5. 상호배타성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배타성은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다른 측정 방법들과 중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원칙이다. 따라서 상호배타성은 옳지 않은 보기이다. 유사양식법, 대체법, 반분법, 내적일관성은 모두 신뢰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측정의 타당도는 낮은 반면에 신뢰도는 높은 경우에 해당하는 측정오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체계적 오차는 작은 반면에 무작위 오차는 크다.
  2. 체계적 오차와 무작위 오차 모두 작다.
  3. 체계적 오차와 무작위 오차 모두 크다.
  4. 체계적 오차는 큰 반면에 무작위 오차는 작다.
  5. 체계적 오차와 무작위 오차의 크고 작음을 판단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의 타당도가 낮다는 것은 측정이 실제로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측정 결과에는 체계적 오차와 무작위 오차가 모두 포함됩니다. 그러나 신뢰도가 높다는 것은 측정 결과가 일관되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측정 결과에는 무작위 오차는 작지만 체계적 오차는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체계적 오차는 일관되게 발생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아도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무작위 오차는 우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을수록 무작위 오차는 작아집니다. 따라서 "체계적 오차는 큰 반면에 무작위 오차는 작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n개 항목의 내적 일관성을 구하는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alpha)를 계산하는 공식이다. (ㄱ)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크론바흐 알파는 내적 일관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여러 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테스트나 설문조사에서 각 항목들이 서로 일관성 있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공식에서는 각 항목들의 분산과 전체 항목들의 분산을 비교하여 내적 일관성을 계산한다. 분모에는 전체 항목들의 분산을, 분자에는 각 항목들의 분산과 전체 항목들의 분산을 뺀 값의 합을 사용한다.

    따라서, 분자가 작을수록 크론바흐 알파 값은 커지게 된다. ""은 분자에서 각 항목들의 분산과 전체 항목들의 분산을 뺀 값의 합을 의미하며, 이 값이 작아지면 분자가 작아져 크론바흐 알파 값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시장조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사내용은 통계법에 의해 지정된 통계 목적 이외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2. 소비자 실험 시 기업의 실무자들이 면접의 진행과정을 일방거울을 통해 지켜본다면 이 경우 반드시 참석자들에게 해당사실에 대해 알려주어야 한다.
  3.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제품테스트를 진행하는 경우 응답자들에게 발생가능한 문제점을 반드시 설명해 주어야 한다.
  4. 조사회사는 한 업종에서 한 업체의 조사만을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두 개의 업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면 특정부서가 전담하도록 해야 한다.
  5. 시장조사를 의뢰하는 경우 계약 이외의 것을 요구하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회사는 한 업종에서 한 업체의 조사만을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나 두 개의 업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다면 특정부서가 전담하도록 해야 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조사회사는 여러 업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따라 적절한 부서나 담당자를 지정하여 조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보고서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정조사 업무 내용 및 결과를 의사결정자에게 보고하기 위한 문서이다.
  2. 응답자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대해 분석과 해석을 통해 문제해결 관련 정보를 제시하여야 한다.
  3. 보고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가능한 조사과정에서 발생된 세부사항들을 모두 포함시켜야 한다.
  4. 조사의 전반적 과정과 결과를 명확하게 제시하여야 한다.
  5. 현황분석을 통하여 연구자의 주장을 직ㆍ간접적으로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고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가능한 조사과정에서 발생된 세부사항들을 모두 포함시켜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보고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조사과정에서 발생된 세부사항들을 모두 포함시키는 것이 중요하지만, 가능한 모든 세부사항을 포함시키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보고서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A사의 마케팅 담당자는 자사 제품의 디자인만족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브랜드 인지도에 따라 상이한 효과가 있는지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이 때 브랜드 인지도의 변수 유형은?

  1. 매개변수
  2. 억제변수
  3. 왜곡변수
  4. 외생변수
  5. 조절변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조절변수

    해설: 조절변수는 연구자가 다른 변수들의 영향력을 제거하기 위해 조절하는 변수를 말한다. 이 경우, 마케팅 담당자는 디자인만족도와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지만, 이 관계에 브랜드 인지도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있다. 따라서 브랜드 인지도를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디자인만족도와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를 브랜드 인지도의 영향력을 제거한 상태에서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가설 설정 시 좋은 가설이 갖춰야 할 조건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가설 설정 시 좋은 가설이 갖춰야 할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검증 가능성: 가설은 검증 가능한 내용이어야 한다.
    2. 명확성: 가설은 명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3. 예측 가능성: 가설은 예측 가능한 내용이어야 한다.
    4. 일관성: 가설은 일관성 있게 설명되어야 한다.

    따라서 "ㄷ, ㄹ"이 정답인 이유는 "ㄷ"는 검증 가능성과 명확성을 갖추고, "ㄹ"은 예측 가능성과 일관성을 갖추기 때문이다. "ㄱ"과 "ㄴ"은 가설 설정 시 필요한 조건을 모두 갖추지 못하고, "ㄴ, ㄷ"와 "ㄱ, ㄷ, ㄹ"은 조건이 너무 많아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K 프랜차이즈 본부에서 가맹점의 매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실적이 우수한 가맹점과 저조한 가맹점을 각각 3개씩 선정하여 가맹점주와 면담, 매장 관찰, 매출 자료 분석을 하였다. 이에 해당하는 조사방법은?

  1. 표적집단면접조사
  2. 사례조사
  3. 전문가조사
  4. 종단조사
  5. 델파이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사례조사"이다. 이는 특정한 사례를 선정하여 깊이 있는 조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이 경우에는 실적이 우수한 가맹점과 저조한 가맹점을 각각 선정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방법은 현상을 이해하고 원인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실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A그룹은 다음 올림픽경기에 공식 후원업체로 참여하기로 결정을 하였다. 그룹 마케팅 부서에서는 올림픽경기 공식후원이 기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올림픽 개최 전에 기업선호도 조사를 실시하고, 올림픽 경기가 종료된 후 기업선호도 조사를 다시 실시하기로 하였다. 이에 적합한 방법은?

  1. 문헌조사
  2. 순수실험연구
  3. 사례조사
  4. 횡단연구
  5. 종단연구
(정답률: 알수없음)
  • 종단연구가 적합하다. 이유는 올림픽 개최 전과 후에 기업선호도를 비교하고자 하기 때문에, 동일한 대상을 대상으로 시간적 차이를 두고 조사하는 종단연구가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이에 적합하지 않은 방법들이다. 문헌조사는 이론적인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고, 순수실험연구는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는 방법이다. 사례조사는 특정 사례를 조사하는 방법이고, 횡단연구는 시간적 차이 없이 동일한 시점에서 여러 대상을 비교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설문지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가지 내용을 하나의 질문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2. 특정 상황을 조사자 임의로 가정하지 않는다.
  3. 전문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질문의 의도가 분명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4. 유도적인 표현은 피한다.
  5. 선택형 질문의 경우 가능한 모든 응답을 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문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질문의 의도가 분명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전문용어는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이를 사용함으로써 질문의 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응답자들도 해당 분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척도개발 시 척도점의 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척도점의 수가 많을수록 분산은 커진다.
  2. 홀수점 척도에서 가운데 점에 응답한 응답자가 많으면 자료의 가치가 떨어진다.
  3. 척도점의 수를 늘려 측정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4. 짝수점 척도는 의도와 다른 응답을 강요할 수 있다.
  5. 중립적 응답이 필요한 경우 척도점의 수를 늘린 짝수점 척도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립적 응답이 필요한 경우 척도점의 수를 늘린 짝수점 척도를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척도점의 수를 늘리는 것은 측정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지만, 짝수점 척도는 의도와 다른 응답을 강요할 수 있기 때문에 중립적인 응답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중립적 응답이 필요한 경우에는 홀수점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어의차이(semantic differential) 척도의 형태는?

  1. 이분형
  2. 개방형
  3. 평정형
  4. 체크리스트형
  5. 다항선택형
(정답률: 알수없음)
  • 어의차이 척도의 형태는 평정형이다. 이는 양 끝단에 반대되는 의미를 가진 단어나 문장을 놓고 그 사이에 중간값을 표시하는 형태이다. 예를 들어, "매우 나쁨"과 "매우 좋음"을 양 끝단에 놓고 그 사이에 "보통"이나 "중간" 등의 중간값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객관적이고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며, 설문조사나 실험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계란을 측정한 척도의 종류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ㄱ: 등간척도, ㄴ: 서열척도
  2. ㄱ: 서열척도, ㄴ: 등간척도
  3. ㄱ: 비율척도, ㄴ: 등간척도
  4. ㄱ: 비율척도, ㄴ: 서열척도
  5. ㄱ: 등간척도, ㄴ: 명목척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비율척도, ㄴ: 서열척도" 입니다.

    계란의 무게는 양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무게의 차이가 의미가 있기 때문에 등간척도와 명목척도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또한 계란의 무게는 절대적인 0점이 존재하며, 무게의 비율이 의미가 있기 때문에 비율척도가 적절합니다.

    하지만 계란의 무게는 순서나 등급을 매길 수 없기 때문에 서열척도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ㄱ: 비율척도, ㄴ: 서열척도"가 옳은 짝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층화표본추출(stratified sampling)과 할당표본추출(quota sampl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층화표본추출과 할당표본추출 모두 확률표본추출에 해당한다.
  2. 층화표본추출은 연구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모집단에 대한 정보에 따라 소집단의 크기에 비례하여 편의 표본추출한다.
  3. 할당표본추출은 집단별로 골고루 표본을 추출하므로 단순 무작위 표본보다 대표성과 일반화 가능성이 크다.
  4. 표본크기가 동일할 경우 층화표본추출이 비층화표본추출에 비해 정확한 추정량을 얻을 수 있다.
  5. 대규모 조사연구에서는 층화표본추출을 사용하면 군집표본추출을 사용할 때 보다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표본크기가 동일할 경우 층화표본추출이 비층화표본추출에 비해 정확한 추정량을 얻을 수 있다." 이다.

    - 층화표본추출: 모집단을 소집단으로 나누고, 각 소집단에서 단순랜덤추출을 하는 방법. 소집단의 크기에 비례하여 표본을 추출하기 때문에, 모집단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표본크기가 동일할 경우, 각 소집단에서 추출된 표본의 분산이 작아지기 때문에 정확한 추정량을 얻을 수 있다.
    - 할당표본추출: 모집단을 여러 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에서 일정한 비율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각 집단에서 추출된 표본의 크기는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집단의 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A지역의 정치성향을 알기 위한 조사연구를 실행하고자 한다. 표본추출과정 중 ( ㄱ )단계에서 발생하는 의사결정의 예로 적절한 것은?

  1. 어떤 연령대를 대상으로 선정할 것인지 결정한다.
  2. 지역 주민센터의 주민등록명부를 활용하여 표본추출틀을 결정한다.
  3. 전수조사가 어려우니 연령별 할당표본추출법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4. 신뢰도와 표본의 수를 결정한다.
  5. 설문지 내용을 결정하고 설문을 시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지역 주민센터의 주민등록명부를 활용하여 표본추출틀을 결정한다."이다. 이유는 표본추출의 첫 단계에서는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할 때 사용할 틀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 지역 주민센터의 주민등록명부를 활용하여 표본추출틀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모집단의 대표성을 고려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이주 노동자들의 생활실태를 확인하기 위해 그들이 자주 찾는 식료품 가게를 찾아 이주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응답자들에게 동료 이주 노동자들을 소개 받아 조사를 할 때 사용한 표본추출방법은?

  1. 할당표본추출법
  2.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
  3. 눈덩이표본추출법
  4. 판단표본추출법
  5. 층화표본추출법
(정답률: 알수없음)
  • 눈덩이표본추출법은 초기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한 후, 해당 응답자가 추천한 다른 응답자를 추가적으로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초기 표본에서 추출된 응답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응답자들이 소속된 집단의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주 노동자들이 자주 찾는 식료품 가게를 찾아 조사를 할 때, 그들이 자신의 동료 이주 노동자들을 추천하여 추가적으로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는 눈덩이표본추출법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95 % 신뢰구간에서 오차 ± 5 % 이내로 연구를 하고자 한다. 과거 조사결과에 따르면 모집단의 표준편차는 15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필요한 최소 표본의 수는? (단, 95 % 신뢰구간의 Z값은 1.96임)

  1. 34
  2. 35
  3. 36
  4. 37
  5. 38
(정답률: 알수없음)
  • 신뢰구간에서 오차는 Z값 x (표준편차 / √n)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오차가 5% 이내가 되려면 Z값을 1.96로, 표준편차를 15로, 오차를 5%로 놓고 n을 구하면 된다.

    1.96 x (15 / √n) ≤ 5

    √n ≥ (1.96 x 15) / 5

    √n ≥ 7.392

    n ≥ 54.6

    따라서, 최소 표본의 수는 55이지만, 정수로 반올림하여 3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표본오차 추정이 불가능하고 표본분석 결과의 일반화에 제약이 따르는 표본추출방법은?

  1. 군집표본추출법
  2. 층화표본추출법
  3. 할당표본추출법
  4. 체계적표본추출법
  5.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
(정답률: 알수없음)
  • 할당표본추출법은 특정 집단 내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개체들을 미리 정해놓고, 그 조건에 해당하는 개체들만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 때, 추출된 개체들은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일반화에 제약이 따르며, 표본오차 추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방법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개체들에 대한 연구나 조사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표본추출방법은?

  1. 군집표본추출법
  2. 할당표본추출법
  3. 판단표본추출법
  4. 편의표본추출법
  5. 체계적표본추출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군집표본추출법을 보여줍니다. 군집표본추출법은 모집단을 비슷한 특성을 가진 작은 그룹으로 나눈 후, 그 중 일부 그룹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모집단이 크고 분산이 큰 경우에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은 가설검증에 관한 설명이다. ( ㄱ ) ∼ ( ㄷ ) 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귀무, ㄴ: 제1종, ㄷ: 귀무
  2. ㄱ: 귀무, ㄴ: 제2종, ㄷ: 대립
  3. ㄱ: 대립, ㄴ: 제1종, ㄷ: 대립
  4. ㄱ: 대립, ㄴ: 제1종, ㄷ: 귀무
  5. ㄱ: 귀무, ㄴ: 제2종, ㄷ: 귀무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귀무, ㄴ: 제1종, ㄷ: 귀무"이다.

    가설검증에서 귀무가설은 "차이가 없다"는 가설이고, 대립가설은 "차이가 있다"는 가설이다.

    제1종 오류는 귀무가설이 참인데도 대립가설을 선택하는 오류를 말하며, 이 경우에는 실제로 차이가 없는데 차이가 있다고 잘못 결론을 내리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처음에 귀무가설을 세우고, 그것이 기각되어 대립가설을 채택하는 경우가 제1종 오류이므로, ㄱ은 귀무, ㄴ은 제1종, ㄷ는 귀무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로봇 청소기를 판매하는 A사는 최근 미세먼지까지 걸러낼 수 있는 시제품 X를 개발하였다. A사가 X제품의 판매결정을 하기 위해 소비자를 대상으로 마케팅믹스 프로그램을 활용한 마케팅 조사를 실시하여 얻을 수 있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불가격의 적정성에 대한 소비자 요구를 파악할 수 있다.
  2. 소비자들이 구매에 소요하는 시간과 구매 편의성에 부여하는 가치를 파악할 수 있다.
  3. 광고 목표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4.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5. 타겟소비자가 제품으로부터 기대하는 편익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광고 목표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이다.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은 마케팅믹스 프로그램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이다. 라이프스타일은 소비자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을 나타내는데, 이를 파악하여 제품의 디자인, 기능, 가격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파악하는 것은 제품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광고 목표를 결정하는 것은 마케팅 조사의 한 부분이 아니라, 광고 전략을 수립하는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광고 목표는 제품의 특징과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며, 마케팅 조사 결과물만으로 광고 목표를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연구하기 위해 신입생 표본을 미리 선정하여 졸업 시까지 매년 반복하여 조사를 하는 방법은?

  1. 패널조사
  2. 코호트조사
  3. 추세조사
  4. 횡단조사
  5. 인과조사
(정답률: 알수없음)
  • 패널조사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동일한 대상을 조사하여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연구하기 위해 신입생 표본을 미리 선정하여 졸업 시까지 매년 반복하여 조사하는 것이 패널조사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구대상을 분류하는 명목척도는 상호 배타적 특성을 갖는다.
  2. 서열척도는 연구대상의 차이 정도를 수치로 할당한다.
  3. 등간척도는 사칙연산 중 일부 연산이 가능하고, 상대적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4. 비율척도에서 0은 ‘존재하지 않음’의 의미를 갖는다.
  5. 비율척도는 절대적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열척도는 연구대상의 차이 정도를 수치로 할당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서열척도는 연구대상을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으로, 수치로 할당하는 것은 등간척도와 비율척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정개념의 속성들에 대한 형용사적 표현을 중심으로 양측에 양(+)의 부호와 음(-)의 부호의 숫자로 느낌의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는 척도는?

  1. 스타펠(stapel) 척도
  2. 어의차이(semantic differential) 척도
  3. 고정총합(constant sum) 척도
  4. 서스톤(thurstone) 척도
  5. 거트만(guttman) 척도
(정답률: 알수없음)
  • 스타펠 척도는 측정개념의 속성들에 대한 형용사적 표현을 중심으로 양측에 양(+)의 부호와 음(-)의 부호의 숫자로 느낌의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는 척도입니다. 이 척도는 양측에 대한 느낌의 정도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강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우 좋다"와 "매우 나쁘다"라는 두 개의 극단적인 형용사를 사용하여 어떤 속성에 대한 느낌을 표현하고, 그 사이에 중간값을 두어 느낌의 정도를 표시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정된 데이터는 양적인 데이터로 변환되어 분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중심극한정리(Central Limit Theorem)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이면, 평균의 표본분포 역시 정규분포를 이룬다.
  2. 평균의 표본분포의 표준편차는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표본크기의 제곱근으로 나눈다.
  3. 표본분포의 평균은 모집단 평균이다.
  4. 모집단이 정규분포가 아니더라도 표본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평균의 표본분포는 정규분포를 이룬다.
  5. 모집단의 분포가 연속확률 분포인 경우에만 표본크기가 커질수록 표본분포가 정규분포를 이룬다.
(정답률: 알수없음)
  • "모집단의 분포가 연속확률 분포인 경우에만 표본크기가 커질수록 표본분포가 정규분포를 이룬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모집단의 분포가 이산확률 분포일 경우에도 중심극한정리가 성립할 수 있으며, 표본크기가 충분히 크다면 표본분포가 정규분포에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모집단의 분포가 연속확률 분포인 경우에만 중심극한정리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통계분석 방법은?

  1. 컨조인트분석
  2. 판별분석
  3. 요인분석
  4. 다차원척도법
  5. 군집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다차원척도법은 여러 개의 변수를 고려하여 데이터를 다차원 공간에 나타내고, 이를 시각화하여 데이터 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파악하는 분석 방법입니다. 위 그림에서도 다차원 공간에 데이터가 나타나 있으며, 이를 시각화하여 유사한 데이터끼리 군집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차원척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영어

81.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적절한 것은?

  1. boost
  2. hamper
  3. postpone
  4. embark
  5. conceal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는 물결 모양의 화살표가 위로 향하며, "boost" 라는 단어가 함께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는 "boost" 가 무언가를 증가시키거나 강화시키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미지에서는 무언가를 더욱 강화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라 "boost" 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가까운 것은?

  1. Extinct
  2. Migratory
  3. Endangered
  4. Exotic
  5. Predatory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 나와 있는 새들은 여행을 하며 이주하는 새들이기 때문에 "Migratory"가 가장 의미에 가깝습니다. "Extinct"는 멸종된 것을 뜻하고, "Endangered"는 멸종 위기에 처한 것을 뜻합니다. "Exotic"은 이국적인 것을 뜻하며, "Predatory"는 포식성인 것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가까운 것은?

  1. called for
  2. turned out
  3. took up
  4. put forth
  5. drew up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장에서 "called for"는 "요구하다"라는 뜻으로, 문맥상으로는 "대통령은 국민들이 더 많은 보호를 요구하면서 이 문제에 대해 대처해야 한다"는 의미와 가장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all right
  2. fine
  3. feeling good
  4. okay
  5. going well
(정답률: 알수없음)
  • 모든 보기는 "좋은 상태"를 나타내는 표현이지만, "all right", "fine", "okay", "going well"은 일상적인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이며, "feeling good"은 보다 강조된 긍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표현이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가까운 것은?

  1. disreputable
  2. disheartening
  3. dissident
  4. distinctive
  5. discriminatory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건물이나 상점들이 폐허 같고 상태가 좋지 않아서 "disreputable"이라는 단어가 가장 적합하다. "disreputable"은 평판이 좋지 않은, 명성이 좋지 않은, 비난받는 등의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직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n accountant controls the financial situation of people and companies.
  2. A carpenter makes things from wood or repairs things made of wood.
  3. A plumber repairs pipes or water tanks.
  4. A veterinarian builds walls with bricks.
  5. A personnel manager is responsible for personnel staff.
(정답률: 알수없음)
  • "A veterinarian builds walls with bricks."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직업적으로 수의사는 동물의 건강을 관리하고 치료하는 일을 담당하며, 벽돌로 벽을 짓는 일은 건축가나 대리석공 등의 직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 be wiped out
  2. must answer is
  3. works best
  4. several ideas behind
  5. none of them
(정답률: 알수없음)
  • 어법상 옳지 않은 부분은 "must answer is"입니다. 올바른 표현은 "the answer must be"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올바른 어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none of the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밑줄 친 부분이 어법상 옳은 것은?

  1. My school is standing on a hill.
  2. Honesty is a best policy.
  3. You’d better not to go there.
  4. I offended by the police officer.
  5. What a beautiful girl she is!
(정답률: 알수없음)
  • "What a beautiful girl she is!"이 옳은 것은 형용사와 명사의 순서가 올바르기 때문이다. "What"은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이며, "a beautiful girl"은 수식받는 명사구이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형용사 + 명사"이므로, "What a beautiful girl"가 옳은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hits
  2. is hitting
  3. hitting
  4. to hit
  5. hit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공이 현재 시점에서 땅에 닿은 것으로 보이므로, 과거 시점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hit"이 옳은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 I found him lying on the sofa.
  2. Look at that horse jumping.
  3. I can’t make you going there.
  4. I heard someone slamming the door.
  5. I found the seat taken.
(정답률: 알수없음)
  • "I can’t make you going there."이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make과 going이 함께 쓰이면 안 되기 때문입니다. make은 명사나 형용사를 받아서 동사원형을 취하는데, 이 경우에는 make you go there가 옳은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 Those who claim
  2. through hard work
  3. to change reality
  4. attends to your own
  5. doing so
(정답률: 알수없음)
  • "attends to your own"은 옳지 않은 어법입니다. 올바른 표현은 "attend to your own"입니다. "attend to"는 ~에 주의를 기울이다, ~을 처리하다라는 뜻으로, "attends to your own"은 문법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that
  2. what
  3. who
  4. why
  5. how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장에서 "that"은 "I am sure"와 "he is the one"을 연결하는 접속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옳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 had not been
  2. gained from
  3. would
  4. had been
  5. far less successful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보기에서 어법상 옳지 않은 부분은 없습니다. "had been"은 과거 완료 시제로, 과거의 어떤 시점 이전에 발생한 일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는 "그들이 이전에 경험했던 실패로부터 배웠기 때문에 이번에는 훨씬 더 성공적이었다"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rising
  2. to rise
  3. raising
  4. to raise
  5. rose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장에서는 "우리는 이번 주말에 돈을 모으기 위해 기부금을 모으려고 한다"는 뜻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to raise"가 가장 적합한 표현입니다. "to raise"는 '돈을 모으다'라는 뜻으로, 이 문장에서는 기부금을 모으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When
  2. How
  3. What
  4. Where
  5. Which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묻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묻고 있기 때문에 "What"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 It goes without saying that health is above wealth.
  2. How about taking a walk along the bank?
  3. Comparing with his brother, Tom is not so handsome.
  4. Night coming on, the travellers began to feel hungry.
  5. I had my purse stolen in the crowded subway.
(정답률: 알수없음)
  • "Comparing with his brother, Tom is not so handsome."이 어법상 옳지 않은 것입니다. 올바른 문장은 "Compared with his brother, Tom is not so handsome."입니다. "Comparing with"는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과 비교하는지를 나타내는 전치사인 "compared with"로 바꿔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don't you?
  2. aren't you?
  3. won't you?
  4. haven't you?
  5. can't you?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장은 "You're not going to the party, ______?" 라는 의미입니다. 이 때, "aren't you?"가 옳은 표현입니다. "Don't you?"는 이 문맥에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Won't you?"는 "당신은 파티에 가지 않을 거예요?"라는 의미이므로 원하는 질문이 아닙니다. "Haven't you?"는 "당신은 파티에 가지 않았나요?"라는 의미이므로 원하는 질문이 아닙니다. "Can't you?"는 "당신은 파티에 가지 못하나요?"라는 의미이므로 원하는 질문이 아닙니다. 따라서, "aren't you?"가 옳은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적절한 것은?

  1. So do I.
  2. Not at all.
  3. No, I don't.
  4. By no means.
  5. I'm afraid I do.
(정답률: 알수없음)
  • 질문이 "Do you think it's going to rain?" 이므로, "I'm afraid I do."가 적절한 답변이다. "I'm afraid"는 "I'm sorry to say"와 같은 의미로, "I'm afraid I do"는 "불행하게도 그렇다"는 뜻이다. 즉, "비가 올 것 같다"는 생각에 동의한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대화의 내용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은?

  1. A: Do you need a hand?
    B: No, thanks. I can do it by myself.
  2. A: What is your new boss like?
    B: She likes shopping in her free time.
  3. A: In what currency should we make payment?
    B: In US dollar.
  4. A: What do you do for a living?
    B: I’m a doctor.
  5. A: How did the meeting go?
    B: It went very well.
(정답률: 알수없음)
  • 다른 대화들은 자연스러운 대화의 흐름을 따르고 있지만, "A: What is your new boss like? B: She likes shopping in her free time."은 질문과 대답이 서로 관련이 없어 보인다. 대답이 질문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럽지 않은 대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밑줄 친 부분의 의미로 적절한 것은?

  1. Take a deep breath.
  2. Don't mention it.
  3. Don't be shy.
  4. Take your time.
  5. Finish it quickly.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는 시간이 빠르게 지나가는 모습이 나타나 있으므로, "Finish it quickly."가 가장 적절한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1. 대화문의 ( )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to - on - to - around
  2. to - in - on - round
  3. for - in - to - round
  4. for - on - to - around
  5. for - in - on - round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사람이 자전거를 타고 있는데, "for"은 목적을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자전거를 타기 위한 목적이다. "on"은 자전거를 타고 있는 위치를 나타내며, "to"는 어떤 목적지를 향해 가는 것을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자전거를 타고 어딘가로 가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around"은 어떤 지점을 중심으로 돌아다니는 것을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자전거를 타고 주변을 돌아다니는 것이다. 따라서 "for - on - to - around"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대화의 내용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은?

  1. A: May I help you?
    B: Yes, please. These shoes are the wrong size.
  2. A: Hi, I need to return this camera.
    B: O.K. Do you have the receipt?
  3. A: Do you have a green thumb?
    B: No, I don't. My favorite color is yellow.
  4. A: What time does the bank close?
    B: I’m not sure. At four, I guess.
  5. A: Hi, James. This is Hannah speaking. Can you talk?
    B: Well, I’m fixing a door right now. Can I call you back?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대화의 내용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은 "A: Do you have a green thumb?
    B: No, I don't. My favorite color is yellow." 이다. A의 질문과 B의 대답이 서로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A가 "green thumb"이라는 식물 재배 능력에 대한 질문을 하였는데, B는 자신의 좋아하는 색깔에 대한 대답을 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적절한 것은?

  1. How are you?
  2. Is that your first name
  3. Do you like to travel?
  4. Can I see your passport, please
  5. Can I have your phone number, please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이름이 무엇인지 묻는 질문이기 때문에 "Is that your first name"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대화의 내용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은?

  1. A: How much is this skirt?
    B: It’s only $20. It really goes well with you.
  2. A: Will that be cash or check?
    B: Great! I’ll take it.
  3. A: Do you have change for five dollars?
    B: Let me check. Yes, I do.
  4. A: Hi, John. What’s up?
    B: Not much.
  5. A: Are you okay? You don't look good.
    B: I feel dizzy. Thanks for your concer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 Great! I’ll take it."이 아닌가요? 이 대화에서는 어떤 물건을 살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이전 대화에서 무엇을 살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빠져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밑줄 친 단어를 우리말로 바르게 옮긴 것은?

  1. 특산품의
  2. 일반적인
  3. 전통적인
  4. 무료의
  5. 고급의
(정답률: 알수없음)
  • "무료의"는 영어 단어인 "free"의 번역으로, 가격이 없거나 비용이 들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적절한 것은?

  1. distinguished himself as a father
  2. didn't apply himself
  3. made it himself
  4. was on cloud nine
  5. passed away yesterday
(정답률: 알수없음)
  • 이유는 "passed away yesterday"가 과거시제로 쓰였기 때문입니다. 즉, 그가 어제 사망했다는 뜻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영어를 우리말로 옮긴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The sooner, the better.
    빠를수록 좋아요.
  2. First come, first served.
    선착순
  3. Thanks for the heads-up.
    귀띔해줘서 고마워요.
  4. Do you have an appointment?
    전할 말씀이 있으신가요
  5. Do you have anything to declare?
    세관 신고할 것 있어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없습니다. 모든 문장이 올바르게 번역되었습니다.

    "Do you have an appointment?"는 직역하면 "당신은 예약이 있나요?"로, 상대방이 어떤 예약이나 약속이 있는지 묻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할 말씀이 있으신가요"와는 전혀 다른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다음 문장을 영어로 옮긴 것으로 옳은 것은?

  1. Not a word did he say.
  2. He didn’t say nothing.
  3. He said anything.
  4. Not a word he never said.
  5. He did say not a word anything.
(정답률: 알수없음)
  • "Not a word did he say." 이 옳은 것이다. 이유는 문장 구조가 부정문 구조인데, 주어와 동사의 위치가 바뀌어서 주어인 "he"가 먼저 나오고 동사인 "did say"가 그 뒤에 나오기 때문이다. 또한, "not a word"는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므로 "nothing"이나 "anything"와 같은 긍정적인 단어와 함께 쓰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빈 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1. in
  2. at
  3. for
  4. by
  5. with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by"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표현입니다. "by"는 무언가가 다른 무언가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전치사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물고기가 낚시대에 의해 잡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영어를 우리말로 옮긴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They painted the town red all night.
    그들은 밤새 법석을 떨면서 다녔다.
  2. I feel blue.
    나는 우울해요.
  3. I hung on her every word.
    나는 그녀 말을 하나도 놓치지 않으려고 귀를 기울였다.
  4. He visited me once in a blue moon.
    그는 한 달에 한 번씩 나를 방문했다.
  5. You look under the weather today.
    너 오늘 좀 안 좋아 보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없습니다. 모든 문장이 올바르게 영어를 우리말로 옮긴 것입니다.

    "He visited me once in a blue moon."은 "한 달에 한 번씩 나를 방문했다."로 옮겨졌는데, 이는 "once in a blue moon"이라는 영어 표현이 "거의 없이, 드물게"라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 달에 한 번씩"보다는 "거의 없이"나 "드물게"에 더 가깝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다음 글의 요지로 적절한 것은?

  1. Cattle are important animals in our lives.
  2. Raising cattle contributes to global warming.
  3. The atmosphere is a significant factor in raising cattle.
  4. Cattle raising is a good way of dealing with global warming.
  5. Global warming is caused by increased carbon dioxide and methane.
(정답률: 알수없음)
  • Raising cattle contributes to global warming because cattle produce methane, which is a greenhouse gas that contributes to the warming of the atmospher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다음 글을 통해 알 수 없는 것은?

  1. 담뱃갑 경고 그림에 관한 법이 2009년에 통과되었다.
  2. 담뱃갑 경고 그림에 관한 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담배 판매량은 감소하지 않았다.
  3. 한 담배 회사는 담뱃갑 경고 그림이 금연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4.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 담뱃갑 경고 그림이 남녀에게 모두 효과가 있었다.
  5. Omage 교수는 담뱃갑 경고 그림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했고 경고 그림 시행을 지지하는 입장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담뱃갑 경고 그림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적절한 곳은?

  1. A
  2. B
  3. C
  4. D
  5. E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문장 "이제는 인터넷 뱅킹이 대세이기 때문에"은 이미 인터넷 뱅킹이 대세라는 것이 전제되어 있는 문장이다. 따라서, 이 문장 이전에 인터넷 뱅킹이 대세라는 것을 언급하는 문장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전 문장에서는 "인터넷 뱅킹이 대세"라는 것을 언급하고 있으므로, 주어진 문장은 이전 문장의 내용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며, "D" 다음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적절한 것은?

  1. blame his own lack of ability
  2. blame his circumstances
  3. complain that he has a bad luck
  4. believe that he hasn't been supported by his family
  5. think that the audition system has something wrong
(정답률: 알수없음)
  • 이유는 "he failed the audition" 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그의 실패를 외부적인 요인에 돌리거나 변명하는 것이지만, "blame his own lack of ability"은 그의 개인적인 능력 부족을 인정하고 자신의 책임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다음 글의 주제로 적절한 것은?

  1. 영어가 세계어가 될 수 있었던 이유
  2. 영어에 차용어가 많은 이유
  3. 영어의 어휘수가 많은 이유
  4. 영어가 다른 언어들로부터 영향을 받은 이유
  5. 영어가 다른 언어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이유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적절한 것은?

  1. However
  2. In addition
  3. Therefore
  4. For example
  5. Similarly
(정답률: 알수없음)
  • 문장의 전후 관계를 나타내며, 앞 문장과 반대의 의미를 강조하기 때문에 "However"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적절한 것은?

  1. communication skills
  2. effective computer skills
  3. being a skilled reader
  4. understanding modern societies
  5. having writing skills
(정답률: 알수없음)
  • 위의 광고에서는 "reading"이라는 행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being a skilled reade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다음 글에서 ‘살기 좋은 도시’의 기준으로 직접 언급되지 않는 것은?

  1. 1인당 소득
  2. 여가시간
  3. 기대수명
  4. 사회적 연대감
  5. 인권
(정답률: 알수없음)
  • ‘살기 좋은 도시’의 기준으로 직접 언급되지 않은 것은 ‘인권’입니다.

    ‘기대수명’은 살기 좋은 도시의 기준 중 하나로,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기대수명’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이 모두 ‘살기 좋은 도시’의 기준으로 직접 언급되는 반면, ‘기대수명’만이 직접 언급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빈 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적절한 것은?

  1. adopt
  2. adapt
  3. adept
  4. allow
  5. separate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adapt"는 새로운 환경에 맞게 변화하거나 적응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그림에서는 "adapt"가 가장 적절한 단어입니다. "adopt"는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하며, "adept"는 능숙한, 숙련된을 의미합니다. "allow"는 허용하다, 허락하다를 의미하며, "separate"는 분리하다, 구분하다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Green Mountain Tea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It is rich in vitamins, compared to other products.
  2. It is grown and picked in a traditional way.
  3. It is good for a pain in the stomach.
  4. It is good to drink when you have a cold.
  5. It is cheaper than other products on the market.
(정답률: 알수없음)
  • Green Mountain Tea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It is cheaper than other products on the market."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문맥에서 다른 제품들과 가격 비교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