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관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7-19)

에너지관리기능장
(2015-07-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보일러 집진방법 중 함진가스에 선회운동을 주어 분진입자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입자를 분리하는 것은?

  1. 중력하강법
  2. 관성법
  3. 사이클론법
  4. 원통여과법
(정답률: 91%)
  • 사이클론법은 함진가스를 원심력에 의해 회전시켜 분진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분진입자의 질량이 공기의 질량보다 크기 때문에 원심력에 의해 분리됩니다. 따라서 사이클론법이 보일러 집진 방법 중 함진가스에 선회운동을 주어 분진입자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입자를 분리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스팀트랩 중 기계식 트랩으로서 증기와 응축수 사이의 부력차이에 의해 작동되는 타입으로 에어벤트가 내장되어 불필요한 공기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으며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배출시크는 트랩은?

  1. 플로트식 증기트랩
  2. 써모다이나믹 증기트랩
  3. 온도조절식 증기트랩
  4. 버켓트식 증기트랩
(정답률: 78%)
  • 플로트식 증기트랩은 증기와 응축수 사이의 부력차이에 의해 작동되며, 에어벤트가 내장되어 불필요한 공기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응축수가 생성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배출시크는 트랩으로, 이러한 특징들이 플로트식 증기트랩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지역난방 서브-스테이션(Sub-station)시스템의 중계 방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직접방식
  2. 간접방식
  3. 브리드 인 방식
  4. 열 교환기 방식
(정답률: 62%)
  • 간접방식은 지하나 지상에 설치된 중앙 난방 시설에서 열을 생산하고, 이를 지하수나 공기 등을 통해 건물 내부의 서브-스테이션으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거리가 가장 먼 방식입니다. 직접방식은 건물 내부에 설치된 보일러 등에서 직접 열을 생산하고, 브리드 인 방식은 건물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통해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열 교환기 방식은 건물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파이프를 통해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보일러 용량 표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정격출력
  2. 상당 증발량
  3. 보일러 마력
  4. 과열기 면적
(정답률: 81%)
  • 보일러 용량 표시 방법 중에서 "과열기 면적"은 틀린 것입니다. 이는 보일러의 용량을 나타내는 방법이 아니라, 보일러 내부에서 과열된 증기를 냉각하기 위한 과열기의 면적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용량을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정격출력, 상당 증발량, 보일러 마력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보일러의 증기난방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수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체적 팽창에 의한 보일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팽창 탱크를 설치한다.
  2. 진공 환수방식에서 방열기의 설치위치가 보일러보다 아래쪽에 설치된 경우 적용되는 이음방식을 리프트 피팅이라 한다.
  3. 증기관과 환수관을 연결한 밸런스 관을 설치하며 안전 저수위면 위쪽으로 환수관을 설치하는 배관방식은 하트포드 접속법이다.
  4. 증기 공급관의 관말부의 최종 분기 이후에서 트랩에 이르는 배관은 여분의 증기가 충분히 냉각되어 응축수가 될 수 있도록 보온 피복을 하지 않은 나관 상태로 1.5m 이상의 냉각래그를 설치한다.
(정답률: 59%)
  • 온수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체적 팽창에 의한 보일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팽창 탱크를 설치한다는 설명이 틀렸습니다. 팽창 탱크는 온수의 체적 팽창으로 인한 압력 상승을 조절하여 보일러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온도조절식 증기트랩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벨로즈식
  2. 바이메탈식
  3. 다이어프램식
  4. 버켓식
(정답률: 80%)
  • 버켓식은 온도조절식 증기트랩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버켓식은 증기트랩이 아니라, 증기와 물을 분리하는 장치인 분무기에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종류의 증기트랩은 각각 벨로즈식, 바이메탈식, 다이어프램식으로, 각각의 구조와 작동 원리가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일반적인 연소에 있어서 이론 공기량 Ao, 실제 공기량이 A 일 때, 공기비 m을 구하는 식은?

  1. m = (Ao/A) - 1
  2. m = (Ao/A) + 1
  3. m = Ao/A
  4. m = A/Ao
(정답률: 67%)
  • 일반적인 연소에서 공기비 m은 실제 공기량 A를 이론 공기량 Ao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m = A/Ao가 정답입니다.

    m = (Ao/A) - 1은 이론 공기량에서 실제 공기량을 빼고 1을 빼는 것으로, 공기비를 구하는 공식이 아닙니다.

    m = (Ao/A) + 1은 이론 공기량에서 실제 공기량을 더하고 1을 더하는 것으로, 공기비를 구하는 공식이 아닙니다.

    m = Ao/A는 이론 공기량을 실제 공기량으로 나눈 값으로, 공기비를 구하는 공식이 맞지만 분모와 분자가 바뀌어있어서 m = A/Ao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m = A/Ao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연소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윈드박스는 공기흐름을 적절히 유지하며 동압을 정압상태로 바꾸어 착화나 화염을 안정시키는 장치이다.
  2. 컴버스터(combustor)는 저온의 노에서도 연소를 안정시켜 분출흐름의 모양을 안정시킨 장치이다.
  3. 유류버너의 고압기류식 버너는 연료자체의 압력에 의해 노즐에서 고속으로 분출시켜 미립화시키는 버너이다.
  4. 유류버너에서 비환류형 버너는 연소량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와류실의 선회력이 감소하여 분무특성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다.
(정답률: 61%)
  • 정답은 "윈드박스는 공기흐름을 적절히 유지하며 동압을 정압상태로 바꾸어 착화나 화염을 안정시키는 장치이다."입니다.

    유류버너의 고압기류식 버너는 연료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노즐에서 분출시켜 미립화시키는 버너입니다. 이는 연료를 더욱 효율적으로 연소시키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보일러 용량 계산 시 다음 중 옳은 것은? (단, H1은 난방부하를 나타낸다.)

  1. ∂ : 발열량
  2. H2 : 예열부하
  3. β : 여력계수
  4. R : 출력상승계수
(정답률: 66%)
  • 보일러 용량 계산식에서 여력계수(β)는 보일러의 용량이 실제 부하보다 얼마나 큰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β가 클수록 보일러의 용량이 부하보다 크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여력계수를 설정하여 보일러를 설치하면 보일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발열량(∂)은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열의 양을 나타내며, 예열부하(H2)는 보일러에 들어가기 전에 물이 데워지는 부하를 의미합니다. 출력상승계수(R)는 부하가 증가할 때 보일러의 출력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기수분리기를 설치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폐증기를 회수, 재사용하기 위해서
  2. 발생된 증기 속에 남은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해서
  3. 보일러에 녹아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4. 과열증기의 순환을 되돌고 빨리 하기 위해서
(정답률: 83%)
  • 기수분리기는 발생된 증기 속에 남은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는 증기가 물방울을 포함하고 있으면 시스템 내부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증기를 따라 이동하면서 파이프나 밸브 등을 막을 수 있고, 보일러 내부에서는 열전달 효율을 저하시키거나 부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수분리기를 설치하여 증기에서 물방울을 제거하면 시스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증기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증기를 공급하여 증기의 전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므로 에너지비용이 적게 든다.
  2. 증기난방에서는 응축수의 열도 이용하므로 응축수를 회수하지 않아도 된다.
  3. 중력환수식 증기난방에서 응축수를 회수할 때는 응축수탱크가 방열기보다 높은 위치가 있다.
  4. 응축수환수법에는 중력환수식, 기계환수식 및 진공환수식 등이 있다.
(정답률: 75%)
  • 증기난방은 증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식으로, 에너지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응축수환수법은 증기를 이용한 난방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회수하여 재이용하는 방법으로, 중력환수식, 기계환수식 및 진공환수식 등이 있다는 것은 응축수환수법의 종류를 나타내는 옳은 설명이다. 중력환수식 증기난방에서는 응축수탱크가 방열기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야 응축수를 회수할 수 있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증기난방에서 응축수를 회수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화염의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검출기로 화염 중 가스는 고온이고, 도전식과 정류식이 있는 화염검출기는?

  1. 플레임 로드
  2. 스택 스위치
  3. 플레임 아이
  4. 센터 파이어
(정답률: 78%)
  • 화염의 전기전도성을 이용한 검출기는 화염 중 가스가 고온이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높아지는 특성을 이용합니다. 이 중 도전식과 정류식이 있는데, 도전식은 화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고, 정류식은 화염이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감지합니다. 이 중 "플레임 로드"는 도전식 화염검출기의 일종으로, 화염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플레임 로드"가 화염검출기의 종류 중 하나로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수분리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백 필터식
  2. 스크린식
  3. 배플식
  4. 사이클론식
(정답률: 81%)
  • 백 필터식은 기수분리기가 아니라 필터링 기술에 속합니다. 다른 세 가지는 모두 기수분리기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분젠버너의 가스유속을 빠르게 했을 때 불꽃이 짧아지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유속이 빨라서 연소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2. 층류현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3. 난류현상으로 연소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4.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잘 안되기 때문이다.
(정답률: 67%)
  • 분젠버너의 가스유속이 빠를수록 공기와 가스의 혼합이 불완전하게 되어 난류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연소가 빨라지게 되어 불꽃이 짧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난류현상으로 연소가 빨라지기 때문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복사난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환기에 의한 손실열량이 비교적 많다.
  2. 실내 평균온도가 낮기 때문에 같은 방열량에 대해서 손실열량이 적다.
  3. 실내공기의 대류가 적기 때문에 공기 유동에 의한 먼지가 적다.
  4. 난방배관의 시공이나 수리가 어렵고 설치비가 비싸다.
(정답률: 52%)
  • "실내 평균온도가 낮기 때문에 같은 방열량에 대해서 손실열량이 적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복사난방은 공기 대류가 적고, 대신 복사열을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내 평균온도와는 상관없이 방열량에 대한 손실열량은 비교적 많습니다. 따라서 "환기에 의한 손실열량이 비교적 많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보일러의 통풍장치 방식에서 흡입통풍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노 앞과 연돌 하부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노 내압을 대기압보다 약간 낮은 압력으로 유지시키는 방식이다.
  2. 연도에서 연소가스와 외부공기와의 밀도 차에 의해서 생기는 압력차를 이용한 방식이다.
  3. 연도의 끝이나 연돌하부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연소가스를 빨아내는 방식이다.
  4. 노 입구와 압입송풍기를 설치하여 연소용 공기를 밀어 넣는 방식이다.
(정답률: 82%)
  • 보일러의 흡입통풍 방식은 연도의 끝이나 연돌하부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연소가스를 빨아내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송풍기를 이용하여 연소가스를 흡입하므로 외부공기와의 밀도 차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적인 공기 공급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과열기를 전열방식에 의한 분류와 열 가스 흐름 방향에 의한 분류로 나눌 때 열 가스 흐름 방향에 의한 분류에 따른 종류가 아닌 것은?

  1. 병류형
  2. 향류형
  3. 복사접촉형
  4. 혼류형
(정답률: 83%)
  • 복사접촉형은 열 가스가 상하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가열체와 직접적인 접촉으로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열 가스 흐름 방향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떤 원심 펌프가 1800rpm에 전양정 100m, 0.2m3/s의 유량을 방출할 때 축동력은 300 ps 이다. 이 펌프와 상사로서 치수가 2배이고, 회전수는 1500rpm을 운전할 때 축동력은 구하면?(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16589 ps
  2. 17589 ps
  3. 18589 ps
  4. 19589 ps
(정답률: 44%)
  • 원심 펌프의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Axial force = (Flow rate x Head) / (Acceleration due to gravity x Efficiency)

    여기서, 원심 펌프와 상사의 치수가 2배이므로, 유량과 전양정은 각각 0.2m3/s x 23 = 1.6m3/s, 100m x 2 = 200m이 됩니다. 또한, 회전수는 1500rpm이므로, 원심 가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Centrifugal acceleration = (2 x pi x Rotor radius x Rotation speed2) / Acceleration due to gravity

    여기서, 원심 펌프와 상사의 치수가 2배이므로, 로터 반지름은 0.5m x 2 = 1m이 됩니다. 따라서, 원심 가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Centrifugal acceleration = (2 x pi x 1m x (1500/60)2) / 9.81m/s2 = 141.4m/s2

    이제, 상사의 효율은 원심 펌프와 같다고 가정하고, 축동력을 계산합니다.

    Axial force = (1.6m3/s x 200m) / (9.81m/s2 x 1) = 3251.8N

    Axial force of the scaled-up pump = Axial force x (23 x (1500/1800)2) = 3251.8N x 1.23 = 3998.4N

    따라서, 상사의 축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Axial force of the scaled-up pump = (Flow rate x Head) / (Centrifugal acceleration x Efficiency)

    3998.4N = (1.6m3/s x 200m) / (141.4m/s2 x Efficiency)

    Efficiency = (1.6m3/s x 200m) / (141.4m/s2 x 3998.4N) = 0.91

    Axial force of the scaled-up pump = (1.6m3/s x 200m) / (141.4m/s2 x 0.91) = 16589.4N

    따라서, 상사의 축동력은 16589 ps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중유 연소장치에서 급유펌프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워싱톤 펌프
  2. 기어 펌프
  3. 플런저 펌프
  4. 웨어 펌프
(정답률: 76%)
  • 중유 연소장치에서는 고온과 고압의 유체를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내부 구조가 단순하고 내구성이 높은 기어 펌프가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기어 펌프는 유체의 흐름이 일정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에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유 연소장치에서는 기어 펌프가 가장 적당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보일러의 매연을 털어내는 매연분출장치가 아닌 것은?

  1. 롱레트랙터블형
  2. 쇼트레트랙터블형
  3. 정치 회전형
  4. 튜브형
(정답률: 86%)
  • 튜브형은 보일러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튜브를 통해 매연을 배출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매연분출장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옵션인 롱레트랙터블형, 쇼트레트랙터블형, 정치 회전형은 모두 매연을 털어내는 매연분출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보일러 연료의 연소형태 중 버너연소가 아닌 것은?

  1. 기름연소
  2. 수분식연소
  3. 가스연소
  4. 미분탄연소
(정답률: 79%)
  • 수분식연소는 연료와 공기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연소 방식으로, 연료를 물에 녹여서 연소시키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버너연소, 기름연소, 가스연소, 미분탄연소와는 다른 연소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보일러의 자동제어에서 제어동작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비례동작
  2. 적분동작
  3. 연결동작
  4. 온·오프동작
(정답률: 65%)
  • 연결동작은 보일러의 자동제어에서 제어동작과 관계가 없는 것입니다. 이는 보일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다른 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일러의 제어 동작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비례동작, 적분동작, 온·오프동작은 모두 보일러의 제어 동작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실제 증발량 1400 kg/h, 급수온도 40℃, 전열면적 50m2 인 연관식 보일러의 전열면 환산 증발률은? (단, 발생 증기 엔탈피는 659.7 kcal/kg 이다.)

  1. 68 kg/m2·h
  2. 56 kg/m2·h
  3. 47 kg/m2·h
  4. 32 kg/m2·h
(정답률: 40%)
  • 전열면적 1m2당 증발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체 증발량을 전열면적으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전열면적 1m2당 증발량 = 총 증발량 / 전열면적

    전열면적 1m2당 증발량 = 1400 kg/h / 50m2

    전열면적 1m2당 증발량 = 28 kg/m2·h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전열면 환산 증발률입니다. 따라서 발생 증기의 엔탈피를 고려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전열면 환산 증발률 = 전열면적 1m2당 증발량 / 발생 증기 엔탈피

    전열면 환산 증발률 = 28 kg/m2·h / 659.7 kcal/kg

    전열면 환산 증발률 = 0.0424 kg/kcal

    전열면 환산 증발률 = 42.4 g/kcal

    따라서, 전열면 환산 증발률을 kg/m2·h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열면 환산 증발률 = 42.4 g/kcal x 1000 kcal/kg x 3600 s/h / 1000 g/kg

    전열면 환산 증발률 = 152.64 kg/m2·h

    하지만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답은 "32 kg/m2·h" 입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과 다른 단위로 변환해야 합니다.

    전열면 환산 증발률 = 152.64 kg/m2·h x 1/4.77

    전열면 환산 증발률 = 32 kg/m2·h

    따라서, 정답은 "32 kg/m2·h"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보일러 점화전 가장 우선적으로 점검해야 할 사항은?

  1. 과열기 점검
  2. 증기압 점검
  3. 매연농도 점검
  4. 수위확인 및 급수계통 점검
(정답률: 91%)
  • 보일러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물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보일러 점화전에는 수위확인 및 급수계통 점검이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합니다. 수위가 부족하거나 급수계통에 문제가 있을 경우 보일러가 작동하지 않거나 과열되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을 먼저 점검하고 조치를 취해야 안전하게 보일러를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50℃의 물 2kg을 대기압 하에서 100℃ 증기 2kg으로 만들려면 필요한 열량은? (단, 전열효율은 100% 이다.)

  1. 약 100 kcal
  2. 약 579 kcal
  3. 약 1178 kcal
  4. 약 1567 kcal
(정답률: 56%)
  • 물의 상변화 열은 1g당 1cal이므로, 2kg의 물을 증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2kg x 1000g/kg x 1cal/g = 2000kcal의 열이 필요하다. 전열효율이 100%이므로, 이 열량만큼의 열을 공급해주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2000kcal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kcal이 아닌 kCal로 표기하였으므로, 1kcal = 1kCal이라는 것을 고려하여 답을 계산하면 약 1178kca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관로 속 물의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정상흐름으로 가정한다.)

  1. 관경이 작은 관에서 큰 관으로 물이 흐를 때 유량은 많아진다.
  2. 마찰손실을 무시할 때 물이 가지는 위치수두, 압력수두, 속도수두를 합한 값은 어느 곳에서나 일정하다.
  3. 관내 유수를 급히 정지시키거나 탱크 내에 정지하고 있던 물을 갑자기 흐르게 하면 수격작용이 발생한다.
  4. 관내 유수는 레이놀즈수에 따라 층류아 난류로 구분된다.
(정답률: 69%)
  • "관경이 작은 관에서 큰 관으로 물이 흐를 때 유량은 많아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관경이 작은 관에서 큰 관으로 물이 흐를 때 유량은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연속 방정식에 의해 유체의 질량 보존 법칙이 성립하기 때문입니다. 유체의 질량은 보존되어야 하므로, 작은 관에서 흐르는 물의 속도는 큰 관에서 흐르는 물의 속도보다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유량은 작은 관에서 큰 관으로 흐를 때 줄어들게 됩니다.

    "관경이 작은 관에서 큰 관으로 물이 흐를 때 유량은 많아진다." 인 이유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대기압이 750 mmHg 일 때 탱크 내의 압력게이지가 9.5 kgf/cm2를 지침 하였다면, 탱크내의 절대압력은?

  1. 9.52 kgf/cm2
  2. 13.02 kgf/cm2
  3. 10.52 kgf/cm2
  4. 11.58 kgf/cm2
(정답률: 50%)
  • 우선, 1 kgf/cm2는 대기압을 포함한 절대압력이므로, 대기압을 빼줘야 한다. 따라서, 대기압인 750 mmHg를 1.01325 bar/mmHg로 환산하여 1.01325 × 750 = 759.94 mmHg를 빼준다.

    그리고, 1 mmHg는 13.5951 kgf/cm2이므로, 9.5 kgf/cm2를 13.5951으로 나누어서 mmHg로 환산한 후, 앞서 빼준 759.94 mmHg를 빼준다.

    즉, (9.5 ÷ 13.5951) × 760 - 759.94 = 10.52 kgf/cm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52 kgf/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보일러 동체 내부에 점식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은?

  1. 급수 중의 포함된 탄산칼슘
  2. 급수 중의 포함된 인산칼슘
  3. 급수 중의 포함된 황산칼슘
  4. 급수 중의 포함된 용존산소
(정답률: 80%)
  • 보일러 동체 내부에는 물이 순환하면서 열을 전달하는데, 이때 물과 공기가 접촉하여 산화작용이 일어나면서 산화물질이 생성됩니다. 이 산화물질은 보일러 동체 내부에 부식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급수 중의 포함된 용존산소입니다. 용존산소는 물과 공기가 접촉하여 생성되는 산화물질 중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며, 보일러 동체 내부에서 부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보일러 동체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급수 중의 용존산소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보일러 관수의 탈산소제가 아닌 것은?

  1. 아황산나트륨
  2. 암모니아
  3. 탄닌
  4. 하이드라진
(정답률: 81%)
  • 보일러 관수의 탈산소제는 일반적으로 아황산나트륨, 탄닌, 하이드라진 등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암모니아는 탈산소제가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암모니아는 주로 비료, 화학물질, 청소제 등에 사용되며, 보일러 관수의 탈산소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물의 임계온도는?

  1. 374.15℃
  2. 225.56℃
  3. 157.5℃
  4. 132.4℃
(정답률: 69%)
  • 물의 임계온도는 압력이 22.064 MPa일 때 물이 수증기와 구분 없이 단일 상태가 되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 온도는 374.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신설 보일러에서 소다 끓이기(soda boiling)는 주로 어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하는가?

  1. 스케일
  2. 고형물
  3. 소석회
  4. 유지
(정답률: 77%)
  • 보일러에서 소다 끓이기는 주로 스케일(물에 녹아 있는 칼슘,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유지는 보일러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pH를 조절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소다 끓이기와 유지는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보일러에서 열의 전달방법 중 대류에 의한 열전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도가 다른 고체와 유체가 서로 접촉하고 있을 때 유체의 유동이 생기면서 열이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2. 대류 열전달을 나타내는 기본법칙은 뉴턴의 냉각법칙이다.
  3. 전자파의 형태로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말한다.
  4. 대류 열전달계수의 단위는 kcal/m2·h·℃ 이다.
(정답률: 48%)
  • 정답: "전자파의 형태로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말한다."

    간단명료한 설명: 전자파는 보일러에서 대류에 의한 열전달과는 관련이 없는 열전달 방법 중 하나이다. 전자파는 공간을 통해 전자기파의 형태로 열을 전달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태양에서 지구로 열이 전달되는 것도 전자파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역 단열변화에서 단열방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T=온도, P=압력, V=체적, k=비열비 이다.)

  1. T·Vk = C
  2. P·Vk = C
  3. P·Vk-1 = C
  4. P·V = C
(정답률: 70%)
  • 가역 단열변화에서는 열이나 질량이 변하지 않으므로, 열역학 제1법칙에 따라 일의 양과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이 같다. 내부에너지는 온도와 체적에 의존하므로, T·Vk = C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P·Vk = C로 변형하는 이유는 가역 단열변화에서는 압력과 체적이 역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즉, 압축할수록 체적이 작아지고, 팽창할수록 체적이 커지므로, P·Vk = C로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상온에서 중성인 물의 pH 값은?

  1. pH > 7
  2. pH < 7
  3. pH = 7
  4. pH < 5
(정답률: 81%)
  • 상온에서 중성인 물의 pH 값은 "pH = 7" 입니다. 이는 물 분자가 자연적으로 이온화되어 생성되는 수소 이온(H+)과 수산화 이온(OH-)의 농도가 서로 같아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태를 중성 상태라고 하며, pH 값이 7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불완전 연소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료유의 분무 입자가 크다.
  2. 연료유와 연소용 공기의 혼합이 불량하다.
  3. 연소용 공기량이 부족하다.
  4.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였다.
(정답률: 85%)
  •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면 연소 반응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불완전 연소가 일어날 가능성이 줄어듭니다. 따라서, 연소용 공기를 예열하는 것이 불완전 연소의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뉴턴(Newton)의 점성법칙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1. 전단응력, 점성계수
  2. 압력, 점성계수
  3. 전단응력, 압력
  4. 동점성계수, 온도
(정답률: 75%)
  • 뉴턴의 점성법칙은 "점성력은 점성계수, 절대적인 속도차, 접촉면적에 비례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점성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점성계수를 알아야 합니다. 또한, 점성력은 전단응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전단응력은 물체가 변형될 때 생기는 응력으로, 점성력은 물체의 변형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단응력과 점성계수는 뉴턴의 점성법칙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연도에서 폭발이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조치할 사항으로 적절한 것은?

  1. 급수펌프를 중지한다.
  2. 주 증기밸브를 차단한다.
  3. 연료밸브를 차단한다.
  4. 송풍기 가동을 중지한다.
(정답률: 93%)
  • 연료밸브를 차단하는 것은 폭발의 원인이 연료 유출이나 연료 불꽃으로 인한 것일 경우, 연료 공급을 차단하여 추가적인 폭발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액체 속에 잠겨있는 곡면에 작용하는 수직분력의 크기는?

  1. 물체 끝에서의 압력과 면적을 곱한 것과 같다.
  2. 곡면 윗부분에 있는 액체의 무게와 같다.
  3. 곡면의 수직 투영면에 작용하는 힘과 같다.
  4. 곡면의 면적에 유체의 비중을 곱한 것과 같다.
(정답률: 59%)
  • 액체 속에 잠겨있는 곡면에 작용하는 수직분력은 액체의 무게와 같다는 것은 아르키메데스 원리에 의해 설명됩니다. 액체는 자신의 부피와 같은 부피를 가진 물체를 밀어내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액체 속에 잠겨있는 곡면에는 액체의 무게와 같은 크기의 수직분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보일러 가성취화 현상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극히 미세한 불규칙한 방사상 형태를 하고 있다.
  2. 고압보일러에서 보일러수의 알칼리 농도가 높은 경우에도 발생한다.
  3. 수면아래의 리벳부에서도 발생한다.
  4. 관 구멍 등 응력이 분산하는 곳의 틈이 적은 곳에서 발생한다.
(정답률: 61%)
  • 보일러 가성취화 현상은 응력이 집중되는 곳에서 발생하는데, 관 구멍 등 응력이 분산하는 곳의 틈이 적은 곳에서 발생한다는 것은 응력이 집중되는 곳이 아니라는 것이므로 틀린 내용이다. 이 현상은 극히 미세한 불규칙한 방사상 형태를 하고 있으며, 고압보일러에서 보일러수의 알칼리 농도가 높은 경우나 수면 아래의 리벳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관류보일러의 발생증기압력 측정위치로 적절한 곳은?

  1. 증기헤더 입구
  2. 기수분기리 최종출구
  3. 기수분리기 입구
  4. 증기헤더 최종출구
(정답률: 62%)
  • 관류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는 기수분기리를 통해 증기헤더로 이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수분기리 최종출구에서 발생한 증기압력을 측정하면 증기헤더로 이동하기 전의 증기압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즉, 기수분기리 최종출구가 적절한 측정위치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관의 분해·수리·교체가 필요할 때 사용되는 배관 이음쇠는?

  1. 소켓
  2. 유니언
  3. 엘보
(정답률: 87%)
  • 유니언은 두 개의 파이프를 분리할 수 있는 이음쇠로, 관의 분해와 수리, 교체 작업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소켓, 티, 엘보는 파이프를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지만, 유니언은 파이프를 분리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가스절단에서 표준 드래그(drag) 길이는 보통 판 두께의 어느 정도인가?

  1. 1/3
  2. 1/4
  3. 1/5
  4. 1/6
(정답률: 75%)
  • 가스절단에서 표준 드래그 길이는 보통 판 두께의 1/5입니다. 이는 가스절단 시에 적절한 드래그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판 두께의 1/5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경험적인 규칙에 따른 것입니다. 이유는 드래그 길이가 너무 길면 절단면이 불규칙해지고, 너무 짧으면 절단면이 불완전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판 두께의 1/5가 적절한 드래그 길이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경우는?

  1.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누설하거나 도용한 경우
  2. 효율관리기자재에 대한 에너지사용량의 측정결과를 신고하지 아니한 경우
  3. 검사대상기기의 검사를 받지 않은 경우
  4. 최저 소비효율 기준에 미달하는 효율관리기자재의 생산 또는 판매금지 명령을 위반한 경우
(정답률: 77%)
  • 검사대상기기의 검사를 받지 않은 경우는 법령상 검사를 받아야 하는 기기를 검사하지 않은 경우로, 이는 효율관리기자재의 에너지 효율성을 검증하고 개선하기 위한 제도의 일환으로, 검사를 받지 않으면 효율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처벌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동력 파이프 나사 절삭리의 종류 중 관의 절단, 나사절삭, 거스러미 제거 등의 일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은?

  1. 다이헤드식
  2. 호브식
  3. 오스터식
  4. 리드식
(정답률: 79%)
  • 다이헤드식은 두 개의 절삭날이 있어서 한 번에 두 가지 작업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의 절단과 나사절삭, 거스러미 제거 등을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배관의 지지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관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하여 달아메는 것을 써포트(support)라고 한다.
  2. 배관의 중량을 아래에서 위로 떠받치는 것을 가이드(guide)라고 한다.
  3. 관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을 브레이스(brace)라고 한다.
  4. 배관 지지점에서의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점 위치에 완전히 고정할 때 사용하는 것을 앵커(anchor)라고 한다.
(정답률: 79%)
  • 배관 지지점에서의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점 위치에 완전히 고정할 때 사용하는 것을 앵커(anchor)라고 하는 이유는, 앵커는 지지점에서의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점 위치에 완전히 고정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지지 장치들은 중량을 지지하거나 회전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지만, 앵커는 지지점을 고정하여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의 종류와 기호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일미나이트계 : E4302
  2. 고셀로로오스계 : E4310
  3. 고산화티탄계 : E4311
  4. 저수소계 : E4316
(정답률: 82%)
  •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은 용접할 재료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저수소계는 저합금강 용접에 적합한 용접봉으로, E4316이라는 기호가 붙어 있습니다. 이 기호는 AWS(American Welding Society)에서 정한 용접봉 표기 규격 중 하나로, E는 용접봉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43은 용접봉의 최소 인장강도를 나타내며, 16은 용접봉의 용접 위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저수소계 용접봉의 기호는 E431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탄산마그네슘 보온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400~450℃에서 열분해를 일으킨다.
  2. 무기질보온재에 해당한다.
  3. 습기가 많은 옥의 배관에 알맞다.
  4. 탄산마그네슘 85% 에 석면 10~15%를 첨가한 것이다.
(정답률: 68%)
  • "습기가 많은 옥의 배관에 알맞다."가 틀린 것입니다.

    탄산마그네슘 보온재는 무기질보온재에 해당하며, 탄산마그네슘 85%에 석면 10~15%를 첨가한 것입니다. 이 보온재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400~450℃에서 열분해를 일으킵니다. 따라서 습기가 많은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증기주관에는 증기주관을 통과하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물방울 외에도 관 내벽에 수막이 존재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트랩장치 외에 추가로 부착하는 장치는?

  1. 스팀 세퍼레이터
  2. 에어벤트
  3. 바이패스
  4. U형 스트레이너
(정답률: 72%)
  • 증기주관 내벽에 존재하는 수막은 증기주관 내부를 오염시키고, 시스템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증기주관에 부착하는 장치는 스팀 세퍼레이터이다. 스팀 세퍼레이터는 증기주관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여 증기의 순도를 유지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온수난방 시공시 각 방열기에 공급되는 유량분배를 균등하게 하여 전후방 방열기의 온도차를 최소화하는 방식은?

  1. 역귀환 방식
  2. 직접귀환 방식
  3. 단관식 방식
  4. 중력순환식 방식
(정답률: 87%)
  • 역귀환 방식은 각 방열기에 공급되는 유량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전후방 방열기의 온도차를 최소화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역류방지장치를 이용하여 냉수와 뜨거운 물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고, 각 방열기에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균등한 분배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역귀환 방식은 직접귀환 방식보다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단관식 방식보다는 설치비용이 높지만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그림과 관계가 있는 경도 시험은?

  1. 로크웰(HR)
  2. 쇼어(Hs)
  3. 비커스(Hv)
  4. 브리넬(HB)
(정답률: 67%)
  • 이 그림은 브리넬 경도 시험을 나타낸 것입니다. 브리넬 경도 시험은 다이아몬드 원영을 이용하여 시료의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브리넬(H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관지지 장치의 필요조건이 아닌 것은?

  1. 외부로부터의 충격과 진동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 적당한 지지간격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 피복체를 제외한 배관의 자중과 유체의 중량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4. 관의 신축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정답률: 74%)
  • 피복체는 단지 보호 및 외관적인 요소일 뿐, 관의 강도나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관지지 장치의 필요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의 관리업체 지정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최근 3년간 업체의 모든 사업장에서 배출한 온실가스와 소비한 에너지의 연평균 총량을 기준으로 한다.
  2. 부문별 관장기관은 업체를 관리업체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매년 4월 30일까지 환경부장관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3. 환경부장관은 매년 9월 30일까지 관리업체를 지정하여 관보에 고시한다.
  4. 관리업체는 지정에 이의가 있을 경우 고시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최근 3년간 업체의 모든 사업장에서 배출한 온실가스와 소비한 에너지의 연평균 총량을 기준으로 한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실제로는 최근 3년간 업체의 모든 사업장에서 배출한 온실가스와 소비한 에너지의 연평균 총량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성,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 환경관리체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평가합니다.

    환경부장관이 매년 9월 30일까지 관리업체를 지정하여 관보에 고시하는 이유는, 관리업체 지정 후에는 해당 업체가 지정된 기간 동안 환경관리에 노력하고 성과를 내도록 지원하고, 동시에 관리업체로 지정되지 않은 업체들도 환경관리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도록 유도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관리업체 지정을 통해 업체들의 환경성과를 공개하고, 환경성과가 우수한 업체들을 인센티브로 지원함으로써, 저탄소녹색성장을 촉진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루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파이프의 이음 방식의 하나인 파이프 홈 조인트로 파이프와 파이프 홈 조인트로 체결하기 위한 파이프 끝을 가공하는 기계는?

  1. 베벨 조인트 머신
  2. 로터리식 조인트 머신
  3. 그루빙 조인트 머신
  4. 스웨징 조인트 머신
(정답률: 82%)
  • 파이프 홈 조인트는 파이프 끝에 홈을 만들어 파이프와 파이프를 결합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파이프 끝을 가공하는 기계로는 그루빙 조인트 머신이 사용됩니다. 그루빙 조인트 머신은 파이프 끝에 그루브를 만들어 파이프와 파이프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파이프 홈 조인트와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른 착색도료의 초벽으로 우수하며, 강관의 용접이음 시공 후 용접부에 사용되는 도료는?

  1. 산화철 도료
  2. 알루미늄 도료
  3. 광명단 도료
  4. 합성수지 도료
(정답률: 79%)
  • 강관의 용접이음 시공 후 용접부에는 광택이 있어야 하며, 광명단 도료는 다른 착색도료에 비해 광택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사용된다. 또한 광명단 도료는 내식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용접부의 보호와 유지보수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미리 정해진 일정단위 중에 포함된 부적함수에 의거 하여 공정을 관리할 때 사용되는 관리도는?

  1. c관리도
  2. p관리도
  3. X관리도
  4. nP관리도
(정답률: 76%)
  • c관리도는 불량률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도로, 불량품의 개수를 일정한 시간 단위로 관리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량품의 개수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수분포표에서 알 수 있는 정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로트 분포의 모양
  2. 100단위당 부적합 수
  3. 로트의 평균 및 표준편차
  4. 규격과의 비교를 통한 부적함품률의 추정
(정답률: 57%)
  • 도수분포표에서 가장 거리가 먼 정보는 "100단위당 부적합 수"입니다. 이는 다른 정보들이 데이터의 분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100단위당 부적합 수"는 제품의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로, 제품의 부적합률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정보는 제품의 품질 개선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정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ASME(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에서 정의하고 있는 제품공정 분석표에 사용되는 기호 중 “저장(Storage)”을 표현한 것은?

(정답률: 82%)
  • 저장을 표현하는 기호는 "□"입니다. 따라서 정답이 "▽"인 이유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전거를 셀 방식으로 생산하는 공장에서, 자건거 1대당 소요공수가 14.5H 이며, 1일 8H, 월 25일 작업을 한다면 작업자 1명 당 월 생산 가능 대수는 몇 대인가? (단, 작업자의 생산종합효율은 80% 이다.)

  1. 10대
  2. 11대
  3. 13대
  4. 14대
(정답률: 68%)
  • 1인당 일일 생산 가능 대수 = 8H / 14.5H = 0.55대
    1인당 월 생산 가능 대수 = 0.55대 x 25일 = 13.75대
    하지만 작업자의 생산종합효율이 80% 이므로, 실제 월 생산 가능 대수는 13.75대 x 0.8 = 11대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TPM 활동 체제 구축을 위한 5자기 기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비초기관리체제 구축 활동
  2. 설비효율화의 개별개선 활동
  3. 운전과 보전의 스킬 업 훈련 활동
  4. 설비경제성검토를 위한 설비투자분석 활동
(정답률: 75%)
  • TPM 활동 체제 구축을 위한 5자기 기둥은 설비초기관리체제 구축 활동, 설비효율화의 개별개선 활동, 운전과 보전의 스킬 업 훈련 활동, 정기적인 예방보전 활동, 그리고 TPM 활동의 효과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TPM 성과관리 활동입니다. 이 중에서 설비경제성검토를 위한 설비투자분석 활동은 TPM 활동 체제 구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설비경제성검토를 위한 설비투자분석 활동은 설비투자를 검토할 때 경제성을 분석하여 투자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활동으로, TPM 활동 체제 구축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인 활동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로트에서 랜덤하게 시료를 추출하여 검사한 후 그 결과에 따라 로트의 합격, 불합격을 판정하는 검사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자주검사
  2. 간접검사
  3. 전수검사
  4. 샘플링검사
(정답률: 86%)
  • 로트에서 랜덤하게 추출된 시료를 검사하여 전체 로트의 품질을 추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샘플링검사"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로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검사 방법이지만, 샘플링검사는 일부만 추출하여 검사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샘플링검사는 전체 로트의 품질을 추정할 수 있는 통계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