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1-17)

수능(생활과윤리)
(2016-11-17 기출문제)

목록

1.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도덕 명제에 대한 검증 가능성과 분석적 접근을 강조한다.
  2. 도덕적 탐구가 학문적으로 정립 가능한 분야임을 부정한다.
  3. 도덕규범의 현실적인 적용과 구체적인 대안의 실천을 강조한다.
  4. 도덕 문제 해결을 위한 규범 윤리 이론의 응용 가능성을 부정한다.
  5. 도덕적 관행을 가치와 무관한 문화적 사실로 볼 것을 강조한다.
(정답률: 57%)
  • 이미지에서 보이는 인물은 윤리학자인 코르크하우저(Corckhauser)이다. 코르크하우저는 도덕적 문제 해결을 위해 도덕규범의 현실적인 적용과 구체적인 대안의 실천을 강조하는 입장을 취했다. 이는 도덕적 문제를 이론적으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실제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도덕규범의 현실적인 적용과 구체적인 대안의 실천을 강조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사상의 입장에서 <문제 상황> 속 A에게 제시할 조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1. 도와주었을 때 당신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을 고려하여 행동하세요.
  2. 상대방의 어려움을 공감하여 무엇이 필요한지 살펴 행동하세요.
  3. 동정심이 아닌 누구나 동의 가능한 합리적 판단에 따라 행동하세요.
  4. 어떤 선택이 더 많은 사회적 효용을 낳을지 고려하여 행동하세요.
  5.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보다 도덕적 의무 의식에 따라 행동하세요.
(정답률: 52%)
  • 다음 사상은 윤리학자인 존 스튜어트 밀이 제시한 윤리적 원칙 중 하나인 유틸리타리언주의입니다. 이 원칙은 선택한 행동이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고 고통을 덜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따라서 "어떤 선택이 더 많은 사회적 효용을 낳을지 고려하여 행동하세요."라는 조언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는 상대방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필요한 것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더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고 고통을 덜어줄 수 있는 선택인지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의 주장을 (나) 그림으로 나타낼 때, ㉠에 대한 반론의 근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동물 복제는 동일한 유전 형질을 가진 동물을 생산한다.
  2. 동물 복제는 멸종 위기의 동물을 보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3. 동물 복제는 인위적 유전자 조작으로 종의 다양성을 훼손한다.
  4. 동물 복제는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는 인간 복제로 진행된다.
  5. 동물 복제는 인간의 권익을 위한 특정 종만으로 생태계를 재편한다.
(정답률: 31%)
  • 주장: 동물 복제는 멸종 위기의 동물을 보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반론: 동물 복제는 멸종 위기의 동물을 보전하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유는 동물 복제는 단순히 동일한 유전 형질을 가진 동물을 생산할 뿐이며, 멸종 위기의 동물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보호 및 복원 활동, 서식지 보호 등 종의 생태계를 보전하는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동물 복제는 멸종 위기의 동물을 보전하는 방법으로는 부적절하다.

    근거: 보기에서 "동물 복제는 동일한 유전 형질을 가진 동물을 생산한다."라는 내용이 있으며, 이는 동물 복제가 단순히 유전자를 복제하는 기술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동양 사상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부자유친(父子有親)의 본질은 집단과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2. 부자(父子) 간 정직은 친애[愛]보다 올바름[義]을 우선해야 한다.
  3. 자식은 부모의 의중을 살펴서 언행을 삼가며 공대(恭待)해야 한다.
  4. 부모를 위하여 자식은 결코 어떠한 감정도 드러내서는 안 된다.
  5. 효의 정신은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 국한하여 적용해야 한다.
(정답률: 48%)
  • "자식은 부모의 의중을 살펴서 언행을 삼가며 공대(恭待)해야 한다."가 가장 적절한 것이다. 이는 동양 사상에서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가치 중 하나인 효(孝)의 정신을 나타내며, 자식은 부모를 존경하고 예의를 갖추어 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서양사상가가긍정의대답을할질문으로옳은것은? [3점]

  1. 개인 윤리적 이타성과 사회 윤리적 정의는 항상 상호 배타적인가?
  2. 개인들의 자발적 타협이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유일한 방법인가?
  3. 개인의 도덕적 선의지 함양은 사회 정의 실현의 충분조건인가?
  4. 개인 간 갈등은 도덕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조정될 수 있는가?
  5. 개인의 합리적 도덕성은 개인이 속한 집단의 도덕성보다 열등한가?
(정답률: 28%)
  • "개인 간 갈등은 도덕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조정될 수 있는가?"가 옳은 질문입니다. 이는 개인 간 갈등이 해결될 때 도덕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회적 정의와 관련이 있으며, 개인 간 갈등이 해결될 때 사회적 정의가 실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동양 사상 (가), (나)의 입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 도덕적인 가치를 위해서는 자신의 생명을 희생할 수도 있다.
  2. (가): 사람이 죽음에 임해서는 자기 삶을 성찰하게 되는 법이다.
  3. (나): 진인이라 해도 그의 삶과 죽음은 기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4. (나): 죽음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운명이므로 슬퍼할 이유가 없다.
  5. (가), (나): 해탈하여 세속의 삶과 죽음의 고통에서 벗어나야 한다.
(정답률: 29%)
  • "(가): 도덕적인 가치를 위해서는 자신의 생명을 희생할 수도 있다."는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도덕적인 가치는 생명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보호하는 것이라는 것이 동양 사상의 일반적인 입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의 강연자가 지지할 입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1. 여성을 예속시키는 수단으로 교육을 이용해서는 안 된다.
  2. 사회적 역할은 남녀의 본성에 따라 적합하게 부여되어야 한다.
  3. 여성의 분별력이 근본적으로 열등하다고 단정해서는 안 된다.
  4. 양성 평등은 전 인류에게 유용하므로 완전하게 보장해야 한다.
  5. 남성이 독점해 온 모든 직업을 여성에게 전면 개방해야 한다.
(정답률: 32%)
  • "사회적 역할은 남녀의 본성에 따라 적합하게 부여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지지할 만한 입장이 아닙니다. 이는 성별에 따라 역할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성차별적인 입장으로 여성의 능력과 역할을 제한하고, 성별에 따른 고정관념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입장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갑, 을사상가들의입장만을<보기>에서있는대로고른것은? [3점]

  1. ㄱ, ㄷ
  2. ㄱ, ㄹ
  3. ㄴ,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률: 22%)
  • 갑, 을사상가들의 입장에서 보면, 상가의 위치가 중요하다. "ㄱ, ㄷ" 보기에서는 상가가 대로변과 교차로에 위치해 있어서 차량과 보행자들이 많이 지나다니기 때문에 상권이 좋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갑, 을사상가들은 "ㄱ, ㄷ" 보기를 선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 (나)의 입장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37%)
  • (가)는 "저는 이번에도 떨어질 것 같아요"라는 말을 하고 있으므로 자신감이 없는 상태이다. 반면에 (나)는 "이번에는 분명히 합격할 거예요"라는 말을 하고 있으므로 자신감이 높은 상태이다. 따라서 (가)는 "ㄴ"과 "ㄷ"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고, (나)는 "ㄱ"과 "ㄷ"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중에서 (가)와 (나)가 선택한 보기가 "ㄱ, ㄷ"이므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의 갑, 을, 병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탐구할 때, A~D에들어갈옳은질문만을<보기>에서있는대로고른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률: 24%)
  • 보기에서 갑, 을, 병 사상가들의 입장을 그림으로 탐구할 때, "ㄷ, ㄹ" 이 옳은 질문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A: "갑 사상가들은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을까?" - 이 질문은 갑 사상가들의 입장을 그림으로 탐구하는 것이 아니므로 옳지 않다.
    - B: "을 사상가들은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을까?" - 이 질문은 을 사상가들의 입장을 그림으로 탐구하는 것이므로 옳지만, 병 사상가들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는다.
    - C: "갑, 을, 병 사상가들은 각각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을까?" - 이 질문은 갑, 을, 병 사상가들의 입장을 모두 고려하여 그림으로 탐구하는 것이므로 옳다.
    - D: "을, 병 사상가들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을까?" - 이 질문은 을, 병 사상가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그림으로 탐구하는 것이므로 옳지만, 갑 사상가들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는다.
    - E: "갑, 을, 병 사상가들 중에서 어떤 사상가들이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을까?" - 이 질문은 갑, 을, 병 사상가들 중에서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는 사상가들을 그림으로 탐구하는 것이므로 옳지만, 각 사상가들이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는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ㄷ, ㄹ" 이 옳은 질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갑, 을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갑: 문화 산업은 기존 질서를 옹호하고 사회를 몰개성화한다.
  2. 갑: 예술 본연의 목적은 일상적 삶의 고통을 잊게 하는 것이다.
  3. 을: 대중 예술은 예술과 삶을 통합시키기보다는 분리시킨다.
  4. 을: 예술 작품은 삶 속에서 기능하지 않아야 미적 가치를 지닌다.
  5. 갑, 을: 대중 예술은 감상자를 사유의 주체가 되도록 독려한다.
(정답률: 24%)
  • 갑의 입장이 가장 적절하다. 문화 산업은 기존 질서를 옹호하고 사회를 몰개성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갑이 을에게 제기할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익명성은 그 자체로 가치중립적 성격을 지님을 간과하고 있다.
  2. 사이버 폭력의 증가가 디지털 익명성에 기인함을 간과하고 있다.
  3. 사이버 공간의 실명 공개가 표현의 책임성을 강화함을 간과하고 있다.
  4.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 규제가 인간의 기본권을 훼손함을 간과하고 있다.
  5. 익명성 보장이 사회 구성원들 간의 불신을 조장함을 간과하고 있다.
(정답률: 29%)
  •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 규제가 인간의 기본권을 훼손함을 간과하고 있다. 이유는 익명성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으면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침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이버 공간에서도 익명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규제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한국 사상가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1. 청렴은 목민관의 어떤 과오도 면책시켜 주는 지혜로운 덕목이다.
  2. 청렴한 목민관에게 청백리(淸白吏) 칭호는 관직 상승의 수단이다.
  3. 포부가 원대하고 지혜로운 목민관은 부패를 저지르기 마련이다.
  4. 백성들의 원성을 사지 않는다면 사사로운 청탁(請託)은 가능하다.
  5. 목민관의 청렴은 애민(愛民)과 봉공(奉公)을 위해 필요한 덕목이다.
(정답률: 37%)
  • "목민관의 청렴은 애민(愛民)과 봉공(奉公)을 위해 필요한 덕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서양 사상가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1. 무력은 평화와 정의를 지키는 정당한 수단이 될 수 없다.
  2. 개별 국가의 폭정은 전쟁 선포의 정당한 명분이 될 수 없다.
  3. 공동선과 평화를 위해서는 일반인도 전쟁을 선포할 수 있다.
  4. 방어 이외에 어떠한 선제공격도 도덕적 정당성을 갖지 못한다.
  5. 전쟁 중이라 하더라도 모든 살상 행위가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
(정답률: 25%)
  • "전쟁 중이라 하더라도 모든 살상 행위가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다." 이 입장은 전쟁이라는 극단적 상황에서도 인간의 삶과 존엄성을 존중하며 인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인간 중심적인 가치관을 지지하는 서양 사상가의 입장이다. 전쟁이라는 상황에서도 인간의 삶과 존엄성을 존중하며 인권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의 갑, 을, 병 사상가들의 입장을 (나) 그림으로 표현할 때, A~D에 해당하는 적절한 진술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20%)
  • 가갑사상은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입장을 취하며, 을병사상은 개혁적이고 혁신적인 입장을 취한다. 따라서, 가갑사상가들은 보수적인 이미지를 상징하는 "ㄱ"과 전통적인 이미지를 상징하는 "ㄹ"에 해당하며, 을병사상가들은 개혁적인 이미지를 상징하는 "ㄴ"과 혁신적인 이미지를 상징하는 "ㄹ"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글의 입장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35%)
  • 입출금통장을 사용하는 것은 현금을 보관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서 입출금통장에는 일정한 금액 이상의 현금이 들어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입출금통장 분실 시에는 금전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분실 시 즉시 은행에 신고하여 카드의 사용을 중지하고 재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입출금통장의 계좌번호와 비밀번호를 잘 기억하고, 분실 시에는 빠르게 대처해야 합니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서양 사상가 갑, 을의 입장으로 옳은 것은?

  1. 갑: 정치 영역에서는 책임 윤리보다 심정 윤리를 우선해야 한다.
  2. 갑: 심정 윤리에서는 행위의 선한 의도가 아닌 결과를 중시한다.
  3. 을: 인류가 존속해야 한다는 것은 무조건 따라야 할 정언 명령이다.
  4. 을: 자연에 대한 인류의 책임은 예방이 아닌 보상을 위한 것이다.
  5. 갑, 을: 행위의의도가선하다면결과가나쁘더라도책임질필요가없다
(정답률: 23%)
  • 정답은 "을: 인류가 존속해야 한다는 것은 무조건 따라야 할 정언 명령이다." 이다. 이유는 인류가 존속하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목적이며, 인류의 존속이 보장되어야 다른 모든 가치들이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류의 존속은 우선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모든 노력과 책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갑, 을, 병 사상가들의 입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1. 갑: 정의로운 분배는 비례적이고 부정의한 분배는 비례에 어긋난다.
  2. 을: 최소국가보다 기능이 확대된 국가의 도덕적 정당화는 불가능하다.
  3. 병: 천부적 재능 분포의 우연성은 그 자체로 부정의한 사실이다.
  4. 갑, 병: 정의로운 사회는 각자에게 각자의 당연한 몫을 할당해야 한다.
  5. 을, 병: 다수의 이익을 명목으로 개인의 자유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32%)
  • "병: 천부적 재능 분포의 우연성은 그 자체로 부정의한 사실이다."가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천부적 재능 분포가 우연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공정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연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공정하지 않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의 입장에 비해 (나)의 입장이 갖는 상대적 특징을 그림의 ㉠~㉤ 중에서 고른 것은?

(정답률: 31%)
  • 가의 입장은 물고기가 물 속에서 살아가는 것을 지지하고, 나의 입장은 물고기가 사람들의 손에 의해 잡혀서 죽는 것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에 따라, ㉠는 물고기를 지지하는 입장, ㉡은 물고기를 반대하는 입장, ㉢은 물고기를 지지하는 입장이지만 그 이유가 다른 입장, ㉣은 물고기를 반대하는 입장이지만 그 이유가 다른 입장을 나타낸다. 따라서, ㉤는 가의 입장에 비해 나의 입장이 상대적으로 더 강하게 물고기를 지지하는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서술형 평가 문제와 학생 답안이다. 학생 답안의 ㉠~㉤중 옳지 않은 것은? [3점]

(정답률: 30%)
  • 학생 답안 중 옳지 않은 것은 ㉢이다. 그림에서는 물고기가 3마리이지만, 학생 답안에서는 4마리로 잘못 기재되어 있다.

    ㉣은 옳은 답안이다. 그림에서는 물고기가 3마리이고, 각각의 물고기는 다른 방향을 향하고 있다. 따라서 "물고기의 방향이 모두 같다"는 ㉣이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