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9-04)

수능(한국지리)
(2012-09-04 기출문제)

목록

1. 지도를 분석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3점]

  1. 해수면이 40m 상승하더라도 A에서 B로 도보 이동이 가능하다.
  2. 최단 도보 이동 거리는 C가 D보다 짧다.
  3. E에서는 □도의 정상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4. □도의 북동부는 암석 해안이다.
  5. 이 지역은 우리나라의 중앙 경선보다 동쪽에 위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최단 도보 이동 거리는 C가 D보다 짧다."는 옳은 내용이다.

    정답: "E에서는 □도의 정상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는 옳은 내용이다. 이유는 지도상에서 E 지점이 □도의 정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여행 보고서의 일부이다. 이를 이용한 도시 단원의 학습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도시 체계와 도시 간 상호작용의 특성
  2. 대도시 인구 증가에 따른 다핵 구조의 형성
  3. 교외화 현상이 대도시권의 확대에 미친 영향
  4. 도시의 산업별 종사자 비중과 도시 기능 간의 관계
  5. 도시 내 거주지 분화에 따른 도시 내부 구조의 변화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 체계와 도시 간 상호작용의 특성이 가장 적절한 학습 주제이다. 이유는 보고서에서는 다양한 도시들의 특징과 각 도시들 간의 관계에 대해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도시 체계와 도시 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이해하고, 도시들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군은 새로운 어항 건설 후보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가), (나)를 토대로 A~E 중 최적 입지를 고른 것은? (단, 평가점수의 합이 최고인 지점이 최적 입지임.)

  1. A
  2. B
  3. C
  4. D
  5. E
(정답률: 알수없음)
  • 평가점수의 합이 최고인 지점이 최적 입지이므로, 각 후보지의 평가점수를 더해보면 다음과 같다.

    A: 8 + 7 + 9 + 8 = 32
    B: 7 + 6 + 8 + 7 = 28
    C: 6 + 5 + 7 + 6 = 24
    D: 5 + 4 + 6 + 5 = 20
    E: 4 + 3 + 5 + 4 = 16

    따라서, A 지점이 평가점수의 합이 최고인 지점이므로 최적 입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자료의 (가)~(다) 지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3점]

  1. (가)의 (ㄱ)에는 주상절리가 나타난다.
  2. (나)는 차별 풍화∙침식에 의해 형성된 분지이다.
  3. (다)의 분지는 열하 분출에 의해 형성되었다.
  4. (가), (나)의 화강암은 중생대에 관입되었다.
  5. (가), (다)의 화산암은 유동성이 서로 다른 용암으로 만들어 졌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 (다)의 화산암은 유동성이 서로 다른 용암으로 만들어 졌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가)의 (ㄱ)에는 주상절리가 나타난다."는 화산활동으로 인해 용암이 흐르면서 생긴 주상절리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는 차별 풍화∙침식에 의해 형성된 분지이다."는 지표면의 풍화와 침식 작용으로 인해 형성된 지형을 의미합니다.

    "(다)의 분지는 열하 분출에 의해 형성되었다."는 열하(열기구) 분출로 인해 용암이 흐르면서 생긴 분지를 의미합니다.

    "(가), (나)의 화강암은 중생대에 관입되었다."는 중생대에 형성된 화강암이 후기 지질 변동으로 인해 지표면에 노출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 (다)의 화산암은 유동성이 서로 다른 용암으로 만들어 졌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래프는 교통수단별 국내 여객 수송 분담률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A~D 교통수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3점]

  1. A는 B보다 국제 여객 수송 분담률이 높다.
  2. B는 D보다 단위 거리당 운송비 체감률이 높다.
  3. C는 D보다 국내 화물 수송 분담률이 높다.
  4. D는 A보다 기동성과 문전 연결성이 우수하다.
  5. 기종점 비용은 B > D > C 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A: 그래프에서 국제 여객 수송 분담률은 나타나지 않으므로 옳지 않다.
    B: 그래프에서 단위 거리당 운송비 체감률이 높은 것은 B이므로 옳다.
    C: 그래프에서 국내 화물 수송 분담률이 높은 것은 C이므로 옳다.
    D: 그래프에서 기동성과 문전 연결성이 우수한 것은 D이므로 옳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B는 D보다 단위 거리당 운송비 체감률이 높다." 이다.

    기종점 비용은 해당 교통수단이 운행하는 구간의 양 끝단의 비용을 의미한다. 그래프에서 B는 A와 C를 연결하는 구간과 D를 연결하는 구간 모두를 운행하고 있으므로 기종점 비용이 가장 높다. D는 A와 C를 연결하는 구간만을 운행하고 있으므로 기종점 비용이 가장 낮다. 따라서 기종점 비용은 B > D > C 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래프는 주요 공업의 지역별 출하액 비중을 나타낸 것이다. A~C 지역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② 지역의 출하액 비중이 가장 높으며, A 지역은 출하액 비중이 가장 낮다. 이는 그래프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글의 (ㄱ)~(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3점]

  1. (ㄱ) 기단이 영향을 미칠 때는 북서풍이 탁월하게 분다.
  2. (ㄴ)은 봄철에 (ㄱ) 기단이 일시적으로 확장했을 때 나타난다.
  3. (ㄷ) 기단은 (ㄱ) 기단보다 습윤한 성질을 가진다.
  4. (ㄹ)은 높새바람의 영향이 크다.
  5. (ㅁ)은 저기압성 강수 유형에 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ㄷ) 기단은 (ㄱ) 기단보다 습윤한 성질을 가진다. -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도의 A~C 지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의 물은 수질이 좋아 식수로 주로 이용된다.
  2. A는 동해안보다 서해안에 더 많다.
  3. B는 주로 조류의 퇴적 작용으로 형성된 것이다.
  4. B는 과거에 A의 일부였다.
  5. C는 파랑과 연안류의 퇴적 작용으로 형성된 육계사주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는 과거에 A의 일부였다." 이다. 이유는 지도를 보면 A와 B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B의 지형이 A와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가 A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은 국지풍의 모식도이다. (가)~(라) 바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3점]

  1. (가)는 새벽에 뚜렷하다.
  2. (라)에 의해 기온역전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3. (가), (나)는 수륙의 비열차에 의해 발생한다.
  4. (나), (다)는 낮에 발생한다.
  5. (가)~(라)는 맑은 날보다 흐린 날에 잘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는 새벽에 뚜렷하다: 이는 지구의 표면이 밤에는 빠르게 냉각되어 공기가 더 차가워져서 발생하는 것이다.

    (라)에 의해 기온역전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라)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지표면보다 공기가 더 차가워져서 기온역전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가), (나)는 수륙의 비열차에 의해 발생한다: 수면과 육지는 태양열을 받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공기가 더 빠르게 냉각되거나 가열되어서 발생하는 것이다.

    (나), (다)는 낮에 발생한다: 태양열이 지표면을 가열시켜서 공기가 더 빠르게 상승하거나, 지표면에서 물이 수증기로 변화되어 공기가 더 가열되어서 발생하는 것이다.

    (가)~(라)는 맑은 날보다 흐린 날에 잘 발생한다: 흐린 날에는 태양열이 지표면에 도달하는 양이 적기 때문에 지표면과 공기의 온도 차이가 작아져서 대기 현상이 잘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래프는 우리나라의 1차 에너지원별 소비량 지수와 지역에 따른 발전 양식별 전력 생산량 비중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3점]

  1. (가)는 에너지 소비량 비중이 가장 높다.
  2. (가)는 (다)보다 발전량 비중이 높다.
  3. (가)는 (나)보다 발전 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이 많다.
  4. 충청권에서 전력 생산량 비중이 가장 높은 발전 양식은 (나)를, 호남권에서는 (다)를 이용한다.
  5. 에너지원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순서로 발전 양식을 배열하면 A > C > B 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래프를 보면, 에너지원별 소비량 비중에서는 석탄이 가장 높고, 발전 양식별 전력 생산량 비중에서는 수력이 충청권에서 가장 높고, 호남권에서는 화력이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충청권에서 전력 생산량 비중이 가장 높은 발전 양식은 수력을, 호남권에서는 화력을 이용한다. 이유는 충청권에는 대청댐 등의 대형 수력발전소가 있어 수력 생산량이 높고, 호남권은 지리적 특성상 석탄 등의 화력발전소가 많아 화력 생산량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래프는 (가)~(라) 지역의 인구 변화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ㄷ, ㄹ"이 정답인 이유는 그래프를 보면 가장 먼저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ㄷ 지역이고, 가장 늦게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ㄹ 지역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래프를 보면 ㄷ 지역과 ㄹ 지역의 인구 변화 추이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래프는 각 도(道)별 인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분석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ㄷ" : 20대와 30대의 인구 비율이 높은 도에서는 40대 이상의 인구 비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젊은 세대가 많은 지역일수록 노령화가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 "ㄴ, ㄷ" : 20대와 30대의 인구 비율이 높은 도에서는 0~10대의 인구 비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젊은 세대가 많은 도일수록 어린 세대의 비율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지역 개발 방식에 대한 수업 장면이다. (가)와 비교할 때, (나)의 사례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는 도시재생 방식이고, (나)는 농어촌 지역 개발 방식이다. 따라서 (나)의 사례로 적절한 것은 농어촌 지역 개발 사례인 "ㄱ, ㄴ"이다. "ㄱ"은 농어촌 지역에서 농업과 관광을 융합한 개발 방식이고, "ㄴ"은 농어촌 지역에서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지역 상품 개발 방식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도는 강원도 지역의 하천 수계와 주요 산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3점]

  1. (ㄱ) 하천 유역 분지의 면적은 (ㄴ) 하천보다 작다.
  2. (ㄷ) 일대의 평균 하폭은 (ㄹ) 일대보다 좁다.
  3. 조양강의 평균 유량은 골지천보다 많다.
  4. 황병산과 두타산 사이에는 고위평탄면이 나타난다.
  5. 선은 분수계를 나타낸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ㄱ) 하천 유역 분지의 면적은 (ㄴ) 하천보다 작다." 이 설명은 옳다. 하천 유역 분지는 하천 주변의 지역을 말하며, 이 지역은 하천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지만, 하천보다 작은 면적을 가진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ㄱ) 하천 유역 분지의 면적은 (ㄴ) 하천보다 작다."의 이유는 하천은 유역 분지의 중심을 이루는 주요한 수로이며, 유역 분지는 이 하천을 중심으로 넓게 펼쳐진 지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천보다 유역 분지가 더 넓은 면적을 가지지만, 하천보다 작은 면적을 가진다는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글의 (ㄱ)~(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ㄱ)은 경동성 요곡 운동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2. (ㄴ)은 하천의 중∙상류 지역에 주로 발달한다.
  3. (ㄷ)은 하천의 침식 기준면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4. (ㄹ)은 취락 입지, 농경지, 교통로 등으로 이용된다.
  5. (ㅁ)은 과거에 하천의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ㄷ)은 하천의 침식 기준면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자료에서 A 지역과 비교한 B 지역의 상대적 특성을 <보기> 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A 지역과 비교하여 B 지역은 인구 밀도가 낮고, 농업 생산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이다. "ㄱ, ㄷ"는 인구 밀도와 산업 생산량이 비슷한 경우를 나타내고, "ㄴ, ㄷ"는 인구 밀도는 낮지만 산업 생산량이 높은 경우를 나타낸다. "ㄴ, ㄹ"은 인구 밀도와 농업 생산량이 비슷한 경우를 나타내고, "ㄷ, ㄹ"은 인구 밀도는 높지만 농업 생산량이 낮은 경우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도는 어떤 기후 지표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가), (나)의 기후 지표로 옳은 것은?[3점]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는 연평균 기온, (나)는 연간 강수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정답은 ④이다. 지도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된 지역은 연평균 기온이 높은 지역으로, 열대성 기후 지역이다. 이 지역은 연간 강수량이 많은 편이며, 열대우림 지역으로 대표적인 지역이다. 따라서, (가)는 맞지만 (나)는 틀린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도의 (가) 지역과 비교한 (나) 지역의 상대적 특성을 그래프의 A~E에서 고른 것은?

  1. A
  2. B
  3. C
  4. D
  5. 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입니다.

    이유는 그래프 B가 가장 높은 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나) 지역은 (가) 지역보다 해당 특성이 더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래프 A는 (나) 지역이 (가) 지역보다 해당 특성이 더 낮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래프 C, D, E는 (가) 지역과 (나) 지역의 상대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학생이 답사 후 작성한 지리 발표 자료의 일부이다. (가)~(다)에 해당하는 지역을 지도에서 고른 것은? (순서대로 가, 나, 다) [3점]

  1. E, A, B
  2. E, A, C
  3. F, B, C
  4. F, D, B
  5. F, D, C
(정답률: 알수없음)
  • (가) : 아프리카 대륙의 서쪽에 위치한 나라로, 대서양과 인접해 있다. 이 지역은 모로코이다.

    (나) : 아시아 대륙의 동쪽에 위치한 나라로, 태평양과 인접해 있다. 이 지역은 일본이다.

    (다) : 유럽 대륙의 서쪽에 위치한 나라로, 대서양과 인접해 있다. 이 지역은 포르투갈이다.

    정답이 "F, D, C"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F : 모로코와 일본, 포르투갈을 제외한 보기 중 유럽 대륙에 위치한 나라는 프랑스뿐이다.

    D : 일본과 포르투갈을 제외한 보기 중 태평양과 인접한 나라는 중국과 호주뿐이다. 중국은 보기에 없으므로 정답은 D이다.

    C : 포르투갈은 유럽 대륙에 위치하며, 대서양과 인접하다. 따라서 정답은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가)~(마) 지역의 특성에 대한 모둠별 탐구 주제를 정리한 것이다. 각 조사 지역에 대한 탐구 주제의 선정이 적절하지 않은 모둠을 고른 것은?

  1. A
  2. B
  3. C
  4. D
  5. E
(정답률: 알수없음)
  • D 모둠의 탐구 주제는 "해외여행을 선호하는 사람들의 비율 조사"이다. 그러나 지도를 보면 D 지역은 해외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은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서 이 주제를 탐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D 모둠이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