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세계지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4-12)

수능(세계지리)
(2011-04-12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글과 유사한 관점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서술하고 있는 사례로 옳은 것은?

  1. 네덜란드는 바다를 간척하여 농경지를 확보하였다.
  2. 중앙아시아에 이주한 고려인들은 벼농사를 짓는다.
  3. 건조 지역의 주민들은 강한 일사 때문에 흰 옷을 입는다.
  4. 열대 지역의 가옥은 강수량이 많아 지붕의 경사를 급하게 한다.
  5. 아프리카 사헬지대는 과도한 목축과 농경으로 사막이 확대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프리카 사헬지대는 과도한 목축과 농경으로 사막이 확대되었다. 이는 인간의 활동이 자연을 변화시키는 예시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서 인간이 자연을 지배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은 기후 요인에 대한 수업 장면이다. 교사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옳은 답변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갑, 을
  2. 갑, 병
  3. 을, 정
  4. 갑, 을, 정
  5. 을, 병, 정
(정답률: 알수없음)
  • 교사: "기후 요인에는 갑, 을, 병, 정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갑, 을, 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해주세요."

    학생: "갑은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와 관련이 있어서 계절의 변화를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을은 태양의 복사량과 관련이 있어서 지구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은 대기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어서 기상 현상을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갑, 을, 정은 기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정답: "갑, 을, 정"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과 같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지역을 (가) 지도에서 고른 것은?

  1. A
  2. B
  3. C
  4. D
  5. E
(정답률: 알수없음)
  •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강이 흐르지 않는다.
    2. 해발고도가 200m 이상이다.
    3. 인구 밀도가 100명/km² 이하이다.

    지도를 보면 B 지역이 조건을 모두 만족합니다. A 지역은 강이 흐르고, C, D, E 지역은 해발고도가 200m 미만입니다. B 지역은 강이 없고, 해발고도가 200m 이상이며, 인구 밀도도 100명/km² 이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래프는 위도대별 일사량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ㄷ, ㄹ"이다.

    - "ㄱ"은 적도 부근에서 일사량이 가장 많고, 적도에서 멀어질수록 일사량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준다.
    - "ㄷ"은 북반구에서 남반구로 갈수록 일사량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준다.
    - "ㄹ"은 남극 부근에서 일사량이 가장 적고, 남극에서 멀어질수록 일사량이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ㄱ, ㄷ, ㄹ"은 모두 위도에 따른 일사량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지도에 표시된 A - B구간의 연 강수량 분포 경향을 모식화한 그래프로 적절한 것은?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유는 지도에서 A - B 구간이 녹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 구간은 비교적 높은 강수량을 가지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녹색 선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래프의 형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증가하는 형태를 보이므로, 그래프의 기울기도 오른쪽으로 갈수록 커져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그래프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진은 지도에 표시된 지역의 자연 경관을 촬영한 것이다. 이 지형의 형성 요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빙하에 의한 침식
  2. 암석의 동결과 융해
  3. 기반암의 차별 침식
  4. 용암의 냉각 속도 차이
  5. 빗물에 의한 기반암 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에서 보이는 지형은 빙하에 의한 침식으로 형성된 것이다. 빙하는 얼음이 녹아내리면서 암석을 강하게 침식시키고, 이 과정에서 암석의 동결과 융해가 일어나며 기반암의 차별 침식이 발생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지형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빙하에 의한 침식"이 가장 적절한 형성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도의 검게 표시된 지역에 분포하는 토양의 공통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기물이 풍부하여 비옥하다.
  2. 다공질 암석의 풍화로 형성되었다.
  3. 표층에 철과 알루미늄 산화물이 집적되어 있다.
  4. 염기와 산화물이 용탈된 회백색 토층이 나타난다.
  5. 암설의 분급으로 토양 표면이 기하학적 형태를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검게 표시된 지역은 황해도 남부 지역으로, 이 지역의 토양은 유기물이 풍부하여 비옥하다. 이 지역은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아 식물성 생산물이 많이 쌓이고, 이로 인해 토양이 비옥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도와 같은 풍향이 나타나는 시기에, A ~ C 지역의 기후 특성을 그래프에서 찾아 바르게 짝지은 것은? (순서대로 A, B, C) [3점]

  1. (가), (나), (다)
  2. (가), (라), (나)
  3. (나), (라), (가)
  4. (다), (마), (가)
  5. (라), (마), (다)
(정답률: 알수없음)
  • A 지역은 1월부터 12월까지 기온이 비슷하게 유지되는 일조량이 많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녹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B 지역은 여름철 강수량이 많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빨간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C 지역은 겨울철 강수량이 많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파란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가), (라), (나)" 이다.

    "(가), (나), (다)" : A 지역은 일조량이 많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녹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B 지역은 겨울철 강수량이 많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파란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C 지역은 여름철 강수량이 적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빨간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나), (라), (가)" : A 지역은 일조량이 많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녹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B 지역은 여름철 강수량이 많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빨간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C 지역은 겨울철 강수량이 많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파란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다), (마), (가)" : A 지역은 일조량이 많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녹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B 지역은 겨울철 강수량이 많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파란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C 지역은 여름철 강수량이 적은 기후이므로, 그래프에서 빨간색선에 해당하는 지역과 짝지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글은 건조 지역의 지형 특성에 대한 것이다. ㉠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 -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다.
  2. ㉡ - 일교차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3. ㉢ - 버섯바위, 삼릉석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4. ㉣ - 바람의 방향이 수시로 바뀌는 곳에 주로 형성된다.
  5. ㉤ - 대상(隊商)의 무역로로 이용되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 -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다. : 건조한 지역의 특징 중 하나로, 증발량이 강수량보다 많아서 수분이 부족한 상태가 지속된다.

    ㉡ - 일교차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 건조한 지역은 낮과 밤의 온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일교차가 크다.

    ㉢ - 버섯바위, 삼릉석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 건조한 지역의 특징 중 하나로, 바위가 노출되어 있어서 독특한 지형이 형성된다.

    ㉣ - 바람의 방향이 수시로 바뀌는 곳에 주로 형성된다. : 건조한 지역에서는 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지형이 형성된다. 바람이 수시로 바뀌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지형이 더욱 두드러진다.

    ㉤ - 대상(隊商)의 무역로로 이용되었다. : 건조한 지역에서는 물이 부족하기 때문에 대상(隊商)이 물자를 운반하는 길로 이용되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 - 바람의 방향이 수시로 바뀌는 곳에 주로 형성된다." 이유는 바람이 수시로 바뀌는 지역에서는 이러한 지형이 더욱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자료는 어떤 지역을 설명하는 방송 내용의 일부이다. 이 기후 지역의 식생 분포를 그래프에서 찾은 것은?

  1. A
  2. B
  3. C
  4. D
  5. E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래프에서 x축은 고도를, y축은 온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 점은 해당 고도와 온도에서 자라는 식물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E 지역은 고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지역으로, 이러한 기후 조건에 적합한 식물들이 자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자료는 어느 블로거의 중국 여행기 중 일부이다. 이 지역에 나타나는 지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암석의 절리가 많을수록 잘 발달한다.
  2. 기반암이 석회암인 지역에서 형성된다.
  3. 한랭 건조한 기후 환경에서 잘 발달한다.
  4. 토양은 풍화 잔류물이 산화되어 붉은색을 띤다.
  5. 동굴은 지하수에 의한 용식 작용으로 형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기반암이 석회암인 지역에서 형성된다." 이다.

    "한랭 건조한 기후 환경에서 잘 발달한다." 이유는, 동굴이 형성되는 과정 중 하나인 용식 작용은 지하수의 영향을 받는데, 한랭 건조한 기후 환경에서는 지하수의 유입량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하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암석이나 지형에서 동굴이 잘 발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도는 동남 아시아의 강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강수 분포가 나타나는 시기와 영향을 준 바람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순서대로 시기, 바람)

  1. 1월, 북동 계절풍
  2. 1월, 남동 계절풍
  3. 7월, 북동 계절풍
  4. 7월, 남서 계절풍
  5. 7월, 북서 계절풍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지도에서 강수량이 많은 지역은 인도차이나 지역으로, 이 지역은 6월부터 9월까지 장마철을 맞이하게 된다. 이 장마는 남서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일어나는데, 이는 보기에서 찾을 수 없다. 따라서 7월은 제외한다. 그 다음으로 강수량이 많은 지역은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제도 부근으로, 이 지역은 1월부터 3월까지 건조한 계절을 끝내고 남동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강수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1월, 남동 계절풍"은 옳지 않다. 이제 강수량이 적은 지역을 보면, 중국 북부와 몽골 지역이 있다. 이 지역은 12월부터 2월까지 겨울철을 맞이하며, 이때 북동 계절풍의 영향을 받아 건조한 날씨가 이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1월, 북동 계절풍"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래프는 A ~ E지역의 기온과 강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각 지역의 경제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1. A - 대추야자, 밀 등의 관개 농업이 행해진다.
  2. B - 고온 건조한 여름에 수목 농업이 행해진다.
  3. C - 벼농사가 집약적으로 이루어진다.
  4. D - 침엽수림을 배경으로 임업이 활발하다.
  5. E - 이동식 화전 농업으로 카사바, 얌 등이 재배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래프를 보면 지역별 강수량이 크게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벼농사와 같은 관개 농업이 이 지역에서 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정답은 "C - 벼농사가 집약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료에 제시된 신(神)의 명칭에서 유래된 바람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풍향이 계절에 따라 반대로 바뀐다.
  2. 중위도에서 고위도로 부는 항상풍이다.
  3. 눈보라를 동반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
  4. 강한 바람을 동반한 집중호우가 발생한다.
  5.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가뭄 피해를 일으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神)의 명칭에서 유래된 바람은 "카무이카제"로, 이는 "신의 바람"을 뜻한다. 이 바람은 일본의 전통적인 신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본의 역사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바람은 강한 바람을 동반한 집중호우를 일으키는 특징이 있다. 이는 바람이 일본해상에서 축적된 수증기를 내르게 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일본에서는 "태풍"이라고도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래프는(가), (나)지역의 월평균기온과 강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 지역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ㄱ. (가)지역은 겨울철에 기온이 낮고 강수량이 많은 지역이다.
    - 그래프에서 (가)지역의 월평균기온이 0도 미만으로 가장 낮고, 강수량이 100mm 이상으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ㄷ. (나)지역은 여름철에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적은 지역이다.
    - 그래프에서 (나)지역의 월평균기온이 25도 이상으로 가장 높고, 강수량이 50mm 미만으로 가장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래프는 (가) ~ (다)지역의 기간별 강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강수 분포가 나타나는 지역을 지도의 A ~ C에서 찾아 바르게 짝지은 것은? (순서대로 가, 나, 다) [3점]

  1. A, B, C
  2. A, C, B
  3. B, A, C
  4. B, C, A
  5. C, A, B
(정답률: 알수없음)
  • B 지역은 6월부터 9월까지 지속적으로 비가 내리는 반면, A 지역은 7월과 8월에만 비가 내리고 C 지역은 6월과 9월에 비가 내리기 때문에 B, A, C 순서로 짝지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어떤 학생이 수업 시간에 정리한 학습 내용의 일부이다. (가), (나)에 해당하는 산지를 지도에서 골라 바르게 짝지은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 (A, C), (E, F)
  2. (A, F), (C, D)
  3. (B, C), (D, E)
  4. (C, F), (B, E)
  5. (D, E), (A, C)
(정답률: 알수없음)
  • 가) (C, F) : 산지 C는 지도의 왼쪽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지 F는 지도의 오른쪽 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짝지어져야 한다.
    나) (B, E) : 산지 B는 지도의 왼쪽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지 E는 지도의 오른쪽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짝지어져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C, F), (B, 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자료는 수업 시간에 실시한 형성 평가지의 일부이다. 학생이 받은 합산 점수로 알맞은 것은?

  1. 0점
  2. 1점
  3. 2점
  4. 3점
  5. 4점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는 4개의 사각형이 있고, 그 중 3개의 사각형이 색칠되어 있다. 따라서 정답은 "3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도는 아프리카 동부 지역을 나타낸 것이다. 점선으로 표시된 지역에 발달한 지형의 특성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산맥, "ㄴ"은 평야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지도상 점선으로 표시된 지역은 산맥과 평야가 혼합된 지형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도는 태평양의 주요 해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A ~ D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A는 북태평양 해류 중 가장 강한 Kuroshio 해류를 나타낸다.
    - B는 남태평양 해류 중 가장 강한 East Australian Current 해류를 나타낸다.
    - C는 북태평양과 남태평양을 연결하는 North Equatorial Current와 South Equatorial Current의 합류 지점을 나타낸다.
    - D는 북태평양과 남태평양을 연결하는 Subtropical Counter Current를 나타낸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ㄱ, ㄴ, ㄹ"이다.
    - "ㄱ"은 A, B, D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 "ㄴ"은 A와 B가 서로 다른 해류이기 때문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ㄹ"은 C가 북태평양과 남태평양을 연결하는 해류들의 합류 지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