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세계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1-08)

수능(세계사)
(2012-11-08 기출문제)

목록

1. (가) 지역에서 성립된 고대 문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구라트를 건설하였다.
  2. 파르테논 신전을 세웠다.
  3. 감자와 옥수수를 재배하였다.
  4. 모헨조다로와 하라파에 도시를 세웠다.
  5. 미라를 만들고 사자의 서를 제작하였다.
(정답률: 72%)
  • 이미지에서 보이는 문명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으로, 지구라트를 건설하였다는 것은 이 문명에서 발전한 건축 기술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지구라트는 층층이 쌓인 원형 또는 사각형의 탑으로, 종교적인 의미와 함께 관문, 경비탑 등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 왕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품중정제로 인재를 등용하였다.
  2. 점을 친 결과를 갑골에 기록하였다.
  3. 시황제의 명으로 만리장성을 건설하였다.
  4. 철제 농기구와 우경을 보급하기 시작하였다.
  5. 혈연적 관계를 중심으로 제후에게 토지를 분급하였다.
(정답률: 93%)
  • 시황제는 중국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로, 중국의 다양한 문화와 제도를 발전시켰습니다. 그 중 하나가 만리장성 건설입니다. 만리장성은 중국의 대표적인 건축물 중 하나로, 중국의 북부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되었습니다. 따라서 시황제의 명으로 만리장성을 건설하였다는 것은 중국 역사상 중요한 사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밑줄 친 ‘2관 8성제’가 수립된 시기 일본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1. 몽골의 침입을 받았다.
  2. 산킨고타이제를 실시하였다.
  3. 가부키 등 조닌 문화가 발달하였다.
  4. 견당사를 파견하여 중국 문화를 받아들였다.
  5. 무사들이 지배권을 확보하여 막부 체제를 수립하였다.
(정답률: 85%)
  • 2관 8성제는 1336년에 수립되었는데, 이 시기에 일본은 "몽골의 침입을 받았다."는 상황이 있었습니다. 이 때 일본은 중국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견당사를 파견하여 중국 문화를 수용하였습니다. 따라서 "견당사를 파견하여 중국 문화를 받아들였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밑줄 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심사법을 제정하였다.
  2. 휘그 당을 지도하였다.
  3. 권리 청원을 승인하였다.
  4. 명예 혁명을 주도하였다.
  5. 아일랜드 원정을 단행하였다.
(정답률: 84%)
  • '나'는 아일랜드 원정을 단행하였다. 이는 그림에서 보이는 배와 함께 아일랜드로 여행을 간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밑줄 친 ‘재정의 고갈’을 해결하기 위해 추진된 정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89%)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ㄱ: 재정적 지원을 통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구들에게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재정적 고갈을 해결하려는 정책이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가계부채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ㄴ: 국내외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예산 수입이 감소하거나 지출이 증가하는 등의 상황에서도 국가 재정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재정 운용 방식을 개선하고 효율적인 예산 집행을 추진하려는 정책이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재정적 고갈을 예방하고 국가 재정 건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가) 왕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민족별로 신분을 차별하였다.
  2. 상업이 발달하여 교초를 사용하였다.
  3. 지배 계층이 파스파 문자를 사용하였다.
  4. 정세를 지세에 포함시켜 은으로 징수하였다.
  5. 서상기가 발표되어 서민 사이에 유행하였다.
(정답률: 73%)
  • 정세를 지세에 포함시켜 은으로 징수하였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왕조는 세금을 징수할 때 은보다는 금을 사용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가)에 들어갈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대관되었다.
  2.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세력을 확대하였다.
  3. 투르·푸아티에 전투에서 이슬람 군대를 격퇴하였다.
  4. 롬바르드를 정벌하고 라벤나 지방을 교황에게 기증하였다.
  5. 서로마 제국 영토를 대부분 회복하고 교회의 보호자가 되었다.
(정답률: 48%)
  • 서로마 제국 영토를 대부분 회복하고 교회의 보호자가 된 인물은 카를로 대제(카를로 막대기)입니다. 그 이유는 카를로 대제가 서로마 제국의 분열을 막고, 이슬람 군대를 격퇴하며, 라벤나 지방을 교황에게 기증하며, 교회와의 관계를 강화하면서 서로마 제국 영토를 대부분 회복하고 교회의 보호자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밑줄 친‘우리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헝가리를 정복하고 빈을 포위 공격하였다.
  2. 사산 왕조 페르시아와 이집트를 정복하였다.
  3. 술탄 직을 창설하여 정치 권력을 위임하였다.
  4. 이베리아 반도까지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였다.
  5. 사마르칸트를 차지하고 동서 무역의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정답률: 67%)
  • 우리 나라는 고구려의 왕으로, 헝가리를 정복하고 빈을 포위 공격한 이유는 역사적 배경과 군사 전략적인 이유로 인해 이루어졌다. 헝가리는 당시 중앙아시아에서 유입된 이민민족으로, 고구려가 그들을 정복함으로써 군사적 위협을 제거하고 자원을 확보하였다. 또한, 빈은 당시 중요한 교통의 요지였으며, 이 지역을 점령함으로써 군사적인 우위를 점하고,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로마법 대전을 편찬하였다.
  2. 군인 황제 시대의 혼란한 상황을 수습하였다.
  3. 밀라노 칙령을 통해 크리스트 교를 공인하였다.
  4. 제1 시민을 자처하며 사실상 제정을 수립하였다.
  5. 카르타고를 제압하고 서부 지중해를 장악하였다.
(정답률: 92%)
  • 그는 밀라노 칙령을 통해 크리스트 교를 공인하였다. 따라서 "제1 시민을 자처하며 사실상 제정을 수립하였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밑줄 친‘관련 자료’로 적절한 것을<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91%)
  • 정답은 "ㄴ, ㄷ"입니다.

    이유는 위 그림에서 "ㄴ"과 "ㄷ"은 서로 인접한 자음이며, 이 두 자음은 모음과 결합하여 발음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두 자음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며, "ㄱ"과 "ㄹ"은 이와 달리 다른 자음과 결합하여 발음되는 경우가 많아서 구분이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관련 자료: 한글 자음의 발음 (출처: 국립국어원)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밑줄 친‘저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라틴 제국을 건설하였다.
  2. 후 옴미아드 왕조를 건설하였다.
  3. 클레르몽 공의회의 소집을 주도하였다.
  4. 성지를 회복하고 예루살렘 왕국을 건설하였다.
  5.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하고 이스탄불로 개칭하였다.
(정답률: 4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밑줄 친‘위기’의 영향을 받은 각국의 대응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59%)
  • "위기"의 영향을 받은 각국의 대응으로 적절한 것은 "ㄱ, ㄴ" 이다. 이유는 "ㄱ"은 미국의 금융위기 대응 방안인 TARP와 같이 정부가 금융기관을 구제하는 방식이며, "ㄴ"은 한국의 금융위기 대응 방안인 IMF 대출과 같이 국제기구의 지원을 받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ㄱ, ㄷ"는 미국의 TARP와 유럽의 EFSF와 같이 정부와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방식이고, "ㄴ, ㄷ"는 일본의 금융위기 대응 방안인 정부와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방식이다. "ㄴ, ㄹ"은 한국의 금융위기 대응 방안인 국민금융구조개혁과 같이 구조개혁을 통해 장기적인 안정성을 추구하는 방식이며, "ㄷ, ㄹ"은 유럽의 금융위기 대응 방안인 유럽중앙은행의 금융안정화 정책과 같이 중앙은행이 금융시장을 안정시키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가) 시기의 경제적 변화에 대한 탐구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1. 인민 공사의 창설 과정을 살펴본다.
  2. 문화 대혁명의 전개 과정을 찾아본다.
  3. 중국과 소련의 관계 변화의 영향을 분석한다.
  4. 토지 개혁과 기업 국유화의 배경을 찾아본다.
  5. 마오 쩌둥 사후 덩 샤오핑의 집권 과정을 살펴본다.
(정답률: 50%)
  • 중국과 소련의 관계 변화는 1970년대 초반에 중국이 미국과 관계를 개선하면서 중요한 경제적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소련과의 관계를 냉각시키고, 미국과의 경제적 교류를 증진시켰습니다. 따라서, 이 시기의 경제적 변화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중국과 소련의 관계 변화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가), (나) 조약 사이의 시기에 볼 수 있는 중국인의 모습으로 적절한 것은?[ 3점]

  1. 신축 조약을 체결하는 관리
  2. 반란을 일으키는 상제회 신도
  3. 근대식 군수 공장을 관리하는 양무 관료
  4. 영국 사절 매카트니 일행을 호위하는 병사
  5. 메이지 유신에 관한 신문 기사를 읽는 상인
(정답률: 59%)
  • (가)와 (나) 조약은 19세기 후반 중국의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서구 강대국들이 중국을 각자의 영토로 분할하고 침략하는 것을 막기 위해 체결된 조약입니다. 이 시기에 중국은 서구화와 군사적 약화로 인해 국내적인 불안정성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반란을 일으키는 상제회 신도들이 등장하였습니다. 상제회는 중국의 전통적인 종교인 도교를 기반으로 한 비밀 조직으로, 서구화에 대한 반대와 중국의 독립을 주장하며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따라서 (나) 조약 시기에는 반란을 일으키는 상제회 신도들의 모습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대화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동유럽의 공산화와 냉전 체제의 성립
  2. 사회주의권의 붕괴와 민족주의의 분출
  3. 비동맹 중립주의의 등장과 냉전 체제의 변화
  4.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과 신생 독립국의 등장
  5. 동유럽 각국의 유럽 연합 가입과 유럽 통합의 진전
(정답률: 54%)
  • 동유럽의 공산화와 냉전 체제의 성립과 관련된 주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밑줄 친‘이 나라’의 대외 관계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73%)
  • 보기에서 "ㄴ, ㄷ"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 나라"는 북한을 가리키는 용어이므로, 대외 관계에서는 북한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이에 따라 "ㄴ"은 북한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고, "ㄷ"은 남한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ㄴ, ㄷ"이 옳은 대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가) 왕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아잔타 석굴 사원을 조성하였다.
  2. 시크 교도들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3. 찬드라굽타가 세운 통일 국가이다.
  4. 대승 불교와 간다라 미술이 발전하였다.
  5. 샤쿤탈라 등 산스크리트 문학이 발달하였다.
(정답률: 67%)
  • 이미지에서 보이는 왕조는 모가울 왕조이며, 이 왕조는 시크 교도들의 반란을 진압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가), (나) 군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가) - 미국 혁명에 개입하여 식민지를 지원하였다.
  2. (가) - 부르봉 왕조를 세우고 위그노 전쟁을 끝맺었다.
  3. (가) -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을 통해 슐레지엔을 얻었다.
  4. (나) - 모로코 사건을 일으켜 프랑스와 대립하였다.
  5. (나) - 비스마르크의 외교를 통해 삼국 동맹을 출범시켰다.
(정답률: 25%)
  • (가) - 부르봉 왕조를 세우고 위그노 전쟁을 끝맺었다.

    (나) - 모로코 사건을 일으켜 프랑스와 대립하였다. 이유는 모로코가 프랑스의 영토로 인정되어 있었지만, 독일이 모로코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로 독일 상인들을 모로코에 파견하면서 프랑스와 갈등이 생겼기 때문입니다. 이에 프랑스는 독일에 대한 군사적 대응을 하면서 대립이 심화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에 나타난 민족 운동의 배경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75%)
  • 보기에서 정답이 "ㄷ, ㄹ"인 이유는, 그림에 나타난 민족 운동이 일어난 시기가 일제강점기인데, 이 시기에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 인해 한국인들의 인권이 침해되고, 언어와 문화가 금지되는 등의 억압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반발로 인해 민족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고, 이를 통해 독립과 자유를 향한 열망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ㄷ, ㄹ"은 민족 운동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ㄷ"은 독립을 위한 민족적 단결을 상징하며, "ㄹ"은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상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가), (나)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 - 니콜라이 1세에 의해 반포되었다.
  2. (가) - 크림 전쟁 패배를 배경으로 포고되었다.
  3. (나) - '피의 일요일' 사건이 발생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4. (나) - 토지 재분배와 헌법 제정 의회의 소집을 약속하였다.
  5. (나) -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불리한 전세 속에서 발표되었다.
(정답률: 50%)
  • (가) 문서는 "10월 혁명"에 대한 내용이며, 니콜라이 1세에 의해 반포된 것이 아니라 크림 전쟁 패배를 배경으로 포고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