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9-04)

수능(물리II)
(2012-09-04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연이 점 P, Q를 지나는 곡선 경로를 따라 운동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P에서 Q까지 연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연의 운동이 등속운동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ㄴ"은 연의 운동이 가속운동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그림에서 연의 경로가 직선이 아닌 곡선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xy평면에서 운동하는 물체의 위치의 x, y성분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이 물체가 등속운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ㄴ"은 이 물체가 y축 방향으로 등가속도 운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y축 방향으로 속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ㄱ, ㄴ"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이 건물 옥상에서 물체 A를 가만히 놓는 순간, 물체 B 를 연직 위로 2 v0 의 속력으로 던진다. A가 hA 만큼 낙하하고 B가 hB 만큼 위로 올라갔을 때, A와 B의 속력이 v0 으로 같아졌다.

는? (단, 공기 저항과 A, B의 크기는 무시한다.) [3점]

  1. 1
  2. 2
  3. 3
  4. 4
  5. 5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가 같은 속력이 되기 위해서는 A가 hA 만큼 낙하하는 동안 B가 hB + hA 만큼 상승해야 한다. 이는 에너지 보존 법칙에 의해 A의 운동 에너지와 B의 위치 에너지가 같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A의 운동 에너지는 1/2mv02이고, B의 위치 에너지는 mghB + mghA이다. 여기서 m은 A와 B의 질량이 같다는 가정하에 사용한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A와 B의 속력이 같아지는 시점에서의 B의 속력을 구할 수 있다.

    1/2mv02 = mghB + mghA + 1/2mvB2

    vB = √(v02 - 2ghA) = √(2ghB) = 2v0

    따라서, hB = 4hA 이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xy평면에서 질량이 각각 m, 2m인 물체 A, B가 서로를 향해 각각 등속도로 운동하여 탄성 충돌한 후, 등속도로 서로 멀어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충돌 전 A와 B의 운동량의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며, 충돌 전 A의 속력은 2m/s 이다.

충돌 후 B의 속력은? (단, 물체의 크기는 무시한다.) [3점]

  1. 1m/s
  2. 2m/s
  3. 3m/s
  4. 4m/s
  5. 5m/s
(정답률: 알수없음)
  • 운동량 보존 법칙에 의해 충돌 전과 후의 운동량의 크기는 같습니다. 따라서, A와 B의 운동량의 크기의 합은 충돌 전과 후에도 동일합니다. 충돌 전 A의 운동량의 크기는 2m×2m/s=4m/s 이므로, 충돌 후 B의 운동량의 크기는 4m/s-2m/s=2m/s 입니다. 따라서, B의 속력은 2m/s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m/s" 이며, 보기에서 "1m/s"는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이 회전하는 놀이 기구에 고정된 점 p 와 q 가 등속 원운동을 한다.

p, q 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입니다. 이유는 회전하는 놀이 기구에서 고정된 점 p와 q가 등속 원운동을 하기 때문입니다. 등속 원운동은 각속도가 일정한 원운동으로, 각도가 시간에 비례하여 변화합니다. 따라서 p와 q의 운동은 원주위를 일정한 속도로 돌면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는 것이므로 "ㄱ"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이 반지름 R, 질량 M인 행성의 표면에서 연직 윗방향으로 v 의 속력으로 물체를 발사한다. 물체는 표면으로부터 높이인 곳까지 올라갔다가 떨어졌다.

v는? (단, 만유 인력 상수는 G이다.)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물체가 표면에서 떨어지기 위해서는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초기 속력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물체가 최고점에 도달할 때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은 초기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과 같아야 한다. 최고점에서의 운동 에너지는 0이므로, 초기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은 표면에서의 위치 에너지와 같다. 초기 운동 에너지는 (1/2)Mv^2, 위치 에너지는 -GMm/R이므로, (1/2)Mv^2 - GMm/R = -GMm/2R 이다. 이를 v에 대해 정리하면 v = sqrt(2GM/R)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이 이상 기체가 들어 있는 단열된 실린더를 단열된 칸막이를 사용하여 부피가 V로 같은 두 부분 A, B로 나누어 핀으로 고정하였다. A, B에서 기체의 절대 온도는 각각 2 T, T 이며, 기체의 몰수는 각각 2 몰, 1 몰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실린더와 칸막이 사이의 마찰은 무시한다.)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ㄴ"이 옳은 이유는 칸막이를 통해 A와 B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A와 B 각각의 몰수와 온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A와 B의 열역학적 상태는 변하지 않고, A와 B 사이에 열이나 물질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열역학 제1법칙이 성립한다. 이에 따라 A와 B의 압력과 부피는 변하지 않으므로, 옵션 "ㄴ"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 절대 온도가 T0 인 1 몰의 이상 기체의 상태가 각각 A→B, A→C를 따라 변할 때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B 와 C 에서 기체의 온도는 모두 2 T0 이고, A→B 과정과 A→C 과정에서 기체가 받은 열은 각각 Q1, Q2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 "ㄱ" : A→B 과정에서 기체가 받은 열은 Q1 이므로, 이는 B에서의 내부에너지 증가량과 같다. 내부에너지 증가량은 온도 증가량에 비례하므로, B에서의 온도가 2 T0 이므로 A에서의 온도는 T0 일 때, B에서의 온도는 2 T0 이므로, Q1 = (3/2) nR(TB - TA) = (3/2) nR(T0) 이다. 이때, B에서의 부피는 A에서의 부피보다 작으므로, 압력은 A에서 B로 갈수록 증가한다.
    - "ㄴ" : A→C 과정에서 기체가 받은 열은 Q2 이므로, 이는 C에서의 내부에너지 증가량과 같다. 내부에너지 증가량은 온도 증가량에 비례하므로, C에서의 온도가 2 T0 이므로 A에서의 온도는 T0 일 때, C에서의 온도는 2 T0 이므로, Q2 = (3/2) nR(TC - TA) = (3/2) nR(T0) 이다. 이때, C에서의 부피는 A에서의 부피보다 크므로, 압력은 A에서 C로 갈수록 감소한다.
    - "ㄷ" : B와 C에서의 온도가 같으므로, 내부에너지도 같다. 따라서, B에서 C로 가는 과정에서는 내부에너지 변화가 없다. 이때, 부피는 B에서 C로 갈수록 증가하므로, 압력은 B에서 C로 갈수록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이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서 용수철에 연결된 물체 A에 물체 B를 접촉시켜 손으로 밀어 평형 위치(x=0)에서 x=-d 까지 용수철을 압축시켰다. 손을 떼면 A 와 B 가 함께 운동하다가 평형 위치에서 분리된다. A, B의 질량은 각각 m, 3m이다.

손을 뗀 순간부터 A의 변위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는 용수철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용수철의 변형에 따라 같이 움직인다. 따라서 A의 변위 그래프는 B의 변위 그래프와 같다. 또한, A와 B는 용수철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용수철의 변형에 따라 A와 B의 가속도도 같다. 따라서 A와 B의 운동은 등가속도 운동이다. 이때 등가속도 운동에서 변위-시간 그래프는 포물선 모양이므로, ""가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원점 O로부터 x축 상에서 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 고정되어 있는 점전하 q1 , q2 에 의한 xy 평면에서의 전위를 등전위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점 P에 양(+)전하를 가만히 놓으면 양전하는 -x 방향으로 운동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ㄴ, ㄷ"

    - 점전하 q1 에 의한 등전위선은 q1 에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P에서 q1 으로 가는 방향으로 전위가 감소한다. 따라서 P에 양전하는 -x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 점전하 q2 에 의한 등전위선은 q2 에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P에서 q2 으로 가는 방향으로 전위가 증가한다. 따라서 P에 양전하는 -x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 따라서 P에 양전하는 -x 방향으로 두 점전하에 의한 힘이 작용하므로, P는 -x 방향으로 운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이 저항값이 같은 두 저항과 전기 용량이 같은 두 축전기를 전압이 일정한 전원 장치에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였다. 스위치 S 를 a 에 연결하여 두 축전기를 완전히 충전시켰을 때 축전기 A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E0 이다.

S 를 b 에 연결하여 두 축전기를 완전히 충전시켰을 때 A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1. 1/16 E0
  2. 1/8 E0
  3. 1/4 E0
  4. 1/2 E0
  5. E0
(정답률: 알수없음)
  • S가 a에 연결되어 축전기 A에 전기 에너지 E0이 저장되었을 때, 축전기 B에는 전기가 없으므로 전압 차가 발생하여 A의 전기가 B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A와 B의 전하량이 같아지면서 전압 차가 0이 되고, 이때의 전하량은 Q0 = CV = CE 이다. (C는 축전기의 전기용량, V는 전압)

    따라서, A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 E0은 Q0V0/2 이고, B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Q0V0/2 이다. (V0은 처음에 A와 B에 인가된 전압)

    S가 b에 연결되어 축전기 B에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면, A와 B의 전하량이 같아지면서 전압 차가 0이 되고, 이때의 전하량은 Q1 = CV0/2 이다. (V0은 처음에 A와 B에 인가된 전압)

    따라서, A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Q1V1/2 이고, B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Q1V1/2 이다. (V1은 S가 b에 연결된 후 A와 B에 인가된 전압)

    여기서, V1 = V0/2 이므로, A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Q1V0/4 이고, B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Q1V0/4 이다.

    따라서, A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E1 = Q1V0/8 이고, B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E1 = Q1V0/8 이다.

    따라서, A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의 변화량은 E0 - E1 = Q0V0/2 - Q1V0/8 = (3/8)Q0V0 이다.

    따라서, A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E0 - (3/8)E0 = (5/8)E0 이고, B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3/8)E0 이다.

    따라서, 정답은 "1/16 E0" 이 아니라 "3/8 E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질량이 같은 두 입자 A, B가 종이면에 수직으로 들어가는 방향의 균일한 자기장 영역에 입사하여 원궤도를 따라 운동하는 경로 X, Y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A, B는 자기장 영역에 동시에 수직으로 입사하여 동시에 수직으로 나왔다. 표는 A, B의 전하량과 운동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ㄱ. A와 B의 전하량이 같으므로, 자기장에서 받는 힘의 크기도 같다. 따라서, A와 B는 같은 반경을 따라 원운동을 하게 된다.

    ㄷ. A와 B의 운동 에너지가 같으므로, 운동 반경도 같다. 따라서, A와 B는 같은 반경을 따라 원운동을 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저항값이 R 인 저항과 자체 유도 계수가 L 인 코일을 교류 전원에 연결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교류 전원의 진동수는 f 이고, 전압의 실횻값은 일정하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이다. 이유는 코일과 저항이 연결된 회로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가 진동수에 따라 변화하며, 이 때 코일의 자체 유도 계수에 의해 전류의 크기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 회로는 교류 전원에 대한 저항-코일 회로로 분류되며, 이러한 회로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크기가 진동수에 따라 변화하므로, 이 회로는 "ㄱ"이라는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자기파의 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14번 공통지문 문제)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통신 기술인 무선 통신과 레이더 등에 대한 설명이 있고, "ㄷ"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의료 기술인 MRI에 대한 설명이 있기 때문에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은 밀리컨의 기름 방울 실험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기름 방울 A는 두 극판 사이에 정지해 있고, B는 일정한 속력 v 로 직선 운동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공기 저항은 무시한다.)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ㄷ, 기름 방울 B는 등속운동을 하고 있다." 이다. 이유는 기름 방울 A는 두 극판 사이에서 정지해 있으므로 가해지는 힘이 없어서 가속도가 0이다. 반면에 기름 방울 B는 일정한 속력 v로 직선 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등속운동을 하고 있다. 따라서 "ㄷ, 기름 방울 B는 등속운동을 하고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 (가)와 (나)는 보어의 수소 원자 모형에 따른 전자의 원운동 궤도와 전자가 만든 정상파를 각각 실선과 점선을 이용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전자가 (가)에서 (나)로 전이할 때, 전자의 물리량 중 증가하는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ㄴ, ㄷ"이다. 전자가 원운동 궤도에서 더 멀리 떨어져 (나)로 전이하면서 전자의 위치는 더 멀어지게 되므로 전자의 위치에너지는 증가한다. 또한, 전자가 (가)에서 (나)로 전이하면서 전자의 운동에너지는 감소하게 되므로 운동에너지는 감소한다. 따라서, 전자의 물리량 중 증가하는 것은 위치에너지이고 감소하는 것은 운동에너지이므로 "ㄴ,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방사성 원자핵이 방사선 (가), (나), (다)를 방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가), (나), (다)가 전기장 방향에 수직으로 입사하여 운동하는 경로를 A, B, C로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가), (나), (다)의 경로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가, 나, 다)

  1. A, B, C
  2. A, C, B
  3. B, A, C
  4. B, C, A
  5. C, A, B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 C, B"이다.

    (가)는 전기장 방향과 수직으로 운동하므로 직선 경로인 A가 맞다.

    (나)는 전기장 방향과 평행하게 운동하므로 원형 경로인 C가 맞다.

    (다)는 전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므로 역방향으로 원형 경로를 그리는데, 이때 (가)와 (나)의 경로를 가로지르는 것을 피하기 위해 C 경로의 반대편인 B가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이 저항값이 1Ω인 저항과 기전력이 각각 4V, E인 전지를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하였다. 스위치 S가 열려 있을 때, 점 b 와 c 사이의 전위차는 4V이다.

S 를 닫았을 때, 이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전지의 내부 저항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ㄴ": 스위치 S가 닫히면, 회로는 완전히 닫혀 있으므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점 b와 c 사이의 전위차는 0V이 된다.
    - "ㄷ": 스위치 S가 닫히면, 전지의 기전력 E가 저항 R1과 R2를 거쳐 점 b와 c 사이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 전류 I는 E/(R1+R2)가 되고, 이에 따라 점 b와 c 사이의 전위차는 IR2 = E*R2/(R1+R2)가 된다.
    - "ㄱ, ㄴ": 스위치 S가 열려 있을 때, 회로는 닫혀 있지 않으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이에 따라 점 b와 c 사이의 전위차는 4V이다. 스위치 S가 닫히면, 회로는 완전히 닫혀 있으므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점 b와 c 사이의 전위차는 0V가 된다.
    - "ㄱ, ㄷ": 스위치 S가 열려 있을 때, 회로는 닫혀 있지 않으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이에 따라 점 b와 c 사이의 전위차는 4V이다. 스위치 S가 닫히면, 전지의 기전력 E가 저항 R1과 R2를 거쳐 점 b와 c 사이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 전류 I는 E/(R1+R2)가 되고, 이에 따라 점 b와 c 사이의 전위차는 IR2 = E*R2/(R1+R2)가 된다.
    - "ㄱ, ㄴ, ㄷ": 스위치 S가 열려 있을 때, 회로는 닫혀 있지 않으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이에 따라 점 b와 c 사이의 전위차는 4V이다. 스위치 S가 닫히면, 전지의 기전력 E가 저항 R1과 R2를 거쳐 점 b와 c 사이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 전류 I는 E/(R1+R2)가 되고, 이에 따라 점 b와 c 사이의 전위차는 IR2 = E*R2/(R1+R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어떤 동위 원소의 원자핵 A, B가 각각 속력 v, 2 v 로 자기장 영역Ⅰ에 입사하여 원궤도를 따라 운동한 후 전기장 영역으로 입사하여 +x 방향으로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하고, 자기장 영역Ⅱ에 입사하여 반지름이 같은 원궤도를 따라 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A, B의 질량은 각각 3m, m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에서 "ㄱ"은 A와 B가 자기장 영역Ⅰ에서 원궤도를 따라 운동한 후 전기장 영역으로 입사하여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하기 때문에, A와 B의 속력이 같아지게 되고, 이후 자기장 영역Ⅱ에서는 반지름이 같은 원궤도를 따라 운동하게 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 "ㄷ"는 A와 B의 질량이 다르기 때문에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할 때, B의 속력이 A보다 더 빨라지게 되고, 이후 자기장 영역Ⅱ에서는 반지름이 같은 원궤도를 따라 운동하게 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 "ㄴ"은 A와 B가 자기장 영역Ⅰ에서 원궤도를 따라 운동한 후 전기장 영역으로 입사하여 등가속도 직선 운동을 하기 때문에, A와 B의 속력이 같아지게 되고, 이후 자기장 영역Ⅱ에서는 반지름이 같은 원궤도를 따라 운동하게 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