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화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11-08)

수능(화학II)
(2012-11-08 기출문제)

목록

1. 다음은 비가역적으로 일어나는 기체 A와 B의 반응에 대한 화학 반응식과 반응 속도식을 나타낸 것이다. k는 속도 상수이고, m과 n 은 반응 차수이다.

표는 일정 온도의 강철 용기에서 A( g)와 B( g)를 반응시켰을 때, 반응 전 기체의 몰수와 반응 시간이 t 초일 때 전체 몰수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Ⅱ에서 반응 시간이 2t 초일 때 C( g)의 몰수는? (단,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온도 변화는 없다.) [3점]

  1. 5/4
  2. 3/2
  3. 7/4
  4. 2
  5. 9/4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반응 속도식에서 A와 B의 몰수는 각각 1차 반응 차수이므로, A와 B의 몰수가 각각 절반으로 줄어들 때마다 반응 속도는 1/2씩 감소한다. 따라서, 실험Ⅰ에서 A와 B의 몰수가 각각 절반으로 줄어들 때마다 전체 몰수는 1/2씩 감소한다. 실험Ⅰ에서 A와 B의 몰수가 각각 절반으로 줄어들었으므로, 전체 몰수는 1/2씩 감소하여 1/2가 된다. 따라서, 실험Ⅱ에서 A와 B의 몰수가 각각 절반으로 줄어들었을 때, 전체 몰수는 1/2가 된다. 이때, C의 몰수는 A와 B의 몰수가 각각 절반으로 줄어들었을 때 생성된 몰수와 같으므로, C의 몰수는 1/2이다. 따라서, 실험Ⅱ에서 C의 몰수는 1/2가 된다.

    반응 속도식에서 A와 B의 반응 차수의 합은 2이므로, 반응 속도는 A와 B의 몰수의 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실험Ⅰ에서 전체 몰수가 2배가 되었을 때, 반응 속도는 2^2 = 4배가 된다. 이때, C의 몰수는 A와 B의 몰수가 각각 절반으로 줄어들었을 때 생성된 몰수와 같으므로, C의 몰수는 1/2이다. 따라서, 실험Ⅱ에서 A와 B의 몰수가 각각 절반으로 줄어들었을 때, C의 몰수는 1/2가 되며, 전체 몰수는 2배가 되므로, C의 몰수는 1이 된다.

    따라서, 실험Ⅱ에서 C의 몰수는 1이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정답이 "7/4"인 보기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25℃ 에서 약산 HA(aq)와 HB(aq)를 0.2M NaOH(aq)로 각각 적정한 중화 적정 곡선이다. 점 a 에서 [HA]=[A-]이고 점 b 에서 [HB]=[B-]이다.

적정 전 HA(aq)와 HB(aq)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약산의 이온화 상수 Ka=Ca2으로 가정하고 C는 약산의 초기 농도, a는 이온화도이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그림에서 보듯이 HA와 HB의 중화점이 각각 다른 pH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HA와 HB는 서로 다른 이온화도와 이온화 상수를 가지므로, 보기에서 제시된 "HA와 HB는 이온화도와 이온화 상수가 같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 (가)와 (나)는 수용액 100mL에 들어 있는 이온의 종류와 농도를, (다)는 (가)와 (나)를 섞어 반응시켰을 때 수용액에 존재하는 이온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위 반응의 산화·환원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그림에서 구경꾼 이온은 제외하였고, (다)에서 생성되는 물의 부피는 무시하였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ㄴ. 그림 (가)와 (나)에서는 각각 0.1 mol/L의 Cu2+와 Fe2+ 이온이 존재하고, 반응식에서 Cu2+가 Fe2+를 환원하여 Cu+와 Fe3+가 생성된다. 따라서 반응 후에는 Cu+, Fe2+, Fe3+ 이온이 존재하게 된다.

    ㄷ. 반응식에서 Cu2+가 Fe2+를 환원하여 Cu+와 Fe3+가 생성되므로, Cu2+의 농도는 감소하고 Cu+의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와 (나)에서 존재하는 Cu2+의 농도보다는 적어지고 Cu+의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ㄱ, ㄴ. 반응식에서 Fe2+가 Cu2+에게 전자를 양도하여 Fe3+가 생성되므로, Fe2+의 농도는 감소하고 Fe3+의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와 (나)에서 존재하는 Fe2+의 농도보다는 적어지고 Fe3+의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또한, 반응식에서 Cu2+가 Fe2+를 환원하여 Cu+와 Fe3+가 생성되므로, Cu2+의 농도는 감소하고 Cu+와 Fe3+의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가)와 (나)에서 존재하는 Cu2+와 Fe2+의 농도보다는 적어지고 Cu+, Fe3+의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 (가)는 액체 A와 B의 증기압 곡선을, (나)는 100 g 의 A 와 B 각각에 같은 질량의 용질 C를 녹인 용액 X와 Y를 가열할 때 시간에 따른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C 는 비휘발성이고 비전해질이다. 용액은 라울의 법칙을 따르고, 끓기 전 증발된 용매의 양은 무시한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 액체 A와 B의 증기압 곡선은 A와 B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용액 X와 Y의 온도 변화는 A와 B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가)와 (나)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기체 A 와 B 가 반응하여 기체 C 를 생성하는 화학 반응식과 평형 상수(K)이다.

그림 (가)는 칸막이로 분리된 강철 용기에 A( g)와 B( g)를 각각 넣은 초기 상태를, (나)는 칸막이를 제거한 후 평형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반응 전과 후의 온도는 같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ㄷ"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ㄱ. 초기 상태에서는 A와 B가 반응하여 C가 생성하는 속도가 아주 느리기 때문에, A와 B의 농도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초기 상태에서는 A와 B의 농도가 K값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K값은 초기 상태와 평형 상태에서 동일하다.

    ㄴ. 평형 상태에서는 A와 B가 반응하여 C가 생성하는 속도와 C가 분해하여 A와 B가 생성되는 속도가 서로 같아져서, A와 B, C의 농도가 일정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K값은 A와 B, C의 농도가 일정한 상태에서 반응곱과 생성곱의 비율이 일치하기 때문에, 평형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된다.

    ㄷ. 초기 상태에서는 A와 B의 농도가 K값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A와 B의 농도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다. 하지만, 평형 상태에서는 A와 B, C의 농도가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A와 B의 농도가 K값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초기 상태와 평형 상태에서 K값이 동일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약산 HA 수용액의 이온화 반응식과 이온화 상수(Ka)를, 그림 (가)와 (나)는 같은 온도에서 농도와 부피가 다른 HA 수용액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이유는 그림 (가)와 (나)에서 농도와 부피가 다르더라도 HA 수용액의 이온화 반응식과 이온화 상수는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농도와 부피가 다른 HA 수용액에서도 이온화 반응식과 이온화 상수는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질산은(AgNO3) 수용액과 황산구리(CuSO4) 수용액을 각각 전기 분해할 때, 가해준 전하량에 따른 석출된 금속의 질량을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는 각각 두 수용액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g와 Cu의 원자량은 각각 108 과 64 이고, (+)극에서 발생되는 기체는 산소(O2)이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전기 분해 시에 AgNO3 수용액에서는 음이온인 NO3- 이 양극으로 이동하여 산소(O2)와 반응하여 NO2 기체를 생성하고, CuSO4 수용액에서는 양이온인 Cu2+ 이 음극으로 이동하여 금속 구리(Cu)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AgNO3 수용액에서는 금속이 석출되지 않고 기체가 발생하므로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아세트산(CH3COOH) 수용액의 이온화 반응식을 나타낸 것이다.

1.0M CH3COOH(aq)가 평형에 도달한 후, 용액에 가해준 변화에 따른 결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온도 변화는 없다.)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 ㄷ"이다.

    - "ㄱ"은 CH3COOH 농도가 증가하면, CH3COO- 농도도 증가하므로 옳지 않다.
    - "ㄴ"은 CH3COOH 농도가 감소하면, CH3COO- 농도가 감소하고 H+ 농도가 증가하므로 옳다.
    - "ㄷ"은 NaOH 농도가 증가하면, CH3COO- 농도가 증가하고 H+ 농도가 감소하므로 옳다.
    - "ㄱ, ㄴ"은 CH3COOH 농도가 증가하면 CH3COO- 농도도 증가하지만, H+ 농도도 증가하므로 옳지 않다.
    - "ㄴ, ㄷ"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CH3COOH 농도와 NaOH 농도의 변화에 따른 결과가 옳으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표는 C(s, 흑연), CO(g), CO2(g)의 반응열을 나타낸 것이다.

△H1~△H5 사이의 관계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H1 = △H2 + △H3 : 이 식은 엔탈피의 보존 법칙에 따라 성립한다. 반응 전후의 엔탈피 변화량은 반드시 일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 △H4 = △H2 + △H5 : 이 식은 엔탈피의 보존 법칙에 따라 성립한다. 반응 전후의 엔탈피 변화량은 반드시 일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 △H1 = △H4 - △H5 : 이 식은 엔탈피의 보존 법칙에 따라 성립한다. 반응 전후의 엔탈피 변화량은 반드시 일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같은 질량의 3 가지 기체 A~C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기체 A, B, C가 같은 질량이지만 온도와 압력이 다르기 때문이다. 기체의 온도와 압력은 그 상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같은 질량의 기체라도 온도와 압력이 다르면 상태가 다르게 된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기체 A, B, C는 서로 다른 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으로는 "ㄱ"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2, 3 주기에 속하는 원소 A~D의 원자가 전자 수에 따른 제1 이온화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A~D는 임의의 원소 기호이다.) [3점]

  1. A는 2 주기 원소이다.
  2. 공유 전자쌍은 A2 가 B2 보다 많다.
  3. 전기 음성도는 C가 B보다 크다.
  4. 원자 반지름은 C가 D보다 크다.
  5. 수소 화합물의 끓는점은 H2B가 H2D보다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 음성도는 C가 B보다 크다." 이유는, 전기 음성도란 원자가 전자를 끌어당기는 능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전자 수가 많을수록 전기 음성도가 높아진다. 그림에서 C의 전자 수가 B보다 많기 때문에 C의 전기 음성도가 더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2가지 수소 화합물 X2H4와 Y2H4의 구조식이다. X와 Y는 각각 탄소(C)와 질소(N) 중 하나이며, 옥텟 규칙을 만족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그림에서 X와 Y는 각각 탄소(C)와 질소(N) 중 하나이며, 옥텟 규칙을 만족한다고 되어 있다. X2H4와 Y2H4의 구조식을 보면, X와 Y 모두 4개의 수소 원자와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다. 이는 탄소(C)의 경우 옥텟 규칙을 만족하기 위해 이중 결합을 형성한 것이고, 질소(N)의 경우에는 이중 결합과 단일 결합을 번갈아가며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X는 탄소(C)이고 Y는 질소(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탄소 원자의 몇 가지 가능한 전자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에서 나타난 전자 배치 중, 1s22s22p2는 탄소의 전자 구성을 나타낸다.
    - 이 전자 배치는 2개의 2s 전자와 2개의 2p 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 이 중 2s 전자는 s 궤도에 있고, 2p 전자는 p 궤도에 있으며, 각각의 궤도에는 최대 2개의 전자가 들어갈 수 있다.
    - 전자는 동일한 궤도에 있을 때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를 스핀이라고 한다.
    - 따라서, 1s22s22p2 전자 구성에서 2개의 2p 전자는 서로 다른 스핀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이에 따라, 보기에서 "ㄱ, ㄷ"가 옳은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 (가)는 온도 T1 에서 고체인 어떤 물질 일정량에 대한 압력 P1 , P2 에서의 가열 곡선이고, (나)는 이 물질의 상평형 그림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가열 중 압력은 일정하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ㄷ"이다.

    - 가열 중 압력은 일정하다고 했으므로, 가열 곡선은 수평선이다. 따라서 그림 (가)에서 P1 에서 P2 로 가는 가열 곡선은 그림 (나)에서는 고체와 액체의 경계선을 나타낸다.
    - 그림 (가)에서 T1 에서 P1 로 가는 압축 곡선은 그림 (나)에서는 고체와 기체의 경계선을 나타낸다. 따라서 그림 (가)에서 T1 에서 P1 로 가는 압축 곡선과 그림 (나)에서 고체와 기체의 경계선이 만나는 지점이 이 물질의 녹는 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은 고체 A의 물에 대한 용해도 곡선이고, 표는 A 수용액에 대한 자료이다.

A 수용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의 화학식량은 102 이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ㄱ: 그림에서 용해도 곡선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구간은 포화 용액 상태를 나타내며, 이 때 A의 농도는 약 0.1 g/100 mL이다. 따라서, A를 물에 용해시킨 후 100 mL의 용액에 0.1 g의 A가 녹아있는 것이다.
    - 보기 ㄴ: 그림에서 용해도 곡선이 수평선을 이루는 구간은 포화 용액 상태를 나타내며, 이 때 A의 농도는 약 0.2 g/100 mL이다. 따라서, A를 물에 용해시킨 후 100 mL의 용액에 0.2 g의 A가 녹아있는 것이다.
    - 보기 ㄷ: 그림에서 용해도 곡선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구간은 포화 용액 상태가 아니며, 이 때 A의 농도는 약 0.05 g/100 mL이다. 따라서, A를 물에 용해시킨 후 100 mL의 용액에 0.05 g의 A가 녹아있는 것이다.
    - 보기 ㄴ, ㄷ: 그림에서 용해도 곡선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구간과 수평선을 이루는 구간 모두 포화 용액 상태가 아니므로, 이 두 구간에서는 A의 농도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보기 ㄴ과 ㄷ은 모두 옳지 않다.
    -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촉매를 사용한 과산화수소의 분해 반응에서 반응의 진행에 따른 에너지 변화와 반응 메커니즘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촉매가 사용되면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가 낮아지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증가하고, 따라서 반응이 빨리 일어나 에너지 변화도 크게 일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촉매가 사용되면 반응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일어나므로 반응 엔탈피 변화도 크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ㄱ"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영희는 20℃에서 서로 다른 농도의 HCl(aq)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나)에서 만든 HCl(aq)의 몰 농도(M)로 옳은 것은?

  1. 0.5
  2. 0.6
  3. 0.7
  4. 0.8
  5. 0.9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의 농도는 변하지 않으므로, 20℃에서 물의 밀도는 1 g/mL이다. 따라서 100 mL의 물은 100 g이다. 실험에서는 10 mL의 HCl(aq)을 사용하였으므로, 이는 10 g의 HCl이 포함되어 있다. (나)에서 만든 HCl(aq)의 몰 농도(M)는 몰 질량 36.5 g/mol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M = 몰질량 ÷ 질량 ÷ 용액 부피 = 36.5 ÷ 10 ÷ 0.1 = 0.365 M

    하지만, 실험에서는 (다)에서 만든 HCl(aq)의 몰 농도가 2배 높다고 하였으므로, (나)에서 만든 HCl(aq)의 몰 농도는 0.365 ÷ 2 = 0.1825 M이다. 이를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하여 0.2 M이 아닌, 0.8 M이 되므로 정답은 "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같은 온도에서 3 가지 기체 A~C의 분자 운동 속력에 따른 분자 수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A~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기체의 분자 운동 속력이 클수록 분자 수가 적어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분자 운동 속력이 클수록 기체 분자들이 충돌하며 서로 밀어내는 힘이 커져서 공간을 차지하는 비중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3 가지 고체 (가)~(다)의 결정 구조를 모형으로 나타낸 것이다.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는 분자 결정이다.
  2. (나)는 충격을 가하면 쉽게 부서진다.
  3. (다)는 흑연이다.
  4. 화학 결합의 종류는 (가)와 (나)가 같다.
  5. 전기 전도성은 (다)가 (나)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는 분자 결정이다."가 옳지 않다. (가)는 이온 결정이다.

    화학 결합의 종류는 (가)와 (나)가 같다. 이유는 둘 다 원자간 전자 공유에 의한 공유 결합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붕소(B) 원자를 표시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은 붕소(B) 원자의 전자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으며, "ㄷ"는 붕소(B) 원자의 원자 번호(원자핵 주변의 전자 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다. 붕소(B) 원자의 전자 구성은 2, 3, 총 5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원자 번호는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