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11-18)

수능(생명과학I)
(2010-11-18 기출문제)

목록

1. 다음은 식충 식물인 파리지옥에 대한 설명이다.

㉠에 나타난 생명 현상의 특성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플라나리아는 빛을 받으면 어두운 곳으로 이동한다.
  2. 효모가 포도당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생성한다.
  3. 아버지의 특정 형질이 딸에서 나타난다.
  4. 짚신벌레가 이분법으로 분열한다.
  5. 올챙이는 자라서 개구리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에 나타난 생명 현상의 특성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플라나리아는 빛을 받으면 어두운 곳으로 이동한다." 이다. 이는 광감성을 가진 생물의 특성으로, 빛을 감지하면 그 방향에서 멀어지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플라나리아는 빛을 받으면 어두운 곳으로 이동한다."의 이유는 광감성 세포에서 빛을 감지하면 세포 내부에서 화학적인 반응이 일어나게 되고, 이 반응이 근육 세포를 자극하여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플라나리아는 빛을 피해 어두운 곳으로 이동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영양소의 종류와 그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A~C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A, B, C)

  1. 탄수화물, 무기염류, 지방
  2. 탄수화물, 지방, 무기염류
  3. 지방, 탄수화물, 무기염류
  4. 지방, 무기염류, 탄수화물
  5. 무기염류, 지방, 탄수화물
(정답률: 알수없음)
  • A. X : 영양소의 종류와 특징을 나타낸 그림
    B. O : 그림에서 탄수화물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지방은 에너지 저장 및 보호, 무기염류는 뼈와 치아 형성에 필요한 영양소이기 때문이다.
    C. X : 그림에서 무기염류는 칼슘, 인, 철 등의 무기질을 의미하며, 지방은 에너지 저장 및 보호, 탄수화물은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건강한 사람의 체내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대사 과정 일부와 물질 (가)~(다)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가)~(다)는 서로 다른 물질이며 산소, 이산화탄소, 포도당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는 산소이다. 호흡 과정에서 인체 내에서 산소가 흡입되어 세포 내에서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에너지를 생성한다. 따라서 (가)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 생성을 위한 재료로 사용된다. 정답은 "ㄱ"이다.
    - (다)는 이산화탄소이다. 호흡 과정에서 세포 내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가 혈액을 통해 폐로 이동하여 호흡기로 배출된다. 따라서 (다)는 세포 내에서 생성된 물질이 호흡기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정답은 "ㄷ"이다.
    - (나)는 포도당이다. 호흡 과정에서 포도당이 분해되어 에너지가 생성된다. 따라서 (나)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 생성을 위한 재료로 사용된다. 또한, 포도당은 혈액을 통해 세포로 운반되어 에너지를 공급한다. 따라서 (가)와 (나)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 생성을 위한 재료로 사용되며, 혈액을 통해 운반된다. 정답은 "ㄱ,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시세포에 수용된 자극이 뇌로 전달되는 경로와 동공 반사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은 중뇌와 홍채를 연결하는 부교감 신경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ㄱ. 시세포 자극이 중뇌를 거쳐 뇌로 전달되고, 동공이 확장된다.
    ㄴ. 외부 자극이 망막을 자극하면 망막 신경세포가 시신경을 통해 중뇌로 전달되고, 동공이 수축된다.
    ㄷ. 동공의 크기는 시신경이 아닌 부교감 신경에 의해 조절된다.

    정답: ㄱ, ㄴ

    해설: 그림에서 시세포 자극이 중뇌를 거쳐 뇌로 전달되고, 동공이 확장되는 경로와 외부 자극이 망막을 자극하면 망막 신경세포가 시신경을 통해 중뇌로 전달되고, 동공이 수축되는 경로가 나타나 있으므로 ㄱ, ㄴ이 옳은 설명이다. 동공의 크기는 부교감 신경에 의해 조절되므로 ㄷ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 (가)는 폐포의 공기 흡입량에 따른 폐포의 기체 분압을, (나)는 평상시 호흡할 때 폐포와 순환계에서의 산소 분압(PO2)과 이산화탄소 분압(PCO2)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폐포의 공기 흡입량이 증가하면 폐포 내의 기체 분압이 감소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고, "ㄴ"은 평상시 호흡할 때 폐포와 순환계에서의 산소 분압과 이산화탄소 분압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나타내므로, 두 그림 모두 호흡과 관련된 기본적인 생리학적 원리를 나타내기 때문에 "ㄱ, ㄴ"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녹말의 소화에 대한 실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ㄷ"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실험 결과로부터, 녹말은 카페인을 첨가한 용액에서 소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므로, 녹말은 카페인에 의해 소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ㄱ"이 옳다.
    - 녹말은 카페인이 아닌 탄산소다 용액에서 소화가 일어났으므로, 녹말은 탄산소다에 의해 소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ㄴ"이 옳다.
    - 실험 결과로부터, 카페인과 탄산소다를 함께 첨가한 용액에서도 녹말이 소화되었으므로, 카페인과 탄산소다를 함께 첨가해도 녹말은 소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ㄷ"가 옳다.
    -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 (가)는 평상시 호흡할 때 폐포 내압과 흉강 내압의 변화를, (나)는 3가지의 CO2 분압에서 헤모글로빈의 산소 해리 곡선 (X, a, b)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는 CO2 분압이 40mmHg일 때의 산소 해리 곡선이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 그림은 호흡 운동과 관련된 폐포 내압과 흉강 내압의 변화를 보여준다. 폐포 내압은 호흡 운동 중에 폐가 팽창하면서 감소하고, 흉강 내압은 호흡 운동 중에 효과적인 호흡을 위해 변화한다. 따라서, 그림 (가)는 호흡 운동과 관련된 생리학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나) 그림 (나)는 3가지의 CO2 분압에서 헤모글로빈의 산소 해리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X는 CO2 분압이 40mmHg일 때의 산소 해리 곡선이다. 이 그림은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과 관련된 생리학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 (가)는 오줌 생성 과정(A~C)을, (나)는 사구체에서 여과된 크레아틴, 물질 X, 포도당이 세뇨관을 따라 (가)의 ㉠ 지점까지 이동할 때의 물질량의 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ㄴ. 사구체에서 여과된 물질 중 크레아틴과 물질 X는 세뇨관을 따라 이동하면서 거의 그대로 유지되지만, 포도당은 대부분 흡수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가)의 ㉠ 지점에서는 크레아틴과 물질 X의 비가 높아진다.

    ㄷ. (가)의 ㉠ 지점에서는 세포외액과 세포내액의 농도 차이가 크기 때문에 크레아틴과 물질 X가 세포내로 확산하게 된다. 이 때, 물질 X는 세포내에서 대부분 이용되거나 대사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크레아틴의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가)의 ㉡ 지점에서는 크레아틴의 농도가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 (가)는 호르몬 A와 알도스테론(무기질 코르티코이드)의 작용을, (나)는 혈장 삼투압, 혈액량, 혈압의 변화에 따른 혈장의 호르몬 A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인 이유는 호르몬 A와 알도스테론이 혈압 상승에 모두 관여하며, 혈압이 상승하면 호르몬 A와 알도스테론의 분비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혈압이 상승하면 호르몬 A 농도도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 (가)는 심장의 단면을, (나)는 시간에 따른 심장 각 부위의 압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그림 (가)와 (나)가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림 (가)는 심장의 구조를 보여주고, (나)는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를 보여준다. 따라서, (가)는 심장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나)는 심장 기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무릎 반사시 일어나는 감각기와 반응기 사이의 흥분 전달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ㄷ"인 이유는 그림에서 무릎 반사시 일어나는 감각기에서 축삭돌기를 통해 척수로 전달된 신호가 척수 내에서 상승성 인대로 전달되어 뇌로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는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이 연결되어 있는 반사적 운동으로서, 뇌의 개입 없이도 일어나는 반응이다. 따라서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어떤 연못물의 BOD를 측정한 실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ㄱ"은 BOD가 5일 후에 20mg/L 이하로 감소하였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BOD 감소량이나 시간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교감 신경 (가)와 (나)에 의한 호흡 운동과 심장 박동의 조절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가)가 흥분되면 호흡 주기가 길어진다.
  2. 심한 운동을 할 때 (가)는 흥분되고 (나)는 억제된다.
  3. (가)와 (나)의 절전 신경의 신경 전달 물질은 아드레날린이다.
  4. (나)의 흥분이 억제되면 심장 박동이 멈춘다.
  5. 호흡 운동 조절 중추와 심장 박동 조절 중추는 연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호흡 운동 조절 중추와 심장 박동 조절 중추는 연수이다." 이다.

    (가)는 호흡 운동 조절 중추로서 호흡 주기를 조절한다. (가)가 흥분되면 호흡 주기가 길어지고, 심한 운동을 할 때 (가)는 흥분되어 호흡을 더 많이 하게 된다.

    (나)는 심장 박동 조절 중추로서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조절한다. 심한 운동을 할 때 (가)는 흥분되고 (나)는 억제되어 심장 박동이 빨라지게 된다. (가)와 (나)의 절전 신경의 신경 전달 물질은 아드레날린이다.

    따라서, 호흡 운동 조절 중추와 심장 박동 조절 중추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함께 작용하며, 연수에 위치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 (가)는 정상인 X가 세균 P에 감염되었을 때 체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나)는 X와 B 림프구의 항체 형성 기능이 완전히 결핍된 사람 Y가 모두 P에 감염된 후, 이들의 체내에 있는 P의 수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ㄱ"은 그림 (가)에서 정상인 X가 세균 P에 감염되었을 때 체내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그림 (나)는 X와 B 림프구의 항체 형성 기능이 완전히 결핍된 사람 Y가 모두 P에 감염된 후, 이들의 체내에 있는 P의 수를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므로 "ㄴ" 또는 "ㄷ"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정상인 부모와 어떤 유전병을 앓고 있는 철수(2n=46)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난자 형성시 비분리는 1회만 일어나며, 비분리 이외의 다른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ㄷ"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철수는 염색체 쌍이 23쌍으로 총 46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
    - 철수의 부모는 모두 정상인이므로, 둘 다 해당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
    - 철수는 유전병을 앓고 있으므로, 해당 유전자를 둘 다 받았을 것이다.
    - 따라서, 철수의 유전자는 모두 해당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 철수의 난자 형성시 비분리가 일어난다는 조건이 주어졌으므로, 해당 유전자는 모두 같은 쪽으로 분리된다.
    - 따라서, 철수의 자녀는 모두 해당 유전자를 받을 것이며, 유전병을 앓게 된다.
    - 이에 따라, 정답은 "ㄱ,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 (가)는 사람의 정소에서, (나)는 난소에서 생식 세포가 정상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그림 (가)는 사람의 정소를 나타내고, 그림 (나)는 난소에서 생식 세포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그림은 서로 다른 과정을 나타내므로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은 어떤 여성의 생식기관에서 수정 전후에 관찰된 모든 제2 난모 세포, 수정란, 수정 후 배아(2세포기 배아, Ⅰ, Ⅱ)의 DNA 총량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정자 1개의 DNA 상대량은 1이고, 수정란과 배아의 DNA 총량에서 극체는 고려하지 않는다.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배아의 DNA량은 세포 분열 직후에 관찰한 것이며, 배아 발생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 ㄴ"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수정 전 제2 난모 세포와 수정 후 배아(2세포기 배아, Ⅰ, Ⅱ)의 DNA 총량이 모두 2배씩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정상적인 유전학적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수정 전 제2 난모 세포와 수정 후 배아(2세포기 배아, Ⅰ, Ⅱ)가 모두 2배체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 수정란의 DNA 총량은 2배가 아니라 1배이다. 이는 수정란이 정자와 합체할 때, 정자의 DNA와 합쳐져서 2배체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ㄱ, ㄴ"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어떤 동물의 3 개의 체세포에서 관찰한 상염색체를 나타낸 것이다. (가)는 정상 세포의 염색체, (나)와 (다)는 염색체 이상이 일어난 세포의 염색체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A~D, K~M, b, m은 유전자를 나타낸다.)

  1. (가)에서 ㉠은 ㉡의 상동염색체이다.
  2. (가)에서 ㉢은 ㉣의 염색분체이다.
  3. (가)에서 B는 b의 대립 유전자이다.
  4. (나)의 ㉡은 결실이 일어난 염색체이다.
  5. (다)의 ㉢은 중복이 일어난 염색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① (가)에서 A~D, K~M, b, m은 유전자를 나타내는 것이 맞다.
    ② (가)에서 ㉠은 ㉡의 상동염색체이다. : 상동염색체란 같은 유전자를 가진 염색체를 말하는데, 이 경우 ㉠과 ㉡은 같은 유전자를 가진 염색체이다.
    ③ (가)에서 ㉢은 ㉣의 염색분체이다. : 염색분체란 유전자가 위치한 염색체 내에서의 특정 부위를 말하는데, 이 경우 ㉢은 ㉣ 내에서의 특정 부위를 나타내는 염색분체이다.
    ④ (가)에서 B는 b의 대립 유전자이다. : 대립 유전자란 같은 유전자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하는데, 이 경우 B와 b는 같은 유전자의 대립 형태이다.
    ⑤ (나)의 ㉡은 결실이 일어난 염색체이다. : 결실이란 염색체 내에서 유전자가 빠져나가거나 결합되어 더 이상 기능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데, 이 경우 ㉡은 결실이 일어난 염색체이다.
    ⑥ (다)의 ㉢은 중복이 일어난 염색체이다. : 중복이란 염색체 내에서 같은 유전자가 두 개 이상 존재하는 상태를 말하는데, 이 경우 ㉢은 중복이 일어난 염색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어떤 식물의 유전 현상을 알아보기 위한 교배 실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교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중 "ㄱ"은 옳다.
    - 녹색과 노란색 꽃을 갖는 부모 식물을 교배하면, 모든 자손 식물이 녹색과 노란색 꽃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전자가 혼합되어 표현되는 형질인 형질의 우세성(대립유전자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지배하는 현상)에 따른 결과이다.
    - 보기 중 "ㄴ"은 옳지 않다.
    - 빨간색과 노란색 꽃을 갖는 부모 식물을 교배하면, 모든 자손 식물이 주황색 꽃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빨간색과 노란색 꽃의 형질이 혼합되어 표현되는 형질의 우세성이 없기 때문이다.
    - 보기 중 "ㄷ"는 옳다.
    - 빨간색 꽃을 갖는 부모 식물과 노란색 꽃을 갖는 부모 식물을 교배하면, 모든 자손 식물이 주황색 꽃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빨간색과 노란색 꽃의 형질이 혼합되어 표현되는 형질의 우세성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 (가)와 (나)는 생명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송아지와 어린 식물을 얻는 방법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R, r는 소의 유전자 중 하나이며, 서로 대립 유전자이다.) [3점]

  1. ㄱ, ㄷ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ㄱ"이 옳은 이유는, 그림 (가)에서는 소의 유전자 중 하나인 R을 선택하여 인공수정을 하였고, 그 결과로 얻어진 송아지는 Rr 유전자를 가지게 된다. 이는 대립 유전자인 rr 대신 Rr을 가지므로, 원하는 특성을 가진 송아지를 얻을 수 있다. 반면에 그림 (나)에서는 어린 식물의 세포를 분열시켜 번식시키는 방법인 현미경 아래의 세포 배양법을 이용하여 얻은 것이므로, 유전자 조작이 아닌 일반적인 번식 방법이다. 따라서 보기 "ㄴ", "ㄷ", "ㄱ, ㄷ", "ㄱ, ㄴ, ㄷ"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