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생명과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6-07)

수능(생명과학II)
(2012-06-07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어떤 세포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ㄷ"은 그림에서 보이는 세포의 구조와 일치한다. 즉, 세포막, 세포질, 핵, 미세세포관 등이 그림과 일치하므로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사람 세포와 생쥐 세포를 융합한 후, 융합된 세포막을 관찰한 실험을 나타낸 것이다.

이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세포막의 유동성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한다.
  2. 막 단백질은 세포막에서 유동한다.
  3. 세포막에는 콜레스테롤이 있다.
  4. 단백질은 세포막에서 합성된다.
  5. 세포막에는 탄수화물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막 단백질은 세포막에서 유동한다. 이유는 그림에서 보듯이 사람 세포와 생쥐 세포의 세포막이 융합되어 만들어진 세포막에서 사람 세포와 생쥐 세포의 막 단백질이 섞여 있기 때문이다. 이는 막 단백질이 세포막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세포막을 통한 물질 수송 방식 A~C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A 방식은 활성 수송체를 이용하여 물질을 운반하는 물질 수송 방식이다.
    - B 방식은 물질이 세포막을 통과하는 수동적인 확산 방식이다.
    - C 방식은 세포막을 통과하는 물질의 양이 많을 때 발생하는 수송 방식으로, 수송체를 이용하여 물질을 운반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 (가)는 어떤 효소와 물질 X, Y의 반응을, (나)는 기질 농도에 따른 이 효소의 초기 반응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나)에서 ㉠과 ㉡은 각각 저해제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X와 Y는 각각 기질과 저해제 중 하나이며, (나)에서 효소의 농도는 일정하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 ㄱ: 그림 (가)에서 효소와 물질 X, Y의 반응을 보면, X와 Y 중 어느 것이 기질이고 어느 것이 저해제인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X와 Y가 각각 기질과 저해제일 때 모두 효소의 활성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ㄴ: 그림 (나)에서 기질 농도가 증가할수록 초기 반응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기질이 효소와 결합하여 효소-기질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 복합체가 더 많은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 ㄷ: 그림 (나)에서 ㉠과 ㉡은 각각 저해제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중 하나이다. 초기 반응 속도가 더 느린 ㉠에서는 저해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저해제가 효소와 결합하여 효소-저해제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 복합체가 효소의 활성화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 (가)는 잎의 광합성 색소를 유기 용매로 전개시킨 종이 크로마토그래피 결과를, (나)는 색소 ㉠, ㉡의 흡수 스펙트럼과 잎의 작용 스펙트럼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과 ㉡은 각각 엽록소 a 와 엽록소 b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 ㄷ"이다.

    - ㄴ: 그림 가는 잎의 광합성 색소를 유기 용매로 전개시킨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엽록소 a와 엽록소 b가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함을 보여준다.
    - ㄷ: 그림 나는 색소 ㉠와 ㉡의 흡수 스펙트럼과 잎의 작용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으며, 엽록소 a와 엽록소 b가 서로 다른 파장에서 흡수되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표는 세포 연구에 이용되는 실험 방법 (가)~(다)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다)는 각각 조직 배양법, 자기 방사법, 세포 분획법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 조직 배양법: 세포를 배양하여 연구하는 방법. 세포의 생리적 반응, 세포간 상호작용 등을 연구할 수 있다.
    - (나) 자기 방사법: 방사능을 이용하여 세포를 조사하는 방법. 세포 내부의 구조나 기능을 연구할 수 있다.
    - (다) 세포 분획법: 세포 내부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여 연구하는 방법. 세포 내부의 구조와 기능을 더욱 상세하게 연구할 수 있다.

    따라서, (ㄱ)은 조직 배양법의 특징을 나타내고, (ㄴ)은 자기 방사법의 특징을 나타내고, (ㄷ)은 세포 분획법의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세 가지 효소의 작용과 순서 없이 나열한 각 효소 반응의 예이다.

(가)~(다)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가) 반응, (나) 반응, (다) 반응)

  1. 가수 분해 효소, 산화 환원 효소, 전이 효소
  2. 가수 분해 효소, 전이 효소, 산화 환원 효소
  3. 산화 환원 효소, 가수 분해 효소, 전이 효소
  4. 산화 환원 효소, 전이 효소, 가수 분해 효소
  5. 전이 효소, 가수 분해 효소, 산화 환원 효소
(정답률: 알수없음)
  • - (가) 반응: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나므로 산화 환원 효소가 촉매
    - (나) 반응: 가수 분해 반응이 일어나므로 가수 분해 효소가 촉매
    - (다) 반응: 전이 반응이 일어나므로 전이 효소가 촉매

    따라서 정답은 "산화 환원 효소, 가수 분해 효소, 전이 효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 온도를 달리 했을 때 빛의 세기에 따른 어떤 식물의 광합성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빛의 세기와 온도 이외의 조건은 동일하다.)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ㄱ: 빛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광합성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보기 ㄴ: 온도가 증가할수록 광합성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보기 ㄷ: 빛의 세기와 온도가 모두 증가할수록 광합성 속도가 가장 높아지는 것을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 (가)는 엽록체의 구조를, (나)는 칼빈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ㄴ, ㄷ"이다.

    (가)는 엽록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그림이고, (나)는 칼빈 회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따라서 (가)와 (나)은 서로 다른 주제를 나타내므로 "ㄱ"은 틀린 보기이다.

    (가)와 (나)은 각각 엽록체와 칼빈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므로 "ㄴ"은 옳은 보기이다.

    (가)와 (나)은 각각 엽록체와 칼빈 회로의 구조를 나타내므로 "ㄷ"은 옳은 보기이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동물 세포에서 피루브산이 TCA 회로를 거쳐 분해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피루브산 분해 과정 중 중간체인인 아세틸CoA가 TCA 회로에 진입하여 산화되고, 이 과정에서 NADH와 FADH2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즉, TCA 회로는 호흡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된 전자는 호흡 연쇄에 이어져 최종적으로 ATP 생성에 기여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일어나는 전자 전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전자 전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은 호흡 과정 중의 일부이다.
    - 전자는 NADH와 FADH2에서 시작하여 전자 전달체계를 통해 산소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한다.
    - 전자 전달체계에서는 전자가 전달되는 동안 에너지가 방출되어 전기 화학 그라데이션을 형성한다.
    - 이 그라데이션은 ATP 합성에 이용되며, 이 과정을 산화적인 인산화를 통해 일어난다.
    -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발아 중인 두 가지 종자 ㉠과 ㉡의 호흡률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시험관 내의 기체는 O2 와 CO2 만 고려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ㄷ. ㉠은 호흡을 하고 있으며, ㉡은 호흡을 하지 않고 있다.

    - 실험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 O2 농도는 감소하고 CO2 농도는 증가하였다. 이는 호흡에 의한 결과이다.
    - 반면, ㉡의 O2 농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고 CO2 농도도 증가하지 않았다. 이는 호흡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 따라서, ㉠은 호흡을 하고 있으며, ㉡은 호흡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피루브산이 발효 과정을 거쳐 에탄올과 젖산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과 ㉡은 각각 NAD와 NADH2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피루브산이 NADH2를 받아서 에탄올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발효 과정 중 하나인 알코올 발효 과정이다. "ㄴ"은 피루브산이 NAD+를 받아서 젖산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발효 과정 중 하나인 유산 발효 과정이다. "ㄷ"는 피루브산이 호흡 과정을 거쳐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호흡 과정 중 하나인 산소 호흡 과정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 (가)는 어떤 동물의 정원세포를, (나)는 이 세포가 정상적인 감수 분열을 할 때 어느 시점에서 관찰된 세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가)와 (나)에는 1 번 염색체만을 나타내었다.)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가)는 동물의 정원세포를 나타내고, (나)는 정상적인 감수 분열을 할 때 어느 시점에서 관찰된 세포를 나타낸다. (가)에서는 1 번 염색체만을 나타내었으며, (나)에서는 감수 분열 중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나)에서는 염색체가 2개로 복제되어 있으며, 각각의 염색체가 분리되어 나눠지는 단계인 중간핵분열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나)는 감수 분열 중인 상태에서 관찰된 세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정상적인 감수 분열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은 이중가닥 DNA의 구조를, 표는 이중가닥 DNAⅠ과 Ⅱ의 염기 조성을 나타낸 것이다. DNAⅠ과 Ⅱ는 각각 90 개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ㄴ, ㄷ
  2.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은 DNAⅠ과 Ⅱ가 같은 염기 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ㄷ"는 이중가닥 DNA의 구조가 염기 조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염기 조성이 이중가닥 DNA의 구조를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폴리펩티드가 합성되는 과정을, 표는 유전 암호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폴리펩티드가 합성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그림과 유전 암호의 일부를 나타내는 표가 함께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폴리펩티드는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단백질의 구성요소이며, 이러한 아미노산의 결합 순서는 유전 암호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그림과 표가 함께 제시되어야 폴리펩티드 합성과 유전 암호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 (가)는 광합성에 대한 힐의 실험을, (나)는 광합성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는 광합성에 대한 힐의 실험을 보여주고, (나)는 광합성 과정 중 일부를 보여준다.
    - (ㄴ)은 광합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빛에 의한 화학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옳다.
    - (ㄷ)는 광합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물 분해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옳다.
    - 따라서, 정답은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 (가)는 어떤 동물의 세포 분열 과정에서 관찰되는 세포 ㉠~㉢을, (나)는 이 세포가 분열하는 동안 핵 1개 당 DNA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이다. 이는 그림 (가)에서 관찰되는 세포 분열 과정과 (나)에서 나타낸 DNA량의 변화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림 (가)에서는 세포 분열 과정에서 2개의 세포로 분열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나)에서는 이 과정에서 핵 1개 당 DNA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유전자가 동일하게 분배되어 자식 세포가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ㄱ"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표 (가)는 어떤 식물의 큰 키, 붉은 꽃 개체 A(LlRr)를 자가 교배시킨 결과를, (나)는 같은 종의 큰 키, 노란 종자 개체 B(LlYy)를 검정 교배시킨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L(큰 키)은 l(작은 키)에, R(붉은 꽃)는 r(흰 꽃)에, Y(노란 종자)는 y(녹색종자)에 대해 각각 완전 우성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생식 세포 형성 시 염색체 사이에 교차는 한 번만 일어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에서 개체 A는 LlRr로서, L과 R은 각각 완전 우성이므로 대문자로 표시되었다. 따라서 개체 A의 생식세포는 LR, Lr, lR, lr의 4가지 형태를 갖게 된다. 나)에서 개체 B는 LlYy로서, L과 Y는 각각 완전 우성이므로 대문자로 표시되었다. 따라서 개체 B의 생식세포는 LY, Ly, lY, ly의 4가지 형태를 갖게 된다. 이 두 개체를 각각 교배시키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이 결과를 보면, 큰 키와 노란 종자는 모두 나타나고, 붉은 꽃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L과 Y가 각각 완전 우성이므로, LY 혹은 Ly의 조합으로 노란 종자가 나타나고, R이 r보다 우성이므로 R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 (가)는 젖당 오페론의 구조를, (나)는 포도당이 포함된 배지에서 키운 야생형 대장균을 젖당이 포함된 배지로 옮겨 키웠을 때의 생장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 그림은 젖당 오페론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 (나) 그래프는 포도당이 포함된 배지에서 키운 야생형 대장균의 생장 곡선과 젖당이 포함된 배지로 옮겨 키웠을 때의 생장 곡선을 비교한 것이다.
    - 따라서, 옳은 보기는 "ㄱ, ㄴ, ㄷ" 이다.
    - "ㄴ"은 그래프에서 포도당이 포함된 배지에서의 생장 곡선이 초기에 빠르게 상승하다가 나중에는 둔화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ㄷ"는 그래프에서 젖당이 포함된 배지에서의 생장 곡선이 초기에는 느리게 상승하다가 나중에는 빠르게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ㄱ"은 그림에서 젖당 오페론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