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생명과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7-06)

수능(생명과학II)
(2016-07-06 기출문제)

목록

1. 그림 (가)는 세포 분획법으로 동물 세포의 세포 소기관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는 현미경의 접안렌즈에 ㉠을 장착한 후 100배의 배율로 대물 마이크로미터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A~C는 각각 미토콘드리아, 핵, 리보솜 중 하나이고, C의 크기는 10㎛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대물 마이크로미터 1눈금의 길이는 10㎛이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 그림은 세포 분획법으로 세포 소기관을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포 소기관들은 크기와 밀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리되며, 그 결과로 미토콘드리아, 리보솜, 핵 등이 분리된다.

    나) 그림은 현미경으로 대물 마이크로미터를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대물 마이크로미터 1눈금의 길이는 10㎛이므로, 그림에서 C의 크기가 10㎛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표 (가)는 세포 소기관 A ∼ C에서 특징 ㉠ ∼㉢의 유무를, (나)는 ㉠ ∼ ㉢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A ∼ C는 각각 리보솜, 골지체, 엽록체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표에서 특징 ㉠은 리보솜에만 있고, 특징 ㉡은 골지체와 엽록체에만 있으며, 특징 ㉢는 모든 세포 소기관에 공통적으로 있습니다. 따라서 (가)는 A: 리보솜, B: 골지체, C: 엽록체이며, (나)는 "㉠㉢㉡" 순서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에 따라서, (ㄱ)은 "A: 리보솜에 특징 ㉠가 있고, B: 골지체에 특징 ㉡가 있으므로, A와 B가 모두 나타납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 (가)와 (나)는 진핵 세포에서 일어나는 DNA 복제 과정의 일부와 전사 과정의 일부를 순서 없이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과 ㉡은 각각 DNA 중합 효소와 RNA 중합 효소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그림 가는 DNA 복제 과정을 나타내며, DNA 중합 효소인 ㉠가 DNA 염기서열을 복제하여 새로운 DNA 분자를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림 나는 전사 과정을 나타내며, RNA 중합 효소인 ㉡가 DNA 염기서열을 읽어서 RNA 분자를 합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ㄴ, ㄷ"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반투과성 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반투과성 막은 물 분자는 통과할 수 있지만, 염소 이온은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물은 막을 통과하여 용액이 농도가 낮아지고, 염소 이온은 막을 통과하지 못하여 용액이 농도가 높아진다. 이로 인해 물은 용액에서 막을 통과하여 용액의 양이 증가하고, 염소 이온은 용액에 남아있어 용액의 양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의 이동량은 증가하고 염소 이온의 이동량은 변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한 실험이다.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실험에서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하여 ATP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단순한 설탕인 글루코스를 사용하여 ATP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산을 분해하여 ATP를 생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운동 선수들이 근육을 사용할 때 지방산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 실험은 운동 선수들의 근육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1분자의 2중 나선 DNA X를 이용하여 PCR(중합 효소연쇄 반응)를 1회 실시한 것을, 표는 그림의 단일 가닥 ⓐ∼ ⓒ를 구성하는 염기 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PCR의 각 단계 (가) ~ (다)는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 (ㄱ) PCR의 1차 반응에서는 DNA 염기서열에 맞는 프라이머가 결합하여 DNA 합성이 시작된다. 이 때, 염기서열이 가장 긴 ⓐ 가 제일 먼저 합성되므로, PCR 반응 후에는 ⓐ 가장 많이 증폭된다.
    - (ㄴ) PCR의 2차 반응에서는 1차 반응에서 합성된 DNA 분자들이 다시 프라이머에 의해 결합되어 증폭된다. 이 때, ⓐ, ⓑ, ⓒ 모두 프라이머에 결합할 수 있는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든 단일 가닥이 증폭된다.
    - (ㄷ) PCR 반응 후에는 ⓐ, ⓑ, ⓒ 모두 증폭되었으므로, 각각의 단일 가닥이 구성하는 염기 수는 동일하다. 따라서, 표에서 보여지는 염기 수는 모두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DNA가 유전 물질임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에서 "ㄱ"은 DNA가 유전 물질임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서 DNA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물이다. 즉, DNA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ㄷ"는 DNA가 유전 물질임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서 DNA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결과물이다. 따라서 "ㄱ"과 함께 DNA가 존재하고, 그 양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ㄱ, ㄷ"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 (가)는 포도당 1분자가 세포 호흡을 통해 분해되는 과정을, (나)는 (가)에서 ATP가 생성되는 방법 중 1가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그림 (나)에서 보이는 것처럼 포도당 분해 과정 중 일부인 산성화와 호흡 사이클에서 ATP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산성화에서는 NADH와 FADH2가 생성되고, 이들은 호흡 사이클에서 전기 수용체 사슬을 통해 전기 화학 그라데이션을 만들어 ATP 합성에 이용된다. 따라서 "ㄴ,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은 세포 호흡과 발효 과정의 일부를, 표는 물질 (가)∼(다)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ㄷ"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가)는 세포 호흡과 발효 모두에서 일어나는 과정이기 때문에 포함되어야 한다.
    - (다)는 세포 호흡에서 일어나는 과정이기 때문에 포함되어야 한다.
    - (나)와 (라)는 발효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므로, 세포 호흡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포함되지 않는다.
    - (다)와 (라)는 모두 발효에서 일어나는 과정이지만, (다)는 세포 호흡에서도 일어나는 과정이므로, (다)를 포함하고 (라)는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표는 주효소가 들어 있는 시험관 Ⅰ∼Ⅲ에 물질 ㉠과 ㉡의 첨가여부를, 그림은 시험관 Ⅰ~Ⅲ에서 기질의 농도에 따른 초기 반응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과 ㉡은 각각 저해제와 보조 인자 중 하나이다. 시험관 Ⅰ∼Ⅲ에서 ㉠과 ㉡의 첨가 여부 외의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ㄱ

    주어진 그림에서 시험관 Ⅰ에서는 ㉠과 ㉡ 모두 첨가되지 않았으므로 초기 반응 속도가 가장 느리다. 시험관 Ⅱ에서는 ㉠이 첨가되어 초기 반응 속도가 빨라졌다. 시험관 Ⅲ에서는 ㉡이 첨가되어 초기 반응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따라서, ㉠은 주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키는 역할을 하고, ㉡은 주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 (가)는 세포 내 공생설을, (나)는 지질 시대에서 대기중 산소의 비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은 각각 남세균, 단세포 진핵생물, 호기성 세균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 그림은 세포 내 공생설을 나타내고, 이론적으로는 남세균, 단세포 진핵생물, 호기성 세균 중 하나가 공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나) 그림은 지질 시대에서 대기중 산소의 비율 변화를 보여주는데, 이는 지질 시대에 생명체들이 산소를 이용하여 대량 번식하고 발전할 수 있게 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옳은 보기는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 (가)는 식물의 엽록체에 존재하는 광계 X에서 방출된 전자의 전달 과정을, (나)는 빛의 조건에 따른 스트로마의 pH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과 ㉡은 서로 다른 전자의 이동 경로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ㄴ. 광합성에서 전자는 광계에서 방출되어 전자 전달 과정을 거쳐 NADPH가 생성되고, 이를 이용하여 탄수화물 합성이 일어난다. 스트로마의 pH는 광합성에서 발생하는 O2와 CO2의 반응으로 변화한다.

    그림 (가)는 광합성에서 전자의 이동 경로를 보여주고, (나)는 빛의 조건에 따른 스트로마의 pH 변화를 보여준다. 이에 따라 보기 중 "ㄴ"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효소 ㉠과 ㉡의 작용으로 일어나는 반응에서의 에너지 변화를, 표는 ㉡의 농도가 E1일 때와 E2일 때 물질 C의 농도에 따른 초기 반응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v는 ㉡의 농도가 E1일때 초기 반응 속도의 최댓값이다. C의 농도는 S3 >S2 >S1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제시된 조건 이외의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 ㄷ"이다.

    ㄴ. 농도가 낮을 때는 효소와 물질 C의 충돌 빈도가 적어 초기 반응 속도가 느리다. 농도가 높아질수록 충돌 빈도가 증가하여 초기 반응 속도가 빨라진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농도가 낮을수록 초기 반응 속도가 낮아지는 것은 옳다.

    ㄷ. 농도가 높을 때는 효소와 물질 C의 충돌 빈도가 많아 초기 반응 속도가 빠르다. 하지만 농도가 너무 높아지면 효소와 물질 C가 포화되어 더 이상 반응 속도가 증가하지 않는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그래프에서 농도가 높아질수록 초기 반응 속도가 빨라지다가 어느 순간 포화상태에 이르러 초기 반응 속도가 일정해지는 것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제한 효소를 이용한 유전자 재조합 과정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제한 효소에 의한 DNA 절단 과정 이외에 다른 핵산의 구조 변화는 없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 ㄷ"가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제한 효소에 의해 DNA가 절단되면서 생긴 끝 부분의 끝맺음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유전자 재조합이 가능하다. 이를 sticky end라고 부르며, 이러한 sticky end를 가진 DNA 분자끼리 결합하면서 유전자 재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ㄴ, ㄷ"가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은 DNA의 뉴클레오타이드 중 1가지를, 표는 100쌍의 염기로 구성된 2중 나선 DNA Ⅰ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이 정답인 이유는, DNA의 뉴클레오타이드 중 하나인 티민(T)과 아데닌(A)은 항상 서로 상보적인 관계를 가지며, 이에 따라 2중 나선 구조에서 T와 A가 항상 짝을 이루기 때문이다. 따라서, 100쌍의 염기 중 하나가 T라면, 그 짝은 반드시 A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상보적인 관계 때문에, 보기에서 "ㄱ, ㄷ"와 같이 여러 염기가 함께 나와서는 안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돌연변이가 일어난 대장균 Ⅰ, Ⅱ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대장균 Ⅰ과 Ⅱ는 돌연변이로 인해 DNA 염기서열이 다르다.
    - 이로 인해 대장균 Ⅰ과 Ⅱ는 같은 유전자를 가지더라도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이 다를 수 있다.
    - 따라서, 대장균 Ⅰ과 Ⅱ는 서로 다른 생물체로 간주될 수 있다.
    - 이에 따라, 보기에서 "ㄱ"은 대장균 Ⅰ과 Ⅱ가 서로 다른 생물체임을 나타내는 것이고, "ㄴ"은 대장균 Ⅰ과 Ⅱ가 같은 유전자를 가지더라도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이 다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 마지막으로, "ㄷ"는 대장균 Ⅰ과 Ⅱ가 서로 다른 생물체이며, 같은 유전자를 가지더라도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이 다를 수 있음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ㄷ"이 옳은 이유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해 두 개 이상의 종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를 조합하여 새로운 특성을 가진 생물체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유전자의 조합을 통해 새로운 특성을 부여할 수 있어 유전자 치료나 식량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엽록체에서 암반응이 진행될 때 생성되는 물질 A~D의 1분자당 탄소 수를 나타낸 것이다. A~D는 각각 RuBP, 3PG, 포도당, G3P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이다. 그림에서 A~D의 1분자당 탄소 수를 보면, RuBP와 G3P는 5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고, 3PG와 포도당은 3개의 탄소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엽록체에서 암반응이 진행될 때 생성되는 물질 중 5개의 탄소를 가진 RuBP와 G3P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표는 생물 종(가)~(라)의 계통 유연관계를 알아볼 수 있는 유전자 X의 염기 서열 중 일부를, 그림은 표의 염기 서열을 바탕으로 치환되어 존재하는 염기 ㉠~㉥을 기준으로 작성한 계통수이다. ⓐ~ⓓ는 각각 (가)~(라) 중 하나이다.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염기 치환은 치환된 각 염기 자리에서 1회만 일어났다.)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ㄷ" 인 이유는, 계통수에서 염기 치환이 일어난 위치를 보면, 염기 ㉠에서는 (가)와 (나)가 치환되었고, 염기 ㉥에서는 (다)와 (라)가 치환되었다. 이를 토대로 표에서 (가)와 (다)가 같은 그룹에 속하고, (나)와 (라)가 같은 그룹에 속하므로, 유전자 X의 염기 서열 중 (가)와 (다)가 같은 위치에 있고, (나)와 (라)가 같은 위치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와 (다)가 같은 종에 속하고, (나)와 (라)가 같은 종에 속하므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동물 5종의 계통수를, 표는 이 계통수의 분류 특징 ㉠~㉣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A~C는 각각 창고기, 오징어, 불가사리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은 창고기와 오징어에만 해당하는 특징이므로, 이 둘은 같은 그룹에 속한다. ㉢은 모든 동물에 해당하는 특징이므로, 이것은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은 불가사리와 창고기에만 해당하는 특징이므로, 이 둘은 같은 그룹에 속한다. 따라서, 창고기와 오징어는 같은 그룹에 속하고, 불가사리는 따로 그룹을 이룬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