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생명과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0-11)

수능(생명과학II)
(2016-10-11 기출문제)

목록

1. 원시 생명체의 진화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ㄷ"는 모든 진화 과정에서 필요한 변이와 자연선택이 함께 작용하여 진화가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즉, 단순히 변이만 있어도 진화가 일어나지 않고, 그 변이가 자연선택에 의해 유전자가 전달되는 능력을 가지게 되어야 진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ㄷ"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효모에서 일어나는 포도당 대사 과정의 일부를, 표는 물질 ㉠~ ㉢이 생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 ~ ㉢은 각각 CO2, NAD+, NADH 중 하나이며, Ⅰ~ Ⅲ은 각각 그림의 과정 (가)~(다)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그림에서 일어나는 과정 (가)는 피루빈산이 아세틸CoA로 분해되는 과정인데, 이때 CO2가 발생한다. 따라서 ㉠는 CO2이다.
    - ㄴ: 그림에서 일어나는 과정 (나)는 아세틸CoA가 삼산화인산으로 합쳐지는 과정인데, 이때 NAD+가 NADH로 환원된다. 따라서 ㉢는 NADH이다.
    - ㄷ: 그림에서 일어나는 과정 (다)는 삼산화인산에서 ATP가 생성되는 과정인데, 이때 전자는 호흡산소에 전달되어 물이 생성된다. 따라서 ㉢는 NA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혹파리 집단에서 일어난 자연선택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혹파리 집단에서 날개가 길어져서 빠른 속도로 날아다니는 개체들이 생존 우위를 점하고 번식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ㄷ"는 혹파리 집단에서 몸이 작고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개체들이 생존 우위를 점하고 번식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ㄱ,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 (가)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인산화 과정의 일부를, (나)는 ㉠ 분자의 피루브산이 TCA 회로와 산화적 인산화를 통해 분해될 때 소비되는 O2와 생성되는 CO2, H2O, ATP의 분자 수를 나타낸 것이다. 산화적 인산화를 통해 1분자의 FADH2 로부터 2분자의 ATP가, 1분자의 NADH로부터 3분자의 ATP가 생성된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 ㄱ: 그림 가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인산화 과정의 일부를 나타내며, 산소가 전자 수송 연쇄를 통해 전달되면서 ATP가 생성된다.
    - ㄴ: 그림 나는 피루브산이 TCA 회로와 산화적 인산화를 통해 분해될 때 소비되는 O2와 생성되는 CO2, H2O, ATP의 분자 수를 나타내며, FADH2와 NADH로부터 ATP가 생성된다.
    - ㄷ: 보기에서는 FADH2와 NADH로부터 생성되는 ATP의 분자 수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 있으며, 이는 산화적 인산화 과정에서 전자 수송 연쇄를 통해 생성되는 전기 화학 그라데이션의 크기에 따라 ATP 생성량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표는 2개의 목과 4개의 과에 속하는 6종의 식물 A ~ F의 학명을 나타낸 것이다. A, C, F는 같은 목에 속한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 A, C, F는 같은 목에 속하므로, A와 C, C와 F는 같은 속에 속한다. 따라서 A, C, F는 같은 속에 속하게 된다.
    - "ㄴ" : B, D, E는 같은 목에 속하므로, B와 D, D와 E는 같은 속에 속한다. 따라서 B, D, E는 같은 속에 속하게 된다.
    - "ㄷ" : A와 C, C와 F는 같은 속에 속하므로, A와 F도 같은 속에 속하게 된다. 따라서 A, C, F는 같은 속에 속하고, A와 F는 같은 종에 속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동물 분류군 (가)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가)에 속하는 동물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의 특징은 척추동물이며, (ㄱ)은 무척추동물, (ㄴ)은 어류, (ㄷ)은 양서류이다. 따라서 (가)에 속하는 동물은 척추동물이므로 (ㄴ) 어류만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시금치의 공변세포, 토끼의 간세포, 메테인 생성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시금치의 공변세포, 토끼의 간세포, 메테인 생성균 모두 미세세포관에 속하며, 세포 내부에 있는 미세세포관에서 화학물질을 분비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시금치의 공변세포와 토끼의 간세포는 호르몬 분비에 관여하고, 메테인 생성균은 메테인을 생성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의 (가)~(다)는 그리피스, 에이버리, 허시와 체이스의 실험 일부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다)는 실험 순서가 아니라 실험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 그리피스는 미생물이 죽는 원인을 찾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 에이버리는 유전물질이 DNA임을 증명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 허시와 체이스는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이 DNA임을 증명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 따라서, (ㄱ)은 모두 DNA에 대한 실험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ㄴ)은 그리피스의 실험과 에이버리의 실험에 대한 내용을 모두 다루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2중 나선 DNA (가)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ㄷ"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ㄱ) 2중 나선 구조에서 인접한 염기쌍은 항상 A-T 또는 G-C로 결합된다.
    - (ㄷ) 2중 나선 구조에서 염기쌍의 수는 항상 일정하며, 한 나선에서의 염기쌍 수와 다른 나선에서의 염기쌍 수는 서로 상보적이다. 즉, 한 나선에서 A-T 염기쌍의 수가 많아지면 다른 나선에서는 G-C 염기쌍의 수가 많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은 효소 ㉠에 의한 반응의 초기 반응 속도를 측정한 실험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C에서 제시된 조건 이외의 조건은 동일하다.)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ㄴ. 온도가 20℃에서 40℃로 상승하면 초기 반응 속도가 증가한다.
    - 이는 대부분의 화학 반응에서 온도가 증가하면 분자 운동이 활발해져 반응이 빨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도 온도가 증가하면 초기 반응 속도가 증가하는 것이다.

    ㄷ. 효소의 농도가 0.1%에서 0.2%로 증가하면 초기 반응 속도가 증가한다.
    - 효소의 농도가 증가하면 반응에 참여하는 효소 분자의 수가 증가하므로 초기 반응 속도가 증가하는 것이다. 이는 일정한 양의 기질과 적정한 온도, pH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야만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은 유전자 A의 발현 조절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제시된 조건 이외의 조건은 동일하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유전자 A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인자인데, 이 인자가 존재할 때 유전자 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ㄴ"은 유전자 A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인자인데, 이 인자가 존재할 때 유전자 A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광합성에 대한 실험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가), (나), (라)는 암실에서 진행하였다.)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광합성이 일어나는 과정 중 광에너지를 흡수하는 과정인 '광자흡수'가 암실에서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암실에서는 광자가 들어올 수 없으므로 광자흡수가 일어나지 않아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6분자의 CO2가 고정될 때의 캘빈 회로를, 표는 이 캘빈 회로에서 물질 A ~ C의 분자 수, 1분자당 탄소 수와 1분자당 인산기 수를 나타낸 것이다. X ~ Z는 각각 RuBP, 3PG(PGA), G3P(PGAL) 중 하나이고, A ~ C는 각각 X ~ Z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번은 캘빈 회로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나타내고 있으며, ㄷ번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ㄱ번과 ㄷ번이 모두 옳은 설명이다. ㄴ번은 캘빈 회로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생물 4종의 계통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ㄱ, ㄴ"

    이 계통수는 생물의 진화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을 가지는 종들끼리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그림에서는 각 종의 공통 조상을 나타내는 노드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생물들의 진화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 중 "ㄱ, ㄴ"이 옳은 설명인 이유는, 이 두 종은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 두 종은 서로 가까운 관계에 있으며, 다른 종들과는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관계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 (가)는 물과 포도당은 통과하고 엿당은 통과하지 않는 반투과성 막으로 분리된 U자관의 한 쪽에 수용액 ㉠을, 다른 쪽에 수용액 ㉡을 같은 양으로 넣은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에는 포도당 1 g과 엿당 2 g이 녹아 있으며, ㉡에는 포도당 2 g과 엿당 1 g이 녹아 있다. 그림 (나)는 시간에 따른 B쪽 수면의 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 ㄷ"이다.

    그림 (가)에서는 U자관을 통해 물과 포도당은 통과할 수 있지만 엿당은 통과하지 못하므로, ㉠에 있는 엿당은 U자관을 통해 ㉡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 농도는 엿당이 더 많아지게 되고, ㉡의 농도는 포도당이 더 많아지게 된다.

    그림 (나)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B쪽 수면의 높이가 변화하는데, 이는 U자관을 통해 물과 용질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초기에는 물의 농도가 높은 ㉠에서 B쪽으로 물이 이동하여 B쪽 수면이 높아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B쪽으로 엿당이 이동하게 된다. 엿당은 물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B쪽 수면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ㄴ,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유전자 p와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유전자 q, r, s의 발현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유전자 p와 q, r, s는 모두 같은 염색체에 위치해 있으며, q, r, s는 p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q, r, s의 발현은 p와 같은 패턴을 보이게 되며, 이는 보기 중 "ㄱ"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표는 야생형 대장균과 결실이 일어난 돌연변이 대장균 A ~ C를 포도당이 없고 젖당이 있는 배지 ㉠, 포도당과 젖당이 없는 배지 ㉡에서 각각 배양할 때, 젖당 오페론을 조절하는 조절 유전자로부터 발현되는 억제 단백질과 젖당(젖당 유도체)의 결합여부, 젖당 오페론의 구조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나타낸 것이다. A ~ C에서 결실이 일어난 부위는 각각 젖당 오페론의 프로모터, 젖당 오페론의 작동 부위, 젖당 오페론을 조절하는 조절 유전자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제시된 돌연변이 이외의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표에서 A, B, C는 각각 젖당 오페론의 프로모터, 작동 부위, 조절 유전자 중 하나에서 결실이 일어난 돌연변이 대장균이다.
    ㉠ 배지에서는 포도당이 없고 젖당이 있으므로, 젖당 오페론의 프로모터가 활성화되어 젖당 유도체와 결합하여 젖당 오페론이 발현된다. 따라서 A, B, C 모두 젖당 오페론이 발현된다.
    ㉡ 배지에서는 포도당과 젖당이 없으므로, 젖당 오페론의 프로모터가 비활성화되어 젖당 유도체와 결합하지 않아 젖당 오페론이 발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A, B, C 모두 젖당 오페론이 발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은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을 만족하는 어떤 동물 집단에 대한 자료이다.

이 집단에서 검은색 몸, 흰색 눈 암컷이 임의의 수컷과 교배하여 자손(F1)이 태어날 때, F1이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질 확률은? [3점]

  1. 4/25
  2. 6/25
  3. 7/25
  4. 8/25
  5. 9/25
(정답률: 알수없음)
  •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에 따르면, 이 동물 집단에서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개체의 유전자는 모두 같고, 이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보다 우선적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이 집단에서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개체는 모두 같은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유전자는 다른 유전자보다 우선적으로 표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의의 수컷은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개체일 수도 있고, 검은색 몸, 검은색 눈을 가진 개체일 수도 있다. 하지만,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암컷은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개체밖에 없다. 따라서, 임의의 수컷과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암컷의 교배는 다음과 같은 확률로 이루어진다.

    -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개체와 교배할 때,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자손이 태어날 확률은 1/2이다.
    - 검은색 몸, 검은색 눈을 가진 개체와 교배할 때,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자손이 태어날 확률은 1/2이다.

    따라서, F1이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질 확률은 다음과 같다.

    -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개체와 교배할 때,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자손이 태어날 확률은 1/2이다. 이 자손은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F1이 된다.
    - 검은색 몸, 검은색 눈을 가진 개체와 교배할 때,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진 자손이 태어날 확률은 0이다.

    따라서, F1이 검은색 몸, 흰색 눈을 가질 확률은 1/2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6/25"와 일치하므로 정답은 "6/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대장균 Ⅰ로부터 유전자 P와 Q가 재조합된 플라스미드를 갖는 대장균 Ⅳ를 얻는 과정을, 표는 물질 ⓐ와 항생제 α를 첨가한 배지, 물질 ⓐ와 항생제 β를 첨가한 배지에서 각각 대장균 ㉠~ ㉣의 군체 형성 여부와 군체 색깔을 나타낸 것이다. 유전자 X ~ Z는 각각 물질 ⓐ 분해 효소 유전자, 항생제 α 저항성 유전자, 항생제 β 저항성 유전자 중 하나이며, ㉠~ ㉣은 각각 Ⅰ~ Ⅳ 중 하나이다. 물질 ⓐ 분해 효소는 ⓐ를 분해하여 대장균 군체를 흰색에서 푸른색으로 변화시킨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대장균 Ⅰ의 유전자 P와 Q가 재조합된 플라스미드를 갖는 대장균 Ⅳ가 물질 ⓐ와 항생제 α를 첨가한 배지에서 군체 형성을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ㄴ은 대장균 Ⅳ가 물질 ⓐ와 항생제 β를 첨가한 배지에서 군체 형성을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유전자 P와 Q가 항생제 β 저항성 유전자인 유전자 Z와 함께 존재해야만 항생제 β를 저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ㄱ과 ㄴ이 모두 옳은 설명이므로 보기에서는 "ㄱ,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종 A ~ D의 종 분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A ~ D는 서로 다른 생물학적 종이다. 지리적 격리는 섬의 분리에 의해서만 일어났고, 이입과 이출은 없었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A ~ D 이외의 종은 고려하지 않는다.)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A와 B, C와 D가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A와 B는 지리적 격리로 인해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게 되었고, C와 D는 동일한 지리적 환경에서 발생한 독립적인 진화로 인해 서로 다른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따라서 A와 B, C와 D는 서로 다른 생물학적 종으로 분화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