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지구과학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12)

수능(지구과학I)
(2010-03-12 기출문제)

목록

1. 다음은 지구과학 탐구에서 인공위성의 이용과 관련된 글이다.

이와 관련하여 지구과학에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탐사의 장점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지구의 표면을 고해상도로 관측할 수 있어 지질학적 탐사에 유용하고, "ㄴ"은 기상 예측 및 대기 환경 모니터링에 유용하며, "ㄷ"는 해양 탐사 및 낚시 자원 관리에 유용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ㄱ, ㄴ, ㄷ"가 모두 옳은 장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 (가)는 서로 다른 지질 시대의 수륙 분포 변화를, (나)는 약 5.4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해양 생물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 그림은 지질 시대의 변화를 보여주고, 나) 그래프는 해양 생물의 수를 보여준다. 따라서, 지질 시대와 해양 생물의 수는 서로 다른 주제이므로, 보기 중 "ㄱ"인 '두 그림은 서로 다른 주제를 나타내므로 관련이 없다'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지표면에서 연간 증발하는 물의 총량을 100%로 하여 물의 순환 과정을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증발과 대기 중 수증기의 이동, 강우, 강수, 유출 등 물의 순환 과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증발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지표면에서 연간 증발하는 물의 총량을 100%로 놓고 나타낸 그림에서 "ㄱ"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증발과 관련된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글은 지구 환경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그림은 지구 환경 구성 요소 사이의 상호 작용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의 현상에 해당하는 상호 작용을 A ~ C에서 골라 옳게 짝지은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 A, B
  2. A, C
  3. B, A
  4. B, C
  5. C, B
(정답률: 알수없음)
  • - 가) 기후 변화: B) 태양 에너지 → 지구 대기
    - 나) 대기 오염: C) 인간 활동 → 대기

    기후 변화는 태양 에너지가 지구 대기와 상호 작용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가)와 (B)가 짝지어져야 한다. 대기 오염은 인간 활동이 대기와 상호 작용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나)와 (C)가 짝지어져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B,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은 세 해역 A, B, C의 해수 표층과 수심 50 m에서 수온과 염분을 측정하여 수온- 염분도에 나타낸 것이다.

A, B, C해역의 해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 A해역의 수온과 염분은 다른 두 해역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A해역이 강 유입이 많아서淡수로 인해 염분이 낮고, 수온도 강 유입으로 인해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ㄴ" : C해역의 수온과 염분은 다른 두 해역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C해역이 염분 농도가 높은 인근 해역과 연결되어 있어서 염분이 높고, 수온도 인근 해역과 유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ㄷ" : B해역의 수온과 염분은 A, C해역의 중간 정도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B해역이 A, C해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두 해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빙정설에 의한 강수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A층의 과냉각 물방울이 커져 빗방울이 된다.
  2. A층의 공기는 빙정에 대해서 불포화 상태이다.
  3. A층의 과냉각 물방울에서는 증발보다 응결이 활발하다.
  4. 성장한 빙정이 낙하하여 지표 부근에서 녹으면 비가 된다.
  5. 주로 열대 지방에서 비가 내리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그림은 빙정설에 의한 강수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는 과냉각 물방울이 빙정 핵에 의해 응결결정이 일어나고, 이어서 빙정이 성장하면서 구름 안에서 상승기류에 의해 높은 고도로 올라가게 된다. 이후에는 성장한 빙정이 지표 부근으로 낙하하여 녹으면서 비가 된다. 따라서 "성장한 빙정이 낙하하여 지표 부근에서 녹으면 비가 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북반구 해양에서 표층 순환과 해류 A~C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ㄴ: 해류 A는 북쪽으로, 해류 B는 남쪽으로 흐르므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 ㄷ: 해류 C는 표층 순환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므로 표층에서는 역류가 일어나게 된다.
    - ㄱ, ㄴ: 해류 A와 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므로 만나는 지점에서는 역류가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 IPCC(정부 간 기후변화 협의체)의 기후 예측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주변의 2011년과 2100년 1월의 예상 평균 기온(℃)을 나타낸 것이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예측한 2100년 경 우리나라 주변 환경의 변화로 타당한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ㄴ, ㄷ"이다.

    이유는 2100년에는 평균 기온이 상승하여 바다 수온도 상승과 해수면 상승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해안 침식과 해안 침수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해안 보호 및 대처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므로, 이에 대한 대비 및 대처 계획도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은 지표면에서 기온이 25℃이고, 이슬점이 서로 다른 두 공기 덩어리 A, B가 높이 2 km까지 단열 변화를 하면서 상승할 때의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공기 덩어리 A와 B가 높이 2 km까지 단열 변화를 하면서 상승할 때, A는 이슬점이 높아서 상승하는 동안에도 포화수증기압보다 상대습도가 높아지지 않아서 수증기가 포화되지 않아서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B는 이슬점이 낮아서 상승하는 동안에 상대습도가 높아져서 수증기가 포화되어 응결이 일어나면서 열이 방출되어 온도가 내려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A와 B의 온도 변화는 다르게 일어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 (가)는 하와이의 마우나로아 화산과 분출 모습을, (나)는 필리핀의 마욘 화산과 분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ㄷ"는 두 개의 화산 중에서 하나는 마우나로아 화산이고 다른 하나는 마혼 화산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그림 (가)와 (나)가 각각 어떤 화산을 나타내는지를 구분하여 옳은 것을 고르면 "ㄷ"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철수는 지구과학 시간에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플라스크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ㄴ"은 플라스크 안에 있는 물질이 수증기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 "ㄷ"는 플라스크 안에 있는 물질이 수증기 형태로 변화하면서 수증기 안에 있는 물방울이 점점 커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 (가)~(다)는 서로 다른 세 우주관 모형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가)~(다)를 다음 순서도에 따라 구분할 때 A ~ C에 해당하는 우주관 모형을 옳게 짝지은 것은? (순서대로 A, B, C) [3점]

  1. (가), (나), (다)
  2. (가), (다), (나)
  3. (나), (가), (다)
  4. (다), (가), (나)
  5. (다), (나), (가)
(정답률: 알수없음)
  • - (가)는 순환하는 형태의 우주관 모형이고, 이와 유사한 모형은 (다)이므로 A와 C는 (가)와 (다)에 해당한다.
    - (나)는 중앙에 블랙홀이 있는 모형으로, 이와 유사한 모형은 (다)이므로 B는 (나)에 해당한다.
    - 따라서 옳은 짝지은 것은 (가), (나), (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지난 2009년 12월 눈이 많이 내린 날의 일기도와 구름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그림이 눈이 많이 내린 날의 일기도와 구름 사진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남아메리카 대륙 주변의 판의 경계와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에서는 주로 천발 지진이 발생한다.
  2. A에서 B로 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감소한다.
  3. B보다 C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4. C에는 습곡 산맥이 발달한다.
  5. D에서는 화산 활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B보다 C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이다.

    A 지역은 태평양과 남아메리카 대륙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며, 이 지역에서는 주로 천발 지진이 발생한다. B 지역은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며, 이 지역에서는 해양 지각의 연령이 감소한다. C 지역은 남아메리카 대륙과 남극 대륙의 경계 부근에 위치하며, 이 지역에서는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 D 지역은 남아메리카 대륙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며, 이 지역에서는 화산 활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B보다 C에서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이다.

    "A에서 B로 갈수록 해양 지각의 연령이 감소한다."는 남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의 분리가 일어나면서 새로운 해양 지각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즉, B 지역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지형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해양 지각의 연령이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두 해저 지형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다.

(가), (나)의 설명에 해당하는 해저 지형을 그림에서 찾아 옳게 짝지은 것은? (순서대로 가, 나)

  1. A, B
  2. A, D
  3. B, C
  4. B, D
  5. C, D
(정답률: 알수없음)
  • 가) 해저산맥 - 그림에서 A 지점에 해당한다.
    나) 대륙사면 - 그림에서 D 지점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A, D"이다.

    해저산맥은 지각학적으로 해저의 높은 부분으로, 그림에서 A 지점이 이에 해당한다. 대륙사면은 대륙과 해저 사이의 경사면으로, 그림에서 D 지점이 이에 해당한다. B 지점은 해저 분지, C 지점은 해저 평원으로 각각 설명과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 (가), (나)는 빛을 모으는 방식이 다른 두 망원경을 나타낸 것이다.

망원경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인 이유는, (가) 망원경은 렌즈를 사용하여 빛을 모으고, (나) 망원경은 거울을 사용하여 빛을 모으기 때문이다. 이 두 방식은 빛을 모으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망원경의 구조와 성능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글은 어느 노래 가사의 일부를, 그림은 달, 지구, 태양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글에 나타난 달의 위치와 관측 방향을 옳게 나타낸 것은? (순서대로 달의 위치, 관측 방향) [3점]

  1. A, 동쪽 하늘
  2. A, 서쪽 하늘
  3. B, 동쪽 하늘
  4. B, 서쪽 하늘
  5. B, 남쪽 하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A, 서쪽 하늘

    달은 지구 주위를 돌면서 태양에서 비춰지는 빛을 받아 밝게 빛난다. 그림에서 달은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구에서 볼 때 달은 태양의 반대편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달은 밤에 태양이 지난 서쪽 하늘에서 떠오르며, 이때 관측 방향은 서쪽 하늘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우리나라에서 여러 날 동안 관측한 금성의 위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 기간 동안 관측한 금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ㄷ"인 이유는 금성이 관측 기간 동안 단계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기 때문이다. 즉, 금성이 처음에는 작아지다가 점점 커지다가 다시 작아지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금성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서 움직이는 궤도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별 S의 연주 시차를 측정하는 실험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지구의 공전 궤도는 완전한 원이라 가정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ㄴ.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별 S는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지구에서 별 S를 관측하는 시간이 차이가 발생한다. 이 시차는 지구의 공전 궤도가 완전한 원이라는 가정하에, 지구의 공전 주기인 1년(365일)에 대해 1일씩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ㄷ. 별 S의 연주 시차는 지구의 공전 주기와 별 S의 주기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별 S의 주기가 짧을수록(즉, 더 빠르게 연주할수록) 지구에서 관측되는 시차는 더 크게 나타나게 된다. 이는 보기에서 주어진 그래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우리나라 주변에 분포하는 판의 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에서 "ㄷ"는 판의 운동 방향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지역이 만나는 지점에서 나타난다.
    - 이 지점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두 개의 판이 충돌하고 있기 때문에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 따라서 "ㄷ"가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