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은 별의 질량에 따른 생명 가능 지대와 어느 외계 행성에 관한 내용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2. 그림 (가)는 원유의 발견량과 생산량을, (나)는 에너지 자원 소비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 그림 (가)는 조력 발전의 원리를, (나)는 태양열 발전 시설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4. 다음은 한탄강 주변과 북한산 인수봉에서 볼 수 있는 암석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5. 그림 (가)는 지구 환경 구성 요소들의 상호 작용을, (나)는 석회 동굴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6. 그림 (가)는 어느 지역의 진원 분포를, (나)는 판의 경계와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가)에 해당하는 지역을 (나)에서 옳게 고른 것은? (단, (가)에서 수평 거리는 실제 비례와 맞지 않는다.)
7. 그림은 성질이 다른 두 용암에 의한 화산의 분출 모습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8. 다음은 풍화 작용에 따른 암석의 모습과 풍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9. 그림 (가)는 어느 날 우리나라 주변의 지상 일기도를, (나)는 이 날 관측소 A 에서 측정한 기온과 풍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0. 그림 (가)는 어느 태풍의 이동 경로를, (나)는 A, B 중 한 관측소에서 시간에 따른 풍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1. 그림은 태평양 표층의 아열대 순환과 대기 대순환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2. 그림은 지구 자전축 경사 방향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지구 자전축 경사 방향 변화 이외의 요인은 고려하지 않는다.) [3점]
13. 그림은 지구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양을 100이라고 했을 때 지구의 복사 평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4. 그림 (가)와 (나)는 어느 날 같은 지역에서 측정한 새벽과 한낮의 연직 기온 분포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이 날은 바람이 없고 맑았다.)
15. 그림은 사막과 사막화 지역 분포를, 표는 지표면 상태에 따른 태양 복사 에너지의 반사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6. 표는 춘분날 서울 지방(37.5˚ N)에서 관측한 별들의 적경과 적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7. 그림은 일정 기간 동안 관측한 화성의 시직경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8. 표는 소행성 A 와 지구의 근일점과 원일점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소행성 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9. 그림 (가)는 태양, 지구, 달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나)는 M1의 달을 초저녁에 인천에서 관측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20. 다음은 세 망원경의 규격과 망원경 A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 별의 질량이 작은 경우: 생명 가능 지대가 좁아지지만, 외계 행성이 더 많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 별의 질량이 큰 경우: 생명 가능 지대가 넓어지지만, 외계 행성이 더 적게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생명 가능 지대와 외계 행성의 존재 가능성을 모두 고려할 때, 별의 질량이 작은 경우와 큰 경우 모두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ㄱ, ㄷ"가 옳은 대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