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지구과학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10)

수능(지구과학I)
(2014-04-10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질량이 다른 세 중심별의 생명 가능 지대와 각 중심별에 속한 행성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A 중심별의 생명 가능 지대에는 A1, A2 행성이 위치하고 있으며, 둘 다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옳다.
    - ㄴ: B 중심별의 생명 가능 지대에는 B1, B2, B3 행성이 위치하고 있지만, B1과 B2는 너무 가까워서 서로의 중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추기 어렵다. 따라서 B3 행성만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옳지 않다.
    - ㄷ: C 중심별의 생명 가능 지대에는 C1, C2, C3 행성이 위치하고 있으며, C1과 C2는 너무 가까워서 서로의 중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추기 어렵다. 하지만 C3 행성은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옳다. 또한, C3 행성은 A1, A2 행성과도 적절한 거리에 위치해 있어서 생명체가 이동하기에도 적합하다. 따라서 ㄱ과 ㄴ 모두 옳으므로 ㄷ도 옳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표는 서로 다른 두 해양 자원의 사진과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해양풍력 발전은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고, 해양열원 발전은 바다의 열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따라서 두 자원은 생산 방식이 다르다. 그리고 두 자원 모두 대규모 발전이 가능하며, 친환경적인 에너지 자원이다. 이에 따라 "ㄱ,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우리나라 세 지질 명소의 특징적인 지형을 형성 원인에 따라 분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A 지질 명소는 해안 침식에 의해 형성된 해안절벽이다. B 지질 명소는 화산작용에 의해 형성된 화산체이다. C 지질 명소는 강 상류에서의 침식과 하류에서의 퇴적에 의해 형성된 협곡이다.

    정답은 "ㄱ, ㄷ"이다. A 지질 명소와 C 지질 명소는 모두 침식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A는 해안 침식에 의해 형성되었고 C는 강 상류에서의 침식과 하류에서의 퇴적에 의해 형성되었다. 따라서 A와 C는 "ㄱ, ㄷ"로 분류된다. B 지질 명소는 화산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으므로 "ㄴ"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 (가)는 어느 지진의 진앙과 두 관측소 A, B의 위치를, (나)는 두 관측소에서 관측된 이 지진의 기록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진앙 거리 이외의 조건은 고려하지 않는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지진의 진앙은 A와 B의 위치에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해 있다.
    - A와 B에서 관측된 지진의 기록의 차이는 시간 차이로 나타난다.
    - A와 B에서 관측된 지진의 기록의 차이를 이용하여 지진의 진앙과 A, B의 거리 차이를 구할 수 있다.
    - 이 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지진의 진앙이 원의 형태로 나타나는 두 개의 가능한 위치 중 하나를 구할 수 있다.
    - 그리고 두 관측소에서 구한 지진의 진앙 위치를 이용하여 두 관측소와 지진의 진앙이 이루는 삼각형의 각도를 구할 수 있다.
    - 이 각도를 이용하여 지진의 진앙이 두 관측소 중 어느 쪽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 따라서 "ㄱ,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발전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가)는 수력 발전소로 물의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고, (나)는 화력 발전소로 연료를 태워서 열을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즉, 둘은 발전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ㄱ"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태평양 주변 판의 경계와 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세 지점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ㄷ"은 지점 A와 B 사이, B와 C 사이의 경계가 모두 태평양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와 일치하기 때문에 옳은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한 지점의 경계가 일치하지 않거나, 두 지점 중 하나의 경계만 일치하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오는 물질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화산 분출물 중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진 용암(Lava)을 나타내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ㄴ"은 화산 분출물 중에서 가장 낮은 온도를 가진 재(Rock)를 나타내기 때문에 틀린 설명이다. "ㄱ, ㄷ"는 용암과 화산재를 모두 포함하는 설명이기 때문에 부분적으로는 맞지만, "ㄷ"는 화산 분출물 중에서 가장 중간 온도를 가진 연암(Tuff)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틀린 설명이다. "ㄴ, ㄷ"는 화산재와 연암을 모두 포함하는 설명이기 때문에 부분적으로는 맞지만, "ㄴ"은 화산 분출물 중에서 가장 낮은 온도를 가진 재(Rock)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틀린 설명이다. "ㄱ, ㄴ, ㄷ"는 모든 종류의 화산 분출물을 포함하는 설명이기 때문에 부분적으로는 맞지만, 각각의 용어가 가리키는 것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 (가)는 기온과 강수량에 따라 우세하게 일어나는 풍화 작용의 범위를, (나)는 석회 동굴을 나타낸 것이다. A, B는 각각 기계적 풍화 작용과 화학적 풍화 작용 중의 하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이다. 그림 (가)에서는 기온과 강수량에 따라 풍화 작용의 범위가 나타나 있고, 그림 (나)에서는 석회 동굴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보기에서 "ㄴ"은 그림 (가)와 (나) 모두를 설명하고 있으며, 다른 보기들은 그림 (가) 또는 (나) 중 하나만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은 어느 태풍의 중심이 제주도 부근을 지나가는 동안 제주에서 관측한 기상 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이 태풍의 중심은 15시경에 제주에 가장 근접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태풍의 중심이 제주도 부근을 지나가는 동안 제주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었고, 바람의 방향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다.
    - ㄴ: 태풍의 중심이 제주도 부근을 지나가는 동안 제주에서 강한 비가 내렸고, 기온은 낮았다는 것을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다.
    - ㄷ: 그림에서는 상대 습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태풍의 중심이 제주도 부근을 지나가는 동안 제주에서 상대 습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ㄱ과 ㄴ만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북반구의 대기 대순환과 표층 해류 순환을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은 옳은 설명이다. 그림에서 북반구의 대기 대순환은 시계 방향으로, 표층 해류 순환은 반시계 방향으로 일어나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북극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따뜻한 해류와, 적도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차가운 대기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하지만 "ㄷ"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그림에서는 대기 대순환과 해류 순환은 서로 독립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ㄷ"는 이 둘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따라서 "ㄷ"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 (가)와 (나)는 기상 현상 중 토네이도와 뇌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그림 가는 토네이도를 나타내고, 그림 나는 뇌우를 나타낸다.
    - 토네이도는 대기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강력한 회오리 바람이며, 뇌우는 대기 중 물방울이 충돌하여 발생하는 번개와 함께 오는 기상 현상이다.
    - 따라서,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기상 현상을 나타내므로 "ㄴ,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어느 하천의 수질 측정 지점 A~C의 월별 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와 이 지역의 강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ㄷ, 수질과 강수량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이다. 그림을 보면 수질 지점 A, B, C의 BOD 값이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에는 낮아지고, 강수량이 적은 겨울철에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강수량이 많을 때는 하천의 물이 흐르면서 오염물질이 희석되고, 강수량이 적을 때는 물이 더 오래 머무르면서 오염물질이 농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질과 강수량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 (가)와 (나)는 동일한 경도에 위치한 북반구와 남반구의 어느 지방에서 동시에 관측한 하늘의 모습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가)와 (나)의 별자리 모양이 동일하다. 이는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별들의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 (가)와 (나)의 달 모양이 반대이다. 이는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보는 달의 모양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 (가)는 대기 중의 염화 플루오린화 탄소(CFCs)와 오존(O3)의 반응 과정을, (나)는 1979년부터 2000년까지 북극에서 측정한 성층권의 오존 농도와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CFCs가 오존을 파괴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ㄴ"은 북극에서 오존 농도가 감소하고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CFCs가 오존을 파괴하여 오존층이 얇아지고, 이로 인해 지구 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이 증가하여 북극 지역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 (가)와 (나)는 남극의 빙하 연구를 통해 알아낸 과거 42만 년 동안의 대기 중 CO2 농도와 기온 편차를, (다)는 해양 생물의 껍질에서 측정한 이 기간 동안의 산소 동위 원소 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그림 (가)와 (나)에서는 CO2 농도와 기온 편차가 서로 비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다)에서는 산소 동위 원소 비와 CO2 농도가 서로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는 (가)와 (나)와는 다른 환경 요인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해양 생물의 껍질에서 측정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해양 생태계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어느 날 우리나라에서 관측한 하늘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

  1. 동쪽 하늘의 모습이다.
  2. 화성의 위상은 달과 비슷하다.
  3. 수성은 금성보다 늦게 진다.
  4. 토성은 역행하고 있다.
  5. 금성은 최대 이각의 위치에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동쪽 하늘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수성은 태양과 가까워서 금성보다 더 빨리 일어나고 더 늦게 진다. 따라서 "수성은 금성보다 늦게 진다."가 옳은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그림과 관련이 없거나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날 우리나라에서 관측된 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가)와 (나)의 달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가)는 만월(만 달)로, 달의 양면 중 하나만 보이는 모습이고, (나)는 초승달로, 달의 양면 중 일부만 보이는 모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 (가)와 (나)는 태양계 천체 중 왜소 행성과 소행성을 순서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왜소 행성, ㄷ은 소행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가)와 (나)에서 모두 왜소 행성과 소행성이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ㄱ과 ㄷ이 모두 옳은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 (가)는 조선 시대의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를, (나)는 적도 좌표계를 간단히 나타낸 것이다.

별 A,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 별 A는 천상열차분야지도에서는 북극성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적도 좌표계에서는 남쪽 하늘에 위치하므로 틀린 설명이다.
    나) 별 B는 천상열차분야지도와 적도 좌표계에서 모두 북쪽 하늘에 위치하므로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ㄴ"이다.

    ㄱ. 별 A와 B 모두 북쪽 하늘에 위치한다는 설명이 틀림
    ㄴ. 별 B는 천상열차분야지도와 적도 좌표계에서 모두 북쪽 하늘에 위치한다는 설명이 맞음
    ㄷ. 별 A와 B 모두 북쪽 하늘에 위치한다는 설명이 틀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아이손 혜성에 대한 신문 기사의 일부이다.

아이손 혜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아이손 혜성이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할 때의 거리가 지구와 달의 거리보다도 가깝기 때문이다. 따라서 "ㄱ, ㄴ"이 아닌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