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10-07)

수능(지구과학II)
(2014-10-07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동일 위도를 따라 측정한 중력 이상을 나타낸 것이다.

세 지점 A, B, C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세 지점 A, B, C의 해발 고도는 같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A 지점은 중력이 가장 강하고, C 지점은 가장 약하다. (ㄱ)
    - B 지점은 A와 C 지점의 중간에 위치하므로 중력이 중간 정도이다. (ㄴ)
    - 이는 지구의 중력이 지표면에서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ㄱ, 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 (가)와 (나)는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화강암과 현무암을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ㄷ" 인 이유는, (가)와 (나) 모두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화강암과 현무암을 나타내는데, (가)는 화강암과 현무암이 섞여 있는 혼합암이고, (나)는 화강암과 현무암이 분리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와 (나)를 비교하면서 화강암과 현무암을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정답은 "ㄱ,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은 지형류가 흐르는 북반구 아열대 어느 해역의 동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P점은 해수면이 가장 높은 곳이다.)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 ㄴ"이 옳은 설명이다.

    - P점은 해수면이 가장 높은 곳이므로, P점에서는 지형류가 동서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 동쪽 해안에서는 지형이 급격히 내려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형류가 강하게 발생하여 P점에서 북쪽으로 흐르고 있다.
    - 서쪽 해안에서는 지형이 완만하게 내려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형류가 약하게 발생하여 P점에서 남쪽으로 흐르고 있다.

    따라서, "ㄱ, ㄴ"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 (가)는 어느 지질 시대의 수륙 분포를, (나)는 경상 누층군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 그림은 지질 시대별로 수륙 분포가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고, (나) 그림은 경상 지역에서 발견되는 지층의 분포를 보여준다. 따라서, 이 둘은 서로 다른 내용을 나타내므로 보기 중 "ㄴ"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 (가)는 북아메리카 북동부 지역이 최근 6천 년 동안 융기한 높이를, (나)는 6천 년 전 이 지역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그림 (가)와 (나)가 서로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림 (가)에서는 최근 6천 년 동안 북동부 지역이 융기한 높이를 보여주고, 그림 (나)에서는 6천 년 전 이 지역의 단면을 보여준다. 두 그림이 일치하기 때문에 정답은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은 남대서양 중앙 해령과 동태평양 해령의 주변 해양 지각에서 측정한 4000만 년 동안의 고지자기 줄무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지구 자기장의 극성이 바뀌는 지점인 역전 지점을 나타내고, "ㄷ"는 지구 자기장의 강도가 약해지는 지점인 감쇠 지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여지는 고지자기 줄무늬는 역전 지점과 감쇠 지점이 번갈아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ㄱ, ㄷ"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북반구 상공에서의 편서풍 파동과 지상의 기압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북반구 상공에서의 편서풍 파동은 지상의 기압 배치와 연관이 있다.
    - 파동의 고점에서는 기압이 상승하고 저점에서는 기압이 하강한다.
    - 그림에서 파동의 고점과 저점이 지상에서 이동하면서 기압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 이에 따라 보기에서 "ㄴ, ㄷ"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 북아메리카 서부 지역의 판의 경계와 운동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세 지점 A, B, C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A 지점은 북아메리카 판과 태평양판의 경계에서 운동하고 있다. (ㄴ)
    - B 지점은 북아메리카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에서 운동하고 있다. (ㄷ)
    - C 지점은 북아메리카 판 내부에서 운동하고 있다. (ㄱ)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 (가)는 북반구 어느 지역의 지상 등압선 분포를, (나)는 (가)의 A 지점에서 나타나는 고도에 따른 풍향과 풍속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그림 (가)에서 A 지점이 저기압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등압선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에 기압차가 커져서 바람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림 (나)에서도 A 지점에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바람이 강해지고, 북동풍에서 서남서풍으로 바람이 회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남아메리카 지역의 편각과 복각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이동할 때 자침의 회전 방향과 수평 자기력의 크기 변화로 옳은 것은? (단, A, B에서 전자기력의 크기는 같다.) (자침의 회전 방향, 수평 자기력의 크기 변화) [3점]

  1. 시계 방향, 증가
  2. 시계 방향, 감소
  3. 시계 방향, 일정
  4. 반시계 방향, 증가
  5. 반시계 방향,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이동할 때, 지구 자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자침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자침과 수평 자기력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므로 수평 자기력의 크기는 감소한다. 따라서 정답은 "시계 방향, 감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어떤 공기 덩어리가 산을 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A에서 B로 이동하는 동안 공기 덩어리의 상대 습도, 절대 습도, 이슬점의 변화로 옳은 것은? (상대 습도, 절대 습도, 이슬점)

  1. 증가, 증가, 증가
  2. 증가, 증가, 감소
  3. 감소, 감소, 증가
  4. 일정, 증가, 감소
  5. 일정, 감소,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일정, 감소, 감소이다. 산을 넘으면 공기가 상승하면서 압력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상대 습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절대 습도는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슬점도 감소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어느 지역의 노선 지질도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이 지역에서 지층의 역전은 없다.)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ㄷ"인 이유는, 지도상에서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가는 길은 지층이 굽어지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물이 흐르는 방향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가는 길은 물이 흐르는 방향과 일치하게 되어 "ㄷ" 모양의 노선이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광도가 같은 두 별 A와 B가 같은 공간 속도로 운동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지구와 두 별은 동일 평면상에 있고, 공간 운동도 동일 평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3점]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두 별 A와 B가 같은 광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두 별의 거리가 서로 다르다면 밝기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그림에서는 두 별의 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두 별의 밝기도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두 별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밝기를 가진 별들로서, 정답은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여러 산개 성단의 H - R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 ㄷ"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ㄱ.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성단의 진화 과정은 H-R도 상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한다. 이는 성단의 초기 상태에서는 더 낮은 온도와 밝기를 가진 별들이 먼저 형성되고, 이후에 더 높은 온도와 밝기를 가진 별들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ㄴ.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성단의 진화 과정은 H-R도 상에서 아래에서 위로 진행한다. 이는 성단의 초기 상태에서는 더 낮은 질량을 가진 별들이 먼저 형성되고, 이후에 더 높은 질량을 가진 별들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ㄷ.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성단의 진화 과정은 H-R도 상에서 대체로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진행한다. 이는 성단의 초기 상태에서는 더 낮은 온도와 밝기, 더 낮은 질량을 가진 별들이 먼저 형성되고, 이후에 더 높은 온도와 밝기, 더 높은 질량을 가진 별들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 (가)는 선이 그어진 종이 위에 암염과 방해석을 올려놓은 모습이고, (나)는 편광 현미경으로 광물 박편을 개방 니콜과 직교 니콜 상태에서 관찰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에서 옳은 설명은 "ㄱ"이다. 그림 (가)는 암석 샘플 위에 암염과 방해석을 올려놓은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광물의 광학적 특성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림 (나)는 편광 현미경으로 광물 박편을 관찰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ㄱ"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북반구 중위도 어느 해역에서 1년 동안 깊이에 따른 수온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ㄱ. 이 그림은 북반구 중위도 해역에서 겨울철에는 수온이 낮아지고, 여름철에는 수온이 높아지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은 빅뱅 후 약 38만 년일 때와 현재의 우주 배경 복사에 해당하는 흑체 복사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 ㄷ"가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그림에서 보이는 흑체 복사 곡선은 빅뱅 이후 약 38만 년일 때와 현재의 우주 배경 복사를 나타낸 것이다.
    - 이 곡선은 매우 정확한 과학적 측정으로 얻어진 것으로, 빅뱅 이후 우주의 확장 속도와 초기 온도 등을 알아내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 "ㄴ"은 이 곡선이 초기에는 높은 온도에서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모양새를 보이는 것을 나타내고, "ㄷ"는 이 곡선이 현재의 우주 배경 복사에서 매우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 따라서, "ㄴ, ㄷ"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성간 먼지 구름에 입사된 별빛이 통과하거나 산란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성간 먼지 구름은 별빛을 가리거나 산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 ㄴ: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성간 먼지 구름은 빨간색과 주황색 등의 긴 파장의 빛을 더 잘 통과시키고, 파란색과 보라색 등의 짧은 파장의 빛을 더 잘 산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성질 때문에 별빛이 성간 먼지 구름을 통과하거나 산란될 때 색상이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어느 해역에서 깊이에 따른 수온과 염분을 측정하여 수온 - 염분도에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수온과 염분이 모두 깊이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ㄷ"는 수온과 염분이 서로 반대로 변화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그림에서 수온과 염분이 깊이에 따라 반대로 움직이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우리 은하의 회전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우리 은하의 회전에 대한 옳은 설명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 은하의 중심부와 가까운 영역에서는 회전 속도가 빠르고, 멀어질수록 회전 속도가 느려진다. 이는 은하 중심부에 질량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 "ㄷ" : 은하의 회전 속도는 중심부에서 가장 빠르고,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회전 속도가 감소한다. 하지만 은하의 외곽부에서는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이는 은하의 질량 중심이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 "ㄱ, ㄴ" : 은하의 회전 속도는 중심부에서 빠르고, 중심부에서 멀어질수록 회전 속도가 감소한다. 하지만 은하의 외곽부에서는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으며, 이는 은하의 질량 중심이 중심부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은하의 회전 방향은 중심부에서는 일정하지만, 외곽부에서는 불규칙하게 바뀌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은하의 구조가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