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9-02)

수능(지구과학II)
(2015-09-02 기출문제)

목록

1. 그림 (가)는 어느 지진 관측소에서 관측한 지진 기록을, (나)는 이 지진의 주시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진파의 전파 속도는 S 파보다 P파가 빠르다.
  2. 지표면의 흔들림 정도는 L 파보다 S 파가 크다.
  3. 진앙까지의 거리는 1500km이다.
  4. P파의 주시 곡선은 X이다.
  5. PS 시는 2 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 (가)는 지진 관측소에서 P파, S파, L파의 도착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그림 (나)는 이 지진의 주시 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P파의 주시 곡선은 X이다." 이다.

    "지진파의 전파 속도는 S 파보다 P파가 빠르다." 인 이유는 지진파가 지구 내부를 통과할 때, 밀도와 탄성계수가 다른 지층을 지나면서 속도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P파는 밀도와 탄성계수가 높은 곳을 지나면서 빠르게 전파되고, S파는 밀도와 탄성계수가 낮은 곳을 지나면서 상대적으로 느리게 전파된다. 따라서 P파가 S파보다 빠르게 전파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세 지역 (가), (나), (다)의 지질 주상도와 각 지층에서 산출되는 화석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 지역의 지질 주상도에서는 백악기 후기의 지층이 노출되어 있으며, 이 지층에서는 고래류 화석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가) 지역은 백악기 후기에 바다 위에 위치한 지역이다.
    - (나) 지역의 지질 주상도에서는 신생대의 지층이 노출되어 있으며, 이 지층에서는 고래류 화석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나) 지역은 신생대에 바다 위에 위치한 지역이다.
    - (다) 지역의 지질 주상도에서는 신생대의 지층이 노출되어 있으며, 이 지층에서는 고래류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다) 지역은 신생대에 육지 위에 위치한 지역이다.
    - 따라서, (ㄱ)과 (ㄷ)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 (가), (나), (다)는 퇴적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는 층이 굽은 모양으로 쌓여있는 것으로, 이는 강한 힘에 의해 퇴적물이 쌓여서 생긴 것이다. 따라서 퇴적 구조를 나타낸다.
    - (나)는 층이 평평하게 쌓여있는 것으로, 이는 약한 힘에 의해 퇴적물이 쌓여서 생긴 것이다. 따라서 퇴적 구조를 나타낸다.
    - (다)는 (가)와 (나)의 특징이 섞여있는 것으로, 강한 힘과 약한 힘에 의해 퇴적물이 쌓여서 생긴 것이다. 따라서 퇴적 구조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은 위도에 따른 표층 해수의 밀도, 수온, 염분의 분포를 순서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ㄷ"인 이유는 위도가 증가함에 따라 해수의 밀도와 염분이 증가하고 수온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는 북극에서 남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해수의 밀도와 염분이 증가하고 수온이 감소하는 경향과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은 우주 배경 복사의 파장에 따른 복사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파장이 짧을수록 복사 강도가 높아지는 것은 플랑크의 복사 법칙에 따른 것이다.
    - ㄷ. 파장이 길어질수록 복사 강도가 낮아지는 것은 우주 배경 복사의 빨간 이동 현상에 따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대기에서 역전층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이 실험 결과로부터 대기의 역전층을 해석하기 위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대기의 온도가 지표면에서부터 고도 1km까지는 일정하게 상승하다가, 1km 이상에서는 온도가 갑자기 하강하는 역전층이 형성되었다. 이는 대기 중에 있는 공기가 지표면에서부터 일정한 속도로 상승하면서 팽창하다가, 일정 고도 이상에서는 대기의 압력이 낮아져서 냉각되면서 발생한다.
    - 역전층 위쪽에는 상승기류가, 아래쪽에는 하강기류가 형성된다. 이는 역전층 위쪽의 공기가 더 가벼워져서 상승하고, 아래쪽의 공기가 더 무거워져서 하강하기 때문이다.
    - 역전층은 대기 오염물질이 농축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는 역전층 위쪽의 공기가 상승하면서 오염물질을 끌어올리고, 역전층 아래쪽의 공기가 하강하면서 오염물질을 머무르게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은 위도에 따른 전향력 효과의 차이를 고려하여 북반구 아열대 해양의 표층 순환을 나타낸 것이다.

지점 A와 B에 지형류가 흐를 때, 해수에 작용하는 힘과 지형류의 방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P는 수압 경도력, C는 전향력, 화살표(→)는 지형류의 방향이다.) [3점]

(정답률: 알수없음)
  • 지점 A와 B에서 지형류가 흐를 때, 해수에 작용하는 힘은 수압 경도력(P)이다. 그리고 전향력(C)은 지구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이다. 이 때, 지형류의 방향(화살표)과 수압 경도력(P)이 이루는 각도가 45도 이상이면, 전향력(C)이 지형류의 방향으로 작용하여 지형류의 방향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은 어느 화산암과 이 암석을 구성하는 주요 조암 광물에 대한 설명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보기 중에서 선택해야 하는 것은 어느 화산암과 이 암석을 구성하는 주요 조암 광물에 대한 설명이다.
    - 그림에서 보이는 암은 안산암이다.
    - 안산암은 현저한 조암이 없는 균일한 조직을 가진 화산암이다.
    - 따라서, 보기에서 "ㄷ"는 틀린 설명이다.
    - 안산암은 기본적으로 섬록암이며, 주요 광물로는 페노암포히어, 칼리안 필로크세네, 플라지오크세네 등이 있다.
    - 따라서, 보기에서 "ㄱ, ㄴ"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 (가)와 (나)는 북반구의 편동풍 파동과 편서풍 파동을 순서 없이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가)와 (나)에서 모두 파란색 선이 편동풍 파동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편동풍 파동을 나타내는 파란색 선이 모두 나타나 있는 "ㄱ"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해령에서 호상 열도까지의 지각 열류량을 거리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지점 A와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지점 A와 B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지각 열류량이 감소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ㄴ"은 지점 A와 B 중간 지점에서 지각 열류량이 최대치를 나타내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지점 A와 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 (가)와 (나)는 심해파와 천해파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그림 (가)와 (나)에서 모두 심해파와 천해파가 함께 나타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그림 (가)나 (나) 중 하나에서만 나타나는 파도들을 포함하고 있거나, 둘 다 나타나지 않는 파도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 (가)는 대서양 중앙 해령 부근의 고지자기 분포의 일부를, (나)는 고지자기 줄무늬가 형성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그림 (가)에서 보이는 것처럼 대서양 중앙 해령 부근은 고지자기 분포가 복잡하게 혼재한 지역이다. 이 지역에서는 지구 자전에 의한 코리올리 힘과 지구 내부의 대류운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지자기 분포가 형성된다.
    - ㄴ: 그림 (나)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구 내부에서는 액체 상태인 외부 코어와 고체 상태인 내부 코어가 회전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때 외부 코어에서는 전기전도성 물질이 생성되어 자기장을 생성하고, 내부 코어에서는 고체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 속도가 빠르고 자기장이 강하게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자기장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고지자기 줄무늬가 형성된다.
    - ㄷ: ㄱ과 ㄴ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고지자기 분포와 고지자기 줄무늬는 지구 내부의 자기장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둘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ㄱ과 ㄴ 모두 옳은 설명이며, 이에 따라 ㄱ, ㄴ, ㄷ이 모두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태평양에서 용승이 활발하게 발생하는 해역 A, B, C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해역 B와 C에서 용승이 발생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이다. 해역 B에서는 북쪽으로 용승이 발생하고, 해역 C에서는 남쪽으로 용승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두 해역에서 만나는 지점에서는 파도가 서로 상쇄되어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이와 달리 해역 A에서는 용승이 발생하는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파도가 더욱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은 한 직선 상에 있는 외부 은하 A, B, C의 거리와 후퇴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외부 은하 C의 거리와 후퇴 속도가 A와 B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는 우주가 팽창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후퇴 속도가 더 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C가 A와 B보다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후퇴 속도가 더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 (가)와 (나)는 어느 별과 관측자 사이에 성간 물질이 있을 때와 없을 때 파장에 따른 별빛의 에너지 세기를 순서 없이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 ㄷ"인 이유는, (가)와 (나)의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성간 물질이 있을 때는 파장이 짧은 파장일수록 에너지 세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성간 물질이 파장이 짧은 빛을 더 많이 흡수하기 때문이다. 반면, 성간 물질이 없을 때는 파장에 따른 에너지 세기의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ㄴ)은 맞고, (ㄷ)도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 (가)는 거리가 1000 pc 인 어느 맥동 변광성의 밝기 변화를, (나)는 맥동 변광성의 주기- 광도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변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가) 그림에서는 맥동 변광성의 밝기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주기는 약 50일 정도이다.
    - (나) 그림에서는 맥동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주기가 짧을수록 광도 변화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 따라서, 정답은 "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은 대기압 측정 실험이다.

이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대기의 밀도와 중력 가속도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3점]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ㄱ. 실험관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수은의 높이 차이로 나타나기 때문에, 수은의 높이를 측정하여 대기압을 알 수 있다.

    ㄴ. 실험관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수은의 높이 차이로 나타나기 때문에, 실험관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여 수은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실험관 내부의 공기를 펌핑하여 압력을 낮추는 과정을 거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어느 성단의 H-R도를 나타낸 것이다.

별 (가)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 기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가) 별 (가)는 주계열에서 빠져나와 적색거성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별 (나)는 아직 주계열에서 수명을 다하지 않은 젊은 별이다. 따라서 (가)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밝기는 감소하고 온도는 낮아지는 적색거성으로 진화하고, (나)는 주계열에서 머무르며 안정적으로 수명을 보내고 있다.

    보기에서 정답이 "ㄱ"인 이유는 (가)와 (나)의 특징을 모두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ㄴ"은 (가)의 특징만을, "ㄷ"는 (나)의 특징만을 설명하고 있으며, "ㄴ, ㄷ"는 둘 다 설명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ㄱ, ㄴ, ㄷ" 중에서도 모든 특징을 설명하면서 가장 간결한 "ㄱ"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어느 성단을 구성하는 별들의 겉보기 등급과 표준 주계열의 절대 등급을 색지수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별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 ㄴ"이 옳은 이유는, 별 (가)의 겉보기 등급과 표준 주계열의 절대 등급이 모두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겉보기 등급은 별의 밝기를 나타내고, 표준 주계열의 절대 등급은 별의 크기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정보를 모두 알 수 있는 것이 가장 정확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은 퇴적층 A, B, C가 분포하는 어느 지역의 지질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ㄱ,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ㄷ"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ㄱ. 지하수층이 퇴적층 A, B, C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의 이동이 가능하다.
    ㄷ. 퇴적층 A, B, C의 경사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지하수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