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11-12)

수능(지구과학II)
(2015-11-12 기출문제)

목록

1. 그림은 판의 경계와 대륙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A, B, C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A 지역은 대륙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판 경계선과 가깝기 때문에 지진과 화산활동이 많이 일어난다. 따라서 "ㄱ"이 옳다.
    - B 지역은 대륙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판 경계선과 거리가 먼 곳에 있다. 따라서 지진과 화산활동이 적다. 따라서 "ㄴ"이 옳다.
    - C 지역은 대륙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판 경계선과 가깝기 때문에 지진과 화산활동이 많이 일어난다. 또한, 인접한 지역들과의 지질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ㄱ, ㄷ"가 옳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ㄱ,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은 해수에 녹아 있는 두 기체 A와 B의 수심에 따른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A와 B 중 하나는 산소이고 다른 하나는 이산화 탄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 ㄷ"이다.

    - A와 B 중 하나는 산소이고 다른 하나는 이산화 탄소이다. : 그림에서 A는 산소, B는 이산화 탄소로 표시되어 있다.
    - 수심이 깊어질수록 A의 농도는 감소하고 B의 농도는 증가한다. : 그림에서 수심이 깊어질수록 A의 농도는 감소하고 B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 (가)와 (나)는 두 지역의 지질 단면도이다. (가)와 (나)에서 화강암의 관입 시기는 같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인 이유는 (가)와 (나)에서 화강암의 관입 시기가 같기 때문이다. 즉, 두 지역에서 화강암이 형성된 시기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심층 순환에서 염분이 해수의 침강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 ㄴ"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염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해수의 밀도가 증가하므로 침강 속도가 증가한다. (ㄱ)
    - 염분 농도가 높아질수록 해수의 녹는 온도가 낮아지므로 얼음이 녹는 속도가 감소한다. 따라서 얼음 위로 침강하는 염수의 양이 감소하므로 침강 속도가 감소한다. (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은 화성암의 분류 기준에 암석 A와 B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A와 B에 해당하는 화성암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순서대로 A, B)

  1. 현무암, 반려암
  2. 현무암, 화강암
  3. 화강암, 반려암
  4. 화강암, 유문암
  5. 화강암, 현무암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면 A가 B보다 상위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A는 B보다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A는 B보다 더 기초적인 암석일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A는 현무암, B는 화강암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현무암, 화강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특이 은하 (가)와 (나)의 스펙트럼과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 중 하나는 퀘이사이고 다른 하나는 세이퍼트 은하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ㄱ, ㄴ"인 이유는 (가)의 스펙트럼에서 발견된 퀘이사이 특징과 (나)의 스펙트럼에서 발견된 세이퍼트 은하의 특징이 일치하기 때문이다. 퀘이사이와 세이퍼트 은하는 서로 다른 유형의 은하이므로 (가)와 (나) 중 하나는 퀘이사이고 다른 하나는 세이퍼트 은하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 (가)와 (나)는 우리나라 주변 500 hPa 등압면의 고도 분포를 24시간 간격으로 나타낸 것이다. 지점 A는 500hPa 등압면에 위치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ㄴ, ㄷ"이다.

    - (ㄱ)은 잘못된 설명이다. 그림 (가)와 (나)에서 지점 A는 항상 500hPa 등압면에 위치한다.
    - (ㄴ)은 옳은 설명이다. 그림 (가)에서는 지점 A 주변에 고기압이 형성되어 있고, 그림 (나)에서는 고기압이 약해지고 지점 A 주변에 저기압이 형성되어 있다.
    - (ㄷ)는 옳은 설명이다. 그림 (가)와 (나)에서 지점 A 주변의 등압선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이는 대기의 수직 안정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은 어느 팽창 우주 모형에서 시간에 따른 우주의 크기와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의 상대량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은 우주가 초기에는 매우 작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팽창하면서 커졌다는 것을 나타내고, "ㄴ"은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은 어둠질량과 어둠에너지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표는 편광 현미경의 재물대를 회전시키면서 어느 암석 박편을 관찰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는 상부 편광판을 빼고 관찰한 것이다.
  2. 간섭색은 (나)에서 관찰된다.
  3. A는 광학적 등방체이다.
  4. B는 불투명 광물이다.
  5. C는 다색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편광 현미경에서 재물대를 회전시키면서 암석을 관찰하면, 암석 내부의 결정 구조나 미세 구조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 표에서는 상부 편광판을 빼고 관찰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간섭색은 상부 편광판을 빼고 관찰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가)는 옳지 않다. A는 광학적 등방체이므로, 모든 방향에서 똑같은 광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B는 불투명 광물이므로, 빛이 통과하지 않는다. C는 다색성이 있는데, 이는 암석 내부의 결정 구조가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C는 다색성이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은 파장과 수심에 따른 해파의 속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파장이 작을수록 해파의 속도가 느리고, 수심이 깊을수록 해파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파장이 작고 수심이 깊은 지점에서 해파의 속도가 가장 느리다.
    - ㄴ. 파장이 클수록 해파의 속도가 빠르고, 수심이 얕을수록 해파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파장이 크고 수심이 얕은 지점에서 해파의 속도가 가장 빠르다.
    - ㄷ. 파장이 중간 정도이고 수심도 중간 정도인 지점에서 해파의 속도가 가장 빠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은 울릉도 주변 해역의 중력 이상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ㄴ, ㄷ"가 옳은 이유는 그림에서 보이는 중력 이상 분포가 울릉도 주변 해역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중력 이상 분포는 지하수나 지열 등 지하에서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지질학적인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ㄴ, ㄷ"가 옳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은 북반구 중위도 어느 지역에서 지상과 상층 등고도면의 등압선 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등압선은 서로 평행하고 지점 A와 B는 연직선상에 위치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 등압선은 서로 평행하다: 등압선은 같은 기압을 나타내므로 서로 평행하다.
    - 지점 A와 B는 연직선상에 위치한다: 지점 A와 B는 같은 기압을 가지므로 등압선이 평행하다는 성질에 따라 연직선상에 위치한다.
    - 지상과 상층 등고도면의 등압선 분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림은 지상과 상층 등고도면의 등압선 분포를 나타내고 있으며, 등압선이 서로 평행하다는 성질에 따라 기압이 일정한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 따라서, "ㄴ, ㄷ"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은 나선 은하 A, B, C의 회전 속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ㄱ"이다. 이는 나선 은하의 회전 속도 곡선이 타원 은하와 달리 중심부에서 빠르게 회전하고 외부로 갈수록 회전 속도가 감소하는 형태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는 은하 내부에 더 많은 질량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부에서는 중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여 더 빠르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 (가)와 (나)는 질량이 다른 두 별 A와 B의 진화 경로 일부를 주계열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H-R 도에 각각 나타낸 것이다. 는 태양 광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은 "ㄷ"이다. 이는 그림 (가)와 (나)에서 별 A와 B의 진화 경로가 다르기 때문이다. 별 A는 주계열 이후에 더 높은 온도와 광도를 가지면서 적색 초거성, 적색 거성, 백색 왜성, 허블 시프트를 경험하며 진화한다. 반면 별 B는 주계열 이전에 더 높은 온도와 광도를 가지면서 파란색 거성, 적색 초거성, 적색 거성, 백색 왜성, 허블 시프트를 경험하며 진화한다. 따라서 두 별의 진화 경로가 다르기 때문에 그림 (가)와 (나)에서의 위치도 다르게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은 1997 년부터 1999 년까지 관측한 태평양 적도 해역의 해수면 높이 편차(관측 높이-평년 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A, B, C 기간을 비교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ㄱ, ㄷ"가 옳은 이유는 A 기간과 C 기간에서 해수면 높이가 양수였고, B 기간에서는 음수였기 때문이다. A 기간과 C 기간은 태풍이 많이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해수면 높이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B 기간은 태풍이 적게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해수면 높이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어느 쌍성계의 두 별 A와 B의 시간에 따른 시선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공전 궤도면은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나란하고 공전궤도 반지름은 A가 B의 2 배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ㄷ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옳은 것은 "ㄱ"이다. 그림에서 별 A와 B의 시선 속도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A와 B가 서로 공전하면서 서로에 대한 시선 속도가 변하는 것이다. 또한, 공전 궤도면이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나란하고 A와 B의 거리 비율이 2:1이므로, A와 B는 서로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쌍성계이다. 따라서, "ㄱ"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 (가)는 나선 은하 M51의 중성 수소 분포를, (나)는 이 은하의 이온화된 수소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ㄱ. (가)는 중성 수소 분포, (나)는 이온화된 수소 분포를 나타낸다.
    ㄴ. (가)는 이온화된 수소 분포, (나)는 중성 수소 분포를 나타낸다.
    ㄷ. (가)와 (나) 모두 중성 수소 분포를 나타낸다.
    ㄱ, ㄷ. (가)는 중성 수소 분포, (나)는 이온화된 수소 분포를 나타낸다. 하지만 (가)와 (나) 모두 같은 영역을 나타내므로 중복된 정보를 제공한다.
    ㄴ, ㄷ. (가)는 이온화된 수소 분포, (나)는 중성 수소 분포를 나타낸다. 하지만 (가)와 (나) 모두 같은 영역을 나타내므로 중복된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ㄱ. (가)는 중성 수소 분포, (나)는 이온화된 수소 분포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은 지층 A~E가 분포하는 어느 지역의 지질도이다 . 지표의 고도는 동일하고 X-X' 는 단층선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ㄷ"입니다.

    지층 A~E는 단층선 X-X'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지층의 나이가 젊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①은 옳지 않습니다. 지층 A~E가 분포하는 지역의 지형은 알 수 없으므로 지형에 대한 설명은 할 수 없습니다.

    ②는 옳습니다. 지층 A~E는 단층선 X-X'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지층의 나이가 젊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③은 옳지 않습니다. 지층 A와 B는 단층선 X-X'을 기준으로 왼쪽에, C와 D는 오른쪽에, E는 단층선 위에 위치하므로 "ㄱ, ㄴ"이 옳은 설명입니다.

    ④는 옳지 않습니다. 지층 A와 B는 단층선 X-X'을 기준으로 왼쪽에, D와 E는 오른쪽에 위치하므로 "ㄴ, ㄷ"이 옳은 설명입니다.

    ⑤는 옳지 않습니다. 지층 A~E는 단층선 X-X'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ㄱ, ㄴ, ㄷ"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은 어느 지역의 높이에 따른 기온을 나타낸 것이다. 지표에 있는 공기 덩어리의 온도와 상승 응결 고도는 각각 20℃ 와 1000m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건조 단열 감률은 1 ℃/100m, 습윤 단열 감률은 0.5 ℃/100m, 이슬점 감률은 0.2 ℃/100m이다.) [3점]

  1. ㄱ, ㄴ
  2.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정답이 "ㄴ"인 이유는, 지표에서 공기 덩어리가 상승 응결 고도인 1000m까지 상승하면서 이슬점이 도달하게 되고, 이후에는 이슬점 감률에 따라 기온과 이슬점이 같이 감소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림에서 보이는 기온 곡선과 이슬점 곡선이 1000m에서 만나게 되고, 그 이후로는 이슬점 곡선이 기온 곡선보다 항상 낮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 (가)와 (나)는 서로 다른 두 해령 부근의 고지자기 분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A, B, C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알수없음)
  • - A 지역: (가)와 (나)에서 모두 붉은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지자기 분포가 강하다. 따라서 A 지역에 대한 설명은 "ㄱ, ㄴ, ㄷ" 모두에 해당한다.
    - B 지역: (가)에서는 녹색, (나)에서는 주황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지자기 분포가 약하다. 따라서 B 지역에 대한 설명은 "ㄴ, ㄷ"에 해당한다.
    - C 지역: (가)에서는 주황색, (나)에서는 녹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지자기 분포가 약하다. 따라서 C 지역에 대한 설명은 "ㄱ, ㄴ"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