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생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6-1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생물
(2019-06-15 기출문제)

목록

1. <보기>가 공통적으로 설명하는 호르몬에 해당하는 것은?

  1. 옥신
  2. 사이토키닌
  3. 지베렐린
  4. 앱시스산
(정답률: 72%)
  • 보기에 나와있는 그림은 식물 세포에서 세포분열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지베렐린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지베렐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시아노박테리아의 하나인 아나베나(Anabaena)에서 일어나는 질소고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대기 중의 질소를 암모니아로 전환한다.
  2. 산소는 질소고정효소를 활성화시킨다.
  3. 광합성 세포와 이형세포 사이에는 세포 간 연접이 형성되어 있다.
  4. 이형세포에 질소고정효소가 있다.
(정답률: 62%)
  • 산소는 질소고정효소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사실, 질소고정효소는 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활성화됩니다. 이는 질소고정효소가 산소에 의해 파괴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나베나에서 질소고정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세포현상은?

  1. 식세포작용(phagocytosis)
  2. 자기소화작용(autophagy)
  3. 아폽토시스(apoptosis)
  4. 음세포작용(pinocytosis)
(정답률: 66%)
  • 보기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자기소화작용(autophagy)입니다. 이는 세포 내부에서 불필요한 물질이나 손상된 세포 구성요소를 분해하고 재활용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세포의 생존과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세포 작용을 나타내는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생체에는 다양한 고분자 물질들이 존재한다. 생체분자의 구조 및 형성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다당류에 해당하는 글리코겐(glycogen)은 셀룰로오스(cellulose)와 달리 당의 연결형태에 가지 친 구조가 나타나지 않는다.
  2. 인지질(phospholipid) 분자는 소수성의 탄화수소 꼬리를 두 개 가지며, 지방산은 세 개의 소수성 탄화수소 꼬리를 갖는다.
  3. 단백질이 가지는 구조적 도메인(domain)은 고유의 3차 구조를 가짐으로써 독립적인 기능 단위로 작용할 수 있다.
  4. 데옥시리보오스(deoxyribose)의 5′ 탄소에 인산이 결합되고 3′ 탄소에 염기(base)가 결합하여 뉴클레 오타이드 분자가 만들어진다.
(정답률: 53%)
  •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형성되며, 이들 아미노산의 순서와 구조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단백질이 가지는 구조적 도메인은 고유의 3차 구조를 가지며, 이는 독립적인 기능 단위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효소는 특정 구조적 도메인이 활성 부위로 작용하여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적 도메인은 단백질의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내피 세포에 위치하는 카스파리안선(casparian strip)에 존재하는 물질로 물과 물에 녹은 무기질의 투과를 막는 것은?

  1. 리그닌
  2. 수베린
  3. 셀룰로오스
  4. 미세섬유소원
(정답률: 48%)
  • 카스파리안선은 식물의 뿌리에서 물과 무기질이 흡수되는 경로 중 하나인 내피세포를 통과하기 전에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카스파리안선은 수분과 무기질의 투과를 막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수베린은 카스파리안선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베린은 수분과 무기질의 투과를 막는 동시에, 식물 내부에서 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카스파리안선에 존재하는 물질 중에서 수베린이 가장 적합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기>에서 설명하는 유전병에 해당하는 것은?

  1. 테이-삭스병(Tay-Sachs disease)
  2.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
  3.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4. 연골발육부전증(achondroplasia)
(정답률: 76%)
  • 보기에서 설명하는 유전병은 테이-삭스병(Tay-Sachs disease)입니다. 이는 유전자 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 이상으로, 뇌 및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발달 지연, 근육 약화, 시각 및 청각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동물의 발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배아 형성에 필요한 성분들은 난자의 세포질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2. 양서류 난모 세포는 수정 후에 회색신월환을 동등하게 나누면 2개의 할구로부터 2개의 정상적인 유충이 발달한다.
  3. 난황의 양이 많은 물고기 알의 경우 난할이 난황 꼭대기에 있는 세포질 층에 한정되어 일어난다.
  4. 한 배아의 등쪽 입술 세포를 다른 배아에 이식하면 새로운 신체부분이 형성된다.
(정답률: 32%)
  • 정답: "한 배아의 등쪽 입술 세포를 다른 배아에 이식하면 새로운 신체부분이 형성된다."

    해설: 새로운 배아 형성에 필요한 성분들은 난자의 세포질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이는 모든 동물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원리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동물의 발생과 관련된 사실이지만, 양서류 난모 세포의 분열, 난황의 양이 많은 물고기 알의 발생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만 해당되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마지막 보기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한 배아의 특정한 세포를 다른 배아에 이식해도 새로운 신체부분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을에 단일식물인 국화를 생육시키는 온실의 관리자가 밤 동안에 실수로 660nm 파장 빛을 잠깐 동안 켰다가 껐고, 그 다음에 730nm의 파장 빛을 잠깐 동안 켰다가 껐다. 이 과정 후 일어난 사건에 대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ㄹ
  4. ㄷ, ㄹ
(정답률: 57%)
  • 정답은 "ㄴ, ㄷ"입니다.

    660nm 파장의 빛은 국화의 광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빛을 켜놓지 않으면 국화는 광합성을 할 수 없어 생장이 멈추거나 꽃이 열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730nm 파장의 빛은 국화의 광합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빛을 켜놓거나 끄는 것은 국화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660nm 파장의 빛을 켜놓지 않았다면 국화의 생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730nm 파장의 빛을 켜놓거나 끄는 것은 국화의 생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두 개의 중쇄(heavy chain)와 두 개의 경쇄(light chain)로 구성되어 있는 일반적인 면역글로불린G(IgG) 항체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두 개의 중쇄는 서로 결합되어 있지만 두 개의 경쇄는 서로 직접적인 결합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
  2. 중쇄와 경쇄 모두 가변(V, variable) 영역과 불변(C, constant) 영역을 가지고 있다.
  3. 두 개의 중쇄는 불변 영역에서 서로 결합한다.
  4. 중쇄와 경쇄의 가변 영역은 각각 독립된 항원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정답률: 32%)
  • "두 개의 중쇄는 불변 영역에서 서로 결합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중쇄와 경쇄 모두 가변(V, variable) 영역과 불변(C, constant) 영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쇄와 경쇄의 가변 영역은 각각 독립된 항원결합 부위를 형성합니다. 이는 항체가 다양한 항원에 대해 특이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또한, 두 개의 중쇄는 서로 결합되어 있지만 두 개의 경쇄는 서로 직접적인 결합 상호작용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시트르산 회로(또는 크렙스 회로)에서 기질 수준 인산화 반응에 의해 ATP가 생성되는 단계로 가장 옳은 것은?

  1. 시트르산→α-케토글루타르산
  2. 숙신산→말산
  3. α-케토글루타르산→숙신산
  4. 옥살아세트산→시트르산
(정답률: 65%)
  • 시트르산 회로에서 기질 수준 인산화 반응에 의해 ATP가 생성되는 단계는 산화적인 단계인 호흡 사슬에서 일어납니다. 호흡 사슬에서는 NADH와 FADH2가 전자를 전달하면서 전자는 산소와 결합하여 물을 생성하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가 방출되어 ATP가 생성됩니다. 이때, α-케토글루타르산은 시트르산 회로에서 생성되는 중간체로 호흡 사슬에서 산화되어 에너지를 방출하고, 숙신산은 호흡 사슬에서 생성된 전자를 받아 말산으로 전환됩니다. 따라서, α-케토글루타르산에서 숙신산으로의 전환은 호흡 사슬에서 에너지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바이러스(virus) 중에서 이중가닥 R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는 것은?

  1.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2. 파보바이러스(parvovirus)
  3. 코로나바이러스(coronavirus)
  4. 레오바이러스(reovirus)
(정답률: 58%)
  • 레오바이러스는 이중가닥 R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단일가닥 R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레오바이러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보기 1> 실험 결과의 해석으로 옳은 것을 <보기 2>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ㄴ, ㄷ, ㄹ
(정답률: 65%)
  • 보기 1에서는 실험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보기 2에서는 이 결과를 해석한 내용들이 나열되어 있다. 이 중에서 "ㄱ"은 실험 결과에서 A와 B의 차이가 유의미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ㄴ"은 실험 결과에서 B와 C의 차이가 유의미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ㄹ"은 A와 C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보기>가 설명하는 생식적 격리에 기여하는 생식적 장벽 중 접합 전 장벽에 해당하는 것은?

  1. 시간적 격리
  2. 행동적 격리
  3. 기계적 격리
  4. 생식세포 격리
(정답률: 53%)
  • 위 그림은 접합 전 장벽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서로 다른 종의 개체들이 교배할 수 없도록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계적 격리는 생식기관의 구조나 기능적 차이로 인해 교배가 불가능한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여지는 것은 기계적 격리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단백질을 소포체로 이동시키는 일련의 신호기작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세포 밖으로 분비될 운명의 폴리펩타이드 합성은 소포체의 세포질 쪽 면에 붙어 있는 부착리보솜에서 시작된다.
  2. 세포 밖으로 분비될 운명의 폴리펩타이드의 서열은 신호펩타이드(signal peptide)라고 불리는 소포체로 이동하게 하는 일련의 아미노산 서열로 시작된다.
  3. 신호인식입자(signal recognition particle)가 신호펩타이드에 부착하면 폴리펩타이드 합성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
  4. 소포체의 막에 존재하는 신호절단효소가 신호펩타이드를 자른다.
(정답률: 42%)
  • "세포 밖으로 분비될 운명의 폴리펩타이드 합성은 소포체의 세포질 쪽 면에 붙어 있는 부착리보솜에서 시작된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폴리펩타이드 합성은 리보솜에서 시작되며, 이후에 소포체로 이동하여 소포체 내에서 후처리 과정을 거쳐 세포 외부로 분비됩니다.

    "세포 밖으로 분비될 운명의 폴리펩타이드의 서열은 신호펩타이드(signal peptide)라고 불리는 소포체로 이동하게 하는 일련의 아미노산 서열로 시작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신호인식입자(signal recognition particle)가 신호펩타이드에 부착하면 폴리펩타이드 합성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소포체의 막에 존재하는 신호절단효소가 신호펩타이드를 자른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보기> 아미노산 구조의 성질로 가장 옳은 것은?

  1. 극성
  2. 산성
  3. 염기성
  4. 소수성
(정답률: 55%)
  • 아미노산 구조에서 아미노기(-NH2)와 카르복시기(-COOH)가 존재하며, 이들은 극성을 띠고 있습니다. 이러한 극성 때문에 아미노산은 물과 상호작용하며 용해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아미노산 측면 체인(R-group)은 다양한 성질을 띠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비극성이며, 즉 극성이 아닌 소수성을 띠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수성 측면 체인은 비극성 아미노산으로 분류되며, 지방성 물질과 상호작용하는 등의 특성을 띠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미노산 구조의 성질 중에서 소수성이 가장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지질학적 기록을 바탕으로 지구 생물 역사를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신생대에 이족 보행 인간의 조상이 출현하였다.
  2. 곤충은 중생대에 출현하였다.
  3. 현화식물은 중생대에 출현하였다.
  4. 종자식물은 고생대에 출현하였다.
(정답률: 45%)
  • "곤충은 중생대에 출현하였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곤충은 신생대 이전인 지구 역사의 이른 시기부터 이미 출현하였습니다. 이유는 곤충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동물군 중 하나이며, 심지어 고생대 이전인 신세계기에도 이미 다양한 곤충군이 존재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보기>에서 암세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ㄹ
  4. ㄴ, ㄷ, ㄹ
(정답률: 60%)
  • 보기에서 "ㄱ"은 암세포가 정상세포보다 더 빠르게 성장하고 분열하는 것을 설명하고, "ㄷ"은 암세포가 주변 조직을 침범하고 전이하여 다른 부위에 새로운 종양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옳은 설명입니다. "ㄴ"과 "ㄹ"은 암세포와 관련이 있는 내용이지만, 모든 암세포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기>처럼 유전적 질환이나 암 발생과 관계될 수 있는 염색체 구조변화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수분열 중에 두 개의 상동염색체가 서로 상응하는 유전자를 교환하는 교차(crossing over)
  2. 염색체 일부가 상동 염색체로 옮겨감으로 인해 특정DNA 염기서열이 두 번 이상 반복되는 중복(duplication)
  3. 염색체 일부가 반전되어 반대 방향이 되는 역위(inversion)
  4. 비상동성 염색체 간에 염색체의 일부가 교환되는 전좌(translocation)
(정답률: 70%)
  • "염색체 일부가 상동 염색체로 옮겨감으로 인해 특정DNA 염기서열이 두 번 이상 반복되는 중복(duplication)"은 유전적 질환과 관련된 염색체 구조변화 중 하나이지만, "옳지 않은 것"을 묻는 문제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평소 신장 질환을 겪고 있는 환자의 소변을 채취하여 알부민 함량을 측정하였더니 정상인보다 높은 함량의 알부민이 검출되었다. 소변이 생성되는 여러 과정 중 소변의 알부민 함량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1. 사구체 여과
  2. 세뇨관 재흡수
  3. 세뇨관 분비
  4. 소변의 농축
(정답률: 78%)
  • 알부민은 혈액 속에서 가장 흔한 단백질 중 하나이며, 보통 신장의 사구체 여과막을 통과하지 못하고 혈액 내에 유지됩니다. 따라서, 소변에서 높은 알부민 함량이 검출된 경우, 이는 사구체 여과막의 손상 또는 기능 이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변의 알부민 함량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사구체 여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이산화탄소 수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률: 56%)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이산화탄소는 혈액 속에 운반되어 폐에서 방출됩니다. 이산화탄소는 혈액 속에서 주로 혈액 소포인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운반됩니다. 이산화탄소는 혈액 소포와 결합한 상태에서 운반되므로, 혈액 소포의 수용능력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혈액 소포의 수용능력을 높이기 위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능력이 높은 혈액 소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ㄱ, ㄹ"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