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6-2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안전관리론
(2016-06-25 기출문제)

목록

1. 무재해운동 추진기법 중 하나인 위험예지훈련의 팀미팅 방법으로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4원칙을 적용한다. 이 원칙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리더는 구성원들이 제안된 아이디어에 대하여 비판 없이 열린 마음으로 발언하도록 한다.
  2. 리더는 구성원들이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를 생성하여 발언하도록 한다.
  3. 리더는 질과 관계없이 자유로운 발언을 유도한다.
  4. 리더는 구성원들이 도출한 의견들에 대해 수정하여 발언하는 것은 가능한 한 못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리더는 구성원들이 도출한 의견들에 대해 수정하여 발언하는 것은 가능한 한 못하게 한다. - 이유: 브레인스토밍은 자유로운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것이므로, 구성원들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수정하거나 비판하는 것은 참여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더는 구성원들의 발언을 존중하고, 가능한 한 자유롭게 발언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재해예방의 기본 4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사고와 손실의 관계는 필연적이다.
  2. 사고는 반드시 원인이 있고 원인은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3. 재해는 원칙적으로 원인만 제거되면 예방이 가능하다.
  4. 사고의 원인이나 불안전 요소가 발견되면 대책선정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해는 원칙적으로 원인만 제거되면 예방이 가능하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재해는 예방이 가능하지만, 모든 원인을 제거할 수는 없으며 예방 조치를 취하더라도 완전한 예방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사고와 손실은 필연적인 관계에 있습니다. 사고가 발생하면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소방시설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난설비 - 완강기, 공기호흡기, 인공소생기
  2. 소화용수설비 - 소화수조, 연결송수관설비, 상수도소화용수설비
  3. 소화활동설비 - 연수방지설비, 구조대, 제연설비
  4. 경보설비 - 통합감시시설, 누전경보기, 유도등
(정답률: 알수없음)
  • 피난설비는 화재 발생 시 인명 구조와 안전 대피를 위한 시설로, 완강기는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용품으로 불을 끄는 기기, 공기호흡기는 연기나 독가스 등으로 인한 호흡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장비, 인공소생기는 화재로 인한 의식 상실 등으로 인한 심폐소생술을 위한 장비입니다. 따라서 "피난설비 - 완강기, 공기호흡기, 인공소생기"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4M위험성평가의 구성요인과 그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기계적 요인(Machine) - 점검⋅정비, 위험방호 등의 불량
  2. 작업적 요인(Media) - 안전보건교육, 지도⋅감독 등의 부족
  3. 관리적 요인(Management) - 규정⋅매뉴얼 등의 불비(不備)
  4. 인간적 요인(Man) - 리더십, 팀워크, 커뮤니케이션 등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적 요인(Media) - 안전보건교육, 지도⋅감독 등의 부족은 인간적 요인(Man)에 해당합니다. 작업적 요인은 작업환경, 작업방법, 작업기술 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작업적 요인(Media) - 안전보건교육, 지도⋅감독 등의 부족"이 잘못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하인리히(H. W. Heinrich)의 도미노 이론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소
  2. 개인적 결함
  3.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
  4. 제어의 부족(관리)
(정답률: 알수없음)
  •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을 구성하는 요소는 "사회적 환경 및 유전적 요소", "개인적 결함", "불안전한 행동 및 불안전한 상태"입니다. "제어의 부족(관리)"는 도미노 이론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하인리히의 이론에서는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제어의 부족(관리)"는 사고 예방을 위해 필요한 대응책 중 하나이지만, 도미노 이론에서는 사고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높은 장소의 작업발판에서 작업하던 작업자가 미끄러지면서 바닥에 떨어져 머리가 부딪혀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기인물과 가해물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기인물: 바닥, 가해물: 바닥
  2. 기인물: 바닥, 가해물: 작업발판
  3. 기인물: 작업발판, 가해물: 작업발판
  4. 기인물: 작업발판, 가해물: 바닥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자가 미끄러져 사망한 원인은 작업발판에서의 작업 중 미끄러져 바닥에 떨어진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인물은 작업발판이고, 가해물은 바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등액체 팽창 증기폭발(BLEVE)의 발생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 ㉤ → ㉢ → ㉠ → ㉣" 입니다.

    ㉡ 단계에서는 액체가 가열되어 증기가 생성되고, 액체와 증기가 혼합되어 압력이 증가합니다. 이어서 ㉤ 단계에서는 액체의 온도가 상승하여 압력이 더욱 증가하고, 액체의 용기가 파열하여 액체가 빠져나오게 됩니다. ㉢ 단계에서는 액체가 빠져나오면서 갑작스럽게 압력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액체가 급격히 기화되어 증기가 생성됩니다. ㉠ 단계에서는 증기가 용기를 채우면서 압력이 다시 상승하고, 마지막으로 ㉣ 단계에서는 용기가 파열하여 증기와 액체가 함께 방출되면서 폭발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에러의 분류방식에 의할 때, 예컨대 우리나라 운전자들이 일본에서 운전할 때 “일본은 차량 좌측통행”이라는 규칙을 잊고 고속도로에서 우측 차선으로 진입하는 에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규칙 기반 실수(Rule based mistake)
  2. 지식 기반 실수(Knowledge based mistake)
  3. 슬립(Slip)
  4. 랩스(Laps)
(정답률: 알수없음)
  • 일본에서의 차량 운전 규칙이 우리나라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알지 못하고 운전을 하다가 우측 차선으로 진입하는 것은 규칙을 잘못 이해하거나 기억하지 못한 것으로, 규칙 기반 실수에 해당합니다. 즉, 지식 자체가 부족한 것이 아니라, 지식을 올바르게 적용하지 못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재해발생비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하인리히(H. W. Heinrich)의 잠재된 위험의 상태 비율은 30/300이다.
  2. 버드(Frank. E. Bird Jr)의 잠재된 위험의 상태 비율은 11/641이다.
  3. 하인리히(H. W. Heinrich)는 재해의 구성 비율을 버드(Frank. E. Bird Jr)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4. 버드(Frank. E. Bird Jr)는 중상 : 경상 : 무상해 물적손실 : 무상해 아차사고 비율을 제시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버드(Frank. E. Bird Jr)는 중상 : 경상 : 무상해 물적손실 : 무상해 아차사고 비율을 제시하였다. 이는 재해 발생 시 중상, 경상, 무상해, 물적손실, 아차사고 등의 구성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상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긴급상황 발생 시 조치체계에 관한 사항
  2. 시설물의 안전과 유지관리에 필요한 기술의 연구 ㆍ개발 사항
  3. 안전점검 또는 정밀안전진단 실시 계획 및 보수 ㆍ보강 계획에 관한 사항
  4. 시설물의 설계⋅시공⋅감리 및 유지관리 등에 관련된 설계도서의 수집 및 보존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시설물의 안전과 유지관리에 필요한 기술의 연구 ㆍ개발 사항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입니다. 이유는 기술의 연구와 개발은 시설물의 안전과 유지관리를 위한 핵심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기술이나 기술의 개선은 시설물의 안전성과 유지보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계획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가연성가스는 산소와 같은 조연성가스가 있어야 연소나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다음 <보기>의 가스 중 가연성가스인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 ㉡, ㉢, ㉣
  2. ㉠, ㉡, ㉤, ㉥
  3. ㉠, ㉣, ㉤, ㉥
  4. ㉣, ㉤, ㉥
(정답률: 알수없음)
  • 가연성가스는 산소와 함께 연소나 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가스를 말한다. 따라서, 산소와 함께 존재하는 가스들 중에서 가연성가스를 찾아야 한다.

    ㉠은 질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공기이므로 가연성가스가 아니다.

    ㉡은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연성가스가 아니다.

    ㉢은 메탄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연성가스이다.

    ㉣은 프로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연성가스이다.

    ㉤은 아르곤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연성가스가 아니다.

    ㉥은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물기체이므로 가연성가스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 ㉣,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위험물질을 제조⋅취급하는 작업장과 그 작업장이 있는 건축물에 작업장 출입구 외에 대피용 비상구를 설치할 경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맞는 것은?

  1. 출입구와 같은 방향에 위치하고 출입구로부터 3미터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2. 비상구의 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높이는 1.5미터 이상으로 한다.
  3. 작업장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비상구 또는 출입구까지의 수평거리가 100미터 이하가 되게 한다.
  4. 비상구의 문은 피난 반대방향으로 열리도록 하고 실내에서 항상 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물질을 다루는 작업장에서는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피를 위한 비상구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비상구의 너비는 0.75미터 이상으로 하고 높이는 1.5미터 이상으로 하는 것은 대량의 인원이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너비가 좁거나 높이가 낮으면 대피하는 인원들이 서로 밀치거나 부딪히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질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산화성 고체
  2. 환원성 액체
  3. 자연발화성 및 금수성 물질
  4. 자기반응성 물질
(정답률: 알수없음)
  • 환원성 액체는 위험물질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환원성 액체가 산화성이 아닌 환원성이기 때문입니다. 환원성 액체는 산화제와 반응하여 화재나 폭발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안전에 주의해야 하지만, 위험물질의 범주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재해 발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직접적 원인, 간접적 원인, 근본적 원인이 있다. 다음 중 근본적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계⋅설비
  2. 윤리
  3. 기술
  4. 사회제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기계⋅설비

    설명: 근본적 원인은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나타냅니다. 기계⋅설비는 직접적 원인이나 간접적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근본적 원인은 아닙니다. 윤리, 기술, 사회제도는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했다면, 이는 기술적인 근본적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했다면, 이는 윤리적인 근본적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사회제도적인 문제가 발생했다면, 이는 사회제도적인 근본적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인간의 주의력’에 대한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동성
  2. 동시 처리성
  3. 방향성
  4. 일점 집중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변동성"입니다.

    인간의 주의력은 동시 처리성, 방향성, 일점 집중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동시 처리성은 인간이 여러 가지 정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인간은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을 동시에 활용하여 정보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간은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다중 작업 능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시 처리 능력은 인간이 생존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필수적인 능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무재해 운동의 기본이념 3대 원칙이 아닌 것은?

  1. 무(Zero)의 원칙
  2. 선취의 원칙
  3. 사업장 보호의 원칙
  4. 참가의 원칙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장 보호의 원칙은 무재해 운동의 기본이념 3대 원칙이 아닙니다. 이는 사업장 내에서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 작업자들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무재해 운동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무재해 운동의 기본이념 3대 원칙은 무, 선취, 참가의 원칙입니다. 무는 사고나 부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하며, 선취는 사고나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미리 대비하는 것을 의미하고, 참가는 모든 작업자들이 무재해 운동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사업주가 분진 등을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국소배기장치(단, 이동식은 제외)의 덕트(Duct)에 대한 안전기준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덕트 내부에 오염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이송속도를 계속 높인다.
  2. 접속부의 안쪽은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한다.
  3. 가능하면 길이는 짧게 하고 굴곡부의 수는 적게 한다.
  4. 청소구를 설치하는 등 청소하기 쉬운 구조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덕트 내부에 오염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이송속도를 계속 높인다."는 적절하지 않은 안전기준입니다. 이유는 이송속도를 계속 높이면 오염물질이 빠르게 이송되지만, 이송속도가 너무 높으면 오염물질이 덕트 내부에서 충돌하거나 분산되지 않고 쌓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이송속도를 유지하면서 청소하기 쉬운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정밀작업’의 조도기준은? (단, 갱내(坑內)작업장과 감광재료(感光材料)를 취급하는 작업장은 제외한다.)

  1. 75lux 이상
  2. 150lux 이상
  3. 200lux 이상
  4. 300lux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밀작업은 작업자가 작업을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 시력을 많이 사용하는 작업이므로, 충분한 조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따르면 정밀작업의 조도기준은 300lux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승강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에스컬레이터
  2. 승용 승강기
  3. 곤돌라
  4. 인화 공용 승강기
(정답률: 알수없음)
  • "곤돌라"는 승강기가 아닌, 건설현장에서 재료를 운반하는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승강기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근로자의 작업조건과 그에 맞는 보호구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 안전모
  2. 물체의 낙하⋅충격, 물체에의 끼임, 감전 또는 정전기의 대전(帶電)에 의한 위험이 있는 작업 - 절연용 보호구
  3. 높이 또는 깊이 2미터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작업 - 안전대(安全帶)
  4. 용접 시 불꽃이나 물체가 흩날릴 위험이 있는 작업 - 보안경
(정답률: 알수없음)
  • 근로자가 높이 또는 깊이 2미터 이상의 추락할 위험이 있는 작업을 할 때는 안전대(安全帶)를 착용해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가 추락하여 부상을 입거나 사망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보호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