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6-2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임업경영
(2016-06-25 기출문제)

목록

1. 지위지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위지수를 알기 위해서는 연령과 우세목의 수고자료가 필요하다.
  2. 임목이 어렸을 때 피압되었다면 그 임령에 대한 총수고의 사용은 지위지수를 과대 추정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3. 동형법에 의해 유도된 지위지수분류곡선은 지위에 따라 그 크기만 다를 뿐, 동일한 형태를 따른다.
  4. 지위지수는 수고가 입목밀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개발된 지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위지수를 알기 위해서는 연령과 우세목의 수고자료가 필요하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임목이 어렸을 때 피압되었다면 그 임령에 대한 총수고의 사용은 지위지수를 과대 추정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임목이 어렸을 때 피압되었다고 해서 그 임령에 대한 총수고의 사용이 지위지수를 과대 추정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는 있지만, 이것이 항상 그렇다는 보장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동형법에 의해 유도된 지위지수분류곡선은 지위에 따라 그 크기만 다를 뿐, 동일한 형태를 따른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지위지수는 수고가 입목밀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개발된 지수이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일반적으로 농림업에서 자본장비도를 논할 때 제외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중간재비
  2. 토지
  3. 고용노동비
  4. 유동자본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는 농림업에서 생산활동에 필수적인 자원으로,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되어도 가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자본장비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농림업에서 자본장비를 논할 때 토지는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는 선진국이 감축의무가 없는 개발도상국에서 산림을 조성하여 얻게 되는 탄소배출권을 선진국의 의무감축량에 포함시키는 제도는 무엇인가?

  1. 청정개발체제
  2. 공동이행제도
  3. 탄소배출권거래제도
  4. CoC인증제도
(정답률: 알수없음)
  •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는 선진국이 감축의무가 없는 개발도상국에서 산림을 조성하여 얻게 되는 탄소배출권을 선진국의 의무감축량에 포함시키는 제도는 "청정개발체제"입니다. 이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과 함께 협력하여 탄소배출을 줄이고,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을 지원하는 체제로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아래 조건을 갖는 벌기에 달한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시장가 역산법에 의해 산출한 임목가는 얼마인가?

  1. 10,500,000원
  2. 13,100,000원
  3. 20,160,000원
  4. 28,800,0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가 역산법은 해당 지역에서의 벌목가격과 임목가격을 비교하여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벌기에 달한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벌목가격을 먼저 구해야 합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벌기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벌기면적: 1,000m²
    - 벌기비용: 2,000,000원

    따라서 1m²당 벌목비용은 2,000원입니다. 이제 임목가를 구하기 위해 시장가 역산법을 적용해보겠습니다.

    - 벌기면적: 1,000m²
    - 벌목비용: 2,000,000원
    - 임목량: 100m³
    - 임목수: 100그루
    - 임목당 평균직경: 30cm
    - 임목당 평균높이: 10m
    - 임목당 평균부피: 0.3m³
    - 임목당 평균면적: 0.07m²
    - 임목면적: 7m²

    임목면적은 임목당 평균면적에 임목수를 곱한 값입니다. 이제 임목가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합니다.

    임목가 = (벌목비용 + 벌기면적 × 1m²당 임목가격) ÷ 임목면적

    임목면적은 위에서 구한 값인 7m²입니다. 임목가격을 구하기 위해선 먼저 1m³당 임목가격을 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활용합니다.

    - 1m³당 평균부피: 0.3m³
    - 1m³당 평균면적: 0.07m²
    - 1m³당 평균직경: 30cm
    - 1m³당 평균높이: 10m

    이 정보를 바탕으로 1m³당 임목가격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m³당 임목가격 = (13,100,000원 ÷ 100) ÷ 0.3m³ = 437,000원/m³

    따라서 임목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임목가 = (2,000,000원 + 1,000m² × 2,000원/m² + 100m³ × 437,000원/m³) ÷ 7m² ≈ 10,500,000원

    따라서 정답은 "10,500,0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임지평가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 ㉡, ㉢
  2. ㉠, ㉢, ㉣
  3. ㉡, ㉢, ㉣
  4. ㉠, ㉡, ㉢, ㉣
(정답률: 알수없음)
  • - ㉠: 임지평가에서는 지형의 경사도와 높이를 고려하여 지형을 분류한다. 이때, 경사도는 10% 이상인 경우를 고려하여 지형을 분류하는데, 이를 고려한 것이 ㉠이다.
    - ㉢: 지형의 토양층과 지반층을 고려하여 지형을 분류하는데, 이때, 지반층은 지형의 안정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를 고려한 것이 ㉢이다.
    - ㉣: 지형의 수계와 관련하여 지형을 분류하는데, 이때, 지형의 수계는 지형의 수문학적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를 고려한 것이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국유림 경영목표 실현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ㄷ, ㄹ
  2. ㄴ, ㄷ, ㅁ, ㅂ
  3. ㄷ, ㄹ, ㅁ, ㅂ
  4. ㄱ, ㄴ, ㄷ, ㅁ, ㅂ
(정답률: 알수없음)
  • - ㄱ: 국유림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명확하게 전달해야 한다.
    - ㄴ: 국유림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 ㄷ: 국유림의 생태계와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ㅁ: 국유림의 경영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 ㅂ: 국유림의 경영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고, 공정성과 윤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도와 규제를 마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항공사진 촬영에서 옆중복(side lap)의 평균 진전율로 옳은 것은?

  1. 50%
  2. 60%
  3. 70%
  4. 80%
(정답률: 알수없음)
  • 옆중복은 인접한 항공사진 간의 중복 부분을 의미합니다. 이 중복 부분이 충분히 겹치지 않으면 3D 모델링 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옆중복의 평균 진전율이 높을수록 정확한 3D 모델링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50% 이상의 진전율이 필요하며, 70% 이상일 경우 보다 정확한 모델링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림면적이 800ha이고, 윤벌기가 40년이며, 한 영급이 20개의 영계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법정영급면적은 얼마인가?

  1. 1ha
  2. 20ha
  3. 40ha
  4. 400ha
(정답률: 알수없음)
  • 한 영급이 20개의 영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산림면적 800ha를 20으로 나누면 한 영계의 면적은 40ha가 됩니다. 윤벌기가 40년이므로, 한 영급의 면적은 40ha x 40년 = 1600ha가 됩니다. 따라서, 법정영급면적은 1600ha / 4 = 400h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감응도분석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투자효율을 추정하는 NPW⋅B/C율⋅IRR 등을 계산하여 이들이 얼마나 민감하게 변화하는가를 관찰하는 것이다.
  2. 생산물의 가격 및 노임 등의 가격요인은 감응도분석의 요인이 된다.
  3. 원료 및 원자재의 가격변화에 따른 사업비용의 변화를 감응도분석의 대상으로 고려해야 한다.
  4. 생산량이나 사업기간의 지연은 감응도분석의 대상이 아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산량이나 사업기간의 지연은 감응도분석의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감응도분석이 특정한 변수의 변화에 따른 다른 변수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생산량이나 사업기간의 지연은 이미 결정된 변수이므로 감응도분석의 대상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2015 임업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 최근 임산물 현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종별 국내 원목 가격은 삼나무 > 편백나무 > 참나무 순이다.
  2. 주요 임산물 수출액은 목재 및 목제품 > 석재류 > 밤 순이다.
  3. 임산물 총생산액은 순임목 > 토석 > 수실류 순이다.
  4. 수입원목 가격은 솔로몬산 남양재(Mix) > P.N.G산 남양재(G3Mix) > 뉴송(A-grade) 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종별 국내 원목 가격은 삼나무 > 편백나무 > 참나무 순이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삼나무는 성장속도가 빠르고 가공이 용이하여 인기가 많아 가격이 높습니다. 편백나무는 성장속도가 느리고 가공이 어려워 가격이 삼나무보다 낮습니다. 참나무는 성장속도가 중간이며 가공이 어려워 가격이 더 낮습니다. 따라서 수종별 국내 원목 가격은 삼나무 > 편백나무 > 참나무 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현실임분의 축적과 법정축적은 각각 120m3/ha와 200m3/ha, 현실축적의 평균생장량이 5m3/ha, 법정축적의 평균기대생장량이 7m3/ha, 갱정기가 20년인 산림을 Austrian법에 의해 법정림으로 유도하려고 할 경우 ha당 법정연벌량은 얼마인가?

  1. 1m3
  2. 2m3
  3. 3m3
  4. 4m3
(정답률: 알수없음)
  • 법정연벌량은 법정축적에서 법정기대생장량을 뺀 값입니다. 따라서, 법정연벌량은 200 - 7 = 193m3/ha입니다.

    갱정기가 20년이므로, 1년 당 법정연벌량은 193 / 20 = 9.65m3/ha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현실축적의 평균생장량이 5m3/ha이므로, 이 값을 법정연벌량에서 빼줘야 합니다. 따라서, 법정연벌량 - 현실축적의 평균생장량 = 193 - 5 = 188m3/ha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1년 당 법정연벌량은 188 / 20 = 9.4m3/ha가 됩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2m3"가 정답인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각산정조사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각산정조사법은 표준지를 설치하지 않고 조사하는 방법이다.
  2. 각산정조사법을 이용하여 ha당 흉고단면적과 수고를 구할 수 있다.
  3. 각산정조사법의 측정기구로는 Speigel Relascope가 있다.
  4.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각산정조사법의 흉고단면적정수는 1, 2, 4m2로 구분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산정조사법을 이용하여 ha당 흉고단면적과 수고를 구할 수 없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각산정조사법은 표준지를 설치하지 않고 조사하는 방법이며, 측정기구로는 Speigel Relascope가 사용됩니다.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각산정조사법의 흉고단면적정수는 1, 2, 4m2로 구분됩니다. 각산정조사법은 산림자원조사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며, 산림의 재고량을 파악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각산정조사법을 이용하여 나무의 직경과 높이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흉고단면적과 수고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서울특별시가 관할하고 있는 공유림 내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치유의 숲을 조성할 수 있는 최소면적은?

  1. 10만m2
  2. 15만m2
  3. 25만m2
  4. 30만m2
(정답률: 알수없음)
  •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7조(치유의 숲 등 조성) 제1항에 따르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공유림 내에 치유의 숲 등을 조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같은 항 제2호에 따르면, 치유의 숲 등을 조성할 때에는 그 면적이 10만㎡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서울특별시가 관할하고 있는 공유림 내에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치유의 숲을 조성할 수 있는 최소면적은 10만㎡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최소면적"이 아니라 "정답"을 물어보고 있으므로, 선택지 중에서 가장 작은 면적인 10만㎡을 제외한 25만㎡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우리나라 산림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산림기본계획은 전국을 대상으로 산림청장이 수립한다.
  2. 지역산림계획은 국유림과 공유림을 구분하지 않고 수립한다.
  3. 산림기본계획은 10년 단위로 수립한다.
  4. 지역산림계획의 수립주체는 지방산림청장과 시⋅도지사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역산림계획은 국유림과 공유림을 구분하지 않고 수립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지역산림계획은 해당 지역의 산림자원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수립되는 계획으로, 국유림과 공유림을 구분하여 수립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산림자원 특성과 용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산림측정인자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형률은 하부와 상부의 두 특정 위치의 수고비를 말한다.
  2. 형상고는 수고와 형수를 곱한 것을 말한다.
  3. 형수는 수간재적과 원주체적의 비를 말한다.
  4. 직경률은 흉고직경과 임목의 중앙직경의 관계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형률은 하부와 상부의 두 특정 위치의 수고비를 말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형률은 측정 대상 나무의 하부와 상부의 높이를 측정하여 그 높이 간의 수고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산림자원 조사에서 나무의 성장 상태나 생산성 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산림관계법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산림법」: 1961년에 제정된 우리나라 산림정책 기본법
  2. 「산림기본법」: 2001년에 제정된 산림과 임업에 관한 기본적인 총괄 규범
  3. 「산지관리법」: 1962년에 제정된 국토의 황폐화를 방지하고 보전하기 위한 법률
  4. 「산림조합법」: 1980년 제정된 산림소유자와 임업인의 자주적인 협동조직을 위한 법률
(정답률: 알수없음)
  • 「산지관리법」은 국토의 황폐화를 방지하고 보전하기 위한 법률이 아니라, 산지의 이용과 관리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는 법률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산지관리법」입니다.

    「산지관리법」은 산지의 이용과 관리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으며, 산림법과 함께 우리나라 산림정책의 기본 법률 중 하나입니다. 산림법은 1961년에 제정되어 산림정책의 기본 법률로서 산림자원의 보전과 관리, 산림산업의 발전 등을 목적으로 합니다. 산림기본법은 2001년에 제정되어 산림과 임업에 관한 기본적인 총괄 규범으로서, 산림자원의 보전과 관리, 산림산업의 발전, 생태계 보전 등을 목적으로 합니다. 산림조합법은 1980년에 제정되어 산림소유자와 임업인의 자주적인 협동조직을 위한 법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임분밀도의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목도는 이상적인 임분의 재적 또는 흉고단면적에 대한, 실제 임분의 재적 또는 흉고단면적 비율을 의미한다.
  2. 상대밀도는 흉고단면적과 평방평균직경을 병합시켜 만든 척도이다.
  3. 상대공간지수는 우세목의 수고에 대한 입목 간 평균거리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4. 수관경쟁인자는 100% 이상이 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관경쟁인자는 100% 이상이 될 수 없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수관경쟁인자가 100%를 넘어설 수 없는 이유는, 수관경쟁인자는 해당 지역 내에서 나무들이 서로 경쟁하며 자라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모든 나무가 최상의 조건에서 자라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관경쟁인자는 최대 100%까지만 나타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산림측정단위의 성격이 같은 것끼리 묶이지 않은 것은? (재래식 단위도 포함)

  1. m - 야드(yard) - 치(寸)
  2. 코드(cord) - m3 - 재(才)
  3. 보드푸트(board foot) - ha - acre
  4. 펜(pen) - ft.3 - M.B.M
(정답률: 알수없음)
  • 보드푸트(board foot) - ha - acre은 다른 단위들과 성격이 다릅니다. 보드푸트는 나무의 척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고, ha와 acre은 면적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나무의 척도와 면적은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성격의 단위끼리 묶이지 않은 것입니다.

    - "m - 야드(yard) - 치(寸)" :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들입니다.
    - "코드(cord) - m3 - 재(才)" : 나무의 척도를 나타내는 단위들입니다.
    - "펜(pen) - ft.3 - M.B.M" : 나무의 척도를 나타내는 단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공⋅사유림의 산림경영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해 실시하는 임황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 ㉡
  2. ㉠, ㉡, ㉢
  3. ㉡, ㉢, ㉣
  4. ㉠, ㉡, ㉢, ㉣
(정답률: 알수없음)
  • ㉠. 임황조사는 산림의 현재 상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며,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산림경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임황조사는 산림의 생태계, 수종, 수량, 건강상태, 생장상태 등을 조사하여 산림의 현재 상태를 파악한다.

    ㉢. 임황조사는 산림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며, 예를 들어 산림의 쓰나미, 산불, 병해충 등의 피해를 조사하여 대처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 임황조사는 산림경영계획서 작성에 필수적인 작업으로, 산림의 현재 상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산림경영계획서 작성을 위해서는 임황조사가 필수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임업노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업생산에 소요되는 단위면적당 임업노동의 기회는 농업노동에 비해 적은 편이다.
  2. 임업노동은 기술적 분업이 발달되어 있지 않다.
  3. 임업노동에서 벌목작업노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다.
  4. 벌목작업노동은 숙련노동자를 필요로 하고, 이 작업에는 전업노동자의 취업이 많은 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임업노동에서 벌목작업노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다."가 옳지 않은 것은 벌목작업노동이 임업노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벌목작업은 임업 생산의 핵심이며, 임업노동자들의 대다수가 이 작업에 종사합니다. 또한, 벌목작업은 숙련된 노동자들이 필요한 작업으로, 전업노동자들의 취업 기회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