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7-02)

유통관리사 1급
(2017-07-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유통경영

1. 카플란(Kaplan)과 노튼(Norton)이 제시한 균형성과표(BSC : Balanced ScoreCard)의 4가지 관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무적 관점
  2. 생산적 관점
  3. 내부 프로세스 관점
  4. 학습 및 성장 관점
  5. 고객관점
(정답률: 알수없음)
  • 생산적 관점은 BSC의 4가지 관점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BSC의 4가지 관점은 재무적 관점, 고객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 및 성장 관점입니다. 따라서, "생산적 관점"은 옳지 않은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유통산업발전법에서 규정된 조항들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영점형 체인사업이란 체인본부가 주로 소매점포를 직영하되, 가맹계약을 체결한 일부 소매점포에 대하여상품의 공급 및 경영지도를 계속하는 형태의 체인사업 을말한다.
  2. 임의가맹점형 체인사업이란 체인본부의 계속적인 경영지도 및 체인본부와 가맹점 간의 협업에 의하여 가맹점의 취급품목·영업방식 등의 표준화사업과 공동구매·공동판매·공동시설활용 등 공동사업을 수행하는 형태의 체인사업을 말한다.
  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을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를 거쳐 세워야 한다.
  4.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등을 효율적으로 수립·추진하기 위하여 유통산업에 대한실태조사를 할 수 있다.
  5.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대규모점포 등 개설자가 대규모점포 등의 영업을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계속하여 휴업한 경우 그 등록을 취소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을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를 거쳐 세워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유통산업발전법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매년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을 세우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이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를 거쳐 세우도록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대규모점포 등 개설자가 대규모점포 등의 영업을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계속하여 휴업한 경우 그 등록을 취소하여야 한다."의 경우, 대규모점포 등이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휴업하는 것은 유통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등록을 취소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내용으로 규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복지후생 방안은?

  1. 필수식 복지후생
  2. 유연식 복지후생
  3. 카페테리아식 복지후생
  4. 참여식 복지후생
  5. 자율식 복지후생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회사 내부에 카페테리아가 있어서 직원들이 식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카페테리아식 복지후생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재고조사방법 중 계속기록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말재고액은 기초재고액에 당기매입액을 합한 뒤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계산한다.
  2. 저가상품을 대량으로 취급할 경우 유용하다.
  3. 장부상 재고기록이 정확하게 유지된다는 장점이 있다.
  4. 실지재고조사법보다 실무상 기록면에서 불편할 수 있다.
  5. 재고자산의 매출원가를 수시로 추정하는데 용이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가상품을 대량으로 취급할 경우 유용하다."라는 설명은 옳은 것이다. 이유는 저가상품은 개별적으로 계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계속기록법을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임금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무급은 종업원이 맡은 직무의 상대적 가치에 따라 임금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2. 연봉제란 개인의 능력발휘와 기여도(업적평가결과)에 따라 차등적인 임금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3. 직무성과급이란 기본급이 직무급이고, 고과승급과 인센티브를 운영하는 임금체계이다.
  4. 직능급은 종업원이 수행하는 직무의 난이도를 기준으로 임금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5. 연공급이란 임금을 종업원의 근속년수를 기준으로 차별화하여 결정하는 제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능급은 종업원이 수행하는 직무의 난이도를 기준으로 임금을 결정하는 방식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직능급은 종업원의 기술, 경험, 역량 등을 기준으로 임금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소매점포내 종업원간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문제해결 : 갈등의 원인이 되는 문제를 공동으로 해결하게 함
  2. 상위목표 제시 : 갈등 당사자간 함께 추구해야 할 상위목표를 제시함
  3. 공동의 적 제시 : 갈등 당사자에게 공동의 적을 확인해주고 이를 강조함
  4. 협상 : 갈등 당사자들이 서로 다른 선호를 가지고 있을 때 공동의 결정을 해나감
  5. 성과통제 : 갈등 당사자들을 대상으로 행위보다는 성과평가를 엄격하게 함
(정답률: 알수없음)
  • "성과통제 : 갈등 당사자들을 대상으로 행위보다는 성과평가를 엄격하게 함"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과통제보다는 협상, 상위목표 제시, 공동의 적 제시, 문제해결 등의 방법이 더 효과적입니다. 성과통제는 갈등 당사자들의 강압적인 통제로 인해 더 큰 갈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 )안에 들어갈 성과평가 평정오류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후광오류, ㉡ 중앙집중오류
  2. ㉠ 관대화오류, ㉡ 분포오류
  3. ㉠ 비체계적오류, ㉡ 체계적오류
  4. ㉠ 대비오류, ㉡ 관대화오류
  5. ㉠ 경적효과오류, ㉡ 복제오류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인물의 머리 주변에 나타난 후광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데, 이를 인식하여 후광오류가 발생한 것이고, 중앙집중오류는 인물의 얼굴 중앙에 위치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더 밝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여 발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학습이론의 하나인 작동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행위수정(behavior modification)
  2. 보상과 강화
  3. 스키너(B. F. Skinner)
  4.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
  5.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
(정답률: 알수없음)
  • 작동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와 관련이 없는 것은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이다.

    조건자극(conditioned stimulus)은 원래는 아무런 반응을 일으키지 않았지만, 일정한 조건 하에서 다른 자극과 함께 연결되어 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자극을 말한다. 반면, 무조건자극(unconditioned stimulus)은 어떠한 조건도 필요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을 말한다.

    따라서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은 작동적 조건화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이며, 작동적 조건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행위수정(behavior modification)", "보상과 강화", "스키너(B. F. Skinner)",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는 모두 작동적 조건화와 관련된 개념이다. 행위수정은 원하는 행동을 강화하고 원하지 않는 행동을 억제하는 방법을 말하며, 보상과 강화는 원하는 행동을 강화하는 것을 말한다. 스키너는 작동적 조건화 이론을 제시한 학자 중 한 명이며,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는 작동적 조건화에서 사용되는 강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각 의사결정모형에 대한 설명이다.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모두 몇 개인가?

  1. 0개
  2. 1개
  3. 2개
  4. 3개
  5. 4개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의사결정모형에 대한 설명을 살펴보면,

    1.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 후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모형 : 이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한 후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정보 수집과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불확실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분적으로 옳지만 완전히 옳지는 않다.

    2. 결정을 내리기 전 가능한 모든 대안을 고려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여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모형 : 이는 가능한 모든 대안을 고려하고 결과를 예측하여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모든 대안을 고려하고 결과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다.

    3.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안을 평가하여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모형 : 이는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안을 평가하여 최적의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현실적으로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사결정 모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다.

    4.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고 대안을 선택하는 모형 : 이는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고 대안을 선택하는 것으로, 현실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모형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지 않다.

    따라서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개가 아닌 1개와 3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조직내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는 사슬형(chain type), 원형(circle type), Y형(Y- type), 수레바퀴형(wheel of star type),완전연결형(all channeltype) 등이 있다. 이중 수레바퀴형 네트워크에 대한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원화되어 있는 계통을 통해서 최고경영자의 의사가일선 작업자에게까지 전달된다.
  2. 리더에게 정보가 집중되어 구성원간에 정보공유가 안되는 단점이 있다.
  3. 그레이프바인(grapevine)과 같은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이 좋은 예이다.
  4. 집단내에서 특정의 리더가 없이 비공식적 의견선도자가 있을 경우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이다.
  5. 위원회조직이나 태스크포스(task force) 같이 권한의집중이나 지위의 고하가 크게 문제되지 않는 조직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레바퀴형 네트워크는 리더에게 정보가 집중되어 구성원간에 정보공유가 안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정보가 리더를 통해서만 전달되기 때문에 다른 구성원들끼리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보가 누락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 )안에 들어갈 용어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일관성, ㉡ 구성타당성
  2. ㉠ 신뢰성, ㉡ 판별타당성
  3. ㉠ 일관성, ㉡ 내용타당성
  4. ㉠ 신뢰성, ㉡ 예측타당성
  5. ㉠ 안정성, ㉡ 수렴타당성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은 신뢰성과 예측타당성을 평가하는 검사 방법 중 하나인 반복 측정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 신뢰성, ㉡ 예측타당성"입니다.

    신뢰성은 동일한 검사를 반복하여 얻은 결과가 얼마나 일관성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동일한 검사를 반복하여 얻은 결과가 거의 일치하고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측타당성은 검사 결과가 실제로 예측하려는 대상과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검사 결과가 예측하려는 대상과 거의 일치하고 있으므로 예측타당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양한 종업원 보상프로그램 중 부가 급부(fringe benefit) 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병가
  2. 유급휴가
  3. 연금제도
  4. 주식매입선택권
  5. 건강보험제도
(정답률: 알수없음)
  • 부가 급부(fringe benefit)란 급여 이외의 혜택으로서, 회사에서 종업원에게 제공하는 여러 가지 혜택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주식매입선택권"은 종업원에게 주식을 매입할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으로, 급여 이외의 혜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주식매입선택권은 부가 급부(fringe benefit)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재무비율 중에서 기업의 안정성과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비율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는 것은?

  1. 레버리지비율
  2. 투자성비율
  3. 수익성비율
  4. 성장성비율
  5. 활동성비율
(정답률: 알수없음)
  • 레버리지비율은 기업의 부채와 자본의 비율을 나타내는 비율로, 높은 레버리지비율은 기업의 부채가 많아서 안정성이 떨어지고, 이자 지급능력이 떨어질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기업의 안정성과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비율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태도(attitude)를 다차원적 개념으로 접근할 경우, 3가지구성요소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인지(cogni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행동(behavior)적 요소
  2. 지각(percep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평가(evaluation)적 요소
  3. 인지(cogni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평가(evaluation)적 요소
  4. 지각(perception)적 요소 - 인지(cognition)적 요소 - 행동(behavior)적 요소
  5. 지각(percep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행동(behavior)적 요소
(정답률: 알수없음)
  • 인지(cognition)적 요소는 개인이 사물이나 상황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하며, 감정(affection)적 요소는 개인의 감정, 감성, 기분 등을 나타내며, 행동(behavior)적 요소는 개인의 행동, 행위, 행동 의도 등을 나타냅니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개인의 태도를 형성하고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지(cognition)적 요소 - 감정(affection)적 요소 - 행동(behavior)적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노사협의제와 단체교섭을 비교하여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에서 옳지 않은 내용은 "㉢"입니다.

    노사협의제는 노동자와 사업주가 서로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며, 단체교섭은 노동조합과 사업주가 직접 대화하여 노동조건 등을 협상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노사협의제와 단체교섭은 서로 다른 개념이며, 비교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는 옳지 않은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한 번 학습된 것은 다른 쪽으로도 전이되어 그곳의 학습을 돕는다는 것을 학습의 전이라고 한다. 학습의전이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평적 전이
  2. 부정적 전이
  3. 인과적 전이
  4. 연속적 전이
  5. 수직적 전이
(정답률: 알수없음)
  • 인과적 전이는 이전에 학습한 지식이 새로운 학습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유형들과는 달리 학습의 내용이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전에 수학 문제를 푸는 방법을 학습한 후 새로운 수학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이전에 학습한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인과적 전이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사례 내용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동기부여이론은?

  1. 매슬로우(Maslow)의 욕구단계이론
  2. 알더퍼(Alderfer)의 ERG 이론
  3. 허즈버그(Herzberg)의 2요인 이론
  4. 맥클리랜드(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5. 브룸(Vroom)의 기대이론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사례에서는 직원들이 물질적 보상보다는 사회적 인정과 자아실현 등의 심리적 욕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에 따라 알더퍼의 ERG 이론이 가장 관련성이 높습니다. ERG 이론은 욕구를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며, 물질적 욕구, 사회적 욕구, 자아실현 욕구가 포함됩니다. 또한 이 이론은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불만족과 관련된 개념인 FRUSTRATION-REGRESSION HYPOTHESIS를 제시합니다. 이에 따라 이 회사의 직원들이 물질적 보상보다는 사회적 인정과 자아실현 등의 심리적 욕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므로, 알더퍼의 ERG 이론이 가장 관련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통기업의 경영자에게 요구되는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의 본보기가 될 수 있도록 행동하여 부하들로부터 존경과 신뢰를 받는다.
  2.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에게 일에 대한 의미와 도전을 제공하여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3.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로 하여금 새로운 아이디어와창의적 문제해결을 요구하며, 부하들이 문제해결과정에 참여하도록 한다.
  4.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을 개인적으로 지도하면서 부하 개개인의 발전 및 성장에 대한 욕구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다.
  5.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에게 보상과 처벌을 통한동기부여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혁적 리더들은 부하들에게 보상과 처벌을 통한 동기부여 방법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내용이다. 변혁적 리더십은 부하들에게 의미와 도전을 제공하고 창의적 문제해결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개인적인 발전과 성장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는 등 보상과 처벌보다는 보다 인간적인 측면에 초점을 둔 리더십 스타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학습조직이론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가, 나
  2. 나, 다
  3. 다, 라
  4. 가, 나, 다
  5. 가, 나, 다, 라
(정답률: 알수없음)
  • - 학습조직이론은 조직 내에서 학습과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강조한다.
    - 학습조직이론의 핵심은 조직 내부의 개인들이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발전해 나가는 것이다.
    - 따라서, 학습조직이론은 조직 내부의 개인들의 학습과 발전을 위한 조직문화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를 위해 조직 내부의 지식공유, 문제해결, 협력 등이 강조된다.
    - 따라서, "다, 라"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내용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준변동비
  2. 준고정비
  3. 고정비
  4. 변동비
  5. 비대칭 변동비 물류경영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비용의 분류에 대한 것이다. "준고정비"는 생산량이 일정 범위 내에서 변화해도 크게 변하지 않는 비용으로, 생산량이 증가하면 단위당 비용이 감소하고 생산량이 감소하면 단위당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준고정비"는 생산량이 증가하더라도 그래프의 기울기가 크게 변하지 않는 부분으로 표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물류경영

21. 재고의 공간적 배치와 관련된 기능으로, 물류거점별로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형태별 분류와 배송을 가능하게 해 주는 재고관리의 기능은?

  1. 유통가공기능
  2. 경제적발주기능
  3. 운송합리화기능
  4. 수급적합기능
  5. 생산의 계획 및 평준화기능
(정답률: 알수없음)
  • 재고의 공간적 배치와 관련된 기능으로, 물류거점별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형태별 분류와 배송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 운송합리화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재고를 효율적으로 운송하고 배송하는 것으로, 물류비용을 절감하고 고객만족도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컨테이너(Container) 종류 중 무엇에 대한특징을 설명한 것인가?

  1. 서멀 컨테이너(Thermal Container)
  2. 사이드 오픈 컨테이너(Side Open Container)
  3. 오픈 톱 컨테이너(Open Top Container)
  4. 플랫 랙 컨테이너(Flat Rack Container)
  5. 드라이 벌크 컨테이너(Dry Bulk Container)
(정답률: 알수없음)
  • 플랫 랙 컨테이너는 상단과 하단이 없이 양쪽에만 기둥이 있어서 큰 물건이나 기계류 등을 수송할 때 사용되며, 상하부가 열려 있어서 크기가 큰 물건도 쉽게 적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운송(transportation)에서 수요지, 공급지, 수요량, 공급량 등이 다음과 같을 때 최소비용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총 운송비용은?

  1. 20,500원
  2. 21,000원
  3. 21,500원
  4. 22,000원
  5. 22,500원
(정답률: 알수없음)
  • 최소비용법은 각 경로별로 비용을 계산하여 가장 적은 비용을 가지는 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각 경로별로 비용을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 A → X : 500원
    - A → Y : 700원
    - B → X : 400원
    - B → Y : 600원
    - C → X : 300원
    - C → Y : 200원

    이 중에서 가장 적은 비용을 가지는 경로는 C → Y 경로이다. 이 경로를 선택하면 총 운송비용은 300원 × 100개 + 200원 × 200개 = 20,5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5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하역에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역은 물품의 생산과 소비의 거리를 조정하여 시간적 효용을 창출한다.
  2. stacking은 보관위치에서 물품을 쌓는 작업이다.
  3. picking은 보관장소에서 물건을 꺼내는 작업이다.
  4. loading & unloading은 운송기기 등에 화물을 싣고 내리는 것이다.
  5. sorting은 화물을 품종별, 발송처별, 고객별 등으로 나누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하역은 물품의 생산과 소비의 거리를 조정하여 시간적 효용을 창출한다."가 옳은 내용이다. 하역은 물류 작업 중 하나로, 물품을 운송하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물품의 생산과 소비의 거리를 조정하여 시간적 효용을 창출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하역과 관련된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파렛트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우리나라 국가표준일관 파렛트 중 T-11은 가로X세로길이가 1,100mm X 1,100mm이다.
  2. 우리나라 국가표준일관 파렛트 중 T-12은 가로X세로길이가 1,200mm X 1,200mm이다.
  3. 파렛트를 사용하면 하역 및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화물파손방지를 통한 물품보호효과도 있다.
  4. 파렛트를 사용하면 비용이 소요되며, 화물 무너짐 방지대책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5. 화물이 발송인으로부터 수취인에게 인도될 때까지 전 운송과정을 일관되게 파렛트로 운송하는 것을일관 파렛트화(palletization)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국가표준일관 파렛트 중 T-12은 가로X세로길이가 1,200mm X 1,200mm이다."가 옳은 내용이므로, 이는 옳지 않은 것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 )에 알맞은 SCM 기법은?

  1. QR(Quick Response)
  2.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3. ECR(Efficient Consumer Response)
  4. CMI(Computer Managed Inventory)
  5. Cross Docking
(정답률: 알수없음)
  • QR 코드는 제품 정보를 빠르게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어서, 물류 및 재고 관리에서 효율적인 SCM 기법으로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BPR은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 ECR은 효율적인 공급망 관리, CMI는 컴퓨터 기반 재고 관리, Cross Docking은 물류 처리 방식에 대한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물류관련 용어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 ㉢
  2. ㉢, ㉣
  3. ㉣, ㉤
(정답률: 알수없음)
  • - ㉠: 배송 중인 상품을 받는 사람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 ㉣: 상품을 보관하고 처리하는 창고
    - ㉡, ㉢: 상품을 운송하는 차량
    - ㉢, ㉣: 상품을 보관하고 처리하는 창고와 상품을 운송하는 차량 간의 이동
    - ㉣, ㉤: 상품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따라서, 물류 관련 용어 중 "㉣"은 상품을 보관하고 처리하는 창고를 의미하며, 물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재고에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고량이 일정수준에 도달하였을 때 일정량을 주문하여 재고관리하는 방식은 정량발주방법이다.
  2. 정해진 일정기간이 되었을 때 수요량에 맞는 양을 주문하여 재고관리하는 방식은 정기발주법이다.
  3. 정기발주법은 발주시기는 일정하나 발주량이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주량 결정이 중요하다.
  4. 재고를 관리·유지하는데 발생되는 이자, 창고료, 보험료, 세금 등은 재고유지비용이다.
  5. 안전재고량은 ‘안전계수 X 수요의 표준편차 X조달기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정기발주법은 발주시기는 일정하나 발주량이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주량 결정이 중요하다."이다.

    안전재고량은 수요의 예측오차나 공급지연 등으로 인해 재고가 부족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지하는 재고량을 말한다. 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안전계수 X 수요의 표준편차 X 조달기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예측오차나 공급지연 등의 위험을 고려하여 적정한 안전재고량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물류공동화의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주 측면 : 물류비용 절감
  2. 물류업자 측면 : 안정적 경영기반확보 가능
  3. 사회적 측면 : 공차율 증가와 적재율 향상에 따른 운행대수 감소로 교통체증 감소
  4. 화주 측면 : 판매영업 등 본연의 업무에 전념할 수 있음에 따라 영업력이 강화되거나 경영개선 촉진가능
  5. 물류업자 측면 : 계획적인 물류업무수행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공동화의 효과 중 옳지 않은 것은 "사회적 측면 : 공차율 증가와 적재율 향상에 따른 운행대수 감소로 교통체증 감소"입니다. 이는 공차율 증가와 적재율 향상으로 인해 더 많은 화물이 한 번에 운송될 수 있어 운행대수가 감소하므로 교통체증이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물류정책기본법에서 규정하는 ‘물류사업’의 정의부분이다. (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 유상
  2. ㉡ 국제물류주선업
  3. ㉢ 물류시설운영업
  4. ㉣ 물류서비스업
  5. ㉤ 종합물류서비스업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유상"이다. 물류사업의 정의에는 유상운송과 무상운송이 포함되어 있지만, 국제물류주선업은 국내외 물류업체 간의 물류서비스를 중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직접적인 물류운송이나 물류시설운영을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은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물류센터 운영 효과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효과적인 배송체제 구축
  2. 공장과 물류센터 간에 대량 및 계획운송을 통한운송비 절감효과
  3. 물류거점의 조정을 통해 중복운송이나 교차운송 방지
  4. 과잉재고 및 재고편재 방지
  5. 물류센터를 판매거점화하면 제조업체의 직판체제확립은 가능하나, 유통경로는 복잡해지고 길어지는 문제 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센터를 판매거점화하면 제조업체의 직판체제확립은 가능하나, 유통경로는 복잡해지고 길어지는 문제 발생은 옳지 않은 내용이다. 이는 물류센터를 판매거점화하면 유통경로가 간소화되어 더욱 효율적인 물류체계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3PL(Third Party Logistics) 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것은?

  1. 3PL이란 화주기업이 물류서비스의 향상, 물류비용절감, 물류활동 효율향상 등을 목적으로 물류활동 일부나 전부를 제3의 업체에게 위탁하는 것이다.
  2. 3PL에 물류를 위탁하는 회사는 물류를 위탁함으로써 그 회사 본연의 사업에 집중할 수 있다.
  3. 3PL 제공자들은 물류정보기술과 장비를 보유하기 때문에 고객의 필요성에 빠르게 부응할 수 있다.
  4. 물류가 회사의 핵심경쟁력의 하나인 경우라면 모든 물류활동을 3PL에 위탁하는 것이 좋다.
  5. 3PL을 사용할 경우 특정한 기능의 아웃소싱에서 오는 통제 상실이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류가 회사의 핵심경쟁력의 하나인 경우라면 모든 물류활동을 3PL에 위탁하는 것이 좋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모든 회사가 물류를 핵심경쟁력으로 여기지 않기 때문이다. 일부 회사들은 물류를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회사의 상황에 따라 3PL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해상운송이 포함되지 않는 운송형태를 모두 고르면?

  1. ㉠, ㉡
  2. ㉡, ㉢
  3. ㉠, ㉡, ㉢
  4. ㉡, ㉢, ㉣
(정답률: 알수없음)
  • 해상운송이 포함되지 않는 운송형태는 "항공운송"과 "육상운송" 두 가지이다. 따라서, "㉠"는 항공운송만을 포함하고, "㉡"은 육상운송만을 포함한다. 따라서, "㉠, ㉡"는 해상운송이 포함되지 않는 운송형태를 모두 고르는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VMI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Visual Managed Inventory의 약자이다.
  2. 공급업체의 재고보충권한을 유통업체에게 이관하여 유통업체가 공급업체 창고의 재고수준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3. 공급업체가 유통업체의 재고정보를 공유하여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재고보충을 한다.
  4. VMI로 인해 재고관리비용이 감소될 수 있으나 발주·입고·재고관리 등의 오류감소로 인한 관리업무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5. 구조화된 형태의 데이터인 표준전자문서를 컴퓨터와 컴퓨터 간에 교환하여 재입력과정 없이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전달방식을 의미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공급업체가 유통업체의 재고정보를 공유하여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재고보충을 한다." 이다. VMI는 공급업체와 유통업체 간의 협력적인 재고관리 방식으로, 공급업체가 유통업체의 재고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시점에 적절한 수량을 보충함으로써 재고 관리 비용을 감소시키고 재고 부족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보관과 관련한 각종 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통로대면 보관의 원칙 : 물품 입출고가 용이하도록 통로에 접하도록 보관한다.
  2. 회전대응보관의 원칙 : 재고회전율에 맞게 입출하 빈도가 높은 물품은 출구 가까이 배치한다.
  3. 동일성의 원칙 : 동일품목이나 유사품목은 동일장소에 보관한다.
  4. 형상특성의 원칙 : 표준품은 컨테이너에, 비표준품은선반이나 용기에 보관한다.
  5. 선입선출의 원칙 : 먼저 입고시킨 물건을 먼저출고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형상특성의 원칙 : 표준품은 컨테이너에, 비표준품은 선반이나 용기에 보관한다. - 이 원칙은 옳은 원칙이다. 이유는 표준품은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컨테이너에 보관하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비표준품은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선반이나 용기에 보관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물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고객서비스를 구현하기위해 고려해야 하는 물류의 7R원칙으로만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다, 라
  2. 가, 나. 라, 바
  3. 다, 라, 마, 바
  4. 가, 나, 라, 마, 바
  5. 가, 나, 다, 라, 마, 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가, 나. 라, 바" 입니다.

    7R원칙은 Right product, Right quantity, Right condition, Right place, Right time, Right customer, Right cost의 일곱 가지 원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다"와 "마"는 7R원칙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가, 나. 라, 바"는 모두 7R원칙에 포함되어 있으며, 각각 Right product, Right quantity, Right place, Right cost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들을 바르게 짝지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기업물류비 산정지침에 따른 물류비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옳은 것은?

  1. 기능별 분류 : 자가물류비, 위탁물류비
  2. 영역별 분류 : 운송비, 보관비, 포장비, 하역비, 물류정보 및 관리비
  3. 지급형태별 분류 : 재료비, 노무비, 경비, 이자
  4. 세목별 분류 : 조달물류비, 사내물류비, 판매물류비
  5. 조업도별 분류 : 고정물류비, 변동물류비
(정답률: 알수없음)
  • 조업도별 분류는 물류비를 고정물류비와 변동물류비로 분류하는 것으로, 물류작업의 종류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물류작업의 특성에 따라 고정적으로 발생하는 비용과 변동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조업도별 분류가 옳은 분류체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물류시스템을 구성하는 각종 요소의 규격과 치수에 관한기준을 표준화하는 물류모듈(Physical Distribution Module)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포장모듈화는 개장치수, 외장치수 같은 포장치수모듈화를 말한다.
  2. 운송모듈화는 트럭이나 화차 같은 운송단위의 모듈화를 말한다.
  3. 분배모듈화는 컨테이너나 파렛트 같은 용기모듈화를 말한다.
  4. 보관모듈화는 창고나 물류센터 같은 보관단위의 모듈화를 말한다.
  5. 하역모듈화는 하역시설과 장비의 모듈화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분배모듈화는 용기나 파렛트와 같은 운송단위의 모듈화를 말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올바른 설명은 "분배모듈화는 물류센터나 매장과 같은 분배단위의 모듈화를 말한다."이다.

    분배모듈화는 물류센터나 매장과 같은 분배단위의 모듈화를 말한다. 이는 제품을 분류하고 저장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모듈화이다. 포장모듈화는 제품의 포장단위를 모듈화하는 것이며, 운송모듈화는 트럭이나 화차와 같은 운송단위의 모듈화를 말한다. 보관모듈화는 창고나 물류센터와 같은 보관단위의 모듈화를 말하며, 하역모듈화는 하역시설과 장비의 모듈화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재고결정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주문처리시간이 길고 사용률이 높고 서비스기준이 높을수록 재주문점이 낮아야 한다.
  2. 재고유지비, 주문비를 고려하여 적정주문량을 결정하는데 총 재고비용이 최대가 되는 점이 최적주문량이 된다.
  3. 최적재고량은 EOQ(Economic Order Quantity)공식을 사용함으로써 알 수 있다.
  4. EOQ는 1회 주문비와 단위당 재고유지비가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실제 업무와는 차이가 있다.
  5. EOQ 공식은 간단한 공식을 통해 쉽게 산출할 수 있다는 이점 덕분에 소매업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으나 제조업체나 대형도매업자에게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EOQ는 1회 주문비와 단위당 재고유지비가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실제 업무와는 차이가 있다." 이다. 이유는 실제 업무에서는 주문처리시간, 사용률, 서비스기준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EOQ 공식으로 계산한 적정주문량이 항상 최적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업무에서는 EOQ 공식을 참고하면서도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적정주문량을 결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물류합리화의 대상 중 하나인 포장의 개선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포장의 합리화는 적정포장의 토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2. 국내외에서 생산·유통되는 각종 포장용기의 규격을 표준화해야 한다.
  3. 포장의 보호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사양의 변경을 통해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
  4. 포장작업의 집중화보다 분산화를 통해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
  5. 단기적, 부분적 개선이라도 규격화를 지향하는 전체시스템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포장작업의 집중화보다 분산화를 통해 유연성을 높여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없다. 이 설명은 포장 작업을 한 곳에서 집중적으로 처리하는 것보다 여러 곳에서 분산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는 예를 들어, 제품을 생산하는 곳과 판매하는 곳이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포장 작업을 생산 공장에서 집중적으로 처리하면 운송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게 되지만, 분산적으로 처리하면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상권분석

41. 상권분석 기법의 하나로 점포선택행동을 확률적 현상으로 보는 Huff모델과 관련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정 점포의 효용이 다른 점포들의 효용보다 크면 효용이 큰 점포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2. 소비자로부터 점포까지의 이동거리는 소요시간으로 대체하여 계산하기도 한다.
  3. 공간상에서 소매상권이 연속적이고 중복적인 성격이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4. 조사지역 개별 소비자의 점포 이용자료 보다는 평균적이고 객관적인 통계자료를 이용한다.
  5. 점포면적 및 거리에 대한 민감도계수는 상권마다소비자의 구매행동 자료를 통해 추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지역 개별 소비자의 점포 이용자료 보다는 평균적이고 객관적인 통계자료를 이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개별 소비자의 이용자료는 특정한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균적이고 객관적인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소매포화지수(IRS)와 시장성장잠재력지수(MEP)에 대한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매포화지수는 한 시장지역 내에서 특정 소매업태의소비자 1인의 잠재수요크기이다.
  2. 시장성장잠재력지수는 지역시장이 현재 창출하고 있는 시장수요측정 지표이다.
  3. 소매포화지수가 크면 시장의 포화정도가 높아 아직 경쟁이 치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4. 소매포화지수는 작을수록 신규점포에 대한 시장잠재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5. 상권내 거주자들의 지역외구매(outshopping) 정도가 높을수록 시장성장잠재력지수가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상권내 거주자들의 지역외구매(outshopping) 정도가 높을수록 시장성장잠재력지수가 커진다." 이다.

    소매포화지수는 한 시장지역 내에서 특정 소매업태의 소비자 1인의 잠재수요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소매포화지수가 크면 시장의 포화정도가 높아 아직 경쟁이 치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매포화지수가 작을수록 신규점포에 대한 시장잠재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시장성장잠재력지수는 지역시장이 현재 창출하고 있는 시장수요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상권내 거주자들의 지역외구매(outshopping) 정도가 높을수록 시장성장잠재력지수가 커진다. 이는 지역외구매가 많을수록 지역 내 소비수요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역외구매를 줄이고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는 것이 시장성장잠재력을 높이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점포 외부의 동선 즉, 점외동선은 점포의 매출에 영향을 준다. 사람들이 통행하는 뒷골목은 다음 중 어떤 점외동선 유형에 해당하는가?

  1. 주동선
  2. 복수동선
  3. 부동선
  4. 접근동선
  5. 유희동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부동선"이다. 부동선은 사람들이 특정 목적지를 가지고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통행하는 동선을 말한다. 따라서 뒷골목과 같은 사람들이 그냥 지나가는 동선은 부동선에 해당한다. 이러한 부동선은 점포의 위치나 접근성 등에 따라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특정지역의 개략적인 수요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매력지수(BPI)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필요성이 가장낮은 자료는?

  1. 전체 지역의 인구수(population)
  2. 해당 지역의 인구수(population)
  3. 해당 지역의 소매점면적(sales space)
  4. 해당 지역의 소매매출액(retail sales)
  5. 해당 지역의 가처분소득(effective buying income)
(정답률: 알수없음)
  • 구매력지수(BPI)는 특정 지역의 소비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해당 지역의 소매점면적(sales space)은 소비 수준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필요성이 가장 낮은 자료입니다. 다른 자료들은 인구수, 매출액, 가처분소득 등 소비와 관련된 요소들이기 때문에 BPI를 계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소매상권의 매력도 평가 지수는?

  1. 구매력지수(BPI : buying power index)
  2. 판매활동지수(SAI : sales activity index)
  3. 소매포화지수(IRS : index retail saturation)
  4. 상권매력도지수(RAI : retail attractiveness index)
  5. 시장성장잠재력지수(MEP : market expansion index)
(정답률: 알수없음)
  • 소매포화지수(IRS : index retail saturation)는 해당 지역 내 소매업체의 수와 인구 대비 소매업체 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즉, 해당 지역 내 소매업체가 많을수록 소매포화지수가 높아지며, 이는 소비자들이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매상권의 매력도 평가 지수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입지대안 평가의 원칙은?

  1. 고객차단원칙(principle of interception)
  2. 접근가능성의 원칙(principle of accessibility)
  3. 동반유인원칙(principle of cumulative attraction)
  4. 보충가능성의 원칙(principle of compatibility)
  5. 점포밀집의 원칙(principle of store conges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 주변에 존재하는 상업시설과 유사한 업종이 입점할 경우, 해당 지역의 고객들이 새로운 상점을 찾아들이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기존 상업시설과 보완되는 업종이 입점하는 것이 좋다는 원칙입니다. 따라서, 보충가능성의 원칙이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비자가 상권내의 세 점포 중에서 하나를 골라 어떤 상품을 구매하려고 한다. 점포의 크기와 그 소비자의집에서 점포까지의 거리는 아래의 표와 같다. 수정Huff모형에 따라 세 점포에 대해 이 소비자가 느끼는 매력도의 크기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C > A > B
  2. A > B > C
  3. B > A > C
  4. A > C > B
  5. B > C > A
(정답률: 알수없음)
  • 수정Huff모형에서는 매력도가 큰 점포일수록 가까운 거리에 있고 크기가 크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C가 가장 매력도가 크다. A와 B는 거리는 비슷하지만 A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A가 B보다 매력도가 크다. 따라서 정답은 "C > A >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인구 9만명인 도시 A와 인구 1만명인 도시 B 사이의 거리는 20Km이다. Converse의 공식에 의하면 두 도시간의 상권경계(상권분기점)는 도시 A로부터 몇 Km떨어진 곳이 되는가?

  1. 10Km
  2. 5Km
  3. 15Km
  4. 12Km
  5. 8km
(정답률: 알수없음)
  • Converse의 공식은 "인구 비율의 제곱근을 거리 비율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A와 B의 인구 비율은 9:1이므로 제곱근은 3:1이다. 거리 비율은 20: x 이므로, 3:1 = 20:x 에서 x = 20/3 이다. 따라서 상권경계는 A로부터 20/3 * 3 = 20Km 지점에서 만나게 되며, A에서 20 - 20/3 = 15Km 떨어진 곳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상권분석에 관한 주요이론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 따르면, 소비자들이유사점포 중의 한 점포를 선택할 때 그 중 가장 가까운 점포를 선택한다.
  2. Reilly의 소매중력이론에 따르면, 다양한 점포간의밀집이 개별점포의 매력도를 증가시킨다.
  3. Huff의 소매인력이론은 도시간의 상권경계를 확률적 접근으로 설명하고 있다.
  4. Reilly의 소매중력이론은 Converse가 개발한 분기점공식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5. Luce의 확률적 선택모델을 이용하면 특정 점포에 대한 매력 평가라는 소비자행동적 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Huff의 소매인력이론은 도시간의 상권경계를 확률적 접근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심지의 정상이윤 확보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요를 발생시키는 상권범위를 최소수요충족거리(threshold)라 한다.
  2. 상업중심지간에도 위계구조가 있다.
  3. 상업중심지가 포괄하는 상권의 규모는 도시 내의소득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4. 중심지의 최대도달거리는 중심지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가격과 소비자가 그것을 구입하는 데 드는 교통비의 영향을 받는다.
  5. 중심지란 배후주거지역에 대해 다양한 상품과서비스를 제공하며 상업, 행정 기능이 밀집된 장소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업중심지가 포괄하는 상권의 규모는 도시 내의 소득수준에 따라 결정된다."는 옳은 내용이 아니다. Christaller의 중심지이론에서는 상권의 규모는 중심지에서 제공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다양성과 중요도에 따라 결정된다. 소득수준은 중심지의 위치와 상권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상권 매력도를 평가할 때 평가요인이 되는 지역외구매(outshopping)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역외구매란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들이 상권외부지역에서 구매하는 현상을 말한다.
  2. 해당 지역에서의 가구당(혹은 1인당) 예상지출액과 실제지출액의 차이를 유발한다.
  3. 시장성장잠재력지수(MEP : market expansion index)가 높으면 지역외구매 현상이 많아 신규수요창출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4. 해당 지역과 타지역간 소매점의 마케팅능력 차이는반영되지 않는다.
  5. 교통수단의 발달은 소비자의 이동가능성을 높여지역외구매 현상을 촉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지역과 타지역간 소매점의 마케팅능력 차이는 반영되지 않는다는 것은 옳지 않은 것이다. 소매점의 마케팅 능력은 해당 지역의 상권 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해당 지역과 타지역간 소매점의 마케팅 능력 차이는 반영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상가를 신설하기 위해 기존의 건물을 인수하기로 했다. 면적이 2,000m2의 대지위에 건물은 A동, B동으로 총2개동이다. A동은 각 층의 면적이 200m2인 지상3층과 지하1층, B동은 각 층의 면적이 300m2인 지상6층과 지하2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의 용적률은 얼마인가? (단, 건물외부에 200m2의 지상주차장(건물부속)이 있고 건물내부 주민공동시설 면적의 합이 200m2임)

  1. 100%
  2. 110%
  3. 120%
  4. 140%
  5. 160%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적률은 건물의 총 부피 대비 실제 사용되는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용적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총 부피 = (A동 지상3층 면적 + A동 지하1층 면적 + B동 지상6층 면적 + B동 지하2층 면적 + 지상주차장 면적 + 주민공동시설 면적) × 층 수
    = (200 × 3 + 200 × 1 + 300 × 6 + 300 × 2 + 200 + 200) × 8
    = 8,800m³

    실제 사용되는 부피 = (A동 지상3층 면적 + B동 지상6층 면적) × 층 수
    = (200 × 3 + 300 × 6) × 8
    = 7,200m³

    따라서 용적률은 (실제 사용되는 부피 ÷ 총 부피) × 100% = (7,200 ÷ 8,800) × 100% = 81.82%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건물외부에 지상주차장과 건물내부 주민공동시설 면적이 추가로 주어졌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총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총 부피 = (A동 지상3층 면적 + A동 지하1층 면적 + B동 지상6층 면적 + B동 지하2층 면적) × 층 수 + 지상주차장 면적 + 주민공동시설 면적
    = (200 × 3 + 200 × 1 + 300 × 6 + 300 × 2) × 8 + 200 + 200
    = 9,200m³

    실제 사용되는 부피는 변함이 없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용적률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용적률 = (실제 사용되는 부피 ÷ 총 부피) × 100% = (7,200 ÷ 9,200) × 100% = 78.26%

    하지만 문제에서는 용적률을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현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78.26%를 반올림하여 78%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10%"인 이유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점포와의 거리에 따라 상권을 구분할 때 각 상권의 개념과 특성을 상대적으로 비교·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차상권은 전체상권 중에서 점포에 가장 가까운 지역을 말하는데 매출액이나 소비자의 수에서 일반적으로 60~70% 정도를 차지하는 지역으로 그 비율은 절대적이지 않다.
  2. 2차상권은 1차상권을 둘러싸는 형태로 주변에 위치하며 소비자의 일정비율을 추가로 흡인하는 지역이다.
  3. 3차상권은 소비자의 내점빈도가 비교적 낮으며 1,2차상권에 비해 주변에 위치한 경쟁점포들과 상권중복 또는 상권잠식의 가능성이 낮은 지역이다.
  4. 1차상권이 중요한 이유는 소비자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고 소비자의 충성도가 높으며 1인당 판매액이 가장 큰 핵심적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5. 3차상권은 상권으로 인정하는 한계(fringe)가 되는 지역범위이며 지역적으로 넓게 분산되어 해당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밀도가 낮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중 옳지 않은 내용은 "1차상권이 중요한 이유는 소비자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고 소비자의 충성도가 높으며 1인당 판매액이 가장 큰 핵심적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이다. 1차상권은 점포에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 매출액이나 소비자의 수에서 일반적으로 60~70% 정도를 차지하는 지역이지만, 소비자의 밀도가 가장 높은 곳이라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소비자의 충성도나 1인당 판매액이 가장 큰 핵심적인 지역이라는 것도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이는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3차상권은 소비자의 내점빈도가 비교적 낮으며, 1,2차상권에 비해 주변에 위치한 경쟁점포들과 상권중복 또는 상권잠식의 가능성이 낮은 지역이다. 이는 주로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과의 경계지역으로, 상권으로 인정하는 한계(fringe)가 되는 지역범위이다. 따라서 해당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밀도가 낮을 수 있지만, 경쟁이 적은 안정적인 상권이라는 특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은 신규점포를 개설하는 과정에서 Huff모델을 활용해 상권을 분석하는 세부과정을 기술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분석과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 ㅁ → ㄴ → ㄷ → ㄹ
  2. ㄴ → ㅁ → ㄹ → ㄱ → ㄷ
  3. ㄹ → ㄷ → ㅁ → ㄱ → ㄴ
  4. ㄹ → ㄴ → ㅁ → ㄱ → ㄷ
  5. ㄱ → ㄹ → ㄴ → ㅁ → ㄷ
(정답률: 알수없음)
  • ㄹ → ㄴ → ㅁ → ㄱ → ㄷ

    1. ㄹ: 분석 대상 지역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파악
    - 인구수, 연령대, 성별, 가구원수 등을 파악하여 해당 지역의 인구 특성을 파악한다.
    -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수요 예측이 가능하다.

    2. ㄴ: 경쟁 업체 분석
    - 해당 지역에 이미 존재하는 경쟁 업체들의 위치, 규모, 매출액 등을 파악한다.
    -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시장 상황을 파악하고 경쟁 업체들과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3. ㅁ: 점포 위치 선정
    - 1, 2 단계에서 파악한 정보를 종합하여 새로운 점포의 위치를 선정한다.
    - 이때, 경쟁 업체와의 거리, 교통편 접근성, 인구 밀도 등을 고려한다.

    4. ㄱ: 수요 예측
    - 선정된 위치에서의 예상 매출액을 예측한다.
    -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수요와 매출액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력, 자금 등을 적절히 배분할 수 있다.

    5. ㄷ: 점포 개설 후 모니터링
    - 개설된 점포의 매출액, 고객 만족도 등을 모니터링하여 경영 전략을 수정한다.
    - 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유지를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정답이 "ㄹ → ㄴ → ㅁ → ㄱ → ㄷ" 인 이유는, 먼저 해당 지역의 인구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쟁 업체 분석을 실시하여 시장 상황을 파악한다. 그 후, 점포 위치를 선정하고, 해당 지역의 수요와 매출액을 예측하여 인력과 자금을 적절히 배분한다. 마지막으로, 개설된 점포의 모니터링을 통해 경영 전략을 수정하고,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유지를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 신규점포를 개설하는데 있어서 최적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체인점의 도미넌트(dominant)출점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지역에 걸쳐서 점포를 분산출점 시킴으로써 단기간에 전체 시장에 진입하려는 전략이다.
  2. 도미넌트 출점전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점포규모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3. 도미넌트 출점전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품구색과 매장구성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4. 도미넌트 출점전략은 주요 간선도로를 따라 출점하는 선적전개와 주택지역 등을 중심으로 전개하는 면적전개로 구분된다.
  5. 도미넌트 출점전략은 지명도 향상, 물류비감소, 경쟁자의 출점가능성 감소 등의 장점을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여러 지역에 걸쳐서 점포를 분산출점 시킴으로써 단기간에 전체 시장에 진입하려는 전략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도미넌트 출점전략은 한 지역에서 출점하여 해당 지역에서 시장 지배력을 확보한 후, 이를 바탕으로 다른 지역으로 확장해 나가는 전략이다. 따라서 단기간에 전체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용도지역 및 용도지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폐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로서 건축물의 과밀을 방지하고자 설정된다.
  2.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 연면적의 비율을 의미한다.
  3. 도시지역의 용도지역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으로 구분된다.
  4. 용도지역은 중첩하여 지정될 수 있는 반면, 용도지구는 중첩하여 지정될 수 없다.
  5. 개발진흥지구는 주거, 상업, 공업, 유통물류, 관광휴양 등의 기능을 집중적으로 개발·정비하기 위해 지정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도지역은 중첩하여 지정될 수 있는 반면, 용도지구는 중첩하여 지정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용도지역과 용도지구 모두 중첩하여 지정될 수 있으며, 이는 지역별로 상이한 규제와 용도를 적용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중심성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심성지수는 소매업의 공간적 분포를 설명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지표이다.
  2. 중심성지수는 소매업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다.
  3. 특정지역의 총 소매판매액을 1인당 구매액으로 나눈 값과 거주인구를 비교한 값이다.
  4. 중심성지수의 값이 1이 되는 경우는 지역이 외부유동인구가 없는 고립된 지역일수도 있다.
  5. 일반적으로 주위에 점포가 많이 없는 지역은 1보다낮은 값을 가지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심성지수는 소매업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기본 가정으로 하고 있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중심성지수는 소매업의 공간적 분포를 설명하는 지표이지만, 균등한 분포를 가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중심성지수는 특정 지역에서의 소매업의 집중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일반적으로 주위에 점포가 많이 없는 지역은 1보다 낮은 값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상권분석시 관심을 가져야 할 공간적 불안정성(spatialnon-stabil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역별 교통상황의 차이나 점포의 밀도가 원인이 될 수 있다.
  2. 공간상호작용모델의 모수들이 공간적으로 차이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3. 각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사회경제적 특성의차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4. 세분시장별 모델추정방법으로 공간적 불안정성의발생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5. 공간적 불안정성이 크면 통계적 적합도가 높은 경우에도 분석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간상호작용모델의 모수들이 공간적으로 차이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공간상호작용모델은 공간적 상호작용을 고려한 모델로, 공간적으로 가까운 지역끼리는 서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모수들이 공간적으로 차이나면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상권과 고객침투율과의 관계 및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점포출점의 관점에서 살펴본다면 상권은 해당지역의 고객침투율로 살펴볼 수 있다.
  2. 고객침투율로 상권을 설정하면 상권인구, 상권 내매출비율 등을 산출할 수 있다.
  3. 상권인구는 일정이상의 고객침투율이 있는 범위내의인구를 의미한다.
  4. 상권 내 매출비율은 전체 매출에서 상권 내 매출의 비율로 설명한다.
  5. 확장상권인구란 상권 내 매출비율을 상권인구로나누어 구한 매출에 기여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확장상권인구란 상권 내 매출비율을 상권인구로나누어 구한 매출에 기여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이다." - 이는 옳은 설명이다.

    해설: 상권과 고객침투율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고객침투율이 높을수록 상권의 매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상권인구는 일정 이상의 고객침투율이 있는 범위 내의 인구를 의미하며, 상권 내 매출비율은 전체 매출에서 상권 내 매출의 비율로 설명한다. 이를 통해 고객침투율로 상권을 설정하면 상권인구, 상권 내 매출비율 등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확장상권인구는 상권 내 매출비율을 상권인구로 나누어 구한 매출에 기여할 수 있는 최대 인원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점포 소매네트워크의 설계, 신규점포 추가시의영향분석, 기존점포의 재입지 및 폐점 등의 상황을 분석할 때 입지배정모형(location allocation model)이 활용될 수 있다. 이 모형의 5가지 주요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지점간 거리자료
  2. 배정규칙
  3. 수요지점
  4. 교통량자료
  5. 실행가능한 부지 유통마케팅
(정답률: 알수없음)
  • 입지배정모형의 5가지 주요 구성요소는 지점간 거리자료, 배정규칙, 수요지점, 실행가능한 부지 유통마케팅, 입지선정기준이다. 교통량자료는 이 모형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교통량자료는 입지배정모형에서는 고려하지 않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유통마케팅

61. 서비스마케팅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제품과 달리 서비스에 고객이 생산과정에 참여할 수 있고, 고객도 상품의 일부분이 될 수도 있다.
  2. 서비스는 무형성, 생산과 소비의 비분리성, 동질성, 소멸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요약된다.
  3. 서비스경제에서는 제조기업의 서비스기업화, 서비스기업의 보조서비스 확대, 제조기업의 부가서비스 증가 등이 확대된다.
  4. 서비스마케팅믹스는 전통적 마케팅믹스에 사람, 프로세스, 물리적 증거관리가 추가되었다.
  5. 서비스마케팅은 외부 마케팅, 내부 마케팅, 상호작용적 마케팅의 삼위일체적 관점을 지향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서비스는 무형성, 생산과 소비의 비분리성, 동질성, 소멸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요약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심리적 가격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백화점이 특정 제품의 세일을 자주하게 되면, 소비자는 그 제품의 준거가격을 낮출 가능성이 높아진다.
  2. 구매자가 어떤 상품에 대하여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저가격을 유보가격이라고 하며, 이보다 싸게 되면 품질을 의심하게 된다.
  3. 구매자들이 이득보다 손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현상을 손실회피(loss aversion)라고 하며, 가격인하보다 가격인상에 더 민감함을 의미한다.
  4. 구매자들이 가격이 높을수록 품질이 높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이 가격-품질 연상이다.
  5. 베버(Weber)의 법칙이란 ‘가격변화의 지각이 가격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백화점이 특정 제품의 세일을 자주하게 되면, 소비자는 그 제품의 준거가격을 낮출 가능성이 높아진다."이다. 이유는 이 문장은 심리적 가격결정과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구매자가 어떤 상품에 대하여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저가격을 유보가격이라고 하는 것은 맞으며, 이보다 싸게 되면 품질을 의심하게 된다는 것도 맞다. 또한, 구매자들이 이득보다 손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현상을 손실회피(loss aversion)라고 하며, 가격인하보다 가격인상에 더 민감함을 의미한다는 것도 맞다. 또한, 구매자들이 가격이 높을수록 품질이 높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이 가격-품질 연상이며, 베버(Weber)의 법칙이란 ‘가격변화의 지각이 가격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말한다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서비스 방식은 무엇인가?

  1. 셀프 서비스(self service) 방식
  2. 준 셀프서비스(semi self service) 방식
  3. 자기선택 서비스(self selection service) 방식
  4. 신용서비스(credit service) 방식
  5. 자동판매기(vending service) 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음식을 선택하고 직접 주문하는 자기선택 서비스(self selection service) 방식입니다. 고객이 직접 원하는 음식을 선택하고 주문하는 방식으로, 셀프 서비스와 비슷하지만 음식 선택까지 고객이 직접 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점포내 상품 진열방법에 대한 설명의 짝으로 옳은 것은?

  1. ㉠-a, ㉡-b, ㉢-c
  2. ㉠-b, ㉡-a, ㉢-c
  3. ㉠-a, ㉡-c, ㉢-b
  4. ㉠-c, ㉡-a, ㉢-b
  5. ㉠-c, ㉡-b, ㉢-a
(정답률: 알수없음)
  • 점포내 상품 진열방법은 고객의 시선을 최대한 끌어내어 상품을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따라서, 진열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c: 고객이 자주 찾는 상품이나 인기 상품을 가장 눈에 띄게 진열합니다.
    ㉡-b: 상품의 크기나 색상 등을 고려하여 조화롭게 진열합니다.
    ㉢-a: 상품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진열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c, ㉡-b, ㉢-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벤더(vend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벤더란 소매업자가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를 말한다.
  2. 소매업자는 보통 제조업자상표 벤더, 소매업자상표벤더, 라이선스상표의 벤더, 무상표 벤더와 거래한다.
  3. 라이선스(licence)상표의 벤더란 유명업체의 상표를 빌려서 제품을 개발, 생산, 판매하는 회사를 말한다.
  4. 벤더와 소매업체가 전략적 관계라면, 장기적이며 관계투자가 상당하다.
  5. 제조업자 상표의 벤더는 일반적인 내셔널 브랜드(national brand)를 취급하는 회사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벤더란 소매업자가 제품을 판매하는 회사를 말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다. 벤더는 제조업자나 유통업체 등에서 제품을 구매하여 판매하는 회사를 말한다. 즉, 소매업자가 벤더가 될 수도 있지만, 벤더는 소매업자뿐만 아니라 도매업자, 유통업체 등 다양한 종류의 회사를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소매 점포의 직원을 선발하기 위한 수요예측방법에 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적자원의 수요예측은 과거 추세, 현재 상황, 미래가정에 입각하여 이루어진다.
  2. 정성적 방법으로 추세분석이나 델파이기법 등이 주로 사용된다.
  3. 정성적 방법의 하나인 명목집단법은 의사결정하는데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4. 명목집단법은 브레인스토밍과 브레인라이팅 기법의 장점들을 살리기 위해 고안되었고, 브레인스토밍기법에 토의 및 투표 기법 등의 요소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5. 델파이 기법은 어떠한 문제에 관하여 전문가들의 견해를 유도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판단으로 정리하는 일련의 절차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명목집단법은 의사결정하는데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이다. 명목집단법은 의사결정하는데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없으며, 오히려 시간이 오래 걸리는 방법 중 하나이다.

    정성적 방법으로 추세분석이나 델파이기법 등이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인적자원의 수요예측이 과거 추세, 현재 상황, 미래가정에 입각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명목집단법은 브레인스토밍과 브레인라이팅 기법의 장점들을 살리기 위해 고안되었고, 브레인스토밍기법에 토의 및 투표 기법 등의 요소를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델파이 기법은 어떠한 문제에 관하여 전문가들의 견해를 유도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판단으로 정리하는 일련의 절차라고 정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과 같이 옷 구매를 고민하는 소비자 A를 가장적합하게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은?

  1. 정교화가능성모형
  2. 저관여 하이어라키모형
  3. 다속성태도모형
  4. 확장된 Fishbein모형
  5. 인지적 학습모형
(정답률: 알수없음)
  • 확장된 Fishbein 모형은 소비자의 태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보다 상세하게 분석하여 구매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변수를 고려하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소비자의 태도를 결정하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인 개인적 신념, 평가, 규범적인 신념을 고려하면서도, 추가적인 요인들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옷 구매를 고민하는 소비자 A의 경우,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태도를 분석하는 확장된 Fishbein 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사례의 소매기업이 해외 시장으로 진입하려는 방식의 장점은?

  1. 현지 경쟁업체의 탄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반면, 이익의 빠른 회수가 가능하다.
  2. 해외에 점포를 직접 운영하기 때문에 통제권이 매우 높다.
  3. 진입업체의 위험을 줄이고 지역시장에 대한 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4. 가장 높은 잠재적 수익을 누릴 수 있는 해외 진입전략이다.
  5. 위험이 가장 낮고 투자도 가장 적게 요구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해외 시장으로 진입하려는 방식이 직접 점포를 운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역시장에 대한 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진입업체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현지 경쟁업체의 탄생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이익의 빠른 회수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소매업체들의 성장전략에 대한 설명의 짝으로 옳은 것은?

  1. ㉠-a, ㉡-b, ㉢-c
  2. ㉠-a, ㉡-c, ㉢-b
  3. ㉠-b, ㉡-a, ㉢-c
  4. ㉠-b, ㉡-c, ㉢-a
  5. ㉠-c, ㉡-a, ㉢-b
(정답률: 알수없음)
  • ㉠-b: 소매업체들은 고객의 니즈와 선호도를 파악하고 이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고객 유치와 재구매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c: 소매업체들은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거나 모바일 앱을 제공하여 고객들이 언제 어디서든 쉽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매출 증대와 고객 유치에 도움이 된다.

    ㉢-a: 소매업체들은 경쟁 업체들과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하여 고객들의 관심을 끌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품의 특징이나 브랜드 이미지, 서비스의 질 등을 강조하여 고객들이 해당 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경쟁 업체들과의 차별화를 이루고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무점포 소매상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텔레비전 마케팅은 크게 TV광고에서 직접 주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문을 받는 홈쇼핑 채널방식과 쇼핑만을 전담하는 채널에서 정규방송시간 내내 상품안내와 주문을 받는 인포머셜방식이 있다.
  2. 모바일 커머스(mobile commerce)는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자나 기업이 안전하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3. 국내에서 인터넷 쇼핑몰의 성장세는 하향하는 반면, 모바일 쇼핑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4. 방문판매와 다단계판매는 판매원을 관리하고 보상하는 방식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판매원이라는 인적 네트워크를 판매수단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5. 직접판매란 ‘장소의 구애 없이 대면방식으로 제품과서비스를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행위를 총칭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문판매와 다단계판매는 판매원을 관리하고 보상하는 방식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판매원이라는 인적 네트워크를 판매수단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방문판매는 직접적으로 소비자의 집이나 사무실 등을 방문하여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이고, 다단계판매는 판매원이 제품을 판매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판매원을 모집하여 그들의 판매활동에 대한 수수료를 받는 방식이다. 두 방식은 판매원을 활용하는 점에서는 유사하지만, 판매 방식과 구성원들 간의 관계 등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인터넷 소매업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넷 웹페이지를 통해 제품주문을 받고 오프라인매장을 통해 제품을 제공하는 인터넷 소매업은 채널지원형에 해당한다.
  2. 온라인 카테고리 킬러는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어야 유리하다.
  3.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등의 온라인 쇼핑업체는 상품을 구매하여 판매함으로써 마진을 수입원으로 한다.
  4. 입찰에 의해 가격결정이 이루어지는 온라인 경매형의경우, 수익은 커미션과 광고수입으로 실현된다.
  5. 수직적 포탈형은 구체적인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면서소비자가 자사 사이트에서 상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등의 온라인 쇼핑업체는 상품을 구매하여 판매함으로써 마진을 수입원으로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오픈마켓이나 소셜커머스는 판매자가 직접 상품을 등록하고 판매하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판매자가 상품을 판매하여 얻는 이익에서 일정한 수수료를 제하고 수익을 얻는다. 따라서 오픈마켓이나 소셜커머스는 판매자의 판매 이익에서 일정한 수수료를 제하고 수익을 얻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TV홈쇼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많은참여자가 필요한데 그 중에서도 핵심적인 참여자인 아래의 사업자를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전송망사업자
  2. ㉠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전송망사업자
  3. ㉠ 전송망사업자, ㉡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방송채널사용사업자
  4. ㉠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전송망사업자, ㉢ 종합유선방송사업자
  5. ㉠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전송망사업자, ㉢ 방송채널사용사업자
(정답률: 알수없음)
  • TV홈쇼핑은 방송채널을 통해 상품을 판매하므로, 먼저 방송채널을 제공하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방송채널을 제공하고, 전송망사업자가 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 방송채널사용사업자, ㉡ 종합유선방송사업자, ㉢ 전송망사업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제품믹스의 가격 결정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제품라인 가격결정법 : 제품계열간 동일 수준 제품들의 묶음을 개별 품목으로 구매하는 것보다 낮은 가격으로 제시하는 방법
  2. 선택사양 가격결정법 : 주력제품에다 선택제품, 사양 및 서비스를 붙여서 제시하는 가격결정 방법
  3. 종속제품 가격결정법 : 주요제품과 함께 사용해야하는 종속제품에 대한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
  4. 이분 가격결정법 : 고정된 요금과 추가적 서비스사용에 대한 가격으로 나누어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
  5. 부산물 가격결정법 : 주요제품의 가격이 보다 경쟁적 우위를 차지할 수 있도록 부산물의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제품라인 가격결정법은 제품계열간 동일 수준 제품들의 묶음을 개별 품목으로 구매하는 것보다 낮은 가격으로 제시하는 방법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글상자에서 제시된 방안은 서비스 갭 모형에서 어떤 갭을 주로 해소하기 위한 것인가?

  1. GAPⅠ : 고객기대와 경영자 인식의 차이
  2. GAPⅡ : 경영자 인식과 설계된 서비스의 차이
  3. GAPⅢ : 설계된 서비스와 실제 제공된 서비스의 차이
  4. GAPⅣ : 외부 커뮤니케이션된 서비스와 실제 제공된 서비스의 차이
  5. 고객 갭 : 고객의 기대와 지각의 차이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방안은 "GAPⅢ : 설계된 서비스와 실제 제공된 서비스의 차이"를 주로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서비스 설계가 실제 서비스 제공과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갭으로, 이 방안은 서비스 설계와 제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일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유통업체가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을 모두 고르면?

  1. ㉠, ㉡
  2. ㉡, ㉢
  3. ㉢, ㉣
  4. ㉠, ㉡, ㉢
  5. ㉠, ㉡, ㉢, ㉣
(정답률: 알수없음)
  • - ㉠: 고객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고객의 선호도나 구매 이력 등을 파악할 수 있어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됨.
    - ㉡: 고객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
    - ㉢: 고객의 구매 패턴을 분석하여 재고 관리나 상품 구성 등을 최적화할 수 있음.
    - ㉣: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는데 도움이 되어 장기적인 수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

    따라서, ㉠, ㉡, ㉢, ㉣ 모두 유통업체가 CRM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이며, 이들을 모두 고르면 가장 종합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단속형 거래와 관계형 거래를 비교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속형 거래는 단순한 요구나 제안으로부터 의무조항이 발생하지만, 관계형 거래는 기존 거래관계, 상관습, 법률에 의해 형성된 약속에 의해 의무가 발생한다.
  2. 단속형 거래는 권리와 의무 등이 완전 양도 가능하지만, 관계형 거래는 제한적으로 양도가능하다.
  3. 단속형 거래는 거래처에 대한 상대적 의존도가 높지만, 관계형 거래는 상대적 의존도가 낮다.
  4. 단속형 거래는 거래처를 단순고객으로 보지만, 관계형 거래는 동반관계로 본다.
  5. 단속형 거래는 이익과 부담이 명확하게 구분되지만, 관계형 거래는 이익과 부담의 일부를 공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속형 거래는 거래처에 대한 상대적 의존도가 높지만, 관계형 거래는 상대적 의존도가 낮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오히려 관계형 거래에서는 거래처와의 상호의존성이 높아지며, 서로간의 신뢰와 협력이 중요해진다. 이는 기존 거래관계나 상관습 등에 의해 형성된 약속에 따라 의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소매업체의 시장세분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세분 소매시장내 고객의 욕구이질성, 다른 세분시장고객의 욕구동질성을 조건으로 한다.
  2. 세분시장의 규모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3. 세분시장이 결정되면 적절한 소매믹스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4. 다속성 태도모형에 의하면, 동일한 편익에 대해유사한 수준의 중요도를 보인 고객들은 동일한 세분시장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5. 시장세분화는 지리적, 인구통계적, 심리적, 행동적세분화를 통해 가능하며, 복합적 세분화도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세분 소매시장내 고객의 욕구이질성, 다른 세분시장고객의 욕구동질성을 조건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시장세분화는 고객의 욕구, 특성, 행동 등을 기반으로 세분화되는 것이며, 이를 조건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파악하여 세분화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A 고객이 다속성 태도모형 중 보상적 태도모형에 기초하여 점포태도를 결정할 때, 점포운영자의 대응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이 지각하는 경쟁 점포와 비교한 자사의 점포약점 자체를 개선한다.
  2. 우리 점포의 특정 속성은 우수한데 반해, 이를 잘못알고 있는 고객의 속성 지각을 개선한다.
  3. 고객이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있는 경쟁 점포의 약점은 비교광고를 통해 제시한다.
  4. 자사 점포가 강점을 지니고 있는 속성인데 반해, 고객이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지각하는 속성의중요도를 부각시킨다.
  5. 고객이 지각하는 자사 점포의 가장 매력적인속성만을 강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객이 지각하는 자사 점포의 가장 매력적인 속성만을 강조한다"는 대응방안은 고객의 지각을 왜곡시키고, 점포의 실제 약점을 개선하지 않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고객의 신뢰를 잃을 수 있다는 이유로 옳지 않은 대응방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저관여제품의 소비자 구매특징 및 유통전략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저관여제품의 구매는 짧은 시간 내에 적은 정보를 근거로 결정된다.
  2. 주로 단가가 싸고 셀프서비스로 판매될 수 있는 제품들이다.
  3. 비누, 치약, 샴푸 등의 생필품은 소비자의 ‘동반구매욕구’가 강하다.
  4. 한정된 품목에서 다양한 모델을 갖춘 카테고리킬러가 주 유통업태가 된다.
  5. 저관여제품은 소비자의 원스톱 쇼핑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정된 품목에서 다양한 모델을 갖춘 카테고리킬러가 주 유통업태가 된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저관여제품은 주로 단순하고 일반적인 제품들이기 때문에 다양한 모델을 갖춘 카테고리킬러가 주 유통업태가 되기보다는 대형마트나 할인매장 등에서 다양한 제품들과 함께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소비자의 구매동기를 크게 ‘부정적인 상태를 제거하려는 동기’ 와 ‘긍정적인 상태를 추구하려는 동기’ 로 구분할 경우, ‘부정적인 상태를 제거하려는 동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제품(브랜드)의 문제점으로 인해보다 나은 것을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
  2. 현재 사용하는 제품(브랜드)이 소비되어 고갈되지 않도록 추가 구매하여 재고를 유지
  3. 당면한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제품(브랜드)의 탐색
  4. 해당 제품(브랜드)을 구매하고 사용함으로써 자긍심을 느끼고 싶은 욕구
  5. 미래에 발생할 문제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제품(브랜드)의 탐색 유통정보
(정답률: 알수없음)
  • 해당 제품(브랜드)을 구매하고 사용함으로써 자긍심을 느끼고 싶은 욕구는 '긍정적인 상태를 추구하려는 동기'에 해당되며, 나머지 보기는 모두 '부정적인 상태를 제거하려는 동기'에 해당된다. 이유는 해당 제품(브랜드)을 구매하고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취향이나 스타일을 표현하거나, 타인의 인식을 얻거나, 자신의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 구매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유통정보

81. XML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XML문서는 웹에서 구조화된 문서를 전송할 수 있도록 내용과 구조, 표현이 분리된 구조적 문서이다.
  2. XML을 이용하면 데이터베이스 조작이나 환경 설정, 서비스 관련 설정을 더 쉽게 처리할 수 있다.
  3. SGML처럼 확장이 가능해 HTML보다 표현력이 좋다.
  4. 규정된 태그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표준화 및 융통성이 좋다.
  5. XML스키마, 스키마 규칙에 따라 표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들어있는 데이터까지 표현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XML 문서는 규정된 태그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표준화 및 융통성이 좋다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다. XML은 사용자가 직접 태그를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확장성이 높고 유연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규정된 태그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제한은 XML의 특징과는 맞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3D프린팅이 기존 제조업과 공급사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다품종 소량생산 및 개인 맞춤형 제작이 용이하도록 지원한다.
  2. 기존의 밀기방식의 제조 및 생산 산업체계보다 끌기방식의 선주문, 후생산 방식으로 기존 제조업의 확장을 유도한다.
  3. 금형투자에 대한 고정비용을 낮추고, 시장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소량생산을 가능하게 지원하여 경영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4. SCM의 관리 범위가 광범위하게 커져 복잡성이 증가된다.
  5. 제작공정의 간소화를 지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SCM의 관리 범위가 광범위하게 커져 복잡성이 증가된다."는 3D프린팅이 기존 제조업과 공급사슬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3D프린팅은 생산과정에서 기존의 생산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제품을 생산하기 때문에 SCM의 관리 범위가 오히려 줄어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D프린팅을 이용한 생산에서는 기존의 재고관리나 물류관리와 같은 SCM의 일부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보안에 위협이 되는 악성코드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2. 스파이웨어(Spyware)
  3. 바이러스(Virus)
  4. 워엄(Worm)
  5. 랜섬웨어(Ransomware)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스파이웨어(Spyware)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용자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사용자의 행동을 추적하거나, 광고를 노출시키는 등의 악성코드를 말합니다. 따라서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도 스파이웨어는 보안에 위협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대표적인 인터넷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HTTP : 웹 환경에서 문서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2. SMFTP : 보안이 강화된 파일전송 프로토콜이다.
  3. POP : 전송된 메일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4. IMAP : 모든 유형의 브라우저 및 서버들을 지원하는최신의 이메일 프로토콜이다.
  5. FTP : 서버와 클라이언트 컴퓨터 사이에 파일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옳지 않은 설명은 "IMAP : 모든 유형의 브라우저 및 서버들을 지원하는 최신의 이메일 프로토콜이다."입니다. IMAP은 이메일 클라이언트와 이메일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모든 유형의 브라우저나 서버를 지원하는 것과는 무관합니다.

    SMFTP는 보안이 강화된 파일전송 프로토콜로, 파일 전송 시 암호화와 인증 기능을 제공하여 보안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인터넷 조사방법의 일환인 쿠키(cookie)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쿠키는 특정 웹사이트를 방문한 소비자가 어떠한 페이지를 보았는지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2. 어떤 사이트들은 쿠키를 자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의 특성 및 욕구에 맞추어 고객화 하는데 사용된다.
  3. 쿠키는 소비자들이 어떠한 사이트를 방문했는지를 파악하여 관련된 광고나 판촉활동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4. 쿠키는 동일 사용자가 여러번 Reload하게 되면 여러번 카운트되는 한계는 있으나 방문자 수통계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5. 쿠키는 개인정보를 보관하여 재방문할 때마다 방문자가 이름과 주소 등을 되풀이하여 입력할 필요가 없도록 해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쿠키는 동일 사용자가 여러번 Reload하게 되면 여러번 카운트되는 한계는 있으나 방문자 수통계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이것이 옳지 않은 이유는 쿠키는 방문자 수를 추적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사용자의 활동을 추적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 사용자가 여러 번 Reload하더라도 쿠키는 한 번만 생성되고, 이를 통해 개별 사용자의 활동을 추적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저장소로서의 하둡(Hadoop)의 장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대용량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분산 파일 시스템을 제공한다.
  2. 클러스터 구성을 통해 멀티 노드로 부하를 분산시켜 처리한다.
  3. 장비를 증가시킬수록 성능이 Linear에 가깝게 향상된다.
  4. 오픈소스, Insol Core 머신과 리눅스와 같은 저렴한 장비에 사용이 가능하다.
  5. 하둡의 부족한 기능 보완을 위해 하이레벨 스크립트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는 ‘스쿱’ 등 에코시스템이 등장하여 완전성을 높이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장소로서의 하둡의 장점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장비를 증가시킬수록 성능이 Linear에 가깝게 향상된다." 이다. 이는 하둡의 장점 중 하나이지만, 성능이 반드시 Linear하게 향상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의 크기와 분산 처리 방식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절대적인 장점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좋은 데이터와 나쁜 데이터를 가르는 기준에 대한설명과 관련된 질문이다. 다음 사례에서 확보하지 못한 데이터 품질 기준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완전성
  2. 일관성
  3. 정량성
  4. 정확성
  5. 논리성
(정답률: 알수없음)
  • 위의 사례에서는 데이터가 부족한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완전성"이 가장 중요한 데이터 품질 기준입니다. 완전성은 데이터가 필요한 모든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누락된 부분이 있으면 완전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위의 사례에서는 모든 지역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보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서버를 보유하거나 고객관리시스템을 직접 개발하는 일은 자사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안 되는 ‘비경쟁영역’이라는 생각 때문에 발생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이용으로 이 부문들을 모두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CaaS, HaaS
  2. IaaS, HaaS
  3. HaaS, SaaS
  4. PaaS, SaaS
  5. IaaS, PaaS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HaaS, SaaS"입니다.

    서버를 보유하거나 고객관리시스템을 직접 개발하는 일은 자사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안 되는 '비경쟁영역'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외부에 위탁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HaaS는 하드웨어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며, 서버를 보유하는 일을 대신해줄 수 있습니다. SaaS는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며, 고객관리시스템을 직접 개발하는 일을 대신해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HaaS와 SaaS를 함께 이용하면 서버와 소프트웨어를 외부에 위탁하여 비경쟁영역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의사결정 과정 단계 중 가상적 상황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를 활용하는 단계로 가장 옳은 것은?

  1. 탐색단계
  2. 설계단계
  3. 선택단계
  4. 실행단계
  5. 피드백단계
(정답률: 알수없음)
  • 선택단계는 다양한 대안들을 고려하고, 이를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대안을 선택하는 단계이다. 이 때, 가상적 상황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각 대안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최종적으로 가장 적합한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단계에서는 민감도 분석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의사결정을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딥러닝
  2. 드론
  3. LBS
  4. 핀테크
  5. LPWAN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드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드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공급사슬관리 성과측정을 위해 활용되는 SCOR 모델의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레벨 1, 계획 – SCM 추진 기업들이 비즈니스 목표달성을 위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맞추는 프로세스
  2. 레벨 2, 계획 – SCM 추진 기업들의 예산 자원 할당프로세스
  3. 레벨 1, 제조 – SCM 추진 기업들이 조달된 재화와 용역을 완성하는 단계로 변환하는 프로세스
  4. 레벨 1, 실행 – SCM 추진 기업들의 자재 상태를 변경하는 계획의 수행 프로세스
  5. 레벨 1, 인도 – SCM 추진 기업들이 완성된 재화나 용역을 제공하는 프로세스
(정답률: 알수없음)
  • SCOR 모델의 프로세스 중 "레벨 1, 실행 – SCM 추진 기업들의 자재 상태를 변경하는 계획의 수행 프로세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SCOR 모델의 레벨 1, 실행 단계는 제조, 인도, 자재 관리 등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자재 상태를 변경하는 계획의 수행은 자재 관리 단계에 해당한다. 따라서, "레벨 1, 자재 관리 – SCM 추진 기업들이 자재를 관리하고 조달, 생산, 재고 관리 등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로 수정하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GS1(Global Standard No.1)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GS1은 전 세계 100여 개 국가로 구성된국제표준기구이다.
  2. GS1은 상품 및 거래처의 식별과 거래정보의 교환을 위한 국제표준 식별코드 및 바코드만 개발·보급·관리하고, RFID/EPC, 전자 문서의 개발·보급·관리는 각각의 제조회사가 전담하고 있다.
  3. GS1은 수출입이 빈번한 글로벌 경제 시대에 국내는 물론 해외 파트너와의 비즈니스를 지원한다.
  4. GS1의 상품식별코드를 사용함으로써 해당 기업은원재료 구매·생산·물류·판매 등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효율 개선과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된다.
  5. GS1은 상품식별코드 활용을 통해 기업의 유통물류분야 디지털 시스템 구축의 기반이 되어 신속·정확한 정보의 수집과 경영 전략 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GS1은 RFID/EPC, 전자 문서의 개발·보급·관리를 각각의 제조회사가 전담하는 것이 아니라, 이에 대한 국제표준을 개발하고 보급하며 관리한다는 설명이 가장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은 유통정보시스템을 개발할 때 선택하는 방법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최종 사용자 참여 방법론
  2. 프로토타이핑 방법론
  3. RAD 방법론
  4. 객체지향 방법론
  5. JAD 방법론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은 프로토타이핑 방법론을 사용하여 개발된 것으로, 이 방법론은 초기에 만들어진 간단한 모형을 최종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피드백을 받아 개선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개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최종 사용자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며, 빠른 시간 내에 시스템을 개발하고 수정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유통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 회원관리를 위해 논리적 DB설계를 하는 단계에서 회원에 대한 엔티티를 도식화 한 그림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회원을 관리하기 위해서 회원ID, 주민등록번호, 이름, 주소를 속성으로 규정하여 논리적으로 설계한 것이다.
  2. 회원에서 키 속성을 가지는 것은 회원 ID뿐이다.
  3. 제품의 기본키(primary key)는 제품 ID이다.
  4. ‘회원이 제품을 주문한다’는 실제 일어나는 일을DB로 구축하기 위한 논리적 설계를 표현한 그림이다.
  5. 주문을 독립적인 테이블로 구축해야 한다고 가정하면, 반드시 회원ID와 제품ID를 포함시켜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회원에서 키 속성을 가지는 것은 회원 ID뿐이다."라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회원 ID가 각 회원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속성이기 때문이다. 주민등록번호, 이름, 주소는 각각의 회원이 가지고 있는 값이기 때문에 중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키 속성으로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설명은 노나카 이쿠지로가 설명한 조직에 존재하는 지식의 종류 중 한 가지에 관련된 내용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방용 신제품 분야 중 가장 인기 있는 제빵기의제품 규격
  2. 다년간의 경험을 쌓은 농수산물 관리 팀장의 물품배치 노하우
  3. 비공식적이고 정확히 정의내리기 어려운 종류의 기능을 가리키는 전문적 기능(Skill)
  4. 물류창고에 제품을 찾기 쉽게 쌓아놓는 기술
  5. “손끝에서” 나오는 풍부한 전문성
(정답률: 알수없음)
  • "다년간의 경험을 쌓은 농수산물 관리 팀장의 물품배치 노하우"는 농수산물 관리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에 관한 지식이므로 다른 보기들과는 다른 종류의 지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운송형태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정형운송 : 컨테이너 등과 같이 화물을 단위(Unit)화하여 운송하는 형태이다.
  2. 단일운송 :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하나의 운송수단을 이용하는 운송 형태이다.
  3. LCL : 대량화물로서 컨테이너에 혼재하지 않고 운송하는 형태이다.
  4. 벌크(Bulk)운송 : 단위화 시킬 수 없는 화물을 특수한시설과 구조를 갖춘 운송수단으로 운송하는 형태이다.
  5. 복합운송 : 두 가지 이상의 운송수단을 이용해서최적의 운송경로로 운송하는 형태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LCL : 대량화물로서 컨테이너에 혼재하지 않고 운송하는 형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LCL은 대량화물을 컨테이너에 분할하여 운송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컨테이너에 혼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여러 개의 화물이 하나의 컨테이너에 혼재하여 운송된다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노나카는 조직의 지식창출과정을 SECI모형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나선형으로 진화되어짐을 보이고 있다. 나선형진화과정 중, 개인과 개인이 대면접촉을 시작하는 과정으로 지식생성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1. 사회화(Socialization)
  2. 외부화(Externalization)
  3. 개인화(Personalization)
  4. 내면화(Inernalization)
  5. 종합화(Combin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사회화는 개인이 다른 개인과 대면하여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작용하면서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나선형 진화과정에서 개인과 개인이 대면접촉을 시작하는 과정에서는 사회화가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개인은 외부에서 얻은 지식을 내면으로 수용하고 이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직 내에서 지식이 생성되고 발전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크로스도킹(Cross Docking)의 기대효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물류센터의 물리적 공간이 감소된다.
  2. 공급체인 전체의 저장로케이션의 수가 증가한다.
  3. 물류센터에서의 평방미터 당 회전율이 증가한다.
  4. 유통업체의 결품율이 감소한다.
  5. 물류비용과 재고수준이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급체인 전체의 저장로케이션의 수가 증가한다는 것은 크로스도킹을 통해 제품이 물류센터를 거치지 않고 바로 고객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물류센터 내에서 제품을 보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저장로케이션의 수가 감소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공급체인 전체의 저장로케이션의 수가 증가한다."는 기대효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DBR
  2. JIT
  3. QR
  4. 6sigma
  5. ECR
(정답률: 알수없음)
  • DBR은 Drum-Buffer-Rope의 약자로, 생산 시스템에서 병목 지점을 파악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생산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론이다. 위 그림에서도 병목 지점인 Drum(북돋이)을 중심으로 생산 계획이 수립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DB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e-비즈니스에서 거래 상대별 유형과 그 사례를 짝지은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B2B - e마켓플레이스
  2. B2C - 인터넷 쇼핑몰
  3. C2B - 공공전자조달입찰
  4. C2C - 개인간 중고차 거래
  5. G2C - 통합전자민원창구
(정답률: 알수없음)
  • C2B - 공공전자조달입찰은 옳은 짝지어진 유형과 사례가 아닙니다. C2B는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공공전자조달입찰은 B2G(Business to Government)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C2B - 공공전자조달입찰은 옳지 않은 짝지어진 유형과 사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