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11-04)

유통관리사 2급
(2018-11-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유통물류일반

1. 지속적 상품보충(continuous replenishment)에 대한 내용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속적 상품보충이란 소비자수요에 기초하여 소매점에 상품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2. 지속적 상품보충은 기존에 소매점에 재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품을 공급하는 방식인 풀(pull)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3. 포스 데이터(POS data)를 사용하면 지속적 상품보충 프로세스를 더 개선할 수 있다.
  4. 지속적 상품보충이 구현되면 배송이 신속하게 되어 소매업체의 재고수준을 낮출 수 있다.
  5. 전자자료교환(EDI)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정답률: 66%)
  • "지속적 상품보충은 기존에 소매점에 재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품을 공급하는 방식인 풀(pull)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지속적 상품보충은 소비자 수요에 기초하여 상품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소매점에 재고가 없을 때에만 상품을 보충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상품을 공급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풀(pull)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경쟁우위를 강화하기 위한 종업원에 대한 인적자원관리활동으로 옳은 것은?

  1. 고용보장: 회사가 장기적인 안목으로 종업원을 대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2. 인센티브 제도: 종업원들을 회사의 주주로 만들어 종업원의 이익과 주주의 이익을 일치시켜 준다.
  3. 종업원지주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흥미롭게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4. 권한강화: 경영성과로 인한 이윤을 직원들에게 배분하는 것으로 더욱 열심히 일하고자 하는 동기를 부여한다.
  5. 순환근무: 기존의 위계적 통제체제에서 업무활동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체계로의 전환을 수반하여 자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고용보장: 회사가 장기적인 안목으로 종업원을 대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이다." 이다.

    이유는 고용보장은 종업원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가지고 있음을 보장해주는 것으로, 이는 종업원들이 회사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더욱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회사가 종업원들을 장기적으로 대우하고 있다는 것을 알리는 것으로, 경쟁우위를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소매업발전이론에 대한 설명이나 한계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매수명주기이론: 소매점 유형이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 단계를 거친다.
  2. 아코디언이론: 원스톱 쇼핑이나 전문점을 찾는 다양한 소비자층이 존재한다는 것은 설명하지 못한다.
  3. 빅미들(big middle)이론: 최초의 소매업발전이론으로, 과거에는 백화점이 지배적인 대형 중간상이었으나 현재는 온라인 쇼핑몰이 지배적인 이유를 설명한다.
  4. 아코디언이론: 저관여제품, 고관여제품의 소매업태를 설명하지 못한다.
  5. 소매업수레바퀴이론: 편의점의 고가격이나 상품구색, 24시간 영업 등의 비가격적인 요소들은 설명하지 못한다.
(정답률: 57%)
  • 정답은 "빅미들(big middle)이론: 최초의 소매업발전이론으로, 과거에는 백화점이 지배적인 대형 중간상이었으나 현재는 온라인 쇼핑몰이 지배적인 이유를 설명한다."입니다.

    빅미들 이론은 과거와 현재의 대형 중간상의 역할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이론이 현재의 소매업 발전을 설명하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소매상의 구매관리에서 적정한 공급처를 확보하기 위한 평가 기준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매상의 목표 달성에 부합되는 적정 품질
  2. 최적의 가격
  3. 적정서비스 수준
  4. 역청구 활성화 정도
  5. 납기의 신뢰성
(정답률: 81%)
  • 역청구 활성화 정도는 공급처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역청구란, 공급자가 제품을 판매한 후에도 소매상이 일정 기간 내에 제품을 반품하거나 교환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역청구 활성화 정도는 공급자와의 거래 후에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대처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공급자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유통효용의 종류와 내용이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장소효용: 중간상을 통해 제조업자의 소유권을 소비자에게 이전하는 효용
  2. 시간효용: 결제시스템을 도입하거나 현금, 신용카드, 계좌이체, 모바일결제 등 다양한 결제수단 적용
  3. 시간효용: 중간상이 시즌이 지난 의류를 재고로 보관 후 다음해 시즌에 재판매
  4. 소유효용: 운반, 배송을 통한 구매접근성 향상
  5. 장소효용: 신용, 할부, 임대, 리스판매
(정답률: 69%)
  • 정답은 "시간효용: 중간상이 시즌이 지난 의류를 재고로 보관 후 다음해 시즌에 재판매"입니다. 이는 중간상이 재고를 보관하여 시즌이 지난 의류를 다음해 시즌에 재판매함으로써 시간적인 효용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소비자가 다음해 시즌에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에게 이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통적 경로와 계약형 경로의 특징을 비교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65%)
  • ㉢은 전통적 경로와 계약형 경로의 특징을 비교한 것으로 옳은 내용이다. 전통적 경로는 일반적으로 안정적이지만 변화에 대한 대처가 느리고, 계약형 경로는 유연성이 있지만 불안정한 요소가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은 옳은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물류와 고객서비스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재고수준이 낮아지면 고객서비스가 좋아지므로 서비스 수준의 향상과 추가재고 보유비용의 관계가 적절한지 고려해야 한다.
  2. 주문을 받아 물품을 인도할 때까지의 시간을 리드타임이라고 한다면 리드타임은 수주, 주문처리, 물품준비, 발송, 인도시간으로 구성된다.
  3. 리드타임이 길면 구매자는 그 동안의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보유재고를 늘리게 되므로 구매자의 재고비용이 증가한다.
  4. 효율적 물류관리를 위해 비용과 서비스의 상충(trade-off)관계를 분석하고 최상의 물류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5. 동등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대안이 여럿 있을 때 그 중 비용이 최저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물류관리의 과제 중 하나이다.
(정답률: 69%)
  • "재고수준이 낮아지면 고객서비스가 좋아지므로 서비스 수준의 향상과 추가재고 보유비용의 관계가 적절한지 고려해야 한다." 이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 재고수준이 낮아지면 고객서비스가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나빠질 수 있다는 점이다. 적정 수준의 재고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고객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아웃소싱을 제공받는 기업이 얻을 수 있는 효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아웃소싱 파트너 통제가 자회사 통제보다 용이하다.
  2. 아웃소싱 파트너의 혁신과 신기술 개발의 혜택을 얻을 수 있다.
  3. 규모의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 아웃소싱을 통하여 고정비를 변동비로 전환시킬 수 있다.
  5. 분업의 원리를 이용하여 아웃소싱 파트너의 특화를 통해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75%)
  • "아웃소싱 파트너 통제가 자회사 통제보다 용이하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는 오히려 자회사를 통제하는 것보다 아웃소싱 파트너를 통제하는 것이 더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아웃소싱 파트너가 독립적인 기업이기 때문에 제어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제품의 단위 당 가격이 4,000원이고, 제품의 단위 당 변동비가 2,000원 일 때, 이 회사의 손익 분기점은 몇 개일 때 인가? (단, 총 고정비는 200만원이다.)

  1. 100개
  2. 500개
  3. 1,000개
  4. 5,000개
  5. 10,000개
(정답률: 61%)
  • 손익 분기점은 총 수입과 총 비용이 같아지는 지점을 말합니다. 총 비용은 고정비와 가변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품 한 개를 생산하는 데에는 4,000원의 가변비가 들고, 이에 2,000원의 변동비가 더해져 총 6,000원의 가변비가 듭니다. 따라서, 제품 한 개를 판매할 때마다 6,000원의 비용이 들게 됩니다. 이 회사의 총 고정비는 200만원이므로, 이를 제품 한 개를 판매하는 데 필요한 이윤인 6,000원으로 나누면 33.33개가 나옵니다. 이는 제품 한 개를 판매할 때마다 6,000원의 비용이 들기 때문에, 33.33개를 판매해야 총 비용인 200만원을 모두 충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손익 분기점은 33.33개에서 가장 가까운 정수인 1,000개가 됩니다. 즉, 1,000개를 판매해야 회사는 이익도 손해도 보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레버리지 비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 ㉢, ㉣
  2. ㉢, ㉣
  3. ㉠, ㉤
  4. ㉡, ㉢
(정답률: 47%)
  • - 레버리지 비율은 자기자본 대비 총자산 중 얼마나 빌려서 투자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레버리지 비율이 높을수록 부채 비중이 높아져서 수익률이 높아질 수 있지만, 손실도 크게 발생할 수 있다.
    - 그림에서 레버리지 비율은 "총자산 ÷ 자기자본"으로 계산된다.
    - 따라서, ㉠은 레버리지 비율이 가장 높은 경우이다. (총자산이 자기자본보다 크기 때문)
    - 반면에, ㉢와 ㉣은 레버리지 비율이 1보다 작아서 자기자본이 총자산보다 큰 경우이다.
    - ㉡은 레버리지 비율이 1에 가까운 경우이다. (총자산과 자기자본이 비슷한 크기)
    - 마지막으로, ㉤는 레버리지 비율이 0인 경우이다. (자기자본만으로 투자하고 있는 경우)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재무제표와 관련된 각종 회계정보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재무상태표(구 대차대조표)를 통해 자산 중 자기자본이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다.
  2. 포괄손익계산서를 통해 세금을 낸 이후의 순이익도 확인할 수 있다.
  3. 일정 기간 영업실적이 얼마인지 포괄손익계산서를 통해 알 수 있다.
  4. 자본변동표는 일정 시점에서 기업의 자본의 크기와 일정 기간 동안 자본 변동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5. 재무제표는 현금주의에 근거하여 작성하기 때문에 기업의 현금가용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정답률: 64%)
  • "포괄손익계산서를 통해 세금을 낸 이후의 순이익도 확인할 수 있다."가 가장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포괄손익계산서는 세금을 고려하지 않은 순이익을 보여주기 때문에, 세금을 낸 이후의 순이익을 확인하려면 손익계산서를 확인해야 합니다.

    재무제표는 기업의 현금가용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데, 이는 현금흐름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금흐름표는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보여주기 때문에, 기업의 현금가용능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목표에 의한 관리(MBO)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종업원은 다른 사람과 보상을 비교하여 노력과 보상간에 공정성을 유지하려 한다는 이론이다.
  2.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강화요인들이 사람들을 특정방식으로 행동하게 한다는 이론이다.
  3. 높지만 도달 가능한 목표를 제공하는 것이 종업원을 동기 부여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4. 종업원이 특정 작업에 투여하는 노력의 양은 기대하는 결과물에 따라 달라진다는 이론이다.
  5. 목표 설정 및 수행을 위한 장기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인 기업에 더 적합한 이론이다.
(정답률: 54%)
  • 목표에 의한 관리(MBO) 이론은 목표 설정 및 수행을 위한 장기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인 기업에 더 적합한 이론입니다. 이는 MBO가 목표를 중심으로 조직을 관리하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기업에서는 MBO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고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최고 경영자가 사원에 대해 지켜야 하는 기업윤리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르면?

  1. ㉠, ㉡, ㉥
  2. ㉡, ㉥
  3. ㉠, ㉣
  4. ㉠, ㉡, ㉣, ㉥
  5. ㉢, ㉤
(정답률: 71%)
  • 최고 경영자는 사원들에게 공정한 대우와 적절한 보상을 제공해야 하며, 도덕적인 행동을 격려하고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따라서 "㉠"는 사원에 대한 공정한 대우와 보상, "㉣"은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를 나타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법률 제 15698호, 2018.6.12., 일부개정)에서 정의한 용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자상거래”란 전자거래(「전자문서 및 전자거래기본법」 제2조제5호에 따른 전자거래를 말한다)의 방법으로 상행위(商行爲)를 하는 것을 말한다.
  2. “통신판매”란 우편·전기통신, 그 밖에 총리령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재화 또는 용역의 판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의 청약을 받아 재화 또는 용역을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3. “통신판매업자”란 통신판매를 업(業)으로 하는 자 또는 그와의 약정에 따라 통신판매업무를 수행하는 자를 말한다.
  4. “거래중개”란 사이버몰의 이용을 허락하거나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거래 당사자 간의 통신판매를 알선하는 행위를 말한다.
  5. “사업자”란 물품을 제조(가공 또는 포장을 포함)·수입·판매하거나 용역을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정답률: 56%)
  • 정답: "“사업자”란 물품을 제조(가공 또는 포장을 포함)·수입·판매하거나 용역을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설명: "사업자"는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한 용어가 아니라, 일반적인 상업적인 용어이다. 다른 보기들은 법률에서 정의한 용어들이다. "거래중개"는 사이버몰에서 거래 당사자 간의 통신판매를 중개하는 행위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아래 글 상자의 A가맹점에 의하여 발생한 유통경로 갈등의 원인은?

  1. 역할의 불일치
  2. 인식의 불일치
  3. 기회주의적 행동
  4. 영역의 불일치
  5. 목표의 불일치
(정답률: 66%)
  • A가맹점이 기회주의적 행동을 하여, 유통경로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최대화하려고 하다보니 다른 가맹점과의 갈등이 발생한 것이다. 즉, A가맹점은 자신들의 이익을 중시하며, 다른 가맹점들과의 협력보다는 경쟁을 선호하는 태도를 보였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도매상의 제조업체에 대한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장확대 기능
  2. 재고유지 기능
  3. 제품의 소량분할공급 기능
  4. 주문처리 기능
  5. 시장정보제공 기능
(정답률: 60%)
  • 제조업체는 대부분 대량생산을 하기 때문에 소량분할공급 기능은 옳지 않습니다. 도매상은 대량생산된 제품을 소량으로 분할하여 고객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기능은 도매상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유통경로구조의 결정이론과 설명하는 주요 내용의 연결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연기-투기이론: 누가 재고보유에 따른 위험을 감수하는가?
  2. 기능위양이론: 누가 어떤 기능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수행하는가?
  3. 거래비용이론: 기업이 어떻게 유통경로구조의 수평적 통합을 통해 경로구성원들과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가?
  4. 게임이론: 경쟁관계에 있는 구성원들이 어떻게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가?
  5. 대리인이론: 의뢰인에게 최선의 성과를 가져다주는 효율적인 계약인가?
(정답률: 65%)
  • 정답은 "거래비용이론: 기업이 어떻게 유통경로구조의 수평적 통합을 통해 경로구성원들과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가?"입니다.

    거래비용이론은 기업이 경로구성원들과의 거래비용을 최소화하고, 경로구조를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이론입니다. 따라서 이론과 주요 내용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종업원 훈련과 개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훈련·개발 방법은 전문강사의 지도로 이루어지는 직장내훈련(on the job training: OJT)과 선임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직장외훈련(off the job training: Off-JT)으로 구분된다.
  2. 강의와 세미나 방식은 종업원들로 하여금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자신의 개념적, 분석적 능력을 개발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3. 도제훈련방식은 특히 숙련공을 필요로 하는 금속, 인쇄, 건축 같은 업종의 기업에서 하는 훈련방식으로 고도의 기술수준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4. 인턴제도는 수련훈련방식에 포함되는 것으로 졸업을 앞둔 대학생이 직무에 배치되어 배우면서 일하는 프로그램이다.
  5. 가상훈련장 훈련방식은 실제 작업환경과 비슷한 가상의 작업환경 속에서 직무를 학습하게 하는 훈련을 말한다.
(정답률: 73%)
  • 옳지 않은 내용은 "훈련·개발 방법은 전문강사의 지도로 이루어지는 직장내훈련(on the job training: OJT)과 선임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직장외훈련(off the job training: Off-JT)으로 구분된다."이다. 직장외훈련은 전문강사의 지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포장물류의 사회성에 따른 문제점과 고려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하여 과대포장이 되지 않도록 포장의 적정화를 기하여야 한다.
  2. 적절한 회수 및 폐기 시 환경문제를 고려하여 포장재를 선택하여야 한다.
  3. 포장재에 대한 특징, 사용상의 주의, 포장해체에 대한 절차를 정확하게 표기하여야 한다.
  4. 포장재료나 용기의 유해성과 위생성 등은 일차적으로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5. 포장재료의 주를 이루는 판지, 플라스틱, 금속 및 목재 등 상당수의 포장재는 자원절약과 효율적인 활용차원에서의 재활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정답률: 87%)
  • "포장재료나 용기의 유해성과 위생성 등은 일차적으로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포장재료나 용기의 유해성과 위생성은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포장물류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따라서 포장재료나 용기의 선택은 유해성과 위생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는 일차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물적 흐름과정에 따라 분류한 영역별 물류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조달물류비
  2. 물류정보관리비
  3. 판매물류비
  4. 역물류비
  5. 사내물류비
(정답률: 61%)
  • 물류정보관리비는 물적 흐름과정에 따라 분류되는 영역 중 하나가 아니라, 물류 정보 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필요한 비용으로서, 물류 활동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비용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조직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에 대한 대응방식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양보: 자신의 이해관계보다는 상대의 요구에 맞춰 갈등해결을 추구한다.
  2. 타협: 자신의 실익 및 상대와의 관계를 적절히 조화시키려 한다.
  3. 경쟁: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기 위해 자신의 능력을 사용한다.
  4. 협력: 갈등에 대한 언급 자체를 피한다.
  5. 회피: 갈등상태에 있는 자신의 목표 달성을 추구하지 않는다.
(정답률: 82%)
  • 협력: 갈등에 대한 언급 자체를 피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갈등을 무시하거나 숨기는 것은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 내에서 갈등이 발생할 경우,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ABC재고관리방법에 대해 옳게 기술한 것은?

  1. 정성적 예측기법을 활용한 재고관리방법이다.
  2. 마케팅 비용에 따른 수요예측을 근거로 경제적 주문량을 결정한다.
  3. A그룹에 포함되는 품목은 대체로 수익성이 낮은 품목이다.
  4. C그룹에 포함되는 품목은 단가가 낮아 재고관리가 소홀한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5. 파레토 법칙과는 상반되는 재고관리방법이다.
(정답률: 58%)
  • 정답: "C그룹에 포함되는 품목은 단가가 낮아 재고관리가 소홀한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해설: C그룹에 속하는 품목은 단가가 낮아서 수익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재고관리가 소홀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재고가 불필요하게 많아지거나, 반대로 재고가 부족해져서 생산과 판매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C그룹에 속하는 품목들도 적절한 재고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재고관리에 대해서 옳게 기술한 것을 모두 고르면?

  1. ㉡, ㉢
  2. ㉢, ㉣
  3. ㉠, ㉡, ㉤
  4. ㉠, ㉢, ㉣
  5. ㉠, ㉢, ㉤
(정답률: 53%)
  • ㉠. 재고관리란, 기업이 보유한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서비스를 개선하는 것이다.
    ㉢. 재고관리의 목적은 재고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고객서비스를 유지하는 것이다.
    ㉣. 재고관리 방법으로는 ABC분류법, JIT(Just In Time)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물류 관리에서 배송 합리화의 방안으로 공동배송을 실시하려고 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품이나 보관 특성상의 유사성이 있을 때 효과적이다.
  2. 거리가 인접하여 화물 수집이 용이해야 한다.
  3. 대상화물이 공동화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4. 일정 지역 내에 배송하는 화주가 독점적으로 존재해야 한다.
  5. 참여 기업의 배송조건이 유사해야 한다.
(정답률: 84%)
  • 일정 지역 내에 배송하는 화주가 독점적으로 존재해야 하는 이유는 공동배송을 실시할 때 참여 기업들이 경쟁적인 가격 경쟁을 하게 되면서 배송비용이 더욱 저렴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독점적인 화주가 존재하면 참여 기업들이 경쟁적인 가격 경쟁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송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소매상의 분류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1. ㉠, ㉡
  2. ㉠, ㉡, ㉢
  3. ㉠, ㉡, ㉢, ㉣
  4. ㉠, ㉡, ㉢, ㉣, ㉤
(정답률: 84%)
  • 이미지에서 보이는 소매상들은 상품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있습니다.

    - ㉠: 식료품
    - ㉡: 의류
    - ㉢: 서적
    - ㉣: 전자제품
    - ㉤: 기타 상품

    따라서, 모든 분류를 포함하는 정답은 "㉠, ㉡, ㉢, ㉣,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상권분석

26. 구체적 상권분석 기법 중 하나로 유추법 등에서 활용되는 CST map은 유통기업의 CRM에서 소비자를 공간적으로 분석하는데 이용되기도 하는데 다음 중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최근 점점 더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GIS의 다양한 분석기능들을 활용하면 2차원 또는 3차원의 공간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권과 관련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2. 새롭게 개발하는 신규점포가 기존점포의 상권을 얼마나 잠식할 가능성이 있는가를 분석하여 점포 개설, 점포이동, 점포 확장계획을 만들 수 있다.
  3. 2차자료인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점포 이용자 중 특정 속성을 가진 표적소비자들을 추출하고 그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차별적 판촉전략을 수행할 수 있다.
  4. 자사 점포 및 경쟁사의 점포 위치와 각 점포별 상권범위 분석을 통해 점포들간의 상권잠식 상태와 경쟁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5. 점포를 이용하고 있는 현재의 소비자나 잠재적 소비자들의 공간적 위치를 분석하여 상권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으며, 1차상권, 2차상권 및 한계상권을 구획할 수 있다.
(정답률: 58%)
  • CST map은 유통기업의 CRM에서 소비자를 공간적으로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기법으로, 소비자의 공간적 위치를 분석하여 상권의 범위를 파악하고 1차상권, 2차상권 및 한계상권을 구획할 수 있다. 따라서 "2차자료인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점포 이용자 중 특정 속성을 가진 표적소비자들을 추출하고 그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차별적 판촉전략을 수행할 수 있다."는 CST map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점포의 입지유형을 집심성(集心性), 집재성(集在性), 산재성(散在性)으로 구분할 때 넬슨의 소매입지 선정원리 중에서 집재성 점포의 기본속성과 연관성이 가장 큰 것은?

  1. 양립성의 원리
  2. 경쟁위험 최소화의 원리
  3. 경제성의 원리
  4. 누적적 흡인력의 원리
  5. 고객 중간유인의 원리
(정답률: 58%)
  • 집재성 점포는 특정 지역 내에 집중적으로 위치하며, 이는 누적적 흡인력의 원리와 연관이 있다. 즉, 이러한 점포들이 모여 있으면 그 지역에는 많은 고객들이 모이게 되고, 이는 다시 더 많은 고객들을 끌어들이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집재성 점포는 이러한 누적적 흡인력의 원리를 기반으로 입지를 결정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대표적 상권분석 기법 중 하나인 Huff모형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포선택행동을 확률적분석이 아닌 기술적방법(descriptive method)으로 분석한다.
  2. Huff모형은 상권내의 매출액을 추정하지만 점포별 점유율은 추정하지 못한다.
  3. 소매상권이 공간상에서 연속적이고 타점포 상권과 중복가능함을 인정한다.
  4. 소비자 거주지와 점포까지의 거리는 이동시간으로 대체하여 분석할 수 없다.
  5. Huff모형은 점포이미지 등 다양한 변수를 반영하여 상권을 분석할 수 있다.
(정답률: 40%)
  • 정답은 "소매상권이 공간상에서 연속적이고 타점포 상권과 중복가능함을 인정한다." 이다. Huff모형은 소비자의 구매활동과 경쟁상황을 고려하여 상권의 매출액을 예측하는 모형으로, 상권 내의 각 점포의 매출액은 해당 점포의 특성과 소비자의 선호도, 경쟁점포와의 거리 등의 변수를 고려하여 추정된다. 이때, 상권은 공간상에서 연속적이며, 타점포 상권과 중복 가능하다는 가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가정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Huff모형을 적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역상권의 매력도를 평가할 때는 먼저 수요요인과 공급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이 요인들을 평가하는데 소매포화지수(IRS: Index of Retail Saturation)와 시장성장잠재력지수(MEP: Market Expansion Potential)를 활용할 수 있다. 이 두 지수들을 기준으로 평가할 때 그 매력성이 가장 높은 지역상권은?

  1. IRS가 작고 MEP도 작은 지역상권
  2. IRS가 작고 MEP는 큰 지역상권
  3. IRS가 크고 MEP는 작은 지역상권
  4. IRS가 크고 MEP도 큰 지역상권
  5. IRS의 크기와는 상관없이 MEP가 큰 지역상권
(정답률: 74%)
  • 정답은 "IRS가 크고 MEP도 큰 지역상권"이다. 이유는 소매포화지수(IRS)가 크다는 것은 이미 많은 상점들이 입점해 있어 경쟁이 치열하고 수요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시장성장잠재력지수(MEP)가 크다는 것은 해당 지역의 인구 증가율이 높거나 소비력이 높아져 미래에도 수요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IRS와 MEP가 모두 큰 지역상권은 이미 수요가 높고 미래에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지역상권으로 평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점포의 매력도를 평가하는 입지조건의 특성과 그에 대한 설명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가시성 – 얼마나 그 점포를 쉽게 찾아 올 수 있는가 또는 점포 진입이 수월한가를 의미
  2. 접근성 – 점포를 찾아오는 고객에게 점포의 위치를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설명의 용이도
  3. 홍보성 – 점포 전면을 오고 가는 고객들이 그 점포를 쉽게 발견할 수 있는지의 척도
  4. 인지성 – 사업 시작 후 고객에게 어떻게 유효하게 점포를 알릴 수 있는가를 의미
  5. 호환성 – 점포에 입점 가능한 업종의 다양성 정도 즉, 다양한 업종의 성공가능성을 의미
(정답률: 65%)
  • 호환성은 점포에 입점 가능한 업종의 다양성 정도를 의미합니다. 즉, 다양한 업종이 입점 가능하고 성공 가능성이 높은지를 평가하는 조건입니다. 이는 점포가 다양한 고객층을 유치하고 매출을 증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활용으로 과학적 상권분석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컴퓨터를 이용한 지도작성(mapping)체계와 데이터베이스관리체계(DBMS)의 결합이라고 볼 수 있다.
  2. GIS는 공간데이터의 수집, 생성, 저장, 검색, 분석, 표현 등 상권분석과 연관된 다양한 기능을 기반으로 한다.
  3. 대개 GIS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와 결합된 하나의 지도레이어(map layer)만을 활용하므로 강력한 공간정보표현이 가능하다.
  4. 지도레이어는 점, 선, 면을 포함하는 개별 지도형상(map features)으로 주제도를 표현할 수 있다.
  5. gCRM이란 GIS와 CRM의 결합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기술을 활용한 고객관계관리(CRM) 기술을 가리킨다.
(정답률: 75%)
  • 대개 GIS는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와 결합된 하나의 지도레이어(map layer)만을 활용하므로 강력한 공간정보표현이 가능하다. - 이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GIS는 여러 개의 데이터베이스와 지도레이어를 결합하여 다양한 공간정보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점포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입지조건에 대한 설명 중에서 일반적으로 타당하다고 볼 수 없는 것은?

  1. 시장규모에 따라 점포는 적정한 크기가 있어서 면적이 일정 수준을 넘게 되면 규모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출은 증가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2. 주로 대로변에서 발견되는 특정 점포의 건축선 후퇴는 자동차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가시성을 높여 매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3. 도로에 접하는 점포의 정면너비가 건물 안쪽으로의 깊이보다 큰 장방형 형태의 점포는 가시성 확보에 유리해 바람직하다.
  4. 점포의 출입구에 높낮이 차이가 있으면 출입을 방해하는 장애물로 작용하게 된다.
  5. 점포의 형태가 직사각형에 가까우면 집기나 진열선반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쉽고 이용할 수 없는 공간(dead space)이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66%)
  • 일반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설명은 "주로 대로변에서 발견되는 특정 점포의 건축선 후퇴는 자동차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가시성을 높여 매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입니다. 이는 오히려 가시성을 떨어뜨리고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대로변에서 건축선 후퇴가 있다면 자동차 운전자들은 점포를 더 어렵게 찾을 수 있고, 대로변에서 멀어질수록 가시성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아래 글상자에 열거된 사항들 가운데 입지 선정을 위한 상권의 경쟁구조 분석의 대상들만을 묶은 것은?

  1. 가, 나, 다, 라, 마
  2. 가, 나, 다, 라
  3. 가, 나, 다, 마
  4. 가, 나, 다
  5. 가, 나
(정답률: 70%)
  • 정답은 "가, 나, 다, 라, 마"입니다. 이유는 상권의 경쟁구조 분석을 위해서는 경쟁 업체, 인구 특성, 교통 상황, 지역적 특성 등 다양한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입지 선정을 위한 상권의 경쟁구조 분석의 대상들만을 묶은 것이 "가, 나, 다, 라, 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아래 글상자에 출점과 관련된 몇 가지 의사결정 사안들이 제시되어 있다. 다음 중 출점 의사결정 사안을 논리적과정에 따라 가장 올바르게 배열한 것은?

  1. 가(→)나(→)다(→)라
  2. 라(→)가(→)나(→)다
  3. 가(→)라(→)다(→)나
  4. 나(→)다(→)가(→)라
  5. 나(→)라(→)가(→)다
(정답률: 54%)
  • 가(→)라(→)다(→)나

    첫 번째로 고려해야 할 사안은 출판사의 경제적 여건이다. 출판사가 출판할 책의 부수와 인쇄 방식, 판매 가격 등을 고려하여 출판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에 따라 출판사는 출판할 책의 종류와 양을 결정하게 된다.

    두 번째로는 시장 조사가 필요하다. 출판사는 출판할 책의 장르, 대상 독자층, 경쟁작 등을 파악하여 출판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를 통해 출판사는 출판할 책의 내용과 방향성을 결정하게 된다.

    세 번째로는 저작권 문제가 있다. 출판사는 출판할 책의 저작권 문제를 꼼꼼히 검토해야 한다. 이를 통해 출판사는 출판할 책의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고 출간을 준비할 수 있다.

    네 번째로는 편집과 제작 과정이 있다. 출판사는 출판할 책의 내용을 편집하고, 인쇄 및 제작 과정을 거쳐 출간을 준비한다. 이를 통해 출판사는 출판할 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출판사가 출판할 책을 결정하는 과정은 경제적 여건, 시장 조사, 저작권 문제, 편집과 제작 과정 등을 고려하여 가(→)라(→)다(→)나의 순서로 진행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점포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권구성을 구분할 때 1차상권, 2차상권, 3차상권으로 구분한다. 이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차상권은 경쟁점포들과의 상권중복도가 낮다.
  2. 1차상권은 2, 3차 상권이 비해 상대적으로 내점고객의 밀도가 높다.
  3. 2차상권은 1차상권에 비해 소비자의 내점빈도가 낮다.
  4. 3차상권은 소비수요의 흡인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5. 3차상권은 한계상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정답률: 71%)
  • 정답: "1차상권은 경쟁점포들과의 상권중복도가 낮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3차상권은 소비수요의 흡인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는 것은, 해당 지역에 위치한 상권이 다른 지역의 소비수요를 끌어들이는 능력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3차상권은 다른 상권들과 경쟁하지 않고도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어들일 수 있는 매력적인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1차상권은 경쟁점포들과의 상권중복도가 낮다는 것은, 해당 지역에 위치한 상권이 다른 지역의 상권과 겹치는 부분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경쟁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내점고객의 밀도가 높다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상권분석에서 활용하는 조사기법 중에서 조사대상과 조사장소가 점두조사법과 가장 유사한 것은?

  1. 가정방문조사법
  2. 지역할당조사법
  3. 고객점표법
  4. 내점객조사법
  5. 편의추출조사법
(정답률: 54%)
  • 내점객조사법은 조사대상이 상권 내에서 실제로 구매를 한 고객들이며, 조사장소도 상권 내의 매장이므로 점두조사법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내점객조사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점포개설과정에서 점포의 매매와 임대차 거래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공부서류와 그 내용을 위쪽 괄호부터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가 - 나 - 라 – 다
  2. 나 - 가 - 라 – 다
  3. 다 - 나 - 가 – 라
  4. 다 - 나 - 라 – 가
  5. 나 - 다 - 가 – 라
(정답률: 6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점포임차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확인해야할 환산보증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산보증금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2.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은 영세상인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보호법이다.
  3. 환산보증금 기준은 영세상인의 범위를 규정하기 위해 정한 보증금 수준을 의미한다.
  4. 우선변제를 받을 환산보증금의 기준은 지역별 차등적용에서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동일기준으로 변경되었다.
  5. 경제발전 정도에 따라서 우선변제의 기준액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실제 거래가 일어나는 시기에 해당 법령조항을 확인해야 한다.
(정답률: 60%)
  • "환산보증금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서 규정하고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환산보증금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서 규정되어 있지만, 이는 보증금의 환산 방식과 관련된 것이며, 보증금의 기준액과 관련된 내용은 법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환산보증금 기준은 영세상인의 범위를 규정하기 위해 정한 보증금 수준을 의미한다."가 맞는 설명이다. 우선변제를 받을 환산보증금의 기준이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것은 최근에 이루어졌으며, 경제발전 정도에 따라 우선변제의 기준액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실제 거래가 일어나는 시기에 해당 법령조항을 확인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좋은 입지의 선정은 소매점 성공의 핵심요인의 하나이다. 공간균배의 원리는 경쟁관계에 있는 점포들이 서로 공간을 나누어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입지와 점포의 적합성이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다음 중 점포유형별로 적합한 입지에 대한 공간균배원리의 설명에 부합하는 것은?

  1. 가구점은 도심입지가 유리한 집심성(集心性) 점포이다.
  2. 백화점은 서로 분산하여 입지하는 것이 유리한 산재성(散在性) 점포이다.
  3. 고급의류점은 동일업종 점포들이 국부적 중심지에 집중하는 것이 유리한 산재성(散在性) 점포이다.
  4. 대중목욕탕은 동일업종이 함께 모여 있는 입지가 유리한 집재성(集在性) 점포이다.
  5. 먹자골목이나 약재시장은 집재성 입지의 대표적 사례에 해당한다.
(정답률: 66%)
  • 먹자골목이나 약재시장은 동일업종 점포들이 함께 모여 있는 입지가 유리한 집재성(集在性) 점포이다. 이는 소비자들이 다양한 선택지를 가지고 있으며,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도 서로 경쟁하면서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입지에서는 소비자들이 특정한 상품을 찾을 때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먹자골목이나 약재시장은 집재성 입지의 대표적 사례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상권들에 대한 점포의 출점 여부와 출점 순서를 결정할 때는 상권의 시장 매력성과 자사 경쟁력을 고려해야 한다. 시장 매력성은 시장의 규모와 성장성, 자사 경쟁력은 경쟁강도 및 자사 예상매출액 등을 결합하여 추정한다. 점포출점에 대한 다음의 원칙들 가운데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경우에 따라 자사 경쟁력보다 시장 매력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도 있다.
  2. 경쟁 강도가 낮아도 자사 예상매출액 또한 낮으면 출점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하다.
  3. 무조건 큰 규모로 개점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기보다 적정규모로 출점한다.
  4. 시장 매력성은 큰 데 예상매출액이 작으면 경쟁력을 개선할 수 있을 때만 출점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5. 더 큰 시너지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자사 점포간 상권잠식은 오히려 유리한 현상이다.
(정답률: 70%)
  • "더 큰 시너지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자사 점포간 상권잠식은 오히려 유리한 현상이다."가 가장 옳지 않은 원칙이다. 자사 점포간 상권잠식은 오히려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권잠식을 최소화하고 상호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상권과 입지는 혼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엄밀하게 보면 기본개념이나 성격 및 평가방법 등의 측면에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을 시도하는 경우 그 연결이 적절한 것은?

  1. 상권 – 나, 다, 사
  2. 상권 – 가, 바, 사
  3. 상권 – 나, 라, 바
  4. 입지 – 가, 라, 마
  5. 입지 – 나, 라, 사
(정답률: 47%)
  • 입지는 건물이나 부지의 위치와 관련된 개념으로, 교통편이나 인구밀도 등을 고려하여 평가한다. 반면에 상권은 일정 지역 내에서 상업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지역을 의미하며, 주변 인프라나 경쟁 업체 등을 고려하여 평가한다. 따라서, "입지 - 가, 라, 마"는 모두 위치와 관련된 요소들을 고려하여 평가하는 것이므로 연결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소매점에서 좋은 입지와 나쁜 입지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아래의 내용 중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출근길보다는 퇴근길 방향에 있는 곳은 좋은 입지이다.
  2. 주변 가게가 기술 위주 서비스업종이나 저가 상품 위주인 곳은 나쁜 입지이다.
  3. 주변에 노점상이 많은 입지는 좋은 입지이다.
  4. 버스정류장이나 지하철역을 끼고 있는 입지는 매우 좋은 입지이다.
  5. 일방(편도)통행 도로변이나 맞은편에 점포가 없는 곳은 좋은 입지이다.
(정답률: 49%)
  • "주변에 노점상이 많은 입지는 좋은 입지이다."는 옳지 않은 내용입니다. 노점상이 많은 곳은 보통 인프라가 부족하고 혼잡한 곳이기 때문에 소매점 입지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방(편도)통행 도로변이나 맞은편에 점포가 없는 곳은 좋은 입지입니다. 이유는 차량이나 보행자가 접근하기 쉽고 시야가 좋아서 노출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경쟁 업체가 적어서 경쟁이 적고 임대료가 낮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고객유도시설을 점포의 유형에 따라 도시형, 교외형, 인스토어형으로 구분할 때 도시형점포의 고객유도시설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지하철역
  2. 철도역
  3. 버스정류장
  4. 버스터미널
  5. 인터체인지
(정답률: 74%)
  • 인터체인지는 도시형점포의 고객유도시설이 아닙니다. 인터체인지는 교통시설로,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결을 위한 시설입니다. 따라서 고객 유도를 위한 시설이 아니며, 도시형점포의 고객 유도시설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유동인구 조사를 통해 유리한 입지조건을 찾는 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교통시설로부터의 쇼핑동선이나 생활동선을 파악한다.
  2. 주중 또는 주말 중 조사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선택적으로 조사한다.
  3. 조사시간은 영업시간대를 고려하여 설정한다.
  4. 유동인구의 수보다 인구특성과 이동방향 및 목적 등이 더 중요할 수도 있다.
  5. 같은 수의 유동인구라면 일반적으로 출근동선보다 퇴근 동선에 위치하면 더 유리하다.
(정답률: 75%)
  • 주중 또는 주말 중 조사의 편의성을 감안하여 선택적으로 조사한다. - 이는 유동인구 조사의 공정성을 해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조사 결과에 편향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조사 대상이 되는 인구층의 특성과 이동 패턴을 고려하여 가능한 모든 시간대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21km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두 도시 A, B가 있는데 A시의 인구는 3만명이고 B시의 인구는 A시의 4배라고 하면 도시간의 상권경계는 A시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곳에 형성되겠는가? Converse의 상권분기점 분석법을 이용해 계산하라.

  1. 5.25km
  2. 6km
  3. 7km
  4. 13km
  5. 14km
(정답률: 43%)
  • Converse의 상권분기점 분석법은 인구 비율과 거리 비율을 이용하여 상권 경계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A시와 B시의 인구 비율이 1:4 이므로, 상권 경계는 A시에서 4분의 1 지점에 위치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21km의 4분의 1인 5.25km 지점이 상권 경계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거리 비율만 고려하므로 실제로는 인구 밀도와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추정을 위해서는 상세한 조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7km가 가장 근접한 값이므로, 7km로 답을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유통마케팅

46.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이것은?

  1. 조닝(zoning)
  2. 페이싱(facing)
  3. 브레이크업(break up)
  4. 블랙룸(black room)
  5. 랙(rack)
(정답률: 52%)
  • 이것은 페이싱(facing)을 나타내는 그림입니다. 페이싱은 카메라나 조명을 이용하여 배경과 모델의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하는 기법으로, 모델의 얼굴이나 몸의 일부분이 바로 카메라를 향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모델의 얼굴이나 특정 부분이 더욱 돋보이게 하여 더욱 매력적인 사진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통경로에 참여하는 구성원 간의 관계에서 작용하는 경로파워의 원천을 구분하여 설명할 때, (가)와 (나)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보상적 파워, 준거적 파워
  2. 강압적 파워, 보상적 파워
  3. 합법적 파워, 강압적 파워
  4. 준거적 파워, 전문적 파워
  5. 전문적 파워, 합법적 파워
(정답률: 77%)
  • (가)는 강압적 파워, (나)는 보상적 파워이다.

    강압적 파워는 상대방에게 위협이나 강제를 가해 원하는 결과를 얻는 것이며, 보상적 파워는 상대방에게 보상이나 혜택을 제공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는 것이다. 유통경로에서는 강압적 파워보다는 보상적 파워가 더 효과적이며, 이는 유통구성원 간의 상호의존적인 관계에서 상대방의 이익을 고려하고 협력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통경로에서는 보상적 파워를 중심으로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판매촉진의 목표와 판촉수단을 가장 옳게 연결한 것은?

  1. 시험구매 촉진-견본품 제공
  2. 재구매 촉진-시제품 제공
  3. 연속구입 촉진-시연회
  4. 시험구매 촉진-고객멤버십행사
  5. 재구매 촉진-시식 행사
(정답률: 72%)
  • 시험구매 촉진은 고객이 제품을 직접 체험하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이를 위해 견본품 제공은 고객이 제품을 더욱 신뢰하고 구매 결정을 내리기 쉽게 만들어준다. 따라서 "시험구매 촉진-견본품 제공"이 가장 옳은 선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백화점 운영방식 유형을 거래조건, 재고부담, 소유권 등을 기준으로 구분할 때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백화점 내 점포의 소유권이 백화점에 있으면 직영매장이고, 입점업체에 있으면 임대매장이다.
  2. 직매입 매장은 백화점이 제조업체나 벤더업체 등 납품업체로부터 상품을 매입하여 운영하는 매장이다.
  3. 특정매입매장을 운영하는 납품업체는 판매가 이루어 지지 않은 상품을 모두 재고로 떠안아야 하며 상품판매는 백화점의 명의로 이루어진다.
  4. 임대갑매장은 전형적인 임대차거래에 의한 매장으로백화점 입점 시 적정액의 임대보증금을 지급하고 임대료로 월정액의 임대료를 지급하는 매장이다.
  5. 직매입과 특정매입매장은 직영매장에 해당하고, 임대갑매장과 임대을매장은 임대매장으로 구분한다.
(정답률: 33%)
  • "특정매입매장을 운영하는 납품업체는 판매가 이루어 지지 않은 상품을 모두 재고로 떠안아야 하며 상품판매는 백화점의 명의로 이루어진다."가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백화점 내 점포의 소유권이 백화점에 있으면 직영매장이고, 입점업체에 있으면 임대매장입니다. 직매입 매장은 백화점이 제조업체나 벤더업체 등 납품업체로부터 상품을 매입하여 운영하는 매장이며, 특정매입매장은 특정한 상품군에 대해서만 매입을 받아 운영하는 매장입니다. 임대갑매장은 전형적인 임대차거래에 의한 매장으로 적정액의 임대보증금을 지급하고 월정액의 임대료를 지불하는 매장이며, 임대을매장은 임대갑매장과 달리 임대료 대신 매출의 일정 비율을 지불하는 매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격전술과 내용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유인가격전술: 보다 많은 소비자를 자사점포로 유인하기 위한 가격전술
  2. 변동가격전술: 가격을 동일하게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와의 흥정을 통해 최종가격을 설정하는 가격전술
  3. 명성가격전술: 상품의 고품질과 높은 명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고가격을 설정하는 가격전술
  4. 묶음가격전술: 상품 단위당 이익을 높이기 위해 상품을 큰 묶음 단위로 제공하는 가격전술
  5. 가격대전술: 상품계열별로 취급상품들을 몇 종류의 가격대로 묶어 가격을 설정하는 전술
(정답률: 46%)
  • 명성가격전술은 상품의 고품질과 높은 명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고가격을 설정하는 가격전술이다. 이는 소비자들이 상품의 가치를 높게 인식하고 더 많은 가치를 느끼도록 유도하는 전략이다. 따라서, 가격전술과 내용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묶음가격전술"이다. 묶음가격전술은 상품 단위당 이익을 높이기 위해 상품을 큰 묶음 단위로 제공하는 가격전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아래 글상자 (가)와 (나)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가) 중앙(center), (나) 왼쪽
  2. (가) 중앙(center), (나) 오른쪽
  3. (가) 엔드(end), (나) 양쪽
  4. (가) 엔드(end), (나) 오른쪽
  5. (가) 엔드(end), (나) 왼쪽
(정답률: 52%)
  • 정답은 "(가) 엔드(end), (나) 오른쪽"이다.

    이유는 글상자의 모양이 가로 방향으로 길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가장 자연스러운 위치는 양 끝단에 위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는 엔드(end) 위치에, (나)는 오른쪽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마케팅 믹스전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매상의 상품 전략은 표적 시장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상품 믹스를 개발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2. 대형 유통업체의 PB(Private Brand)출시는 상품 전략 중에서 상표 전략에 속한다.
  3. 가격 전략에서 특정 소매상이 시장 점유율을 증대시키고자 한다면 고가격전략을, 이익 증대가 목표라면 저가격 전략을 수립한다.
  4. 촉진이란 소비자가 특정 소매상이나 상품을 인지하고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활동을 말한다.
  5. 광고와 인적판매, 판촉, 홍보는 대표적인 촉진 방법이다.
(정답률: 73%)
  • "가격 전략에서 특정 소매상이 시장 점유율을 증대시키고자 한다면 고가격전략을, 이익 증대가 목표라면 저가격 전략을 수립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고가격 전략은 이익 증대를 목표로 하며, 저가격 전략은 시장 점유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경쟁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을 모두 고르면?

  1. 가, 나, 다
  2. 가, 나, 라
  3. 나, 다, 라
  4. 나, 다, 마
  5. 다, 라, 마
(정답률: 74%)
  • - 가: 순수경쟁 (Perfect competition) - 시장 내 입장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많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존재하며 제품이 동일한 경우
    - 나: 소수자 지배적 경쟁 (Oligopoly) - 시장 내 소수의 대기업이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간의 경쟁이 이루어지는 경우
    - 라: 독점 (Monopoly) - 시장 내 하나의 대기업이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어 경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아래 글상자의 사례에서, 전문컨설팅업체가 시행한 SWOT분석 내용 중 위협요인으로 잘못 분석한 것은?

(정답률: 59%)
  • 정답: ㉤

    해설: 전문컨설팅업체가 시행한 SWOT분석에서 위협요인으로 분석한 "경쟁 업체의 진입"은 올바른 분석이지만, "고객의 요구사항 변화"는 위협요인이 아니라 기회요인으로 분석되어야 합니다. 고객의 요구사항이 변화하면 기업은 이에 대응하여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기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선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매업체의 상품구색계획(assortment pla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소매업체의 전반적인 재무목표
  2. 상품 카테고리별 매입 절차 및 조직
  3. 상품의 점포별 할당 계획
  4. 특정 상품 카테고리에서 취급할 상품 목록
  5. 특정 상품 카테고리별 성과 통제
(정답률: 62%)
  • 소매업체의 상품구색계획은 특정 상품 카테고리에서 취급할 상품 목록을 계획하는 것이다. 이는 소매업체가 어떤 상품을 어떤 점포에서 판매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계획이며, 이를 통해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상품구색계획과 관련이 있지만, 가장 정확한 설명은 "특정 상품 카테고리에서 취급할 상품 목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아래 글상자 (가)와 (나)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가) 도입기, (나) 쇠퇴기
  2. (가) 도입기, (나) 성숙기
  3. (가) 성장기, (나) 성숙기
  4. (가) 성장기, (나) 쇠퇴기
  5. (가) 성숙기, (나) 쇠퇴기
(정답률: 72%)
  • (가)에서는 인간의 신체적, 정신적 성장이 가장 빠르게 일어나는 시기인데, 이는 금융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시기에는 수입이 증가하고 지출이 적어져 저축이 가능해지며, 미래를 위한 계획과 투자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나)에서는 성장이 둔화되고 안정적인 수입이 유지되는 시기인데, 이는 금융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시기에는 저축과 투자가 계속 이루어지며, 재테크와 자산관리가 중요해진다. 따라서 정답은 "(가) 성장기, (나) 성숙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아래 글상자의 사례에서 나타난 두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기술하는 가장 적절한 용어는?

  1. 쇼루밍(showrooming)
  2. 역 쇼루밍(reverse showrooming)
  3. 웹루밍(webrooming)
  4. 윈도우 쇼핑(window shopping)
  5. 오프라인 쇼핑(offline shopping)
(정답률: 67%)
  • 두 소비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살펴보고 가격을 확인한 후, 인터넷을 통해 더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하는 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행동을 "쇼루밍(showrooming)"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POP(Point of Purchase) 및 그 유형별 활용 방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POP는 소비자가 구매하는 시점에서 판매를 촉진하는 수단으로서, 소비자에게 보다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광고 POP는 소비자를 유인하는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광고를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3. 광고 POP물은 사인(sign)물처럼 장기간 사용되기에 강렬한 인상을 줄수록 바람직하다.
  4. 판촉 POP의 메시지는 알기 쉽고 명확해야 하며, 디자인도 복잡하지 않아야 한다.
  5. 상품 POP는 헤드라인, 보디 카피, 그리고 그래픽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69%)
  • 광고 POP물은 사인(sign)물처럼 장기간 사용되기에 강렬한 인상을 줄수록 바람직하다. -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옳은 설명: 광고 POP물은 일정 기간 동안 소비자들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강렬한 인상을 줄 수록 기억에 남을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서비스업체의 각 포지셔닝 전략 대안에 대한 예시가 옳지 않은 것은?

  1. 서비스 등급: 우리는 신속하게 고객을 도울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2. 서비스 이용자: 우리는 비즈니스 여행자를 위한 호텔입니다.
  3. 서비스 용도: 우리 헬스클럽은 다이어트 전문입니다.
  4. 경쟁자: 우리는 2위 편의점입니다. 1위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5. 공감성: 고객 한분 한분을 가족처럼 모시겠습니다.
(정답률: 63%)
  • "경쟁자: 우리는 2위 편의점입니다. 1위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경쟁자 중심의 포지셔닝 전략으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나 서비스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경쟁자와의 관계에 초점을 둔 전략입니다.

    "서비스 등급: 우리는 신속하게 고객을 도울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는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특징 중 하나인 신속성에 초점을 둔 포지셔닝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고객관계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기업의 입장에서 신규고객을 확보하기보다는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2. 고객 1인으로부터 창출될 수 있는 이익규모는 오래된 고객일수록 높다.
  3. CRM의 주된 목적은 고객에 대한 상세한 지식을 토대로 그들과의 장기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4. 고객생애가치(CLV: Customer Lifetime Value)란 한 고객이 고객으로 존재하는 전체 기간 동안 기업에게 제공하는 이익의 합을 의미한다.
  5. 고객이탈률이 낮을수록 고객생애가치는 감소한다.
(정답률: 75%)
  • 고객이탈률이 낮을수록 고객생애가치는 감소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오히려 고객이탈률이 낮을수록 고객생애가치는 증가한다. 이유는 고객이 기업과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할수록 기업에게 제공하는 이익이 더 많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셀프서비스 매장의 구성 및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상품은 개방진열을 하는 것이 좋다.
  2. 상품의 앞면(face)을 고객이 볼 수 있도록 배열한다.
  3. 브랜드, 제조자, 가격 등의 정보가 상품 포장에 표시되어야 한다.
  4. 고객이 판매직원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자유롭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고객이 편리하게 상품을 이동할 수 있는 쇼핑카트나 바구니가 비치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69%)
  • "상품의 앞면(face)을 고객이 볼 수 있도록 배열한다."가 가장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지만, 다른 보기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고객이 판매직원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자유롭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셀프서비스 매장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는 고객의 만족도와 매출 증대에 직결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상품기획 또는 상품화계획 등으로 불리는 머천다이징(merchandising)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머천다이징의 성과를 평가하는 대표적 지표인 재고총이익률(GMROI)은 평균재고자산 대비 총마진을 의미한다.
  2. Merchandiser(MD)는 해당 카테고리에 소속되어 있는 소분류, 세분류, SKU(Stock Keeping Unit) 등을 관리한다.
  3. SKU는 가장 말단의 상품분류단위로 상품에 대한 추적과 관리가 용이하도록 사용하는 식별관리코드를 의미한다.
  4. SKU는 문자와 숫자 등의 기호로 표기되며 구매자나 판매자는 이 코드를 이용하여 특정한 상품을 지정할 수 있다.
  5. 일반적으로 SKU는 상품의 바코드에 표기되는 상품단위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며 보통 유통업체에 의해 정해진다.
(정답률: 58%)
  • 일반적으로 SKU는 상품의 바코드에 표기되는 상품단위와 동일한 개념으로 사용되며 보통 유통업체에 의해 정해진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SKU는 유통업체마다 다르게 정해질 수 있으며, 상품의 바코드에 표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른 식별관리코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 머천다이징(merchandising)은 상품을 기획하고 구매, 판매, 마케팅 등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전략적인 활동이다.
    - Merchandiser(MD)는 해당 카테고리에 소속되어 있는 상품들을 관리하며, 소분류, 세분류, SKU 등을 설정하고 재고를 관리한다.
    - SKU는 가장 말단의 상품분류단위로, 상품에 대한 추적과 관리가 용이하도록 사용하는 식별관리코드를 의미한다.
    - SKU는 문자와 숫자 등의 기호로 표기되며, 구매자나 판매자는 이 코드를 이용하여 특정한 상품을 지정할 수 있다.
    - 머천다이징의 성과를 평가하는 대표적 지표인 재고총이익률(GMROI)은 평균재고자산 대비 총마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수익성이 낮은 고객과의 거래를 축소하려는 도매업체의 고객응대 방식으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품목별 판매촉진 확대
  2. 독점적인 상품라인의 취급
  3. 재고관리시스템 관리의 강화
  4. 소량 구매에 대해 주문처리비용 부과
  5. 소량 구매에 대한 배달비용 인하
(정답률: 74%)
  • 소량 구매에 대해 주문처리비용 부과는 수익성이 낮은 고객과의 거래를 축소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소량 구매는 주문 처리 비용이 높아 수익성이 낮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주문 처리 비용을 부과함으로써 수익성이 낮은 고객과의 거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도매업체가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된 진열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가 - 조정형 진열(coordinated display)
  2. 나 - 라이프 스타일형 진열(life-style display)
  3. 다 - 개방형 진열(open display)
  4. 라 - 주제별형 진열(theme display)
  5. 마 - 임의적 분류 진열(classification display)
(정답률: 33%)
  • 가 - 조정형 진열(coordinated display)은 제품들을 서로 연관성 있는 그룹으로 묶어서 진열하는 방법으로, 고객이 쉽게 원하는 제품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입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색상별로 제품들이 그룹화되어 진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가 - 조정형 진열이 옳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고객의 행동에 대처하는 판매자의 적합한 행동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고객이 특정상품을 주시한다. → 재빠른 동작으로 다가가 주시한 상품의 특장점을 설명한다.
  2. 특정상품을 주목하고 만져본다. → 고객의 시선이나 동작을 주목하고 타이밍 좋게 어프로치 한다.
  3. 특정 상품의 가격표를 본다. → 제품을 갖고 싶은 욕망을 보이므로 소비상황 및 구매동기를 상기시켜 준다.
  4. 특정상품과 비슷한 다른 상품에 대해 질문한다. → 고객 욕망을 파악하고 셀링 포인트를 강조한다.
  5. 판매원에게 '이것 주세요' 한다. → 판매가 이루어지는 귀중한 시간이므로 판매가 끝날 때까지 그 분위기를 잘 이끌어간다.
(정답률: 43%)
  • 고객이 특정상품을 주시한다. → 재빠른 동작으로 다가가 주시한 상품의 특장점을 설명한다. 이유는 이미 고객이 특정 상품에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판매자는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의 관심을 더욱 높이고 구매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고객의 관심을 끌기 위한 판매자의 적극적인 대응 방법이지만, 이미 고객이 특정 상품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대응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표본추출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순무작위표본추출법에서는 모집단의 모든 원소가 알려져 있고 선택될 확률이 똑같다.
  2. 층화표본추출방법은 모집단이 상호 배타적인 집단으로 나누어지며, 각 집단에서 무작위표본이 도출되는 방식이다.
  3. 편의표본추출방식은 조사자가 가장 얻기 쉬운 모집단 원소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4. 판단표본추출방식은 조사자가 모집단을 상호 배타적인 몇 개의 집단으로 나누고 그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하는 방식이다.
  5. 할당표본추출방식은 몇 개의 범주 각각에서 사전에 결정된 수 만큼의 표본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50%)
  • 정답: "판단표본추출방식은 조사자가 모집단을 상호 배타적인 몇 개의 집단으로 나누고 그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하는 방식이다."

    설명: 판단표본추출방식은 조사자가 모집단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모집단에서 일부 표본을 추출할 때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추출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모집단을 상호 배타적인 집단으로 나누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경로 구성원의 성과평가기준과 성과척도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매출성과 - 총이익
  2. 매출성과 – 판매 할당량
  3. 판매 능력 – 전체 판매원 수
  4. 재고 유지 – 시장점유율
  5. 재고 유지 – 평균재고유지율
(정답률: 51%)
  • 정답은 "재고 유지 – 시장점유율"입니다.

    재고 유지는 보통 재고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고객 서비스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시장점유율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재고 유지 – 시장점유율"입니다.

    각각의 기준과 척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매출성과 - 총이익: 매출액에서 가변비용을 뺀 값
    - 매출성과 – 판매 할당량: 판매원들에게 할당된 판매 목표 달성 여부
    - 판매 능력 – 전체 판매원 수: 판매원들의 수와 업무 수행 능력
    - 재고 유지 – 평균재고유지율: 재고 비용과 고객 서비스 수준을 고려한 재고 유지 정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신제품 출시 및 브랜드 개발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전략과 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라인확장(line extention)은 제품범주 내에서 형태, 색상, 사이즈 등을 변형한 신제품에 대해 기존 브랜드명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2. 브랜드확장(brand extention)은 기존의 브랜드명을 새로운 제품범주의 신제품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3. 복수브랜딩(multibranding)은 다양한 소유 욕구를 가진 소비자들을 위해 동일 제품범주 내에 여러 개의 브랜드 제품을 도입하는 것이다.
  4. 공동브랜딩(co-branding)은 기존 브랜드명의 파워가 약해졌을 때 기존브랜드와 동일한 브랜드명의 신제품을 도입하는 것이다.
  5. 신규브랜드는 새로운 브랜드명을 도입하는 것으로 신제품에 사용될 적절한 기존 브랜드명이 없을 때 주로 선택한다.
(정답률: 59%)
  • 공동브랜딩(co-branding)은 기존 브랜드와 다른 브랜드가 함께 제품을 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동브랜딩(co-branding)은 기존 브랜드명의 파워가 약해졌을 때 기존브랜드와 동일한 브랜드명의 신제품을 도입하는 것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간단명료한 설명: 공동브랜딩은 두 개 이상의 브랜드가 함께 제품을 출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소매융합의 결과로 가장 옳은 것은?

  1. 소매업태 간 차별화의 감소
  2. 소매업태 간 경쟁의 감소
  3. 소매업체별 판매의 증가
  4. 특정 소매업태 수익률의 상대적 증가
  5. 소매업체별 광고비의 감소
(정답률: 48%)
  • 소매융합은 여러 소매업태가 하나의 매장에서 함께 운영되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소매업태 간 경쟁이 감소하고, 소매업체별 판매가 증가하며, 특정 소매업태의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하지만 소매업태 간 차별화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소매업태 간 차별화의 감소"이다. 또한, 소매업체별 광고비의 감소도 가능하지만, 이는 소매융합의 결과가 아니라 소매업체의 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가맹점(franchisee)이 되었을 때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본부(franchisor)가 개발한 사업 상품 및 경영방식으로 인해 쉽게 사업을 시작할 수 있다.
  2. 지명도가 높은 상표명을 사용하므로 초기부터 소비자의 신뢰 확보가 가능하다.
  3. 본부가 일괄적으로 매장의 종업원을 채용하고 관리하므로 노사문제에 대한 우려가 낮다.
  4. 본부가 계속적으로 기존 제품을 개선하고 신제품을 개발해주므로 시장여건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5. 본부가 점포개설, 브랜드인지도제고, 지원시스템 구축 등에 많은 투자를 하기 때문에, 가맹점은 판매 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다.
(정답률: 75%)
  • 본부가 일괄적으로 매장의 종업원을 채용하고 관리하므로 노사문제에 대한 우려가 낮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가맹점은 독립적인 사업체로서 종업원을 직접 채용하고 관리해야 하며, 노사문제는 가맹점의 책임 하에 해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유통정보

71.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알맞은 단어는?

  1. 인트라넷
  2. 인터넷
  3. 통합프로토콜
  4. 엑스트라넷
  5. 이더넷
(정답률: 49%)
  • 이 문제에서는 "인트라넷"과 "인터넷"이 이미 잘 알려진 용어이므로 설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통합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통신 규약을 의미합니다. "이더넷"은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엑스트라넷"은 다른 용어들과 달리 생소한 용어입니다. "엑스트라넷"은 기업이나 조직 내부에서만 사용되는 인트라넷과는 달리, 기업과 외부 파트너, 고객 등과 안전하게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입니다. 즉, 기업의 인트라넷과 인터넷 사이에 위치한 보안 강화된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카플란(Kaplan)과 노튼(Norton)이 제시한 균형성과표에 의한 성과측정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학습과 성장 관점
  2.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
  3. 전사적 자원관리 관점
  4. 재무적 관점
  5. 고객 관점
(정답률: 30%)
  • 정답은 "재무적 관점"입니다.

    카플란과 노튼이 제시한 균형성과표는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론입니다. 이 방법론에서는 학습과 성장 관점,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 전사적 자원관리 관점, 고객 관점 등 4가지 요소를 고려합니다.

    그 중에서도 전사적 자원관리 관점은 조직 내부의 인적자원, 물적자원, 정보자원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조직의 장기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반면에 재무적 관점은 주로 수익성, 투자수익률, 자본수익률 등과 같은 재무적인 지표를 기반으로 성과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단기적인 성과를 중시하는 것으로, 전략적인 목표 달성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전사적 자원관리 관점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1. 가: 자료, 나: 정보, 다: 시스템
  2. 가: 자료, 나: 정보, 다: 지식
  3. 가: 정보, 나: 자료, 다: 지식
  4. 가: 정보, 나: 지식, 다: 자료
  5. 가: 지식, 나: 자료, 다: 정보
(정답률: 5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이다. 이 중 가운데에 위치한 것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며, 이 시스템은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가: 정보"가 가장 적절하다. 또한, DBMS에 저장되는 것은 데이터이며, 이 데이터를 통해 유용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나: 자료"가 적절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보와 자료를 통해 얻어진 지식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목적 중 하나이다. 따라서 "다: 지식"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조직을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거래 데이터를 신속, 정확하게 처리하는 거래처리시스템과 관련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상적인 업무와 거래를 처리하기에 운영절차가 표준화되어 있다.
  2. 문제에 대해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3. 다른 정보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원천 데이터를 제공한다.
  4.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5. 고객과 접점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정보시스템이다.
(정답률: 32%)
  • "다른 정보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원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거래처리시스템은 조직 내부에서 발생하는 거래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다른 정보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그 역할과 범위가 다르다.

    "문제에 대해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는 거래처리시스템이 제공하는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데이터를 신속하게 수집, 분석, 가공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빅데이터 분석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실시간으로 다량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2. 빅데이터 분석은 정형 데이터 분석은 가능하지만,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분석은 불가능하다.
  3. 빅데이터는 거대한 규모의 디지털 정보량을 확보하고 있다.
  4. 빅데이터 분석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5. 시계열적 특성을 갖고 있는 빅테이터는 추세 분석이 가능하다.
(정답률: 75%)
  • "빅데이터 분석은 정형 데이터 분석은 가능하지만,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분석은 불가능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빅데이터 분석은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분석도 가능합니다. 이는 자연어 처리, 이미지 분석, 음성 인식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노나카의 지식전환 프로세스인 'SECI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사회화는 암묵지에서 암묵지를 얻는 과정이다.
  2. 외재화는 암묵지에서 형식지를 얻는 과정이다.
  3. 공동화는 형식지에서 형식지를 얻는 과정이다.
  4. 내재화는 형식지에서 암묵지를 얻는 과정이다.
  5. 지식 변환과정은 직선적이 아닌 복합상승작용이 나타나는 나선형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정답률: 42%)
  • "공동화는 형식지에서 형식지를 얻는 과정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공동화는 암묵지에서 형식지를 얻는 과정이다. 이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암묵적인 지식을 조직 내부에서 공유하고 형식적인 지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e-비즈니스 시스템 내에서 구현해야 할 보안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인증
  2. 기밀성
  3. 무결성
  4. 부인방지
  5. 전자서명
(정답률: 73%)
  • e-비즈니스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무결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무결성은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이는 고객 정보나 거래 정보 등 중요한 데이터가 변조되지 않고 정확하게 전송되어야 하는 e-비즈니스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보안 기능입니다. 따라서 무결성이 e-비즈니스 시스템에서 구현해야 할 보안 기능 중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e-비즈니스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생산자 파워의 증대를 들 수 있다.
  2. e-비즈니스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다.
  3. 정보 공개를 통한 오픈 경영이 실시된다.
  4.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고객 맞춤 서비스가 가능해 진다.
  5. 모든 업무환경이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업무 통합현상이 나타난다.
(정답률: 59%)
  • "생산자 파워의 증대를 들 수 있다."는 e-비즈니스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e-비즈니스는 고객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으며, 고객의 요구에 따라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생산자 파워가 증대되는 것은 오히려 고객과의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아래 글상자에서 설명하는 e-비즈니스 간접 수익창출방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배너광고
  2. 스폰서십
  3. 무료메일 제공
  4. 제휴 프로그램
  5. 프로그램 무상 배포
(정답률: 77%)
  • 배너광고는 e-비즈니스에서 다른 회사의 광고를 자신의 웹사이트에 게재하여 클릭 수 또는 노출 수에 따라 수익을 창출하는 간접 수익창출 방식이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것이다. 스폰서십은 직접적인 후원을 받는 방식이고, 무료메일 제공은 서비스 자체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간접 수익창출 방식이 아니다. 제휴 프로그램은 다른 회사와 협력하여 상호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이지만, 이는 직접적인 수익창출 방식이다. 프로그램 무상 배포 역시 수익창출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RFID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태그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 낼 수 있어야 한다.
  2. 태그는 인식 방향에 관계없이 ID 및 정보 인식이 가능해야 한다.
  3. 태그는 직접 접촉을 하지 않아도 자료를 인식 할 수 있어야 한다.
  4. 태그는 바코드에 비해 적은 양의 데이터 만을 보내고, 받을 수 있어야 한다.
  5. 능동형 태그는 수동형 태그에 비해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보다 멀리 전송할 수 있다.
(정답률: 67%)
  • "태그는 바코드에 비해 적은 양의 데이터 만을 보내고, 받을 수 있어야 한다."가 가장 적합하지 않은 특징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RFID 태그는 바코드보다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내고 받을 수 있다. RFID 태그는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이 더욱 효율적이며,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TCP/IP 계층별 프로토콜(protocol)에 관한 설명 중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UDP(User Datagram Protocol) : 사용자 데이터를 데이터그램(datagram)의 형태로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2.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 데이터그램의 전송중에 생기는 여러 예외사항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3.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멀티캐스팅(multicasting)을 위한 프로토콜
  4. FTP(File Transfer Protocol) : 인터넷에서 원격컴퓨터와 파일을 송수신할 때 이용되는 프로토콜
  5.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하드웨어 주소를 IP 주소(address)로 매핑(mapping)하는 프로토콜
(정답률: 25%)
  • 가장 옳지 않은 것은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하드웨어 주소를 IP 주소(address)로 매핑(mapping)하는 프로토콜"이 아닌 다른 것들도 모두 옳은 설명이다.

    ARP는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장치의 물리적인 MAC 주소를 찾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하드웨어 주소를 IP 주소로 매핑하는 것이 아니라,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장치의 물리적인 주소를 찾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파일의 데이터 계층구조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것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바이트(byte) → 비트(bit) → 필드(field) → 레코드(record) → 파일(file)
  2. 바이트(byte) → 비트(bit) → 레코드(record) → 필드(field) → 파일(file)
  3. 바이트(byte) → 필드(field) → 비트(bit) → 레코드(record) → 파일(file)
  4. 비트(bit) → 바이트(byte) → 레코드(record) → 필드(field) → 파일(file)
  5. 비트(bit) → 바이트(byte) → 필드(field) → 레코드(record) → 파일(file)
(정답률: 36%)
  • 정답은 "비트(bit) → 바이트(byte) → 필드(field) → 레코드(record) → 파일(file)"입니다.

    데이터의 가장 작은 단위는 비트(bit)이며, 여러 개의 비트를 묶어서 바이트(byte)를 만들 수 있습니다. 필드(field)는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데, 여러 개의 필드를 묶어서 레코드(record)를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여러 개의 레코드를 묶어서 파일(file)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트와 바이트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이며, 필드와 레코드는 데이터를 구성하는 중간 단계이며, 파일은 여러 개의 레코드를 묶어서 만들어진 최종 데이터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특징을 인터넷 시대 및 모바일 시대와 비교하여 설명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IoT 시대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간으로 연결범위가 확대되었다.
  2. 정보가 제공되는 서비스방식이 정보를 끌어당기는 풀(pull)방식에서 푸시(push)방식으로 전환되었다.
  3. 정보 제공 방식이 '24시간 서비스(Always-on)' 시대에서 '온디맨드(On-demand)'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4. IoT 시대에서는 단순히 원하는 정보를 얻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조합해 필요한 지혜를 제공해 준다.
  5. 정보를 얻는 방식이 내가 원하는 무언가를 내가 찾는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무언가를 주변에 있는 것들이 알아서 찾아주는 것이다.
(정답률: 46%)
  • 정보 제공 방식이 '24시간 서비스(Always-on)' 시대에서 '온디맨드(On-demand)' 방식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IoT 시대에서는 필요한 정보를 언제든지 필요한 때에만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전의 인터넷 시대나 모바일 시대에서는 항상 정보가 제공되고 있었다는 것과 대조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e-CRM을 기업에서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발전 전략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활용하여 고객 접촉경로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2. 소비자의 트렌드를 분석하기보다는 소비자의 유행을 따라가는 서비스를 구사하여야 한다.
  3. 고객의 입장에서 꼭 필요한 콘텐츠 구성이 필요하다.
  4. 개인의 특성에 맞게 맞춤 서비스로 타사와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5. 커뮤니티, 오락 등 콘텐츠의 다양화를 통한 활성화 전략이 필요하다.
(정답률: 75%)
  • 정답은 "소비자의 트렌드를 분석하기보다는 소비자의 유행을 따라가는 서비스를 구사하여야 한다."입니다. 이는 단기적인 시장 반응에만 의존하고 장기적인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e-CRM은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목적이므로, 고객의 실제 Bed와 Bed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소비자의 트렌드와 유행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암묵지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수하기 어려운 지식
  2. 경험을 통해 체화된 지식
  3. 숙련된 기능 또는 노하우(know-how)
  4. 논리적 추론 및 계산에서 생기는 인식
  5. 말 또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주관적인 지식
(정답률: 70%)
  • 암묵지란 말 또는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주관적인 지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논리적 추론 및 계산에서 생기는 인식"은 암묵지와는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암묵지는 경험을 통해 체화된 지식, 숙련된 기능 또는 노하우(know-how), 말 또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주관적인 지식 등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아래 글상자의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용어는?

  1. 증강현실
  2. 머신러닝
  3. 모션임팩트
  4. 인공지능
  5. 딥러닝
(정답률: 76%)
  • 위 그림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모션임팩트 게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증강현실은 실제 세계에 가상의 요소를 추가하여 현실감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실제 공간에 가상의 골프장을 만들어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증강현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디지털(digital) 기술의 특성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빛과 같은 속도로 이동하면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광속성
  2. 반복해서 사용해도 정보가 줄어들거나 질이 떨어지지 않는 무한 반복 재현성
  3.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고 확대 재생산할 수 있는 용이성
  4. 송‧수신자가 동시에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쌍방향성
  5. 메트칼프(Metcalfe)의 법칙이 적용되는 수확체감의 법칙성
(정답률: 70%)
  • 디지털 기술의 특성 중에서 메트칼프(Metcalfe)의 법칙이 적용되는 수확체감의 법칙성이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디지털 기술의 특성이 아니라 네트워크 이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질수록 그 가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물류의 5대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포장기능은 내용물의 변형, 또는 변질을 막기 위한 본질적인 기능 및 판매 촉진 효과까지 수행한다.
  2. 하역기능은 물품의 운송과 보관 활동의 전후에 부수하여 행하는 물품의 반·출입 및 단거리 이동 작업을 의미한다.
  3. 보관기능은 물품을 물리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4. 정보처리기능은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물류활동을 지원하도록 모든 영역의 정보 흐름을 유기적으로 적시에 제공함으로써 물류비용 절감 및 고객서비스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의미한다.
  5. 수주기능은 일반적으로 지역 간 또는 도시 간의 상품이동으로서, 지역 거점에서부터 소형 운송수단을 통해 소매점 또는 소형 고객에게 물품을 단거리 이동시키는 활동이다.
(정답률: 61%)
  • 수주기능은 일반적으로 지역 간 또는 도시 간의 상품이동으로서, 지역 거점에서부터 소형 운송수단을 통해 소매점 또는 소형 고객에게 물품을 단거리 이동시키는 활동이 아닌, 대량의 주문을 받아 처리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POS시스템의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국민경제 측면과 소비자에 대한 효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소비자는 신속하고 정확한 정산 및 상품구입으로 쇼핑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2. 품목별 시장규모의 파악으로 중복투자를 회피할 수 있다.
  3. 품목별 재고수준은 증가하나 전체 품목의 재고수준은 감소한다.
  4. 품절과 과잉재고 등의 조정으로 물가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5. 컴퓨터산업 및 정보산업 발전 등에 효과가 있다.
(정답률: 59%)
  • "품목별 재고수준은 증가하나 전체 품목의 재고수준은 감소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POS 시스템은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품목별 재고수준을 최적화할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재고수준이 감소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효율적인 재고관리로 인해 재고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재고를 줄이고 품절을 방지할 수 있어서 오히려 전체적인 재고수준이 감소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지식인 또는 지식근로자에게 필요한 자질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자신의 일하는 방법을 부단히 개선ㆍ개발ㆍ혁신시켜야 한다.
  2. 자신이 터득한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기록해야 한다.
  3. 자신의 지식을 다른 사람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4. 희소 가치가 있는 지식이나 노하우는 암묵지 형태로 존재시켜야 한다.
  5. 일하는 방법을 개선ㆍ개발ㆍ혁신함으로써 얻은 아이디어는 구체적인 상품가치를 창출하는 데 연계시켜야 한다.
(정답률: 75%)
  • "희소 가치가 있는 지식이나 노하우는 암묵지 형태로 존재시켜야 한다."가 가장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지식인 또는 지식근로자는 자신의 지식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구체적인 상품가치를 창출하는 데 연계시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식이 암묵적으로만 존재한다면, 이를 공유하고 활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지식인 또는 지식근로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