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12)

산업보건지도사
(2014-04-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보건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유해ㆍ위험한 작업의 도급에 대한 다음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금작업은 안전·보건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에 해당하므로, 이를 분리하여 하도급을 주는 경우에는 인가를 받아야 한다.
  2. B사는 C사에 대한 도급인가를 받기 위하여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도급인가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 B사는 도급인가 신청서를 제출할 때 도금작업을 포함한 전체 작업의 공정도와 도급계획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4.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은 도급인가 신청서가 접수된 날부터 10일 이내에 신청서를 반려하거나 인가증을 신청자에게 발급하여야 한다.
  5.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은 도급인가를 신청한 사업장이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의 도급 시 지켜야 할 안전·보건조치의 기준을 지키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으로 하여금 기술적 사항을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도금작업은 안전·보건상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에 해당하므로, 이를 분리하여 하도급을 주는 경우에는 인가를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B사가 C사에 대한 도급인가를 받기 위하여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도급인가 신청서를 제출할 때, 도금작업을 포함한 전체 작업의 공정도와 도급계획서를 첨부하여야 합니다. 이는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에 대한 안전·보건조치를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B사는 도급인가 신청서를 제출할 때 도금작업을 포함한 전체 작업의 공정도와 도급계획서를 첨부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도급사업 시의 안전보건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조업의 사업주가 사업의 일부를 도급한 경우 도급인인 사업주는 1주일에 1회 이상 작업장을 순회점검하여야 한다.
  2. 건설업의 사업주가 안전ㆍ보건에 관한 협의체를 구성한 경우 그 협의체에 근로자위원으로서 도급 또는 하도급 사업을 포함한 전체 사업의 근로자대표, 명예산업안전감독관 및 근로자대표가 지명하는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를 포함한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다.
  3. 안전·보건에 관한 협의체는 도급인인 사업주 및 그의 수급인인 사업주 전원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4. 안전·보건에 관한 협의체는 매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회의를 개최하고 그 결과를 기록·보존하여야 한다.
  5. 도급인인 사업주는 수급인인 사업주가 실시하는 근로자의 해당 안전·보건교육에 필요한 장소 및 자료의 제공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보건에 관한 협의체는 도급인인 사업주 및 그의 수급인인 사업주 전원으로 구성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도급인인 사업주와 수급인인 사업주가 모두 협의체에 참여할 필요는 없습니다. 도급인인 사업주만 참여해도 충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가 근로자에 대하여 실시하는 안전ㆍ보건교육의 교육대상, 교육과정 및 교육시간의 조합으로 옳은 것은?

  1.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에 대한 작업내용변경 시의 교육 - 2시간 이상
  2. 밀폐공간에서의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특별안전ㆍ보건교육 - 8시간 이상
  3. 건설 일용근로자에 대한 건설업 기초안전ㆍ보건교육 - 2시간
  4. 관리감독자의 지위에 있는 사람에 대한 정기교육 - 연간 12시간 이상
  5. 판매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정기교육 - 매분기 2시간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근로자에 대한 작업내용변경 시의 교육은 일반적으로 2시간 이상으로 실시되며, 이는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교육은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일용근로자를 제외한 근로자에 대한 작업내용변경 시의 교육 - 2시간 이상"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직무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건관리자가 의사인 경우는 선임된 후 1년 이내에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신규교육을 받아야 한다.
  2. 안전보건관리책임자로 선임된 자는 6개월 이내에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신규교육을 받아야 한다.
  3. 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자는 신규교육을 이수한 후 매 2년이 되는 날을 기준으로 전후 6개월 사이에 고용노동부장관이 실시하는 안전ㆍ보건에 관한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4. 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안전관리자로 채용된 것으로 보는 사람은 신규교육이 면제된다.
  5. 직무교육기관의 장은 직무교육을 실시하기 10일 전까지 교육 일시 및 장소 등을 직무교육 대상자에게 알려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건관리자가 의사인 경우는 선임된 후 1년 이내에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신규교육을 받아야 한다. 이는 보건관리자가 의료 전문가이기 때문에 의료 분야의 최신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고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방호조치에 대한 근로자의 준수사항 및 사업주의 조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로자는 방호조치를 해체하려는 경우에는 사업주의 허가를 받아 해체하여야 한다.
  2. 근로자는 방호조치를 해체한 후 그 사유가 소멸된 경우에는 지체 없이 원상으로 회복시켜야 한다.
  3. 근로자는 방호조치의 기능이 상실된 것을 발견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사업주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방호조치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시 점검 및 정비를 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방호조치의 기능상실 신고가 있으면 충분한 검토를 통해 적절한 조치계획을 수립한 후 수리, 보수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사업주는 방호조치의 기능상실 신고가 있으면 충분한 검토를 통해 적절한 조치계획을 수립한 후 수리, 보수하여야 한다."이다. 이는 옳은 내용이 아니며, 사업주는 방호조치의 기능상실이 발생하면 즉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검토와 조치계획 수립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이유는 방호조치의 기능상실은 근로자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업주는 기능상실이 발생한 경우 즉각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인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인증을 받은 자는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에 대하여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제품명ㆍ모델ㆍ제조수량ㆍ판매수량 및 판매처 현황 등의 사항을 기록ㆍ보존하여야 한다.
  2. 안전인증이 취소된 자는 취소된 날부터 1년 이내에는 같은 규격과 형식의 유해ㆍ위험한 기계ㆍ기구ㆍ설비등에 대하여 안전인증을 신청할 수 없다.
  3.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안전인증기준에 맞지 아니하게 된 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등을 사용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된다.
  4.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안전인증을 받은 경우 3년 이내의 기간 동안 안전인증 표시의 사용이 금지된다.
  5. 수출을 목적으로 제조하는 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등은 안전인증이 전부 면제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출을 목적으로 제조하는 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등은 안전인증이 전부 면제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모든 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ㆍ설비는 안전인증을 받아야 하며, 수출을 목적으로 제조하는 제품도 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만으로 짝지어진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휴대형 연삭기 - 동력식 수동대패용 칼날 접촉 방지장치 - 안전화
  2. 파쇄기 - 롤러기 급정지장치 - 보안면(용접용 보안면 제외)
  3. 산업용 로봇 - 양중기용 과부하방지장치 - 잠수기
  4. 사출성형기 - 산업용 로봇 안전매트 - 방진마스크
  5. 전단기 및 절곡기 - 교류 아크용접기용 자동전격방지기 - 보안경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자율안전확인대상 기계ㆍ기구는 "기계ㆍ기구 및 이에 따라 작동하는 장치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기계ㆍ기구와 그에 해당하는 안전장치 중에서 자율안전확인대상으로 지정되는 것은 "휴대형 연삭기 - 동력식 수동대패용 칼날 접촉 방지장치 - 안전화" 입니다. 이유는 휴대형 연삭기가 기계ㆍ기구에 해당하며, 동력식 수동대패용 칼날 접촉 방지장치와 안전화가 해당 기계ㆍ기구에 대한 안전장치로서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해ㆍ위험기계등이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다른 법령에 따라 안전성에 관한 검사나 인증을 받은 경우라 하더라도 안전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2.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크레인은 최초로 설치한 날부터 1년마다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
  3. 고용노동부장관은 안전검사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할 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4. 공정안전보고서를 제출하여 확인을 받은 압력용기는 3년마다 안전검사를 받아야 한다.
  5. 안전검사에 합격한 유해ㆍ위험기계등을 사용하는 사업주는 그 유해ㆍ위험기계등이 안전검사에 합격한 것임을 나타내는 표시를 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용노동부장관은 안전검사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할 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 제30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안전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을 지정하여 그 기관이 안전검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통해 안전검사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축물이나 설비를 철거하거나 해체하는 경우 기관석면조사를 실시하여야 할 대상으로 옳은 것은?

  1. 주택의 연면적 합계가 200m2 이상이면서, 그 주택의 철거ㆍ해체하려는 부분의 면적 합계가 150m2 이상인 경우
  2. 건축물(주택 제외)의 연면적 합계가 50m2 이상이면서, 그 건축물의 철거ㆍ해체하려는 부분의 면적 합계가 50m2 이상인 경우
  3. 철거ㆍ해체하려는 부분에 실링(sealing)재를 사용한 부피의 합이 0. 5m3 이상인 경우
  4. 철거ㆍ해체하려는 부분에 단열재를 사용한 면적의 합이 10m2 이상인 경우
  5. 파이프 길이의 합이 80m 이상이면서, 그 파이프의 철거ㆍ해체하려는 부분의 보온재로 사용된 길이의 합이 60m 이상인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건축물(주택 제외)의 연면적 합계가 50m2 이상이면서, 그 건축물의 철거ㆍ해체하려는 부분의 면적 합계가 50m2 이상인 경우가 옳은 대상이다. 이유는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기관석면조사를 실시하여야 할 대상으로 건축물(주택 제외)의 연면적 합계가 50m2 이상이면서, 그 건축물의 철거ㆍ해체하려는 부분의 면적 합계가 50m2 이상인 경우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기관석면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사업주가 급성 독성물질의 누출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취할 조치가 아닌 것은?

  1. 사업장 내 급성 독성물질의 저장 및 취급량을 최소화할 것
  2. 급성 독성물질을 취급 저장하는 설비의 연결 부분은 누출되지 않도록 밀착시키고 매월 1회 이상 연결부분에 이상이 있는지를 점검할 것
  3. 급성 독성물질을 폐기ㆍ처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냉각ㆍ분리ㆍ흡수ㆍ흡착ㆍ소각 등의 처리공정을 통하여 급성 독성물질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할 것
  4. 급성 독성물질이 외부로 누출된 경우에는 감지ㆍ경보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출 것
  5. 급성 독성물질을 폐기ㆍ처리 또는 방출하는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구조로 하거나 원격조정할 수 있는 조작구조로 설치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급성 독성물질을 폐기ㆍ처리 또는 방출하는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구조로 하거나 원격조정할 수 있는 조작구조로 설치할 것"이 아닌 것은 사업장 내 급성 독성물질의 저장 및 취급량을 최소화할 것입니다. 이유는 급성 독성물질의 저장 및 취급량을 최소화하는 것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조치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저장 및 취급량이 적을수록 누출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과 휴식의 적정한 배분, 그 밖에 근로시간과 관련된 근로조건의 개선을 통하여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한 조치를 하여야 하는 유해ㆍ위험작업을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ㄹ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ㄱ, ㄴ, ㄷ, ㄹ" 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과 휴식의 적정한 배분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입니다. 또한 근로시간과 관련된 근로조건의 개선도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조치를 모두 고려하여 유해ㆍ위험작업을 예방하고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ㄱ, ㄴ, ㄷ, ㄹ" 모두 고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다음 ( ) 안에 들어갈 숫자를 순서대로 배열한 것은?

  1. 2, 75, 2
  2. 2, 80, 3
  3. 2, 85, 2
  4. 3, 80, 3
  5. 3, 85, 2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숫자는 "2, 85, 2" 이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위원회의 위원 수를 나타내며, 위원회는 사업장 내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를 실시하도록 지도하고 감독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을 위해 위원회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적절한 위원 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강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로자대표가 요구할 때에는 건강진단 시 근로자대표를 입회시켜야 한다.
  2. 고용노동부장관은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사업주에게 특정 근로자에 대한 임시건강진단의 실시나 그 밖에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다.
  3. 배치전건강진단이란 특수건강진단대상업무에 종사할 근로자에 대하여 배치 예정업무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위하여 사업주가 실시하는 건강진단을 말한다.
  4. 건강진단기관은 건강진단을 실시한 결과 질병 유소견자가 발견된 경우에는 건강진단을 실시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건강진단 결과를 근로자의 건강 보호ㆍ유지 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강진단기관은 건강진단을 실시한 결과 질병 유소견자가 발견된 경우에는 건강진단을 실시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옳은 설명)

    이유: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건강진단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없다. 다만, 이 중에서도 건강진단기관이 발견한 질병 유소견자를 보고해야 하는 기간이 60일 이내라는 것은 중요한 사항이다. 이는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서, 질병 유소견자가 발견되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대표가 사업주에게 그 내용 또는 결과를 통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하여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의결한 사항
  2. 개별 근로자의 건강진단 결과에 관한 사항
  3. 작업환경측정에 관한 사항
  4.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시행명령을 받은 사업장의 경우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시행 내용에 관한 사항
  5.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작성·비치 등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근로자의 건강진단 결과는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사항으로, 근로자 대표가 요청하여 사업주에게 통지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개별 근로자의 건강진단 결과에 관한 사항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상 석면해체·제거작업 및 유지·관리 등의 조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업주는 석면해체ㆍ제거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1급 방진마스크를 지급하여 착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2. 사업주는 분말 상태의 석면을 혼합하거나 용기에 넣거나 꺼내는 작업, 절단ㆍ천공 또는 연마하는 작업 등 석면분진이 흩날리는 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경우에 석면의 부스러기 등을 넣어두기 위하여 해당 장소에 뚜껑이 있는 용기를 갖추어 두어야 한다.
  3. 사업주는 석면 취급작업을 마친 근로자의 오염된 작업복은 석면 전용의 탈의실에서만 벗도록 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석면해체ㆍ제거작업장과 연결되거나 인접한 장소에 탈의실ㆍ샤워실 및 작업복 갱의실 등의 위생설비를 설치하고 필요한 용품 및 용구를 갖추어 두어야 한다.
  5. 사업주는 석면해체ㆍ제거작업에서 발생된 석면을 함유한 잔재물은 습식으로 청소하거나 고성능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등 석면분진이 흩날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것은 "사업주는 석면해체ㆍ제거작업장과 연결되거나 인접한 장소에 탈의실ㆍ샤워실 및 작업복 갱의실 등의 위생설비를 설치하고 필요한 용품 및 용구를 갖추어 두어야 한다."이다. 이는 석면해체ㆍ제거작업장과 연결되거나 인접한 장소에 위생설비를 설치하라는 것으로, 실제로는 석면해체ㆍ제거작업장 내부에 위생설비를 설치하고 필요한 용품 및 용구를 갖추어 두어야 한다.

    사업주는 석면해체ㆍ제거작업에 근로자를 종사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1급 방진마스크를 지급하여 착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는 석면분진이 호흡기에 침투하여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다음 내용에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ㄷ, ㄹ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 "ㄱ"은 올바른 내용이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대체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개선조치를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ㄴ"은 올바른 내용이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위험요소를 평가하고, 위험성이 높은 경우에는 위험성 평가서를 작성하여 관리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 "ㄷ"는 올바른 내용이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위험요소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여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ㄹ"은 올바른 내용이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위험요소에 대한 예방조치를 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예방조치를 수립하고, 이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 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ㆍ보건표지 중 안내표지에 해당하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이다. 이는 안전ㆍ보건표지 중 안내표지에 해당한다. 이는 주로 안전장비의 위치나 사용방법 등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위험표지, 경고표지, 지시표지, 금지표지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주의 의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업주는 근로자가 산업안전보건법령의 요지를 알 수 있도록 서면으로 교부하여야 한다.
  2. 외국인근로자를 채용한 사업주는 해당 근로자의 모국어로 된 안전·보건표지와 작업안전수칙을 부착하여야 한다.
  3. 사업주는 연속적으로 컴퓨터 단말기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하여 작업시간 중에 적절한 휴식시간을 부여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기록한 서류를 3년간 보존하여야 한다.
  5. 사업주는 안전·보건표지의 성질상 설치나 부착이 곤란한 경우에는 해당 물체에 직접 도장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주는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이를 위해 산업안전보건법령의 요지를 근로자에게 알리기 위한 서면교부 의무가 있다. 또한, 외국인근로자를 채용한 경우 해당 근로자의 모국어로 된 안전·보건표지와 작업안전수칙을 부착해야 하며,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기록한 서류를 3년간 보존해야 한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직접적으로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업주가 연속적으로 컴퓨터 단말기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해 작업시간 중에 적절한 휴식시간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근로자의 노동력 유지와 직결되는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의 관리감독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업무에 해당하는 것은?

  1. 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2. 위험성평가를 위한 업무에 기인하는 유해ㆍ위험요인의 파악 및 그 결과에 따른 개선조치의 시행에 관한 사항
  3. 안전·보건과 관련된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의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4.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5.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의 관리감독자는 위험성평가를 위한 업무에 기인하는 유해ㆍ위험요인의 파악 및 그 결과에 따른 개선조치의 시행에 관한 사항을 수행해야 합니다. 이는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관리감독자는 위험성평가를 통해 발견된 유해ㆍ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를 시행하여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같은 사업주가 경영하는 둘 이상의 사업장이 같은 시ㆍ군ㆍ자치구 지역에 소재하는 경우에도 사업장마다 각각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한다.
  2. 건설업의 경우 공사금액 120억원(토목공사업에 속하는 공사는 150억원) 이상인 사업장에는 해당 사업장에서 안전관리자의 업무만을 전담하는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한다.
  3.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은 중대재해가 연간 2건 발생한 경우 사업주에게 안전관리자를 정수 이상으로 증원할 것을 명할 수 있다.
  4. 상시 근로자 300명 미만을 사용하는 건설업은 안전관리자의 업무를 안전관리전문기관에 위탁할 수 있다.
  5. 사업주는 안전관리자를 선임한 경우 선임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건설업의 경우 공사금액 120억원(토목공사업에 속하는 공사는 150억원) 이상인 사업장에는 해당 사업장에서 안전관리자의 업무만을 전담하는 안전관리자를 두어야 한다. 이는 건설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관리를 전담하는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나온 규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운영하여야 하는 사업이 아닌 것은?

  1. 상시 근로자 50명인 토사석 광업
  2. 상시 근로자 100명인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 상시 근로자 50명인 전투용 차량 제조업
  4. 상시 근로자 100명인 사무용 기계 및 장비 제조업
  5. 상시 근로자 50명인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운영하여야 하는 사업은 상시 근로자 50명 이상인 사업이다. 따라서, "상시 근로자 50명인 전투용 차량 제조업"은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운영하여야 하는 사업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관리규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경우 소방ㆍ가스ㆍ전기ㆍ교통 분야 등의 다른 법령에서 정하는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과 별도로 작성하여야 한다.
  2. 안전보건관리규정은 해당 사업장에 적용되는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에 우선한다.
  3.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한다.
  4. 사업주가 안전보건관리규정을 변경할 때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아니한 사업장의 경우에는 근로자대표에게 통보하면 된다.
  5. 안전보건관리규정에는 사고 조사 및 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보건관리규정은 해당 사업장에서 적용되는 안전보건에 관한 규정을 작성하는 것이며, 다른 법령에서 정하는 안전관리에 관한 규정과 별도로 작성하여야 합니다.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작성하여야 하며, 해당 규정은 단체협약 및 취업규칙보다 우선합니다. 또한, 안전보건관리규정에는 사고 조사 및 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합니다. 변경 시에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업장의 경우 근로자대표에게 통보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제출하도록 명할 수 있는 사업장에 해당하는 것은?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1. 5배인 사업장
  2.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으로서 부상자가 동시에 5명 발생한 사업장
  3. 2개월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발생한 사업장
  4. 상시 근로자가 1,200명으로서 직업병에 걸린 사람이 연간 2명 발생한 사업장
  5. 작업환경 불량 등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업장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환경 불량 등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사업장은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제출하도록 명할 수 있는 사업장에 해당합니다. 이는 사회적 이슈가 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비판받을 가능성이 높은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지도사 또는 산업보건지도사의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사유를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ㄹ
  2. ㄱ, ㄹ, ㅂ
  3. ㄴ, ㄷ, ㅁ
  4. ㄴ, ㄹ, ㅂ
  5. ㄷ, ㅁ, ㅂ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지도사 또는 산업보건지도사의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사유는 다음과 같다.

    ㄴ. 등록신청서에 허위사실을 기재한 경우
    ㄹ. 산업안전보건법령을 위반하여 처벌받은 경우
    ㅂ.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산업안전지도사 또는 산업보건지도사의 자격요건을 미비한 경우

    따라서, 정답은 "ㄴ, ㄹ, ㅂ"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의 업무가 아닌 것은?

  1. 사업장에서 하는 자체점검 참여 및 근로감독관이 하는 사업장 감독 참여
  2. 법령을 위반한 사실이 있는 경우 사업주에 대한 개선 요청 및 감독기관에의 신고
  3. 산업재해 발생의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 사업주에 대한 작업중지 요청
  4. 사업장 순회점검ㆍ지도 및 조치의 건의
  5. 직업성 질환의 증상이 있거나 질병에 걸린 근로자가 여럿 발생한 경우 사업주에 대한 임시건강진단 실시 요청
(정답률: 알수없음)
  • 명예산업안전감독관의 업무는 사업장에서 하는 자체점검 참여 및 근로감독관이 하는 사업장 감독 참여, 법령을 위반한 사실이 있는 경우 사업주에 대한 개선 요청 및 감독기관에의 신고, 산업재해 발생의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 사업주에 대한 작업중지 요청, 직업성 질환의 증상이 있거나 질병에 걸린 근로자가 여럿 발생한 경우 사업주에 대한 임시건강진단 실시 요청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업장 순회점검ㆍ지도 및 조치의 건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업보건일반

26. 다음과 같이 동시에 2가지 화학물질에 노출되고 있는 경우에 대한 해석 및 작업환경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환경 측정을 위해 활성탄을 사용한다.
  2. 두 물질은 상가작용을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3. 작업환경측정 시료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4. 톨루엔과 크실렌은 모두 중추신경계의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각각의 화학물질은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으므로 노출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톨루엔과 크실렌은 모두 중추신경계의 억제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톨루엔과 크실렌은 각각 다른 독성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중추신경계의 억제작용은 그 중 하나일 뿐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정확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공기 중 곰팡이, 박테리아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1. CFU/m3
  2. f/cc
  3. mg/m3
  4. mccf
  5. ppm
(정답률: 알수없음)
  • CFU/m3은 Colony Forming Unit per cubic meter의 약자로, 곰팡이나 박테리아 등 미생물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이는 공기 중에서 샘플링한 미생물이 성장하여 형성한 콜로니의 개수를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따라서 CFU/m3은 미생물의 생존력과 번식력을 고려하여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다른 단위들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외부식 후드를 설계할 때 설계요소의 변동에 따른 필요환기량의 증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어속도가 클수록 필요환기량이 증가한다.
  2. 플랜지를 부착하면 필요환기량이 감소한다.
  3. 제어거리가 클수록 필요환기량이 증가한다.
  4. 덕트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필요환기량이 증가한다.
  5. 후드개방 면적이 작을수록 필요환기량이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플랜지를 부착하면 필요환기량이 감소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덕트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필요환기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덕트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공기의 저항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공기의 유속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시간 내에 더 많은 공기를 환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필요환기량이 필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공기 중 유해물질과 이를 채취하기 위한 여과지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흡입성분진-PVC 필터
  2. 호흡성분진-PVC 필터
  3. 석면-PVC 필터
  4. 납(금속)-MCE 필터
  5. 농약-유리섬유 필터
(정답률: 알수없음)
  • 석면은 유해물질 중 하나이며, 이를 채취하기 위해서는 석면 필터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PVC 필터는 석면과 같은 유해물질을 채취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석면-PVC 필터는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소음노출량계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소음에 노출되는 근로자의 8시간 소음노출량을 측정하면 몇 %가 되겠는가? (단, Threshold=80dB, Criteria=90dB, Exchange rate=5dB)

  1. 75
  2. 100
  3. 125
  4. 150
  5. 175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래프에서 Threshold(임계치)인 80dB와 Criteria(기준치)인 90dB 사이의 영역인 노란색 영역 아래에 있는 면적이 근로자가 노출된 소음량이다. 이 면적을 구하기 위해 그래프를 5dB 단위로 나누어 각 구간의 면적을 계산하고, 이를 모두 더한다. 그 결과, 면적은 175이므로 근로자는 8시간 동안 175%의 소음에 노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화학물질의 인체노출과 그 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모니아는 용해도가 커서 대부분 인후두부 및 상기도에서 흡수되므로 코와 상기도에 자극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2. 이산화탄소는 용해도가 낮아 폐의 호흡영역까지 침투하며, 노출기준을 초과하면 폐포를 자극하여 폐렴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3. 작업환경의 노출기준에 '피부' 표기가 되어 있는 화학물질은 피부를 통해 쉽게 흡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작업장에서 무기납의 주요 노출경로는 호흡기이며, 체내로 흡수된 후 가장 많이 축적되는 조직은 뼈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일산화탄소는 헤모글로빈과 친화력이 산소보다 약 200배 이상 높기 때문에 산소보다 먼저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이산화탄소는 용해도가 낮아 폐의 호흡영역까지 침투하며, 노출기준을 초과하면 폐포를 자극하여 폐렴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옳은 설명)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수은 화합물의 흡수와 대사 및 건강영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은은 혈액뇌장벽(Brain Blood Barrier, BBB)이나 태반을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무기수은은 위장이나 소장과 같은 소화기계를 통해서는 거의 흡수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무기수은은 상온에서 기화되므로 수은온도계 제조공정에서 수은을 주입하는 근로자는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수은이 흡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수은은 인체에 흡수되면 대부분 뼈에 축적되며, 뼈에 축적된 수은은 서서히 혈액으로 빠져나와 뇌로 이동하여 뇌병변장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수은은 SH- 기능기와의 친화력이 높아 SH- 기능기를 가진 효소에 작용하여 기능장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은은 인체에 흡수되면 대부분 뼈에 축적되며, 뼈에 축적된 수은은 서서히 혈액으로 빠져나와 뇌로 이동하여 뇌병변장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수은이 뼈에 축적되는 것은 일부분이며, 대부분은 간, 신장, 뇌 등 다른 장기에 축적됩니다. 이러한 축적은 수은의 독성을 더욱 악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근골격계부담작업을 평가하는 도구 중에서 '중량물 취급작업'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만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ㄹ, ㅂ
  5. ㅁ, ㅂ
(정답률: 알수없음)
  •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작업이 중량물 취급작업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근골격계부담작업을 평가하는 도구 중에서 다양한 작업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ㄱ, ㄴ"은 중량물 취급작업에 대한 평가 도구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벤젠의 생물학적 노출지표로 사용되는 대사산물은?

  1. 메틸마뇨산
  2. 메트헤모글로빈
  3. S-페닐머캅토산
  4. 2,5-헥산디온
  5. 카르복시헤모글로빈
(정답률: 알수없음)
  • 벤젠은 간질환, 뇌손상, 혈액암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유독물질이다. 따라서 벤젠 노출을 평가하기 위해 생체 내에서 생성되는 대사산물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중 S-페닐머캅토산은 벤젠의 대사산물 중 하나로, 벤젠 노출 후 일정 기간 동안 소변에서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S-페닐머캅토산은 벤젠 노출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생물학적 노출지표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산업안전보건법령에 규정되어 있는 특수건강진단의 대상이 아닌 근로자는?

  1. 크롬에 노출되는 근로자
  2. 유리섬유분진에 노출되는 근로자
  3. 1일 8시간 작업시 85dB(A) 이상의 소음에 노출되는 근로자
  4. 1일 6시간 이상 전화상담 등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근로자
  5.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최근 6개월간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 월평균 80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특수건강진단 대상은 유해작업에 노출되는 근로자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크롬에 노출되는 근로자, 유리섬유분진에 노출되는 근로자, 1일 8시간 작업시 85dB(A) 이상의 소음에 노출되는 근로자,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최근 6개월간 오후 10시부터 오전 6시까지 월평균 80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는 특수건강진단 대상입니다. 반면에 1일 6시간 이상 전화상담 등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유해작업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특수건강진단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산업재해 지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건수율은 연작업시간당 재해발생 건수이다.
  2. 도수율은 천인율 또는 발생률이라고도 한다.
  3. 강도율은 연 100만 작업시간당 작업손실일수를 말한다.
  4. 도수율은 작업시간이 고려되지 않은 산업재해 지표이다.
  5. 사망만인률은 근로자 1만명당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수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망만인률은 근로자 1만명당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수를 말한다. 이는 근로자 수에 대한 비율로, 근로자 수가 많은 곳에서는 사망자 수가 많아도 비율이 낮을 수 있고, 근로자 수가 적은 곳에서는 사망자 수가 적어도 비율이 높을 수 있다. 따라서 근로자 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석면노출로 인한 중피종의 위험을 평가하고자 역학연구를 실시하기 위하여 석면공장에서 10년 이상 근무한 적이 있는 근로자 집단을 파악하고, 이 집단과 유사한 인구학적 특성(성별, 연령 등)을 가진 일반 인구집단도 선정하여 중피종으로 인한 사망자를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의 역학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면연구(Cross Sectional Study)라고 하며, 석면으로 인한 중피종 사망 위험은 조사망율(Crude Death Rate)로 평가한다.
  2. 환자대조군 연구(Case Control Study)라고 하며, 석면으로 인한 중피종 사망 위험은 교차비(OR: Odds Ratio)로 산출된다.
  3. 환자대조군 연구(Case Control Study)라고 하며, 석면으로 인한 중피종 사망위험은 상대적 위험비(RR: Risk Ratio)로 산출된다.
  4. 전향적 코호트 연구(Prospective Cohort Study)라고 하며, 석면으로 인한 중피종 사망 위험은 교차비(OR: Odds Ratio)로 산출된다.
  5. 후향적 코호트 연구(Retrospective Cohort Study)라고 하며 석면으로 인한 중피종 사망위험은 상대적 위험비(RR: Risk Ratio)로 산출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후향적 코호트 연구(Retrospective Cohort Study)라고 하며 석면으로 인한 중피종 사망위험은 상대적 위험비(RR: Risk Ratio)로 산출된다. 이는 과거에 노출된 집단과 유사한 인구학적 특성을 가진 일반인구집단을 비교하여 중피종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노출과 결과를 동시에 측정하는 전향적 코호트 연구(Prospective Cohort Study)와 달리 이미 노출이 발생한 후 결과를 조사하는 방식이므로 후향적이라고 부른다. 이 방식에서는 노출과 결과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대적 위험비(RR)를 계산하여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산업보건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히포크라테스가 납중독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2. 중세시대에 아그리콜라에 의해 구리에 대한 직업적 노출기준이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3. 이탈리아의 의사 라마찌니가 최초로 직업병의 원인을 유해물질(요인)과 불안전한 작업자세라는 점을 명시했다.
  4. 산업혁명 초기에는 공장 안은 물론 인접지역까지 공기, 물 등의 오염으로 개인위생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5. 파라셀수스는 “모든 물질은 그 양(dose)에 따라 독(poison)이 될 수도 있고 치료약(remedy)이 될 수도 있다. ”고 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세시대에 아그리콜라에 의해 구리에 대한 직업적 노출기준이 처음으로 제안되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고대 그리스의 디오스코리데스가 구리에 대한 직업적 노출에 대해 기록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20m, 10m, 5m인 밀폐된 대형 챔버에 톨루엔 1L가 쏟아져 모두 증발했다. 이 때 공기 중 톨루엔 농도(ppm)는 약 얼마인가? (단, 톨루엔의 분자량은 92, 비중은 0. 86, 온도와 압력은 정상조건이다. )

  1. 118
  2. 228
  3. 338
  4. 448
  5. 558
(정답률: 알수없음)
  • 톨루엔 1L의 질량은 부피 x 밀도 = 1 x 0.86 = 0.86kg이다.
    이를 분자량으로 환산하면 몰수는 0.86/92 = 0.0094mol이다.
    챔버의 부피는 가로 x 세로 x 높이 = 20 x 10 x 5 = 1000m^3이다.
    정상조건에서의 기체의 몰수는 PV = nRT에서 n/V = P/RT 이므로, 공기의 몰수는 (101325Pa)/(8.31 J/mol K x 293K) = 40.7mol/m^3이다.
    따라서, 톨루엔 농도는 (0.0094mol/1000m^3) x (10^6 ppm/1mol/m^3) x (40.7mol/m^3) = 228p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배치전 건강진단 결과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건강장해 요인을 가진 근로자들이 나타났다. 피혁 가공공정에서 DMF로 인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 배치하지 말아야 할 필요성이 가장 높은 근로자는?

  1. 청력장해가 있는 근로자
  2. 제한성 폐기능장해가 있는 근로자
  3. 폐활량이 저하된 근로자
  4. 간기능 장해가 있는 근로자
  5. 폐쇄성 폐기능장해가 있는 근로자
(정답률: 알수없음)
  • DMF는 간에 대한 독성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간기능 장해가 있는 근로자가 DMF로 인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 배치하지 말아야 할 필요성이 가장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근로자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작업환경관리의 우선순위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제거→대체→환기→교육→보호구착용
  2. 환기→보호구착용→대체→제거→교육
  3. 환기→제거→대체→교육→보호구착용
  4. 보호구착용→교육→제거→대체→환기
  5. 보호구착용→환기→제거→대체→교육
(정답률: 알수없음)
  • 제거는 유해물질 자체를 없애는 것이므로 가장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대체는 유해물질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물질로 교체하는 것이므로 그 다음 우선순위입니다. 환기는 유해물질을 흡입하지 않도록 공기를 교체하는 것이므로 그 다음 우선순위입니다. 교육은 근로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므로 그 다음 우선순위입니다. 마지막으로 보호구 착용은 위험한 작업을 할 때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입니다. 따라서, "제거→대체→환기→교육→보호구착용"이 올바른 우선순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청력보호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귀마개나 귀덮개의 차음효과는 주파수별로 차이가 없어야 한다.
  2. 현장에서 귀마개를 착용할 때의 차음효과는 NRR보다는 낮다.
  3. 1종(EP-1형) 귀마개는 저주파수보다 고주파수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귀마개이다.
  4. 귀마개와 귀덮개를 동시에 착용하면 합산 차음효과는 각각의 차음효과를 더하여 산출한다.
  5. 귀마개의 NRR은 모든 주파수의 소음수준이 법적 기준인 90dB이라고 가정하고 계산한 차음효과값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현장에서 귀마개를 착용할 때의 차음효과는 NRR보다는 낮다는 이유는 귀마개를 착용하는 사람의 착용 방법, 귀마개와 귀의 형태,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NRR보다 낮은 차음효과를 기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인체의 주요 장기 및 조직에서 기본이 되는 단위조직의 명칭과 대표적인 유해요인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신경-시냅스-노말헥산
  2. 신장-네프론-수은
  3. 폐-폐포-유리규산
  4. 간-간소엽-사염화탄소
  5. 근육-근섬유-반복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신경-시냅스-노말헥산" 입니다.

    신경은 뇌와 척수를 포함한 중추신경계와 신경말단으로 이루어진 조직입니다. 시냅스는 신경세포와 다른 세포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부분을 말하며, 신경전달물질이 이곳에서 분비됩니다. 노말헥산은 지방산의 일종으로, 인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신경과 시냅스는 인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노말헥산은 인체 내에서 필수적인 지방산입니다. 하지만, 노말헥산은 유해요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인체의 청각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이에서 소리에너지의 이동경로는 난형창→전정관 →고실계→원형창이다.
  2. 중이는 추골, 침골, 등골의 조그만 뼈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막의 진동을 내이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3. 내이는 난형창 쪽에서부터 안쪽으로 20,000Hz에서 20Hz까지의 소리를 감지하는 모세포(hair cell)가 배치되어 있다.
  4. 청각기관은 바깥귀부터 고막까지를 외이, 고막에서 난형창까지를 중이, 난형창 내부의 코르티 기관을 내이로 나눈다.
  5. 내이는 3개의 관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소리의 통로가 되는 전정관과 고실계는 공기로 채워져 있으며, 소리를 감지하는 모세포(hair cell)에 있는 코르티 기관은 액체로 채워져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이는 3개의 관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소리의 통로가 되는 전정관과 고실계는 공기로 채워져 있으며, 소리를 감지하는 모세포(hair cell)에 있는 코르티 기관은 액체로 채워져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전정관과 고실계는 액체로 채워져 있고, 코르티 기관에 있는 모세포(hair cell)는 액체 안에서 소리를 감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비스코스 레이온 공정에서 이황화탄소 노출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개인시료를 포집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이 근로자의 6시간 동안 이황화탄소 노출농도(ppm)는 약 얼마인가?

  1. 5
  2. 10
  3. 15
  4. 20
  5. 25
(정답률: 알수없음)
  • 이황화탄소 노출농도는 y축에 해당하는 값으로, 개인시료에서 측정된 이황화탄소 농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찾으면 된다. 그래프 상에서는 y축 값이 15 ppm인 지점이 가장 높으므로, 이 근로자의 6시간 동안 이황화탄소 노출농도는 15 ppm이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방진마스크의 성능 및 검정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방진마스크의 성능은 여과효율이 동등하다면 흡배기저항이 높을수록 우수하다.
  2. 방진마스크를 현장에서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지면 여과지의 기공에 먼지가 축적됨에 따라 먼지의 여과효율은 점점 감소한다.
  3. 방진마스크의 여과효율은 먼지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점점 낮아진다.
  4. 특급, 1급, 2급으로 구분하며 각각의 최소여과효율은 99%, 95%, 90% 이상이어야 한다.
  5. 여과효율을 검정하기 위한 먼지의 크기는 공기역학적 직경으로 0. 3 내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여과효율을 검정하기 위한 먼지의 크기는 공기역학적 직경으로 0.3 내외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먼지의 크기가 0.3μm일 때 가장 효율적으로 여과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부분적으로는 맞지만, 전체적으로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뇌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높은 근로자가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해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할 유해요인으로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것은?

  1. 고열
  2. 질산염
  3. 베릴륨
  4. 스트레스
  5. 일산화탄소
(정답률: 알수없음)
  • 뇌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높은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관리해야 할 유해요인 중에서 베릴륨은 다른 요인들에 비해 뇌심혈관계 질환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우선순위가 가장 낮습니다. 베릴륨은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폐질환과의 연관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을 위한 관리에서는 베릴륨보다는 고열, 질산염, 스트레스, 일산화탄소와 같은 요인들에 더욱 집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최근 산재사고 예방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위험성평가 제도의 취지와 실무에 관하여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은 적용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2. 위험성평가는 기본적으로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를 해야 하는 사업주와 근로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3. 위험성평가는 기본적으로 유해위험요인에 대한 전문지식과 개선 및 관리에 대한 공학적 지식 및 기술을 가진 전문가에 의뢰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4. 발암성 물질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의 위험성 평가는 1년에 2회 이상 작업환경 측정 결과를 노출기준과 비교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5. 위험성평가란 기계, 기구, 설비 및 화학물질, 그 자체의 위험성 및 유해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전문기관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성평가는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를 해야 하는 사업주와 근로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취지이다. 이는 사업주와 근로자가 함께 위험성을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도 적용대상에서 제외되지 않고, 전문가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해야 하며, 발암성 물질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의 경우에는 노출기준과 비교하여 평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석유화학공장의 야외에서 유사한 직무를 수행하는 근로자 30명의 공기 중 1,3-부타디엔 노출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의 통계자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정규분포보다는 기하분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2. 1,3-부타디엔 노출농도의 기하평균은 산술평균보다 클 것이다.
  3. 노출농도의 기하평균 단위는 ppm이지만 기하표준편차는 단위가 없다.
  4. 노출농도를 로그변환하면 변환된 자료는 정규분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5. 기하평균이 같다면 기하표준편차가 클수록 노출기준을 초과할 확률은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1,3-부타디엔 노출농도의 기하평균은 산술평균보다 클 것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기하평균은 값이 작은 데이터에 더 큰 가중치를 주기 때문에 산술평균보다 작은 값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값이 큰 데이터가 많은 경우에는 산술평균이 기하평균보다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기하평균은 로그 변환을 하지 않은 데이터에서 곱셈을 통해 계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값이 작은 데이터에 더 큰 가중치를 주는 것이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노출농도를 로그변환하면 변환된 자료는 정규분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이다. 로그 변환을 하면 값이 작은 데이터에 대한 가중치가 줄어들어 정규분포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0m, 15m, 4m인 사무실에서 120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 사무실의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1,000ppm이하로 유지하고자 할 때, 최소환기율은 ACH(hr-1)로 나타내면 약 얼마인가?

  1. 1. 4
  2. 2. 1
  3. 2. 4
  4. 3. 4
  5. 3. 9
(정답률: 알수없음)
  • ACH는 시간당 공기 교환 횟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최소환기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사무실 내부의 공기량과 외부의 신선한 공기량을 비교해야 한다.

    먼저, 사무실의 부피를 구해보자.

    부피 = 가로 x 세로 x 높이 = 10m x 15m x 4m = 600m³

    다음으로, 사무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계산해보자.

    사무실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 (120명 x 0.1m³/명 x 0.02) / 600m³ x 1,000,000 = 40ppm

    여기서 0.1m³/명은 한 사람이 숨쉬는 공기량이고, 0.02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2%라는 가정에서 계산한 값이다.

    따라서, 최소환기율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다.

    1,000ppm / (1,000ppm - 40ppm) = 3.4

    따라서, 최소환기율은 3.4 ACH/hr 이다. 이는 시간당 3.4번의 공기 교환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기업진단 · 지도

51. 관찰 및 측정이 가능하고 직무와 관련된 피평가자의 행동을 평가기준으로 하는 행동기준고과법(BARS: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의 개발 절차를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재분류→중요사건의 등급화→확정 및 실시
  2.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등급화→중요사건의 재분류→확정 및 실시
  3.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등급화→중요사건의 재분류→중요사건의 범주화→확정 및 실시
  4.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등급화→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재분류→확정 및 실시
  5.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재분류→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등급화→확정 및 실시
(정답률: 알수없음)
  • "행동기준고과법 개발위원회 구성→중요사건의 열거→중요사건의 범주화→중요사건의 재분류→중요사건의 등급화→확정 및 실시"가 옳은 순서이다. 이는 BARS 개발의 기본적인 절차로, 먼저 개발위원회를 구성하고 직무와 관련된 중요사건을 열거한 후, 이를 범주화하고 재분류하여 등급화하고 최종적으로 평가기준으로 확정하고 실시하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 피평가자의 행동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카플란(Kaplan)과 노턴(Norton)에 의해 개발된 균형성과표(BSC: balanced scorecard)의 운용체계는 4가지 관점에서 파생되는 핵심성공요인(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들의 유기적 인과관계로 구성되는데, 4가지 관점으로 모두 옳은 것은?

  1. 재무적 관점, 고객 관점, 외부 경쟁환경 관점, 학습ㆍ성장 관점
  2. 재무적 관점, 고객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ㆍ성장 관점
  3. 재무적 관점, 자재 관점, 외부 경쟁환경 관점, 학습ㆍ성장 관점
  4. 재무적 관점, 고객 관점, 외부 경쟁환경 관점, 직무표준 관점
  5. 재무적 관점, 자재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직무표준 관점
(정답률: 알수없음)
  • BSC의 4가지 관점은 재무적 관점, 고객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 학습ㆍ성장 관점입니다. 이는 기업의 성과를 재무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고객 만족도, 내부 프로세스 개선, 그리고 학습과 성장을 통한 장기적인 성장을 고려한 ganzheitliche 접근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단순히 재무적인 성과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성과를 추구하며 지속 가능한 경영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도요타생산방식(TPS: toyota production system)에서 낭비를 철저하게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된 적시생산시스템(JIT: just in tim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ㅁ
  3. ㄷ,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ㅁ
(정답률: 알수없음)
  • - JIT는 생산에 필요한 부품이나 원자재 등을 필요한 시점에 딱 맞게 공급하여 재고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 TPS에서는 JIT를 통해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낭비를 최소화하고,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활용된다.
    - 따라서 "ㄷ, ㄹ"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혁신적인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개발된 기업 경영전략인 6시그마 프로젝트 수행단계(DMAI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의(define): 문제점을 찾아내는 첫 단계
  2. 측정(measurement): 문제 수준을 계량화하는 단계
  3. 통합(integration): 원인과 대책을 통합하는 단계
  4. 분석(analysis): 상태 파악과 원인분석을 하는 단계
  5. 관리(control): 관리계획을 실행하는 단계
(정답률: 알수없음)
  • "통합(integration): 원인과 대책을 통합하는 단계"가 옳지 않은 것이다. DMAIC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1. 정의(define): 문제점을 찾아내는 첫 단계
    2. 측정(measurement): 문제 수준을 계량화하는 단계
    3. 분석(analysis): 상태 파악과 원인분석을 하는 단계
    4. 개선(improvement): 대책을 수립하고 구현하는 단계
    5. 관리(control): 관리계획을 실행하는 단계

    따라서 옳지 않은 보기는 "통합(integration): 원인과 대책을 통합하는 단계"이다.

    통합 단계는 개선 단계에서 수립한 대책을 기존 시스템과 통합하여 적용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개선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생산시스템을 설계하고 계획, 통제하는 초기단계로 총괄생산계획(APP: aggregate production planning), 주생산일정계획(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 자재소요계획(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수요예측(demand forecasting)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패널법(panel consensus)은 다양한 계층의 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하고, 관련 예측정보를 공유한다.
  2. 소비자조사법(market research)은 설문지 및 전화에 의한 조사, 시험판매 등을 활용하여 예측한다.
  3. 단순이동평균법(simple moving average method)의 예측값은 과거 n기간 동안 실제 수요의 산술평균을 활용한다.
  4. 시계열분해법(time series method)은 시계열을 4가지 구성요소로 분해하여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5. 델파이법(delphi method)은 설득력 있는 특정인에 의해 예측결과가 영향을 받는 장점이 존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델파이법(delphi method)은 설득력 있는 특정인에 의해 예측결과가 영향을 받는 장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델파이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예측하는 방법으로, 전문가들의 의견이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익명성을 보장하고, 여러 차례 반복하여 의견을 수정하는 과정을 거친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단체교섭의 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노사간의 교섭안을 차례로 제시하고 대응하며 양측에 요구사항을 수시로 수정해야 협상이 가능하다.
  2. 노사간의 교섭과정에서 끝까지 타협이 안 된다면 정부나 제3자의 조정 및 중재가 필요하다.
  3. 노사간의 협상내용이 타결되면 단체협약서를 작성하고 협약내용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4. 사용자가 파업근로자 대신 임시직을 채용하거나 비조합원들을 파업 장소로 이동시켜 대체할 수 있다.
  5. 노사간의 협상이 결렬되면 양측은 서로에 대해 파업과 직장폐쇄 등으로 실력을 행사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용자가 파업근로자 대신 임시직을 채용하거나 비조합원들을 파업 장소로 이동시켜 대체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노동법상 불법행위에 해당하며, 노동자의 파업권을 침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파업근로자를 대체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능별 조직과 프로젝트(project) 팀조직을 결합시킨 형태의 조직으로, 1명의 직원이 2명 이상의 상사로부터 명령을 받을 수 있어 명령통일의 원칙(principle of unity command)에 혼란을 겪을 수 있는 조직구조는?

  1. 매트릭스 조직
  2. 사업부제 조직
  3. 네트워크 조직
  4. 가상네트워크 조직
  5. 가상 조직
(정답률: 알수없음)
  • 매트릭스 조직은 기능별 조직과 프로젝트 팀조직을 결합시킨 형태의 조직으로, 1명의 직원이 2명 이상의 상사로부터 명령을 받을 수 있어 명령통일의 원칙에 어긋나는 구조입니다. 이는 각각의 프로젝트에 필요한 전문성과 기술을 가진 인력을 유연하게 배치하여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최적의 조직 구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조직 내부의 역할과 책임이 모호해지고, 의사결정과 의사소통이 복잡해지는 등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리더십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행동이론 중 미시간 대학의 연구에서 직무중심 리더는 부하의 인간적 측면에 관심을 갖고, 종업원중심 리더는 부하의 업무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2. 상황이론 중 경로-목표 이론에서는 리더행동을 지시적 리더십, 지원적 리더십, 참여적 리더십, 성취지향적 리더십으로 분류하였다.
  3. 특성이론에서는 여러 특성을 가진 리더가 모든 상황에서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였다.
  4. 행동이론 중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연구에서 배려하는 리더와 부하 사이의 관계는 상호신뢰를 형성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5. 상황이론 중 규범모형은 기본적으로 부하들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정도가 상황의 특성에 맞게 달라질 필요가 없다고 가정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황이론 중 경로-목표 이론에서는 리더행동을 지시적 리더십, 지원적 리더십, 참여적 리더십, 성취지향적 리더십으로 분류하였다. 이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리더는 상황을 파악하고 적절한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조직문화의 순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직구성원들에게 일체감을 조성한다.
  2. 조직구성원들의 생각과 행동지침이나 규범을 제공한다.
  3. 조직의 안정성과 계속성을 갖게 한다.
  4. 조직구성원들에게 획일성을 갖게 한다.
  5. 조직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을 통제하는 기제(mechanism) 기능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직구성원들에게 획일성을 갖게 한다."는 조직문화의 순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조직문화는 조직 구성원들에게 일체감을 조성하고, 생각과 행동지침이나 규범을 제공하여 조직의 안정성과 계속성을 갖게 하며, 구성원들의 태도와 행동을 통제하는 기제 기능을 합니다. 하지만 획일성을 갖게 한다는 것은 모든 구성원들이 동일한 태도와 행동을 갖도록 강제하는 것으로, 조직문화의 순기능으로 볼 수 없습니다.

    조직문화는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공통된 가치와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조직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개성과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조직의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연하고 개방적인 문화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신입사원 선발시험점수(예측점수)와 업무성과(준거점수)의 상관계수가 0. 4이다. ”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발시험점수가 업무성과 변량의 16%를 설명한다.
  2. 입사 지원자의 16%가 합격할 것이다.
  3. 선발시험점수가 업무성과 변량의 40%를 설명한다.
  4. 입사 지원자의 40%가 합격할 것이다.
  5. 입사 지원자의 선발시험점수가 40점 이상일 경우 합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선발시험점수가 업무성과 변량의 16%를 설명한다."이다. 상관계수는 두 변수 간의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 경우 0.4로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발시험점수가 업무성과 변량의 16%를 설명한다는 것은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인 상관계수를 통해 추정된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이 문장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동일한 길이의 두 선분에서 양쪽끝 화살표의 방향이 달라짐에 따라 선분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지각되는 착시 현상은?

  1. 뮬러-라이어 착시
  2. 유도운동 착시
  3. 파이운동 착시
  4. 자동운동 착시
  5. 스트로보스코픽운동 착시
(정답률: 알수없음)
  • 뮬러-라이어 착시는 동일한 길이의 두 선분에서 양쪽끝 화살표의 방향이 달라짐에 따라 선분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지각되는 착시 현상입니다. 이는 뇌가 선분의 방향을 인식하는 방식에 기인한 것으로, 선분의 방향이 바뀌면 뇌가 선분의 길이를 다르게 인식하게 됩니다. 이러한 착시 현상은 시각적 자극이 일정하지 않을 때 발생하며, 운동 착시의 일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선발도구의 효과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ㅁ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발도구는 적절한 인재를 선발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ㄴ, ㄹ, ㅁ"은 모두 인재의 성격과 관련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선발도구로써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ㄱ, ㄷ"는 인재의 능력과 관련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ㄱ, ㄹ"은 인재의 인성과 관련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효과적인 팀 수행을 위해서 공유된 정신모델(shared mental model)을 구축하고자 할 때, 주의해야 하는 잠재적ㆍ부정적 측면인 집단사고(groupthink)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사고의 예로는 1960년대 미국이 쿠바의 피그만을 침공한 것과 1980년대 우주왕복선 챌린저호의 폭발사고가 있다.
  2. 팀 구성원들은 만장일치로 의견을 도출해야 한다는 환상을 가지고 있다.
  3.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강한 사회적 정체성을 느끼는 팀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4. 팀 안에서 반대 의견을 표출하기가 힘들다.
  5. 선택 가능한 대안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정보처리를 하는데서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강한 사회적 정체성을 느끼는 팀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사회적 정체성이 강한 팀에서는 오히려 집단사고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팀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집단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반대 의견을 제시하지 않거나, 다수의 의견에 따르기 위해 선택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브룸(Vroom)은 직무동기의 힘을 3가지 인지적 요소들에 의한 함수관계로 정의하였다. 다음 공식의 a와 b에 들어갈 요소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기대, 유인가
  2. 기대, 도구성
  3. 공정성, 유인가
  4. 공정성, 도구성
  5. 유인가, 도구성
(정답률: 알수없음)
  • a: 기대, b: 유인가, 도구성

    브룸은 직무동기를 기대, 유인가, 도구성의 세 가지 요소로 나누어 정의하였다. 기대는 성과에 대한 기대와 보상에 대한 기대를 의미하며, 유인가는 보상이나 인정을 받는 것에 대한 욕구를 의미하고, 도구성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과 자원을 의미한다. 따라서, a는 기대, b는 유인가와 도구성이다.

    정답이 "유인가, 도구성" 인 이유는, 직무동기를 유발하는 요소로서 보상이나 인정을 받는 것에 대한 욕구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과 자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요소가 충족되면 직무동기가 높아지고, 성과도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유인가와 도구성은 직무동기를 유발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교대근무의 부정적 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야간작업은 멜라토닌 생성ㆍ조절을 방해하여 면역체계를 약화시킨다.
  2. 순환적 야간근무보다 고정적 야간근무가 신체·심리적 건강을 더 위협한다.
  3. 교대작업은 배우자나 자녀와의 여가생활을 어렵게 하여 사회적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4. 순행적 교대근무보다 역행적 교대근무가 적응하기 더 어렵다.
  5. 야간조명은 자연광선 효과를 대신할 수 없고, 낮잠은 밤에 자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순환적 야간근무보다 고정적 야간근무가 신체·심리적 건강을 더 위협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오히려 순환적 야간근무는 생체리듬을 유지하기 쉽고, 고정적 야간근무보다 적응하기 쉽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직장내 안전사고와 관련된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을 수행하는데 안전을 위한 단계를 지켜야 한다는 종업원의 공유된 지각이 필요하다.
  2. 성격 5요인(Big-five) 중에서 성실성은 안전사고와 관련된다.
  3.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안전사고가 감소한다.
  4. 일과 무관한 개인적 스트레스 요인은 안전사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5. 시간급보다 생산성에 따라 급여를 받는 능률급은 안전을 더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일과 무관한 개인적 스트레스 요인은 안전사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개인적 스트레스 요인은 집중력 저하, 실수, 감정적 불안정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개인적 스트레스 요인도 안전사고 예방에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작업스트레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급하고 의욕이 강한 A유형 성격의 사람들은 스트레스 조절능력이 강해서 느긋하고 이완된 B유형의 사람들과 비교하여 심장질환에 걸릴 확률이 절반 정도로 낮다.
  2. 스트레스 출처에 대한 이해가능성, 예측가능성, 통제가능성 중에서 스트레스 완화효과가 가장 큰 것은 예측가능성이다.
  3. 내적 통제형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스트레스 출처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하지 않고 그냥 견딘다.
  4. 공항에서 근무하는 소방관의 경우 한 건의 화재도 없이 몇 주 동안 대기근무만 하였을 때 스트레스가 없다.
  5. 작업스트레스는 역할 과부하에서 주로 발생하며, 역할들 간의 갈등으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트레스 완화효과가 가장 큰 것은 예측가능성이다. 이는 스트레스 출처에 대해 미리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을 때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시험을 앞두고 공부를 미리 해두면 시험 당일 스트레스를 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 관리에는 스트레스 출처에 대한 이해 가능성과 통제 가능성도 중요하지만, 예측 가능성이 가장 큰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일과 가정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3가지 기본 모델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ㄱ, ㄷ, ㅁ
  4. ㄴ, ㄷ, ㄹ
  5. ㄴ,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이유는 각각의 모델이 일과 가정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측면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 "ㄱ, ㄷ, ㅁ" 모델은 일과 가정간의 갈등이 존재하는 모델로, 일과 가정간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ㄱ, ㄷ, ㄹ" 모델은 일과 가정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모델로, 일과 가정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며 조화롭게 일과 가정을 이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ㄱ, ㄴ, ㄷ" 모델은 일과 가정간의 구분이 명확한 모델로, 일과 가정을 분리하여 생각하며 각각을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모델은 각각 다른 시각에서 일과 가정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한 모델을 선택하여 일과 가정을 조화롭게 이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풀 프루프(fool proof)가 적용된 기계ㆍ기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카메라의 이중촬영 방지기구
  2. 프레스기의 양수조작식 방호장치
  3. 압력용기의 안전밸브
  4. 사출성형기의 인터로크(interlock)식 가드
  5. 산업용 로봇의 작업장(안전울) 안전플러그
(정답률: 알수없음)
  • 압력용기의 안전밸브는 풀 프루프가 적용되지 않은 기계ㆍ기구입니다. 이는 안전밸브가 작동하지 않거나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밸브는 기계ㆍ기구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지만, 풀 프루프가 적용되지 않은 예외적인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사업장 위험성평가에 관한 지침상 '위험성 추정'을 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위험성 추정은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측하고 그에 따른 피해 가능성과 심각성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위험성 추정을 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ㄱ: 사업장 내부의 위험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시설물, 기계, 재료 등의 위험성을 분석합니다.
    - ㄴ: 작업과 관련된 위험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작업환경, 작업방법, 작업자의 능력 등을 고려하여 위험성을 분석합니다.
    - ㄷ: 사고 및 재해 발생 시의 위험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사고 발생 시의 피해 가능성과 심각성을 평가합니다.
    - ㄹ: 위험성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위험성을 추정하는 것으로, 위험성 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위험성 등급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ㄱ, ㄴ, ㄹ"이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심실세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류의 일부가 심장부분으로 흐르게 되어 심장이 정상적인 맥동을 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2. 심실세동으로 인한 불규칙한 맥동에서 전류를 제거하면 거의 정상으로 되돌아 온다.
  3. 심실세동 전류값은 통전시간과 연관성이 높다.
  4. 심실세동 극대점 이상의 전류에서는 심실세동을 일으킬 확률이 감소한다.
  5. 심실세동에 의한 사망위험은 저전압에서 비교적 작은 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큰 전류가 흐르는 경우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심실세동으로 인한 불규칙한 맥동에서 전류를 제거하면 거의 정상으로 되돌아 온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심실세동은 심장의 전기적인 활동이 불규칙하게 일어나는 상태로, 전류를 제거해도 심장의 정상적인 맥동이 되돌아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심실세동은 심장마비와 같은 심갑상선기능저하증후군 등의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사업장의 안전보건경영체제 구축을 위하여 안전보건경영방침을 수립하여야 한다. 안전보건경영방침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위험성평가의 방법 및 범위
  2. 모든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확보하기 위한 지속적인 개선 및 실행 의지
  3. 조직의 안전보건 위험 특성과 조직 규모의 적합
  4. 법적 요구사항 준수 의지
  5. 경영자의 안전보건경영 철학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보건경영방침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위험성평가의 방법 및 범위"이다. 이는 안전보건경영방침의 구체적인 내용 중 하나로, 조직의 안전보건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법과 범위를 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보건경영방침에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항목들과 달리 구체적인 방법과 범위를 명시하는 것이므로, 조직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과 범위를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항목들과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보호구의 성능기준 및 사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전모의 종류 중 AE형은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에 의한 위험을 경감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6,000V 이상의 전압에 견디는 내전압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
  2. 내절연용 절연장갑의 종류에서 가장 낮은 등급(00등급)의 최대사용전압은 교류, 직류 모두 750V 이하이다.
  3. 유기화합물용 방독마스크의 정화통 외부 측면의 표시 색은 노랑색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4. 추락방지대란 신체지지 목적으로 전신에 착용하는 띠 모양의 것으로서 상체 등 일부분만 지지하는 것은 제외한다.
  5. 1종 방음용 귀마개는 저음부터 고음까지 차음하는 것으로서 차음성능은 중심주파수 1,000Hz에서 20dB 이상의 차음치를 가져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1종 방음용 귀마개는 저음부터 고음까지 차음하는 것으로서 차음성능은 중심주파수 1,000Hz에서 20dB 이상의 차음치를 가져야 한다는 것은, 이 귀마개가 소음을 얼마나 차단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성능 기준이다. 중심주파수 1,000Hz에서 20dB 이상의 차음치를 가져야 한다는 것은, 이 귀마개가 1,000Hz 주파수에서 최소한 20dB 이상의 소음 차단 효과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소음 차단 능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방호장치가 미설치된 프레스에서 작업 중에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1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이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산업안전보건법상 중대재해 조사대상이며, 원인을 분석하여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2. 하인리히(H. W. Heinrich)의 도미노 이론에 의하면 4단계인 사고를 제거하면 예방할 수 있는 재해이다.
  3. 버드(Frank Bird)의 신도미노 이론에서 5단계인 상해를 제거하면 예방할 수 있는 재해이다.
  4. 발생된 사고가 인적 손실이 수반됨으로 '아차사고'라 할 수 있다.
  5. 작업 전 프레스의 이상 여부와 방호장치를 점검하면 예방할 수 있는 재해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작업 전 프레스의 이상 여부와 방호장치를 점검하면 예방할 수 있는 재해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방호장치가 미설치된 프레스에서 작업을 하면 부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작업 전에 방호장치를 설치하고 이상 여부를 점검하여 예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의 위험성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스스로 사업장의 유해ㆍ위험요인을 찾아내어 위험성을 결정하고 이를 평가ㆍ관리ㆍ개선하는 자율적 제도이다.
  2. 위험성평가는 사업주가 직접 참여하여 실시하고 위험성평가 실시의 총괄 관리를 위임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사업주는 위험성평가를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사전조사서'를 작성하여야 한다.
  4. 위험성평가의 종류에는 최초평가, 수시평가 및 정기평가로 구분하여 실시하는데 정기평가는 최초평가 후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5. 허용 가능한 위험성의 기준은 예산의 범위, 사업장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위험성 결정을 한 후에 사업장 자체적으로 설정해 두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사업장의 위험성평가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위험성평가의 종류에는 최초평가, 수시평가 및 정기평가로 구분하여 실시하는데 정기평가는 최초평가 후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입니다. 이유는 산업안전보건법령에서 위험성평가는 최초평가, 수시평가, 정기평가로 구분하여 실시하며, 정기평가는 최초평가 후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