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07)

워드프로세서 (구 1급)
(2010-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워드프로세싱 일반

1. 다음 전자출판 용어 중 이미지 변형 작업으로 채도, 조명도, 명암 등을 조절해 주는 기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트래킹(Tracking)
  2. 프레임(Frame)
  3. 초크(Choke)
  4. 엠보스(Emboss)
(정답률: 77%)
  • 이미지 변형 작업으로 채도, 조명도, 명암 등을 조절해 주는 기능을 초크(Choke)라고 한다. 이는 이미지의 경계 부분을 더 선명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으로, 이미지의 경계 부분을 선택적으로 어둡게 만들어 배경과의 대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이미지의 선명도와 깊이감을 더해주어 더욱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그림을 밝고 명암 대비가 작은 그림으로 바꾸는 것으로 기관의 로고 등을 작성하여 배경을 희미하게 나타낼 때 사용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워터마크(Watermark)
  2. 스프레드(Spread)
  3. 리터칭(Retouching)
  4. 하프톤(Harftone)
(정답률: 74%)
  • 정답: 워터마크(Watermark)

    설명: 워터마크는 그림이나 문서에 배경으로 삽입되어 밝고 명암 대비가 작은 그림으로 바꾸는 기술을 말합니다. 이는 기관의 로고 등을 작성하여 배경을 희미하게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기술은 보안 목적으로도 사용되며, 문서나 이미지의 원본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은 어느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1. 와일드 카드(Wild Card)
  2. 조판 부호(Control Code)
  3. 아스키 코드(ASCII Code)
  4. 유니코드(Unicode)
(정답률: 57%)
  • 와일드 카드(Wild Card)는 일반적으로 패턴 매칭에서 사용되는 문자 또는 기호로, 다른 어떤 문자나 기호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txt"는 모든 확장자가 ".txt"인 파일을 나타내는 와일드 카드 패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공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시 문서에서는 훈령, 지시, 예규, 일일 명령등이 있다.
  2. 기안문 또는 시행문의 결문에는 행정 기관명, 생산 등록 번호, 접수 등록 번호 등이 있다.
  3. 전자 문서 상의 서명에는 전자 문자 서명, 전자 이미지 서명, 행정 전자 서명 등이 있다.
  4. 조례, 규칙은 법규 문서이다.
(정답률: 50%)
  • "조례, 규칙은 법규 문서이다."는 공문서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으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기안문 또는 시행문의 결문에는 행정 기관명, 생산 등록 번호, 접수 등록 번호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해당 문서의 신뢰성과 추적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지시 문서에서는 훈령, 지시, 예규, 일일 명령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해당 기관의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지침서이다.

    전자 문서 상의 서명에는 전자 문자 서명, 전자 이미지 서명, 행정 전자 서명 등이 있으며, 이는 전자 문서의 인증과 보안을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부서별 소관 업무에 대한 업무계획, 관리 업무 현황, 기타 참고 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활용하는 업무 현황철 또는 업무 참고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직무편람
  2. 기구편람
  3. 행정편람
  4. 업무배분 편람
(정답률: 62%)
  • 직무편람은 부서별 소관 업무에 대한 업무계획, 관리 업무 현황, 기타 참고 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활용하는 업무 현황철 또는 업무 참고철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기구편람, 행정편람, 업무배분 편람은 직무편람과는 다른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기억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EEPROM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주기억 장치와 CPU 사이의 처리 속도 차이를 보완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 시켜 주는 고속 버퍼 메모리로 사용된다.
  2. 레지스터(Register)는 CPU에서 자료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일시적인 기억 장치로 기억 장치 중 속도가 가장 빠르다.
  3. 가상 메모리(Vitrual Memory)는 보조기억 장치의 일부를 주기억 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으로 하드 디스크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4. RAM은 휘발성 메모리로 보통 SRAM과 DRAM이 있으며, 주기적인 재충전이 필요한 것은 DRAM 이다.
(정답률: 50%)
  • 정답은 "가상 메모리(Vitrual Memory)는 보조기억 장치의 일부를 주기억 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으로 하드 디스크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입니다.

    EEPROM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주기억 장치와 CPU 사이의 처리 속도 차이를 보완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고속 버퍼 메모리로 사용됩니다.

    레지스터는 CPU에서 자료 이동을 위해 사용되는 일시적인 기억 장치로, 기억 장치 중 속도가 가장 빠릅니다.

    가상 메모리는 보조기억 장치의 일부를 주기억 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으로, 하드 디스크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RAM은 휘발성 메모리로, 보통 SRAM과 DRAM이 있으며, 주기적인 재충전이 필요한 것은 D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공문서의 작성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문건 별 면 표시는 중앙 하단에 표시하고, 문서철 별 면 표시는 우측 하단에 표시한다.
  2. 문서를 수정할 경우에는 원안의 글자를 알 수 있도록 당해 글자의 중앙에 가로로 두선을 그어 수정하고, 수정한자가 그 곳을 서명 또는 날인한다.
  3. 시행문을 정정한 때에는 문서의 여백에 정정한 글자 수를 표기하고 정정한 자가 그 곳에 서명 또는 날인한다.
  4. 금액을 표기할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되, 숫자 다음의 괄호 안에 한글로 기재한다.
(정답률: 41%)
  • "금액을 표기할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되, 숫자 다음의 괄호 안에 한글로 기재한다."는 공문서 작성 방법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것이 아니다.

    시행문을 정정한 때에는 문서의 여백에 정정한 글자 수를 표기하고 정정한 자가 그 곳에 서명 또는 날인하는 것은 공문서 작성 방법 중 하나이다. 이는 시행문을 수정할 경우에 적용되는 규정으로, 수정한 내용을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에서 음영 처리된 영역의 명칭으로 알맞은 것은?

  1. 제본
  2. 머리말
  3. 미주
  4. 꼬리말
(정답률: 67%)
  • 음영 처리된 영역의 명칭은 "미주"입니다.

    "꼬리말"은 문서나 책의 마지막 부분에 위치한 정보로, 작성자의 이름, 출판사 정보, 인쇄일 등이 포함됩니다. "제본"은 책이나 문서를 제본하는 과정을 말하며, "머리말"은 문서나 책의 첫 페이지에 위치한 정보로, 제목, 작성자, 출판사 정보 등이 포함됩니다. "미주"는 문서나 책의 페이지 하단에 위치한 정보로, 각주나 참고문헌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메일머지(Mail Merge)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름이나 직책, 주소 등만 다르고 나머지 내용은 같은 이름통의 편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기능이다.
  2. 초청장이나 안내장, 청접장 등을 만들 경우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3. 데이터 파일은 엑셀(xls)이나 엑세스(mdb) 파일이어야 한다.
  4. 반드시 본문 파일에서 메일머지 기능을 실행시켜야 한다.
(정답률: 60%)
  • "데이터 파일은 엑셀(xls)이나 엑세스(mdb) 파일이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메일머지 기능은 다양한 데이터 파일 형식을 지원하며, CSV, TXT, SQL 등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전자출판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디더링(Dithering) : 기존의 그림을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2. 오버프린트(Over Print)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짙을 때에 겹쳐서 인쇄하는 방법이다.
  3. 필터링(Filtering) : 작성된 그림을 필터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이미지로 바꾸어 주는 기능이다.
  4. 클립아트(Clip Art) : 작업문서에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그림을 모아 둔 작은 그림의 모음집이다.
(정답률: 61%)
  • "디더링(Dithering) : 기존의 그림을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다. 디더링은 이미지를 낮은 해상도로 변환할 때 사용되는 기술로, 색상을 조합하여 더 많은 색상을 표현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한글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KS X 1001 완성형 한글코드는 한글 2350자, 한자 4888자, 특수문자 1128자 등을 표현할 수 있다.
  2. KS X 1001 조합형 한글코드는 정보 교환 시 제어문자와 충돌하지 않아 정보 교환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3. KS X 1005-1 한글코드는 완성형을 토대로 조합형의 장점을 수용한 코드로 영문과 한글 모두를 2바이트로 표현한다.
  4. KS X 1001 조합형 한글코드는 한글 11172자를 표현할 수 있다.
(정답률: 50%)
  • "KS X 1001 조합형 한글코드는 정보 교환 시 제어문자와 충돌하지 않아 정보 교환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제어문자는 데이터 전송 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문자로,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정보 교환 시에는 제어문자와 충돌하지 않는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KS X 1001 조합형 한글코드는 제어문자와 충돌하지 않는 코드이므로 정보 교환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이동과 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복사를 위해 영역지정을 하지만 잘라내기(오려두기)는 영역지정이 필요 없다.
  2. 복사와 이동은 붙여넣기 기능을 이용한다.
  3. 이동과 복사를 위해 클립보드라는 임시저장장소를 사용한다.
  4. 복사는 문서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정답률: 60%)
  • "복사를 위해 영역지정을 하지만 잘라내기(오려두기)는 영역지정이 필요 없다." 이 설명은 옳다. 복사는 원본 데이터를 그대로 두고 복사본을 만들기 때문에 원본 데이터의 일부분만 복사해도 된다. 하지만 잘라내기(오려두기)는 원본 데이터를 일부분 삭제하고 그 부분을 다른 곳에 붙여넣기 때문에 영역지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저장기능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기억 장치인 RAM에 기억되어 있던 문서를 보조기억 장치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2. 워드프로세서에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파일로 저장 할 수 있다.
  3. 작업 중인 워드프로세서 문서를 작성한 그대로 텍스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4. 일반적으로 확장한 TXT로 저장된 문서는 메모장이나 워드패드에서 편집이 가능하다.
(정답률: 32%)
  • "작업 중인 워드프로세서 문서를 작성한 그대로 텍스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텍스트 파일은 일반적으로 순수한 텍스트 데이터만을 담고 있으며, 워드프로세서에서 작성한 문서는 텍스트 이외에도 다양한 서식, 이미지, 표 등의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 중인 워드프로세서 문서를 그대로 텍스트 파일로 저장할 수는 없다. 대신, 워드프로세서에서는 텍스트 파일 외에도 doc, docx, pdf 등 다양한 형태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편집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전기능은 단어를 입력하여 주면 의미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2. 스타일(Style)은 문서에 복잡한 수식을 입력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
  3. 다단 편집이란 하나의 편집 화면을 여러 개의 단으로 나누어서 문서를 작성하는 기능이다.
  4. 매크로(Macro)는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로 작업한 순서를 보관해 두었다가 한꺼번에 재실행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66%)
  • "스타일(Style)은 문서에 복잡한 수식을 입력할 때 사용하는 기능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스타일은 문서의 서식을 일관성 있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이며, 복잡한 수식을 입력하는 기능은 수식 편집기능이다.

    - 사전기능: 단어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
    - 스타일(Style): 문서의 일관성 있는 서식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
    - 다단 편집: 하나의 편집 화면을 여러 개의 단으로 나누어서 문서를 작성하는 기능
    - 매크로(Macro): 사용자가 작업한 순서를 보관해 두었다가 한꺼번에 재실행하는 기능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스풀링(Spooling)은 하나의 문서를 인쇄할 때 인쇄 속도를 훨씬 더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이다.
  2. 줄의 끝에 있는 영어 단어가 다음 줄까지 연결될 때 단어를 자르지 않고 단어를 다음 줄의 처음으로 옮겨주는 기능을 센터링(Centering)이라고 한다.
  3. 정렬(Sort) 기능을 이용하여 ‘가, 나, 다, 라, ...’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오름차순 정렬이라고 한다.
  4.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필요한 문서를 상대방에게 분배, 전송하는 기능을 문서 병합 기능이라고 한다.
(정답률: 56%)
  • 정렬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기준에 따라 순서대로 정렬하는 것을 오름차순 정렬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인쇄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 프린터의 드라이버는 새로 등록할 수 있으며 수정 할 수 있다.
  2. 팩스 모뎀을 설치하면, 상대방의 팩시밀리로 모사전송을 할 수 있다.
  3. 문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를 픽셀(Pixel)이며, 전각문자는 가로 폭과 세로 높이의 비율이 1:2 이다.
  4. 낱장 인쇄용지의 A판과 B판의 가로: 세로 비율이 1: 루트 2 이다.
(정답률: 64%)
  • "문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를 픽셀(Pixel)이며, 전각문자는 가로 폭과 세로 높이의 비율이 1:2 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워드프로세서에서 문자의 크기는 픽셀 단위로 표시되며, 전각문자는 가로 폭과 세로 높이의 비율이 1:2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검색과 치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문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검색할 수 있다.
  2. 검색을 하면 작업 후에 문서의 분량에는 변화가 없다.
  3. 한글, 영문자, 한자, 특수문자에 대해서는 치환이 가능하며 치환 시 크기, 속성, 글꼴을 변경할 수 있다.
  4. 특정한 영역에 속한 그림이나 도형을 다른 그림이나 도형으로 치환할 수 있다.
(정답률: 48%)
  • "검색을 하면 작업 후에 문서의 분량에는 변화가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검색 결과에 따라 문서 내용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한 영역에 속한 그림이나 도형을 다른 그림이나 도형으로 치환할 수 있는 이유는, 워드프로세서에서는 그림이나 도형을 개별적인 객체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객체를 선택하고 치환 기능을 사용하면 다른 그림이나 도형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목차(차례) 만들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차 만들기의 결과는 꼬리말 영역에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2. 제목 목차뿐만 아니라 표 목차, 그림 목차의 구성도 가능하다.
  3. 주로 문서의 분량이 많을 때 활용되며, 현재 문서의 삽입된 모든 수식에 대하여도 목차 만들기를 할 수 있다.
  4. 목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목차에 포함될 항목을 표시해두어야 한다.
(정답률: 59%)
  • "목차 만들기의 결과는 꼬리말 영역에 자동으로 만들어진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목차는 일반적으로 문서의 본문에서 생성되며, 꼬리말 영역과는 별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과 같은 문장이 수정되었을 때 사용된 교정부호를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정답률: 75%)
  • 문장에서 "their"이 "its"로 수정되었기 때문에 교정부호는 ""이다. 이유는 "their"은 복수형 대명사이고, "bank"는 단수형 명사이기 때문에 대명사와 명사의 수가 일치하지 않는 오류가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its"로 수정하여 단수형 대명사와 명사의 수를 일치시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문서의 분량에 변동이 없는 교정 기호로만 짝지은 것은?

(정답률: 69%)
  • ""은 "문단 마감"을 나타내는 교정 기호로, 문서의 분량에 변동이 없는 것이다. 이 기호는 문서의 끝에 사용되며, 해당 문단이 끝나고 다음 문단이 시작됨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마우스 끌어놓기(Drag &Drop) 기능을 이용한 파일의 이동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행 파일을 다른 드라이브에 있는 폴더에 마우스로 끌어놓기를 하면 파일의 이동이 수행된다.
  2. 실행 파일을 같은 드라이브에 있는 폴더에 <Ctrl>키를 누른 상태로 마우스로 끌어놓기를 하면 파일의 이동이 수행된다.
  3. 비실행 파일을 같은 드라이브에 있는 폴더에 <Shift>키를 누른 상태로 마우스로 끌어놓기를 하면 파일의 이동이 수행된다.
  4. 비실행 파일을 플로피 디스크에 있는 폴더에 마우스로 끌어놓기를 하면 파일의 이동이 수행된다.
(정답률: 40%)
  • 정답은 "비실행 파일을 같은 드라이브에 있는 폴더에 키를 누른 상태로 마우스로 끌어놓기를 하면 파일의 이동이 수행된다." 이다. 이유는 키를 누르면 파일을 이동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같은 드라이브에 있는 폴더로 이동하면서 파일을 이동시키기 때문이다. 만약 다른 드라이브에 있는 폴더로 이동하면 파일을 복사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이동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제어판]에 있는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의 등록정보 창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신호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소리 탐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2. Windows 및 프로그램의 이벤트에 적용되는 소리의 집합인 소리 구성표를 설정할 수 있다.
  3.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에 대한 드라이버의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4.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 재생 또는 녹음 장치에 대한 볼륨 및 고급 옵션을 제어할 수 있다.
(정답률: 37%)
  • "시스템 신호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소리 탐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며, 사운드 및 오디오 장치의 등록정보 창에서는 이와 같은 기능을 설정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 새로운 [글꼴]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이용하여 폰트를 설치한다.
  2. ‘C:\Windows\Fonts'폴더에 해당 글꼴 파일을 복사하면 설치 된다.
  3. 글꼴 파일마다 제공된 Install.exe나 Setup.exe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설치된다.
  4. 새로운 글꼴을 [글꼴 정리 마법사]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정답률: 50%)
  • 정답은 "‘C:WindowsFonts'폴더에 해당 글꼴 파일을 복사하면 설치 된다." 이다. 이유는 Windows XP에서는 글꼴 파일을 ‘C:WindowsFonts' 폴더에 직접 복사하면 자동으로 설치되기 때문이다. 이 폴더는 시스템 폴더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반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렵지만,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글꼴을 설치하려면 해당 글꼴 파일을 ‘C:WindowsFonts' 폴더에 복사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Windows 탐색기] 창의 왼쪽에 있는 탐색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폴더명이 ‘M'으로 시작하는 폴더가 하나만 있는 경우에 ’M'키를 누르면 해당 폴더가 선택된다.
  2. 숫자 키패드의 ‘+’ 키를 누르면 선택된 폴더의 최하위 까지의 모든 하위 폴더를 항상 표시해 준다.
  3. 왼쪽 방향키(←)를 누르면 선택된 폴더가 열려 있을 때는 닫고, 닫혀 있으면 상위 폴더가 선택된다.
  4. [Back Space] 키를 누르면 상위 폴더가 선택 된다.
(정답률: 44%)
  • 정답: 숫자 키패드의 ‘+’ 키를 누르면 선택된 폴더의 최하위 까지의 모든 하위 폴더를 항상 표시해 준다. (옳은 설명입니다.)

    해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탐색창에서 폴더를 선택하거나 폴더를 열고 닫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지만, 숫자 키패드의 ‘+’ 키를 누르면 선택된 폴더의 최하위 까지의 모든 하위 폴더를 항상 표시해 준다는 것은 탐색창에서 폴더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바탕화면에 있는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로가기 아이콘의 확장자는 LNK이다.
  2. 바로가기 아이콘은 파일이나 폴더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상의 다른 컴퓨터에 대해서도 작성할 수 있다.
  3. 해당 바로가기 아이콘의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원본을 다른 개체로 변경할 수 있다.
  4. 동일한 원본 파일이나 폴더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은 모두 동일한 이름을 가져야 한다.
(정답률: 57%)
  • "동일한 원본 파일이나 폴더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은 모두 동일한 이름을 가져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바로가기 아이콘의 이름과 원본 파일 또는 폴더의 이름이 동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바로가기 아이콘의 이름은 원본 파일 또는 폴더의 이름과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연결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의의 폴더에 있는 문서 파일에 대해 연결 프로그램을 지정하면 시스템이 시작될 때마다 자동으로 해당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2. 연결 프로그램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파일은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
  3. 서로 다른 확장자를 갖는 파일들은 같은 연결 프로그램으로 지정할 수 있다.
  4. 연결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31%)
  • "서로 다른 확장자를 갖는 파일들은 같은 연결 프로그램으로 지정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한글 Windows XP에서 연결 프로그램은 파일의 확장자에 따라 자동으로 지정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서로 다른 확장자를 갖는 파일들은 같은 연결 프로그램으로 지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doc 파일과 .txt 파일은 서로 다른 확장자를 갖기 때문에 각각 다른 연결 프로그램으로 지정되어야 한다.

    "임의의 폴더에 있는 문서 파일에 대해 연결 프로그램을 지정하면 시스템이 시작될 때마다 자동으로 해당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사용자가 지정하지 않은 파일은 기본적으로 시스템에서 지정한 연결 프로그램으로 열리며, 사용자가 원한다면 수동으로 다른 연결 프로그램을 지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작 메뉴의 [로그오프]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네트워크 연결은 그대로 유지하며 프로그램은 모두 종료한다.
  2. 다른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시 부팅시킨다.
  3. Windows를 다시 시작하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과 네트워크의 로그온만 종료된다.
  4.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현재 사용자의 시스템을 종료한다.
(정답률: 48%)
  • 정답은 "Windows를 다시 시작하지 않고 응용 프로그램과 네트워크의 로그온만 종료된다." 이유는 로그오프는 현재 사용자의 세션을 종료하고 로그인 화면으로 돌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응용 프로그램과 네트워크 연결은 유지되지만 현재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는 종료된다. 다른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시 부팅시키는 것은 로그오프가 아닌 재부팅이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에서 현재 사용자의 시스템을 종료하는 것은 원격 종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시작] 메뉴에 표시할 수 있는 [내 최근 문서] 메뉴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 최근 문서] 메뉴를 선택하면 최근에 작업했던 문서, 그림 등의 데이터 파일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2. 사용자 계정이 'wp'일 경우에 등록된 문서 목록은 ‘C:\Document and Settings\wp\내 최근 문서’ 폴더에 저장되어 있다.
  3. 최대 15개까지 등록이 가능하며 새로운 문서가 등록되면 가장 오래된 문서가 없어진다.
  4. [내 최근 문서] 메뉴에 있는 문서를 삭제하면 휴지통으로 이동한다.
(정답률: 38%)
  • "[내 최근 문서] 메뉴에 있는 문서를 삭제하면 휴지통으로 이동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는 [내 최근 문서] 메뉴에서 문서를 삭제하면 해당 파일이 완전히 삭제되며 휴지통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제어판]에 있는 [프로그램 추가/제거]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컴퓨터의 프로그램과 구성 요소를 관리하도록 도와주면, CD_ROM, 플로피 디스크, 네트워크에서 Microsoft Excel 또는 Word와 같은 프로그램을 추가할 수 있다.
  2. 인터넷을 통해 Microsoft 업데이트 및 새로운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
  3. 네트워킹 서비스와 같이 기본 설치에서 제외한 Windows 구성 요소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도록 도와준다.
  4. Windows용 프로그램의 경우와 동일하게 MS-DOS용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려고 할 경우에도 사용된다.
(정답률: 38%)
  • "Windows용 프로그램의 경우와 동일하게 MS-DOS용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려고 할 경우에도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MS-DOS용 프로그램은 Windows XP에서는 실행이 불가능하므로,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도 해당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없다.

    MS-DOS용 프로그램은 Windows XP에서 실행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도 해당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휴지통]에 있는 내용을 복원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휴지통]에서 해당 위치로 드래그하여 복원할 수 있다.
  2. [휴지통]에 있는 해당 파일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복사]를 선택한 후에 다른 폴더에서 [붙여넣기]를 하면 복원할 수 있다.
  3. [휴지통]에 있는 해당 프로그램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복원] 메뉴를 선택하면 복원할 수 있다.
  4. 바로 이전에 [휴지통]으로 삭제한 파일은 [Ctrl]+[Z] 키를 이용하여 복원할 수 있다.
(정답률: 47%)
  • "[휴지통]에서 해당 위치로 드래그하여 복원할 수 있다."는 옳은 방법이다.

    "[휴지통]에 있는 해당 파일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복사]를 선택한 후에 다른 폴더에서 [붙여넣기]를 하면 복원할 수 있다."도 옳은 방법이다.

    "[휴지통]에 있는 해당 프로그램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복원] 메뉴를 선택하면 복원할 수 있다."는 잘못된 방법이다.

    "바로 이전에 [휴지통]으로 삭제한 파일은 [Ctrl]+[Z] 키를 이용하여 복원할 수 있다."는 잘못된 방법이다. [Ctrl]+[Z] 키는 삭제한 작업을 취소하는 단축키이므로, [휴지통]에서 삭제한 파일을 복원하는 데에는 사용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폴더 창에 있는 모든 폴더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해당 폴더 창에서 <Ctrl>+<T>키를 누른다.
  2. 해당 폴더 창의 비어있는 공간의 바로가기 메뉴에서 [전체 선택] 메뉴를 클릭한다.
  3. 해당 폴더의 맨 앞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후에 <Ctrl>키를 누른 상태로 맨 마지막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다.
  4. 해당 폴더 창에서 [편집] 주메뉴의[모두 선택] 메뉴를 선택한다.
(정답률: 37%)
  • 정답: 해당 폴더 창에서 [편집] 주메뉴의[모두 선택] 메뉴를 선택한다.

    설명: 해당 폴더 창에서 [편집] 주메뉴의[모두 선택] 메뉴를 선택하면 폴더 창에 있는 모든 파일과 폴더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없거나 불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검색 결과] 창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검색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Temp 폴더에 있는 모든 파일 중에서 2002년 1월 20일 이후에 생성된 파일
  2. C:\Temp 폴더에 있는 모든 파일 중에서 파일 크기가 100KB 보다 큰 파일
  3. C:\Temp 폴더에 있는 파일 중에서 “windows"라는 문자열을 내용에 포함하고 있는 실행형 파일(*.exe 또는 *.com)
  4. C:\Temp 폴더에 있는 모든 파일 중에서 어제 날짜 이후에 생성된 파일
(정답률: 38%)
  • "C:\Temp 폴더에 있는 모든 파일 중에서 어제 날짜 이후에 생성된 파일"은 옳지 않은 조건이다.

    "C:\Temp 폴더에 있는 파일 중에서 “windows"라는 문자열을 내용에 포함하고 있는 실행형 파일(*.exe 또는 *.com)"은 C:Temp 폴더에 있는 실행형 파일 중에서 내용에 "windows"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을 검색하는 조건이다. 이 조건을 사용하면 "windows"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실행 파일을 쉽게 찾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유 프린터를 설치하거나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환경에서 해당 프린터를 찾아 더블클릭하면 프린터의 관리 창이 표시된다.
  2.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되어 있는 프린터를 찾아 설치한다.
  3. 공유된 프린터는 자동으로 기본 프린터로 설정된다.
  4. 공유 프린터의 [속성] 창에서 [테스트 페이지 인쇄]를 선택 하면 프린터 설치가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59%)
  • "공유된 프린터는 자동으로 기본 프린터로 설정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공유된 프린터를 설치할 때 기본 프린터로 설정하는 옵션이 자동으로 선택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한글 Winodws XP의 문서 편집기인 [메모장]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서식있는 텍스트 파일을 작성할 수 있으며, 기본 저장 파일은 ‘.doc' 이다.
  2. OLE 개체 삽입 그림이나 차트 등의 고급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3. 찾기 기능을 사용하여 문장 내에서 원하는 문자열을 찾을 수 있다.
  4. 특정 영역을 지정하여 일부 문자열의 글꼴과 전경색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39%)
  • 정답은 "찾기 기능을 사용하여 문장 내에서 원하는 문자열을 찾을 수 있다." 이유는 메모장 프로그램에서는 Ctrl + F 단축키를 사용하여 찾기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입력하면 해당 문자열이 문서 내에서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표시해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한글 Winodws XP에서 [보조프로그램]의 [엔터테이먼트]에 있는 [녹음기]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녹음한 사운드를 반대 방향으로 재생할 수 있다.
  2. *.mp3 형식 파일을 불러오기하여 편집한 후에 *.wav 형식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3. 녹음된 소리를 재생하는 현재 위치에서 앞부분이나 뒷부분을 삭제할 수 있다.
  4. 녹음된 소리 파일의 삽입이나 병합을 할 수 있다.
(정답률: 41%)
  • "*.mp3 형식 파일을 불러오기하여 편집한 후에 *.wav 형식의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녹음기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WAV 형식으로 녹음을 하지만, MP3 형식의 파일을 불러와서 편집한 후에 WAV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MP3 파일을 WAV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한글 Winodws XP에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도중에 디스크 검사 옵션을 선택한 후 [디스크 검사] 프로그램의 실행을 시도하였을 경우의 결과로 옳은 것은?

  1.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이 완전히 종료하고 난 후에 [디스크 검사]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2.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이 일시 중지되고 [디스크 검사]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3.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디스크 검사] 프로그램이 동시에 수행된다.
  4. [디스크 검사] 프로그램의 수행이 불가능하여 시스템을 다음에 다시 시작할 때 [디스크 검사]를 할 것인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상자가 나타난다.
(정답률: 30%)
  •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디스크 검사] 프로그램이 동시에 수행되지 않고, [디스크 검사] 프로그램의 수행이 불가능하여 시스템을 다음에 다시 시작할 때 [디스크 검사]를 할 것인지를 표시하는 메시지 상자가 나타납니다. 이는 디스크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스크에 접근하는 모든 프로세스가 종료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가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하면 [장치 관리자] 창에서 노란색 원 안에 느낌표가 표시 되는 문제의 하드웨어를 찾아 설정을 변경하거나 제거 한다.
  2. 메인 메모리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면 시스템을 재시작하여 메모리를 원상태로 돌려놓고 프로그램을 다시 시작한다.
  3. 디스크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디스크 정리]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파일을 제거 한다.
  4. 네트워크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환경의 공유 설정을 모두 취소한다.
(정답률: 48%)
  • "네트워크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환경의 공유 설정을 모두 취소한다."는 옳지 않은 해결 방법입니다. 이는 문제의 원인을 해결하지 않고 단순히 공유 설정을 취소하는 것으로, 문제를 오히려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문제가 발생하면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여 해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사용을 위한 [로컬 영역 연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Windows를 실행하는 컴퓨터는 LAN에 연결 된다.
  2. 네트워크 어댑터를 설치하면 Windows는 어댑터를 발견하고 로컬 영역 연결을 만든다.
  3. 다른 모든 연결 형식과 같은 로컬 영역 연결도 네트워크 연결 폴더에 나타나며 기본적으로 로컬 영역 연결은 항상 활성화 된다.
  4. 로컬 영역 연결은 수동으로 구축되고, 여러개의 활성화 되는 연결 유형의 하나이다.
(정답률: 42%)
  • 정답은 "로컬 영역 연결은 수동으로 구축되고, 여러개의 활성화 되는 연결 유형의 하나이다."가 아닌 "다른 모든 연결 형식과 같은 로컬 영역 연결도 네트워크 연결 폴더에 나타나며 기본적으로 로컬 영역 연결은 항상 활성화 된다."입니다. 로컬 영역 연결은 수동으로 구축되는 것이 맞지만, 기본적으로 항상 활성화되는 것은 아닙니다.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한글 Winodws XP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하여 [인터넷 프로토콜(TCP/IP) 등록정보] 창에서 설정해야 하는 항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의 네트워크 ID 부분과 호스트 ID 부분을 구별하기 위하여 IP 패킷 수신자에게 허용하는 32비트의 값이다.
  2. DNS 서버 :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에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컴퓨터의 32비트 주소이다.
  3. 게이트웨이 : TCP/IP 네트워크 사이에서 IP 패킷을 라우팅하거나 전달할 수 있는 여러개의 실제 TCP/IP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이다.
  4. IP 주소 : 인터넷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노드를 식별하는데 사용하는 32비트 주소이다.
(정답률: 36%)
  • "DNS 서버 :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에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컴퓨터의 32비트 주소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는 서버이다. 따라서 DNS 서버의 주소는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컴퓨터의 주소가 아니라,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버의 주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한글 Winodws XP에서 공유 문서 폴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유 문서 폴더는 개인 폴더인 내 문서, 내 그림 및 내 음악 폴더에 대응하는 폴더이다.
  2. 공유 문서, 공유 그림 및 공유 음악 폴더는 사용자 컴퓨터의 모든 사람이 엑세스할 수 있는 파일, 그림 및 음악을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3.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가 공유 문서 폴더를 개인 폴더와 같이 개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공유 문서 폴더의 내용은 사용자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43%)
  • "공유 문서 폴더의 내용은 사용자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공유 문서 폴더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들끼리 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폴더입니다. 따라서 공유 문서 폴더에 저장된 파일은 해당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들만 엑세스할 수 있습니다. 개인 폴더와 같이 개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컴퓨터 및 정보활용

41. 다음 중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잠입해 개인신상정보 등과 같은 타인의 정보를 사용자 모르게 수집하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백도어(Back Door)
  2. 드롭퍼(Dropper)
  3. 훅스(Hoax)
  4. 스파이웨어(Spyware)
(정답률: 63%)
  • 스파이웨어는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잠입해 개인신상정보 등과 같은 타인의 정보를 사용자 모르게 수집하는 프로그램이다. 다른 보기들은 스파이웨어와는 다른 종류의 악성코드이다. 백도어는 시스템 보안을 우회하여 외부에서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문을 열어놓는 악성코드이고, 드롭퍼는 다른 악성코드를 유포하기 위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이다. 훅스는 가짜 정보를 유포하거나, 사용자를 속여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도록 유도하는 이메일 등을 말한다. 따라서, 스파이웨어가 다른 보기들과 다른 이유는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악성코드라는 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중 DMA(Direct Memory Acces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PU의 계속적인 개입 없이 메모리와 입출력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2. 고속의 CPU와 저속의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고속 기억장치이다.
  3. CPU 내부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병렬신호 회선을 의미한다.
  4. 기억 용량은 작으나 속도가 아주 빠른 버퍼 메모리이다.
(정답률: 41%)
  • CPU의 계속적인 개입 없이 메모리와 입출력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DMA(Direct Memory Access)이다. 이는 CPU가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DMA 컨트롤러가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며, CPU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빨라지고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이 향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에서 설명하는 장치로 알맞은 것은?

  1. AGP
  2. USB
  3. SCSI
  4. IEEE-1394
(정답률: 62%)
  • 이 장치는 컴퓨터와 다른 기기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포트이며, USB 포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DRAM(Dynamic RAM)의 특성으로 맞는 것은?

  1. SRAM에 비해 대용량이다.
  2. 주로 캐시 메모리로 사용된다.
  3. SRAM에 비해 고속이다.
  4. SRAM에 비해 비트당 가격이 비싸다.
(정답률: 41%)
  • DRAM은 SRAM과 달리 셀당 트랜지스터와 캐패시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하를 주기적으로 갱신해야 하기 때문에 동적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SRAM에 비해 셀당 공간이 작아 대용량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주로 메인 메모리로 사용된다. 따라서 "SRAM에 비해 대용량이다."가 맞는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의 진폭을 비트(bit) 단위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PAM
  2. PCM
  3. PDM
  4. PTM
(정답률: 43%)
  • PCM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마다 진폭 값을 정수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이진수로 표현되며, 이진수의 자릿수는 비트(bit)로 표현됩니다. PCM은 가장 일반적인 디지털 오디오 인코딩 방식 중 하나이며, CD나 MP3 등의 오디오 포맷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실제 장면을 촬영한 후, 화면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나 물체의 윤곽선을 추적하여 애니메이션의 기본형을 만들고, 여기에 수작업으로 컬러를 입히거나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하는 애니메이션 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모핑(Morphing)
  2. 로토스코핑(Rotoscoping)
  3. 포깅(Fogging)
  4. 클레이메이션(Claymation)
(정답률: 40%)
  • 로토스코핑은 실제 장면을 촬영한 후, 그 중 캐릭터나 물체의 윤곽선을 추적하여 애니메이션의 기본형을 만들고, 이를 수작업으로 컬러를 입히거나 형태를 변형시켜 사용하는 애니메이션 기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로토스코핑(Rotoscopin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에서 DVD-RO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층 구조인 경우 단면에 4.7GB, 양면에 9.4GB 정도 기록할 수 있다.
  2. 8개 국어의 음성을 지원 할 수 있다.
  3. 주로 MPEG-1 방식의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비디오 영상이 기록된다.
  4. 디스크 한 면에 약 135분의 동영상을 담을 수 있다.
(정답률: 47%)
  • DVD-ROM은 주로 MPEG-1 방식의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비디오 영상이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MPEG-2 방식의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비디오 영상이 기록된다. 따라서 "주로 MPEG-1 방식의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비디오 영상이 기록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존의 파일 시스템에 비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갖는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의 공유
  2. 데이터 중복의 최대화
  3. 데이터의 일관성
  4. 데이터의 무결성 증대
(정답률: 55%)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중복의 최대화"는 옳지 않은 선택지이다. 데이터 중복이 많아질수록 데이터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의 공유, 일관성, 무결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버스(Bus) 방식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구성에 드는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
  2. 네트워크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컴퓨터간 접속은 백본을 통해 이루어 진다.
  3.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허브와 고장난 컴퓨터 사이의 선로만 점검하면 된다.
  4.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이 동시에 많은 신호를 전송하면 네트워크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정답률: 48%)
  •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허브와 고장난 컴퓨터 사이의 선로만 점검하면 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버스(Bus) 방식의 네트워크에서는 한 컴퓨터의 고장이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장난 컴퓨터를 찾기 위해서는 전체 네트워크를 점검해야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 허브와 고장난 컴퓨터 사이의 선로만 점검하면 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마이크로소프트사가 발표한 운영체제로 소형 모바일 컴퓨팅이나 무선 통신 기기, 차세대 멀티미디어 기기 같은 임베디드시스템에 주로 사용되는 운영체제는?

  1. MS-DOS
  2. Windows XP
  3. Windows NT
  4. Windows CE
(정답률: 30%)
  • Windows CE는 소형 모바일 컴퓨팅이나 무선 통신 기기, 차세대 멀티미디어 기기 같은 임베디드 시스템에 최적화된 운영체제로, 경량화된 구조와 낮은 하드웨어 요구사항으로 작은 기기에서도 빠르고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네트워크상에서 물리적인 네트워크 주소(MAC : Media Access Control)를 IP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어느 것인가?

  1. RARP
  2. ARP
  3. SLIP
  4. SNMP
(정답률: 40%)
  • 정답은 "ARP"가 아니라 "RARP"입니다.

    RARP는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가 자신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즉, IP 주소를 MAC 주소로 대응시키는 것이 아니라, MAC 주소를 IP 주소로 대응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네트워크상에서 물리적인 네트워크 주소(MAC)를 IP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ARP"입니다. 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내용에 맞는 것은?

  1. SSL
  2. SET
  3. SSH
  4. SMTP
(정답률: 36%)
  • 보기에서 "SET"은 Secure Electronic Transaction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안전하게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다르게 결제 보안에 특화된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암호화 기법인 RSA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암호키와 복호키 값이 서로 다르다.
  2. 키의 크기가 작고 알고리즘이 간단하여 경제적이다.
  3. 적은 수의 키만으로 보안 유지가 가능하다.
  4. 데이터 통신시 암호키를 전송할 필요가 없고, 메시지 부인 방지 기능이 있다.
(정답률: 29%)
  • RSA의 특징 중 키의 크기가 작고 알고리즘이 간단하여 경제적이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RSA는 대칭키 암호화 방식에 비해 키의 크기가 크고 알고리즘이 복잡하여 계산량이 많아 경제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RSA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 중 하나로 사용되며, 대칭키 암호화 방식과 함께 사용되어 보안성을 강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MPEG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손실 기법과 무손실 기법을 수학적으로 구현하여 흑백이나 컬러 이미지를 압축 저장하거나 재생이 가능하다.
  2. 영상의 중복성을 제거함으로써 압축률을 높일 수 있는 중복 제거 기법을 사용한다.
  3. 동영상 압축기법에 대한 표준을 제정하는 단체와 표준규격의 이름을 의미한다.
  4. MPEG-4는 MPEG-2를 개선한 것으로 동영상 데이터 전송이나 전화선을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정답률: 29%)
  • 정답은 "손실 기법과 무손실 기법을 수학적으로 구현하여 흑백이나 컬러 이미지를 압축 저장하거나 재생이 가능하다."가 아니다.

    MPEG은 영상과 음성을 압축하는 기술로, 손실 기법과 무손실 기법을 사용하여 압축률을 높이고 중복 제거 기법을 사용한다. MPEG은 동영상 압축기법에 대한 표준을 제정하는 단체와 표준규격의 이름을 의미한다. MPEG-4는 MPEG-2를 개선한 것으로 동영상 데이터 전송이나 전화선을 이용한 화상회의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프로그램 내장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폰 노이만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2.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서 저장하여 수행한다.
  3. 서브루팅의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빈도에 제한이 없다.
  4. UNIVAC은 프로그램 내장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컴퓨터이다.
(정답률: 50%)
  • "서브루팅의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 빈도에 제한이 없다."는 프로그램 내장 방식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UNIVAC은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컴퓨터이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서 저장하여 수행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폰 노이만은 프로그램 내장 방식을 제안한 인물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시스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중 하나가 메모리 업그레이드이다. 다음 중 메모리 업그레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메인보드에 램을 꽂을 자리인 램 뱅크가 있는지 확인한다.
  2. 램의 형태, 속도, 핀 수, 용량 등을 확인한다.
  3. 메인 보드에서 지원하는 메모리의 최대 크기를 확인한다.
  4. 램의 속도 단위인 NS의 수치가 큰 것을 선택한다.
(정답률: 53%)
  • "램의 속도 단위인 NS의 수치가 큰 것을 선택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NS는 나노초를 나타내는 단위로, 램의 속도를 나타낸다. 램의 속도가 빠를수록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NS 수치가 큰 램을 선택하는 것이 시스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의 설명에서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1. 인터프리터, 로더, 링커
  2. 인터프리터, 링커, 로더
  3. 컴파일러, 링커, 로더
  4. 컴파일러, 로더, 링커
(정답률: 46%)
  •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때,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컴파일러입니다. 컴파일러가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한 후, 이를 실행 가능한 형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링커가 필요합니다. 링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올리기 위해서는 로더가 필요합니다. 로더는 실행 파일을 메모리에 로드하고, 실행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컴파일러, 링커, 로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에서 LAN을 매체접근 제어방식으로 분류하였을 경우, 이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CSMA/CD
  2. 토폴로지(Topology)
  3. 토큰 링(Toker Ring)
  4. 토큰 버스(Token Bus)
(정답률: 39%)
  • LAN을 매체접근 제어방식으로 분류하였을 경우, "토폴로지(Topology)"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LAN의 물리적인 구성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매체접근 제어방식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토폴로지는 LAN을 구성하는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들의 물리적인 연결 구조를 의미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스타형, 버스형, 링형 등이 있다. 따라서, 정답은 "토폴로지(Topolog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전자수첩을 컴퓨터라고 보았을 때, 그에 대한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1. 전자기기이기 때문에 컴퓨터이다.
  2. 계산기능이 있으므로 컴퓨터이다.
  3. 액정화면이 있으므로 컴퓨터이다.
  4. 프로그램을 내장하였기 때문에 컴퓨터이다.
(정답률: 61%)
  • 전자수첩은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로 간주됩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전자기기는 컴퓨터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URL의 형식이 바르게 표시된 것은?

  1. 접근프로토콜://문서이름/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문서경로
  2. 접근프로토콜://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문서경로/문서이름
  3. 접근프로토콜://문서경로/문서이름/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
  4. 접근프로토콜://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문서이름/문서경로
(정답률: 47%)
  • 정답은 "접근프로토콜://IP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문서경로/문서이름" 입니다.

    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로, 인터넷 상에서 특정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자열입니다. URL의 형식은 접근 프로토콜, IP 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 문서 경로, 문서 이름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접근 프로토콜 다음에 IP 주소 또는 도메인 이름이 오고, 그 다음에 문서 경로가 오며, 마지막으로 문서 이름이 올바른 URL의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